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12:38:53

영국 총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12e, #01013a 20%, #01013a 80%, #01012e); color: #ffc224; min-height: 34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조지 1세
<rowcolor=#ffc224> 초대
로버트 월폴
조지 2세
<rowcolor=#ffc224>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로버트 월폴 스펜서 컴프턴 헨리 펠럼 토머스 펠럼홀스
<rowcolor=#ffc224> 제5대 제6대
윌리엄 캐번디시 토머스 펠럼홀스
조지 3세
<rowcolor=#ffc224> 제6대 제7대 제8대 제9대
토머스 펠럼홀스 존 스튜어트 조지 그렌빌
<rowcolor=#ffc224> 제10대 제11대 제12대 제13대
대 윌리엄 피트 오거스터스 피츠로이 프레더릭 노스
<rowcolor=#ffc224> 제14대 제15대 제16대 제17대
윌리엄 페티 소 윌리엄 피트 헨리 애딩턴
<rowcolor=#ffc224> 제18대 제19대 제20대 제21대
소 윌리엄 피트 윌리엄 그렌빌 스펜서 퍼시벌
<rowcolor=#ffc224> 제22대
조지 4세
<rowcolor=#ffc224> 제22대 제23대 제24대 제25대
조지 캐닝 F. J. 로빈슨 아서 웰즐리
윌리엄 4세
<rowcolor=#ffc224>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아서 웰즐리 찰스 그레이 윌리엄 램 아서 웰즐리
<rowcolor=#ffc224> 제29대 제30대
로버트 필 윌리엄 램
빅토리아
<rowcolor=#ffc224> 제30대 제31대 제32대 제33대
윌리엄 램 로버트 필 존 러셀
<rowcolor=#ffc224>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37대
조지 해밀턴고든 헨리 존 템플 헨리 존 템플
<rowcolor=#ffc224> 제38대 제39대 제40대 제41대
존 러셀 벤저민 디즈레일리
<rowcolor=#ffc224> 제42대 제43대 제44대 제45대
벤저민 디즈레일리
<rowcolor=#ffc224> 제46대 제47대 제48대 제49대
아치볼드 프림로즈
에드워드 7세
<rowcolor=#ffc224> 제49대 제50대 제51대 제52대
아서 밸푸어 헨리 캠벨배너먼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조지 5세
<rowcolor=#ffc224> 제52대 제53대 제54대 제55대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앤드루 보너 로 스탠리 볼드윈
<rowcolor=#ffc224> 제56대 제57대 제58대 제59대
에드워드 8세
<rowcolor=#ffc224> 제59대
스탠리 볼드윈
조지 6세
<rowcolor=#ffc224> 제59대 제60대 제61대 제62대
윈스턴 처칠
<rowcolor=#ffc224> 제63대
윈스턴 처칠
엘리자베스 2세
<rowcolor=#ffc224>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윈스턴 처칠 앤서니 이든 해럴드 맥밀런 알렉 더글러스흄
<rowcolor=#ffc224> 제67대 제68대 제69대 제70대
해럴드 윌슨 해럴드 윌슨
<rowcolor=#ffc224> 제71대 제72대 제73대 제74대
마거릿 대처 존 메이저 토니 블레어 고든 브라운
<rowcolor=#ffc224> 제75대 제76대 제77대 제78대
데이비드 캐머런 테레사 메이 보리스 존슨 리즈 트러스
찰스 3세
<rowcolor=#ffc224> 제78대 제79대 제80대
리즈 트러스 리시 수낙 키어 스타머 }}}}}}}}}

<colbgcolor=#01013a><colcolor=#ffc224>
파일:영국 정부 문장.svg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 총리
Prime Minister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
파일:Keir_Starmer.jpg
현직 키어 스타머 / 제80대
취임일 2024년 7월 5일
정당
관저 다우닝 가 10번지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clearfix]

1. 개요

영국 총리. 정부수반이자 정치적 실권을 지닌 실질적인 국가 지도자며 현직 총리는 키어 스타머이다.

2. 역사

영국은 성문헌법[1]이 없고, 다른 나라에서는 헌법으로 규정할 정치 제도가 법률과 관습으로 규정된다. 그래서 영국의 총리도 영국의 정치인들의 행보가 쌓이고 쌓여 형성된 관습에서 시작된 것이다. 이런 식이라서 영국 총리는 18세기부터 존재했지만 그 존재가 법에서 처음 언급된 것은 1917년에 이르러서였다.

