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23:56:44

원패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교통카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티머니 티머니( 팝티머니 · 신 한꿈이카드 · 기후동행카드 · 와우패스) · 유패스 · 구 한꿈이카드 · 탑티머니
이동의즐거움 캐시비H( 이베스트카드 · eB 티머니 · eB 유패스 · 티모아) · 한페이H · 하나로카드 · 마이비
한국철도공사 레일플러스H
DGB금융그룹 원패스( 탑패스) · 대경교통카드
기타 payOn · R · 하이패스H · 김해그린카드 · 센스패스( 탑캐시) · A-Cash · K-Cash
H 선불하이패스 겸용 / R 레일플러스 기반 / † 단종 / ‡ 단종 및 통용중지 }}}}}}}}}


대구·경북의 대중교통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AA> 파일:대구광역시 휘장.svg 대구광역시 파일:경상북도 휘장.svg 경상북도
항공 대구국제공항 포항경주공항
항만 없음 영일만항
포항여객선터미널
후포여객선터미널
철도 역 목록 역 목록
대구권 광역전철 ( 대구 도시철도 · 경북 도시철도)
버스 터미널 목록 터미널 목록
교통카드
캐시비 · 티머니 · 대경교통카드 · 원패스 · 탑패스
대구-경산-영천 광역환승할인 · 김천-구미-칠곡 광역환승할인 · 대구경북 공동생활권 대중교통 광역환승체계
}}}}}}}}} ||
<colcolor=#ffffff> 원패스
Onepass
파일:원패스.png
<colbgcolor=#007dc5> 사업자 <colbgcolor=#ffffff,#1f2023> (주)DGB유페이
서비스 개시 2014년 11월
규격 국토교통부 전국호환교통카드 규격
사용 지역 대한민국 전역
( 영양군, 진도군, 부산김해경전철 제외)[1]
지불 방식 선불식
원패스 공식 홈페이지 [2]

1. 개요2. 사용 지역
2.1. 호환 연혁
3. 문제점4. 환불

1. 개요

파일:external/www.ubi-pay.com/i_card_type010.gif
홈페이지
대구광역시· 경산시· 영천시 등지에서 사용되는 교통카드. 전철역, DGB대구은행 지점, 가두판매대, 편의점에서 카드를 살 수 있으며 가격은 일반 카드형이 2,500원, 액세서리형은 5,000원이다. 일반용은 파란색, 청소년용은 빨간색, 어린이용은 연두색으로 나온다.

탑패스가 전국호환교통카드 규격이 아니었던 탓에 국토교통부의 One card, All pass 규격인 전국호환교통카드 TBC 뉴스를 통해 새로 선보였다. 대경교통카드의 단종 사실과 달리 탑패스의 단종 여부는 회사에서 공식적으로는 발표하지 않았지만, 정황상 기존 탑패스는 단종된 것으로 보인다.

청소년용부터 발매했으며, 대구은행에 제일 먼저 물량이 공급된다고 하나 TBC의 취재 후에도 곧바로 출시하지 않았고 2014년 11월 말경에 대구 도시철도 역에서 우선 판매를 시작했다. 가판대에는 2015년부터 원패스가 들어왔다.

구형 탑패스는 DGB대구은행 지점에서만 파는 별도의 자동충전 카드를 구매해야 했지만, 원패스에는 자동충전 기능이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다. 대구은행에서 원패스 카드를 들고 가서 자동충전 신청을 하면 되며, 대구은행 지점에서 카드 구입시 나오는 영수증에도 자동충전 가능 카드라는 의미로 "원패스(자동충전)"라고 찍혀 나오고 영수증 오른쪽 하단에 원패스의 자동충전 등록 여부가 나온다.[3]

참고로 계좌이체 충전 방식이 티머니, 캐시비 등과 많이 다르다. 대구은행 계좌를 연결해서 쓸 수 있으며, 일단 등록 후에는 현금카드 없이 교통카드만으로도 대구은행 ATM에서 연결 계좌의 돈을 끌어다가 충전이 가능하다.

2016년 4월에 대중교통안심카드를 출시할 예정으로 약관을 변경했고, 5월에 대중교통안심카드를 3가지 권종별로 출시했다. 대중교통안심카드는 대구은행 지점에서 판매하며, 가격은 3,000원이다. 마찬가지로 분실 신고가 되는 후불교통카드처럼 블랙리스트 등재 원리에 따라 버스와 전철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 대신 분실 시에도 잔액을 환불 받을 수 있다. 자동충전 기능도 그대로 탑재되어 있다.

