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다음자( 多 音 字)란, 두 개 이상의 음을 가진 글자를 지칭하는 표현이다. 한자에 특히 이런 경우가 많다.2. 상세
원래 한자는 一(일), 人(인), 水(수)와 같이 하나의 음만을 가지는 경우가 보편적이나, 간혹 두 개 이상의 음을 가진 한자가 존재한다. 대개는 원래 중국어에서도 다음자라서 한자음을 들여올 당시 중고한어에서 쓰이던 각각의 독음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지만,[1] 한자음을 수용한 이후에 자체적으로 형성된 독음도 존재한다. 물론 개중에는 음이 두 개 이상이더라도 사실상 사장되어 쓰이지 않고 하나의 음만 널리 사용되기도 하지만[2], 두 개 이상의 음이 모두 널리 쓰이는 경우가 더 많다. 중국어의 경우 과거부터 다음자였던 한자 외에 문백이독에 의해 통용되던 문독음과 백독음이 근래에 한자의 의미나 용법에 따라 다르게 쓰이는 형태로 자리잡아 다음자가 형성된 경우도 있다.일반명사에서 쓰이는 음과 고유명사에서 쓰이는 음이 다른 경우도 있다. 가령 金의 경우, 일반명사에서는 금속, 금품, 현금 등과 같이 무조건 '금'으로만 발음하며 고유명사에서는 '금'으로 발음하기도 하나[3], '김'으로 발음하는 경우가 더 많다.
음이 다른 경우 훈도 다른 것이 보통이지만, 간혹 車(수레 거/차)와 같이 훈이 동일한 경우도 있다.[4]
본래 다음자였으나 훗날 특정한 음이 사장되고 하나의 음만 지속적으로 널리 쓰이는 경우, 형성자의 자원을 유추하는 데에 지장을 줄 수 있다. 가령 播(뿌릴 파)의 경우 훈을 나타내는 손 수( 手)와 음을 나타내는 날랠 파( 番)가 결합한 것이나, 오늘날에는 '날랠 파'라는 훈음이 사실상 도태되고 '차례 번'이라는 훈음으로 널리 쓰이고 있으므로 학습자로 하여금 의아함을 줄 수 있다.
대한민국 표준어에서는 두음 법칙을 인정하고 있기 때문에, 음이 ㄹ인 한자와 모음이 'ㅣ, ㅣ의 반모음 [j]'인 음이 ㄴ인 한자들은 모두 다음자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변이음은 일반적으로 다음자라고 칭하지 않는다. 또한 활음조 현상으로 인해 음이 바뀐 경우[예1]와 사이시옷이 적용된 경우[예2]도 같은 원리로 다음자로 취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여러 가지 사정들이 있기 때문에 다음자의 기준은 견해마다 다르다.
3. 목록
분류:다음자 참고.4. 기타
梡(도마 관)의 경우 컴퓨터에서는 '완'으로 입력해야 변환할 수 있으나, 정작 한국어문회에서는 완이라는 음을 반영하지 않았다.먼나라 이웃나라의 우리나라 편에서는 한국어의 한자 독법은 훈독이 없고 음독만 존재하며, 극소수의 예외를 제외하면 음독이 한자마다 하나로 정해져 있는데 일본의 경우 훈독과 음독으로 나뉨은 물론이고 그마저도 가짓수가 여러 가지이며 단어마다 읽는 법이 불규칙하다고 얘기한다. 그러나 한국어의 한자음이 하나가 아닌 경우도 찾아보면 아주 많으므로 이를 '극소수의 예외'로 치부하기는 어렵다.
5. 관련 문서
[1]
물론 중국어도 나름대로의 변화를 겪었기 때문에 중고한어가 통용되던 시기에는 다음자였고 그것이 한국 한자음에 반영되었지만 현대 한어에서는 하나의 독음만이 통용되는 경우도 있다.
[2]
가령
瀑은 한국어문회에서는 '폭포 폭, 소나기 포'로 소개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폭포 폭'이라는 훈음만 쓰이는 실정이다.
[3]
금정산이 그 예시다.
[4]
다만 구체적인 용례는 차이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힘으로 움직여야 하는 경우(인력거, 자전거)는 '거', 동물이나 기계의 힘으로 움직이는 경우(마차, 기차)는 '차'를 쓴다. 다만
유모차(乳母車)는 예외적으로 '차'를 쓴다.
[예1]
폐염(
肺
炎) →
폐렴, 목과(
木
瓜) →
모과.
[예2]
수자(
數
字) →
숫자, 등교길(
登
校길) → 등굣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