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철도와 관련된 정보들을 정리한 문서.2. 철도 노선 정보
2.1. 종류별 목록
2.1.1. 고속철도
🚄 세계의 고속철도 브랜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시아 · 아프리카 | |||||||||||||||||||||||||||||||||||||||||||||||||||||||||||||||||||||||||||||||||||||||||||||||||
대한민국 | 일본 | 중국 | ||||||||||||||||||||||||||||||||||||||||||||||||||||||||||||||||||||||||||||||||||||||||||||||||
|
[ruby(新幹線, ruby=しんかんせん)] |
홍콩 |
||||||||||||||||||||||||||||||||||||||||||||||||||||||||||||||||||||||||||||||||||||||||||||||||
인도 | 대만 | 우즈베키스탄 | ||||||||||||||||||||||||||||||||||||||||||||||||||||||||||||||||||||||||||||||||||||||||||||||||
사우디아라비아 | 모로코 | 인도네시아 | ||||||||||||||||||||||||||||||||||||||||||||||||||||||||||||||||||||||||||||||||||||||||||||||||
유럽 · 북미 | ||||||||||||||||||||||||||||||||||||||||||||||||||||||||||||||||||||||||||||||||||||||||||||||||||
프랑스 | 스페인 | 프랑스· 스위스 | ||||||||||||||||||||||||||||||||||||||||||||||||||||||||||||||||||||||||||||||||||||||||||||||||
|
||||||||||||||||||||||||||||||||||||||||||||||||||||||||||||||||||||||||||||||||||||||||||||||||||
이탈리아 | 영국 | 튀르키예 | ||||||||||||||||||||||||||||||||||||||||||||||||||||||||||||||||||||||||||||||||||||||||||||||||
|
|
|||||||||||||||||||||||||||||||||||||||||||||||||||||||||||||||||||||||||||||||||||||||||||||||||
독일 (네덜란드· 벨기에· 오스트리아· 스위스) | 스웨덴 (노르웨이· 덴마크) | 러시아 | ||||||||||||||||||||||||||||||||||||||||||||||||||||||||||||||||||||||||||||||||||||||||||||||||
체코 | 오스트리아· 체코 | 러시아· 핀란드 | ||||||||||||||||||||||||||||||||||||||||||||||||||||||||||||||||||||||||||||||||||||||||||||||||
(영업중단) |
||||||||||||||||||||||||||||||||||||||||||||||||||||||||||||||||||||||||||||||||||||||||||||||||||
프랑스· 영국·벨기에·독일· 네덜란드 | 벨기에·네덜란드 | 포르투갈 | ||||||||||||||||||||||||||||||||||||||||||||||||||||||||||||||||||||||||||||||||||||||||||||||||
(폐지) Intercity Direct |
||||||||||||||||||||||||||||||||||||||||||||||||||||||||||||||||||||||||||||||||||||||||||||||||||
미국 | 폴란드 | 발트3국 (폴란드) | ||||||||||||||||||||||||||||||||||||||||||||||||||||||||||||||||||||||||||||||||||||||||||||||||
EIP | ||||||||||||||||||||||||||||||||||||||||||||||||||||||||||||||||||||||||||||||||||||||||||||||||||
* | ||||||||||||||||||||||||||||||||||||||||||||||||||||||||||||||||||||||||||||||||||||||||||||||||||
음영 : 건설 중 · 예정. 그 외의 로고 미정 목록은 해당 목록 참조. | }}}}}}}}} |
2.1.2. 일반철도
- 일반철도 목록 문서 참조.