영국의 초대 총리는 로버트 월폴이지만 사실 그는 총리 직함을 가진 사람은 아니다. 그가 총리였다고 간주되는 기간에 그는 서민원 의원이었고 왕실의 재정을 관리하는 제1대장경(First Lord of Treasury)[2][3]이라는 직위에서 동료 의원을 내각 각료로 임명하면서 영국을 이끌었으며, 의회에서 그의 세력인 휘그당이 과반을 점하지 못하자 책임을 지고 제1대장경 직위에서 물러났다. 즉 어떠한 법이나 제도가 아닌 그의 행보 자체가 의원내각제의 효시였으며, 제1대장경에 임명된 후임자들이 로버트 월풀의 정치적 행보를 대체로 따라가면서[4] 영국식 의원내각제 관습이 확립된 것이다.

이러한 역사적 이유로 영국 총리는 제1대장경을 겸직하며, 실제로도 재무장관직을 수행했다.[5] 그러나 스탠리 볼드윈 이후의 총리들은 재무장관을 따로 임명하고 그에게 제2대장경도 겸하게 함으로써 재무 관련 사무는 수행하지 않게 되었다.

관습에 불과하던 총리의 직함과 권한은 20세기에 들어서 드디어 성문화되기 시작한다.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했기 때문인데, 가장 큰 문제는 제1차 세계 대전 때 불거졌다. 영국은 협상국의 중추로서 세계대전에 자기 편 국가를 하나라도 늘리려고 총리 이름으로 외교 서한들을 보냈는데, 영국 총리 직위가 명확하지 않다보니 외교서한을 받는 국가에서는 이를 영국 정부의 뜻으로 믿기가 애매했고, 또 어느 정도의 의전으로 상대해야 할지 난색을 표했던 것이다. 결국 영국에서는 총리직을 명문화하는 정부조직법 제정안을 1914년 9월 통과시켰다. 그 후 1968년에는 총리를 정부수반으로 명백히 규정할 필요성이 생기게 됨으로써 국가공무원부장관(Minister for the Civil Service of the United Kingdom of Great Britain and Northern Ireland)이라는 직책을 만들고 이 자리를 영국 총리(제1대장경)가 겸하게 한다.[6]

보리스 존슨 전임 총리는 총리, 제1대장경, 국가공무원부장관이라는 타이틀에 연합장관(Minister for the Union)이라는 타이틀도 추가했다. 브렉시트를 계기로 스코틀랜드 민족주의 진영과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민족주의 진영에서 각각 스코틀랜드 독립론과 아일랜드 통일 운동을 띄워주는 데 맞서 연합왕국 체제를 수호하자는 취지로 붙인 타이틀이다. 일단 리즈 트러스 리시 수낙, 키어 스타머도 이 직함을 계승했으나, 후임 총리들도 이 타이틀을 붙일지는 알 수 없다.

영국 총리가 궐석일 경우 보통 외무장관이 부총리[7] 자격으로 직무를 대행한다. 최근 사례로는 2020년 3월 27일에 보리스 존슨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자리를 비우게 되자 도미닉 랍 외무장관이 치료 후 자가격리 기간이 끝나는 4월 27일까지 한달간 직무를 대리한 바 있다. #

3. 임명

이론적으로 영국의 총리 임명 권한은 영국 국왕에게 속한다. 하지만, 관습 헌법에 따라 국왕은 총선에서 서민원의 과반을 차지한 정당의 당수를 총리로 임명하여야 한다.

넷플릭스 드라마 더 크라운에 이 절차가 자세히 묘사되는데 현재 의회 내 과반을 차지한 다수당의 당수나 총선에서 승리한 당의 당수를 엘리자베스 2세 버킹엄 궁전으로 초대하여 의례적인 축하의 말을 건낸 후 당수가 "나의 이름으로 내각을 구성해달라."는 여왕의 요청을 받아 내각을 구성할 권한을 위임받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총리에 선출될 수 있는 것은 하원인 서민원 의원에 한정되며, 상원에 해당하는 귀족원 의원이 임명된 사례는 없다. 이 역시 명문화된 것은 아니지만 관습 헌법에 의하여 엄격하게 준수되고 있다. 예외적으로 딱 한 차례, 1963년 알렉 더글러스흄이 귀족원 의원 신분으로 총리에 임명되었는데, 총리 임명 4일 후에 백작 작위를 포기하고 서민원 선거에 출마하여 당선되면서 서민원의원 신분으로 총리직을 수행했다. 총리가 되기 위해서 귀족 작위를 포기해야 한다는 관례를 직접 보여준 셈이다.

