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5-01 01:11:26

다음자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학년별한자배당표 · 통용규범한자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일본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상고음 · 중고음 · 양안 간의 독음 · 광동어 정음 운동 · 문백이독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나라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가나(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방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주음부호
입력 · 검색
중국어/입력기 · 창힐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한자 }}}}}}}}}

1. 개요2. 상세3. 목록4. 기타5. 관련 문서

1. 개요

다음자()란, 두 개 이상의 음을 가진 글자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한자에 특히 이런 경우가 많다.

2. 상세

원래 한자는 (일), (인), (수)와 같이 하나의 음만을 가지는 경우가 보편적이나, 간혹 두 개 이상의 음을 가진 한자가 존재한다. 물론 개중에는 음이 두 개 이상이더라도 사실상 사장되어 쓰이지 않고 하나의 음만 널리 사용되기도 하지만[1], 두 개 이상의 음이 모두 널리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일반명사에서 쓰이는 음과 고유명사에서 쓰이는 음이 다른 경우도 있다. 가령 의 경우, 일반명사에서는 금속, 금품, 현금 등과 같이 무조건 '금'으로만 발음하며 고유명사에서는 '금'으로 발음하기도 하나[2], '김'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음이 다른 경우 훈도 다른 것이 보통이지만, 간혹 (수레 거/차)와 같이 훈이 동일한 경우도 있다.[3]

본래 다음자였으나 훗날 특정한 음이 사장되고 하나의 음만 지속적으로 널리 쓰이는 경우, 형성자의 자원을 유추하는 데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가령 (뿌릴 파)의 경우 훈을 나타내는 손 수()와 음을 나타내는 날랠 파()가 결합한 것이나, 오늘날에는 '날랠 파'라는 훈음이 사실상 도태되고 '차례 번'이라는 훈음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의아함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표준어에서는 두음 법칙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음이 ㄹ인 한자와 모음이 'ㅣ, ㅣ의 반모음 [j]'인 음이 ㄴ인 한자들은 모두 다음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변이음은 일반적으로 다음자라고 칭하지 않는다. 또한 활음조 현상으로 인해 음이 바뀐 경우[예1] 사이시옷이 적용된 경우[예2]도 같은 원리로 다음자로 취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사정들이 있기 때문에 다음자의 기준은 견해마다 다르다.

3. 목록

분류:다음자 참고.

4. 기타

(도마 관)의 경우 컴퓨터에서는 '완'으로 입력해야 변환할 수 있으나, 정작 한국어문회에서는 완이라는 음을 반영하지 않았다.

먼나라 이웃나라의 우리나라 편에서는 한국어의 한자 독법은 훈독이 없고 음독만 존재하며,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음독이 한자마다 하나로 정해져 있는데 일본의 경우 훈독과 음독으로 나뉨은 물론이고 그마저도 가짓수가 여러 가지이며 단어마다 읽는 법이 불규칙하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한국어의 한자음이 하나가 아닌 경우도 찾아보면 아주 많으므로 이를 '극소수의 예외'로 치부하기는 어렵다.

5. 관련 문서


[1] 가령 은 한국어문회에서는 '폭포 폭, 소나기 포'로 소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폭포 폭'이라는 훈음만 쓰이는 실정이다. [2] 금정산이 그 예시다. [3] 다만 구체적인 용례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힘으로 움직여야 하는 경우(인력거, 자전거)는 '거', 동물이나 기계의 힘으로 움직이는 경우(마차, 기차)는 '차'를 쓴다. [예1] 폐염() → 폐렴, 목과() → 모과. [예2] 수자() → 숫자, 등교길(길) → 등굣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