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역사 || 역사 전반( 홍콩)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호 · 백년국치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경제 || 경제 전반( 홍콩 · 마카오) · GDP · 경제성장률 · 상무부( 투자촉진사무국) · 재정부 · 공업정보화부 · 중국인민은행 · 세무총국 · 중국 위안 · 중국증권 감독관리위원회( 상하이증권거래소 · 선전증권거래소 · 베이징증권거래소) · 홍콩증권거래소 · 국가금융감독관리총국 · ECFA · AIIB · FTAAP · 세서미 크레딧 · 차이나 머니 · 아시아의 네 마리 용(홍콩) ||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ee1c25><width=16%>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홍콩 · 마카오) · 문화 검열( 검열 사례 · 할리우드 블랙아웃) · 문화여유부( 문물국) · 영화( 목록) · 홍콩 영화 · 상하이물) · 드라마( 목록 · 문제점) · 방송( CCTV · CETV · 라디오 방송 · 홍콩 · 마카오) · 신경보 · 중앙신문( 인민일보 · 환구시보 · 광명일보 · 경제일보 · 해방군보) ·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 명보 · 미술 · 2021년 중국 규제 · 파룬궁 · 선전물 일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5%"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상징 | 국기 · 국장 · 국가 · 국기가 |
정치·행정 | 정치 전반 · 오권분립 · 입법원 · 행정원( 조직) · 사법원 · 헌법( 중화민국 임시약법 · 동원감란시기임시조관) · 정당( 범람연맹 · 범록연맹) · 총통( 총통부 · 대총통선거법 · 수정대총통선거법 · 총통 전용기) · 행정구역( 성 · 미수복지구) · 행정조직 · 정부총통선거 · 총선 · 지방선거 · 국민대회 | |
국가원수 | 쑨원 · 위안스카이 · 쉬스창 · 차오쿤 · 돤치루이 · 왕징웨이 · 탄옌카이 · 장제스 · 린썬 · 옌자간 · 장징궈 · 리덩후이 · 천수이볜 · 마잉주 · 차이잉원 · 라이칭더 | |
국가원수( 명단) · 총통( 명단) | ||
기타 정치인 | 옌시산 · 성스차이 · 우페이푸 · 리위안훙 · 장쭤린 · 후웨이더 · 옌후이칭 · 두시구이 · 구웨이쥔 · 펑위샹 · 마부팡 · 마훙빈 · 위유런 · 탕성즈 · 마훙쿠이 · 리쭝런 · 바이충시 · 룽윈 · 장쉐량 · 황싱 · 한궈위 · 장치천 · 주리룬 · 허우유이 · 쑹추위 · 커원저 · 쑤전창 · 셰창팅 · 천젠런 · 샤오메이친 | |
부총통 · 행정원장 · 입법원장 · 감찰원장 · 대성지성선사봉사관 | ||
외교 | 외교 전반 · 여권 · 양안관계( 하나의 중국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통일 · 화독 · 대독) · 중화권 · 한국-대만 관계 · 대만-일본 관계 · 미국-대만 관계( 타이완 관계법 · 타이완 동맹 보호법 · 대만 보증법 · 2022년 낸시 펠로시 대만 방문 및 중국 군사훈련 사태) · 한국-대만-일본 관계( 자코타 삼각지대) · 재외공관 | |
감정 | 친화 · 친대 · 반대 · 중화민국빠 · 대만빠 | |
사법 · 치안 | 사법제도 · 경찰 · 국가안전국 · 소방 · 사형제도 | |
군사 전반 | 국방부( 역정서) · 대만군( 육군 · 해군 · 공군 · 국민혁명군) · 계급 · 군복 · 보병장비 · 기갑차량 · 군함 · 항공병기 · 병역법 · 체대역 · 성공령 · 핵개발 · 군벌 |
- [ 역사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역사 || 역사 전반( 민국사 · 대만사) · 대만의 민주화 운동 · 등용제도 · 세금 제도 · 연호 · 역대 국명 · 군벌 · 대외 전쟁 및 분쟁 ||
