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1:58:56

도쿠가와 요시노부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인물을 주인공으로 한 NHK 대하드라마에 대한 내용은 도쿠가와 요시노부(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design_img_f_1499012_s.png
에도 막부 정이대장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제3대
도쿠가와 이에야스 도쿠가와 히데타다 도쿠가와 이에미츠
<rowcolor=#FFF> 제4대 제5대 제6대
도쿠가와 이에츠나 도쿠가와 츠나요시 도쿠가와 이에노부
<rowcolor=#FFF> 제7대 제8대 제9대
도쿠가와 이에츠구 도쿠가와 요시무네 도쿠가와 이에시게
<rowcolor=#FFF> 제10대 제11대 제12대
도쿠가와 이에하루 도쿠가와 이에나리 도쿠가와 이에요시
<rowcolor=#FFF> 제13대 제14대 제15대
도쿠가와 이에사다 도쿠가와 이에모치 도쿠가와 요시노부
도쿠가와 공작가 당주 →
섭관 · 원정 · 헤이케 · 가마쿠라 · 무로마치
오다 · 도요토미 · 에도 · 내무경 · 총리
}}}}}}}}}}}}}}}
도쿠가와 요시노부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gcolor=#BD0029> 조정
<bgcolor=#021F70> 가마쿠라 막부
<rowcolor=#FFF><nopad> 초대 제2대 제3대
<rowcolor=#FFF><nopad> 제4대 제5대 제6대
<rowcolor=#FFF><nopad> 제7대 제8대 제9대
<bgcolor=#BD0029> 겐무 신정
<bgcolor=#BD0029> 남조
<bgcolor=#000> 무로마치 막부
<rowcolor=#FFF><nopad> 초대 제2대 제3대
<rowcolor=#FFF><nopad> 제4대 제5대 제6대
<rowcolor=#FFF><nopad> 제7대 제8대 제9대
<rowcolor=#FFF><nopad> 제10대 제11대 제12대
<rowcolor=#FFF><nopad> 제13대 제14대 제15대
<bgcolor=#003400> 에도 막부
<rowcolor=#FFF><nopad> 초대 제2대 제3대
<rowcolor=#FFF><nopad> 제4대 제5대 제6대
<rowcolor=#FFF><nopad> 제7대 제8대 제9대
<rowcolor=#FFF><nopad> 제10대 제11대 제12대
<rowcolor=#FFF><nopad> 제13대 제14대 제15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역대 내대신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gcolor=#BD0029> 내대신부 내대신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남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gcolor=#BD002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33.33%"
{{{#!folding [ 무가관위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bgcolor=#BD0029>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px; padding: 0"
}}}}}}}}}}}}}}}


파일:design_img_f_1499012_s.png
쇼군 후견직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rowcolor=#fff> 초대 제2대
도쿠가와 요시요리 도쿠가와 요시노부
교토수호직 · 정사총재 }}}}}}}}}}}}}}}