액세서리형은 한참 늦게 출시했으며, 대구은행 지점이나 전철역에는 없고 몇몇 가두판매대에서 주로 판매 중이다. DGB금융지주의 로고 컬러 및 DGB유페이 로고가 있으며, 일반용만 판매하고 있다. 기존 네모난 도안과 네모+반원 도안 2가지가 보이는데, 네모난 것의 경우 사이즈는 액세서리형 대경교통카드 후기형과 비슷하다.

한동안 편의점에서 충전 및 결제가 불가능했으나, 2017년 10월부터 대경권 GS25와 전국 이마트24를 통해 충전 및 결제가 가능하다. 이는 탑패스에도 적용된다.

이마트24와 대경권 GS25 제휴 이후 통합권종 카드를 출시했으며, 이마트24와 GS25에서 판매한다. 이는 티머니, 캐시비에 이은 3번째다. 그리고 다른것들과는 다르게 TK지역 이외에서는 충전도 어렵고 구하기 상당히 어려운 편이다.[4] 가로형과 세로형 2가지 도안으로 나오고 가격은 1장당 2,500원이다. 하지만 티머니( 팝카드 포함)에 밀려 통합권종형 원패스를 갖다놓은 대구 소재 GS25 및 이마트24를 보기가 정말 어렵다. 그나마 몇몇 이마트24에서 세로형만 판매 중인 모습이 간간히 보이고 있지, GS25에서는 점주들이 도시철도역이나 대구은행에서 판매하는 것으로만 알고 있어서 아예 존재감이 없다.[5] 통합권종 원패스 판매 여부는 해당 편의점 점주 마음인데, 선불교통카드에 대해 좀 알고 있는 사람이라면 (충전은 둘째치고) 혜택이 거의 없는 원패스보다 티머니나 캐시비같은 전국구 양대 선불교통카드를 쓰다 보니 대구에서도 관심 밖이 된 것.[6] DGB유페이가 이거를 간파하지 못한 듯하다. 차라리 전철 역에서 판매하는 것이 2018년 7월 말부터 드디어 가로형이 GS25에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주거래 은행은 계열사인 DGB대구은행이다.

모바일 카드는 HCE 방식으로 안드로이드만 가능하다. #

2. 사용 지역

사용처 원패스 탑패스 대경교통카드 비고
대구 도시철도 버스 택시
대구 유료도로
경산 버스
경주 버스
고령 버스 [터미널]
구미 버스
김천 버스
상주 버스
성주 버스 [터미널]
안동 버스
영주 버스
영천 버스
예천 버스
울릉 버스
영덕 버스
울진 버스
의성 버스
청도 버스 [터미널]
칠곡 버스
포항 버스
부산 버스
동해선 광역전철
부산 도시철도
부산김해경전철
경남권 버스 [10][11]
충청권 버스 [12]
호남권 버스 [13][14]
수도권 전철
서울 인천 경기 버스
[15]
강원권 버스 [16]
제주 버스 [17]
고속도로
철도
유통 가맹점 [18]

2.1. 호환 연혁

2014년 10월 17일, DGB유페이 한페이시스와 상호 호환 협약을 체결하였다. 따라서 레일플러스 카드가 호환되는 2014년 12월부터 한페이와의 상호 호환으로 원패스 카드가 광주광역시에서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한페이 대구광역시에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페이 2014년 12월 23일부터 대구광역시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원패스는 2014년 12월 30일부터 광주광역시 호환을 개시했다고 기사가 발표되었다. 대구 도시철도 역에도 한페이 사용이 가능하다고 안내하고 있다. 하지만 이 때는 반대로 수도권과 김해시 시내버스에서는 구형 탑패스만 사용이 가능했다.

한페이야 애초부터 One card, All pass 카드이기 때문에 전국호환 티머니· 캐시비가 이미 개통되었던 대구 측에서는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만 하면 된다지만 과연 광주에서 원패스만 개통될 지, (One card, All pass가 아닌)기존 탑패스도 먹힐지 주목되었다. 하지만 신형 원패스만 사용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광주광역시와 상호 광역환승을 실시하는 광주광역시 인근 지역 버스(나주, 화순, 담양, 장성, 함평)에서는 교통카드 사업자가 한페이가 아니고 티머니/ 이비카드/마이비로 파편화되어 있어서[19] 2018년까지 원패스를 사용할 수 없었다.