4. 권한

마그나 카르타, 권리 장전, 권리청원으로 군주에서 의회로 권력이 보장받으며 의원들이 자체적으로 뽑은 수반인 총리는 국가의 실질적인 행정 권한을 수행한다.

행정부의 수장으로서 영국 국왕이 지닌 행정적 권한을 실질적으로 이행한다. 행정적인 측면에서 타국과 외교 조약을 수립하고 대외 관계를 맺을 수 있는 외교권과 내각을 구성하는 고위 공무원의 임면권, 귀족원 의원 임명자에 대한 인사권, 그리고 의회해산권을 장악한다.[8]

영국 총리는 또한 영국 국왕이 형식적으로 지닌 영국군의 통수권을 실질적으로 이행하며, 실질적인 영국군의 통솔 및 최고위급 장교의 임명권을 지닌다. 선전포고의 경우 타국과 마찬가지로 서민원과 귀족원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5. 권위

대영제국 시절에는 전 세계의 총리라고 생각해도 될 만큼 지구상에 존재했던 정부수반 중 가장 큰 영향력과 국제적 영향력을 가졌었던 직함 중 하나이다.

오늘날도 유엔 상임이사국인 정부의 수장으로서 영향력이 상당하다. 서방권 국가, 특히 영미권 국가에서는 아직도 미국 대통령 다음으로 영향력을 높게 쳐주는 분위기가 있으며, 특히 이는 영연방 왕국에서 두드러진 편이다.

다만, 정확한 임기가 정해져 있지 않기 때문에 국가 정책에 관한 입김이 매우 커질 수도, 매우 미미할 수도 있다. 재임 시기의 정국 상황과 총리 본인의 정치력에 따라 재임기간이 10년 이상이 될 수도, 두 달이 채 못될 수도 있다.

영국 총리는 의외로 그 권한에 비해 궁중에서의 석차는 3위에 불과하다. 영국은 의회에서 뽑는 대신들 말고도 국왕 직속 9명의 대신(大臣)이 존재하는데 이를 Great Officer of State(국무대관)이라고 한다. 그중 수석은 국왕의 대관식에서 성 에드워드 왕관을 보관하는 역할을 하는 Lord High Steward(대가령)[9], 차석은 Lord Chancellor(대법관)[10], 세번째가 영국 총리가 관습적으로 맡는 제1대장경직이다.[11]

6. 관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다우닝 가 10번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원래 중세부터 내려오는 관직인 First Lord of the Treasury의 관저이다. 당연히 현재는 형식상의 직위이나 총리의 관저는 제1대장경의 자격으로 들어갈 수 있는것이며 관저의 저택 문에도 저 직책명이 황금색 명판에 새겨져 있다.

또한 재임 기간동안 버킹엄셔 아일즈버리에 있는 Chequers라는 저택이 전용 별장으로 주어진다. 엄연한 국가 보안 시설이라 지도에 검색하면 제대로 나오지 않는다.

7. 목록

1721년 이후 역대 영국 총리들과 군주들을 정리한 동영상.

7.1. 조지 1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1 로버트 월폴
(1676 ~ 1745)
1721.4.3 1742.2.11 20년 315일 휘그당

7.2. 조지 2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1 로버트 월폴 1721.4.3 1742.2.11 20년 315일 휘그당
2 스펜서 컴프턴
(1674 ~ 1743)
1742.2.16 1743.7.2 1년 137일
3 헨리 펠럼
(1694 ~ 1754)
1743.8.27 1754.3.6 10년 192일
4 토머스 펠럼홀스
(1693 ~ 1768)
1754.3.16 1756.11.11 2년 241일
5 윌리엄 캐번디시
(1720 ~ 1764)
1756.11.16 1757.6.29 226일
6 토머스 펠럼홀스 1757.6.29 1762.5.26 4년 332일

