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3 12:50:40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광동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예일식 로마자 표기법
언어별 로마자 표기법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1e90ff> 한국어 프랑스식 - 한글학회식 - 예일식 - 48년 문교부식 - 59년 문교부식 - M.R. 식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00년 문광부식 - 김복문식 - 국립국어원식
한세식 - 유만근식 - 양병선식 - 홍승목식 - 86년 북한식 - 파일:북한 국기.svg 97년 북한식 - ISO/TR 11941
일본어 JSL - 훈령식 - 일본식 - 파일:일본 국기.svg 헵번식 - 포르투갈식
표준중국어 우정식 - W.G.식 - 화어통용병음 - 국어라마자 - 주음부호 2식 - 예일식 -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대만 국기.svg 한어병음
광동어 월어병음 - 광동어 예일식 표기법 - 광주화병음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정부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정부식
민어 민남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대라병음 - 대어통용병음 - 조주화병음 - 해남병음
객가어 객가어백화자 - 파일:대만 국기.svg 객가어병음 - 객어통용병음 - 객가화병음
아랍어 BGN/PCGN - UNGE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페르시아어 미국 의회도서관식 - 이슬람 백과사전식 - 파일:이란 국기.svg UN식
아르메니아어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5
조지아어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정부식 - BGN/PCGN - 미국 의회도서관식 - ISO 9984
그리스어 파일:그리스 국기.svg ELOT 743 - 미국 의회도서관식
히브리어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정부식 - ISO 259
힌디어 IAST - 파일:인도 국기.svg 헌터식
티베트어 와일리 표기법 - 장어병음
타이어 ISO 11940 - 파일:태국 국기.svg 왕립학회식
벨라루스어 BGN/PCGN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정부식 - 라친카 - ISO 9
불가리아어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정부식 - ISO/R 9
러시아어 BGN/PCGN - 파일:러시아 국기.svg GOST 7.79-2000 - ISO 9
우크라이나어 BGN/PCGN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정부식 - ISO/LN 9 }}}}}}}}}

Yale romanization of Cantonese / 粵語耶魯拼音
1. 개요2. 표기법
2.1. 성모(聲母, initials)2.2. 운모(韻母, finals)2.3. 성조(聲調, tones)2.4. 붙여 쓰기와 띄어쓰기
3. 관련 문서

1. 개요

광동어(월어), 주로 홍콩 광동어의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기 위해 고안된 로마자 표기법( 병음). Parker Po-fei Huang(黃伯飛)과 Gerald P. Kok이 미국 예일 대학교에서 1952년에 만들었다.

근래에 광동어 발음을 정확히 전사하고자 할 때 월병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그 다음으로 많이 쓰이는 표기법이 예일식이다. 물론 홍콩과 마카오 사람들이 본인의 인명을 적을 때 쓰는 관행적 표기나 홍콩 정부가 지명 표기 등에 사용하는 로마자 표기법( 홍콩 정부 월어병음)은 월병이나 예일식과 다소 거리가 있다. 광둥성 정부에서 쓰는 광동병음방안(광동어판)도 이질감이 심하다.

2. 표기법

맨 위에 적은 로마자가 예일식 표기이고, \[ \], / / 안은 국제음성기호, 한자는 해당 음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한자를 가리킨다.

2.1. 성모(聲母, initials)

|| b
\[p\]
巴 || p
\[pʰ\]
怕 || m
\[m\]
媽 || f
\[f\]
花 || ||
d
\[t\]
t
\[tʰ\]
n
\[n\]
l
\[l\]
g
\[k\]
k
\[kʰ\]
ng
\[ŋ\]
h
\[h\]
gw
\[kʷ\]
kw
\[kʷʰ\]
w
\[w\]
j
\[ts\]
ch
\[tsʰ\]
s
\[s\]
y
\[j\]

2.2. 운모(韻母, finals)