2.1.3. 광역철도/ 도시철도/ 노면전차
2.2. 국가별 목록
2.2.1. 대한민국/ 북한
2.2.2. 해외
3. 철도차량 관련 정보
자세한 내용은 철도차량 관련 정보 문서 참고하십시오.4. 역 관련 정보
자세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문서 참고하십시오.철도역 구조 유형 | ||
지상역 | 선상역 | 반지하역 |
선하역 | 고가역 | 지하역 |
||<:><-4><tablealign=center><tablewidth=400><tablebordercolor=#000><bgcolor=#000><tablebgcolor=#fff,#2d2f34>
철도역 승강장의 유형 ||
승강장의 높이에 따른 구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저상홈 | 중상홈 | 고상홈 | }}} | |||
승강장의 형태에 따른 구분 | |||||||
그 외 | |||||||
기타 |
철도 환승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환승역 | |
개념환승 | 막장환승 | |
간접환승 | ||
대한민국 지하철 환승 정보 | ||
수도권 전철 | 기타 지역 | |
근접한 위치임에도 자체환승이 불가능한 역 | 급행 미정차 환승역 | |
관련 문서 | ||
환승 게이트, 환승띠, 환승저항, 환승음악 | }}}}}}}}} |
4.1. 국가별 목록
4.1.1. 대한민국
4.1.2. 일본
4.1.3. 기타
5. 지역별 철도 현황[1]
세계의 철도 환경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아시아 | ||||||
대한민국 |
북한 |
일본 |
대만 |
||||
중국 |
인도 |
이스라엘 |
|||||
동남아시아 ( 베트남 · 태국) |
중앙아시아 |
||||||
유럽 | |||||||
독일 |
프랑스 |
영국 |
러시아 |
||||
스페인 |
이탈리아 |
스위스 |
오스트리아 |
||||
노르웨이 |
스웨덴 |
덴마크 |
핀란드 |
||||
네덜란드 |
벨기에 |
루마니아 |
헝가리 |
||||
폴란드 |
|||||||
오세아니아 | |||||||
호주 |
뉴질랜드 |
||||||
아메리카 |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
아르헨티나 |
|||||||
아프리카 | |||||||
모로코 |
이집트 |
5.1. 아시아
5.1.1. 대한민국/ 북한
한국철도공사의 여객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005bac><colcolor=#fff> 고속
|
KTX, KTX-산천, KTX-청룡, SRT( SR 운영) |
준고속 | KTX-이음 | |
특급 | ITX-청춘 | |
급행 | 새마을호, ITX-새마을, ITX-마음 | |
무궁화호, 누리로 | ||
특급/급행 광역전철 | ||
보통 | 일반 광역전철 | |
관광 | 틀 참고 | |
폐지 | 관광호, 비둘기호, 통근열차, 통일호 | }}}}}}}}} |
한국철도공사의 연도별 여객열차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005bac><colcolor=#fff> -1969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준급열차 | 보통열차 | |||
1969-1974 | 관광호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
1974-1977 | 새마을호 | |||||||
1977-1982 | 우등열차 | 특급열차 | 보급열차 | |||||
보통열차 | ||||||||
1982-1984 | ||||||||
1984-2000 | 무궁화호 | 통일호 | 비둘기호 | |||||
2000-2004 | - | |||||||
2004-2009 |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09-2010 | ||||||||
2010-2012 | 무궁화호 | |||||||
2012-2014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14-2021 | 무궁화호 | |||||||
2021-2023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통근열차 | |||||
2023-2024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
2024-현재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
}}}}}}}}} |
한국철도공사의 관광열차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새마을호 등급 | |