- [ 사회 · 경제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bgcolor=#fe0000><width=15%> 경제 || 경제 전반 · 재정부 · 경제부 · 중화민국중앙은행 · 신대만 달러 · 대만증권거래소 · 타이베이거래소 · 기업( 메인보드 제조사) · 이동통신사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ECFA ||
교육 교육부 · 대학 목록 · 재대복교 교통 교통 전반 · 대만의 철도 환경 · 교통부 · 중화민국국도( 중산고속공로 · 포모사고속공로) · 타이완 성도 · 공항 목록 · 항공사( 중화항공 · 에바항공 · 스타럭스항공)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THSR · 쯔창하오 · 구간차) · 대만의 시외버스 · 첩운( 타이베이 첩운 · 타오위안 첩운 · 신베이 첩운 · 타이중 첩운 · 가오슝 첩운)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민족 한족 · 본성인( 객가)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아미족 · 아타얄족 · 따오족) · 인도네시아계 대만인 · 일본계 대만인 · 한국계 대만인 화교 화교( 쿨리) · 차이나타운( 인천 차이나타운) · 중국계 한국인( 재한 화교 · 화교협회) · 중국계 미국인 · 중국계 러시아인( 둥간족) · 중국계 브라질인 · 중국계 필리핀인( 상글레이)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 중국계 베트남인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중국계 태국인 · 중국계 호주인 · 중국계 일본인 · 중국계 캐나다인 · 대만계 한국인 · 대만계 미국인 · 대만계 일본인 · 대만계 캐나다인
- [ 문화 ]
-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table color=#373a3c,#ddd><colbgcolor=#fe0000><width=15%> 문화 전반 || 문화 전반 · 영화( 금마장) · 드라마 · TV방송( CTV · CTS · TTV) · 라디오 방송 · 스포츠 · 중국시보 · 빈과일보 · 미술 · 파룬궁 · 등려군 · 거류증 · 중화 타이베이 ||
1. 개요
싱가포르에 거주하는 중국인 혈통의 주민들로 싱가포르 인구의 74%를 차지하고 있다.2. 상세
싱가포르는 원래 말레이 반도 남단의 섬으로 쿨리로 구성된 청나라 남쪽의 당시 광동, 호키엔, 하이난 등 중국 남부 지역, 그리고 홍콩/ 마카오 및 대만 출신 중국인 쿨리로 구성된 이민단이 건너와 개척한 섬이다. 그래서 문화적으로는 출신지인 청나라 남방 광동, 호키엔 및 하이난 지역과 유사하다. 중국계 싱가포르인의 대부분은 광동 동부와 호키엔 출신이 대다수이며 그 외 객가 및 하이난성 출신 하이난인 그리고 1997년 홍콩 반환을 전후로 건너온 홍콩인 및 이웃 마카오인들이다. 특히 정치적 불안을 느끼던 홍콩인들이 대거 건너왔으며 2019년 홍콩 민주화 운동 실패와 홍콩 국가보안법 통과 후 현재도 대거 건너오는 중이다.영국인들은 19세기 이 섬을 개척할 때 말레이 반도에 대규모 식민지를 만들던 중 말레이 반도 중부에서 주석 광산이 대규모로 채굴되었고 수많은 청나라 사람들이 쿨리가 되어 말레이 반도로 건너왔다. 그리고 일부는 농업 노동자로도 왔다. 쿨리들은 최초 페락, 이포, 페낭 등에 정착했고 이후 쿠알라룸푸르를 개간했으며 점차 남쪽으로 영역이 확대되어 조호르바루와 말라카 그리고 더 나아가 현재의 싱가포르에도 건너왔다. 그리고 리콴유의 조상과 같이 바로 싱가포르에 오는 경우도 많았다. 특히 싱가포르는 인구가 희박했던 섬으로 말레이인 어부들이나 거주하던 황무지였던 탓에 청나라 사람들이 어느덧 말레이인보다 인구가 많아졌다. 이는 페낭이나 말라카 같은 타 해협식민지와 같은 과정이었다.
씽공(星港/성항)이라는 광동어에서 차용된 중국식 이름도 이러한 배경으로 붙게 된다. 여기서 성(星)은 1990년대까지 한국 언론에서 싱가포르의 약자로 쓰던 한자다. 1990년대 이전 대만 - 싱가포르 협정에서는 타이싱(臺星) 간 협정이라고 표기하는 경우도 많았다.
