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토론 합의, 토론주소1=UnadvisedMatureComfortablePrint, 합의사항1=r34의 디자인으로 고정 [세부 디자인은 자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국무위원회 직할 부서 | |||
국가보위성 | 국방성 | 사회안전성 | 국가체육지도위원회 | |
내각 부서 | ||||
위원회 | ||||
국가계획위원회 | 농업위원회 | |||
평양건설위원회 | 국가가격위원회 | 국가검열위원회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
국가비상재해위원회 | 국가품질감독위원회 | |||
성 | ||||
건설건재공업성 | 경공업성 | 교육성 | 국가건설감독성 | |
국토환경보호성 | 금속공업성 | 기계공업성 | 대외경제성 | |
도시경영성 | 로동성 | 륙해운성 | 림업성 | |
문화성 | 보건성 | 상업성 | 석탄공업성 | |
선박공업성 | 수산성 | 외무성 | 원자력공업성 | |
자원개발성 | 재정성 | 전력공업성 | 정보산업성 | |
지방공업성 | 채취공업성 | 철도성 | 체육성 | |
화학공업성 | ||||
기타 부서 | ||||
인민봉사총국 | 국가설계총국 | 국가항공우주기술총국 | 중앙은행 | |
중앙통계국 | 기상수문국 | 내각사무국 | 내각정치국 | |
국가과학원 | ||||
}}}}}}}}} |
북한의
내각기관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c0021,#222222><tablebgcolor=#bc0021,#222222> |
철도성 鐵道省 Korean State Railway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공식 로고 ] |
<nopad> | }}}}}} | |
<colbgcolor=#bc0021,#222222><colcolor=#fff> 설립 | 1948년 9월 ([age(1948-09-01)]주년) | ||
철도상 | 국명호 | ||
상위 조직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내각 | ||
하위 조직 |
참모국 수송지휘국 대외사업국 지역 철도총국 5개[1] 철도성콤퓨터공장 |
||
고유 색상 |
#FB0018
|
||
주소 | |||
철도성 청사 (
평양시
중구역 류성동)
|
[clearfix]
1. 개요
북한의 내각 산하 기관. 대한민국의 한국철도공사, 국가철도공단과 국토교통부 철도국[2]에 대응하는 기관으로서, 영업거리는 대략 4,918.3㎞ + α[3] 정도 된다.철도성 상징은 조선의 '조'를 터널과 선로로 형상화 한 것이다.
2. 운영
국제열차를 운영하고 있지만 자국 내 열차 수요량보다 보유차량이 항상 부족한 상황이다 보니 중국에서 온 화차를 돌려보내지 않고 임의로 다른 곳에 돌려서 사용하는 만행을 저지르다가 중국에게 경고를 받고 상태가 안 좋은 일부라도 돌려준 일이 발생하는 것을 보아 국제 신뢰도가 좋을 리 없다.직원들은 원칙상 군인이 아님에도 군복과 닮은 제복을 입으며, 내무군 등과 같은 정모를 착용하고, 역장에게는 대위/ 기관사와 차장에게는 중사/개찰원에게는 중급병사의 계급이 부여되는 등, 사실상 준군사조직이라고 볼 수 있다.
중앙 직원들도 직위에 따라 위급/ 좌급군관이나 장령까지 임명되며, 철도성 참모장은 대장을 달고 있다. 역장과 같은 관리직을 참모장, 기관차 검수시설 중간관리직을 중대장이라 칭하기도 한다.
이는 전쟁 발발시 병력/군사물자 수송을 원활히 하고자 이루어진 조치이다. 남한도 철도기관사들에게 예비군/ 민방위를 면제하는 등 철도 종사자들의 업무를 전시보직으로 보고 있다지만, 대부분의 국가는 민간인/ 공무원 신분의 철도 종사자들과 철도 시설을 징발해 쓰는 형태를 취하지, 철도 운영기관 근무자들을 군인처럼 굴리지는 않는다.