레일크루즈 해랑 | 정선아리랑열차(A) | |
교육전용열차(E) | 서해금빛열차(G) | |
남도해양관광열차(S) | 백두대간협곡열차(V) | |
동해산타열차 | 에코레일관광열차 | |
무궁화호 등급 | ||
전통시장관광열차 | 충북영동국악와인열차 | |
폐지 | ||
줌마렐라 녹색 관광열차 | 부울경테마관광열차 | |
환상선눈꽃순환열차 | 통통통뮤직카페트레인 | |
중부내륙순환열차(O) | 경북나드리열차 | |
평화생명관광열차(DMZ) | 바다열차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티머니 | 티머니( 팝티머니 · 신 한꿈이카드 · 기후동행카드 · 와우패스) · 유패스† · 구 한꿈이카드‡ · 탑티머니‡ |
이동의즐거움 | 이즐H( 이베스트카드 · eB 티머니 · eB 유패스 · 티모아†) · 한페이H · 하나로카드† · 마이비† | |
한국철도공사 | 레일플러스H | |
iM유페이 | 원패스( 탑패스†) · 대경교통카드 | |
기타 | payOn · 삨R† · 하이패스H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탑캐시‡) · A-Cash‡ · K-Cash‡ | |
H 선불하이패스 겸용 / R 레일플러스 기반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 |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
||||
1차 (2006~2015) |
2차 (2011~2020) |
3차 (2016~2025) |
4차 (2021~2030) |
5차 (2026~2035) |
- 북한의 철도 환경
- 북한의 철도 환경/역사
- 열차 등급
북한의 여객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C60C30><colcolor=#fff> | 태양호 |
국제 | 평양 ~ 단둥 / 평양 ~ 베이징 / 평양 ~ 모스크바 | |
급행 | 급행 | |
준급행 | 준급행 | |
일반 | 완행 | |
보통 | 통근 | }}}}}}}}} |
5.1.2. 일본
[[일본| |
||||||||
JR패스[전국구] | 홋카이도권 | 동일본권 | 도카이권 | 서일본권 | ||||
시코쿠권 | 큐슈권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
{{{#!folding [ 개별 문서가 존재하는 패스 - 펼치기 · 접기 ] | JR패스[전국구] | 청춘 18 티켓[전국구] | 가을 무제한 패스[전국구] | |||||
JR 그룹 공통 | ||||||||
홋카이도 레일 패스 | 삿포로-노보리베츠 에리어 | 삿포로-후라노 에리어 | ||||||
JR 홋카이도 | ||||||||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 ||||||
JR 도쿄 와이드 패스 | JR 동일본 패스(도호쿠) | JR 동일본 패스(나가노) | ||||||
JR 동일본 | ||||||||
도쿄 1일 승차권 | 도쿄 시내 패스 |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 ||||||
JR 동일본·미나미홋카이도[복수] | JR 도호쿠·미나미홋카이도[복수]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복수] | ||||||
JR 도카이 | ||||||||
JR서일본 전지역 패스 | 간사이 패스 | 간사이 와이드 패스 | ||||||
JR 서일본 | ||||||||
산요 산인 패스 | 호쿠리쿠 아치 패스[복수] |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 ||||||
올 시코쿠 레일 패스 | ||||||||
JR 시코쿠 | ||||||||
JR큐슈 레일패스 (남큐슈) | JR큐슈 레일패스 (북큐슈) | JR큐슈 레일패스 (전큐슈) | ||||||
JR 큐슈 | ||||||||
산요 산인 북큐슈 패스[복수] | ||||||||
민간 사철 패스 | 간사이 레일웨이 패스 | 오사카 주유패스 | SUNQ 패스 | |||||
그레이터 도쿄 패스 | 도쿄 서브웨이 티켓 | |||||||
판매 중지 패스 | 한일공동승차권 | 요카요카킷푸 | 큥♥패스 |
- 스룻토 간사이 패스
- 청춘 18 티켓 (JR)
- 홋카이도&동일본 패스 (JR)
- JR패스 (JR)
- 교통카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0000><colcolor=#fff> JR 계열 |
Suica JR 동일본 JE |
Kitaca JR 홋카이도 JH |
TOICA JR 도카이 JC |
ICOCA* JR 서일본 JW |
SUGOCA JR 큐슈 JK |
사철·버스·지자체 |
PASMO 간토권 PB |
