한자문화권의 문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지역 | 현재 사용되는 문자 | 사라진 문자 | |
대한민국 | 한글 | 구결 · 옛한글 | ||
한자 |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
대만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 |||
홍콩 · 마카오 | ||||
중국 대륙 |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
싱가포르 |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 502 간체자 | ||
일본 | 신자체 | 만요가나 |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
베트남 | 쯔꾸옥응으 | 쯔놈 | }}}}}}}}} |
1. 개요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에서 통용되던 문자. 또한 거란어를 표기하기 위해 만들어지기도 했다. 태조 야율아보기(耶律阿保機)가 만든 대자(大字)와 그의 동생 야율질라(耶律迭刺)가 만든 소자(小字)로 나뉜다. 둘 다 한자를 참조한 흔적이 보이며, 대자는 한자처럼 표의문자이고, 소자는 한자의 요소를 짜맞춘 표음문자이다. 하지만 남아 있는 기록도 별로 없고, 한자와 거란 문자 둘을 병기한 기록도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거의 해독이 되었지만 완전한 해독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이렇게 해독에 난항을 겪는 이유는 거란족의 언어정책 때문인데, 거란족은 거란 문자로 작성된 문서를 외국으로 유출할 경우 사형에 처할 정도로 자신들의 문자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엄격하게 금지했다. 그리고 거란족이 세운 요나라가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에게 밀리고 후에 몽골의 침입까지 받으면서 기록이 전부 말살되어 버려 문자를 해독하는 것이 매우 힘들어졌다. 1125년 요나라가 멸망했을 때 금나라는 거란 문자 사용을 공식적으로 금지하기까지 했다.
이런 이유들 때문에 요나라가 멸망한 이후 거란 문자는 20세기 초까지도 존재가 거의 알려져 있지 않았으며 거란 문자가 발굴된 이후에도 제대로 해독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는 중국 출신 일본 언어학자 아이신기오로 울히춘(1958~)이 거란 문자를 집중적으로 연구하여 해독에 많은 성과를 이루었다.
해독해 낸 부분에 따르면 거란 대자는 한자를 참고해서 만들었기 때문에 한자와 같은 표의문자인 반면, 거란 소자는 각 음소를 담은 문자들을 한글 자모처럼 합쳐서 정사각형의 틀에 모아 써서 음절 하나를 구성한다고 추측한다. 이로 인해 한글과의 관련성이나 한글 창제시에 참고했을 가능성 등으로 거란 소자가 주목을 받기도 했다. 거란 소자의 자형을 참고했다는 뜻이 아니라 자모를 조합해서 하나의 글자를 만든다는 아이디어를 말하는 것이다. 다만 거란 문자 해독이 부분적으로만 되었기에 확실한 근거를 확보하기 어렵다.
소자만큼은 아니지만 대자 역시 일부 정도 해독이 되었다.
2019년 초에 한국에서 거란 소자 사전이 발매되었다.
2. 거란 대자
야율연녕(耶律延寧)의 비문. 986년에 거란 대자로 작성되었다.
요나라의 태조 야율아보기가 직접 창제에 착수한 문자로, 한자를 많이 참고한 흔적이 많이 보인다. 그래서인지 1 글자가 1 개의 뜻을 지니는 표의문자였다. 당연히 사용이 불편하였기 때문에 그의 동생 야율질라가 거란 소자라는 표음성 새로운 문자를 창제하기에 이른다.
1600여 자가 발견되었지만 그 중 해독된 문자는 188자밖에 되지 않는다고 한다.
3. 거란 소자
동제(거란문자)명 원형경[銅製\(契丹文字\)銘圓形鏡]. 거란소자가 있는 청동 거울이다. 대한민국의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으며 고려와 거란의 교류를 보여주는 유물이다.
