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1-25 14:09:46

부수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부수/중국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파일:external/koreanwikiproject.com/%E6%BC%A2.pn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한자 사전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한한대사전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1. 개요2. 설명3. 헷갈리기 쉬운 부수4. 목록
4.1. 1획4.2. 2획4.3. 3획4.4. 4획4.5. 5획4.6. 6획4.7. 7획4.8. 8획4.9. 9획4.10. 10획4.11. 11획4.12. 12획4.13. 13획4.14. 14획4.15. 15획4.16. 16획4.17. 17획

[clearfix]

1. 개요

부수()는 사전에서 한자 배열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각 글자마다 구성 요소를 추출해 그 중에서 뜻에 해당하는 부분이 비슷한 것을 모아 공통되는 뜻 부분이 있는 모습을 색인에 내어 부수로 삼는다.

2. 설명

부수는 시대나 자전에 따라 달라졌는데 현재 가장 많이 쓰는 것은 강희자전 방식이다. 한국의 자전과 대만의 중국어 사전에서는 모두 이 방식을 변형 없이 그대로 사용한다. 일본 역시 강희자전식 부수를 많이 쓰지만 신자체에 맞게 약간 변형을 하기도 하며[1], 간체자를 쓰는 중국 대륙은 한자의 형태가 너무 많이 바뀌어서 강희자전식에서 상당히 변형하여 사용한다. 부수/중국에 간체용 부수가 나와 있다.

유니코드에서는 U+2F00 ~ U+2FDF 영역에 배당되어 있다.

자전에서는 총 획수가 적은 한자의 경우나 뜻 부분의 추출이 곤란한 경우는 모습이 유사한 부수에 편의상 일괄하는 일이 있다. (ex. : 부 0획[2])

부수는 위치에 따라 다음과 같이 나뉜다.
위치 설명 예시
부수가 글자 왼쪽에 있음 休(人), 話(言)
부수가 글자 오른쪽에 있음 劍(刀), 獻(犬)
머리 부수가 글자 위에 있음 符(竹), 花(艸)
부수가 글자 아래에 있음 熱(火), 恩(心)
부수가 왼쪽 위 혹은 오른쪽 위를 감쌈 廣(广), 氣(气)
받침 부수가 왼쪽 아래 혹은 오른쪽 아래를 감쌈 道(辵), 颱(風), 越(走), 建(廴)
부수가 전체를 감쌈 圍(囗), 問(門), 區(匚), 凶(凵), 街(行), 衰(衣)
제부수 글자 자체가 부수인 것 一, 至, 龍
기타 부수가 어떤 형태로 위치했는지 도무지 알 수가 없는 것

부수의 배열은 주로 획수 순이고, 획수가 같은 부수는 배열 순서가 따로 정해놓았다. 현재 유니코드는 한자를 포함하는 각 영역 안에서 한자 배열을 부수→획수 순서대로 하였다. 강희자전 방식 부수는 모두 214개[3]이며, 순서는 정해져 있다.

1획에서 5획까지는 그렇지만 6획부터 17획까지는 정자(正字)와 헷갈릴 만한 글자 때문에 특히 한자검정시험에서 부수를 써보라는 문제에서 가장 난감해지기도 한다. 특히 푸를 청(靑), 용 룡(龍), 보리 맥(麥), 사슴 록(鹿), 삼 마(麻), 북 고(鼓), 쥐 서(鼠), 코 비(鼻), 이 치(齒), 피리 약(龠) 등 글자들은 대부분이 부수가 따로 달린 글자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이들 모두 부수자 중 하나이다. 다닐 행(行) 또한 얼핏 보면 彳부 3획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게 아니라 行 자체가 통째로 부수이며[4] 行의 가운데 부분에 다른 글자가 삽입되는 식으로 쓰인다. 이는 한자가 상형문자에서 예서로 간략화되는 과정에서 일종의 수렴진화를 겪으며 거짓짝 신세가 돼버린 것이다.