파일:design_img_f_1499012_s.png
도쿠가와 당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도쿠가와 공작가
<rowcolor=#fff> 제15대 제16대 제17대
도쿠가와 요시노부 도쿠가와 이에사토 도쿠가와 이에마사
도쿠가와 종가
<rowcolor=#fff> 제17대 제18대 제19대
도쿠가와 이에마사 도쿠가와 츠네나리 도쿠가와 이에히로
← 에도 막부 정이대장군 }}}}}}}}}}}}}}}
히토츠바시 도쿠가와 역대 당주
8대 도쿠가와 마사마루 9대 도쿠가와 요시노부 10대 도쿠가와 모치나가 }}}
<colbgcolor=#003400><colcolor=#fff>
에도 막부 제15대 정이대장군
도쿠가와 요시노부
徳川慶喜
파일:Tokugawa_Yoshinobu_as_Shogun.jpg
출생 1837년 10월 28일[1]
무사시국 도시마군 에도 미토 도쿠가와 저택
(現 도쿄도 분쿄구)
사망 1913년 11월 22일 (향년 76세)
도쿄부 도쿄시 고이시카와구
(現 도쿄도 분쿄구)
묘소 야나카레이엔(谷中霊園)
재임기간 제9대 히토츠바시 도쿠가와 당주[2]
1847년 9월 1일 ~ 1866년 8월 28일
제2대 쇼군 후견직[3]
1862년 5월 9일 ~ 1864년 3월 24일
제15대 정이대장군[4]
1866년 8월 29일 ~ 1867년 11월 19일
내대신
1867년 11월 18일 ~ 1868년 1월 24일
초대 도쿠가와 요시노부 당주[5]
1902년 ~ 1910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400><colcolor=#fff> 아키무네(昭致) →
요시노부/케이키(慶喜)[6]
아명 시치로마로(七郎麻呂)
별칭 히토츠바시 요시노부(一橋慶喜)
시호(子邦)
코우잔(興山)
신장 약 150cm[7]
부모 아버지 도쿠가와 나리아키(徳川斉昭)
어머니 요시코 여왕(吉子女王)
형제자매 22남 15녀 중 7남
부인 정실 이치조 미카코(一条美賀子)
측실 4명
자녀 10남 11녀
작위 공작 }}}}}}}}}
파일:Yoshinobu_Tokugawa_2.jpg
말년의 도쿠가와 요시노부[8][9]

1. 개요2. 생애3. 가족 관계4. 연표5. 평가6. 여담7. 창작물에서8.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에도 막부의 제15대 쇼군이자 일본사의 마지막 쇼군. 그리고 일본사 최후의 전근대적 통치자이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쿠가와 요시노부/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가족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도쿠가와 요시노부/가족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도쿠가와 종가와는 따로 떨어져 새롭게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문을 창설했다. 정실 도쿠가와 미카코(德川美賀子)[10] 외에도 측실로 잇시키 스가(一色須賀), 신무라 노부(新村信), 나카네 사치(中根幸), 오요시(お芳) 등을 두고 총 10남 11녀를 낳았다.

7남 요시히사의 차녀 도쿠가와 키쿠코 다이쇼 천황의 셋째 며느리가 되었으나, 자녀를 낳지는 못했다. 남편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 친왕이 동성애자라서 그랬다는 소문이 있다.
파일:tokugawa_yoshinobu09_kyodo-541x750.jpg
말년에 손녀 도쿠가와 키쿠코를 안고 있는 도쿠가와 요시노부.[11]

가문은 증손자인 요시토모(慶朝, 1950~2017) 때까지 이어졌고, 요시토모에게 자녀는 있었으나 전 부인과 이혼을 할 당시 자녀들이 어머니를 따라가 도쿠가와 가문을 이탈했기 때문에, 요시노부의 가문은 끊어졌다. 유언으로 맏누이의 딸 야마기시 미키(山岸美喜)를 지명했다는 것이 2023년 1월 밝혀졌는데, 미키는 이를 밝히며 동시에 절가(絶家)를 발표. 주간문춘[12]

증손녀 마사코(眞佐子, 1944~)는 히라누마 기이치로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양손자 히라누마 다케오와 결혼했다.