7.3. 조지 3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6 토머스 펠럼홀스 1757.6.29 1762.5.26 4년 332일 휘그당
7 존 스튜어트
(1713 ~ 1792)
1762.5.26 1763.4.8 318일 토리당
8 조지 그렌빌
(1712 ~ 1770)
1763.4.16 1765.7.10 2년 86일 휘그당
9 찰스 왓슨웬트워스
(1730 ~ 1782)
1765.7.13 1766.7.30 1년 18일
10 대(大) 윌리엄 피트
(1708 ~ 1778)
1766.7.30 1768.10.14 2년 77일
11 오거스터스 피츠로이
(1735 ~ 1811)
1768.10.14 1770.1.28 1년 107일
12 프레더릭 노스
(1732 ~ 1792)
1770.1.28 1782.3.27 12년 59일 토리당
13 찰스 왓슨웬트워스 1782.3.27 1782.7.1 97일 휘그당
14 윌리엄 페티
(1737 ~ 1805)
1782.7.4 1783.3.26 266일
15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1738 ~ 1809)
1783.4.2 1783.12.18 261일
16 소(小) 윌리엄 피트
(1759 ~ 1806)
1783.12.19 1801.3.14 17년 86일 토리당
17 헨리 애딩턴
(1757 ~ 1844)
1801.3.17 1804.5.10 3년 55일
18 소(小) 윌리엄 피트 1804.5.10 1806.1.23 1년 259일
19 윌리엄 그렌빌
(1759 ~ 1834)
1806.2.11 1807.3.25 1년 43일 휘그당
20 윌리엄 캐번디시벤팅크 1807.3.31 1809.10.4 2년 188일 토리당
21 스펜서 퍼시벌
(1762 ~ 1812)
1809.10.4 1812.5.11 2년 221일
22 로버트 젠킨슨
(1770 ~ 1828)
1812.6.8 1827.4.9 14년 306일

7.4. 조지 4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22 로버트 젠킨슨 1812.6.8 1827.4.9 14년 306일 토리당
23 조지 캐닝(1770 ~ 1827) 1827.4.12 1827.8.8 119일
24 F. J. 로빈슨
(1782 ~ 1859)
1827.8.31 1828.1.8 131일
25 아서 웰즐리
(1769 ~ 1852)
1828.1.22 1830.11.16 2년 299일

7.5. 윌리엄 4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25 아서 웰즐리 1828.1.22 1830.11.16 2년 299일 토리당
26 찰스 그레이
(1764 ~ 1845)
1830.11.22 1834.7.9 3년 230일 휘그당
27 윌리엄 램
(1779 ~ 1848)
1834.7.16 1834.11.14 122일
28 아서 웰즐리 1834.11.17 1834.12.9 23일 토리당
29 로버트 필
(1788 ~ 1850)
1834.12.10 1835.4.8 120일 보수당
30 윌리엄 램 1835.4.18 1841.8.30 6년 135일 휘그당

7.6. 빅토리아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30 윌리엄 램 1835.4.18 1841.8.30 6년 135일 휘그당
31 로버트 필 1841.8.30 1846.6.29 4년 304일 보수당
32 존 러셀
(1792 ~ 1878)
1846.6.30 1852.2.21 5년 237일 휘그당
33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1799 ~ 1869)
1852.2.23 1852.12.17 299일 보수당
34 조지 해밀턴고든
(1784 ~ 1860)
1852.12.19 1855.1.30 2년 43일
35 헨리 존 템플
(1784 ~ 1865)
1855.2.6 1858.2.19 3년 14일 휘그당
36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1858.2.20 1859.6.11 1년 112일 보수당
37 헨리 존 템플 1859.6.12 1865.10.18 6년 129일 자유당
38 존 러셀 1865.10.29 1866.6.26 241일
39 에드워드 스미스스탠리 1866.6.28 1868.2.25 1년 243일 보수당
40 벤저민 디즈레일리
(1804 ~ 1881)
1868.2.27 1868.12.1 279일
41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1809 ~ 1898)
1868.12.3 1874.2.17 5년 77일 자유당
42 벤저민 디즈레일리 1874.2.20 1880.4.21 6년 62일 보수당
43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1880.4.23 1885.6.9 5년 48일 자유당
44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1830 ~ 1903)
1885.6.23 1886.1.28 220일 보수당
45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1886.2.1 1886.7.20 170일 자유당
46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1886.7.25 1892.8.11 6년 18일 보수당
47 윌리엄 이워트 글래드스턴 1892.8.15 1894.3.2 1년 200일 자유당
48 아치볼드 프림로즈
(1847 ~ 1929)
1894.3.5 1895.6.22 1년 110일
49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1895.6.25 1902.7.11 7년 17일 보수당