부수를 제외한 부분이 같으면 대부분 같은 한자로 본다. 대표적인 예시로 -(봉우리 봉), -(부끄러울 참)[5], -(바둑 기), -(옆구리, 으를 협)[6], -(속 리)[7], -(옷 치렁거릴 배)[8], -(거울 감), -(이웃 린)[9] 등이 있다. 하지만 (주울 습)-(잡을 나), (바쁠 망)-(잊을 망), (도리깨 가)-(시렁 가), (강 강)-(수은 홍), (무늬 문)-(얽힐 문) 등의 예외도 많으며, (배 댈 박)-(샘 천), (여러 루)-(가늘 세) 등 부수를 제외한 부분이 수렴진화로 모양이 같아진 예도 있다.

영어로는 radical 또는 indexing component라고 쓴다.

3. 헷갈리기 쉬운 부수

회의자는 구성 요소들이 비교적 동등한 지위로 결합한 글자이기 때문에, 그 요소들 중 어느 것이 부수인지 헷갈리기 쉽다. 일례로 서로 상(相)은 나무 목부일까 눈 목부일까? 답은 눈 목부. 최신 옥편에서는 이렇게 부수를 헷갈리기 쉬운 글자들을 찾기 쉽게 하기 위해, 부수로 생각될만한 쪽에 다 수록해놓고 뜻풀이는 진짜 부수인 쪽에서 찾도록 알려준다. 이를테면 서로 상을 눈 목부에 넣어두되 나무 목부 5획에서도 수록은 하고 뜻풀이는 눈 목부 4획에서 찾도록 알려주는 식이다.

형성자의 경우에도 이런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의부(뜻을 담고 있는 한자)와 성부(음을 담고 있는 한자)로 이루어진 형성자는 대개 의부 쪽이 부수지만 예외로 성부 쪽이 부수인 경우도 가끔 있다. 일례로 술 주(酒)는 삼수변 쪽이 의부고 닭 유 쪽이 성부니 물 수부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답은 닭 유부. 이렇게 된 데는 뭔가 사정이 있는데 원래 닭 유(酉)는 술단지를 형상화한 글자였는데 나중에 십이지 중 하나인 닭의 뜻으로 쓰이게 되자 원래의 뜻을 살려내기 위해 기존의 酉에 삼수변을 붙인 글자를 추가했기 때문.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최신 옥편에서는 술 주를 닭 유부에 넣어두되 물 수부 7획에서도 수록은 하고 뜻풀이는 닭 유부 3획에서 찾도록 알려주는 식으로 하고 있다. 윤달 윤(閏)도 이런 경우인데 술 주와는 사정이 좀 다르다. 원래 부수가 540자가 있었던 설문해자에서는 구슬 옥(玉)과 별도로 임금 왕(王) 부수가 존재해서 거기에 속했지만 강희자전에서는 부수 체계를 214자 체계로 개편하면서 해체된 부수에 속했던 글자들을 다른 부수로 이동시켰는데 윤달 윤 또한 임금 왕부를 해체하면서 문 문(門)부로 이동시켰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형이 확립되는 과정에서 구성 요소들 중 부수가 될 만한 부분을 상실하거나, 구성 요소들 중에 부수가 되는 부분이 없는 글자들이 있다. 예를 들어, 잡을 집(執)은 다행 행(幸)과 쥘 극(丮)[10]의 회의자로 설문해자에서는 다행 행 부수에 속했지만 강희자전에서는 앞의 윤달 윤(閏) 부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너무 많은 부수들을 정리하는 과정에서 다행 행부를 해체했기 때문에 갈 데가 없어져버렸다. 다행 행은 비슷한 모양인 매울 신()이 아닌 아래쪽 부분 방패 간(干)부로 갔는데, 이 글자는 방패 간부가 아니라 엉뚱하게도 다행 행의 위쪽인 흙 토(土)부로 들어가버렸다. 이런 건 그냥 겪어보고 외울 수밖에 없다. 갚을 보(報)도 마찬가지로 방패 간부가 아닌 흙 토부에 있다. 까마귀 오()도 새 조() 부수에 속해야 할 듯하지만, 鳥부 -1획이라고 쓰기 뭣하기 때문에 똑같이 사실상 -1획인 , 은? 관련성이 적은 불 화(火)부에 있다. 마칠 료() 역시 아들 자()부 -1획 대신 갈고리 궐()부 1획이 되었다. 모 방() 부수에 속하는 한자는 대부분 깃발과 관련되어 있는데, 원래 깃발 나부낄 언(㫃) 부수에 속한 한자들이 모 방 부수로 흡수되었기 때문이다.