참고로 싱가포르의 중국계 중에서 가장 많은 성씨가 陳, 黃, 李, 劉, 林, 吳, 葉 등인데 陳씨는 푸젠식으로는 탄(Tan), 광동식으로는 찬(Chan), 표준중국어로는 첸(Chen)으로 표기된다. 대부분 객가어, 민어, 광동어로 본인의 성을 표시하지만 이름은 표준중국어로도 자주 표기하는데 성씨와 이름을 각각 다른 독음으로 호적에 올릴 수 있어서이다.[1]
3. 문화
중화권의 전통을 지키고 불교, 도교, 유교를 믿는 중국계 싱가포르인과 영어를 사용하고 개신교, 가톨릭을 믿는 중국계 싱가포르인이 공존하고 있다.중국계의 문화는 전술한 것처럼 영국 문화와 중화권의 전통 문화가 공존하는데 특히 이전 세대일수록 중국 전통의 삶의 방식을 고수하고 젊은 세대로 갈수록 서구화되어 있다. 특히 학력이 높은 중국계 싱가포르인일수록 기독교 신자가 되는 경향이 강하다.
결혼식과 장례식 등 관혼상제도 중 국식과 영국식이 섞여 있다. 한 예로 수의를 입힐 때 서양식으로 정장이나 드레스, 원피스를 입히는 등의 습관이 있으며 결혼식의 경우도 젊은 세대는 교회에서의 결혼식이 매우 보편화되어 있다. 결혼식과 장례식부터가 서구화된 셈이다.
패션의 경우 말레이인과 달리 종교적으로 딱히 제약이 없는데다 서구화된 영향으로 서구화된 패션 센스를 보인다. 더운 기후 때문에 여자들은 민소매 옷을 많이 입지만 탱크탑 같은 옷은 찾기 힘들다. 대신 레깅스는 흔하다.[2]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정체성은 중국인(Chinese)이 아닌 싱가포르인(Singaporean)에 두며 아래 링크에 나와있듯 중국인이라 불리는 것을 좋아하지 않는다. #. 중국본토는 켜녕 대만이나 홍콩과도 철저히 선을 긋는다.[3] 특히 밀레니얼세대~Gen Z에 해당하는 젊은 층은 더욱 그렇다. 이는 중국계 말레이시아인들과도 같은 점이다.[4]
4. 언어
이들의 모어는 광동어, 민어, 객가어지만 쓰는 말은 싱가포르 영어 + 표준 중국어이다. 실제로는 영어를 표준 중국어에 비해 많이 쓴다. 표준 중국어를 제외한 언어는 방송 송출에도 제약이 있어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듣기 힘들며 가정에서 사용된다. 그래서 이들은 표준 중국어로 된 대만 영화, 대만 드라마, 대중가요를 소비하고 광동어 사용권에서 제작된 홍콩 영화나 드라마, 대중 가요 등은 표준 중국어로 된 대만판을 수입해서 이용한다.같은 중국계 싱가포르인이라고 하더라도 출신 고향과 방언이 다른 경우 집에서 부부가 서로 표준 중국어+ 영어로 대화하고 밖에선 영어를 쓰며 이런 경우 자녀들도 모어로 영어 및 부모 양가의 방언들을 사용한다. 그러나 이렇게 자란 아이들도 학교 교육에서 표준 중국어, 영어를 접한다. 이렇게 자란 사람들은 본인들 가정에서 영어를 쓴다고 설문조사에 응답한다.
3개 인종 및 민족, 4개 언어가 나뉜 싱가포르는 학교에서 각 민족 별로 각자 모국어 습득을 위해 언어 수업을 나누며 이 때에 중국계는 한자를 학습하고, 표준 중국어를 배운다.[5]
싱가포르에서 한자는 법적으로는 간체자를 쓰지만 실제로는 정체자도 쓴다. 중국어 신문지 및 인터넷판 등 언론 보도내용, 신생아 명명 등에서 정체자에 대한 제한은 없다. 리셴룽 총리도 정체자로 본인 이름을 등록했다. 인터넷판 중문 신문도 정체자로 쓰인 것들이 있고 대만이나 홍콩에서 도서를 수입하기도 한다. 단지 젊은 세대는 주로 입말로만 중국어를 해서 한자 실력이 낮다.
