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건설 예정인 용인경전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용인 에버라인/102정거장 문서
, 공사역명으로 이 역명을 썼던 분당선의 역에 대한 내용은
청명역
문서
참고하십시오.이 문서는 현재 운행이 중단된 노선을 다룹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도로, 철도, 버스, 항공, 선박 등의 노선은 현재 무기한 또는 특정 기간에 한하여 운행이 중단되었습니다.
영덕역 | ||
[[동해선 대체운송버스| 대체운송 ]]
|
||
포항 방면
강 구 ← 6.6 ㎞ |
동해선 대체운송버스 |
시종착
|
역명 표기 | ||
동해선 |
영덕 Yeongdeok 盈德 / [ruby(盈徳, ruby=ヨンドク)] |
|
주소 | ||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중앙길 29 (우곡리) | ||
관리역 등급 | ||
보통역 ( 포항역 관리/ 한국철도공사 대구본부) |
||
운영 기관 | ||
동해선 | 한국철도공사 | |
개업일 | ||
동해선 | 2018년 1월 26일 | |
대체운송버스 |
2023년 12월 25일~ 2024년 12월 30일 |
|
2024년 12월 31일 예정 | ||
철도거리표 | ||
부산진 방면 강 구 ← 6.6 ㎞ |
동해선 영 덕 |
[clearfix]
1. 개요
영덕역사 |
고래불해수욕장의 떠오르는 태양
영덕역은 2018년 1월 26일 대한민국 동쪽 끝의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나지막한 언덕 위에서 독창적인 세련미를 뽐내는 3층 규모의 영덕역사는 인근의 고래불 해수욕장을 형상화한 모습으로 지어졌다. 예로부터 덕이 차 있는 곳이라 불리던 영덕의 수려하게 떠오르는 해와 융기하는 해안의 모습을 상징화한 것이다. 대게로 유명한 지역이기에 반원 형태의 역사건축을 보고 게의 집게발을 떠올리는 여행객들도 많다. 역이 지상으로부터 30m 높이에 지어져 있어서, 타는 곳에서 역광장을 벗어날 때까지 에스컬레이터를 몇 번 갈아타야하는 수고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 수고가 아깝지 않을 만큼의 멋진 전망과 건축미가 방문객을 반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동해선의 철도역,
경상북도
영덕군 영덕읍 중앙길 29 (우곡리) 소재.영덕역은 2018년 1월 26일 대한민국 동쪽 끝의 보통역으로 개업하였다. 나지막한 언덕 위에서 독창적인 세련미를 뽐내는 3층 규모의 영덕역사는 인근의 고래불 해수욕장을 형상화한 모습으로 지어졌다. 예로부터 덕이 차 있는 곳이라 불리던 영덕의 수려하게 떠오르는 해와 융기하는 해안의 모습을 상징화한 것이다. 대게로 유명한 지역이기에 반원 형태의 역사건축을 보고 게의 집게발을 떠올리는 여행객들도 많다. 역이 지상으로부터 30m 높이에 지어져 있어서, 타는 곳에서 역광장을 벗어날 때까지 에스컬레이터를 몇 번 갈아타야하는 수고가 필요하다. 하지만 그 수고가 아깝지 않을 만큼의 멋진 전망과 건축미가 방문객을 반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 정보
포항↔영덕 간 무궁화호만이 운행한다. 해당 구간을 1일 5왕복으로 운행하며, 소요시간은 34분이 걸린다. 따라서 포항 이외 지역에서 영덕역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KTX 등 다른 노선을 이용하여 포항역에 도착한 후 환승하여야 한다. 열번은 1731~1744를 배정받았다. 포항-영덕 노선은 단선비전철로 부설되었기에 차량은 RDC가 투입된다.그러나 동해선의 비전철 공사로 개통 예정이었던 영덕-삼척 구간이 국가균형개발 프로젝트에 따른 전철화에 대한 예비 타당성 조사에서 면제 되어 전철화로 변경되면서 포항-영덕 구간 또한 전철화가 확정되었다.
영덕-삼척 구간이 개통 되고 나면 기존의 포항-영덕 구간을 달리던 RDC 디젤동차가 아닌 KTX-이음과 ITX-마음이 본 역을 포함한 개통된 동해선 전 구간을 운행할 예정이다. 다만 KTX-이음이 차량 부족을 이유로 이 노선에서의 투입이 2년 가량 늦어진 탓에 2026년까지는 ITX-마음과 누리로만 운행할 예정이다.
2023년 12월 완료 예정이던 전철화 사업이 1년 연장된 반면, 무궁화호 디젤동차 폐차는 예정대로 2023년 12월에 진행되기 때문에, 2023년 12월 18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포항역~영덕역 간 열차 운행이 전면 중단된다. 이에 따라 대체운송버스가 포항역의 KTX/ SRT 시간에 맞추어 상하행 각 6회 운행된다.