4. 목록

#!wiki style="margin:5px -10px -5px;
'''[[강희자전]]의 [[부수]] 목록'''
{{{#!wiki style="margin:3px -10px -3px; min-height:1.5em;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folding  [  214 부수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  위치별 주요 부수  ]
||<:><table align=center>
파일:chineseleft.png <colbgcolor=#fff,#1f2023> · · · · · · · · · · · · · · 月/⺼ · · · · · · ⻞/飠 · · · · · · · ⺬/礻 · · · · · · · · · · · · · · ·
파일:chineseright.png · · · · · · · · · · · · · · · · ·
머리 파일:chinesetop.png ⺿/艹 · · · · · 𠆢 · 爫/⺥ · · · · ·
파일:chinesebottom.png · · · · · · · · · · · · ·
받침 파일:chinesepartialsur2.png ⻍/⻌ · · · ·
파일:chinesepartialsur1.png 广 · · · · · · 파일:chinesepartialsur3.png <colbgcolor=#fff,#1f2023> ·
파일:chinesesurrounding.png 파일:chinesepartialsur5.png ·
파일:chinesepartialsur6.png 파일:chinesepartialsur7.png
그외 파일:chinesebetween.png {{{#!wiki style="margin:-16px -11px" 파일:chinesetopbottom.png }}} 파일:chineseleftright.png
[  수록자 보기  ]
||1획
<colbgcolor=#fff,#1f2023>1 2 3 4 丿 5 (乚) 6
2획 7 8 9 (𠆢, 亻) 10 11 12 13 14 15 16 17 18 (刂) 19 20 21 22 23 24 25 26 (㔾) 27 28 29
3획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孑) 40 41 42 43 (尣) 44 45 46 47 (川) 48 49 50 51 52 53 广 54 55 56 57 58 (彑, ⺕) 59 60
4획 61 (忄, ⺗) 62 63 64 (扌) 65 66 (攵) 67 68 69 70 71 (旡) 72 73 74 75 76 77 78 (歺) 79 80 81 82 83 84 85 (氵, 氺) 86 (灬) 87 (爫, ⺥) 88 89 90 (丬) 91 92 93 (牜) 94 (犭)
5획 95 96 (王) 97 98 99 100 101 102 103 (⺪) 104 105 106 107 108 109 (罒) 110 111 112 113 (⺬, 礻) 114 115 116 117
6획 118 (⺮) 119 120 (糹) 121 122 (罒, 罓, 㓁) 123 (⺶, ⺷) 124 125 (耂) 126 127 128 129 130 (月, ⺝) 131 132 133 134 (𦥑) 135 136 137 138 139 140 (⺿, 艹, 䒑) 141 142 143 144 145 (衤) 146 (覀)
7획 147 148 149 (訁)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𧾷) 158 159 160 161 162 (⻍, ⻌) 163 (⻏) 164 165 166
8획 167 (釒) 168 169 170 (⻖) 171 172 173 (⻗) 174 175
9획 176 177 178 179 180 181 182 183 184 (𩙿, 飠) 185 186
10획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1획 195 196 197 198 鹿 199 200
12획 201 202 203 204 15획 <colbgcolor=#fff,#1f2023>211
13획 205 206 207 208 16획 212 213
14획 209 210 17획 214
참고문서 : 부수 · 한자/목록/부수별 · 강희자전
}}}||

