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문화권의 문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지역 | 현재 사용되는 문자 | 사라진 문자 | |
대한민국 | 한글 | 구결 · 옛한글 | ||
한자 |
정자(정체자, 번체자) 약자(대한민국) 주음부호(대만) · 한어병음(대륙) · 통용병음(대만) · 대라병음(대만) · 객가어병음(대만) 월어병음(홍콩, 마카오)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
대만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우정식 병음 · 국어라마자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예일식 관화 병음 · 국어 주음부호 제2식 · 웨이드-자일스 표기법 · 예일식 광동어 병음 | |||
홍콩 · 마카오 | ||||
중국 대륙 | 간체자 · 한어병음 · 몽골 문자( 내몽골) · 고장자( 광시) · 신장자( 광시) · 티베트 문자( 티베트) · 위구르 문자( 위구르) · 동파 문자 | 측천문자 · 거란 문자 · 서하 문자 · 여진 문자 · 만주 문자 | ||
싱가포르 | 간체자 · 번체자 · 한어병음 | 502 간체자 | ||
일본 | 신자체 | 만요가나 |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
베트남 | 쯔꾸옥응으 | 쯔놈 | }}}}}}}}} |
𭨡𮄫 / sawndip / 사으딥 / 古壮字
1. 개요
중국 동남부 광시 좡족 자치구의 소수민족인 좡족이 창제한 한자 계통의 표어 문자로, 인접한 베트남의 쯔놈 문자와 유사하게 한자의 제자 원리를 연장해 고유 언어 좡어를 표기한다. 1957년 이후 공식적으로는 중국 정부가 제작한 로마자로 대체되었으나, 여전히 꽤 널리 사용된다.2. 역사
7세기 말 당나라 시절에 세운 비석에 고장자가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후 고장자에서도 사용된 일부 특이 한자를 사용했을 뿐이지 언어 자체는 한문이다. 어차피 고장자의 형성자 중 상당수가 초기 중고한어의 음가를 반영하고 이후의 중국어 발음과 부합하지 않기 때문에, 당나라 초기 무렵에 문자가 처음으로 형성되었다는 것이 정설이다. 사용시기로 보자면 쯔놈보다 선배이다.중국 일부 학자들은 한반도의 위만조선과 동시대인 남월국 때부터 고장자가 사용되었다고 주장하지만 명확한 증거는 없다.
고장자가 사용된 고문헌 중 현존하는 것은 대부분 청나라 시대 문헌이다.[1] 도교 주술서나 무속 경전 등 종교적 문헌부터 민요 및 사랑시, 연극 대본, 유교적 교화서, 지역전설집 등 전통 문학, 심지어 일부 재판기록까지 다양한 자료가 남았다. 1940년대에는 일부 중국공산당 선전물도 고장자로 번역되었다.
공식적으로는 1957년에 로마자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좡어는 중국어 못지않게 방언이 다양한데 표음문자의 특성상 로마자는 그중 한 가지 방언만을 표기할 수밖에 없었고, 다른 방언을 사용하는 수많은 좡족들은 더 중립적인 고장자를 선호했다. 이런 이유로 로마자는 고장자를 대체하는 데 실패했다. 정부 차원으로는 고장자를 가르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2000년대 조사에 따르면 좡족 응답자의 35% 정도가 고장자를 읽을 수 있다고 답변했는데, 이는 로마자를 읽을 수 있다는 응답자의 무려 두 배에 달했다.
국가 차원의 문자 개혁은 없었지만 현대의 고장자는 중국어의 영향을 받아 간체자 바탕으로 쓴다고 한다.
현재 많은 좡족들은 사실 로마자, 고장자를 떠나 아예 좡어를 문자로 표기하지 않는다. 글을 써야 할 일이 있으면 대체로 표준 중국어를 사용한다. 광시 좡족 자치구 내 좡어 공교육의 질이 매우 좋지 않을뿐더러 방언 간의 극심한 차이로 인해 지역 정부에서 가르치는 로마자로 표기된 표준 좡어는 많은 화자들에게 외국어 수준이기 때문이다.