7.7. 에드워드 7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49 로버트 개스코인세실 1895.6.25 1902.7.11 7년 17일 보수당
50 아서 밸푸어
(1848 ~ 1930)
1902.7.12 1905.12.4 3년 146일
51 헨리 캠벨배너먼
(1836 ~ 1908)
1905.12.5 1908.4.3 2년 121일 자유당
52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1852 ~ 1928)
1908.4.8 1916.12.5 8년 243일

7.8. 조지 5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52 허버트 헨리 애스퀴스 1908.4.8 1916.12.5 8년 243일 자유당
53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1863 ~ 1945)
1916.12.6 1922.10.19 5년 318일
54 앤드루 보너 로
(1858 ~ 1923)
1922.10.23 1923.5.20 210일 보수당
55 스탠리 볼드윈
(1867 ~ 1947)
1923.5.22 1924.1.22 246일
56 램지 맥도널드
(1866 ~ 1937)
1924.1.22 1924.11.4 288일 노동당
57 스탠리 볼드윈 1924.11.4 1929.6.4 4년 213일 보수당
58 램지 맥도널드 1929.6.5 1935.6.7 6년 3일 국민노동당
59 스탠리 볼드윈 1935.6.7 1937.5.28 1년 356일 보수당

7.9. 에드워드 8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59 스탠리 볼드윈 1935.6.7 1937.5.28 1년 356일 보수당

7.10. 조지 6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59 스탠리 볼드윈 1935.6.7 1937.5.28 1년 356일 보수당
60 네빌 체임벌린
(1869 ~ 1940)
1937.5.28 1940.5.10 2년 349일
61 윈스턴 처칠
(1874 ~ 1965)
1940.5.10 1945.7.26 5년 78일
62 클레멘트 애틀리
(1883 ~ 1967)
1945.7.26 1951.10.26 6년 93일 노동당
63 윈스턴 처칠 1951.10.26 1955.4.5 3년 162일 보수당

7.11. 엘리자베스 2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63 윈스턴 처칠 1951.10.26 1955.4.5 3년 162일 보수당
64 앤서니 이든
(1897 ~ 1977)
1955.4.6 1957.1.9 1년 279일
65 해럴드 맥밀런
(1894 ~ 1986)
1957.1.10 1963.10.18 6년 282일
66 알렉 더글러스흄
(1903 ~ 1995)
1963.10.18 1964.10.16 364일
67 해럴드 윌슨
(1916 ~ 1995)
1964.10.16 1970.6.19 5년 247일 노동당
68 에드워드 히스
(1916 ~ 2005)
1970.6.19 1974.3.4 3년 259일 보수당
69 해럴드 윌슨 1974.3.4 1976.4.5 2년 33일 노동당
70 제임스 캘러헌
(1912 ~ 2005)
1976.4.5 1979.5.4 3년 30일
71 마거릿 대처
(1925 ~ 2013)
1979.5.4 1990.11.28 11년 209일 보수당
72 존 메이저
(1943 ~ )
1990.11.28 1997.5.2 6년 156일
73 토니 블레어
(1953 ~ )
1997.5.2 2007.6.27 10년 57일 노동당
74 고든 브라운
(1951 ~ )
2007.6.27 2010.5.11 2년 319일
75 데이비드 캐머런
(1966 ~ )
2010.5.11 2016.7.13 6년 64일 보수당
76 테레사 메이
(1956 ~ )
2016.7.13 2019.7.24 3년 12일
77 보리스 존슨
(1964 ~ )
2019.7.24 2022.9.6 3년 45일
78 리즈 트러스
(1975 ~ )
2022.9.6 2022.10.25 50일