4.1. 1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 제부수 , , , , , , ,
2 뚫을 제부수 , 가운데 뚫는 획은 나중에 쓴다.
3 제부수 , , 왼쪽 위에서 오른쪽 밑을 향하게 찍는다.
4 丿 삐침 제부수 , , , , 이 부수인 한자가 무엇인지 감잡기가
조금 어렵다, 乖나 乎의 경우 다른 부수로 오해할
가능성도 있기도 한데, 이 부수인 게 적긴 한 게 위안이 되긴 하다.
위가 乘처럼 되어 있으면 대부분 이 부수며,
갈 곳 없는 한자들이 모인 곳이라 봐도 좋다.
5 (乚) 발,제부수(乙)/방(乚) 乽, , , , , 이게 받침인 음역자가 매우 많다. 모양 자체도 ㄹ을 닮았고, '을'의 종성인 ㄹ 발음을 딴 것이기 때문.
중국에서는 乛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6 갈고리 제부수 , , 중국에서는 丨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4.2. 2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7 머리, 몸, 변, 발 , , , , 중국에서는 一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8 돼지해머리 머리 , , , , (해)의 머리 부분
9 ( 𠆢, ) 사람 머리, 변(亻) , , , ,
10 어진사람 , , , ,
11 제부수 , , 중국에서는 人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12 여덟 머리, 발 , , , ,
13 , , ,
14 민갓머리 덮을 머리 ,
15 이수변 얼음 변, 발[11] , , ,
16 책상 방, 발 ,
17 튼입구몸 입벌릴 , , , ,
18 () (선칼도방) 방(대체로 刂), 발 , , , , , , ,
19 방, 발 , , , ,
20 [12] , , , , 등은 이 부수가 아니다.
21 비수 , ,
22 튼입구몸
(터진입구몸)
상자 , ,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23 감출혜몸
(터진에운담)
감출 , ,
24 제부수, 머리, 변, 발 , , , ,
25 제부수, 머리, 방 , ,
26 () 병부 방, 발(㔾) , , , ,
27 민엄호 기슭 , ,
28 마늘모 사사로울 (=) 제부수, 머리, 발 ,
29 방, 발 , , , ,

4.3. 3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30 변, 머리, 발 口, 叩, 哭, 告, 品
31 큰입구몸 에워쌀 回, 固, , , 圖
32 변, 머리, 발 土, 地, 均, 基, 坤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33 선비 제부수, 변, 방, 머리 士, 壬, 壻, 壯, 壽
34 뒤져 올 머리, 발, 받침 夂, 备, 変, 处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35 천천히걸을쇠발 천천히 걸을 夊, 夏, 复
36 저녁 제부수, 변, 방, 발 夕, 多, 外, 夜,
37 제부수, 머리, 발 大, 失, 央, 奇, 奉, 契
38 여자 변, 발 女, 娘, 委, 威,
39 (孑) 아들 (아들자변) 변, 머리, 발 子, 孑, 孓, 孔, 孟, 季, 孺, 學
40 갓머리 머리 宀, 守, 宗, 家, 客
41 마디 방, 발 寸, 封, 專, 對, 導
42 작을 머리, 발 小, 少, 当, 尔
43 절름발이 제부수, 방, 받침 尢, 尤, 就,
44 주검시엄 주검 제부수, 엄 尸, 尺, 局, 尹, 屋, 屬
45 싹날 제부수, 머리, 발 屮, 屰, 㞢, 屯, 㞷
46 변, 머리, 발 山, 岬, , , ,
47 개미허리 제부수 巛, 巜, 巢, 巡, 巠 같은 부수로 본다.
川, 州
48 장인 제부수, 변, 발 工, 巨, 巧, 左, 差
49 제부수, 머리, 발 己, 已, 巳, 巴, 巽, 巷
50 수건 변, 발 巾, 帽, 常, 席, 帆
51 방패 제부수, 발 干, 年, 幷, 平, 幸, 幹
52 작을 제부수, 변 幺, 幾, 幽, 幼, 幻
53 广 엄호 广, 康, 庫, 廣, 廳
54 민책받침 길게 걸을 받침 廴, 建, 廻, 延 중국에서는 フ 2개를 이어서 2획으로 쓴다.
55 스물입발 廾, 弁, 弄, 弊
56 주살 방, 엄 弋, 弌, 弍, 弎, 式, 弑
57 제부수, 변, 발 弓, 强, 弱, 弔, 張
58 (彑, ⺕) 튼가로왈 돼지(고슴도치) 머리 머리 彖, 彝, 录, 归
59 터럭 彡, 彬, 彰, 影, 彩
60 두인변 조금 걸을 彳,往, 徐, 得, 德