𘭔𖿤𘭢 𘲽𘱸
𘰷𘭴 𘰝𘲚𘲦 𘲲𘯴𘱆 𘳍𘰄 𘰴𘳍𘰄
𘬜𘭞𘰷 𘬜𘭞𘰷 𘲀𘭞𘭟 𘲀𘭞𘭟 𘱓𘮯𘮡
𘬹𘯺𘮢 𘬥𘳍𘰄 𘲽𘲜 𘲫𘱮 𘮡𘱆
𘰺𘰂𘮅𘲚𘲴 𘬥𘱛 𘰭𘲣𘰥 𘭐𘰱 𘰺𘯜𘯺
𘮠𖿤𘱤 𘰺𘮢𘲆𘭢 𘯺𘮅𘭂𘯢 𘲜𘱤𘬚
𘰭𘱀 𘬜𘳍𘰄
기구(起句)
mə-əl ʧi-ən sumu damun-n qamui jai diai
이름 지어 쓴 긴 문장의 모든 것은 XX
승구(承句)
jurs jurs surbur surbur jæliu magan ʃia-i
혁혁하네, 한 편 한 편 흥하여 악 선을
전구(轉句)
ʧim irə ju-ɳ tabal-uʤi ʃia nugu-r ur-d
XX 지금 우러러 받드는 좋은 벗들 XX
결구(結句)
tugua buri tumwəl alha-as mini nəmə jai
성신한 자 늘 있게 하리, 내 근반에
거란어 학자 아이신교로 울히춘의 번역
𘰷𘭴 𘰝𘲚𘲦 𘲲𘯴𘱆 𘳍𘰄 𘰴𘳍𘰄
𘬜𘭞𘰷 𘬜𘭞𘰷 𘲀𘭞𘭟 𘲀𘭞𘭟 𘱓𘮯𘮡
𘬹𘯺𘮢 𘬥𘳍𘰄 𘲽𘲜 𘲫𘱮 𘮡𘱆
𘰺𘰂𘮅𘲚𘲴 𘬥𘱛 𘰭𘲣𘰥 𘭐𘰱 𘰺𘯜𘯺
𘮠𖿤𘱤 𘰺𘮢𘲆𘭢 𘯺𘮅𘭂𘯢 𘲜𘱤𘬚
𘰭𘱀 𘬜𘳍𘰄
기구(起句)
mə-əl ʧi-ən sumu damun-n qamui jai diai
이름 지어 쓴 긴 문장의 모든 것은 XX
승구(承句)
jurs jurs surbur surbur jæliu magan ʃia-i
혁혁하네, 한 편 한 편 흥하여 악 선을
전구(轉句)
ʧim irə ju-ɳ tabal-uʤi ʃia nugu-r ur-d
XX 지금 우러러 받드는 좋은 벗들 XX
결구(結句)
tugua buri tumwəl alha-as mini nəmə jai
성신한 자 늘 있게 하리, 내 근반에
거란어 학자 아이신교로 울히춘의 번역
폰트 때문에 안 보이는 경우 대체 사진[1]
야율아보기가 만든 거란 대자가 사용이 불편했던 관계로, 그의 동생인 야율질라가 만든 표음 문자이다.[2] 한글의 초성·중성·종성처럼 정해진 몇 문자를 옆과 아래에 조합해 하나의 네모난 글자를 만드는 방식이다. 모양은 위구르의 사자로부터 배운 위구르 문자를 참조하였다고 전해진다.
소자는 대자보단 해독이 많이 되어 있는데 아이신교로 울히춘의 연구를 통해 현재까지 발견된 소자들 중 절반 이상 읽는 법을 확인했다고 한다.
아이신기오로 울히춘이 이 청동거울을 보고, 이 유물을 연구하여 2011년 이와 관련된 책인 韓半島から眺めた契丹・女真도 낸 적이 있었다.
일본의 언어학자인 오타케 마사미(大竹 昌巳)는 2014년부터 통계를 바탕으로 한 거란소자 재구를 시도해 연구 진척도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켰다.
