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용한자(当用漢字)는 일본에서 상용한자 제정 이전에 쓰이던 한자표를 일컫는다.
1. 역사
- 일본어는 히라가나, 가타카나, 한자를 섞어 쓰는데 이에 대한 기준이나 규칙이 없어서 혼란스러웠다. 이를 교정하고자 만든 것이 1946년 발표한 당용한자표(当用漢字表)이다. 당용한자표로 1850자의 자종(字種)과 자수(字數)의 음훈(音訓) 및 자체(字体)를 표준화했고 내각 고시·훈령의 형태로 일반에 보급했다. 이후 일본어 시책은 표준적인 표기법 확립을 목적으로 계속 실시된다. 1981년에 당용한자표를 대신하는 것으로 음훈 및 자체를 포함하여 1945자를 수록한 상용한자표가 제한을 완화하는 색채를 띠고 내각 고시되면서 폐지되었다.
2. 신자체 제정
- 1946년의 당용한자표와 1949년의 당용한자자체표에서 제정되었으며, 기존에 약자, 속자 및 오자로 간주되었던 글자를 신자체로 규정하고, 2차 대전 이전에 쓰던 전통적인 한자를 구자체로 규정하여 사용을 제한하였다. 주로 한자의 획수를 줄였으나, 步(걸을 보)를 歩로, 卷(책 권)을 巻으로 쓴 것처럼 1획씩 늘어난 경우도 가끔 있었다. 자세한 설명은 신자체 참조.
3. 동음 대체
자세한 내용은 당용한자/동음 대체 문서 참고하십시오.4. 가나 혼용
자세한 내용은 당용한자/가나 혼용 문서 참고하십시오.5. 의의
- 당용한자표가 제정되기 전에는 일본에서는 표기법과 한자 등에 관련한 모든 것이 무질서하게 난립했기 때문에 표준적인 표기법을 확립한 것에 그 의의가 있다.
6. 외부 링크
- 당용한자표. 텍스트와 당시의 관보(官報)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
- 당용한자자체표. 본격적으로 신자체를 확립한 표로, 역시 텍스트와 이미지를 함께 제공한다.
- 동음의 한자에 의한 바꿔쓰기. 한자 제한의 많은 예를 찾아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