7.12. 찰스 3세

대수 이름 임기시작 임기종료 재임기간 정당
78 리즈 트러스 2022.9.6 2022.10.25 50일 보수당
79 리시 수낙
(1980 ~ )
2022.10.25 2024.7.5 1년 255일
80 키어 스타머
(1962 ~ )
2024.7.5 현직 노동당

8. 현재 생존 중인 전직 총리

72 존 메이저
1943년 3월 29일생
([age(1943-03-29)]세)
1990년 ~ 1997년 최선임이자 최고령
보수당
73 토니 블레어
1953년 5월 6일생
([age(1953-05-06)]세)
1997년 ~ 2007년 노동당
74 고든 브라운
1951년 2월 20일생
([age(1951-02-20)]세)
2007년 ~ 2010년 노동당
75 데이비드 캐머런
1966년 10월 9일생
([age(1966-10-09)]세)
2010년 ~ 2016년 보수당
76 테레사 메이
1956년 10월 1일생
([age(1956-10-01)]세)
2016년 ~ 2019년 보수당
77 보리스 존슨
1964년 6월 19일생
([age(1964-06-19)]세)
2019년 ~ 2022년 보수당
78 리즈 트러스
1975년 7월 26일생
([age(1975-07-26)]세)
2022년 보수당
역대 최단임 총리
79 리시 수낙
1980년 5월 12일생
([age(1980-05-12)]세)
2022년 ~ 2024년 보수당
첫 유색인종 출신
전직 총리 중 최연소[12]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1em"
{{{#!folding [ 정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상징 유니언 잭 (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 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웨일스 공비 · 프린세스 로열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말버러 공작 · 케임브리지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 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 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 영국의 경찰제도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가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스코틀랜드 경찰청 · 영국 철도경찰 · 영국 국방부경찰 · 영국 원자력경찰대
정당 정당 · 보수당( 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 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 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 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 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 외교 전반(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JUSCANZ · 브렉시트( 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역사 전반 역사 전반()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영국 통일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시대 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엘리자베스 시대 · 찰스 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국가 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왕조 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세력 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경제 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 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 하위지역) · 스코틀랜드( 하위지역) · 웨일스( 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 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 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 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 영국인 · 잉글랜드인( 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 게일인) · 웨일스인( 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영국계 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 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 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 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 그리니치 천문대( 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 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TERF의 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종교 · 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 장로회( 스코틀랜드 교회) · 영국/관광
예술 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로빈 후드 전설 · 마더 구스 · 캔터베리 이야기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언어 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어리 · 콘월어 ·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음식 요리( 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 애프터눈 티) · 홍차 · · 아침식사 · 피시 앤드 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스포츠 축구(어소시에이션 풋볼) · 프리미어 리그 · FA( 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 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 대표팀) · NIFL · IFA( 대표팀) · 럭비( RFU · SRU · WRU · IRFU) · 프리미어십 럭비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 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 · 윔블던 · 영국 그랑프리 · F1
서브컬처 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영국인 캐릭터
기타 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킬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군사 전반 국방부( 국방위원회) · 영국군( 스코틀랜드군) · 해외 주둔군 · 계급 · 전투식량/영국군 · 징병제(폐지) ·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 · NATO · 군기분열식
장비 군복( 레드 코트) · 군장/영국군 · 군함( 1차대전 · 2차대전 · 현대전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항공기( 2차대전) · 핵무기( 튜브 앨로이스, AWE)
