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1F7E, #1353b4 20%, #1353b4 80%, #001F7E)"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1353b4><tablebgcolor=#1353b4> |
빅토리아 관련 문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1353b4,#1353b4>역임 지위 | <colbgcolor=#fff,#1f2023> 영국 여왕( 인도 제국 여제 · 캐나다 여왕 · 호주 여왕) · 영국 왕실 수장 | |
생애 | 생애 | ||
재위 시기 | 빅토리아 시대( 연표) | ||
가족 관계 |
가족 관계 아버지 켄트와 스트래선 공작 에드워드 왕자 · 어머니 작센코부르크잘펠트의 빅토리아 공녀 · 배우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공자 앨버트 · 장녀 프린세스 로열 빅토리아 · 장남 에드워드 7세 · 차녀 영국의 앨리스 공주 · 차남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알프레트 · 3녀 영국의 헬레나 공주 · 4녀 영국의 루이즈 공주 · 3남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 4남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 5녀 영국의 베아트리스 공주 |
||
기타 | 대영제국 · 하노버 왕조 · 빅토리아 섬 · 빅토리아주 · 퀸즐랜드 · 빅토리아 폭포 · 빅토리아 호 · 빅토리아 수련 · 빅토리아 공원 · 런던 빅토리아 역 · 빅토리아 선 · 빅토리아 & 압둘 · 빅토리아(드라마) · 코이누르 · 빅토리아 · 빅토리아시티 |
빅토리아 시대 관련 틀
|
|||||||||||||||||||||||||||||||||||||||||||||||||||||||||||||||||||||||||||||||||||||||||||||||||||||||||||||||||||||||||||||||||||||||||||||||||||||||
|
빅토리아 시대
Victorian Era |
|||||
|
|||||
1901년의 런던 시가지 | |||||
1837 ~ 1901 | |||||
이전 시대 | 조지 시대 | ||||
이후 시대 | 에드워드 시대 | ||||
군주 | 빅토리아 여왕 |
1. 개요2. 시대3. 영국 사회
3.1. 사회계급(Social Class)3.2. 정치 구조:
입헌군주제3.3. 사회상
4. 문화5. 빅토리아 시대의 유명인 목록6.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작품내 연도)3.3.1. 주요 키워드3.3.2. 산업의 발전3.3.3. 현대적인
범죄조직의 등장3.3.4. 종교3.3.5.
대중문화의 태동3.3.6. 사회복지3.3.7. 교육3.3.8.
제국주의
3.3.8.1. 미국의 식민지화(1607 ~ 1783)3.3.8.2. 인도 식민지화(1757 ~ 1947)
3.3.9.
식민지
플랜테이션3.3.8.2.1. 경작
3.3.8.3. 캐나다의 식민지화(1763 ~ 1982)3.3.8.4. 호주의 식민지화(1787 ~ 1986)3.3.8.5. 말레이시아 식민지화(1826 ~ 1957)3.3.8.6. 홍콩 식민지화(1842 ~ 1997)3.3.8.7. 아프가니스탄 보호국화(1880 ~ 1919)3.3.8.8. 이집트 보호국화(1882 ~ 1922, 1956)1. 개요
|
1901년, 빅토리아 시대 말 잉글랜드 북부의 노동자들을 촬영한 동영상 |
Victorian Era (1837 ~ 1901)
We are not interested in the possibilities of defeat; they do not exist.
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패배 따위에 관심도 없습니다.[1]
빅토리아 여왕, 제2차 보어 전쟁에 대해, 1899년
우리는 존재하지도 않는 패배 따위에 관심도 없습니다.[1]
빅토리아 여왕, 제2차 보어 전쟁에 대해, 1899년
대영제국 시기, 빅토리아 여왕(1819 ~ 1901)이 여왕으로 즉위한 1837년부터 사망한 1901년까지 64년간의 치세를 빅토리아 시대라 한다. 동시기 한국은 세도 정치기 ~ 구한말, 미국은 서부개척시대였다.
영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등 다방면에서 변혁이 있었다. 고전적이면서 보수적인 도덕주의, 엄숙주의와 함께 허영과 위선도 함께 존재하는 시대이자, 합리주의와 발명, 탐구를 지향하던 근대 과학자와 발명가들과 전근대의 유산인 갖가지 미신과 전설, 도시괴담을 믿던 대중들이 뒤엉켜 공존하던 시대로 일컬어진다.
대항해시대를 거치며 타 유럽국가들과의 경쟁을 통해 신대륙의 식민지들을 획득하는 데 성공한 영국은 대영제국의 기반을 다지게 되고, 이후 산업혁명이 전개되며 한층 국력이 신장되면서 대영제국의 제국주의가 절정에 다다른다. 빅토리아 시대는 이러한 배경 하 아시아, 아프리카 등을 식민지로 삼으면서 유럽문명, 과학문명에 대한 낙관적인 시각이 사회 전체에 펴져있던 시기( 벨 에포크)이면서, 동시에 거대 자본이 형성되는 과정에서 노동자들에게 부여되었던 비인간적이며 과도한 노동에 반발해 차티스트 운동 등의 노동운동 또한 시작되었던 시기이기도 하다.
영화, 애니, 만화, 게임 등 다양한 매체에서 묘사되는 근대 유럽의 모습은 바로 이 빅토리아 시대의 영국 혹은 벨 에포크 시대의 프랑스를 따온 경우가 많다. 그런데 실제 빅토리아 시대의 고증이나 역사적인 사건에 관심을 가지기보다는 근대 유럽의 의복이나 사회상, 문화 정도만 차용하면서 작중 시기를 빅토리아 시대라고 설정하는 정도에 그치는게 다수.[2] 즉 창작물에서 빅토리아 풍은 근대 유럽 풍과 거의 동일한 의미로 쓰인다.[3] 영국을 모티브로 할 경우 귀족, 집사, 메이드처럼 다소 딱딱하고 고풍적인 분위기인 작품이 많은 반면, 프랑스를 모티브로 했다면 보다 낭만적인 분위기인 작품을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군사적 분위기를 활용하고자 독일 제국을, 궁정 문화를 극대화하고자 오스트리아 제국이나 러시아 제국 등 황제국을 배경으로 삼기도 한다. 아직 근대 과학 문명이 과도기에 있었던 시기이기 때문에 판타지와 접목이 되는 경우도 많다. 그래서 빅토리아 시대를 모티브로 한 작품들 중 마법과 기계장비를 동시에 사용하는 세계관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강대국 사이의 전쟁이 거의 일어나지 않았던 시대인 만큼, 역사적인 사건이 중심 소재가 되는 작품은 국가 간의 전쟁보다는 국가 내부의 민주주의, 민족주의, 사회주의 운동이나 이와 관련된 당대 민중의 생활상을 그리는 데에 초점을 맞춘다. 국가 사이의 전쟁을 소재로 삼으려면 당대에 절정에 달했던 식민주의를 묘사해야 하는데, 이렇게 되면 주인공 측으로 주로 나오는 유럽이 가해자가 되므로 단순히 모티브만 따오고 중심 소재는 역사적 사건과 무관한 별도의 장르( 추리물, 로맨스 등)가 많은 이유도 이와 연관이 있을 것이다.
또한 스팀펑크 장르도 산업혁명의 아이콘이 영국인 영향으로 마찬가지로 이 시기의 영국 또는 서유럽을 모티브로 삼은 경우가 많다.
서양사에서 벨 에포크와 함께 근대를 상징하는 시대로, 영미권에서는 보통 근대 양식을 빅토리안(victorian)이라고 칭한다. 이렇게 서양에서는 근대의 상징으로 각인되어 많은 사람들이 관심을 갖는 시대이기에 당시의 생활상을 소개하는 자료들도 여럿 있는데, 여기에 관심있다면 좋은 자료이다.
- English Heritage(한글자막) - 영국의 전통문화를 종합적으로 다루는 채널. 빅토리아 시대의 요리들을 소개하는 영상시리즈가 있다.
- Surviving a Day in the Victorian Era(영어) - 빅토리아 시대 일반인들의 삶을 직접 체험해보는 다큐멘터리.
- Servants: The True Story of Life Below Stairs(영어) - 빅토리아 시대 집사와 메이드의 삶을 조명하는 BBC의 3부작 다큐멘터리.
2. 시대
2.1. 빅토리아 시대 이전
2.2. 연표
빅토리아 시대/연표 참조.2.3. 동시대 국가들의 수장들
대영제국의 구성원은 1837년~1952년 당시 영국 왕실 문장 사용.2.3.1. 아메리카 대륙
=====# 미국 #=====- 아메리카 합중국( 미국)
- 제8대 대통령 마틴 밴뷰런(1837 ~ 1841)
- 제9대 대통령 윌리엄 헨리 해리슨(1841 ~ 1841)
- 제10대 대통령 존 타일러(1841 ~ 1845)
- 제11대 대통령 제임스 포크(1845 ~ 1849)
- 제12대 대통령 재커리 테일러(1849 ~ 1850)
- 제13대 대통령 밀러드 필모어(1850 ~ 1853)
- 제14대 대통령 프랭클린 피어스(1853 ~ 1857)
- 제15대 대통령 제임스 뷰캐넌(1857 ~ 1861)
- 제16대 대통령 에이브러햄 링컨(1861 ~ 1865)
- 제17대 대통령 앤드루 존슨(1865 ~ 1869)
- 제18대 대통령 율리시스 S. 그랜트(1869 ~ 1877)
- 제19대 대통령 러더퍼드 B. 헤이스(1877 ~ 1881)
- 제20대 대통령 제임스 A. 가필드(1881 ~ 1881)
- 제21대 대통령 체스터 A. 아서(1881 ~ 1885)
- 제22대 대통령 그로버 클리블랜드(1885 ~ 1889)
- 제23대 대통령 벤저민 해리슨(1889 ~ 1893)
- 제24대 대통령 그로버 클리블랜드(1893 ~ 1897)
- 제25대 대통령 윌리엄 매킨리(1897 ~ 1901)
=====# 캐나다 #=====
- 캐나다 국왕
- 어퍼캐나다 식민지, 로어캐나다 식민지(1795 ~ 1841)
- 총독 제2대 고스퍼드 백작 아치볼드 애치슨(1835 ~ 1837)
- 총독 제1대 시턴 남작 존 콜보른(1837 ~ 1838)
- 총독 제1대 더럼 백작 존 램턴(1838 ~ 1839)
- 총독 제1대 시드넘 남작 찰스 풀렛 톰슨(1839 ~ 1841)
- 캐나다 식민지(1841 ~ 1867)
- 초대 총독 찰스 배곳 경(1842 ~ 1843)
- 제2대 총독 제1대 멧칼프 남작 찰스 멧칼프(1843 ~ 1845)
- 제3대 총독 제2대 캐스카트 백작 찰스 캐스카트(1846 ~ 1847)
- 제4대 총독 제8대 엘긴 백작 제임스 브루스(1847 ~ 1854)
- 제5대 총독 에드먼드 워커 헤드 경(1854 ~ 1861)
- 제6대 총독 제4대 멍크 자작 찰스 멍크(1861 ~ 1867)
- 캐나다 자치령
- 초대 총독 제4대 멍크 자작 찰스 멍크(1867 ~ 1869)
- 초대 총리 존 맥도널드 경(1867 ~ 1873)
- 제2대 총독 제1대 리스가 남작 존 영(1869 ~ 1872)
- 초대 총리 존 맥도널드 경(1867 ~ 1873)
- 제3대 총독 제1대 더퍼린과 아바 후작 프레더릭 해밀턴템플블랙우드(1872 ~ 1878)
- 제4대 총독 제9대 아가일 공작 존 캠벨(1878 ~ 1883)
- 초대 총리 존 맥도널드 경(1878 ~ 1891)
- 제5대 총독 제5대 랜즈다운 후작 헨리 페티피츠모리스(1883 ~ 1888)
- 초대 총리 존 맥도널드 경(1878 ~ 1891)
- 제6대 총독 제16대 더비 백작 프레데릭 스탠리(1888 ~ 1893)
- 제7대 총독 제1대 애버딘과 해밀턴 후작 존 해밀턴고든(1893 ~ 1898)
- 제8대 총독 제4대 민토 백작 길버트 엘리엇머리키닌마운드(1898 ~ 1904)
- 제7대 총리 윌프리드 로리에(1896 ~ 1911)
=====# 멕시코 #=====
- 멕시코 중앙집권공화국
- 제4대 대통령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1837 ~ 1839)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39 ~ 1839)
- 제11대 대통령 니콜라스 브라보(1839 ~ 1839)
- 제4대 대통령 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1839 ~ 1841)
- 제12대 대통령 프란시스코 하비에르 에체베리아(1841 ~ 1841)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1 ~ 1842)
- 제11대 대통령 니콜라스 브라보(1842 ~ 1842)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3 ~ 1843)
- 제13대 대통령 발렌틴 카날리소(1843 ~ 1844)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4 ~ 1844)
- 제14대 대통령 호세 호아킨 데에레라(1844 ~ 1844)
- 제13대 대통령 발렌틴 카날리소(1844 ~ 1844)
- 제14대 대통령 호세 호아킨 데에레라(1844 ~ 1845)
- 제15대 대통령 마리아노 파레데스(1845 ~ 1846)
- 제11대 대통령 니콜라스 브라보(1846 ~ 1846)
- 제16대 대통령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1846 ~ 1846)
- 멕시코 제2연방공화국
- 제7대 대통령 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1846 ~ 1847)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7 ~ 1847)
- 제17대 대통령 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1847 ~ 1847)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7 ~ 1847)
- 제18대 대통령 마누엘 데 라페냐 이페냐(1847 ~ 1847)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47 ~ 1847)
- 제17대 대통령 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1847 ~ 1848)
- 제18대 대통령 마누엘 데 라페냐 이페냐(1848 ~ 1848)
- 제14대 대통령 호세 호아킨 데에레라(1848 ~ 1851)
- 제19대 대통령 마리아노 아리스타(1851 ~ 1853)
- 제20대 대통령 후안 바티스타(1853 ~ 1853)
- 제21대 대통령 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1853 ~ 1853)
- 제8대 대통령 산타 안나(1853 ~ 1855)
- 제22대 대통령 마르틴 카레라(1855 ~ 1855)
- 제23대 대통령 로물로 디아스 데 베가(1855 ~ 1855)
- 제24대 대통령 후안 알바레스(1855 ~ 1855)
- 제25대 대통령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1855 ~ 1857)
- 제26대 대통령 베니토 후아레스(1857 ~ 1872)
- 제25대 대통령 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1857 ~ 1858)
- 제27대 대통령 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1858 ~ 1858)
- 제28대 대통령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1858 ~ 1859)
- 제27대 대통령 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1859 ~ 1859)
- 제29대 대통령 미겔 미라몬(1859 ~ 1860)
- 제30대 대통령 호세 이그나시오 파본(1860 ~ 1860)
- 제29대 대통령 미겔 미라몬(1860 ~ 1860)
- 제27대 대통령 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1861 ~ 1862)
- 멕시코 제2제국
- 황제 막시밀리아노 1세(1864 ~ 1867)
- 멕시코 합중국
=====# 브라질 #=====
- 브라질 제국
- 제2대 황제 페드루 2세(브라질)(1831 ~ 1889)
- 브라질 제1공화국
- 초대 대통령 데오도루 다 폰세카(1889 ~ 1891)
- 제2대 대통령 플로리아누 페이쇼투(1891 ~ 1894)
- 제3대 대통령 프루덴치 지 모라이스(1894 ~ 1898)
- 제4대 대통령 캄푸스 살리스(1898 ~ 1902)
=====# 아르헨티나 #=====
- 아르헨티나 연합국
- 제9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총독 후안 마누엘 데 로사스(1835 ~ 1852)
- 제10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총독 비센테 로페스 이 플라네스(1852 ~ 1852)
- 제11대 부에노스아이레스 주총독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1852 ~ 1854)
- 제3대 대통령 후스토 호세 데 우르키사(1854 ~ 1860)
- 제4대 대통령 산티아고 데르키(1860 ~ 1861)
- 제5대 대통령 후안 에스테반 페데르네라(1861 ~ 1861)
- 아르헨티나 공화국
- 제6대 대통령 바르톨로메 미트레(1861 ~ 1868)
- 제7대 대통령 도밍고 사르미엔토(1868 ~ 1874)
- 제8대 대통령 니콜라스 아베야네다(1874 ~ 1880)
- 제9대 대통령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1880 ~ 1886)
- 제10대 대통령 미겔 후아레스 셀만(1886 ~ 1890)
- 제11대 대통령 카를로스 페예그리니(1890 ~ 1892)
- 제12대 대통령 루이스 사엔스 페냐(1892 ~ 1895)
- 제13대 대통령 호세 에바리스토 우리부루(1895 ~ 1898)
- 제14대 대통령 훌리오 아르헨티노 로카(1898 ~ 1904)
2.3.2. 유럽
=====# 영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대영제국)
- 빅토리아 여왕(1837 ~ 1901)
- 제30대 총리 윌리엄 램(1835 ~ 1841)
- 제31대 총리 로버트 필(1841 ~ 1846)
- 제32대 총리 존 러셀(1846 ~ 1852)
- 제33대 총리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1852 ~ 1852)
- 제34대 총리 조지 해밀턴고든(1852 ~ 1855)
- 제35대 총리 헨리 존 템플(1855 ~ 1858)
- 제36대 총리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1858 ~ 1859)
- 제37대 총리 헨리 존 템플(1859 ~ 1865)
- 제38대 총리 존 러셀(1865 ~ 1866)
- 제39대 총리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1866 ~ 1868)
- 제40대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1868 ~ 1868)
- 제41대 총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68 ~ 1874)
- 제42대 총리 벤저민 디즈레일리(1874 ~ 1880)
- 제43대 총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80 ~ 1885)
- 제44대 총리 로버트 개스코인세실(1885 ~ 1886)
- 제45대 총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86 ~ 1886)
- 제46대 총리 로버트 개스코인세실(1886 ~ 1892)
- 제47대 총리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1892 ~ 1894)
- 제48대 총리 아치볼드 프림로즈(1894 ~ 1895)
- 제49대 총리 로버트 개스코인세실(1895 ~ 1902)
=====# 프랑스 #=====
- 프랑스 7월 왕정( 입헌군주제):
- 루이 필리프 1세(1830 ~ 1848)
- 프랑스 제2공화국:
- 나폴레옹 3세(1848 ~ 1852) - 대통령으로서
- 프랑스 제2제국:
- 나폴레옹 3세(1852 ~ 1870) - 황제로서
- 프랑스 제3공화국
=====# 독일 #=====
- 프로이센 왕국
- 프리드리히 빌헬름 3세(1797 ~ 1840)
-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1840 ~ 1861)
- 빌헬름 1세(1861 ~ 1871)
- 제28대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1862 ~ 1873)
- 독일 제국
- 빌헬름 1세(1871 ~ 1888) - 빅토리아 여왕의 사돈.
