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9-24 13:02:49

이체자자전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파일:이체자자전 표지.png
1. 개요2. 특징

1. 개요

대만 교육부에서 온라인으로 서비스하는 이체자 검색용 자전이다. 정자 2만 9921자, 이체자 7만 4407자, 고증을 요하는 부록자 2002자 등 총 10만 6330자를 수록한 방대한 사전이다.

원저자는 '교육부 국어추행[1]위원회'로, 현 국가교육연구원 어문교육및편역연구센터에서 편집을 담당한다. 1995년 편찬을 시작해 2000년 대만학술네트워크 1판(시험 1판), 2001년 대만학술네트워크 7판(정식 1판), 2017년 대만학술네트워크 13판(정식 6판)을 서비스 중이다. 책으로는 발행되지 않았고 2002년 중문 번체 Windows DVD판으로 발매된 바 있다.

2. 특징

수록 자수(字數)가 방대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초창기부터 서비스를 시작하여 고전이나 한문 관련 연구자들에게는 가뭄의 단비 같은 존재였다. 당시는 인터넷으로 한자 관련 공구서를 이용하는 것이 어려웠는데 유니코드 지원이 보편적이지 않고 유니코드가 수용하는 한자 수도 적어서 다양한 이체자의 한자를 지원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체자자전은 모든 한자를 이미지로 처리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유니코드가 정비된 현재는 이미지 모드와 폰트 모드 모두 표시 가능하다.[2] 표시방식(顯示模式)에서 설정할 수 있다.
이미지 모드
파일:이체자자전 이미지 모드.png
폰트 모드
파일:이체자자전 폰트 모드.png

이체자 검색용 자전이라고 하지만, 자의(字義) 해석도 충실하기 때문에 일반 자전으로 활용해도 손색이 없다.

이 사전의 또 다른 장점은 해당 글자가 수록된 참고 문헌을 스캔 이미지로 제공한다는 점이다. 다만 판권 때문에 이미지 제공이 되지 않는 문헌은 양식을 다운받아 이메일로 신청하면 받아볼 수 있다. 과거 버전에서는 이미지 파일의 URL에 일정한 규칙이 있어서 편법이 가능했다. 예컨대 공개된 이미지인 http://...xxxx001.jpg 형식의 설문해자 파일명을 xxxx001 → xxxx051.jpg로 바꾸면 비공개인 중문대사전 이미지가 뜨는 식으로, 비공개된 참고 문헌 이미지도 모두 볼 수가 있었지만 현재는 주소 형식 변경으로 이런 방법은 통하지 않는다.[3]

[1] 推行. 추진의 뜻 [2] 폰트 모드라 해도 유니코드에서 지원하지 않는 한자는 이미지로 표시된다. [3] 다만 전혀 방법이 없진 않다. 이미지 파일은 의 형식인데 여기서 '050'은 문헌번호, 195161.png는 스캔 파일명이다. 이 때 .../050/195161.png 과 .../062/195170.png 사이에 8개의 문헌이 있고 이 중 4번째 문헌인 초서대자전(문헌번호=054)의 파일을 열고 싶다면 파일명에 +4를 해서 .../054/195165.png 를 열면 된다. 문헌번호는 목록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세 자리 수로 붙인다. 다만, 파일명이 규칙적이지 않은 경우도 많아서 복불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