4.4. 4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61 (忄, ⺗) 마음 (심방변, 마음심밑) 변(忄), 발(가끔 ⺗) 心, 志, 感, 恭, 情, 慶
62 방, 엄 戈, 戊, 成, 戟,
63 지게[13] 변, 엄 戶, 所, , 房
64 (扌) (재방변) 제부수, 변(扌), 발 手, , 打, 拜, 擧, 擊
65 지탱할 支, 攲
66 () 등글월문 방(대부분 攵), 발 攴, 敲, 故, 敎, 敬
67 글월 변, 머리, 발 文, 斑, 斕, 斉, 斐
68 방, 머리, 발 斗, 料, 㪳, 斝
69 도끼 방, 발 斤, 斧, 新, 斷
70 변(주로 㫃의 꼴), 발 方, 旅, 旁, 族, 旗
71 이미기방 없을 [14] 제부수, 방 无, 旡, 旣 같은 부수로 본다.
목멜
72 변, 머리, 발 日, 明, 景, 旬, 晝 중국에서는 같은 부수로 본다.
73 가로되 제부수, 머리, 발 曰, 曲, 曷, 更, 書
74 제부수, 변, 방, 발 月, 有, 㬼, 朞
75 나무 제부수, 변, 머리, 발 木, 東, 樹, 果, 權
76 하품 [15], 歌, 次
77 그칠 제부수, 변, 머리, 발 止, 正, 此, 歲, 歷
78 (歺[16]) 죽을사 살발라낸뼈 제부수, 변 歹, , 殃, 殉
79 갖은등글월문 殳, 殺, 段, 毆, 毅
80 제부수, 발 毋, 毌, 母
81 견줄 머리, 발 比, 毕, 毘
82 방, 발, 받침 毛, 氈, 毫, 毯
83 성씨 제부수, 머리 氏, 民, 氐
84 기운 /빌 [17] 氣, 氛, 氢, 氦…
85 (氵, 氺) (삼수변, 아래물수) 제부수, 변, 머리, 발(일부 氺) 水, 永, 氷, , , 沓, 泉, 求
86 (灬) (연화발) 변, 발(대부분 灬) 火, 然, 炎, 熱, 無,
87 (爫, ⺥) 손톱 (손톱조 머리) 머리(爫, ⺥), 받침 爪, 爲, 爬
88 아비 머리 父, 爸, 爺
89 점괘 제부수 爻, 爽, 爾
90 장수장변 조각 爿, 壯, 牀, 牆 (신자체, 간체자)
91 조각 片, 版, 牌
92 어금니 제부수, 변, 발 牙, 㸦, 㸧, 牚
93 (牜) (소우변) 변, 발 牛, 牟, 物, 牢
94 (犭) ( 개사슴록변) 변(犭), 방, 발 犬, 狀, 狗, , 獄, 獻

4.5. 5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95 검을 玄, 玆, 率
96 () 구슬 제부수, 변(王), 발 玉, 王, 璧, 理
97 오이 방, 몸 瓜, 瓣, 瓢
98 기와 방, 발 瓦, 甁, 瓮 중국에서는 ㄴ을 이어 4획으로 쓴다.
99 변, 머리, 발 甘, 甛, 甚, 甞
100 변, 발 生, 産,
101 제부수, 발 用, 甫, 甩, 甭
102 제부수, 변, 머리, 발 田, 申, 男, 畓, 略
103 (⺪) 변, 방 疋, 疑, 疎
104 질엄 병들어기대누울 疾病, 痛症, , 療
105 필발머리 등질 머리 發, 癸, 登
106 변, 머리, 발 白, 的, 皇, 百
107 가죽 변, 방, 발 皮, 皺, 皰
108 그릇 皿, 盛, 監, 盡, 盧
109 (罒) 머리, 변, 발 目, 相, 眼, 看, 督
110 변, 머리 矛, 矜, 矞
111 화살 변, 발 矢, 短, 矣, 矮
112 변, 발 石, 硬, 碧, 磬
113 (⺬) 보일 (보일시변) 변(⺬), 발 示, , 祈禱, 禁, 示(礻)( 신자체, 간체자)
114 발자국 禸, 禽, 离, 禹
115 변, 머리, 몸, 발 禾, 秋, 秀, 秉, 積
116 구멍 머리 穴, 空, 窓, 突
117 변, 머리, 발 立, 端, 竟, 競