한페이도 어찌된 일인지 초기에는 대구·경산을 뺀 인근 지역의 DGB유페이 관할 지역 버스(영천, 청도, 고령, 칠곡, 성주)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했다. 반면 레일플러스는 대구, 경산과 동시에 호환이 개시되었기 때문에 이들 지역에서는 레일플러스가 처음으로 호환이 개시된 타 지역 카드이다. 현재는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철도공사 관할의 철도역 매표창구에서도 원패스로 승차권을 구입할 수 있다. 대구역 동대구역에서만 시범 실시하다가 2015년 4월경부터 모든 철도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단, 티켓자판기에서는 사용할 수 없으며, 망할 코레일의 정책 탓에 명절 특송 예매 기간에는 창구에서도 교통카드로 승차권을 구입할 수 없다. 이는 다른 선불교통카드도 마찬가지.

2015년 4월 1일부터 경주시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이는 대경교통카드, 탑패스, 원패스를 합쳐서 대구광역시 근접 지역이 아닌 경상북도 지역에서 울릉군에 이어 2번째로 사용되는 것이다. 단, 구형 탑패스는 경주시에서 사용 불가. 앞으로 탑패스는 빼고 원패스만 호환할 것으로 보였다. 비슷한 시기에 고령군, 성주군, 청도군, 칠곡군, 영천시, 울릉군에서의 캐시비 호환도 개시되었다.

2015년 8월 25일부터 포항시, 상주시, 문경시, 영주시, 예천군, 울진군, 의성군, 제주특별자치도, 전라남도 강진군, 구례군, 함평군에서 신형 원패스뿐만 아니라 구 탑패스 카드까지 호환이 개시된다.

티머니 지역 중 안동은 센스패스 관할이었다가 한국스마트카드로 넘어오고 교통카드 단말기 문제 때문에 단말기가 교체된 2018년 이후부터 호환이 시작되었고, 대전·계룡의 경우 한국스마트카드는 하청업체고, 여기 사업자는 하나은행이다.[20] 그래서 한국스마트카드와의 협상과는 무관하다. 관련 내용은 아래에 추가 서술.

그리고 지지부진한 협상 끝에 원패스와 한페이의 수도권 호환- 티머니 광주 호환 협상이 타결되어 2016년 1월 30일부터 원패스도 한페이와 함께 수도권 이용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티머니 관할 지역에서는 대전광역시, 세종특별자치시, 충청남도 계룡시를 제외하고 탑패스와 원패스의 이용이 모두 가능하게 되었고, 고령군, 성주군, 청도군, 칠곡군, 영천시, 울릉군에서의 티머니 호환도 개시되었다.

2017년에는 마이비, 하나로카드 지역인 부산광역시 협상을 진행했고, 당초에는 7월 호환 예정이었으나 동년 12월 이동의즐거움 강원도, 충청남도, 전라남도 지역 호환 이후 이듬해인 2018년 7월이 되어서야 마이비와 정식 호환 협정을 체결하였고, 상술했듯이 부산과는 따로 협상했던 게 있었던 만큼 동년 하반기 부산광역시 시내버스와 2019년 2월 부산 도시철도를 시작으로 호환이 개시되었으며, 2020년경부터 모든 마이비 지역에서 사용이 가능해졌다. 임시 개방 지역이었던 구미시, 김천시도 원패스 한정으로 정식 호환 지역이 되었다. 다만 해당 추가 지역들은 앞서 호환된 경주시처럼 구형 탑패스는 호환되지 않으며, 반대로 대구에서도 구형 마이비의 호환이 개시되지는 않았다.

2018년 11월 27일부터 안동시에서도 탑패스와 함께 원패스 호환이 개시되었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에서는 교통카드 미시행 지역[21]을 제외하고 호환이 전면 개시되었다.

2019년 3월 13일부터 영덕군 교통카드제를 실시했는데, 한국스마트카드와 계약할 것으로 예상했던 것과 달리 DGB유페이와 직접 계약하면서 원패스의 정식 사용 지역으로 추가되었으며, 티머니 후불교통카드 호환이 가능하다.

동해선 광역전철도 2021년 12월 28일 태화강역 연장과 동시에 호환이 개시되었다. DGB유페이 홈페이지에도 부산동해남부선으로 나와있다. 부산김해경전철은 2024년 기준으로도 여전히 불가능하며, DGB유페이 홈페이지 상에는 사용불가 지역으로 나오지만 단말기를 교체한 거창군, 합천군은 불명이다. 다만 2018년에 마이비-DGB유페이 간 호환 협정을 체결하였고, 거창군과 합천군은 마이비와 계약한건지 삼원FA 단말기로 교체하였기에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일단 한국교통카드산업협회의 2023년 12월 말 기준 목록에는 부산김해경전철만 사용불가 지역으로 나와 있다.