SAPICA 삿포로시 SP |
manaca 나고야권 TP |
PiTaPa* 케이한신권 SU |
icsca 센다이시 SK |
|
하야카켄 후쿠오카시 FC |
nimoca 규슈 및 하코다테시 시모노세키시 NR |
DESUCA 토사덴 교통 DE |
IruCa 코토덴 KD |
AYUCA 기후승합자동차 GB |
||
PASPY 히로시마권 HI |
OKICA 오키나와 OK |
LuLuCaP 시즈테츠 ST |
HarecaP 오카야마현 RB |
kinocaP 와카야마버스 WK |
||
KURURU 나가노현 NA |
RYUTO 니가타교통 NB |
RapiCa 가고시마 시 교통국 |
NORUCA 후쿠시마 교통 FK |
ASACA 아사히카와 전기궤도 |
||
IC이~카드 이요 철도 IY |
버스카드 홋카이도 키타미 버스 |
이밧피 이바라키 교통 IB |
Do카드 도호쿠 버스 |
EMICAP 미에교통 MT |
||
나이스 패스 엔슈 철도 ET |
ICa 호쿠리쿠 철도 HT |
에누타스 T카드 나가사키 자동차 KA |
ECOMYCA 도야마 지방철도 TC |
itappyP 이타미시 교통국 IT |
||
CI-CAP 나라교통 NK |
NicoPaP 신키버스 SH |
란덴카드P 케이후쿠 전기철도 KF |
hanicaP 한큐버스 HH |
낫치P 난카이버스 BN |
||
TsukicaP 타카츠키시 교통국 TK |
쿠마몬의 IC카드 구마모토현 KM |
이와사키 IC카드 가고시마 IW |
||||
■색 항목은 상호호환 대상 카드 (정기권 이용 및 자동 충전 등 제외) ■색 항목은 상호호환 카드를 일방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경우 ■색 항목은 비표준 규격 등의 문제로 상호호환 카드를 이용할 수 없는 경우 P 항목은 PiTaPa와 관련된 자체 카드 사업자 명칭 하단의 알파벳은 카드번호 앞 2자리(사업자 코드)임. * ICOCA, PiTaPa는 JR 계열, 사철·시 교통국·버스계 모두로 분류됨 |
||||||
오픈 루프 OL |
||||||
OL 현재 일본의 EMV Contactless 결제 기반 오픈 루프 도입은 상기 5개 글로벌 카드 브랜드들과 미쓰이스미토모은행, 일본신호, QUADRAC이 연합한 기업 연합체인 Stera Transit에서 진행 중이며, 일본 내 오픈 루프 서비스에 활용되는 클라우드 시스템 플랫폼의 이름을 따 Q-move라고도 일컬어짐 | ||||||
그 외 | 일부 사업자는 라쿠텐 Edy, 이온그룹 WAON, 세븐&아이 홀딩스 nanaco, NTT 도코모 iD, JCB QUICPay 등의 유통계 전자 화폐 또는 Felica 기반 신용 결제 서비스를 도입하여 운영하고 있음 |
5.1.3. 중화권
[[중국|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중국 |
이카퉁* (여러 지역) /
상하이공공교통카드 (
상하이시) 옥토퍼스 카드 ( 홍콩) / 마카오 패스 ( 마카오) |
대만 |
이지카드 /
아이패스 /
아이캐시 ( 대만 전 지역) |
5.1.3.1. 중국
CRH(고속) | 일반 | |||||
G | D | C | Z | T | K(N) | - |
5.1.3.2. 대만
타이완의 열차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운영기관 | 등급 | ||
타이완 고속철도 台灣高速鐵路 |
고속열차 高鐵 |
|||
타이완철로유한회사 臺灣鐵路股份有限公司 |
<colbgcolor=#ffa500>
쯔창하오 自强號 |
타이루거하오1 太魯閣號 |
푸유마하오2 普悠瑪號 |
|
쥐광하오 莒光號 |
||||
구간쾌차 區間快車 |
||||
구간차 區間車 |
||||
농업위원회 임무국 農業委員會林務局 |
아리산삼림열차3 阿里山林業鐵路 |
|||
1.정식명칭은 타이루거쯔창하오(太魯閣自强號) 2.정식명칭은 푸유마쯔창하오(普悠瑪自强號) 3. 자이까지 운행하는 아리산호(阿里山號)와 아리산 내에서만 운행하는 주산선형객차(祝山線型客車)로 나뉨 |
5.1.4. 기타
5.2. 유럽
철도 회사/유럽 참조. |
레일팀 회원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
독일/오스트리아 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olcolor=#fff> 장거리 열차 Fernverkehr |
|||||
🚄 고속열차 | 🚅 특급열차(D-zug) | |||||
EN | ||||||
중단거리 열차 Nahverkehr |
||||||
🚈 급행열차 | 🚃 보통열차 | 🚃 광역철도 | ||||
<colbgcolor=#fff,#191919> RE | RB&RZ | S-bahn |
[[영국|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