2.1. 특징
위치는 7번 국도 덕곡교차로 인근으로, 영덕군청 소재지인 영덕읍 시가지 바로 옆에 위치한다. 영덕군 최대 인구밀집지역인 영덕 읍내와 바로 붙어 있기 때문에, 여객 수요 및 동해선 화물철도의 수송량을 확실하게 잡을 수 있을 듯하다. 다만 위 조감도와 같이 선로가 있는 지대가 상당히 높아서, 아래쪽의 역사 역무 및 편의시설이 설치되고 승객은 엘리베이터나 에스컬레이터를 이용해 타는 곳으로 올라가게 되는 형태로 건설되었다.동해중부선 1차 공사구간(포항~영덕)의 종점이다. 나머지 구간(영덕~삼척)은 부지가 삼척 원자력발전소 이전 부지와 겹쳐서 노선 조정 문제 때문에 착공이 늦어졌고, 2014년 10월에 착공이 들어갔다. 2018년 1차 개통에 따라 이 역이 "임시"로 시종착역의 역할을 맡고 있다.
또한 영덕역은 영덕군 철도 전체의 중심역으로서 한국철도공사가 운영하는 대구경북본부의 영덕시설사업소가 들어설 예정이다.
과거 1932년~1945년의 일제강점기 말기에 동해중부선 철도 계획상 영덕역 계획도 잡혀 있었지만, 자금 부족 등으로 인해 동해중부선 철도 건설이 많이 지체되었다가 반세기가 훌쩍 지난 지금에서야 제대로 건설되었다. 이쯤 되면 세대를 아득히 넘나드는 티스푼 공사라 해도 무방하다.
2.2. 승강장
↑ 강구 | |||||||
ㅣ | 3 | 4 | ㅣ | ㅣ | 5 | 6 | ㅣ |
시종착 |
3·4 | 동해선 | 강구· 월포· 포항 방면 |
5·6 | 미사용 승강장 |
- 특이하게 1, 2번 승강장이 존재하지 않고 3번 승강장부터 존재한다. 1, 2번선은 유치선으로 건설되어 있다. 비슷한 역으론 전주역이 있다.
- 5, 6번 승강장은 현재 사용하지 않는다. 영덕-삼척 구간 개통시 삼척 방면 승강장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3. 역 주변 정보
한국전력공사 영덕지사, 혜광신세계타운 아파트, 흥안행복타운아파트, 오십천 어린이집, 삼성전자디지털플라자 영덕점, 명륜진사갈비 경북영덕점, 펀펀게임존 영덕점 오락실[2], 영덕우진센트럴하임아파트(250세대), 영덕읍 행정복지센터, 영덕 교육지원청이 있다.이 외에도 영덕여자중학교, 영덕여자고등학교가 역세권에 해당한다.
4. 연계 교통
영덕역 바로 앞에 버스 정류장이 있어 영덕군 농어촌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역에서 약 700m 정도를 가면 영덕터미널이 있어 영덕군의 거의 모든 농어촌버스와 영덕터미널에 정차하는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영덕역에서 영덕터미널까지 택시로는 기본 요금에 갈 수 있으며 도보로 10분 정도 걸린다.
5.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f55839><bgcolor=#f55839> 연도 || [[무궁화호|
무궁화호
]] ||<bgcolor=#f55839> 비고 ||2018년 | 429명 | |
2019년 | 326명 | |
2020년 | 224명 | |
2021년 | 252명 | |
2022년 | 275명 | |
2023년 | 244명 | [3] |
2024년 | 미운행 | |
출처 | ||
철도통계연보 |
- 개통 첫달, 둘째달은 개통 버프로 1월 5일간 일평균 1,505명, 2월 한달간 일평균 773명이 이용했다.
- 개통 버프를 제외한 2019년의 통계를 보면 일평균 300명 이상인 달은 명절과 휴가철이 낀 2, 6, 8, 9월이었다.
- 동해선 포항 ~ 영덕 구간 신설역 중에선 제일 수요가 많다. 역세권 인구가 제일 많으며, 영덕군내에 바로 붙어있어 접근성이 매우 좋기 때문. 또한 전통적으로 영덕과 포항의 교류가 많기 때문에 영덕-포항간 교통수요를 분담하고 있다. 시외버스에 비해 배차는 많이 부족하지만 소요시간이 절반수준이고 무궁화 기본요금으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압도적인 이점을 지니고 있다.
- 동해안을 끼고 있는 주요관광지로서 관광객 수요도 끌어올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서산영덕고속도로 때문에 외부 관광객 수요는 제한적이다. 강구역 문서 참조.
- 울진, 영덕 지역의 포항역 방면 광역교통의 거점이다. 1일 4회 운행하던 울진발 포항역행 완행시외버스[4]가 폐지 되었다. 다만 KTX 수요는 동대구역으로도 분산되었다. 환승저항 문제가 컸는데, 영해시외버스터미널발 포항-경주 경유 동대구행 완행시외버스와 동대구역의 KTX 모두 압도적으로 배차가 더 많기 때문.
6. 둘러보기
동해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부산진† -
범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외동† - - - - - - - -
모량† - - - - - - -
부조†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실효통치지역 | 미수복지역 포함 | |
최북단 |
백마고지역[2] |
세선역 | |
최남단 | 여수엑스포역[3] | ||
최동단 |
영일만항역[4] 영덕역[5] |
두만강역 | |
최서단 | 목포역 | 룡암포역 | |
최고점 | 추전역 | 북계수역 | |
최저점 |
여의나루역[6] 김포공항역(서해선)[7] |
영광역[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