- 초대 총리 오토 폰 비스마르크(1871 ~ 1890)
- 프리드리히 3세(1888) - 빅토리아 여왕의 맏사위.
- 빌헬름 2세(1888 ~ 1918) - 빅토리아 여왕의 외손자. 그러나 여왕 사후 손자(조지 5세) 치세에 결국 특급 게임을 벌인다.
- 제2대 총리 레오 폰 카프리비(1890 ~ 1894)
- 제3대 총리 클로트비히 추 호엔로헤실링스퓌르스트(1894 ~ 1900)
- 제4대 총리 베른하르트 폰 뷜로(1900 ~ 1909)
=====# 오스트리아 #=====
- 오스트리아 제국:
- 페르디난트 1세(1835 ~ 1848)
- 초대 총리 Franz Anton Graf von Kolowrat-Liebsteinsky(1848.3.20 ~ 1848.4.19)
- 제2대 총리 Karl Ludwig Graf von Ficquelmont(1848.4.19 ~ 1848.5.8)
- 제3대 총리 Franz Freiherr von Pillersdorf(1848.5.4 ~ 1848.7.8)
- 제4대 총리 Anton Freiherr von Doblhoff-Dier(1848.7.8 ~ 1848.7.18)
- 제5대 총리 Johann Freiherr von Wessenberg-Ampringen(1848.7.18 ~ 1848.11.21)
- 제6대 총리 Felix Fürst zu Schwarzenberg(1848.11.21 ~ 1852.4.5)
- 프란츠 요제프 1세(1848 ~ 1867)
- 제7대 총리 Karl Ferdinand Graf von Buol-Schauenstein(1852 ~ 1859)
- 제8대 총리 Johann Bernhard Graf von Rechberg und Rothenlöwen(1859 ~1861)
- 제9대 총리 Rainer Ferdinand von Österreich(1861 ~1865)
- 제10대 총리 Alexander Graf von Mensdorff-Pouilly(1865.6.26 ~ 1865.6.27)
- 제11대 총리 Richard Graf Belcredi(1865 ~ 1867)
- 제12대 총리 Friedrich Ferdinand Graf von Beust(1867.2.7 ~ 1867.12.30)
- 대타협(1867)
-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 프란츠 요제프 1세(1867 ~ 1916)
- 제13대 총리 Fürst Karl von Auersperg(1867 ~ 1868)
- 제14대 총리 Eduard Taaffe(1868 ~ 1870)
- 제15대 총리 Ignaz von Plener(1870.1.15 ~ 1870.2.1)
- 제16대 총리 Leopold Hasner von Artha(1870.2.1 ~ 1870.4.12)
- 제17대 총리 Alfred Józef Potocki|Graf Alfred Potocki(1870.4.12 ~ 1871.2.6)
- 제18대 총리 Karl Sigmund von Hohenwart(1871.2.6 ~ 1871.10.30)
- 제19대 총리 Ludwig von Holzgethan(1871.10.30 ~ 1871.11.25)
- 제20대 총리 Fürst Adolf von Auersperg]](1871 ~ 1879)
- 제21대 총리 Karl von Stremayr(1879.2.15 ~ 1879.8.12)
- 제22대 총리 Eduard Taaffe(1879 ~ 1893)
- 제23대 총리 Alfred III. zu Windisch-Grätz|Fürst Alfred Windisch-Grätz(1893 ~ 1895)
- 제24대 총리 Erich Graf Kielmansegg(1895.6.19 ~ 1895.9.30)
- 제25대 총리 Kasimir Felix Badeni(1895 ~ 1897)
- 제26대 총리 Paul Gautsch|Paul Gautsch von Frankenthurn(1897 ~ 1898)
- 제27대 총리 Franz Fürst von Thun und Hohenstein(1898 ~ 1899)
- 제28대 총리 Manfred von Clary-Aldringen(1899.10.2 ~ 1899.12.21)
- 제29대 총리 Heinrich von Wittek(1899 ~ 1900)
- 제30대 총리 Ernest von Koerber(1900 ~ 1904)
=====# 헝가리 #=====
- 헝가리 왕국(1526년~1918년): 오스트리아 제국의 구성국.
- 페르디난트 1세(1835 ~ 1848)
- 초대 총리 바티야니 러요시(1848.3.17 ~1848.10.2)
- 권한대행 Récsey Ádám(1848.10.3 ~ 1848.10.7)
- 제2대 총리 코수스 러요시(1848.10.2 ~ 1849.5.1)
- 프란츠 요제프 1세(1848 ~ 1916)
- 제3대 총리 세미레 베르탈란(1849.5.1 ~ 1849.8.11)
- 제4대 총리 안드라시 귤라(1867.2.17 ~ 1871.11.1)
- 제5대 총리 로페니예 메니에르(1871 ~ 1872)
- 제6대 총리 슬라비 요제프(1872 ~ 1874)
- 제7대 총리 비토 이슈트반(1874 ~ 1875)
- 제8대 총리 벵크하임 벨라(1875.3.2 ~ 1875.10.2)
- 제9대 총리 티서 칼만(1875 ~ 1890)
- 제10대 총리 사파리 귤라(1890 ~ 1892)
- 제11대 총리 베케를레 산도르(1892 ~ 1895)
- 제12대 총리 반피 데소(1895 ~ 1899)
- 제13대 총리 젤 칼만(1899 ~ 1903)
=====# 이탈리아 #=====
- 사르데냐 왕국
- 카를로 알베르토(1831 ~ 1849)
- 초대 총리 체사레 발보 (1848년)
- 제2대 총리 가브리오 카사티 (1848년)
- 제3대 총리 체사레 알피에리 디 소스테뇨 (1848년)
- 제4대 총리 에토레 페로네 디 산 마르티노 (1848년)
- 제5대 총리 빈첸초 조베르티 (1848년~1849년)
- 제6대 총리 아고스티노 키오도 (1849년)
- 제7대 총리 클라우디오 가브리엘레 디 라우나이 (1849년)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1849 ~ 1861) - 카밀로 카보우르의 정치적 수완 주세페 가리발디 장군의 활약에 힘입어 이탈리아 통일을 이룩함.
- 이탈리아 왕국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2세(1861 ~ 1878)
- 초대 총리 카밀로 카보우르(1861 ~ 1861)
- 제2대 총리 베니토 리카솔리(1861 ~ 1862)
- 제3대 총리 우르바노 라타치(1862 ~ 1862)
- 제4대 총리 루이지 카를로 파리니(1862 ~ 1863)
- 제5대 총리 마르코 밍게티(1863 ~ 1864)
- 제6대 총리 알폰소 페레로 라 마르모라(1864 ~ 1866)
- 제2대 총리 베니토 리카솔리(1866 ~ 1867)
- 제3대 총리 우르바노 라타치(1867 ~ 1867)
- 제7대 총리 루이지 페데리코 메나브레아(1867 ~ 1869)
- 제8대 총리 조반니 란차(1869 ~ 1873)
- 제5대 총리 마르코 밍게티(1873 ~ 1876)
- 제9대 총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1876 ~ 1878)
- 제10대 총리 베네데토 카이롤리(1878 ~ 1878)
- 움베르토 1세(1878 ~ 1900)
- 제9대 총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1878 ~ 1879)
- 제10대 총리 베네데토 카이롤리(1879 ~ 1881)
- 제9대 총리 아고스티노 데프레티스(1881 ~ 1887)
- 제11대 총리 프란체스코 크리스피(1887 ~ 1891)
- 제12대 총리 루디니 후작 안토니오 스타라바(1891 ~ 1892)
- 제13대 총리 조반니 졸리티(1892 ~ 1893)
- 제11대 총리 프란체스코 크리스피(1893 ~ 1896)
- 제12대 총리 루디니 후작 안토니오 스타라바(1896 ~ 1898)
- 제14대 총리 루이지 펠룩스(1898 ~ 1900)
- 비토리오 에마누엘레 3세(1900 ~ 1946)
- 제15대 총리 주세페 사라코(1900 ~ 1901)
=====# 바티칸 #=====
=====# 스페인 #=====
- 보르본 왕조
- 이사벨 2세(1833 ~ 1868): 스페인은 이사벨 여왕의 왕위 계승을 반대한 카를로스파의 카를로스 전쟁으로 혼란한 정국이었다. 이사벨파의 승전으로 왕위를 이어갔지만, 정권 말미에는 쿠데타 세력의 9월 혁명으로 왕위에서 쫓겨난다.
- 9월 혁명(1868)
- 사보야 왕조
- 아마데오 1세(1870 ~ 1873)
- 스페인 제1공화국(1873 ~ 1874)
- 초대 대통령 에스타니슬라오 피게라스(1873.2.12 ~ 1873.6.11)
- 제2대 대통령 프란세스코 피 이 마르갈(1873.6.11 ~ 1873.7.18)
- 제3대 대통령 니콜라스 살메론 이 알론소(1873.7.18 ~ 1873.9.7)
- 제4대 대통령 에밀리오 카스테야르(1873.9.7 ~ 1874.1.3)
- 제5대 대통령 프란시스코 세라노(1874.1.3 ~ 1874.12.30)
- 스페인 왕정 복고:
=====# 포르투갈 #=====
- 포르투갈 왕국
- 마리아 2세(1834 ~ 1853) / 페르난두 2세(1837 ~ 1853): 빅토리아 여왕의 사촌.
- 페드루 5세(1853 ~ 1861)
- 루이스 1세(포르투갈)(1861 ~ 1889)
- 카를루스 1세(1889 ~ 1908)
=====# 네덜란드 #=====
- 네덜란드 왕국
- 빌럼 1세(1815 ~ 1840): 이 시기에 벨기에 왕국이 독립한다.
- 빌럼 2세(1840 ~ 1849)
- 초대 총리 게리트 쉬멜페닌크(1848 ~ 1848)
- 제2대 총리 야콥 드 켐페나아르(1848 ~ 1849)
- 빌럼 3세(1849 ~ 1890)
- 제3대 총리 요한 뤼돌프 토르비케(1849 ~ 1853)
- 제4대 총리 요한 플로리스 아드리안 반 홀(1853 ~ 1856)
- 제5대 총리 유스티누스 반 데어 브루겐(1856 ~ 1858)
- 제6대 총리 얀 야콥 로슈셴(1858 ~ 1860)
- 제7대 총리 플로리스 아드리안 반 홀(1860 ~ 1861)
- 제8대 총리 야콥 반 주일렌 반 니에펠트(1861 ~ 1861)
- 제9대 총리 셸토 반 헴스트라(1861 ~ 1862)
- 제10대 총리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1862 ~ 1866)
- 제11대 총리 이사악 디그누스 반 데어 푸케(1866 ~ 1866)
- 제12대 총리 줄리어스 반 주일렌 반 니예펠트(1866 ~ 1868)
- 제13대 총리 피터르 필립 반 보스(1868 ~ 1871)
- 제14대 총리 요한 루돌프 토르베케(1871 ~ 1872)
- 제15대 총리 게리트 드 브리스(1872 ~ 1874)
- 제16대 총리 얀 헴스커스(1874 ~ 1877)
- 제17대 총리 얀 카페인 반 데 코펠로(1877 ~ 1879)
- 제18대 총리 테오 반 린덴 반 산덴부르크(1879 ~ 1883)
- 제19대 총리 얀 헴스커스(1883 ~ 1888)
- 제20대 총리 아이네아스 맥케이(1888 ~ 1891)
- 빌헬미나 여왕(1890 ~ 1948)
- 제21대 총리 기스베르트 반 티엔호벤(1891 ~ 1894)
- 제22대 총리 조안 뢰엘(1894 ~ 1897)
- 제23대 총리 니콜라스 피어슨(1897 ~ 1901)
=====# 벨기에 #=====
- 벨기에 왕국
- 레오폴드 1세(1831 ~ 1865): 여왕의 숙부. 빅토리아 여왕에게 조카인 앨버트 공을 소개시켜 줌
- 제5대 총리 바르텔레미 테오도르(1834 ~ 1840)
- 제2대 총리 조제프 르보(1840 ~ 1841)
- 제6대 총리 장 밥티스트 노톰(1841 ~ 1845)
- 제7대 총리 실뱅 반 드 바이어(1845 ~ 1846)
- 제5대 총리 바르텔레미 테오도르(1846 ~ 1847)
- 제8대 총리 샤를 로지어(1847 ~ 1852)
- 제9대 총리 앙리 드 브뤼케르(1852 ~ 1855)
- 제10대 총리 피에르 드 데커(1855 ~ 1857)
- 제8대 총리 샤를 로지어(1857 ~ 1868)
- 레오폴드 2세(1865 ~ 1909): 콩고를 잔인하게 착취한 왕
- 제11대 총리 위베르 조제프 발테르 오르반(1868 ~ 1870)
- 제12대 총리 쥘 다네탕(1870 ~ 1871)
- 제5대 총리 바르텔레미 테오도르(1871~ 1874)
- 제13대 총리 쥘 말루(1874 ~ 1878)
- 제11대 총리 위베르 조제프 발테르 오르반(1878 ~ 1884)
- 제13대 총리 쥘 말루(1884 ~ 1884)
- 제14대 총리 오귀스트 비어나르트(1884 ~ 1894)
- 제15대 총리 쥘 드 부를레(1894 ~ 1896)
- 제16대 총리 폴 드 스멧 드 나예르(1896 ~ 1899)
- 제17대 총리 쥘 반덴피에르붐(1899 ~ 1899)
- 제16대 총리 폴 드 스멧 드 나예르(1899 ~ 1907)
=====# 덴마크( 유틀란드 반도) #=====
- 덴마크 왕국
- 프레데릭 6세(1808 ~ 1839)
- 크리스티안 8세(1839 ~ 1848)
- 프레데릭 7세(1848 ~ 1863)
- 초대 총리 아담 빌헬름 몰트케(1848 ~ 1852)
- 제2대 총리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블루메(1852 ~ 1853)
- 제3대 총리 안드레스 산되 외르스테드(1853 ~ 1854)
- 제4대 총리 피터 게오르크 뱅(1854 ~ 1855)
- 초대 평의회 의장 피터 게오르크 뱅(1855 ~ 1856)
- 제2대 평의회 의장 칼 크리스토퍼 게오르크 안드레(1856 ~ 1857)
- 제3대 평의회 의장 칼 크리스티안 홀(1857 ~ 1859)
- 제4대 평의회 의장 칼 에드바르트 로트위트(1859 ~ 1860)
- 평의회 의장 권한대행 칼 프레데릭 블뤼스케 피네케(1860 ~ 1860)
- 제3대 평의회 의장 칼 크리스티안 홀(1860 ~ 1863)
- 크리스티안 9세(1863 ~ 1906) - 장녀 덴마크의 알렉산드라가 빅토리아 여왕의 장남 에드워드 7세의 아내로 여왕의 사돈.