이제 교통카드가 안 되는 곳은 봉화, 청송, 영양, 진도만 남았다. 내에서 교통카드제를 시행하지 않았던 군 중 하나였던 군위군은 2023년 7월 1일 대구광역시에 편입되면서 DGB유페이와 계약하고 원패스의 정식 사용 지역으로 추가됐다. 청송군은 2023년 1월 1일 전국 최초로 전면 무임승차제를 도입했으며, 봉화군도 2024년 1월 1일 도입했다.

전국호환 규격이기 때문에 시외버스에서도 사용할 수 있긴 한데, 경북, 경남 면허만 되는 것도 아니고 쌩뚱맞게도 인터시티경산 노선을 제외하면 경기도, 충청남도 면허만 사용 가능하다. 즉 영남권 내를 오가는 노선에서는 상술한 인터시티경산 노선, KD 운송그룹이 인수받은 노선,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 의령 버스 의령-대구 같이 실질적으로는 시외버스처럼 운행하지만 인가는 농어촌버스로 받은 노선들만 가능하다.

3. 문제점

문제는 꼴에 One card, All pass 인증이라는데 기존 탑패스보다 호환 지역이 좁았다. 유페이먼트에서는 탑패스 출시 초기의 병크를 재현하지 않기 위해 전국 호환에 무지 힘을 쏟았지만 서울시메트로9호선, 신분당선주식회사로 대표되는 수도권 민자 도시철도 운영 회사들의 무리한 요구[22]로 협상이 교착되어 전국호환이 무기한 연기되어 버렸다. 즉, 한페이와 같은 처지였다.

TBC의 취재에 따르면 유페이먼트도 적자라서 돈이 없다고 한다. 국토교통부 차원의 대책이 수립되지 않는 이상 전국호환은 힘들어 보였다.

그리고 대전광역시 호환 역시 이 비용 때문에 안 되고 있는데, 하나은행 이비카드 DGB유페이 4억 5,000만 원을 요구했다고 한다. 일단 몇몇 언론들의 압박성 보도에 두 손을 든 대전광역시청에서 캐시비와 원패스의 대전 호환을 추진하겠다고 언급한 상태. 그리고 2018년 5월 31일자로 원패스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23]

다만 현재는 전국호환이 많이 진행되어 부산김해경전철을 제외하면 모두 이용이 가능하다.

게다가 원패스 카드가 출시되었음에도, 출시 초기에는 원패스를 파는 곳이 잘 안 보였다. 어디서는 DGB대구은행에 가면 판다 하고, 어디선 지하철역 가면 판다고 하는데, 어영부영하다가 2015년 중반부터 대구 시내 가판대에서 원패스를 취급하고 있다. 캐시비 하이패스 카드처럼 판매점을 공유해서 성지순례가 이어지는 거 아니냐는 우려까지 나왔으니 말 다했다.

그나마 다행인지 지금은 대구 도시철도 역무실이나 시내 가두판매대에서 쉽게 구할 수 있고 원패스 판매 안내 포스터도 붙어 있다. 물론 기존의 구형 탑패스도 아직 팔고 있었다.

그리고 매우 긴 시간이 흐른 2017년 3월부터 대구 지역 대학교 학생증에 탑재된 교통카드가 원패스로 바뀔 전망이다. #, #, #

그리고 전술했듯이 통합권종형이 출시됐음에도, 관심 밖이 된 데다가 통합권종형의 홍보가 전혀 안 되고 있다. 그런데 대구 소재 GS25 점포 바깥에 있는 광고판에는 통합권종형 원패스 광고가 나가고 있다. 점주가 들러 놓지 않을 거면, 차라리 대구 도시철도역에서 판매하는 게 낫다. 결국 이마트24(세로 도안)와 달리 2018년 7월 말이 되어서야 GS25에서 통합권종형(가로 도안)이 보이기 시작했다. 소리소문없이 나온 5,000원짜리 액세서리형도 가판대에서만 구할 수 있어서 이 역시 불편하다.

다른 문제점들은 탑패스와 동일하다. 탑패스 문서 참조.

4. 환불

DGB대구은행 창구에서 환불 수수료를 제외한 현금으로 즉시 환불이 가능하며, 카드는 다시 돌려받는다.
물론 대구은행 계좌로도 이체가 가능하다.