부대 육군( 연대 · 제3사단 · 제1사단 · 왕립 독일인 군단 · 원정군 · 블랙와치 · 사관학교) · 통합해군( 해군 · 해병대 · 함대 보조전대 · 대함대 · 본토함대 · 사관학교) · 공군( 제617비행대대 · 독수리 비행대대 · 사관학교) · 전략사령부 · 근위대 · 특수작전부대( E Squadron · SAS( 제21SAS연대) · SBS · SRR · SFSG · JSFAW · 제18정보통신연대) · 코만도 · 구르카 · 레인저연대 · 낙하산연대 · 연합합동원정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공산국가의 수상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무소속|
무소속
]]
푸슈파 카말 다할 (3차) 줘룽타이 한덕수 (2차)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무소속|
무소속
]]
샤나나 구스망 (2차) 쏜싸이 씨판돈 나지브 미카티 (3차)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안와르 이브라힘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민 아웅 흘라잉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팜민찐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무소속|
무소속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무소속|
무소속
]]
체링 토브가이 (2차) 김덕훈 하사날 볼키아 (국왕)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무소속|
무소속
]]
[[스리랑카 인민전선|
스리랑카 인민전선
]]
[[무소속|
무소속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디네쉬 구나와데나 무함마드 알바시르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무소속|
무소속
]]
[[탈레반|
탈레반
]]
로렌스 웡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압둘 가니 바라다르
(정치 및 외교)
무하마드 야쿠브
(군사 작전)
시라주딘 하카니
(재정 및 군수 물자)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아마드 아와드 빈 무바라크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비셰르 알카사우네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다와당
]]
[[리쿠드|
리쿠드
]]
압둘라 아리포프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베냐민 네타냐후 (6차)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나렌드라 모디 (3차) 이시바 시게루 (2차) 리창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아마나트|
아마나트
]]
[[무소속|
무소속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올자스 벡테노프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훈 마넷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무소속|
무소속
]]
[[아르 나므스|
아르 나므스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아킬베크 자파로프 코히르 라술조다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태국인당|
태국인당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파타|
파타
]]
패통탄 친나왓 셰바즈 샤리프 (2차) 무함마드 무스타파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주소이트 콘스탄틴 딕 스호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요나스 가르 스퇴레 메테 프레데릭센 (2차) 올라프 숄츠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신단결|
신단결
]]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에비카 실리냐 미하일 미슈스틴 (2차) 마르첼 치올라쿠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무소속|
무소속
]]
[[애국연합|
애국연합
]]
뤼크 프리당 잉그리다 시모니테 다니엘 리쉬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
[[무소속|
무소속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무소속|
무소속
]]
피에르 다르투 밀로이코 스파이치 도린 레체안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노동당(몰타)|
노동당
]]
[[무소속|
무소속
]]
[[Open VLD|
Open VLD
]]
로버트 아벨라 (2차) 피에트로 파롤린 알렉산더르 더크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
[[무소속|
무소속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라만 할로우찬카 (2차) 보랴나 크리슈토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무소속|
무소속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위날 위스텔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밀로시 부체비치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온건당|
온건당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울프 크리스테르손 빅토르 로시 페드로 산체스 (3차)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로베르트 피초 (4차) 로베르트 골로프 니콜 파시냔 (3차)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독립당(아이슬란드)|
독립당
]]
[[피너 게일|
피너 게일
]]
[[무소속|
무소속
]]
뱌르드니 베네딕트손 (2차) 사이먼 해리스 알리 아사도프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아이타이라|
아이타이라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에디 라마 (3차) 알렉산드르 안콰브 (2차)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노동당(영국)|
노동당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크리스텐 미할 (1차) 키어 스타머 카를 네하머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무소속|
무소속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데니스 시미할 조르자 멜로니 이라클리 코바키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자결당|
자결당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페트르 피알라 알빈 쿠르티 (2차)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무소속|