- 제5대 평의회 의장 디틀레트 고타르트 몬라트(1863 ~ 1864)
- 제2대 총리 크리스티안 알브레히트 블루메(1864 ~ 1865)
- 제6대 평의회 의장 크리스티안 에밀 크라크 주엘빈드프리츠(1865 ~ 1870)
- 제7대 평의회 의장 루드위그 홀쉬타인 홀쉬타인(1870 ~ 1874)
- 제8대 평의회 의장 크리스티안 안드레아스 폰네스펙(1874 ~ 1875)
- 제9대 평의회 의장 야콥 브룬눔 스카베니우스 에스트루프(1875 ~ 1894)
- 제10대 평의회 의장 타게 리츠 토트(1894 ~ 1897)
- 제11대 평의회 의장 휴고 에드몬트 회링(1897 ~ 1900)
- 제12대 평의회 의장 하니팔 세헤스테드(1900 ~ 1901)
=====# 스웨덴-노르웨이( 스칸디나비아 반도) #=====
- 스웨덴 왕국/ 노르웨이 왕국(당시 노르웨이와 동군연합)
- 칼 14세 요한(1818 ~ 1844)
- 오스카르 1세(1844 ~ 1859)
- 칼 15세(1859 ~ 1872)
- 오스카르 2세(1872 ~ 1907) - 손자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빅토리아 여왕의 친손녀 코넛의 마거릿 공녀와 결혼하면서 여왕과 사돈이다.
- 초대 스웨덴 총리 루이스 게르하르드 드 기어(1876 ~ 1880) / 초대 노르웨이 총리 프레데릭 스탕(1873 ~ 1880)
- 제2대 스웨덴 총리 아르비드 포세(1880 ~ 1883) / 제2대 노르웨이 총리 크리스티안 셀머(1880 ~ 1884)
- 제3대 스웨덴 총리 칼 요한 티셀리우스(1883 ~ 1884) / 제3대 노르웨이 총리 크리스티안 슈바이가르드(1884 ~ 1884)
- 제4대 스웨덴 총리 로베르트 템프란데르(1884 ~ 1888) / 제4대 노르웨이 총리 요한 스베르드루프(1884 ~ 1889)
- 제5대 스웨덴 총리 길리스 빌트(1888 ~ 1889) / 제5대 노르웨이 총리 에밀 스탕(1889 ~ 1891)
- 제6대 스웨덴 총리 구스타프 오케르히엘름(1889 ~ 1891) / 제6대 노르웨이 총리 요하네스 스텐(1891 ~ 1893)
- 제7대 스웨덴 총리 에리크 구스타프 보스트룀(1891 ~ 1900) / 제5대 노르웨이 총리 에밀 스탕(1893 ~ 1895)
- 제7대 스웨덴 총리 에리크 구스타프 보스트룀(1891 ~ 1900) / 제7대 노르웨이 총리 프란시스 하게루프(1895 ~ 1898)
- 제8대 스웨덴 총리 프레드리크 폰 오터(1900 ~ 1902) / 제6대 노르웨이 총리 요하네스 스텐(1898 ~ 1902)
=====# 러시아 #=====
- 러시아 제국
- 니콜라이 1세(1825 ~ 1855): 크림 전쟁중 병사
- 알렉산드르 2세(1855 ~ 1881): 러시아 개혁 후 베를린 회의의 실패로 암살당함. 빅토리아 여왕과 동시대의 인물로 결혼할 뻔한 적도 있다. 대신 여왕의 차남 알프레드 왕자와 알렉산드르 2세의 차녀 마리야 말렉산드로브나 여대공이 결혼하면서 사돈이 되었다.
- 알렉산드르 3세(1881 ~ 1894) : 아버지의 암살로 인해 갑작스럽게 왕위를 승계했다. 기차사고 후유증으로 사망.
- 니콜라이 2세(1894 ~ 1917): 여왕의 외손녀 헤센의 알릭스와 결혼했기 때문에 손녀 사위가 된다. 러일전쟁에서의 패전으로 경제가 악화되는데도 1903년부터 요승 그리고리 라스푸틴에게 휘둘려 피의 일요일 사건을 일으키는 등, 실정을 일삼다 결국 1차 세계대전중 러시아 혁명에 의해 폐위되고 가족들과 함께 처형당한다.
=====# 루마니아 #=====
- 왈라키아 공국
- 알렉산드루 2세 기카(1834 ~ 1842)
- 게오르게 비베스쿠(1842 ~ 1848)
- 콘스탄틴 칸타쿠지노(1848 ~ 1848)
- 바르부 슈티르베이(1848 ~ 1853, 1854 ~ 1856)
- 알렉산드루 2세 기카(1856 ~ 1858)
-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1862 ~ 1866)
- 몰다비아 공국
- 미하이 스투르자(1834 ~ 1849)
-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1849 ~ 1853, 1854 ~ 1856)
- 테오도르 발슈(1856 ~ 1857)
- 니콜라에 보고리데(1857 ~ 1858)
-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1859 ~ 1862)
-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 카롤 1세(1866 ~ 1881)
- 루마니아 왕국
- 카롤 1세(1881 ~ 1914)
=====# 세르비아 #=====
- 세르비아 공국
- 밀로시 오브레노비치 (1817 ~ 1839)
- 밀란 오브레노비치 (1839 ~ 1839)
-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 (1839 ~ 1842)
- 알렉산다르 카라조르제비치 (1842 ~ 1858)
- 밀로시 오브레노비치(복위) (1858 ~ 1860)
- 미하일로 오브레노비치(복위) (1860 ~ 1868)
- 밀란 1세 (1868 ~ 1882)
- 세르비아 왕국
- 밀란 1세 (1882 ~ 1889)
- 알렉산다르 1세(세르비아) (1889 ~ 1903)
=====# 그리스 #=====
=====# 튀르키예 #=====
2.3.3. 아프리카
=====# 이집트 #=====- 이집트 속주 왈리
- 메흐메드 알리 (1805 ~ 1848)
- 이브라힘 파샤(이집트) (1848 ~ 1848)
- 아바스 힐미 1세 파샤 (1848 ~ 1854)
- 무하마드 사이드 파샤 (1854 ~ 1863)
- 이스마일 파샤 (1863 ~ 1867)
- 이집트 헤디브국 헤디브
- 이스마일 파샤 (1867 ~ 1879)
- 무함마드 타우피크 파샤 (1879 ~ 1892): 1882년 영국 치하 이집트(보호령) 시작.
- 아바스 힐미 2세 파샤 (1892 ~ 1914)
=====# 모로코 #=====
- 모로코 술탄국( 알라위 왕조)
- 술탄 아브드 알 라흐만(1822 ~ 1859)
- 술탄 모하메드 4세(1859 ~ 1873)
- 술탄 하산 1세(1873 ~ 1894)
- 술탄 압델아지즈(1894 ~ 1908)
=====# 라이베리아 #=====
- 미국령 라이베리아
- 제8대 대통령 마틴 밴뷰런(1837 ~ 1841)
- 제10대 에이전트 앤서니 D. 윌리엄스(1836 ~ 1839)
- 초대 지사 토머스 뷰캐넌(1839 ~ 1841)
- 제9대 대통령 윌리엄 헨리 해리슨(1841 ~ 1841)
- 제10대 대통령 존 타일러(1841 ~ 1845)
- 제2대 지사 조셉 젠킨스 로버츠(1841 ~ 1848)
- 제11대 대통령 제임스 포크(1845 ~ 1849)
- 라이베리아
- 초대 대통령 조셉 젠킨스 로버츠(1848 ~ 1856)
- 제2대 대통령 스티븐 앨런 벤슨(1856 ~ 1864)
- 제3대 대통령 대니얼 베시얼 워너(1864 ~ 1868)
- 제4대 대통령 제임스 스프릭스 페인(1868 ~ 1870)
- 제5대 대통령 에드워드 제임스 로이(1870 ~ 1871)
- 제6대 대통령 제임스 스키브링 스미스(1871 ~ 1872)
- 제7대 대통령 조셉 젠킨스 로버츠(1872 ~ 1876)
- 제8대 대통령 제임스 스프릭스 페인(1876 ~ 1878)
- 제9대 대통령 앤서니 W. 가드너(1878 ~ 1883)
- 제10대 대통령 알프레드 프랜시스 러셀(1883 ~ 1884)
- 제11대 대통령 힐러리 R. W. 존슨(1884 ~ 1892)
- 제12대 대통령 조지프 제임스 치즈먼(1892 ~ 1896)
- 제13대 대통령 윌리엄 D. 콜먼(1896 ~ 1900)
- 제14대 대통령 개럿슨 W. 깁슨(1900 ~ 1904)
=====# 가나 #=====
- 아샨티 제국
- 오툼푸오 나나 크와쿠 두아 1세(1834 ~ 1867)
- 오툼푸오 나나 코피 카리카리(1867 ~ 1874)
- 오툼푸오 나나 멘사 본수(1874 ~ 1883)
- 오툼푸오 나나 크와쿠 두아 2세(1884 ~ 1884)
- 아샨티 내전(1883 ~ 1888)
- 오툼푸오 나나 프렘페 1세(1888 ~ 1895)
- 영국령 골드코스트 총독
- 윌리엄 톱(1836 ~ 1838)
- 조지 매클런(1838 ~ 1843)
- 헨리 워슬리 힐(1843 ~ 1845)
- 제임스 렐레이(1845 ~ 1846)
- 윌리엄 위니엣(1846 ~ 1849)
- 제임스 콜레만 피츠패트릭(1849 ~ 1850)
- 윌리엄 위니엣(1850 ~ 1850)
- 제임스 배너만(1850 ~ 1851)
- 스티븐 존 힐(1851 ~ 1854)
- 헨리 코너(1854 ~ 1857)
- 벤저민 칠레이 캠프벨 파인 경(1857 ~ 1858)
- 헨리 버드(1858 ~ 1860)
- 에드워드 B. 앤드루스(1860 ~ 1862)
- 윌리엄 A. 로스(1862 ~ 1862)
- 리처드 파인(1862 ~ 1865)
- 로케비 존스(1865 ~ 1865)
- 윌리엄 엘리엇 모클러(1865 ~ 1865)
- 에드워드 콘란(1865 ~ 1867)
- 허버트 테일러 어셔(1867 ~ 1872)
- 존 포프 헤네시(1872 ~ 1872)
- 찰스 스펜서 살몬(1872 ~ 1872)
- 로버트 윌리엄 키트(1872 ~ 1872)
- 로버트 윌리엄 할리(1872 ~ 1873)
- 가넷 조지프 월셀리(1873 ~ 1874)
- 제임스 맥스웰(1874 ~ 1874)
- 찰스 리스(1874 ~ 1874)
- 조지 커마인 스트라한(1874 ~ 1876)
- 찰스 리스(1876 ~ 1876)
- 샌퍼드 프릴링(1876 ~ 1878)
- 찰스 리스(1878 ~ 1879)
- 허버트 테일러 어셔(1879 ~ 1880)
- 윌리엄 브랜드포드 그리피스(1880 ~ 1881)
- 새뮤얼 로위 경(1881 ~ 1884)
- W. A. G. 영(1884 ~ 1885)
- 윌리엄 브랜드포드 그리피스(1885 ~ 1895)
- 윌리엄 에드워드 맥스웰(1895 ~ 1897)
- 프레데릭 밋첼 호지슨(1897 ~ 1900)
- W. 로우(1900 ~ 1900)
- 매튜 나단 경(1900 ~ 1904)
=====# 콩고민주공화국 #=====
- 콩고 왕국
- 안드레 2세(1830 ~ 1842)
- 엔히크 3세(1842 ~ 1857)
- 알바루 은동구(1857 ~ 1859)
- 페드루 5세(1859 ~ 1891)
- 마코코 야 음베(1891 ~ 1896)
- 앙리크 앙리 은테예 아 응켄제(1896 ~ 1901)
- 콩고 독립국
- 레오폴드 2세(1885 ~ 1908)
=====# 남아프리카공화국 #=====
- 줄루 왕국
- 2대 국왕 딩가네 카센잔가코나 (1828년 11월 ~ 1840년 1월 29일)
- 3대 국왕 음판데 카센잔가코나 (1840년 2월 10일 ~ 1872년 10월 18일)
- 4대 국왕 케취와요 캄판데 (1872년 10월 18일 ~ 1884년 2월 8일)
- 5대 국왕 디누줄루 카세츠와요 (1884년 5월 21일 ~ 1913년 10월 18일)
- 케이프 식민지 국왕
- 케이프 식민지
- 총독 벤저민 더반(Benjamin d'Urban) (1834 ~ 1838)
- 총독 조지 토마스 네이피어(Sir George Thomas Napier) (1838 ~ 1844)
- 총독 페리글린 메이틀랜드(Sir Peregrine Maitland) (1844 ~ 1847)
- 총독 헨리 포팅어(Sir Henry Pottinger) (1847)
- 총독 해리 스미스(Sir Harry Smith) (1847 ~ 1852)
- 총독 조지 카스카트(George Cathcart) (1852 ~ 1854)
- 총독 찰스 헨리 달링(Charles Henry Darling) (임시대리) (1854)
- 총독 조지 그레이(Sir George Grey) (1854 ~ 1861)
- 대리총독 로버트 위니어드(Robert Henry Wynyard]] (첫 번째) (그레이의 임시대리) (1859 ~ 1860)
- 대리총독 로버트 위니어드 (2번째) (임시대리) (1861 ~ 1862)
- 총독 필립 에드몬드 우드하우스(Sir Philip Edmond Wodehouse]] (1862 ~ 1870)
- 대리총독 찰스 크라우드 헤이(Charles Craufurd Hay]] (임시대리) (1870)
- 총독 헨리 버클리(Sir Henry Barkly) (1870 ~ 1877)
- 총리 존 찰스 몰테노(John Charles Molteno) (1872 ~ 1878)
- 총독 헨리 버틀 프레아(Henry Bartle Frere) (1877 ~ 1880)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Sir John Gordon Sprigg) (첫 번째) (1878 ~ 1881)
- 총독 헨리 휴 클리포드(Henry Hugh Clifford) (임시대리) (1880)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Sir John Gordon Sprigg) (첫 번째) (1878 ~ 1881)
- 대리총독 조지 스트라한(Sir George Cumine Strahan) (임시대리) (1880 ~ 1881)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Sir John Gordon Sprigg) (첫 번째) (1878 ~ 1881)
- 총독 허큘리스 로빈슨(Hercules Robinson) (첫 번째) (1881 ~ 1889): 과거 뉴사우스웨일스 총독, 뉴질랜드 총독도 역임.