영어와 중국어를 제외하면 말레이어, 타밀어를 학교에서 배우는데 캐나다의 사례처럼 영어가 제1언어인 상황[6]이나 뉴질랜드에서의 마오리어의 입지와 비슷한 상황으로, 말레이어, 타밀어는 사실상 제2외국어로 공부하는 것이다.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중국어 구사 능력은 대략 한국계 미국인, 한국계 캐나다인의 미주 한인어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물론 표준 중국어가 공용어인 싱가포르다보니 사용 빈도는 많지만 대부분 영어가 더 편하다고 느끼는 경우가 많다. 물론 중국인, 대만인과 표준 중국어로 대화는 가능하지만 영어를 섞어 쓴다. 싱가포르의 유치원들은 중국계 어린이들에게 영-중 이중언어 교육을 시키며 1990년대와 2000년대 중국의 급성장, 대만과의 교류 등으로 중국어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중국어 교육이 강화되어서 어린 세대로 갈수록 오히려 중국어 구사능력이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
오히려 중노년 세대 중 교육 좀 받은 사람들이 영어만 구사할 줄 알고 표준 중국어를 모르는 경우도 있는데 전 수상이던 고촉통이 이런 경우다. 리콴유의 경우 원래 영어, 객가어만 할 줄 알았으나 나중에 중화권 국가들과의 관계를 고려, 표준 중국어를 늦게나마 배웠고 그 아들인 리센룽 총리는 영어와 표준 중국어를 모두 원어민 수준으로 구사 가능하다.[7]
그리고 학교에서 헌법 상 국어인 말레이어 교육이 이뤄지는 덕에 중국계 젊은 층은 말레이어 구사가 가능한 경우가 있다. 간단한 말 정도는 다들 안다. 원어민 수준은 아니지만 꽤 능숙하게 하는 사람도 많다.
특히 공직자와 군인, 경찰공무원/ 소방공무원 등 공무 종사자들이나 공항, 항만 근무자, 싱가포르항공 승무원들과 같은 경우 말레이어를 필수로 구사해야 하며 말레이시아와 브루나이, 인도네시아에서 싱가포르에 여행와서 아쉬운 걸 말레이어로 많이 해결한다.
5. 종교
중국계 싱가포르인들의 종교 분포는 불교, 도교, 기독교[8]로 구성되며 그 외 10%는 무신론자 내진 무종교로 간주된다. 한국이나 홍콩의 종교 구성과 비슷하다. 특히 여기서 고학력자, 화이트 칼라 계층의 중국계 사이에서 기독교가 주류 종교인 것은 홍콩하고 똑같다. #중국계 정치인 중에서 대통령을 지냈던 토니 탄(陳慶炎, Tony Tan)은 성공회 신자였다. 반면 그 전의 총리였던 고촉통(吳昨東, Goh Chok Tong)의 경우는 불교 신자였다. 리콴유는 무종교인이으나 적극적인 무신론은 공산주의와 연관이 있다고 하여 경계하였다.
젊은 세대의 경우 기독교 신자들도 늘고 있는데 사립학교들 중 많은 숫자가 성공회, 루터교, 침례교, 감리교, 장로교 등 개신교와 가톨릭 재단인 덕이다.
무종교인의 경우 그 비중이 한국, 홍콩보다는 낮은 편이지만 전체 인구의 상당수인 20% 정도가 있는 점은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 비슷하다. 말레이 사회는 전통적으로 무신론을 좋게 안 봐서 뭐든 믿을 것을 권유하기에 무신론은 잘 없고 종교를 특정하지 않거나 느슨하게나마 종교를 믿는 것에 가깝다.