4.6. 6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18 (⺮) 대나무 머리(⺮) 竹, 簡, 籐, 筆, 算
119 변, 머리, 발 米, 糟糠, 糞, 粱, 糖
120 (糹) (실사변) 변(糹), 발 [18], 系, 繁, 緊, 繼 糸(纟)( 간체자)
121 장군 변, 발 [19], 缺, 罄
122 (罒, 罓, 㓁) 그물 (그물망머리) 머리(罒, 가끔 㓁, 罓) 网, 罕, 䍙, 羅, 罷
123 (⺶, ⺷) 머리(⺷), 변(⺶), 발 羊, 美, 羚, 羔, 義
124 변, 방, 머리, 발 羽, , 翁, 翅, 翰
125 (耂) 늙을 머리(일부 耂) 老, 考, 耈
126 말이을 변, 머리, 발 而, 耐, 耑, 耍[20]
127 가래 耒, 耕, 耗
128 변, 발 耳, 聽, 聲, 聞, 職
129 머리, 방, 발 聿, 肅, 肆
130 (月, ⺝) 고기 (육달월) 변, 발, 방[胡] 肉, 腐, 脚, , 腿, 肉(⺼)(대만 정체자)
중국에서는 육달월이 달 월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131 신하 臣, 臨, 臥 일본에서는 ㄴ의 획을 분리하여 7획으로 쓴다.
132 스스로 머리, 변 自, 臭
133 이를 변, 발 至, 致, 臺
134 (𦥑) 절구 머리, 발 臼, 舅, 舊, 興
135 변, 발 舌, 舒, 舍
136 어그러질 舛,
137 舟, 船, 般, 艇
138 괘이름 방, 발 艮, 良, 艱
139 色, 艷
140 (⺿, 艹, 䒑) (초두머리) 제부수, 머리(⺿, 艹) 艸, 葡萄, 蔡, 蘇
141 호피 무늬 호 엄, 방(주로 虎의 꼴) 虎, 虜, 虐, 號
142 벌레 변, 방, 발(가끔 䖵의 꼴로) [22], 蟲, 蝕, 螳螂, 蜜蜂,
143 변, 머리, 발 血, 衆, 衄
144 다닐
항렬
行, 街, 衛, 術 중국에서는 彳 부수에 통합되어 있다.
145 (衤) (옷의변) 변(衤), 발, 몸 衣, 袋, 裏, , 複
146 (覀) 덮을 (덮을아 머리) 제부수, 머리 西, 要, 覆

4.7. 7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47 방, 발 見, 視, 親, 覺 ( 간체자)
148 변, 발 角, , 觜, 觸
149 (訁) 말씀 (말씀언 변) 변, 발 言, 許, 語, 論, 譽 言(讠)( 간체자)
150 변, 방 谷, 谿
151 변, 발 豆, 豌, 豈
152 돼지 변, 방, 발 豕, 豚, , 豬[23]
153 갖은돼지
갖은개사슴록변
발없는벌레
해태
豸, 貌, 豹
154 조개 변, 발 貝, 財, 賣買, 貨, 貪 ( 간체자)
155 붉을 제부수, 변 赤, 赦, 赫
156 달릴 받침 走, 起, 趙, 越
157 (𧾷) (발족변) 발, 변(𧾷) 足, , 蹇, 跳
158 身, 軀
159 수레 거/차 변, 발 車, 輕, 軍, 輛, 轍 ( 간체자)
160 매울 辛, 辭, 辨
161 머리, 발 辰, 辱, 農
162 (⻍) (갖은)책받침[24] 쉬엄쉬엄갈 제부수, 받침(⻍) 辵, 近, 造, 道, 選, 邊 辵(⻌)( 신자체, 간체자)
辵(⻎)(대만 정체자)
163 (⻏) 고을 (우부방) 제부수, 방(⻏) 邑, 郡, 部, 鄕, 鄭 한국과 일본에서는 ㇌을 두 획에 나눠 쓰지만, 중국에서는 이어서 쓴다.
164 [25] 변, 방, 발 酉, 酒, 醉, 醫
165 분별할 제부수, 변 釆, 采, 釋
166 마을 변, 방, 발 里, 野, 量, 重