3. 상세
표기가 통일되지 않아 광시성의 각 현(縣)마다 상이한 글자가 사용된다. 자기 마을의 고장자에 해박하다 하더라도 몇십 킬로미터만 이동하면 해당 지역 고문헌을 능숙하게 읽을 수가 없다. 좡족들이 새로 창제한 글자는 1만 개에 달한다. 대부분 유니코드에 등재되지 않았다.3.1. 기존 한자의 차용
한자어는 물론 한자 그대로 쓴다.고장자 글자 | 한국어 음훈 | 좡어 단어 | 의미 |
國 | 나라 국 | guek (국) | 나라 |
三 | 석 삼 | sam (삼) | 셋 |
한자의 훈(뜻)을 차용해 고유어를 표기한 훈독자가 상당수 있다. 훈독자가 매우 드문 쯔놈과 대표적 차이점이다.
고장자 글자 | 한국어 음훈 | 좡어 단어 | 의미 |
月 | 달 월 | ndwen (드언) | 달 |
木 | 나무 목 | faex (파이) | 나무 |
米 | 쌀 미 | haeux (하우) | 쌀 |
多 | 많을 다 | lai (라이) | 많다 |
역으로 한자의 음을 빌려 고유어를 표기한 음가자도 많다.
고장자 글자 | 한국어 음훈 | 좡어 단어 | 의미 |
文 | 글월 문 | vunz (븐) | 사람 |
蒙 | 어두울 몽 | mwngz (멍) | 너 |
議 | 의논할 의 | nyi (니) | 듣다 |
眉 | 눈썹 미 | miz (메이) | 가지다 |
훈을 차용한 후 다른 고유어에 가차한 경우도 있다. 한글 창제 이전 한국어의 훈가자와 동일한 원리다.
고장자 글자 | 한국어 음훈 | 좡어 단어 | 의미 |
人 | 사람 인 | hwnj (흔) | 오르다 |
問 | 물을 문 | caem (샴) | 조용하다 |
일부 방언은 'vunz'을 /hun/으로 발음하며, 이는 '오르다'를 뜻하는 /hɯn/과 발음이 유사하다. 마찬가지로 '묻다'를 의미하는 'cam' /ɕaːm/과 '조용하다'를 의미하는 'caem' /ɕɐm/은 성조와 자음이 같고 모음만 약간 다르다.
3.2. 신조 글자
형성자가 주를 이룬다.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를 가진 한자를 의부로 사용하고, 해당 의미의 고유어와 음이 같거나 비슷한 한자를 성부로 사용하였다. 밑줄 친 부분이 의부에 해당한다.고장자 글자 | 구성 한자 | 좡어 단어 | 의미 |
⿰古老 | 옛 고 + 늙을 로 | geq (게) | 늙다 |
𮬭 (⿰六鳥) | 여섯 륙 + 새 조 | roeg (록) | 새 |
𫩒 (⿰口巾) | 입 구 + 수건 건 | gwn (근) | 먹다 |
𮛉 (⿰𧾷五) | 발 족 + 다섯 오 | ha (하) | 발 |
회의자도 있다.
고장자 글자 | 구성 한자 | 좡어 단어 | 의미 |
⿰在于 | 있을 재 + 어조사[2] 어 | youq (요우) | ~에 있다 |
𥈧 (⿰目看) | 눈 목 + 볼 간 | gaeuj (가우) | 보다 |
⿱晚飯 | 늦을 만 + 밥 반 | byaeuz (뱌우) | 저녁 |
𨱥 (⿱不長) | 아니 불 + 길 장 | dinj (딘) | 짧다 |
반절식 표기도 사용된다.
고장자 글자 | 구성 한자 | 좡어 단어 | 의미 |
⿱𥫗失 | 대나무 죽 + 잃을 실 | raet (랏) | 버섯 |
⿰巴恩 | 꼬리 파 + 은혜 은 | boenq (본) | 바쁘다 |
음이 유사한 두 한자를 합자해 역시 음이 비슷한 좡어 고유어를 표기한 경우도 있다.
고장자 글자 | 구성 한자 | 좡어 단어 | 의미 |
𭖁 (⿰山三) | 산 산 + 석 삼 | san (산) | 쌀 |
𭠈 (⿰房方) | 방 방 + 모 방 | fangz (팡) | 귀신 |
중국 방언자와 같은 원리로 口(입 구)를 부수로 사용해 구어를 나타내는 글자라는 것을 표기하기도 한다.[3]
고장자 글자 | 구성 한자 | 좡어 단어 | 의미 |
𠰻 (⿰口外) | 입 구 + 바깥 외 | vaij (와이) | 도착하다 |
㕤 (⿰口九) | 입 구 + 아홉 구 | gou (가우) | 아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