그레이터 런던 | Arriva Rail London · Govia Thameslink Railway · Heathrow Express · Elizabeth line MTR · Transport for London | |
사우스 잉글랜드 | c2c · Chiltern Railways · Great Western Railway · Greater Anglia · South Western Railway · Southeastern · West Midland Trains | ||
미들랜즈 | East Midlands Railway | ||
노스 잉글랜드 | Nexus · Northern · TransPennine Express | ||
웨일스 | Merseytravel · Transport for Wales Rail | ||
스코틀랜드 | ScotRail · Strathclyde Partnership for Transport | ||
전역 | Avanti West Coast · Caledonian Sleeper · CrossCountry · Grand Central · Hull Trains · London North Eastern Railway · Lumo | ||
기타 | Eurostar · National Rail · NI Railways · Network Rail |
프랑스 열차 등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고속열차 Train Grande Vitesse |
|||
🚅 특급열차 | ||||
🚈 급행열차 | ||||
🚃 광역철도 | ||||
스페인 열차 등급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고속열차 Alta Velocidad Española |
|||||||||||
Euromed | ||||||||||||
🚅 특급열차 | ||||||||||||
InterCity | ||||||||||||
🚈 급행열차 | ||||||||||||
Media Distancia | Regional Exprés | Regional | ||||||||||
🚃 광역철도 | ||||||||||||
Cercanías |
5.2.1. 러시아
5.3. 아메리카
5.3.1. 북미
북아메리카 Class I 철도 회사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
파란색은 미국 회사, 빨간색은 캐나다 회사, 초록색은 멕시코 회사이다.
GT는 CN의 미국 내 운영 자회사이므로 CN 옆에 두었다.
}}} ||GT는 CN의 미국 내 운영 자회사이므로 CN 옆에 두었다.
5.3.2. 남미
- 브라질의 철도 환경
- 아르헨티나의 철도 환경
- 콜롬비아
-
드라이 운하(구상 중)
5.4. 아프리카/오세아니아
6. 안내방송/멜로디
- 역 멜로디[19]
- 안내방송/역: 승강장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정리한 문서이다.
- 안내방송/열차: 열차 내에서 들을 수 있는 안내방송을 정리한 문서이다.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를 제외한 일반열차, 외국의 사례를 확인할 수 있다.
- 안내방송/열차/도시철도: 문서가 너무 길어져 위의 문서에서 국내의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안내방송을 따로 분리해 정리한 문서이다.
- 안내방송 성우: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의 현직 안내방송 성우 명단.
- 사랑을 전하세요 코레일 OO역입니다
7. 용어
여러 교통수단에서 동시에 사용하는 용어는 교통 관련 정보를 참조하세요. |
7.1. 종류
7.2. 철도 회사/운영 주체
자세한 내용은 철도 회사 문서 참고하십시오.7.3. 시설
역과 관련된 내용은 역 관련 정보 참조. |
||<table align=center><tablewidth=500><table bordercolor=#000><:><#000><-5>
철도의 구조||
레일 | 레일 | |||
침목 | ||||
도상(철길 지지 구조) | ||||
노반 | ||||
기타 | 분기기 | 전차선 ( 가공전차선 | 제3궤조집전식 | 전자기유도집전) |
<rowcolor=#ffffff> 철도 보안장비 |
통표폐색 - 타자식 ATS - AWS - ATS - ATP - ATC/ TVM/ LZB - CBTC/ ATACS |
번외: ATO[주의], TASC |
[주의] ATO는 '신호보안장비'가 아님. 위 장비들은 개발시기 순이 아닌, 도입시기 순으로 정렬됨. |
- 폐색구간(운전허용구간)
- 안전장치
- 데드맨 스위치
- 안전펜스- 스크린도어
- 철도신호기
- 열차집중제어장치
- 급경사를 극복하기 위한 시설[20]
- 강삭철도
- 환형궤도(똬리굴)
- 스위치백
- 치상궤도(아프트식 궤도)
- 서비스 시설
- 갑종위탁발매소