- 총리 토마스 찰스 스칸렌(Thomas Charles Scanlen) (1881 ~ 1884)
- 총리 토마스 어핑톤(Thomas Upington) (1884 ~ 1886)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 (2번째) (1886 ~ 1890)
- 대리총독 [[레스터 스마이스)(Sir Leicester Smyth) (첫 번째) (로빈슨의 임시대리) (1881)
- 대리총독 레스터 스마이스 (2번째) (로빈슨의 임시대리) (1883 ~ 1884)
- 대리총독 헨리 드일리 토렌스(Sir Henry D'Oyley Torrens) (로빈슨의 임시대리) (1886)
- 대리총독 헨리 오거스터스 스마이스(Henry Augustus Smyth) (임시대리) (1889)
- 총독 헨리 로크(Henry Brougham Loch]] (1889 ~ 1895)
- 총리 세실 로즈(Cecil Rhodes) (1890 ~ 1896)
- 대리총독 윌리엄 고든 카메론(Sir William Gordon Cameron) (첫 번째) (로크의 임시대리) (1891 ~ 1892)
- 대리총독 윌리엄 고든 카메론 경 (2번째) (로크의 임시대리) (1894)
- 총독 허큘리스 로빈슨 (2번째) (1895 ~ 1897)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 (3번째) (1896 ~ 1898)
- 대리총독 윌리엄 하우리 굿드이너프 (Sir William Howley Goodenough) (임시대리) (1897)
- 총독 알프레드 밀너(Alfred Milner) (1897 ~ 1901)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 (3번째) (1896 ~ 1898)
- 총리 윌리엄 필립 쉬라이너(William Philip Schreiner) (1898 - 1900)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 (3번째) (1900 ~ 1904)
- 대리총독 윌리엄 프란시스 버틀러(Sir William Francis Butler) (밀너의 임시대리) (1898 ~ 1899)
- 총독 월터 헬리 허치슨(Sir Walter Hely-Hutchinson) (1901 ~ 1910)
- 총리 존 고든 스프리그 (3번째) (1900 ~ 1904)
=====# 에티오피아 #=====
2.3.4. 아시아 대륙
2.3.4.1. 서아시아
======# 사우디아라비아 #======- 나지드 이마라트 아미르
- 파이살 빈 투르키(1834 ~ 1838)
- 할리드 1세(1838 ~ 1841)
- 압둘라 2세(1841 ~ 1843)
- 파이살 빈 투르키(1843 ~ 1865)
- 압둘라 3세(1865 ~ 1871)
- 사우드 3세(1871 ~ 1871)
- 압둘라 3세(1871 ~ 1873)
- 사우드 3세(1873 ~ 1875)
- 압둘라흐만 빈 파이살(1875 ~ 1876)
- 압둘라 3세(1876 ~ 1889)
- 압둘라흐만 빈 파이살(1889 ~ 1891)
- 자발 샴마르 아미르국 아미르
- 1대 압둘라 1세 빈 알리 알 라쉬드 (1836 ~ 1848)
- 2대 탈랄 빈 압둘라 알 라쉬드 (1848 ~ 1868)
- 3대 무타입 1세 빈 압둘라 알 라쉬드 (1868 ~ 1869)
- 4대 반다르 빈 탈랄 알 라쉬드 (1869 ~ 1869)
- 5대 무함마드 1세 빈 압둘라 알 라쉬드 (1869 ~ 1897)
- 6대 압둘아지즈 빈 무타입 알 라쉬드 (1897 ~ 1906)
======# 오만 #======
- 무스카트-오만 술탄국
- 사이드 빈 술탄(1804 ~ 1856)
- 수와이니 빈 사이드(1856 ~ 1866)
- 살림 빈 수와이니(1866 ~ 1868)
- 아잔 빈 카이스(1868 ~ 1871)
- 투르키 빈 사이드(1871 ~ 1888)
- 파이잘 빈 투르키(1888 ~ 1913)
======# 이란 #======
- 이란 숭고국, 카자르 왕조
- 모하마드 샤 카자르(1808-1848, 재위: 1834-1848)
- 나스레딘 샤 카자르(1831-1896, 재위: 1848-1896)
- 모자파르 앗딘 샤 카자르(1853-1907, 재위: 1896-1907)
2.3.4.2. 남아시아
======# 인도 #======- 무굴 제국
- 영국 동인도 회사령 인도
- 제16대 총독 오클랜드 백작(1836 ~1842)
- 제17대 총독 엘렌버러 경(1842 ~ 1844)
- 제18대 총독 윌리엄 윌버포스 버드(대리)(1844 ~ 1844)
- 제19대 총독 헨리 하딩(1844 ~ 1848)
- 제20대 총독 달하우지 백작(1848 ~ 1856)
- 제21대 총독 캐닝 자작(1856 ~ 1858)
- 인도 제국: 초대 황제 빅토리아 여왕
- 제22대 총독 캐닝 자작(1858 ~ 1862)
- 제23대 총독 엘긴 백작(1862 ~ 1863)
- 제24대 총독 로버트 네이피어(대리)(1863 ~ 1863)
- 제25대 총독 윌리엄 데니슨(대리)(1863 ~ 1864)
- 제26대 총독 준남작 존 로런스 경(1864 ~ 1869)
- 제27대 총독 메이요 백작(1869 ~ 1872)
- 제28대 총독 존 스트래치(대리)(1872 ~ 1872)
- 제29대 총독 네이피어 경(대리)(1872 ~ 1872)
- 제30대 총독 노스브룩 경(1872 ~ 1876)
- 제31대 총독 리턴 경(1876 ~ 1880)
- 제32대 총독 리펀 후작(1880 ~ 1884)
- 제33대 총독 더퍼린 백작(1884 ~ 1888)
- 제34대 총독 랜즈다운 후작(1888 ~ 1894)
- 제35대 총독 엘긴 백작(1894 ~ 1899)
- 제36대 총독 커즌오브케들스턴 경(1899 ~ 1905)
======# 네팔 #======
2.3.4.3. 동남아시아
======# 인도네시아 #======- 네덜란드령 동인도
- 도미니크 자크 더에이런스(Dominique Jacques de Eerens, 1836~1840)
- 카럴 시라르뒤스 빌럼 판호헨도르프(Carel Sirardus Willem van Hogendorp, 1840~1841): 더에이런스 총독이 사망한 후 총독 대행직 수행.
- 피터르 메르퀴스(Pieter Merkus, 1841~1844)
- 얀 코르넬리스 레인스트(Jan Cornelis Reijnst, 1844~1845): 메르퀴스 총독이 사망한 후 총독 대행직 수행.
- 얀 야코프 로휘선(Jan Jacob Rochussen, 1845~1851)
- 알베르튀스 야코뷔스 다위마르 판트비스트(Albertus Jacobus Duymaer van Twist, 1851~1856)
- 샤를 페르디난트 파휘트(Charles Ferdinand Pahud, 1856~1861)
- 뤼돌프 아너 얀 빌트 슬룻 판더베일러(Ludolph Anne Jan Wilt Sloet van de Beele, 1861~1866)
- 피터르 메이르(Pieter Mijer, 1866~1872)
- 제임스 라우돈(James Loudon, 1872~1875)
- 요한 빌헐름 판란스베르허(Johan Wilhelm van Lansberge, 1875~1881)
- 프레데릭 스야코프(Frederik s'Jacob, 1881~1884)
- 오토 판레이스(Otto van Rees, 1884~1888)
- 코르넬리스 페이나커르 호르데이크(Cornelis Pijnacker Hordijk, 1888~1893)
- 카럴 헤르만 아르트 판데르베이크(Carel Herman Aart van der Wijck, 1893~1899)
- 빌럼 로세봄(Willem Rooseboom, 1899~1904)
======# 태국 #======
======# 베트남 #======
- 응우옌 왕조(다이난)
2.3.4.4. 동아시아
======# 중국 #============# 홍콩 #======
- 영국령 홍콩 국왕
- 홍콩 행정관 (1841년 ~ 1843년)
- 영국령 홍콩 총독
- 초대 헨리 포팅어 (1843년 ~ 1844년)
- 제2대 존 프랜시스 데이비스 (1844년 ~ 1848년)
- 직무대리 윌리엄 스타블리 (1848년 ~ 1848년)
- 제3대 사무엘 조지 본햄 (1848년 ~ 1854년)
- 제4대 존 보우링 (1854년 ~ 1859년)
- 직무대리 윌리엄 케인 (1859년 ~ 1859년)
- 제5대 허큘리스 로빈슨 (1859년 ~ 1865년)
- 직무대리 윌리엄 토머스 머서 (1865년 ~ 1866년)
- 제6대 리처드 그레이브스 맥도넬 (1866년 ~ 1872년)
- 직무대리 헨리 와세 윗필드(1872년 ~ 1872년)
- 제7대 아서 에드워드 케네디 (1872년 ~ 1877년)
- 직무대리 존 가디너 오스틴 (1877년 ~ 1877년)
- 제8대 존 포프 헤네시 (1877년 ~ 1882년)
- 직무대리 말콤 스트루안 톤노치 (1882년 ~ 1882년)
- 직무대리 윌리엄 헨리 마쉬 (1882년 ~ 1883년)
- 제9대 조지 퍼거슨 보웬 (1883년 ~ 1885년)
- 직무대리 윌리엄 헨리 마쉬 (1885년 ~ 1887년)
- 직무대리 윌리엄 고든 카메론 (1887년 ~ 1887년)
- 제10대 조지 윌리엄 데 보 (1887년 ~ 1891년)
- 직무대리 조지 닥비 바커 (1891년 ~ 1891년)
- 제11대 윌리엄 로빈슨 (1891년 ~ 1898년)
- 직무대리 윌손 블랙 (1898년 ~ 1898년)
- 제12대 헨리 아서 블레이크 (1898년 ~ 1903년)
======# 한국 #======
======# 일본 #======
- 에도 막부
- 일본 제국
- 122대 천황 메이지 덴노 (1867 ~ 1912): 청일전쟁(1894), 영일동맹(1902)
- 초대 민부경/대장경 마쓰다이라 슌가쿠(1869 ~ 1869)
- 제2대 민부경/대장경 다테 무네나리(1869 ~ 1870/71)
- 제3대 민부경 오키 다카토(1870 ~ 1871)
- 제3대 대장경 오쿠보 도시미치(1871 ~ 1873)
- 초대 내무경 오쿠보 도시미치(1873 ~ 1874)
- 제2대 내무경 기도 다카요시(1874 ~ 1874)
- 제3대 내무경 오쿠보 도시미치(1874 ~ 1874)
- 제4대 내무경 이토 히로부미(1874 ~ 1874)
- 제5대 내무경 오쿠보 도시미치(1874 ~ 1878)
- 제6대 내무경 이토 히로부미(1878 ~ 1880)
- 제7대 내무경 마쓰카타 마사요시(1880 ~ 1881)
- 제8대 내무경 야마다 아키요시(1881 ~ 1883)
- 제9대 내무경 야마가타 아리토모(1883 ~ 1885)
- 초대 총리 이토 히로부미(1885 ~ 1888)
- 제2대 총리 구로다 기요타카(1888 ~ 1889)
- 총리 권한대행 산조 사네토미(1889 ~ 1889)
- 제3대 총리 야마가타 아리토모(1889 ~ 1891)
- 제4대 총리 마쓰카타 마사요시(1891 ~ 1892)
- 제5대 총리 이토 히로부미(1892 ~ 1896)
- 총리 권한대행 구로다 기요타카(1896 ~ 1896)
- 제6대 총리 마쓰카타 마사요시(1896 ~ 1898)
- 제7대 총리 이토 히로부미(1898 ~ 1898)
- 제8대 총리 오쿠마 시게노부(1898 ~ 1898)
- 제9대 총리 야마가타 아리토모(1898 ~ 1900)
- 제10대 총리 이토 히로부미(1900 ~ 1901)
2.3.5. 오세아니아
=====# 호주 #=====- 호주 국왕
-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6]
- 제8대 총독 리처드 바우어키 경(1831 ~ 1837)
- 제9대 총독 조지 깁스 경(1838 ~ 1846)
- 제10대 총독 찰스 오거스터스 경(1846 ~ 1855)
- 제11대 총독 윌리엄 데니슨 경(1855 ~ 1861)
- 초대 주총리 스튜어트 도널드슨(1856 ~ 1856)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56 ~ 1856)
- 제3대 주총리 헨리 파커(1856 ~ 1857)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57 ~ 1859)
- 제4대 주총리 윌리엄 포스터(1859 ~ 1860)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60 ~ 1861)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61 ~ 1863)
- 제12대 총독 존 영 경(1861 ~ 1867)
- 제6대 주총리 제임스 마틴(1863 ~ 1865)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65 ~ 1866)
- 제6대 주총리 제임스 마틴(1866 ~ 1868)
- 제13대 총독 벨모어 백작(1868 ~ 1872)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68 ~ 1870)
- 제2대 주총리 찰스 카우퍼(1870 ~ 1870)
- 제6대 주총리 제임스 마틴(1870 ~ 1872)
- 제14대 총독 허큘리스 로빈슨 경(1872 ~ 1879): 이후 뉴질랜드 총독 역임.[7]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72 ~ 1875)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75 ~ 1877)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77 ~ 1877)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77 ~ 1877)
- 제8대 주총리 제임스 파넬(1877 ~ 1878)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78 ~ 1883)
- 제15대 총독 로드 오거스터스 로프터스(1879 ~ 1885)
- 제9대 주총리 알렉산더 스튜어트(1883 ~ 1885)
- 제16대 총독 로드 캐링턴(1885 ~ 1890)
- 제10대 주총리 조지 딥스(1885 ~ 1885)
- 제5대 주총리 존 로버트슨(1885 ~ 1886)
- 제11대 주총리 패트릭 제닝스(1886 ~ 1887)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87 ~ 1889)
- 제10대 주총리 조지 딥스(1889 ~ 1889)
- 제7대 주총리 헨리 파크스(1889 ~ 1891)
- 제17대 총독 저지 백작(1891 ~ 1893)
- 제10대 주총리 조지 딥스(1891 ~ 1894)
- 제18대 총독 로버트 더프 경(1893 ~ 1895)
- 제12대 주총리 조지 라이드(1894 ~ 1899)
- 제19대 총독 햄프덴 비스카운트(1895 ~ 1899)
- 제12대 주총리 조지 라이드(1894 ~ 1899)
- 제20대 총독 보챔프 백작(1899 ~ 1901)
- 제13대 주총리 윌리엄 린(1899 ~ 1901)
- 호주 자치령
- 초대 총독 제7대 호프턴 백작 존 호프(1901 ~ 1902)
- 초대 총리 에드먼드 바턴(1901 ~ 1903)
=====# 뉴질랜드 #=====
- 뉴질랜드 국왕
- 뉴질랜드 부족연합
- 영국 공사관 존 버스비(1835 ~ 1840)
- 뉴질랜드 식민지
- 초대 지사 윌리엄 홉슨(1840 ~ 1842)
- 제2대 지사 로버트 피츠로이(1843 ~ 1845)
- 제3대 지사 조지 그레이 경(1845 ~ 1853)
- 제4대 지사 토머스 고어 브라운(1855 ~ 1861)
- 초대 총리 헨리 스웰(1856 ~ 1856)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56 ~ 1856)
- 제3대 총리 에드워드 스탠퍼드(1856 ~ 1861)
- 제3대 지사 조지 그레이 경(1861 ~ 1868)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61 ~ 1862)
- 제4대 총리 앨프리드 도미트(1862 ~ 1863)
- 제5대 총리 프레드릭 휘태커(1863 ~ 1864)
- 제6대 총리 프레드릭 웰드(1864 ~ 1865)
- 제3대 총리 에드워드 스탠퍼드(1865 ~ 1869)
- 제5대 지사 조지 퍼거슨 보언 경(1868 ~ 1873)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69 ~ 1872)
- 제3대 총리 에드워드 스탠퍼드(1872 ~ 1872)
- 제7대 총리 조지 워터하우스(1872 ~ 1873)
- 제2대 총리 윌리엄 폭스(1873 ~ 1873)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3 ~ 1875)
- 제6대 지사 제임스 퍼거슨 경(1873 ~ 1874)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3 ~ 1875)
- 제7대 지사 노만비 후작 조지 핍스(1875 ~ 1879)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3 ~ 1875)
- 제9대 총리 대니얼 플랜(1875 ~ 1876)
- 제8대 총리 줄리어스 보겔(1876 ~ 1876)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76 ~ 1877)
- 제11대 총리 조지 그레이 경(1877 ~ 1879)
- 제8대 지사 허큘리스 로빈슨 경(1879 ~ 1880): 이후 케이프 총독 역임.