4.8. 8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67 (釒) (쇠금변) 변, 발 , , , , 金(钅)( 간체자)
168 (镸) 제부수, 변(镸) 長, 镹 ( 간체자)
169 門, 問, 聞, 閻, 關 ( 간체자)
170 (阝) 언덕 (좌부변) 제부수, 변(阝), 몸, 발[26] 阜, 防, 院, 隊, 陳, 隣, 𨽄, 𨺫 한국과 일본에서는 ㇌을 두 획에 나눠 쓰지만, 중국에서는 이어서 쓴다.
171 미칠 , 종 제부수, 방 隶, 隷[27]
172 방, 머리, 발 隹, 雄, 集, 雙, 離
173 (⻗) 머리 雨, , , , ,
174 푸를 제부수, 변, 방 靑, 靜, 靖 ( 신자체, 간체자)
175 아닐 머리, 발 非, 靠, 靟

4.9. 9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76 변, 발 面, 靤, 靨
177 가죽 변, 발 革, 靷, , 鞠, 鞏
178 가죽 변, 방[韓] 韋, 韓, 韜 ( 간체자)
179 부추 제부수, 발 韭, 韮
180 소리 변, 발 音, 韻, 響
181 머리
책장
頁, 頃, 領, 順, , ( 간체자)
182 바람 변, 방 風, 颱, 飄 ( 간체자)
183 飛, 飜 ( 간체자)
184 (𩙿) (밥 식 변) 변(𩙿), 발 食, 飢, 飮, 養, 餐 食(飠)( 신자체), 食(饣)( 간체자)
185 머리 제부수, 변, 방, 발 首, 馗, 馘
186 향기 제부수, 변, 발 香, 馝, 馨, 馥

4.10. 10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87 변, 발 馬, 駐, 騎, 駕, 驚, 驛 ( 간체자)
188 骨, , 髓 중국에서는 ┌ 대신 ┐을 써서 9획으로 줄어든다.
189 높을 제부수, 변 高, 髙[29], 髚, 髝
190 터럭머리 머리털늘어질 머리 髮, 鬚
191 싸울 鬥, 鬪 ( 간체자)
192 울창주[30] 鬯, 鬱
193 다리굽은솥 변, 발 鬲, 䰚, 鬷
194 귀신 받침, 방, 발 鬼, 魂, 魅, 魔, 魏 중국에서는 田의 세로획과 丿을 이어서 9획으로 쓴다.

4.11. 11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195 물고기 변, 발 魚, 魯, 鮮, 鯉 ( 간체자)
196 변, 방, 발 鳥, , 鵬, , 鷹, 鸞 ( 간체자)
197 짠땅 제부수, 변 鹵, 鹽, 鹹 ( 간체자)
198 鹿 사슴 제부수, 엄, 변, 발 鹿, 麗, 麒麟, 麏
199 보리 麥, ( 신자체, 간체자)
200 제부수, 엄 麻, 麾 한국에서는 广을 제외한 부분을 𣏟로 쓰지만, 일본과 중국에서는 林으로 쓴다.