환불 수수료는 10,000원 미만 200원, 10,000원 이상은 환불 금액의 1.5%다.
일부 금액 환불은 불가능하고 전액 환불만 가능하다.

분실된 카드는 당연히 환불이 불가능하다.

자세한 내용은 환불안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2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단 제주도를 포함한 일부지역은 이용이 제한된다. [2] DGB유페이 홈페이지로 넘어간다. [3] 영수증 좌측 하단에는 계좌이체충전 등록 여부가 나온다. [4] 통합권종이 엄연히 아니지만, 대경교통카드의 유일한 장점이 바로 통합권종과 비슷하게 상호 전환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일반용 카드 구입 후 대구 도시철도역이나 대구은행 창구로 가서 (나이 확인이 가능한) 신분증과 함께 카드를 건네 주면 일반용 카드라도 학생용으로 간단히 타입 변경이 가능하며, 중고 카드도 가능하다. 그래서 대구 지역 대학교 신입생 중 이를 잘 알고 있었던 몇몇은 대학교 학생증에 탑재된 대경교통카드를 청소년용으로 바꿔서 쓰기도 했다. 어차피 생일이 지나면 알아서 일반요금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5] 가로형 도안은 이마트24에서 아예 발주가 안 된다고 한다. [6] 이는 가판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2015년 이전에는 아예 대경교통카드, 캐시비만 취급하고 전국호환 면에서 탑패스, 원패스보다 캐시비를 더 권할 정도였다. [터미널] 고령군‧성주군‧청도군 관내 버스 터미널에서는 사용 불가 [터미널] [터미널] [10] 부산, 울산, 창원, 진주, 사천, 밀양, 양산, 김해, 의령, 함안, 통영, 거제, 창녕, 고성, 남해, 하동, 산청, 함양, 거창, 합천. DGB유페이 홈페이지 [11] 탑패스는 김해시만 사용가능 [12] 대전, 세종, 청주, 충주, 제천, 보은, 옥천, 영동, 증평, 진천, 괴산, 음성, 단양, 천안, 아산, 공주, 보령, 서산, 논산, 계룡, 당진, 금산, 부여, 서천, 청양, 홍성, 예산, 태안 [13] 광주, 전주, 군산, 익산, 정읍, 남원, 김제, 완주, 진안, 무주, 장수, 임실, 순창, 고창, 부안, 목포, 여수, 순천, 광양, 나주, 담양, 고흥, 보성, 화순, 해남, 영암, 무안, 장성, 완도, 신안, 함평, 구례, 강진, 함평, 곡성, 장흥, 영광 [14] 탑패스는 구례군만 사용가능 [15] 탑패스 자동충전 카드는 티머니· 한페이의 대중교통 안심카드와 마찬가지로 사용 불가 [16] 강릉, 횡성, 동해, 태백, 속초, 삼척, 홍천, 영월, 평창, 정선, 철원, 화천, 양구, 인제, 고성, 양양, 원주, 춘천 [17] 충전할 데가 없으니 잔액이 부족하지 않게 미리 준비해야 한다. [18] 다빈치커피, 씨스페이스, ( 대경권 한정 GS25, 세븐일레븐, CU), 이마트24 등. GS25에서 탑패스가 지불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게 확인했다. [19] 그래서 이들 지역은 한페이도 호환 지역이다. 게다가 함평군 버스는 두 축인 100번 버스와 500번 버스가 서로 교통카드 사업자가 별개였다가 2023년에 캐시비로 통일되었다. 예전의 경산버스 대화교통도 파편화된 적이 있다. [20] 김해( 글로벌캐쉬)나 춘천·원주·횡성(에이캐시)도 마이비· 이비카드는 사업자가 아닌 하청업체다. [21] 봉화군, 영양군, 청송군으로, 전라남도 진도군을 제외하고 전국 시내· 농어촌버스에서 유일하게 교통카드 이용이 불가능하다. [22] 시스템 업그레이드 비용으로 수십억 원대의 돈을 요구하고 있다. 이게 왜 말도 안 되는 억지냐 하면, 원패스· 한페이와 같은 칩을 공유하는 전국호환 티머니와 전국호환 캐시비는 이들이 운영하는 노선에서 잘만 찍힌다는 것. 즉, 하드웨어 교체 비용은 사실상 전무하며, 프로그래밍에만 2억 5,000만 원 정도가 필요하다는 것이고 그 비용을 한페이시스 및 유페이먼트가 다 내라는 거다. [23]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8053102109960753006&ref=da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