- 제12대 총리 존 홀(1879 ~ 1882)
- 제9대 지사 아서 해밀턴고든 경(1880 ~ 1882)
- 제12대 총리 존 홀(1879 ~ 1882)
- 제5대 총리 프레드릭 휘태커(1882 ~ 1883)
- 제10대 지사 윌리엄 저보이스 경(1883 ~ 1889)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3 ~ 1884)
- 제13대 총리 로버트 스타우트(1884 ~ 1884)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4 ~ 1884)
- 제13대 총리 로버트 스타우트(1884 ~ 1887)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7 ~ 1891)
- 제11대 지사 온슬로 백작 윌리엄 온슬로(1889 ~ 1892)
- 제10대 총리 해리 앳킨슨(1887 ~ 1891)
- 제14대 총리 존 밸런스(1891 ~ 1893)
- 제12대 지사 글래스고 백작 데이비드 보일(1892 ~ 1897)
- 제15대 총리 리처드 세던(1893 ~ 1906)
- 제13대 지사 랜펄리 백작 어크터 녹스(1897 ~ 1904)
- 제15대 총리 리처드 세던(1893 ~ 1906)
=====# 통가 #=====
=====# 하와이 #=====
- 하와이 왕국
- 3대 국왕 카메하메하 3세 (1825 ~ 1854)
- 4대 국왕 카메하메하 4세 (1855 ~ 1863)
- 5대 국왕 카메하메하 5세 (1863 ~ 1872)
- 6대 국왕 루날릴로 (1873 ~ 1874)
- 7대 국왕 칼라카우아 (1874 ~ 1891)
- 8대 국왕 릴리우오칼라니 (1891 ~ 1893)
- 하와이 공화국
- 초대 대통령 샌퍼드 돌 (1893 ~ 1898)
- 하와이 준주
- 초대 준주지사 샌퍼드 돌 (1900 ~ 1903)
3. 영국 사회
3.1. 사회계급(Social Class)
빅토리아 시대의 사회 계급에 따른 생활상을 소개하는 영상.
3.1.1. 상류층(Upper Class)
토지를 보유하고 노동을 하지 않고도 살 수 있는 유한계급. 전근대 시대부터 전통적인 지배층으로 군림하며 특권을 누리던 계층이다. 비록 부르주아의 등장과 근대적 시민의식의 성장 등으로 이전처럼 절대적인 지위는 아니게 되었지만, 1차 세계대전이 일어나기 전까지 이들의 정치, 경제적 영향력은 막강했다. 하지만 이들의 드높은 지위도 1차 세계대전으로 전근대적 귀족체제가 붕괴되면서 사회·역사적 상징성 외에는 영향력을 대폭 상실하게 된다. 물론 기존에 쌓아둔 부가 어디 가지는 않았기 때문에 일부 몰락 귀족이 아니고서야 대부분의 경우 새로운 자본주의 사회에 적응해 기업가로 변신하는 식으로 경제적 지위는 이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젠트리
젠트리는 통념과는 달리 신흥 자본가, 중산층 계급을 뜻하는 말이 아니라, 귀족 가문의 혈통적 후손이나 귀족은 아닌, 지방의 대지주나 도시의 엘리트 계급을 뜻하는 단어이다. 젠트리는 중산층이 아닌 엄연히 상류층에 해당하며, 일반적으로 젠트리 하면 떠올리는 신흥 자본 계급을 뜻하는 단어는 부르주아이다.
3.1.2. 중산층(Middle Class)
근세부터 지속적으로 성장해 온 중산층은 근대 산업혁명 시대를 거치며 자유방임주의 경제와 대량생산 시대라는 새로운 사회의 주역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부르주아
신흥 자본가들은 이전까진 귀족의 전유물이었던 성직자, 법조인, 의사, 공무원, 사관, 대학교수(학자) 등의 전문직에도 진출하게 된다. 이후에는 교사(교육), 배우(엔터테인먼트), 예술가(엔터테인먼트), 건축가, 회계사 등도 포함하게 된다. 이들이 전문직의 주류가 되면서 전문직은 곧 부유한 중산층의 상징이 되며, 이들은 무리해서라도 메이드를 고용함으로서 사회적인 지위를 과시하고자 하였다.
-
숙련공
빅토리아 시대 초중반의 가혹한 노동환경이 조금씩 개선되고, 노동조합이 등장하여 파업을 통해 권리를 주장하기 시작하면서 노동계급 중에서도 비교적 나은 삶을 살 수 있게 된 이들이 등장했다. 이들 숙련공들은 경력과 숙련도를 내세워 초급 기술자들보다 나은 대우를 받았고, 삶의 여유가 생긴 이들은 여가활동에도 눈을 돌려 현대 영국 스포츠의 대표격인 축구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3.1.3. 노동계급(Working Class)
일반적으로 서민 내지는 하류층으로 취급되던 신분이다. 당시 영국인의 절대다수는 이 노동계급에 속했다.-
노동자 계급
초급 기술직, 공장 생산직, 선원, 마부, 구두닦이, 광부, 농부, 어부, 목동, 조선공, 광대 등. 당시 영국사회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대부분은 저임금에 허덕이며 하루하루 연명하는 수준의 삶을 살아가는 경우가 많았다.[8] 물론 아동도 예외는 아니었다.
-
집사와
메이드
이들 역시 넓은 범주에서는 노동계급에 속한다. 하지만 집사의 경우, 몇몇 유력 가문의 집사장은 중산층 출신인 경우도 심심찮게 있었으며, 심지어 왕족의 집사는 귀족의 자제들이 종사하기도 하였다. 또한, 하류층 출신이더라도 상류층의 신뢰와 능력을 인정받는 이들은 젠트리에 편입되어 신분상승을 하는 경우도 더러 있었기에 완전히 하류층만의 전유물로 취급하긴 어렵다. 다만 집사와 달리 메이드는 실제 절대다수가 하류층 출신이었다.
특히 대중의 인식과는 다르게 집사와 메이드는 위의 막노동자들보다는 좋은 대우[9]를 받으며 일을 했기에 노예같은 위치가 아니여서 어느정도 인간적인 삶과 평화로운 일상을 보냈다. 그러나 20세기 이후 기술발전으로 청소기가 등장하고, 임금상승으로 고용유지가 어려워지자 왕실이나 대귀족 가문 몇몇을 제외한 일반 중산층 가정의 메이드들은 점차 사라지게 된다. 이들 중 일부는 경력을 활용해 카페를 차리거나
메이드 카페 연관업종(청소, 빨래방 등)에 재취업하여 종사하기도 했다.
3.1.4. 빈민층(The Poor)
-
빈민층
노숙자, 실업자, 고아 등. 당시 영국의 자유방임주의 하에서 힘든 삶을 영위했다.
-
집시
집시들 중에선 정착하여 평범하게 노동자로 생활하던 이들도 있던 반면, 유랑생활을 하던 부류도 상당수 있었다. 물론 대부분은 그다지 넉넉한 삶을 살지 못하고 사회의 최하류층에서 표류했다. 사실 이는 주류 사회와 유리되어 떠돌아다니는 집시들 특성상 영국뿐만 아니라 전 유럽에서 보편적인 현상이었다.
3.2. 정치 구조: 입헌군주제
17세기의 명예혁명이래 영국은 군주가 자의적으로 통치하지 못하고, 의회의 승인 하에 법을 지켜가며 통치를 해야 한다는 입헌군주제의 원칙을 최초로 확립한 나라가 되었다. 이 시대의 입헌군주제는 지금의 현대적 입헌군주제와는 달리 엄연히 군주가 통치에 참여했으며, 다만 통치를 주도하는 내각과 의회와의 협의를 거쳐 법에 입각하여 통치한다는 개념에 가까웠다. 군주가 입장을 밝히거나 요구를 하면 내각에서 결정하는 식.3.2.1. 여왕: 국가원수
윌리엄 4세의 조카로 성인이 된지 20여일만에 왕위에 오른 빅토리아 여왕은 60년을 넘게 재위하며 현대 영국의 정치, 사회, 문화의 확립에 지대한 역할을 했으며, 또한 제국주의적 정책 또한 절정에 달했다. 초기에 여왕은 적극적으로 정치에 참여하며 총리를 자의적으로 지명하는 등의 활발한 정치활동을 했으나, 중반 이후부터는 의회와 내각에 더 많은 권한을 맡기고 자신은 외교 정책 등 중요한 사안에 대한 결정에 참여하는 형태로 물러섰다. 이는 현대 영국의 입헌군주제 원칙인, 군림하되 통치하지 않는다를 확립하는 데에 기여했다. 이 사실이 알려진 수 십 년 후 일하지 않는 왕이란 이미지가 구축되었다.[10]3.2.2. 영국 총리: 정부수반
3.2.3. 의회: 양원제
빅토리아 시대에 들어, 이전 시대부터 이어진 두 주요 정파였던 휘그당과 토리당은 각각 자유당과 보수당으로 진화함으로서 현대적 정당 체제, 현대적 양당제를 확립했다. 총리 지명 역시 선거에서 승리한 정당의 당수가 임명된다는 원칙이 확고하게 자리잡았다.3.2.3.1. 귀족원( 상원)
지배층(귀족, 성직자)으로 구성.빅토리아 시대의 상원은 지금과는 달리 상당한 권한을 가지고 있어, 하원에서 통과된 법안이라도 상원에서 부결되는 바람에 무산된 경우가 상당히 많았다. 또 상원의원 중에서 총리로 임명되는 경우도 아직 이 시기까지는 존재하는 등, 하원과 상원이 서로를 견제하는 구조였다.
3.2.3.2. 서민원( 하원)
중산층(부르주아 등)와 피지배층(노동자, 하류층)으로 구성3.3. 사회상
3.3.1. 주요 키워드
3.3.1.1. 서구권
3.3.1.2. 서구권 외
3.3.2. 산업의 발전
인간과 동물의 힘을 이용하던 형태에서 증기의 힘을 이용하는 기계장치, 증기기관이 산업에 적용되면서 산업혁명이 일어났고, 이 과정에서 특허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자본가가 탄생했다.증기기관은 초기에는 방적기의 형태로, 이후에는 증기기관차, 증기선의 형태로 응용되면서 단순히 인간의 노동을 대치하게 되는 것을 넘어서 기존에는 상상하지 못했던 일들, 장거리 여행등의 전세계적 육상, 해상 공공교통수단의 발전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산업 혁명으로 확산된 부의 불평등이나 열악한 노동 환경으로 인해 하층민의 삶은 처참했고, 이는 공산주의 사상을 낳아 20세기 내내 치열하게 벌어질 사상 대립을 예고했다. 카를 마르크스가 자본론을 집필한 곳도 빅토리아 시대의 런던이었다. 그러나 정작 사회주의 국가가 탄생한 장소는 빅토리아 시대의 서유럽이 아닌 20세기 초입의 동유럽이었다.
3.3.3. 현대적인 범죄조직의 등장
근대화를 통해 다양한 산업이 발전하고, 각지에서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도시로 유입되면서 19세기 후반부터 자연스레 갱스터, 마피아같은 현대적인 범죄조직들도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주로 무역이 활발한 리버풀, 글래스고 같은 항구도시나 공업이 크게 발달한 런던, 버밍엄, 맨체스터 같은 도시를 거점으로 활동했다. 이후에 범죄조직들은 1차 세계대전 종전 후인 1920~30년대 전간기의 혼란한 사회상을 이용해 크게 성장하여 도시의 치안을 위협하기도 했는데, 이런 갱스터들의 모습은 BBC의 드라마 피키 블라인더스에서 잘 묘사했다. 빅토리아 시대의 악명높은 갱단들3.3.4. 종교
종교 간의 갈등은 비록 내부적으로는 지속되었지만 이전처럼 격렬하게 갈등이 표출되지는 않았다.[11] 당시 성공회는 고교회파와 저교회파로 나뉘어 있었다. 고교회파는 초기 교회로부터 내려오는 전례의식 등을 중시했고 저교회파는 좀 더 개신교적인 성향을 띄었다. 이들의 반목 끝에, 고교회파가 대거 가톨릭으로 이주하게 되었다. 그러면서 가톨릭이 1850년, 비오 9세가 영국에 교구를 재설치하고 추기경을 서품하며 다시 사목을 시작했다. 한편 성공회 내부에서 빈민들에게 도움을 주지 못한다며 비판하는 일파가 대두되었다. 존 웨슬리로 대표되는 이들은 복음주의를 주장하며 결국 다른 종파로 떨어져 나가게 되는데 이들이 바로 감리교이다. 이러한 성공회를 제외한 신교는 영국에서 비국교회(Non-conformist)로 통칭되었는데, 17세기에 이런 비국교회 신교들에 대한 종교의 자유가 허락되고 빅토리아 시대에 이르러서는 감리교, 퀘이커, 침례교, 장로회 등 다양한 교파들이 상당한 지지를 받고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 불가지론이 크게 대두되었으나 무신론은 각광 받지 못했다. 법으로 대놓고 신성모독법이 있어 무신론을 정죄했기 때문이었다. 아직까지 유럽에서 기독교의 영향력은 절대적이었으며, 영국 또한 마찬가지였다. 계층에 상관없이 신앙생활을 하지 않거나 소홀히 하는 것은 흠으로 여겨졌다.[12]이 시대에는 종교적인 도덕성이 이전보다 훨씬 강조되었다. 특히 성문화의 경우 이전 시대보다 훨씬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양상을 띄었다. 성적인 언급을 공개적인 자리에서 하는 것은 상당히 무례한 일이었다. 나폴레옹 시대만 해도 기혼 여부와 관계없이 자유로운 성생활을 즐기는 모습을 쉽게 찾아볼 수 있으나, 빅토리아 시대에는 외도가 사회적으로 크게 지탄받을 일이 되었다. 이혼은 여전히 종교적으로 기피되었고, 혼전순결은 전보다 더욱 중시되었으며 여성에게 더 엄하게 적용되었다. 이러한 엄격한 성도덕성 때문에 불감증을 겪는 여성이 늘기도 했다. 그러나 반대로 도시의 발달과 빈민층의 등장으로 음지에서 성매매가 더욱 활성화되는 아이러니를 빚기도 했다.
