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도역 구조 유형 | ||
지상역 | 선상역 | 반지하역 |
선하역 | 고가역 | 지하역 |
1. 개요
▲ 수도권 전철 1호선 신도림역
線上驛舍
철도 위에 역무 시설이 존재하는 역사를 말한다. 선로 위에 역이 세워진다. 대개 철도 위에 맞이방이 존재하면 선상역사에 해당한다. 쉽게 말하면 승강장에 햇빛이 안 들어오는 곳이 선상역사다. 물론 승강장이 길면 역사 바깥쪽으로 튀어나와 햇빛이 들어온다.
거의 대부분의 지하철 역사도 엄밀히 말하면 선상역사가 될 수 있다. 대개 지하철은 지상에서 접근하기 쉬운 지하 1~2층에 맞이방이 존재하고, 그 아래의 지하 2~4층에 승강장이 있기 때문.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지상에 있는 철도에만 이런 개념을 적용한다.
반대되는 개념으로 선하역사가 존재한다.
2. 장점
역을 건설하기 위한 부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철도 주위의 지면에 역을 건설하려면 역을 건설하기 위한 부지가 필요한데, 고가에 역이 세워지기 때문에 지상에서 필요한 면적이 대폭 줄어든다.역사가 선로 가운데에 존재하기 때문에 선로 양쪽에서의 접근이 용이하다.
모든 승객의 동선이 선로 위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역 공간의 파악이 용이하다.
선로 위에 역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열차의 운행을 크게 방해하지 않으면서 역사 건물을 지을 수 있다.
3. 단점
건설비가 증가한다. 고가 위에 역을 세워야 하기 때문에 건설비가 대폭 증가한다. 또한 역 건물이 높아지기 때문에 주변 건물들의 일조권을 침해한다.역에 들어가려면 출입구에서 선로 상부로 한 번 올라가야 하고, 승강장에 가려면 다시 한 번 내려가야 하기 때문에 수직 이동을 두 번 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단, 동대구역, 성균관대역처럼(고가교 방면) 역 주변의 지형에 따라 역에 접근하기 위해 위로 올라갈 필요가 없는 곳도 있다.
디젤기관차나
4. 국내의 선상역사 목록
대도시에 있는 철도역은 대부분 선상역사에 해당한다.- 가산디지털단지역
- 간석역
- 강남대역
- 강릉역
- 개봉역
- 경산역
- 광주송정역
- 구미역
- 구로역
- 군포역
- 금정역
- 기장역
- 당정역
- 대구역
- 대전역
- 도봉산역(신축한 환승센터)
- 도원역
- 도화역
- 동대구역
- 동두천역
- 마산역
- 백운역
- 부산역
- 부전역( 동해선)
- 부천역
- 부평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서대전역
- 서울역
- 서빙고역
- 성균관대역
- 송도역
- 서대구역(서대구역 정차 KTX, SRT, 대경선)
- 송내역
- 수리산역
- 수원역
- 신도림역
- 안산역
- 안양역
- 연수역
- 영등포역
- 오이도역
- 외대앞역
- 용산역
- 월계역
- 의정부역
- 익산역
- 정읍역
- 제물포역
- 주안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창동역( 수도권 전철 1호선)
- 창원역
- 천안역
- 청량리역( KTX, 일반열차,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수도권 전철 경춘선,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이 정차하는 지상역사)
- 평택역
- 화서역
- 회룡역(1호선만 해당. 의정부경전철은 고가역사에 가깝다.)
5. 외국의 선상역사 목록
5.1. 일본
6. 관련 문서
[1]
현재는 전량 폐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