- 을종위탁발매소
- 유실물 관리소
- 기타 시설
- 전철변전소
- 꽈배기굴
- 전차대(턴테이블)
- 급수탑
- 건널목
- 차량사업소
- 철도 연락선
- 기관차방호시설
7.4. 기술/규격/건설
궤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궤간의 넓이 | ||
좁음 ← 1435mm → 넓음 | |||
협궤 | 표준궤 | 광궤 | |
이외 | |||
듀얼게이지 | 궤간가변 | 개궤 | }}}}}}}}} |
7.5. 운영
- 간선철도(주요 철도 노선)
- 승차권
- 전산망
- 차량사업소
- 회차
- 입환
- 회송
- 회차지점
- 시운전
- 고립 노선
- 근성열차
- 공기수송 - 가축수송
- 짬뽕편성
- 국제열차
- 등산철도
- 셔틀열차
- 야간열차
- 열차의 등급
- 열차 운행 도표( 다이어)
- 편성
- 장폐단
- 운전정리
- 타절(중간역 시종착)
- 임시열차
- 열리지 않는 건널목
- 강차량(降車量) [21]
- 직통운전
- 선로공유
- 복합열차
- 열차지연
- 철도 교통/이용 방식
대중교통의 좌석 등급 | |||
일등석 ( 프리미엄 버스) |
우등석 ( 항공) |
일반석 ( 프리미엄/ 베이직) |
|
교통약자석: 휠체어석, 임산부 배려석 | |||
기타 좌석 분류: 입석, 자유석, 비상구 좌석, 벌크석 |
7.6. 동호활동/속어
- 행사
- 철도 동호인
- 잡지
- 철도 모형
- 철도박물관(한국)
- 철도박물관(동음이의어)(해외)
-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 오마와리
- 서대동부
- 선개통 후완공
- 티스푼 공사
- 드리프트/철도
- 철도 불모지
- 4시간의 벽
7.7. 관계 법령
- 철도사업법
- 철도건설법
- 도시철도법
- 궤도운송법
- 철도건설규칙
- 도시철도건설규칙
- 철도안전법
- 철도산업발전기본법
- 철도차량운전규칙
- 도시철도운전규칙
- 역세권의 개발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역세권법)
- 대도시권 광역교통 관리에 관한 특별법(광역교통법, 대광법)
- 대중교통의 육성 및 이용촉진에 관한 법률(대중교통법)
- 철도물류산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철도물류산업법)
- 철도거리표[22]
7.8. 학문
7.9. 직종
7.9.1. 철도 관련 자격증
철도 분야 자격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f5f5,#333> 국가기술자격 | 09. 운전/운송>>091.운전/운송 | - | → | 철도운송산업기사 | → | - | → | - |
14. 건설>>142.토목 | 철도토목기능사 |
(2022년 폐지) |
철도토목기사 | 철도기술사 | |||||
16. 기계>>163. 철도 | 철도차량정비기능사 | 철도차량산업기사 | 철도차량기사 | 철도차량기술사 | |||||
철도차량정비기능장 | |||||||||
20. 전기전자>>201. 전기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전기철도산업기사 철도신호산업기사 |
전기철도기사 철도신호기사 |
→ |
전기철도기술사 철도신호기술사 |
||||
국가전문자격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철도차량 운전면허 |
이 단락은 기술자격/ 자격증의 명칭에 직접적으로 '철도'가 명시, 언급되거나 주 업무가 철도현장에서 이뤄지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자격증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이외에 보조적으로 철도 업무와 연관지을 수 있는 자격증(예를 들어 물류관리사 같은)은 아래에 기술된 것 이외에도 더 많다. 과거에는 객화차정비기능사 1, 2급이나 철도동력차기관정비기능사 1, 2급, 보선기능사 1, 2급, 열차조작기능사같이 세분화되어
덧붙여,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이라고 되어 있지만 사실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이 자격종목들을 분류해놓은 분류군을 보면 의외로 제법 흩어져있다. 다시 말해, '철도'라는 분류에 들어가는 자격종목은 의외로 몇 없다는 이야기. 일례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은 '토목'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철도신호 및 전기철도 관련 자격종목은 '전기'로, 철도운송산업기사는 '운전운송'으로 분류되어 있다. 제대로 '철도' 분류군에 속한 자격종목은 차량 및 차량정비가 전부.