3.3.5. 대중문화의 태동
이전에는 지배층의 후원을 받으며, 그들을 위해 만들어지던 문화들(그림, 소설, 시, 연극, ...)이 도시중심으로 모인 대규모의 노동자들이 즐길 수 있는 형태와 내용으로 변해가면서, 대중문화가 만들어지게 된다. 셜록 홈즈와 같은 추리소설, 대규모의 마술쇼, 뤼미에르 형제의 열차의 도착 같은 초기 형태의 영화 등 사람들의 여가시간에 즐길만한 다양한 형태의 작품들이 생겨난다. 이러한 초기 대중문화는 바다 건너 미국에 영향을 주면서 20세기 이후 주류가 되는 미국 대중문화의 기초가 된다.공교롭게도 빅토리아 시대, 정확히는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과학기술의 급속한 발전이 시작된 19세기 유럽은 근대 과학의 시대이기도 하면서 중세의 미신과 오컬트의 잔재가 남아있던 과도기적인 시기이기도 하다. 때문에 현재까지 내려오는 판타지적 문화요소들의 이미지가 정립된 시기이기도 한데, 예를 들어 당시 상류층과 젠트리들 사이에서 위자 보드같은 강령술이나 흑마술, 최면술과 점성술 등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는 점, 뱀파이어처럼 일부 지역의 미신에서 머무르던 도시전설이 1897년 출판된 브램 스토커의 소설, ' 드라큘라'를 통해 대중적 문화요소로 자리잡고 고딕 소설이 유행하는 등 초자연적, 초과학적인 도시전설들이 과학발전에 힘입은 파급력을 통해 그 문화적 영향력을 키우는 흥미로운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다. 즉, 전근대 시대의 미신이 현대 문화요소로서의 오컬트와 판타지로 변화하는 계기를 마련한 시대라고도 볼 수 있다.
3.3.6. 사회복지
1870년대 대불황 시대가 시작되자, 피지배층이었던 중류계급은 정치에 참여하는 형태로, 노동자 계급은 파업의 형태로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영국 정부에서 1830년대에 차티스트 운동을 때려잡은 것처럼 이러한 움직임을 억누르려고 하였으나, 시대의 흐름을 막을 수는 없었고 결국 성인 남성의 보통 선거가 가능해졌다. 이로서 보편적인 교육, 복지, 위생 등에 대해 정부가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이는 이전에는 각각의 영지 내에서 자체적으로 처리되던 일들이, 산업혁명을 통해 국가라는 규모로 사회가 통합되면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파악하고 대응, 혹은 예측하기 위한 시스템( 학문, 부처, ...)이 만들어지고 있다고 파악할 수 있다.하지만 이러한 정치적 권리는 여성에게 부여되지 않는 반쪽짜리였고, 빅토리아 '여왕'이 재위하던 시기임에도 여성의 자유과 권리는 인정받지 못했다. 서프러제트에 의해 여성 참정권 운동이 발생했으나, 빅토리아 시대가 끝난 1차 세계대전 이후에서야 여성에게 선거권이 부여되었다.
3.3.7. 교육
19세기 초기 영국 대학들의 모습은 현대의 대학들과 크게 달랐다. 당시 영국의 본토인 브리튼 제도에서 대학으로서 인가 받은 교육기관은 아래와 같았다. ( 틀)- 옥스퍼드 대학교 (1096년)
- 케임브리지 대학교 (1209년)
- 세인트 앤드루스 대학교 (1413년)
- 글래스고 대학교 (1451년)
- 애버딘 대학교 (1495년)
- 에든버러 대학교 (1582년)
- 트리니티 칼리지 더블린 (1592년)
이 중 케임브리지 대학교의 경우 모든 학생이 수학 시험(Mathematical Tripos; 현재는 케임브리지 대학교 수학과 학부생들이 학년 말에 치는 시험 혹은 수학 전공 자체를 가르키는 말)을 치러야 했으며, 옥스퍼드 대학교의 경우 모든 학생이 고전 그리스어와 라틴어를 배워야 했다. 그러나 1851년 정부의 권고에 따라 해당 의무사항들이 폐지되고 대학 교육과정이 다양화되기 시작하여 자연과학, 사회과학 분야 전공 및 학과들이 신설되었다. 또한 옥스브리지의 기존 칼리지들은 모두 남자대학이었으나, 1870년대부터는 여자대학 칼리지들이 세워지기 시작한다.[13]
빅토리아 시대 들어 교육기관의 설립도 활발해졌다. 1832년에는 노스이스트 잉글랜드의 더럼에 더럼 대학교가 설립되고 인가받았으며, 1836년에는 런던에서 1826년 설립된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과 킹스 칼리지 런던(KCL)이 결성한 런던 대학교 또한 대학 인가를 받는다. 또한 전국 각지에 대학 인가는 받지 못한 실업 및 예체능 계열 고등교육기관들이 우후죽순 생겨났으며, 이들 중 다수는 먼 훗날 인가를 받아 정식 대학으로 승격된다. 예를 들어 1824년 맨체스터 기술원이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맨체스터 대학교, 1858년 케임브리지 예술학교라는 이름으로 설립된 앵글리아 러스킨 대학교 등.
이러한 교육기관의 확충 및 현대화는 빅토리아 시대 이후에도 계속되어 1900~1960년에는 붉은 벽돌 대학( 틀), 1960~1992년에는 판유리 대학( 틀)들이 설립된다.
3.3.8. 제국주의
폭발하는 생산성을 주체하지 못하고 바깥으로 계속 진출하여 시장을 개척하기 위한 움직임으로 제국주의가 시작되었다. 자원을 싼 값에 들여와 높은 값에 팔기 위해서는 식민지인의 희생이 필수였고, 불만이 쌓여가서 독립운동을 일으키게 만들기도 했다. 이 시기 어지간한 비유럽 국가들은 열강의 식민지가 되어가는 전철을 밟아가다 결국 식민지가 되었다.3.3.8.1. 미국의 식민지화(1607 ~ 1783)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에 도달한 뒤 스페인 사람들에 의해 동해안에 식민지가 건설되었으나 제대로 정착하지 못하고 사망했다. 미국의 스페인령은 남부 플로리다와 텍사스, 루이지애나, 오클라호마 그리고 서부 캘리포니아와 애리조나, 뉴멕시코였다. 남부는 쿠바 부왕령의 일부였다.1607년, 영국이 버지니아 주 제임스타운에 건설한 식민지가 현 미국의 모태가 된다. 그 이후 1620년 박해를 피해 메이플라워호를 타고 매사추세츠 플리머스에 도달한 청교도[14]들이 건설한 식민지[15]는 변두리에 지나지 않았다.
이들이 살아남은 것은 그야말로 운이 크게 작용한 것이었다. 이들은 대부분 소상공인들이라서 낚싯대 하나 챙겨간 사람이 없을 정도로 황무지 개척에는 능력이 없었다. 그 결과 제임스타운의 전례를 밟기라도 하듯이 죽어나가기 시작했다. 12월에 아메리카 대륙에 도착한 메이플라워호가 다시 영국으로 떠난 이듬해 4월에는 거의 절반인 54명만 살아남아 있었고, 그나마도 절반은 어린아이들이었다. 이들이 살아남은 이유는 순전히 인근에 거주하던 원주민 왐파노와그족들의 호의에 기반한 것이었고, 그나마도 두 번이나 유럽인에게 납치당하고 노예로 팔리는 등의 고생을 하다가 겨우 메이플라워호 도착 1년 전에 돌아왔다가 2년 뒤에 역병으로 사망한 티스콴툼의 존재가 결정적이었다. 이 사람만 영어를 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표류인들? 이 사람들은 티스콴툼이라는 발음도 못해서 스콴토라고 불렀다.
여기서 여담을 붙이자면, 티스콴툼이 죽고 정착민들이 자력 생존이 가능해진 이후에 왐파노와그 족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었을까? 이런 이야기를 한 것에서 짐작하겠지만, 필그림들은 원주민들을 사탄의 종자라고 불렀다.[16] 하지만 정착민들의 계속되는 확장과 더불어 왐파노와그 부족의 영역에 침범하게되고 결국 필립왕 전쟁 때, 왐파노와그들은 정착민들을 공격해서 양측 간의 전쟁이 시작되었고, 정착민들에 의해 왕파노와그 족은 추수감사절의 기원이 된 평화협정이 맺어진 지 50년도 지나지 않아서 거의 절멸했다. 이 시기를 다룬 글.
이후 계속된 식민 사업으로 미국 동부 13개 주의 기초가 되는 식민지들이 세워진 상황(1732년)에서 여러 요인들로 인한 본국과의 불화가 생겨난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돈. 재정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 영국이 치안 유지비를 식민지들에게 부담시킨 것이 시작이었다.
사실 미국에 주재하던 밀수업자들(아직은 미국인 아님)이 영국의 무역 재정 적자를 악화시킨 것도 하나의 원인이었다. 하지만 처음엔 관계 개선을 원하였을 뿐 독립을 생각하지는 않았다. 식민지 출신 온건파들의 주된 입장은
"저기요, 그렇게 세금 의무 주시면 권리도 줘야죠."
정도로. 프랭클린의 "대표 없는 곳에 세금도 없다."라는 유명한 발언이 이런 의견의 연장선이었다. 다만 실제로는 세금 못 내겠다라는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당시 상황을 고려하면, 식민지 대표들이 영국에 가서 대서양 건너 식민지의 이익을 대변한다는 것은 개소리나 마찬가지였기 때문. 실제로 당시 기록을 봐도 정치적 권리를 달라는 것보다 세금 내기 싫다가 훨씬 많다. 여튼 영국 본토는 무시하고 인지세를 걷어서 식민지의 공업성장을 억제하여 식민지를 영국의 시장 정도로 유지하려 들었다. 이에 대해서 영국인들이 식민지인들에게 참정권을 주면 어느 순간엔가 그 세력이 대책없이 커져 버린 식민지가 본토를 누르고 정치-경제적 중심지가 될 것을 우려했다는 설도 있다. 현재 미국과 영국의 내수경제 규모를 생각해보면 일리있는 판단이다. 소규모 권리를 인정해주더라도 실제 정치-경제적 영향력과 행사 가능한 권한의 괴리로 인한 불만은 터져나올 것이며, 결국 독립을 하던지 아니면 본인들의 힘에 걸맞은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던지 둘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후자가 된다면 본토가 식민지에 먹히게 되는 셈.
그래서 점차 급진파가 여론을 장악하면서[17] 렉싱턴 전투를 기점으로 미국 독립전쟁이 발발하게 된다(1775~1783). 이에 영국은 식민지 독립을 막기 위한 약 4만여 명의 군대를 대대적으로 파견하게 된다.
그에 맞서서 독립 분자(Patriot)들은(아직도 미국인은 아니다) 조지 워싱턴을 사령관으로 대륙군(Continental Army)을 결성, 자발적으로 참여한 민병대 등과 함께 독립전쟁에 나선다. 당시 세계최강이던 영국군의 세력 탓에 한동안 영국에 유리하게 전황이 흘러갔으나, 결국은 프랑스 등과 동맹을 맺은 미국인들이 영국군을 몰아내고 승리를 거둔다. 이 와중에 프랑스는 너무 많은 전비를 사용해 훗날 혁명의 원인을 제공했다는 사실. 역시 문제는 돈. 독립 전쟁 직전에 보스턴 차 사건(Boston Tea Party)이 있었는데, 이 사건 때문에 미국인들은 홍차 대신 커피를 마시기 시작했다. 물론 실상은 보스턴 차 사건 항목에도 있지만, 영국 상인에 의해서 인도와 중국에서 건너와야 하는 차보다 중남미에서 생산된 커피를 미국 상인들이 직접 들여오는 쪽이 훨씬 저렴하였기 때문이었다.
결국 영국은 1783년 파리조약을 통해 미국의 독립과 미시시피 강 동쪽의 영유권을 승인하였고, 1787년 미국은 헌법을 제정하게 된다.
미국의 국기에 줄이 13개 그려져 있는 이유가 바로 이 시대에 연방에 가입한 주가 13개였기 때문. 첫 번째로 가입한 주는 델라웨어 주. The First State라고 불린다.
3.3.8.2. 인도 식민지화(1757 ~ 1947)
근세 이후 인도 각지에 침투하던 유럽 세력은 대체로 프랑스와 영국의 동인도 회사(영국의 경우 1757년 설립)로 요약되는데, 7년 전쟁의 플라시 전투에서 영국군이 인도 현지 군대와 합세한 프랑스를 격파하면서 지배력을 굳혔고, 영국 동인도 회사령 인도라는 동인도 회사 소유의 식민지를 건설하게 된다.이후 18세기부터 19세기 초반까지 각지 중소 국가들을 격파하고 영국이 전 인도를 지배하게 되었으나, 무굴 제국 왕실은 델리 지역만을 통치하며 형식적으로 존속하였다.그러나 1858년 일어난 세포이 항쟁을 진압하면서 무굴 제국 왕실(과 함께 동인도 회사도)이 폐지되었고, 1877년에는 영국령 인도 제국(1858~1947, 황제 즉위는 1877)으로 굳혀진다. 이 시기까지 로이의 브라모 사마지 운동 등 의식 개혁 운동과 교육의 보급 운동 등이 진행되었으나, 추세를 바꾸지는 못했다.
식민 지배 시기 마하트마 간디 등의 비폭력 불복종 운동, 자와할랄 네루와 인도 국민 회의 계통의 독립 운동, 진나가 이끄는 무슬림 연맹 등의 독립 운동 등이 계속되어 인도의 주권을 찾으려 노력하였다. 대체로 인도의 독립 운동은 자치권을 확대하는 과정으로 진행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민주주의를 도입하면서 자신들의 의석 보장을 원하는 이슬람교와 자신들에게 유리한 일반적 민주주의를 주장하는 힌두교 세력이 서로 대립하기도 했다.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미얀마를 점령한 일본군과 맞서기도 했지만, 한편으로 일본군을 이용해 영국을 몰아내고 독립을 쟁취하려 한 찬드라 보스의 활동도 있었다. 1942년에는 마하트마 간디의 지도 하에 대대적인 저항 운동이 일어나기도 했다. 그러나 당시 영국은 동남아시아에 영향력을 확장하려는 일본 제국에 모든 힘을 집중해야 했으므로 이들 운동을 신속하게 무력 진압했다.
3.3.8.2.1. 경작
3.3.8.3. 캐나다의 식민지화(1763 ~ 1982)
7년 전쟁의 끝나면서 프랑스 식민지들이 영국의 식민지로 굳어짐. 이후 영국은 캐나다 지역이 미국의 독립전쟁에 참여하는 것을 막기위해 퀘벡의 프랑스계 주민들이 가톨릭 신앙을 유지하고 프랑스어를 계속 사용할 수 있도록 특권을 인정해줌.- 1843년 11월: 캐나다에서 '그레이스 마크스'와 '제임스 맥더멋'이 그들의 고용인인 '토머스 키니어'와 그의 정부 '낸시 몽고메리'를 살해함. 이 사건은 훗날 소설 "알리아스 그레이스"로 널리 알려짐.
3.3.8.4. 호주의 식민지화(1787 ~ 1986)
1787년 영국이 호주 대륙의 동반부를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Colony of New South Wales)로 선포한다. 그후 영국인들의 호주 대륙 해양 탐사에 따라 식민지는 차츰 넓어져가서 가장 넓었을 시절의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는 퀸즐랜드, 빅토리아, 태즈메이니아, 노던 준주,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까지 모두 포함하는 거대 식민지였다.1788년 영국이 유형수들을 시드니에 상륙시킴으로써 호주 이민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대륙의 동남부를 차지하며, 대륙 개발의 거점이 되었던 지역이다.
이민으로 인구와 이민자 정착지가 증가하면서 1825년에 태즈메이니아가 별개의 식민지로 떨어져나간 것을 시작으로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빅토리아, 퀸즐랜드가 별개의 식민지로 떨어져나갔으며, 1863년에는 노던 준주의 영역을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 관할로 넘겼다. 1901년에 영국의 자치령으로서 호주 연방이 결성되면서 뉴사우스웨일스는 호주의 주가 되었고, 1911년에 신수도 건설을 위해 캔버라와 그 일대를 호주 수도 준주로 떼주고 1915년에는 연방정부의 물류수송과 연방 해군의 조차를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저비스베이 준주 지역을 떼주면서 현재의 영역이 확립되었다. 오늘날에도 호주의 모든 부문에서 가장 강력하며 중요한 주이다.