컴퓨터를 통해 종사자 교육을 시행하는 것이 확인되었으나, 대한민국처럼 시뮬레이터 수준까지 되는 것은 아니고 선로 현장/ 환경을 눈으로 확인하는 수준에 그치는 모양이다.
대한민국과 다르게 각 총국마다 기관차가 할당되어있다. 남한에선 수색기관차 소속이 부산을 가든 어쩌든 아무런 문제가 없는데, 북한에서는 예를 들어 함흥철도총국에 기관차 몇 대 이런식이다.
서로 관할지역이 바뀌는 역에서 각 지역 관할 기관차 교대를 한다. 투입할 기관차가 부족하면 객화차는 그 역에 그냥 서 있는다. 이러니 정시운행은 꿈도 못 꾸는 수준.
2.1. 노선 현황
북한의 여객열차 등급 |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colbgcolor=#C60C30><colcolor=#fff> | 태양호 |
국제 | 평양 ~ 단둥 / 평양 ~ 베이징 / 평양 ~ 모스크바 | |
급행 | 급행 | |
준급행 | 준급행 | |
일반 | 완행 | |
보통 | 통근 | }}}}}}}}} |
평양 지하철과 평양 궤도전차, 청진 궤도전차 등 도시철도를 제외한 북한의 모든 철도 노선을 소유하고 운영하고 있다.
하지만 평양역과 서평양역을 중심으로 하는 주요 노선을 제외하고는 인프라가 상당히 낙후되고 열악한 수준이다. 운영하는 노선에 대해서는 철도 노선 정보/북한을, 철도 환경에 대해서는 북한의 철도 환경을 참조.
2.2. 철도역 현황
자세한 내용은 철도 노선 정보/북한 문서 참고하십시오.2009년 기준 719개의 철도역이 있으며 함경남도가 126개로 제일 많다. 철도역 등급은 주요철도역, 중간역, 간이역으로 나뉘어진다.
특이한 점은 여객 전용역이 20개, 화물 전용역이 12개, 겸용역이 682개로 여객과 화물을 같이 취급하는 역이 대부분이라는 것.
2.3. 철도성 혁명사적관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white,black> 체제선전시설 | |
평양시 | ||
<colbgcolor=#cccccc,#333333> 중구역 | 김일성광장 ( 대주석단) · 당창건사적관 · 조선혁명박물관 · 천리마동상 | |
대동강구역 | 당창건기념탑 · 옥류전시관 | |
대성구역 | 금수산태양궁전 · 대성산혁명렬사릉 | |
만경대구역 | 국가선물관 · 만경대고향집 · 청년운동사적관 · 칠골혁명사적관 | |
모란봉구역 | 개선문 · 조중우의탑 · 해방탑 | |
보통강구역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관 ( 조국해방전쟁승리기념탑 / 푸에블로호) · 중앙계급교양관 | |
서성구역 | 3대혁명전시관 · 조국해방전쟁참전렬사묘 | |
기타 |
애국렬사릉 (
형제산구역) ·
재북인사릉 (
룡성구역) · |
|
량강도 | ||
전체 | 백두산지구 혁명전적지 ( 정일봉) · 보천보전투승리기념탑 | |
자강도 | ||
전체 | 국제친선전람관 | |
함경북도 | ||
전체 | 회령고향집 | |
황해남도 | ||
전체 | 신천박물관 | |
전국 | ||
전체 | 구호나무 · 김일성김정일동상 · 명제비 · 영생탑 | |
일반 박물관 | ||
평양시 | ||
중구역 | 조선미술박물관 · 조선민속박물관 · 조선우표박물관 · 조선중앙력사박물관 · 철도성 혁명사적관 | |
대성구역 | 자연박물관 · 조선중앙동물원 · 조선중앙식물원 | |
락랑구역 | 과학기술전당 · 락랑박물관 | |
기타 | 지하철도건설박물관 ( 모란봉구역) · 평양문화전시관 ( 대동강구역) | |
개성시 | ||
전체 | 개성고려박물관 | |
강원도 | ||
전체 | 원산력사박물관 | |
자강도 | ||
전체 | 강계력사박물관 | |
량강도 | ||
전체 | 혜산력사박물관 | |
평안남도 | ||
전체 | 평성력사박물관 | |
평안북도 | ||
전체 | 신의주력사박물관 · 향산력사박물관 | |
함경남도 | ||
전체 | 함흥력사박물관 | |
함경북도 | ||
전체 | 청진력사박물관 | |
황해남도 | ||
전체 | 해주력사박물관 | |
황해북도 | ||
전체 | 사리원력사박물관 | |
}}}}}}}}} |
철도박물관과 비슷한 시설인 철도성 혁명사적관도 운영 중이다. 평양역에서 700m 정도 떨어진 이곳엔 이름답게 김씨 왕조의 '자칭' 혁명에 관련된 전시품 비중이 압도적으로 높다.