2021년부터는 필기시험 응시 가능 횟수가 2년에 한 번씩으로 줄어드는 종목도 있다. 2022년 검정시행 조정제도 안내문( 1 2)을 보면, 22년 검정시행 조정(22년 필기시험 미실시) 제도 적용 대상 종목이 나오는데 그 대상은 최근 3년간(공고 당시 기준은 2017년~2019년) 필기시험 연평균 응시인원이 50명 미만인 종목이다. 이 공고문에서 언급된 종목은 바로, 철도토목기능사, 철도차량정비기능사, 철도차량산업기사, 철도차량기사이다. 철도토목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40.7명, 철도차량정비기능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21.4명, 철도차량산업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9명, 철도차량기사는 3년간 평균 필기응시인원이 8.8명이라, 그 대상에 포함된 것이다. 2021년에 필기가 시행되었으니, 2022년에는 필기가 시행되지 않고, 2023년이 되어야 다음 필기시험이 시행된다.
그리고, 철도토목산업기사는 2022년에 폐지되었다.
철도 관련 기술자격증 일람 | |
기능사 | 철도차량정비기능사 |
철도전기신호기능사 | |
철도토목기능사[23] | |
산업기사 | 철도운송산업기사[24] |
철도차량산업기사 | |
철도신호산업기사 | |
전기철도산업기사 | |
철도토목산업기사[25] | |
기사 | 철도차량기사 |
철도신호기사 | |
전기철도기사 | |
철도토목기사 | |
기능장 | 철도차량정비기능장 |
기술사 | 철도차량기술사 |
철도신호기술사 | |
전기철도기술사 | |
철도기술사[26] | |
기타 | 철도교통안전관리자 |
철도교통 관제자격증명 | |
철도차량 운전면허 | 고속철도차량운전면허 |
제1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 |
제2종 전기차량 운전면허 | |
디젤차량운전면허 | |
철도장비운전면허 | |
노면전차운전면허 |
7.9.2. 철도 관련 학과가 존재하는 대학
자세한 내용은 철도대학 문서 참고하십시오.8. 관련 문서
8.1. 철도 사건 사고
자세한 내용은 철도 사건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8.2. 기록
8.2.1. 한반도
- 극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실효통치지역 | 미수복지역 포함 | |
최북단 |
백마고지역[2] |
세선역 | |
최남단 | 여수엑스포역[3] | ||
최동단 |
영일만항역[4] 영덕역[5] |
두만강역 | |
최서단 | 목포역 | 룡암포역 | |
최고점 | 추전역 | 북계수역 | |
최저점 |
여의나루역[6] 김포공항역(서해선)[7] |
영광역[8] | |
|
- [ 세부사항 펼치기 · 접기 ]
- ||<-3><table align=center><#0000ff> 도시철도/광역철도 한정 ||
남한만 북한 포함 최동단 동해선 태화강역 최서단 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 평양 혁신선 광복역 최남단 부산 1호선 다대포해수욕장역 최북단 수도권 1호선 연천역 평양 혁신선 락원역 최고/최저점[27] 최고 남한만 태백선 추전역 +855m 북한 포함 백무선 북계수역 +1,750m 최저 남한만 서해선 김포공항역[※] -83m 수도권 전철 5호선 여의나루역 -27.5m 북한 포함 평양 지하철도 ???역 최소 -100m 이상[29]
- 가장 깊은 신호장
대관령신호장 | 약 -350m |
- 일일 이용객 수(승하차) 최다
철도 전체 | 서울역 | 294,098명[30] |
도시철도 | 강남역 | 202,174명[31] |
- 가장 긴 노선
평라선 | 801.9km |
- 가장 긴 터널
수서평택고속선 율현터널 | 50.3km |
- 북한과 가장 가까운 전철역
경의중앙선 임진강역 | 5.8km |
8.2.2. 세계
- 가장 긴 편성
러시아 야로슬라브스키 역~ 북한 평양역 | 10,214 km[32] |
- 가장 긴 노선
러시아 시베리아 횡단철도 | 9,334 km |
- 최북단 역
러시아 무르만스크 역 | 북위 68도 58분 |
- 가장 높은 역
중국 칭짱철도 탕구라 역 | 해발 5,072m |
- 이용객수 최다
일본 신주쿠역 | 일일 이용객수 364만 명 |
- 세계 최초 노선
정규노선[33] | 스톡턴-달링턴 철도 | 1825년 |
지하철 | 런던 지하철 | 1863년 |
8.3.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철도 관련 정보/미디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1]
노선은 노선 문단을 참조.