반면 말레이인은 100% 무슬림이고 인도계 싱가포르인은 80%가 힌두교를 믿고 10% 이상의 상당수 무슬림이 공존해 대조된다. 그 외엔 포르투갈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가톨릭과 개신교 신자들 내진 포르투갈인 혈통이 섞인 크리스탕이나 사도 토마스 교회 등에 소속된 타밀 기독교인들이 5% 정도 있다. 물론 타밀인의 인구 비중 상 이쪽은 소수로 교회에서 한두 명 정도 보인다.[9]
싱가포르 중국계 교회는 영어 + 표준 중국어 예배가 우선이며 그 뒤 시간대에 따라 민어, 인도네시아 화교들을 위한 말레이어, 한인교회는 한국어 예배가 진행된다. 홍콩과 달리 광동어는 세력이 약해 따로 예배를 제공하진 않고 대신 홍콩인 기독교인 이민자들을 위한 정체자 자막을 제공한다.[10]
중국계 기독교인은 대부분은 개신교 신자들로 시티 하베스트 교회는 동남아시아 최대이자 아시아 제 2규모[11]의 교회이다. 그리고 최대 교파는 성공회로 동남아시아를 총괄하는 성공회 본부가 싱가포르에 있다.
한인교회나 아르메니아 사도 교회, 사도 토마스 교회, 타밀인 교회 등 일부를 제외하면 이 나라 교회는 전부 중국계 교회이며 영어와 표준 중국어 예배/미사를 모두 제공한다.
회족계 주민들은 말레이인 혈통의 싱가포르인 및 일부 인도계 싱가포르인처럼 무슬림이다. 그렇다 보니 중국계 싱가포르인 대다수 및 무슬림 싱가포르인 대다수[12]와 모두 구별되는 정체성을 가지고 있다. 그나마 회족들은 극소수에 불과하여 존재감이 없다.
6. 유명인
- 공리: 중국 대륙 출신으로 중국 국가대표급 배우로 손꼽혔으나 중국계 싱가포르인 자본가인 황허샹과의 혼인으로 싱가포르 국적을 얻었다. 이 때 중국에서 조국을 버렸다며 말이 많았다.[13][14] 사실 중국 여권은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러시아 국적자들과 함께 국력에 반비례하여 해외 출입국이 어려워 활동 상 편의를 위해 최소한 홍콩특별행정구 영주권을 취득해 홍콩 여권을 얻는 중국 연예인이 많다. 미국만 해도 중국본토인에게 비자조차 잘 안 준다. 올해 60세의 나이지만 미모가 여전해서 장만옥, 임청하, 진혜림 등 50대 및 60대에 진입한 타 중화권 여자 연예인과 함께 중년 미인으로 호평이 높다.
- 콩히(康希, Kong Hee): 동남아시아 최대규모 초교파 개신교 대형교회인 시티하베스트 교회(City Harvest Church) 전 담임목사로 셀교회 시스템으로 동남아시아 일대에 부흥을 일으키고 한국에도 방문하는 등 센세이션을 일으키다가 전횡으로 몰락[15]했다가 2019년 만기 출소로 복귀했으며 현재는 조용히 지내고 있다. 동남아시아의 조용기에 비유할 수 있다. 말 그대로 부흥과 몰락의 행적이 판박이다. 대다수 싱가포르 그리스도인들은 이 인물을 매우 좋지 않게 본다. 신학적인 면과 도덕적인 면에서 둘 다 말이다.[16]
- 로렌스 콩(鄺健雄, Lawrance Khong): 위의 콩히와는 다른 인물로 역시 목사다. 화교에 남자 목사라는 점 빼면 아무 관계가 없으며 애초 두 사람의 성씨는 아예 한자부터 다르다.[17] 또 다른 대형교회 FCBC(坚信浸信教会)[18]를 이끌고 있고 동성애 반대 운동, 낙태 반대 운동 등 개신교 근본주의 운동을 하는 사람이다. 한국에선 마술사 목사로 유명하다.[19]
- 소 차이안: 싱가포르 성공회 신부. 싱가포르 성공회 성직자로 선교회 소속이다. 이 인물이 아시아 전체 성공회를 총괄하는 무거운 책임을 진다. [20] 이 사람 말고도 동남아시아 네임드 목사들은 전원 싱가포르 화교들인데 동남아시아에 네임드 목사가 배출될 만한 개신교 교세를 가진 나라가 거의 없기 때문이다.[21]
- 리셴룽: 리콴유의 아들로 싱가포르 3대 총리이다. 아버지가 펼치던 다소 억압적인 여러 정책들을 현대적으로 완화하는 개혁 성향이 강한 인물이며 아버지 리콴유는 몰라도 이 사람부터는 독재자로 보지 않는다. 인상부터 부드럽다. 코로나 백신 최초 접종 당시이던 2020년 12월엔 총리인 본인이 손수 모범을 보여 백신 1호 접종자가 되었다. 이것이 싱가포르의 아시아 최초 위드 코로나를 가능케 한 원동력이 되었다. 여담으로 동성애 처벌법 역시 2022년 8월에 폐지했다.