3.3.8.5. 말레이시아 식민지화(1826 ~ 1957)
유럽에서 나폴레옹 전쟁이 일어나자 영국의 동남아시아 진출은 급진전했다. 네덜란드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공격을 받아 정복당하고, 왕은 영국으로 망명해 아시아 지역에서의 네덜란드 지배권을 모두 영국에게 위임했다(1795). 그러자 영국은 더욱 대담하게 동남아시아 식민지 경영에 착수하여 페낭에 영국 상관을 설치하고, 말라카 및 바타비아를 접수했으며, 향료 제도에 이르기까지의 제해권을 장악했다.영국은 페낭을 얻었고, 이 곳을 시작으로 해서 1819년에 싱가포르를 건설하기까지 말레이 반도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증대해 갔다. 1824년에는 네덜란드와 맺은 조약(런던 협약)에 의해 수마트라, 자와(한국에 익히 알려진 자바(Java)는 영문명) 등 현재의 인도네시아 지역은 네덜란드가, 말레이 반도 지역은 영국이 관할하기로 결정되었다.
결국 페낭, 말라카, 싱가포르를 한데 묶어 ' 해협 식민지(Straits Settlements)'를 만들기에 이른다(1826). 하지만 이 때까지의 영국의 관심은 무역로 장악이었을 뿐이고, 특히 중요한 것은 '중국으로의 길' 이었다. 해로상의 거점을 장악했으면 그걸로 충분했다. 당시까지는 말레이 반도에서 수익성 높은 자원이 생산되는 것도 아니었기 때문이다.
19세기부터 영국은 말레이 반도 그 자체에 관심을 두게 되었다. 그 중심에는 주석이 있었는데, 주석을 이용한 함석 제조 기술이 발전하고 수요가 증대함으로써 말레이 반도의 주석 광산들이 황금알을 낳는 거위가 되었던 것이다.
주석 광산의 운영에는 세 집단이 관련되어 있었다. 첫째는 주석 광산을 보유한 술탄이었고, 둘째는 그것을 운영하는 영국의 자본가들이었으며, 셋째는 바로 주석 광산에서 일하는 중국인 노동자들이었다. 이렇게 말레이 반도로 건너온 중국인들이 뛰어난 교육열과 부지런함으로 영국령 말레이시아의 중간 공무원들이 되기도 하고 말레이시아의 경제권을 장악하기도 하면서 소외된 말레이계 사람들과 점점 반목하게 된다. 당시 영국인들은 말레이계열은 착하고 성실하지만 단순하고 게으르고, 중국인들은 능력있지만 영악하다고 평가했다. 이러한 편향적인 말레이계-중국계 고정관념은 동남아에선 아직도 통한다. 심지어 멀리 떨어진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도 통한다. 영국인 지주들은 말레이계 사람들을 하인으로 삼아 집안일을 시켰고 중국계를 부두나 시장에서 일하게 했는데, 이 때문에 아직도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인구 통계 작성시에 '기타' 항목이 아닌 별도 항목으로 작성될 정도로 숫자가 많다.
한편 19세기 말부터 급격히 확대되기 시작한 고무 플랜테이션 역시 말라야의 경제에 큰 역할을 했다. 20세기 초가 되면 고무가 말라야의 주 수출품목으로서 주석과 경쟁하게 되었으며, 1920년대와 1930년대에는 말레이 반도의 고무 농장 면적이 전 세계 고무 농장 면적의 절반에 달할 정도였다. 주석의 생산을 주로 중국계 광산 노동자들이 담당했다면, 고무 생산은 주로 계약이민으로 넘어온 인도계 농장 노동자들이 담당하였다. 20세기 초 고무 산업의 급성장에 발맞추어 말라야의 인도계 이민자 인구도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고무 농장은 주로 페락, 슬랑오르, 크다, 조호르, 느그리슴빌란 5개 주에 집중되어 있었다.
3.3.8.6. 홍콩 식민지화(1842 ~ 1997)
당시 중국의 청나라와의 제1차 아편전쟁 이후 1842년 홍콩(정확하게는 홍콩 섬)을 양도받게되고, 이곳에 빅토리아 시티를 건립하고 총독부를 신설한다.3.3.8.7. 아프가니스탄 보호국화(1880 ~ 1919)
독립국이 된 아프가니스탄의 지도자가 영국의 심기를 건드려서 영국이 아프가니스탄을 침공한다. 아프가니스탄은 전쟁에서 패전하여 사실상의 보호국 신세로 전락한다. 7개월 뒤, 봉기가 일어나고, 영국이 이를 진압한 후 아프가니스탄은 정식으로 보호국이 된다.이후, '압둘 라흐만 칸'과 그의 후계자인 '하비불라 칸' 시대까지 친영정책이 유지되어 영국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하비불라 대에 이르러서는 영국이 아프간에 지나치게 간섭하여 들기 시작하여 아프간은 오스만 제국과 독일을 끌어들여 영국을 견제하고자 하였다.
오스만과 독일과의 여러 차례 교류와, 영국이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아프간을 방어해 낼 여력이 없음을 알게 된 '하비불라 칸'은 아프간을 완전한 주권국으로 부활시킬 꿈을 꾸었다. 이에 하비불라는 영국에게 이를 요청하였으나 영국은 이를 거절하고, 1919년 2월 하비불라는 암살당한다.
하비불라가 암살당한 이후 그의 동생인 나스랄라 칸과, 하비불라의 아들이었던 아마눌라 사이에 왕위계승 분쟁이 일어났다. 보수파가 나스랄라를 지지하고 민주주의적 성향을 띈 개혁파가 아마눌라를 지지했는데, 아마눌라가 분쟁에서 이기고 나스랄라를 구금하는데 성공했다. 하지만 나라는 극히 불안정했고 보수파들은 공공연히 쿠데타를 이야기하고 다녔다. 보수파의 지지를 얻고 내부 불안을 외부로 돌리기 위해, 아마눌라는 영국령 파키스탄과 인도를 침공하였다.
비록 영국군이 아프가니스탄군에 비해 우월하다고는 하나, 이미 영국군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상당한 군인과 장비를 소모한 상태였기에 잘 해본다면 승산이 있는 싸움이었다. 초기에는 이를 이용하여 아프가니스탄군이 상당히 진군하였으나, 전열을 가다듬은 영국군의 반격과 아프가니스탄군 사이의 내부 분열로 인해 오히려 밀리기 시작했다. 당시 아프간군은 통일된 군대가 아니라 여러 부족들의 민병대를 규합해서 모은 연합부대의 성격에 가까웠기에 분열이 매우 극심했다. 특히 부족의 족장들을 국왕이 통제하지 못하다 보니 단합력도 떨어졌다. 결국 아프가니스탄군은 1천명의 전사자를 냈고 나중에는 전세가 아프가니스탄에게 불리했다. 하지만 영국과 아프가니스탄 둘 다 싸움을 지속할 여력도, 의지도 없었다.
결국 양측이 라왈핀디에서 회담을 가져 영국은 아프가니스탄의 완전 독립을 보장하며 떠났고 아프가니스탄은 영국과의 외교 관계를 회복하면서 끝났다. 아프가니스탄은 그리도 원하는 완전한 주권국이 될 수 있었지만, 장기간 식민통치를 받고 독립전쟁을 치르며 큰 타격을 입었고 영국이 보내주던 막대한 액수의 보조금도 사라져 한동안 재정난을 겪어야만 했다.
3.3.8.8. 이집트 보호국화(1882 ~ 1922, 1956[18])
1870년대, 이집트는 많은 이권을 영국에게 빼앗기고 있었다. 특히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주식을 영국이 구입하면서부터 간섭이 심해졌다. 1879년, 이집트에선 아라비 파샤를 중심으로한 민족주의자들의 반란이 일어났다.(Urabi revolt) 그러자 1882년, 영국은 이에 개입해 군대를 파병하였고, 반란군은 영국군에 순식간에 녹아내린다.그 이후 이집트에는 영국군이 주둔하게 되었으며, 약 74년간 영국의 영향력 아래 놓이게 된다.[19] 이집트의 민족주의자들은 반영 폭동을 일으키기도 했으나 진압당했다. 제1차 세계 대전이 시작된 1914년, 이집트에서는 후세인 카멜[20]이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독립을 선포하고,[21] 이집트 술탄국이 설립된다. 그러나 영국은 이집트를 식민지로 병합시킬 계획을 세우고 있었다. 그러자 이를 알게알게된 이집트인들은 영국의 적국인 독일 제국의 도움을 받아 이집트를 독립시키기 위해 친독 성향을 가지기도 했다. 할수 없이 이집트를 자국 편에 끌어들이는 것을 원한 영국은 공식적인 보호령으로 삼는 것에 그쳤다. 그러나 제1차 세계 대전 중에 이집트인들을 전쟁터로 동원하고, 전쟁 물자도 수탈해간 영국에 대해 분노한 이집트인들은 전후인 1919년, 대규모 반영 운동을 일으키는데, 이게 바로 1919년 이집트 혁명이다.
결국 영국은 1922년 이집트를 이집트 왕국이라는 왕국으로 독립시킨다. 그러나 영국군은 여전히 주둔하고 있는 상태였고, 수에즈 운하도 여전히 영국 소유였다. 경제적으로도 영국에 의존하는 성향이 컸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이탈리아 왕국이 이탈리아령 리비아를 통하여 이집트를 침공했으나 영국군이 이탈리아군으로부터 이집트를 보호하였다. 2차 대전 이후, 영국은 자국의 군대를 수에즈 운하를 제외한 이집트의 영토에서 철수시킨다.
3.3.9. 식민지 플랜테이션
4. 문화
4.1. 상류층 문화
- 낭만주의 - 고딕 리바이벌과 함께 빅토리아 시대의 대표적인 문화 사조.
- 신 고딕(고딕 리바이벌) 양식: 18세기 초부터 유럽 전역에서 유행한 신고전주의의 영향으로 영국에선 건축( 빅 벤, 웨스트민스터 궁전), 복식(빅토리안 고딕) 등 다양한 분야에서 고딕 문화가 부흥했다. 영국과 달리 프랑스, 독일 제국 등 대륙국가에서는 네오 바로크 양식이 유행했다.
- 무도회 - 가면무도회 등.
- 아르누보 - 아르누보는 에드워드 시대에 더 크게 유행했지만, 빅토리아 시대 말기인 1890년대에도 이미 어느정도 유행을 타고 있었다.
- 실내악
- 오페라
- 왈츠
- 집사와 메이드
- 정원 - 온실정원이나 화단을 조성해 꽃을 가꾸는 방식이 유행함.
- 박람회 - 영국이 1851년 런던 엑스포에서 수정궁을 통해 자국의 과학수준을 세계에 알린 이후, 유럽 각국은 박람회 개최를 통해 자국의 기술발전을 과시하고자 하였다.
- 지팡이술 - 19세기 신사들의 호신술.
4.2. 대중문화
- 과학소설[22]
- 고딕 소설
- 로맨스 소설
- 오컬트
- 마술: 서커스 형식의 대형 곡예단 등장.
- 사진: 사진기 자체는 고가품이였으나 사진관에서 적당한 가격을 받고 사진을 찍는 식이어서 서민들도 가족사진이나 기념사진같이 중요한 사진을 찍는 정도는 가능했다. 특이하게도 시체 사진을 찍기도 했는데, 애도의 뜻으로 죽은 가족의 시체를 살아있는 것처럼 연출하여 사진으로 남기는 것이 유행했다. 그래서 시체 사진만 전문적으로 찍는 시체 사진사들도 있을 정도였다.
- 연극
- 버스킹: 아코디언, 반도네온, 바이올린, 첼로등을 활용한 거리공연. 집시와도 연관이 있음.
- 복싱: 베어 너클
- 추리 소설: 셜록 홈즈 시리즈를 통한 클리셰 정립.
- 프릭쇼: 선천적 기형이나 장애를 가진 인물들을 동물원 구경거리처럼 보여주며 돈을 버는 쇼의 일종. 당대의 미약한 인권의식을 보여주는 문화로, 이후 인권 개념이 발전하며 사라진다. 그러나 생계에 어려움을 겪던 당시 장애인들이 합법적으로 돈을 벌 수 있는 몇 안 되던 일자리기도 했다.
4.3. 교통·통신수단
- 마차
- 범선 - 빅토리아 시대에도 범선은 민간의 주류 선박이었다. 철갑선은 군용으로 제한적으로만 사용되었고 엔진선박이나 금속제 선박은 빅토리아 시대 말기인 19세기 말~20세기 초에 들어서야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한다.
- 자동차 - 영국에선 이미 빅토리아 시대 초기부터 증기 자동차가 있었으나 적기조례로 인해 자동차 산업이 제대로 발달하지 못했으며, 1860년대 독일에서 고틀리프 다임러, 카를 벤츠 등이 가솔린 엔진을 이용한 자동차를 발명하면서 내연기관의 시대를 연다.
- 자전거
- 증기기관
- 지하철
- 전보
- 전화
4.4. 의복
- 뉴스보이 캡(카스케트)
-
카노티에(Canotier hat)
외출용 여성 모자. 실크햇처럼 양모로 만드는 것부터 남성용 보터햇처럼 밀짚으로 만든 것까지 종류가 다양하다.
-
스커트
롱스커트가 여성들의 일상복으로 흔히 쓰였다.
-
망토
프록 코트 위에 걸치는 용도로 사용했다.
-
인버네스
어깨부분에 망토가 달린 코트.
-
크라바트(Cravat)
16세기 말 크로아티아에서 시작되어 매던 넥타이의 조상인 넥 밴드. 본래 흰색만 쓰였으나 영국에서 여라가지 색을 조합한 이후 다양한 색이 쓰였다.
-
크리놀린(crinoline)
빅토리아 시대를 다룬 창작물에서 흔히 보이는 드레스의 치마 부분을 부풀리는 데에 쓰인 속옷이다. 1840-1860년 유행했다. 파팅게일과 파니에의 후신같은 셈. 강철 와이어나 고래수염같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만들었는데, 새장같은 모양으로 만들었고 시대에 따라, 계층에 따라 유행한 실루엣이 달라서 매우 다양한 형태가 있다. 빅토리아 후기부턴 크리놀린이 간소화된 크리놀렛, 랍스터 꼬리같이 엉덩이만 부풀리게 나온 버슬이 유행하면서 일상복으로써는 사라지게 된다.
-
버슬
19세기 말 크리놀린이 쇠퇴하고 유행했던 의복. 드레스의 뒤쪽을 묶고 엉덩이를 불룩하게 강조함.
5. 빅토리아 시대의 유명인 목록
5.1. 문학
- 알렉상드르 뒤마 - 프랑스의 모험소설 작가. 삼총사,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저자.
- 쥘 베른 - 프랑스의 과학소설 작가. 80일간의 세계일주, 해저 2만리 등의 저자.
- 빅토르 위고 - 프랑스의 작가. 레 미제라블의 저자.
- 알퐁스 도데 - 프랑스의 작가. 마지막 수업의 저자.
- 레프 톨스토이 - 러시아의 작가.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의 저자.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 러시아의 작가. 죄와 벌의 저자.
- 찰스 디킨스 - 영국의 작가. 올리버 트위스트의 저자.
-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 영국의 작가. 지킬 박사와 하이드의 저자.
- 아서 코난 도일 - 영국의 작가. 셜록 홈즈 시리즈의 저자.
- 루이스 캐럴 - 영국의 작가.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저자.
- 샬럿 브론테 - 영국의 작가. 제인 에어의 저자.
- 에밀리 브론테 - 영국의 작가. 폭풍의 언덕의 저자.
- 브램 스토커 - 아일랜드의 작가. 드라큘라의 저자.
- 오스카 와일드 - 아일랜드의 작가. 도리언 그레이의 초상의 저자.
- 카를로 콜로디 - 이탈리아의 작가. 피노키오의 저자.
- 마크 트웨인 - 미국의 작가. 톰 소여의 모험의 저자.
- 허먼 멜빌 - 미국의 작가. 모비 딕의 저자.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덴마크의 동화작가.
5.2. 과학·공학
- 수학자에 대한 상세 정보는 수학자/목록 문서의 19세기 인물들을 참조.