자세한 내용은 이 블로그를 참고하자.
3. 역대 철도상
<rowcolor=#ffffff> 성명 | 임기 | 비고 |
김회일 | 1953년 ~ ( 미상) | 철도 기관사 출신으로 사임 후 1996년 노환으로 별세 |
박의완 | ( 미상) ~ 1958년 | |
깁갑순 | 1962년 ~ ( 미상) | |
남일 | 1966년 ~ 1967년 | |
김룡삼 | 1998년 ~ 2008년 | 차량 관리 부실로 인해 사형[4] |
전길수 | 2008년 ~ 2015년 | |
장혁 | 2015년 ~ 2021년 | |
장춘성 | 2021년 ~ 2023년 | |
국명호 | 2023년 ~ 현재 |
4. 각 지역 철도총국
총 5개의 지역 철도총국이 편성되어 있다. 2015년 이전에 청진철도총국에서 라선철도총국이 분할되었다.체계는 다음과 같다.(볼드체는 본부 소재역)
<rowcolor=#ffffff> 총국 | 주요역 | 소재역 |
평양철도총국 | 개성역, 사리원청년역, 남포역 | 평양역 |
개천철도총국 | 강계역, 만포청년역, 신의주청년역 | 개천역 |
함흥철도총국 | 원산역, 세포청년역, 신포역 | 함흥역 |
청진철도총국 | 길주청년역, 혜산청년역. 무산역 | 청진청년역 |
라선철도총국 | 두만강역, 선봉역 | 라진역 |
분국 산하에 기차역, OO대(검수대, 전철대 등), OO소(변전소 등)를 두고 있다.
5. 관련 문서
6. 기타
북한 내각 성급 기관 중 가장 먼저 문서가 만들어졌다.
[1]
평양철도총국, 개천철도총국, 함흥철도총국, 청진철도총국, 라선철도총국
[2]
한국은 정책부문, 건설 및 관리부문, 운영부문이 분리되어 있지만 북한은 이 모든 것들을 철도성에서 담당하고 있다.
[3]
나무위키 문서 기반 계산
[4]
전시 대비 목적으로 비축해 두는
증기기관차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처형당했다.
룡천역 열차 폭발사고 때문에 처형당했다는 얘기도 있지만
고난의 행군 이후에 철도노동자들이 증기기관차의 부품을 빼돌려
고철로 팔아넘기는 것을 막지 못해 본보기로 처형되었다는 것이 중론이다. 실제로 전시대비용 증기기관차 비축은
김일성의 유훈이기 때문에 종종 고위간부들이 기관차 관리 문제로 처형당하는 일이 빈번한데,
2016년
5월
조선로동당 제7차대회 도중에도 평양 철도국장이 동일한 이유로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놀랍게도
금주령을 어기고 술을 마셨다는 이유가 진짜 체포사유이다. 증기기관차 관리 소홀은 그저
명분에 불과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