|| a
\[aː\]
沙 || aai
\[aːi̯\]
徙 || aau
\[aːu̯\]
梢 || aam
\[aːm\]
三 || aan
\[aːn\]
山 || aang
\[aːŋ\]
坑 || aap
\[aːp̚\]
圾 ||aat
\[aːt̚\]
剎 || aak
\[aːk̚\]
客 ||
ai
\[ɐi̯\]
西
au
\[ɐu̯\]
am
\[ɐm\]
an
\[ɐn\]
ang
\[ɐŋ\]
ap
\[ɐp̚\]
at
\[ɐt̚\]
ak
\[ɐk̚\]
e
\[ɛː\]
ei
\[ei̯\]
eng
\[ɛːŋ\]
ek
\[ɛːk̚\]
i
\[iː\]
iu
\[iːu̯\]
im
\[iːm\]
in
\[iːn\]
ing
\[eŋ\]
ip
\[iːp̚\]
it
\[iːt̚\]
ik
\[ek̚\]
o
\[ɔː\]
oi
\[ɔːy̯\]
ou
\[ou̯\]
on
\[ɔːn\]
ong
\[ɔːŋ\]
ot
\[ɔːt̚\]
ok
\[ɔːk̚\]
u
\[uː\]
ui
\[uːy̯\]
un
\[uːn\]
ung
\[oŋ\]
ut
\[uːt̚\]
uk
\[ok̚\]
eu
\[œː\]
eui
\[ɵy̯\]
eun
\[ɵn\]
eung
\[œːŋ\]
eut
\[ɵt̚\]
euk
\[œːk̚\]
yu
\[yː\]
yun
\[yːn\]
yut
\[yːt̚\]
m
\[m̩\]
ng
\[ŋ̍\]

2.3. 성조(聲調, tones)

보조 부호( diacritics)와 모음 뒤(모음이 안 쓰이는 성절 자음이 운모일 경우 해당 음절 뒤)에 h를 붙여 성조를 표현한다.
|| 성조 번호 || 성조 소릿값 ||<-3> 예일식 표기 예 ||
1 ˥ 55 sīn sīk
˥˨ 52 sìn
2 ˨˥ 25 sín
3 ˧ 33 si sin sik
4 ˨˩ 21 sìh sìhn
5 ˨˧ 23 síh síhn
6 ˨ 22 sih sihn sihk

2.4. 붙여 쓰기와 띄어쓰기

표준중국어 발음을 표기할 때 적용하는 한어병음 정사법 기본 규칙과 마찬가지로 원칙적으로 음절이 아닌 단어별로 띄어쓰기를 하며 한 단어 안에서는 음절 경계의 구분 없이 그냥 이어 쓴다. 음절 구분이 필요할 경우 어깻점(’ 또는 ')을 찍는다.

3. 관련 문서


[1] 닫는 작은 따옴표처럼 생긴 어깻점(apostrophe). 유니코드 문자 U+2019 RIGHT SINGLE QUOTATION MARK이다. [2] IT 기기에서 자주 쓰이는 열지도 않고 닫지도 않는 작은따옴표와 동일한 형태의 어깻점(단 폰트에 따라서는 이 문자를 닫는 작은 따옴표와 동일한 형태로 렌더링하는 경우도 있다). 유니코드 문자 U+0027 APOSTROPHE. 이 문자는 미국 표준 QWERTY 등의 기본 자판 배열에 포함돼 있지만, 따옴표·어깻점의 형태를 자동 변경하는 Microsoft Word 등에서 이 문자를 직접 입력해야 할 경우를 대비해 복사용 문자로 기재한다. 물론 MS Word에서도 '를 키보드로 직접 입력할 방법이 없는 건 아니지만 설정에 들어가서 따옴표·어깻점 자동 변경을 끈다든지 해야 해서 이 문자를 직접 입력하기 불편하다. 그냥 이미 다른 곳에 입력된 '을 복사해서 붙여 넣는 게 편하다. [3] 단 월병, 예일식, 시드니 라우 표기법의 경우 성모만 이런 원칙이 적용되고, 입성(入聲) 운미(韻尾)로 쓰일 때는 g, d, b가 아닌 k, t, p로 적는다. 한국어를 표기하는 현행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과 비슷하다. 반면 광동병음에서는 입성 운미도 g, d, b로 적는다. [4] 반면 월병은 양자의 철자가 (j)yu와 ju로 확실히 구분된다. [5] 반면 월병은 \[œː\]를 oe로, \[ɵ\]를 eo로 적게 하고 있기 때문에 eu로 적는 \[ɛːu̯\]와 충돌하지 않는다. [6] 홍콩에서는 대개 양자의 구분을 의식하지 않는다고 하고, 광저우에서는 점점 후자가 소멸해 전자로 통합되는 추세이지만 극히 일부 한자들은 여전히 전자로 발음할 때와 후자로 발음할 때를 구분한다고 한다. 예를 들어 광저우 방언에서 衫( 셔츠)를 sāam이라고 읽고, 三(셋)을 sàam이라고 읽는 식이다. [7] yu로 표기되는 \[yː\]는 y /j/ + u /uː/가 변한 것으로 분석하여 u를 원래의 성절음으로 본다. [8] 물론 성모에 쓰이는 h는 삭제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