- 드미트리 멘델레예프 - 러시아의 화학자. 주기율표의 창시자.
- 마이클 패러데이 - 영국의 물리학자. 강령술의 허구성을 논파하기도 한 인물.
-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 - 영국의 물리학자. 전자기학의 창시자.
- 구스타프 키르히호프 - 독일의 물리학자. 흑체 용어의 고안자이자 키르히호프의 법칙을 발견한 인물.
- 빌헬름 콘라트 뢴트겐 - 독일의 물리학자. X선을 발견한 인물.
- 앙투안 앙리 베크렐 - 프랑스의 물리학자. 방사능을 발견함.
- 피에르 퀴리 - 프랑스의 물리학자. 압전 현상을 발견함. 마리 퀴리의 남편.
- 마리 퀴리 - 폴란드계 프랑스인 물리학자. 라듐과 폴로늄을 발견함. 피에르 퀴리의 부인.
- 위르뱅 르베리에 - 프랑스의 수학자. 해왕성의 존재를 예측함.
- 이삼바드 킹덤 브루넬 - 영국의 공학자. 조선, 건축, 토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한 인물.
- 올리버 헤비사이드 - 영국의 전기공학자. 동축 케이블을 고안함.
- 찰스 배비지 - 영국의 수학자. 기계식 컴퓨터인 해석기관, 차분기관을 고안함.
- 에이다 러브레이스 - 영국의 수학자. 최초의 프로그래머.
- 메리 서머빌 - 영국의 천문힉자.
- 카를 바이어슈트라스 - 독일의 수학자.
- 게오르크 칸토어 - 독일의 수학자.
- 베른하르트 리만 - 리만 가설로 유명한 독일의 수학자.
- 빌헬름 마이바흐, 고틀리프 다임러, 카를 벤츠 - 독일의 발명가. 가솔린 엔진을 이용한 자동차를 발명함.
- 루돌프 디젤 - 독일의 발명가. 디젤 엔진을 발명.
- 안토니오 무치 - 이탈리아 출신의 미국인 발명가. 전화를 발명.
- 알프레드 노벨 - 스웨덴의 화학자. 노벨상의 창시자이자 다이너마이트를 발명한 인물.
- 찰스 다윈 - 영국의 생물학자. 진화론의 아버지.
-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 백의의 천사로 유명한 영국 출신의 간호사 겸 통계학자.
- 존 스노우 - 영국의 의사. 근대적 예방의학의 시초.
- 그레고어 멘델 - 오스트리아의 신부 겸 생물학자.
- 로베르트 코흐 - 독일의 세균학자.
- 루이 파스퇴르 - 프랑스의 생물학자.
- 장 앙리 파브르 - 프랑스의 생물학자. 파브르 곤충기의 저자. 단, 파브르 곤충기는 에드워드 시대에 출간됨.
- 일리야 일리치 메치니코프 - 러시아의 생물학자.
- 엘리아스 하우 - 미국의 발명가. 재봉틀을 발명한 인물.
- 리처드 조던 개틀링 - 미국의 의사. 개틀링 기관총을 발명함.
- 하이럼 맥심 - 영국의 발명가. 맥심 기관총을 발명함.
5.3. 철학
- 카를 마르크스 - 독일의 철학자. 자본론의 저자.
- 프리드리히 엥겔스 - 독일의 철학자.
- 프리드리히 니체 - 독일의 철학자.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저자.
- 존 스튜어트 밀 - 영국의 철학자. 자유론의 저자.
5.4. 예술
- 표트르 차이코프스키 - 러시아의 낭만주의 작곡가.
- 로베르트 슈만 - 독일의 낭만주의 작곡가.
- 리하르트 바그너 - 독일의 낭만주의 작곡가.
- 요하네스 브람스 - 독일의 낭만주의 작곡가.
- 주세페 베르디 - 이탈리아의 오페라 작곡가.
- 구스타프 말러 - 오스트리아의 낭만주의 작곡가.
- 안토닌 드보르자크 - 오스트리아[23]의 국민악파 작곡가.
- 빈센트 반 고흐 - 네덜란드의 인상주의 화가.
- 장 프랑수아 밀레 - 프랑스의 사실주의 화가.
- 클로드 모네 - 프랑스의 인상주의 화가.
- 폴 고갱 - 프랑스의 탈인상주의 화가.
5.5. 기타
- 노턴 1세 - 미국의 유일무이한 자칭 황제.
- 잭 더 리퍼 - 1888년 화이트채플 연쇄살인사건을 일으킨 범죄자.
- 조세프 바셰 - 프랑스의 잭 더 리퍼로 불리는 연쇄살인마.
- 빌리 더 키드 - 미국 서부개척시대에 악명을 떨친 무법자.
- 제시 제임스 - 미국 서부개척시대의 유명 무법자.
- 피니어스 테일러 바넘 - 미국의 서커스 단장 겸 사업가. 바넘 효과라는 심리학 용어의 어원이 되기도 한 인물.
- 폭스 자매 - 영국과 미국에서 유명세를 떨친 강령술사 자매. 19세기 강령술 유행에 영향을 주기도 했다.
6. 이 시기를 배경으로 한 창작물(작품내 연도)
6.1. 소설
- 레 미제라블[24](1832년): 6월 혁명을 배경으로 한 빅토르 위고의 장편소설.
- 올리버 트위스트(1830년대): 찰스 디킨스의 소설
- 어셔가의 몰락(1839): 에드가 앨런 포의 소설
- 검은 고양이(1843): 에드가 앨런 포의 단편소설
- 몽테크리스토 백작(1844): 알렉상드르 뒤마의 장편소설
- 스위니 토드(1846 ~ 1847): 빅토리안 시대의 공포잡지책, 페니 드레드풀에 등장한 도시전설, 후에 뮤지컬과 영화로도 제작되었다.
- 제인 에어(1847년)
- 카르밀라(1871, 1872): 셰리든 레파뉴의 고딕 흡혈귀 소설
- 80일간의 세계일주(1872): 프랑스의 소설가, 쥘 베른의 여행소설, 여러차례 영화로 만들어짐
- 지킬 박사와 하이드(1886): 스코틀랜드의 소설가,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의 단편 소설
- 셜록 홈즈 시리즈(1887 ~ 1927): 코난 도일이 쓴 탐정소설 시리즈[25]
- 드라큘라(1897): 브램 스토커가 쓴 흡혈귀 소설
-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1861): 남북 전쟁 당시 남부연합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
- 빨강머리 앤(1870~80년대): 캐나다 자치령 당시 프린스 에드워드 아일랜드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 소공녀(1880~90년대): 프랜시스 호지슨 버넷이 작성한 런던을 배경으로 하는 소설
6.2. 동화
출판년도 순으로 기재-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이 1865년에 발표한 동화
- 거울 나라의 앨리스: 루이스 캐럴이 1872년에 발표한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속편
- 바보 이반: 러시아 제국의 소설가, 레프 톨스토이가 1886년에 발표한 동화
6.3. 그래픽 노블
6.4. 영화
- 노스페라투(1922)(1838): 독일의 '프레드리히 빌헬름 무르나우' 감독의 드라큘라의 독일버젼 각색작.
- 노스페라투(1979)(1838): 독일의 베르너 헤어초크 감독의 1922년작의 리페이크 영화.
- 장고: 분노의 추적자(1858): 제이미 폭스 주연,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의 2013년 영화.
- 라스트 사무라이(1876): 당시 일본에 있었던 마지막 사무라이에 관한 픽션 영화.
- 와일드(1882 ~ ): 브라이언 길버트 감독의 영국의 작가, 오스카 와일드에 대한 전기영화
- 하르툼(Khartoum)(1885): 1966년 영국에서 만든 영화. 찰턴 헤스턴이 찰스 조지 고든을 로렌스 올리비에가 마흐디를 연기한다.
- 빅토리아 & 압둘(1887): 스티븐 프리어즈 감독의 2017년 영화, 빅토리아 여왕과 인도인 시종, 압둘간의 우정을 그린다.
- 셜록 홈즈(2009년 영화)(1890): 가이 리치 감독의 영화
- 셜록 홈즈: 그림자 게임(1891): 가이 리치 감독의 두번째 셜록 홈즈 영화
- 브램 스토커의 드라큘라(1897): 프란시스 포드 코폴라 감독의 드라큘라 각색 영화
- 프레스티지(1890년대):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대중문화와 마술에 관한 영화
6.5. 드라마
- 빅토리아(드라마): 빅토리아 여왕을 주인공으로 하는 ITV의 사극 드라마.
- 알리아스 그레이스(1843 ~ 1869): 영국의 식민지시절, 캐나다에서 벌어진 살인사건을 재조명한 소설. 넷플릭스에서 드라마화.
- 셜록 홈즈(그라나다 TV)(1879 ~ 1903): 영국의 방송국, 그라나다에서 1984년에서 1995년까지 제작한 셜록 홈즈 드라마 시리즈.
- 페니 드레드풀(1891, 1892): 크리에이터 '존 로건'이 2014 ~ 2016년까지 3시즌동안 만든 영-미 합작 드라마. 유료 케이블 채널, '쇼타임'에서 방영
6.6. 연극/오페라/뮤지컬
- 잭 더 리퍼(뮤지컬)(1888): 잭 더 리퍼 사건을 소재로 한 뮤지컬
- 지킬 앤 하이드
- 스위니토드
- 레드북
6.7. 만화
- 흑박물관 스프링갈드(1841): 스프링힐드 잭을 다룬, 후지타 카즈히로의 만화
- 레이디 디텍티브(1860년대): 전혜진(글) & 이기하(그림)의 만화
- 죠죠의 기묘한 모험 1부 팬텀 블러드(1880년대): 아라키 히로히코의 만화
- 흑집사(1889): 토보소 야나의 만화
- 엠바밍 -THE ANOTHER TALE OF FRANKENSTEIN-(1890년대): 와츠키 노부히로의 만화
- 엠마(19세기 말): 모리 카오루가 그린 메이드 만화[26]
- 19세기말 비망록(1894): 조부경(글) & DUNDUN (그림)의 만화. 소설 <19세기 비망록> 원작.
6.8. 애니메이션
- 스팀보이(1866): 오토모 가츠히로가 감독하고, 공동각본을 쓴 극장판 스팀펑크 애니메이션.
- 죽은 자의 제국(1878): 이토 케이카쿠와 엔죠 토우가 공저한 스팀펑크 SF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19세기 말 찰스 배비지의 해석기관이 상용화되고 시체를 되살려 일종의 로봇처럼 운용하는 세계가 배경.
6.9. 게임
- 어쌔신 크리드: 신디케이트(1868): 유비소프트에서 개발한 어쌔신 크리드 시리즈의 2015년 작품. 런던을 배경으로 하며, 당시의 생활상을 그대로 옮겨 놓았다.
- Victoria 시리즈: Paradox Interactive에서 개발한 제국주의 전략시뮬레이션.
- 프로스트펑크(1887): 빙하기가 발생하여 런던을 탈출한 피난민들이 도시를 건설하며 생존하는 게임.
- 레드 데드 리뎀션 2(1899): 락스타 게임즈가 2018년 말에 발매된 서부 배경 게임.
- 대역전재판 시리즈(1899~1900)
- Fire & Maneuver
- 호그와트 레거시: 19세기 후반 호그와트를 배경으로 한 게임.
- 제5인격(19세기 후반)
[1]
영어에는 Royal We 혹은 Majestic Plural 으로 불리는 보통 서구의 군주가 스스로를 복수(We)로 칭하는 장엄 복수형이라는 어법이 존재하나 위 발언은 당시
보어 전쟁에 적극적이었던 전시 내각이 소집된 상태에서
빅토리아 여왕이 다소 소극적인 행보를 보인 총리를 꾸짖으면서 나온 것으로 정황상 본인 혼자만을 가리키기보다는 내각 전원을 칭하는 것이라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2]
대부분의 중세 판타지가 중세 시대의 고증에는 관심이 없고 단순히 중세의 시대적인 분위기만 차용하는 것과 유사하다.
[3]
물론 엄밀히 떨어지는 것은 아니라서 절대왕정이나 프랑스 대혁명, 혹은 나폴레옹 전쟁 시기처럼 빅토리아 시대 이전의 의복이나 시대상을 모티브로 잡은 경우도 있다.
[4]
훗날
이탈리아 왕국 제6대
총리를 역임했다.
[5]
마지막 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 총리이자 이탈리아 왕국 초대 총리
[6]
뉴사우스웨일스 식민지에서 다른 식민지들이 갈라졌다가 호주 연방으로 합쳐진 것이지만, 편의상 뉴사우스웨일스만 넣는다.
[7]
참고로 호주에서 이 사람이 활동할 무렵 동시대 미국에서는
율리시스 S. 그랜트 대통령이 재직했는데, 공교롭게도 그리스 신화의 인물 이름을 가진 태평양 양쪽의 지도자가 1870년대에 두명 나왔다.
헤라클레스의 이름을 가진 로빈슨 뉴사우스웨일스 총독,
오디세우스의 이름을 가진 그랜트 미국 대통령.
[8]
하루의 일과가 새벽에 일어나 삶은 감자 한개 먹고 저녁 10시까지 일하는 기계부품 같은 삶을 살았다. 이러다가 장애인이 되면 보상은 커녕 해고당하는 것도 모자라 가족들에게까지 버림받은 채 죽어갔다.
[9]
정해진 임금, 숙식 보장, 일 잘하면 신분상승, 실내근무 등 인권이 없던 그 시대 치고는 굉장히 좋은 환경이다. 하지만 주인의 인성에 따라 폭행, 성폭행 사건 등이 일어나기도 했다.
[10]
하는 일이 있긴 하지만 세부 사항을 국민이 알 수는 없었다.
[11]
물론 이후
아일랜드 문제에서 다시 한번 구교와 신교의 갈등 구조가 표면화되지만 애초에 아일랜드는 단순한 종교 갈등이 아니라 민족 갈등 문제와 결부된 것이었다.
[12]
대표적으로
셜록 홈즈 시리즈만 봐도 증인들이 용의자의 평소에 행실이 좋지 않다며 자주 지적하는 점 중 하나가 신앙심이 없다는 것이다.
[13]
참고로 옥스브리지 주요 칼리지들 및
미국
아이비 리그 대학들의
남녀공학화는 1960~80년대에 가서야 이루어진다.
[14]
Puritan인데, 이들을 청교도라고 부르는 것이 정당한가에 대해서는 좀 의문이 많다. 영국역사에서 청교도는 국교회에 대항해서 개혁운동을 벌인 이들을 의미하는 단어로, 이들처럼 영국국교회를 버리고 이탈한 이들에 대해서는 분리주의자(Separatist)라고 부른다.
[15]
제임스타운에서 북쪽으로 수백km 떨어진 곳에 위치
[16]
'영어를 할 줄 아는 스콴토'는 자신들의 정착을 돕는 하느님의 사자였다.
[17]
이 과정에서 토마스 페인의 팜플릿 '상식'이 큰 역할을 했다.
[18]
제2차 중동전쟁 이후
[19]
이때부터 영국의 비공식적인 보호령이 된다.
[20]
참고로 이 사람은
이라크의
후세인 카멜이 아니다.
[21]
19세기 중반 쯤부터 이집트는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사실상 독립한 상황이였으나, 공식적으로는 오스만 제국의 속령이였다.
[22]
현대 관점에서는
스팀펑크로서의 성격도 갖는다.
[23]
현재 기준으로는 체코인이지만 당시 기준으로는 오스트리아 제국민임.
[24]
엄밀히 말해 빅토리아 시대 배경은 아니나, 출간은 빅토리아 시대에 이루어졌고 시대적 배경인
6월 혁명은 빅토리아 시대 초기와 매우 인접한 시기이기에 이곳에 작성한다.
[25]
따지고 보면 빅토리아 시대 이후에 쓰인 작품도 많은데 여전히 그 시절의 향수를 부르는 게 인기 있었던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26]
단, 마지막 10권은
에드워드 시대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