이렇듯 거란 소자는 제법 연구가 많이 진척되어 전산화도 빠르게 이루어졌는데, 2020년 유니코드 13.0에 거란 소자 470자가 등재되었다.[3] 참고로 거란 대자는 연구가 덜 되어 유니코드 등재 계획만 잡혀 있는 상태이다. 유니코드의 거란 소자 배당 범위는 U+18B00-U+18CD5이다. 추가로 U+16FE4 자리에 거란 소자 채움 문자(KHITAN SMALL SCRIPT FILLER)가 배당되어 있는데, 이것은 뒤에 오는 소자를 앞 소자의 옆이 아닌 아래에 배치시키고자 할 때 사용하는 문자로 한글 초성 채움 문자 및 한글 중성 채움 문자와 같은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위 예문의 첫 번째 조합처럼 A 밑에 B를 조합하고 싶은데 그냥 AB로 조합하게 되면 의도와는 다르게 위 예문의 두 번째 조합처럼 A 옆에 B가 붙은 형태가 되는데, A(채움)B로 조합하게 되면 A 옆에 비어 있는 거란 소자가 조합된 것으로 인식해 A 밑에 B가 붙은 형태로 나타난다. 유니코드 16.0에 U+18CFF 자리에 사각형(□)으로 나타나는 문자가 추가될 예정인데, 어떤 글자인지 불분명하거나 올바르지 않은 거란 소자임을 나타낼 때 쓴다.
2023년 7월 12일에 유튜버 향문천이 오타케 마사미의 최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2011년 아이신기오로 울히춘의 연구 당시 부정확했던 재구음을 재구성해 새로운 해석을 제시했다.[4]
이하는 재구음 표기와 그 해석. #
기구(起句)
tər-əəl čəə-ň sum taa..-ən χam-uy äğ-äy däğ-äy
개국하면서 만든 화살이 XX 몰아내고, 형[5]의 적을
[대안] 개국하면서 지은 가조(嘉詔)를 따라, 형의 적을
승구(承句)
yor(ə)z yor(ə)z soro.. soro.. eelüü modaaň šäğ-äy
혁혁하고 명철하게 재단하네, 악과 선을
전구(轉句)
čim ərəə üüň t/dabal-uuǰ šää nəgud-d ör-əl’ (örəl’-l’)
그대를 이제 거룩히 묻으리, 좋은 벗에게 오래
[대안] 그대를 이제 거룩히 묻으리, 좋은 벗에게 이끌어
결구(結句)
t/doɣʷaa bərii t/düluğʷəəl aa-lağ-az miin nəm yäğ-äy
XX 늘 두고 싶네, 내 가까운 반열에
내용을 보면 해당 동경은 전사 출신의 사망자와 함께 묻힌 부장품인 듯하다.tər-əəl čəə-ň sum taa..-ən χam-uy äğ-äy däğ-äy
개국하면서 만든 화살이 XX 몰아내고, 형[5]의 적을
[대안] 개국하면서 지은 가조(嘉詔)를 따라, 형의 적을
승구(承句)
yor(ə)z yor(ə)z soro.. soro.. eelüü modaaň šäğ-äy
혁혁하고 명철하게 재단하네, 악과 선을
전구(轉句)
čim ərəə üüň t/dabal-uuǰ šää nəgud-d ör-əl’ (örəl’-l’)
그대를 이제 거룩히 묻으리, 좋은 벗에게 오래
[대안] 그대를 이제 거룩히 묻으리, 좋은 벗에게 이끌어
결구(結句)
t/doɣʷaa bərii t/düluğʷəəl aa-lağ-az miin nəm yäğ-äy
XX 늘 두고 싶네, 내 가까운 반열에
4. 둘러보기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1]
적절한 폰트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다. Babelstone Khitan 또는 Noto Serif Khitan 또는 Planogothic 폰트를 찾아 써보자. 모두
OFL 라이센스로 상업적 무료 글꼴들이다. 다만 브라우저에서 거란 문자가 제대로 표시되게 하려면 브라우저 설정을 만져줘야 한다.
[2]
음절 단위의 표음 양식을 가지고 있다.
[3]
물론 연구가 이루어짐에 따라
서하 문자의 사례처럼 장래에 글자가 더 추가될 수도 있다.
[4]
유튜브 댓글을 보고 오해할 가능성이 상당하지만 단순히 새로운 해석일 뿐 그가 거란 문자를 해독한 것은 아니다.
[5]
거란어는
한국어와 마찬가지로 친족구분이 매우 상세한 편이라서, 남성의 손윗동성형제, 즉
형을 뜻하는 단어 ää가 따로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