- 고촉통: 전 총리로 리센룽 전 총리의 전임자다. 대만의 옌자간처럼 바지사장이라고 봐도 된다. 그래도 미국인 불량 청소년 마이클 페이에게 과감히 태형을 집행할 당시 리콴유와 함께 미국 정부에 단호한 법집행 의지를 보였다.
- 이연걸: 영화배우로 원래 중국 대륙 베이징 출신이다. 이 사람도 활동 편의를 위해 싱가포르로 귀화한 케이스이다. 주로 홍콩 액션 영화에 주인공으로 출연한다. 한국에선 황비홍 시리즈에서 멋있는 변발로 임팩트를 보여줘서 기성세대에게는 인지도가 높으나 10-20대 어린 세대는 모르는 사람도 있다.[23]
- 나타샤 로우: 한국 연예계에서 활동하던 싱가포르 화교 가수이다. 싱가포르는 엔터테인먼트 시장이 작아서 한국, 홍콩, 대만,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등에서 연예인들이 활동하며 반대로 중국계 말레이시아인 연예인들이 싱가포르에서 활동하는 경우도 많다. 2019년 이후 싱가포르로 되돌아왔으며 한국 생활은 이미 정리했고 광고 등도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서만 나온다.
- 헹스위킷: 싱가포르 부총리
- 로렌스 웡: 싱가포르 4대 총리.
- yeule: 싱가포르의 가수
- Sakimichan: 일러스트레이터 작가, 원래 국적은 싱가포르였으나 현재는 국적이 캐나다다.
- 새니스 고(Shanice Koh): 1995년생 싱가포르 여성 모델 겸 배우다 인스타그램. 한국에는 안 알려졌지만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선 꽤나 이름있다. 영어와 표준중국어를 구사하는 이중언어 화자로 개신교 신자이며 신앙심이 독실해서 항상 자신의 인스타그램에 신앙심(Faith)을 강조한다.[24] 미디어코프에서 제작하는 교육용 재연드라마인 크라임워치(Crimewatch) 등 각종 영어/중국어 채널 프로그램에 출연하는데 해가 바뀔수록 앳된 외모가 점점 성숙해져 가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실 그녀의 외모 자체가 나이에 비해 좀 어려보이기는 하다. 남방 혈통 탓에 한국인들이 좋아할 만한 미인상은 아니다. 최근에는 대만에서도 자주 활동하는 편이다.
-
일레인 웡(Elaine Wong/黄苑玲): 한국에서 활동하는 모델, 방송인이다. 전술했듯 싱가포르는 자체 엔터테인먼트 시장이 없어 연예인을 하고 싶으면 한국, 중국, 대만, 홍콩, 말레이시아 등으로 간다. 2022년 기준 한국에 10년 가까이 거주했으며, 과거 아이돌 연습생으로 지내기도 했다.
대한외국인 등에 출연했다.
인스타 링크
- 조이스 궈(Joyce Guo Mei Mei/郭美美): 1982년생 싱가포르 출신 대만 가수로 싱가포르인이지만 자국의 엔터테인먼트 시장이 작은 탓에 주로 대만에서 활동한다. 푸젠식이나 광동식이 아닌 표준 중국어 독음으로 성씨를 등록했는데 싱가포르 호적법에서는 표준 중국어 독음으로 등록도 허가한다. Dragostea Din Tei의 표준 중국어 리메이크 버전을 부른 적 있다. 중국의 왕홍 궈메이메이와는 동명이인이며 이쪽이 더 나이가 많다. 한국인들도 좋아할 만한 이목구비 뚜렷한 미인형으로 얼굴이 귀엽다는 호평이 많다. 중국어 위키백과 항목
- 재스민 소코(Jasmine Wong Chu Qing)
- 헤이즐 테오(Hazzllle Teo): 미디어코프 라디오 DJ. #. 영어와 표준 중국어, 민남어의 3개 언어의 다중 원어민이다. 미디어코프 라디오의 영어 프로인 YES 995[25] 진행을 담당하며 TV에도 자주 나온다. 싱글리시와 거리가 먼 영국식 영어에 아주 가까운 억양을 구사하며 표준 중국어도 중국인 및 대만인이 들어도 어색하지 않다. 이목구비가 뚜렷해서 약간 AOA의 전 멤버였던 신지민과 닮았다.