무소속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루이스 몬테네그루 도날트 투스크 (3차)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공석) 페테리 오르포 오르반 빅토르 (5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공산국가의 수상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도미니카 연방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마크 필립스 디콘 미첼 루스벨트 스케릿 (5차)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미아 모틀리 (2차) 필립 데이비스 조니 브리세뇨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국기.svg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필립 조셉 피에르 랄프 곤살베스 (5차) 테런스 드루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게리 코닐 (권한대행) 개스턴 브라운 (3차) 앤드루 홀네스 (3차)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트리니다드 토바고 국기.svg 트리니다드 토바고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쥐스탱 트뤼도 (3차)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키스 롤리 (2차)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
[[무소속|
무소속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 파일:기니 국기.svg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바 우리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니제르 국기.svg 니제르**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무소속|
무소속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사라 쿠공겔롸 (2차) 알리 라민 제인 샘 마테카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크리스티앙 은차이
파일:말리 국기.svg 말리**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무소속|
무소속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아지즈 아칸누시 프래빈드 주그노트 (2차)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부룬디*
[[공정당|
공정당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모하메드 울드 빌랄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무소속|
무소속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파일:세네갈 국기.svg 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무소속|
무소속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무소속|
무소속
]]
우스만 송코 함자 압디 바레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나디르 라르바우이 러셀 들라미니 (왕족)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번영당|
번영당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무소속|
무소속
]]
아비 아머드 로비나 나반자 무스타파 아드불리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적도 기니*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펠릭스 몰루아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파일:차드 국기.svg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카보베르데
[[개혁당(차드)|
개혁당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알라마예 할리나 조셉 응구테 (2차)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
[[공화연합|
공화연합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로베르 뵈그레 맘베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무소속|
무소속
]]
카심 마잘리와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아메드 하차니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크리스토퍼 럭슨 샬롯 살와이 (2차)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무소속|
무소속
]]
제러마이아 머넬레 시아오시 소발레니 펠레티 테오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팡구당|
팡구당
]]
[[인민동맹|
인민동맹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제임스 마라페 시티베니 람부카 (2차) 앤서니 앨버니지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1] 마그나 카르타 권리장전 및 국가 통치 체계를 담은 여러 법률이 헌법의 역할을 대신한다. [2] 당시에는 왕실재산을 관리하는 대장성과 국가재정을 담당하는 재무성이 병립했고 기능의 중복으로 재무성이 대장성에 흡수당했지만 그 수장의 명칭만은 남아서 대장성의 장관이 재무장관이고 총리는 제1대장경을 재무장관은 제2대장경을 겸한다. [3] 대장성이라는 번역어는 2001년 중앙성청개편 이전까지 일본의 재무부였던 대장성(大蔵省)에서 따온 말이다. 대장(大蔵)이란 국고, 금고 등을 의미하는데 영국 대장성(HM Treasury)에서도 Treasury가 국고, 금고 등을 의미하는 말이기도 해서 대장성을 번역어로 사용한다. [4] 그래서 이 때에는 국왕의 신임으로 내각불신임 따위 생까고 총리직을 유지한 사람도 있었다. [5] 제1대장경의 지위에 있지 않으면서 총리직을 수행한 사람도 있었다. 로버트 개스코인세실이 그 예. [6] 관습적으로 영국의 모든 공무원은 His(왕)/Her(여왕) Majesty's Civil Service라는 기관에 속해 있는데 명목으로만 존재하는 기관이고 여기서 하는 일은 없었다. 여기의 장을 총리가 겸하게 하면 총리를 정부수반으로 규정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갖게 된다. [7] 영국은 일반적으로 부총리직이 존재하지 않으나, 일부 내각에서는 특정 내각 인사에게 부총리 직함을 파주고 총리가 궐석일 때 직무 대행을 맡기기도 한다. [8] 2011년부터 고정임기법이 시행됨에 따라 내각불신임 결의가 하원을 통과했거나 의회의 ⅔이상 동의로 조기총선이 의결되었을 때만 의회를 해산할 수 있다. 그런데 보리스 존슨 총리는 2019년에 서민원 영국 귀족원 과반의 찬성으로 별도의 원포인트 법률 제정을 통해 의회를 해산하는 선례를 만든 바 있다. 이렇게 치러진 총선이 제58회 영국 총선. 그리고 관련 법이 2022년에 폐지되어 이제 총리는 자의적인 의회 해산이 가능하다. [9] 이전에는 귀족원에서의 재판에서 판사를 맡기도 했었다. [10] 예전에는 잉글랜드-웨일스와 스코틀랜드의 대법관이 따로 있었지만 현재는 통합되었다. 본래 대법관은 귀족원 의장을 겸하며 또한 동시에 잉글랜드-웨일스 사법부의 수반이었고 고등법원 내의 형평법재판소의 재판장이었지만 현재는 귀족원 의장, 고등법원장 등으로 권한이 분산되었다. 영국 총리인 제1대장경보다 상위의 직책이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영국 총리가 임면하는 자리이다. 영국 법무대신이 겸임하기도 한다. [11] 4위는 추밀원 의장, 5위는 귀족원 의장이 겸임하는 Privy Seal(어새상서), 6위는 Lord Great Chamberlain(식부경), 7위는 대관식을 주관하는 Lord High Constable( 대사마), 8위는 실질적으로 대관식을 주관하는 Earl Marshal(원수백), 9위는 현재 찰스 3세 국왕이 겸임하고 있는 Lord High Admiral(대제독경)이다. [12] 현직인 키어 스타머까지 포함해도 그렇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