4.12. 12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01 누를 제부수 黃, 黇 ( 신자체, 간체자)
202 기장 제부수 黍, 黎
203 검을 제부수, 변, 발 黑, 默, 點, 黨 ( 신자체)
204 바느질 제부수, 변 黹, 黼, 黻

4.13. 13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05 맹꽁이 , 힘쓸 黽, 鼈 ( 간체자)
206 鼎, 鼒
207 머리, 발 鼓, 鼔[31],
208 제부수, 변, 발 鼠, 鼱, 鼴

4.14. 14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09 제부수, 변 鼻, 鼾
210 가지런할 제부수, 몸 齊, 齋 ( 신자체), ( 간체자)

4.15. 15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11 제부수, 변, 발 齒, 齡, 齧 ( 신자체), 齿( 간체자)

4.16. 16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12 龍, 龕, 𪚥 , ( 신자체), ( 간체자)
213 거북 방, 발 龜, 龞 𪚩, ( 신자체), ( 간체자) 한국 한자 및 일본 정체자로는 맨 윗부분이 ⺈이고 가운데의 두 세로 획이 맨 위 가로 획에 닿지만, 중국 번체자로는 맨 윗부분이 丿이고 가운데의 두 세로 획이 맨 위 가로 획에 닿지 않는다.

4.17. 17획

번호 글자 부수 이름 훈음 형태 주요 해당 한자 비고
214 피리 龠, , 龥


[1] 夂(뒤져올 치)와 夊(천천히 걸을 쇠)를 통합하고, 単, 巣, 営, 厳의 4글자를 빼서 ツ冠(츠머리)를 세웠다. 한국의 몇몇 한자사전에서는 이 네 글자가 각각 十, 木, 口, 厂 부수에 속한다. [2] 획순으로 따지면 -1획이 되어야 하지만 0획이다. 설문해자에서는 王이 玉과 독립된 부수였는데 강희자전에서 王부가 없어지면서 王이 玉부로 들어간 것. [3]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각 한자의 변형 부수는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를테면 水(물 수)와 氵(삼수변), 心(마음 심)과 忄(심방변)은 각각 같은 것으로 취급한다. [4] 단, 중국에서는 行 부수를 폐지하고 彳 부수에 통합했다. [5] 한국과 일본은 전자, 중국 번체자는 후자가 표준이다. [6] 중국 번체자는 전자, 한국은 후자가 표준이다. 일본어에서 두 한자는 서로 다른 한자인데, 전자는 '옆구리'만을, 후자는 '으르다'만을 나타낸다. [7] 한국, 일본, 중국 번체자는 전자, 대만은 후자가 표준이다. [8] 한국은 전자, 중국은 후자가 표준이다. [9] 한국과 일본은 전자, 중국 번체자는 후자가 표준이다. 엄밀히 말하면 전자는 좌부변, 후자는 우부방 부수이지만, 모양이 같기 때문에 이 항목에 넣었다. [10] 현재는 영락없이 알 환(丸) 자처럼 보이지만, 예서로 오면서 형태가 丸 자처럼 변한 것이다. [11] 冬 한정 [12] 먹는 쌀이 아니라, 동사 '싸다(감싸다)'의 관형사형이다. [13] 흔히 생각하는 지게가 아닌, 한쪽으로만 여는 문을 뜻한다. [14] 無와 같은 글자다. [15] 일본에서는 缺(이지러질 결)의 신자체로 쓴다. [16] 일부 한자에서 모양자로 사용 [17] 乞과 같은 글자다. [18] 일본에서는 絲(실 사)의 신자체로 쓴다. [19] 일본에서는 罐(두레박 관)의 신자체로 쓴다. [20] '장난감 솨'라는 한자이다. 要(중요할 요)와 헷갈리지 말 것. [胡] 胡 한정 [22] 일본 및 중국에서는 蟲(벌레 충)의 신자체 및 간체자로 쓴다. [23] 猪의 본자. [24] 원래는 한자의 음에서 따온 착받침이었는데, 진짜 책받침과 발음이 비슷해서 혼동하다 와전된 것이다. [25] 본래 '술'이라는 뜻이었는데 '열째 지지'라는 뜻으로 가차되었다. [26] 몸과 발 형태를 부수로 하는 현대 한자는 없다. [27] 隶와 동자 [韓] 韓 한정 [29] 高의 속자 [30] 고대 종묘제사에 쓰던 향주로 울금의 향과 옻기장으로 빚는다. [31] 북 칠 고, 鼓와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