[2]
구
KR패스
[3]
오트레인패스 문서는 해당내용을 포함하여 이 문서로 통합되었다가
나드리 패스 출시로
DMZ PASS를 제외한 모든 패스권이 폐지되었다.
[4]
관광전용패스들을 통합하여 만든 전 구간용 관광통합패스이다. 2017년 폐지.
[5]
코레일의 할인카드만 서술된 문서.
[6]
대만에서 도시철도를 가리키는 말.
틀:대만의 도시철도 노선의 내용을 한정으로 하는 단어로 보면 된다.
[7]
타이완 철로관리국
[패스]
[9]
싱가포르의
우드랜즈 역도
말레이 철도가 관할한다.
[열차등급]
[운임]
[패스]
[승차권]
[열차등급]
[패스]
[패스]
[17]
철도 연계
페리
[18]
계획 자체가 흑역사화되었다가 2018년부터 다시 추진하고 있다.
[19]
얼씨구야가 수도권에서 전철을 타면 가장 많이 나오는 유명한 환승 음악이었고 2016년부터 부산의 동해선 광역전철에서도 들을 수 있다. 그러나 서교공이
풍년(음악)으로 갈아치워 대표 이미지가 퇴색됐다.
[20]
이러한 시설이 존재하는 이유는
스위치백 문서 참조.
[21]
하차량을 뜻한다. 역 관련 항목에 나온 강차량은 제외의 뜻.
[22]
철도 노선 현황을 다루는 '고시'이므로 넓게 보면 합당함.
[23]
당초 본 문서에는 보선기능사(1998년 5월 9일 대통령령 제 15794호에 의해 보선기능사 2급에서 보선기능사로 통폐합됨.)로 등재되어 있었으나 해당 자격증이 드디어 2012년 12월 21일 고용노동부령 제 71호에 의해 철도토목기능사로 변경되었다. 다른 자격증 명칭 개정보단 상당히 늦은 편이다. 예를 들어 철도운송산업기사만 해도 2005년에 개정된 것.
[24]
열차조작기능사로 시작된 이 자격증은, 현재 이 문서에 명시된 철도 관련 및 운전운송 분류군의 국가기술자격증 중에서 유일하게 비상대비자원관리법의 관리 하에 있는 자격증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이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으며 더불어 관련 업종에 근무하고 있는 사람이라면 전시에 군사작전지원, 군수지원업무 등에 기술인력으로 차출될 가능성이 높다는 이야기.
[25]
2022년 폐지
[26]
특이한 점이라면, 이 자격종목은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철도' 분류에 넣지 않고 상기한 철도토목 관련 자격종목과 함께 '토목' 분류에 분류했다. 이는 1974년 10월 16일 대통령령 제 7283호에 의해 이 자격종목이 시작될 당시에는 '토목기술사(철도)'였기 때문이기도 하고 이 자격종목이 목표하는 인재상 역시 철도 분야의 토목 기술에 관한 고도의 전문지식을 요하는 직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 1991년 10월 31일 대통령령 제 13494호에 의해 '철도기술사'로 개명되고서도 죽 이어져오고 있다.
[27]
특별한 표시가 없을 시 해발고도를 의미함.
[※]
지표면 기준
[29]
영광역 깊이가 150m 이상이라는 말이 있다.
[30]
광역/도시철도(192,179명)+고속/일반철도(101,919명), 2019년 기준
[31]
2호선만 집계. 2019년 기준
[32]
기네스북 기록
[33]
시범용은 전에도 있었으나 정식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