7. 관련 항목
[1]
30대 및 40대 이하 젊은 세대로 갈수록 이렇게 표기가 섞인 경우도 많고 아예 영어 이름을 본명으로 갖고 있는 경우도 늘게 된다.
[2]
여성들의 경우
스포츠 브라 및 심리스 팬티 등 더운 기후 속에서 착용이 편안한 속옷이 대세다.
[3]
중국인 헬리콥터(Chinese helicopter)라는 속어가 있는데
영어를 못 하고
중국어만 하는 사람을 놀리는 속어다. 원래 화교학교를 다녀 영어가 어눌한 사람을 놀리던 말인데
1980년대 이후 싱가포르 공교육 및 정부기관 언어가
영어로 통일되면서 이런 사람들이 노인 일부만 빼면 사라지자 현재는 영어를 안 배우고 버티는
중국인 이민자들을 깔 때 사용하는 말이 되었다.
[4]
그래서 두 집단 모두
동아시아인 혈통이지만 자세히 들여보면 동북아권과는 사람들의 양상이 크게 다르다. 인감도장 문화가 없고 서명이 그 역할을 대체하는 것도 그렇고 통성명도 영어 이름으로만 한다. 중국식 성명은 집에서 가족들끼리나 부르며 가족이 아닌 사람이 중국식 성명을 함부로 부르는 건 실례다. 프라이버시 등의 영미식 문화는 그 외에도 동북아권과 달리 여러 분야에서 철저히 자리잡고 있는지라 이들은 스스로를 겉은 노랗고 속은 하얀
바나나에 비유할 정도다.
[5]
똑같이
말레이인 어린이/청소년들은
말레이어,
인도계 싱가포르인 어린이/청소년들은
타밀어를 배운다. 말레이인이나 무슬림 인도계 중 이슬람 학교에 다니는 경우
아랍어,
아랍 문자를 배우기도 한다.
[6]
퀘벡,
뉴브런즈윅,
온타리오 내
프랑스어 사용 지역 제외.
[7]
당장
리콴유 총리와 과걱추 여사가
리셴룽 등 자식들을
중국어 사용 학교에 보내고 집이나 일상 생활에서
영어를 쓰게 했다.
[8]
개신교와
가톨릭이며
개신교가 이 중 비중이 높다.
[9]
리틀 인디아에 이들만 따로 모이는 타밀인 교회가 두 곳 존재한다. 한 곳은 가톨릭이고 한 곳은 감리교이다.
[10]
둘 다 동시에 제공되기도 하고 영어 예배에 표준중국어 통역을 하거나 반대로 하는 경우도 많다. 교회 이름에 중국계(Chinese/中華)가 붙으면 표준중국어 예배를 우선시하고 그 외엔 영어 예배가 우선이다.
[11]
아시아 최대는 우리가 잘 아는
여의도 순복음교회이다.
[12]
말레이계 및 일부
인도계 싱가포르인
[13]
원래는
중국 대륙 출신으로 중국본토와 홍콩 영화에 자주 출연했다.
2008년 싱가포르로 귀화했다. 미인형 얼굴에 글래머라서 예전부터 팬이 많았다.
[14]
자오웨이를 둘러싸고도 똑같은 소리가 나와서 자오웨이가 빡쳐서 본인의
중국 여권을 인증하며 자신은
미국에 가기도 힘들다고 울먹이기도 했다.
[15]
사모인 호 선(Ho Sun)의 가수 활동인 하이브리드 사역 지원을 위해 유령회사를 세워 헌금을 유용하다
탐오조사국에 걸려 실형을 선고 받아 담임목사직을 박탈당했다. 하이브리드 사역은 기독교가 소멸 위기인 서양에 대중문화를 통해 재접근한다는 아이디어로 뜻은 좋았으나 과정이 불투명하고 이렇다 할 성과가 없어 문제였다.
[16]
참고로 동남아시아 조용기라는 별명에 걸맞게 조용기 목사가 생전에 양아들이라며 아끼던 사람으로 출소 후에도 방한해서
여의도순복음교회 산하
기도원에서 예배 시간에 설교하기도 하고 친분이 있는 이영훈 담임목사와도 만나고 갔다. 현재는 거의 중국계 개신교인 사회에서
금지어가 되어버렸다.
[17]
자세히 보면 성씨의 영문 표기도 둘이 서로 다르다. 한국에서 조씨가 趙/曺 등으로 한자가 서로 다르고 영문 표기도 Jo/ Cho로 다른 것과 똑같다.
[18]
싱가포르 동부 카통(Katong) 지역에 위치한다. 카통은 시내의
차이나타운보다도 더 오래된 중국인 정착지로 출발한 곳이다.
[19]
사실 이 사람 말고도 유교 문화와 기독교가 융합된 중국계 싱가포르인 기독교인 사회에선 이러한 극도의 사회문화적 보수성이 뚜렷하다. 새로 입교하는 젊은 세대(10대 및 20대)
기독교인들은 좀 덜해 중도화되고 있긴 하지만 아직까지 대형교회와 네임드 목사들이 굳건한 편이다. 입 밖에 안 낼 뿐이지 이러한 근본주의에 동조하는 중국계 기독교인들은 심지어
가톨릭 신자 중에서도 얼마든지 많다.
[20]
비슷하게
홍콩의 성공회 총대주교는
동아시아 전체 즉
한국,
중국,
일본,
대만을 모두 책임진다. 그 이유는 아시아의 성공회 인구가 매우 적어서 그나마 구 영국령에 신자가 많아서이다. 그래서 홍콩 및 호주, 싱가포르 성공회가 선교회를 만들어
동아시아를 비롯해 아시아 각 국에 성공회를 포교하려 하고 있다.
[21]
동남아시아의 둘뿐인 기독교 국가로서
스페인의 오랜 통치로 인해 기독교 신자가 인구의 80%인
필리핀,
포르투갈의 오랜 통치로 인해 기독교 신자가 인구의 99%인
동티모르 모두
가톨릭이 주류다. 필리핀과 동티모르의 네임드 가톨릭 사제는 여럿 나왔다.
[22]
토니는 성 안토니우스의 영어식 이름에서 왔다. 그러나 토니라는 이름을 쓴다고 다 기독교인인 것은 아니며 일례로
양조위의 경우 불교 신자이다. 한국인들도 불교 신자이거나 무종교인이라도 생각없이 영어식 성명을 토니나 앤드류 등 세례명에서 유래한 이름을 쓰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크리스(크리스토퍼), 안나, 조슈아(여호수아), 에스더 등은 성공회의 세례명으로 확실하게 기독교인이 맞다. 남자는 라파엘, 여자는 루시아라는 이름을 쓰는 사람도 많은데 이거는
가톨릭 세례명이다.
[23]
반면
이소룡,
성룡,
견자단,
주윤발 등은 3040세대인
1980년대생들은 당연히 알고 그 뒤의
1990년대생도 다들 알며 심지어 현재 10대 및 20대인
2000년대생들도 안다. 부모 세대와 어린 자녀 세대가 모두 알 정도의 인지도 높은 사람이 주윤발이다.
[24]
그녀의 성씨 고(Goh)는 오(吳)씨를
호키엔 방언 식으로 표기한 것으로 한국의
오씨와
한자가 같고
고씨와는 관련이 없다.
푸젠성 쪽 독음은
일본어 한자 음독에도 많은 영향을 끼친 편이다.
[25]
싱가포르에서
그랩으로 택시를 타고 갈 때나 식당 등에서 지겹도록 들을 수 있는 영어 라디오 방송으로
영미권을 위주로 노래가 송출된다.
한류 열풍에 힘입어 KPOP도 자주 틀어주는데
2010년대와
2020년대는 물론
1990년대~
2000년대의 옛날 노래도 자주 틀어주고는 한다.
[26]
이들 중 상당수는
중국계 베트남인이다.
보트피플 상당수가
화교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