이치조 가보에 따르면 요시노부는 도쿠가와 히데타다 마츠다이라 노부야스의 여계 후손이며 #, 센히메의 피를 이어 받았다고 한다. #

4. 연표

<rowcolor=#fff> 연도 사건
1837년
(1세)
음력 9월 29일/ 양력 10월 28일, 미토 번 제9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아키의 일곱째 아들로, 에도 고이시카와 미토 번 가미야시키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아리스가와노미야 요시코, 아명 '시치로마로'(七郎麻呂)
1838년
(2세)
4월 28일, 미토에서 양육되기 위해, 미토성에 들어갔다.
1847년
(11세)
8월 20일, 히토츠바시 당주 마사마루(2세) 사망.
9월 1일, 히토츠바시 집안의 양자가 되어 가독(家督)을 상속했다.
10월 25일, 미토 번저택에서 히토츠바시 저택으로 옮김
12월 1일, 히토츠바시 시치로마로 등성관례(登城元服), 종3위 좌근위 중장에 서임, 요시노부로 개명했다.
1848년
(12세)
12월 4일, 쇼군 도쿠가와 이에요시가 히토츠바시 요시노부에게 대납언[大納言] 이치조 타다카(一条忠香)의 딸 치요(千代)와의 약혼을 명령했다.
1853년
(17세)
2월 6일, 천연두에 걸린 치요와의 약혼을 파기했다.
5월 1일, 타다카의 양녀 미카코(美賀子)와 약혼했다.
1856년
(20세)
12월 3일, 도쿠가와 요시노부(20세), 이치조 미카코(22세)와 결혼, 산기(参議)에 임명되었다.
1857년
(21세)
3월 24일, 막부 비장의 라이플총을 빌려본다.
10월 16일, 마츠다이라 슌가쿠(松平慶永)가 막부에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쇼군 후계 결정을 촉구하는 건언서를 제출했다.
1859년
(23세)
6월 23일, 이이 나오스케를 문책했다.
7월 5일, 막부 등성 처분 발표,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등성 정지, 도쿠가와 나리아키는 근신, 마츠다이라 슌가쿠는 강제 은거. 미토 번내의 인사권이 정지되면서 편지 왕복이 금지되었다.
이후 안세이 대옥 사건으로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은거, 근신 처분을 받았다.
1860년
(24세)
6월 24일, 아버지 도쿠라와 나리아키, 미토 성안에서 급사했다. 열공으로 시호됨.
9월 4일, 막부로부터 은거 근신을 해제받았다.
1862년
(26세)
5월 7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츠다이라 슌가쿠 등성,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를 배알했다.
7월 1일,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쇼군 후견직에 내명, 마츠다이라 슌가쿠는 정사 총재직에 내명됨.
7월 6일, 쇼군 후견직에 임명되었다.
11월 1일, 중납언[中納言]에 임명되었다.
12월 15일, 교토에 들어갔다.
1863년
(27세)
[ 펼치기 · 접기 ]
1월 5일, 교토 히가시혼간지에 들어갔다.
1월 10일 예궐했다. 처음으로 고메이 천황을 배알했다.
3월 5일, 예궐했다.
4월 11일, 이와시미즈 하치만궁 행차, 도쿠가와 이에모치 감기 소동, 도쿠가와 요시노부 교토를 떠남.
5월 8일, 에도에 들어갔다
5월 14일, 양이 불가능을 이유로 쇼군 후견직의 사직을 원했다.
10월 22일. 교토에 들어갔다.
10월 23일, 요시노부의 심복, 나카네 쵸주로(中根長十郎), 에도 치자교 문 밖에서 암살당했다.
12월 30일, 마츠다이라 슌가쿠, 다테 무네나리, 야마우치 도요, 시마즈 히사미츠,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조정에서 조의 참예로 임명되었다.
1864년
(28세)
2월 16일, 조의참예 모임에서 일부러 만취한 척하며 슌가쿠, 히사미츠, 다테 무네나리를 맹비난했다.
3월 9일, 조의참예 사임. 참예회의 붕괴.
3월 25일, 금리어수위 총독 취임. 셋츠 해 방위를 지휘했다.
6월 16일, 도쿠나가 요시노부의 심복, 히라오카 엔시로(平岡円四郎)가 게이센혼도리에서 암살됨.
7월 17일, 금문의 변에서 여러 번을 지휘해 조슈군을 토벌했다.
11월 29일, 텐구당 토벌 원서를 조정에 제출했다.
12월 3일, 텐구당 토벌을 위해 교토에서 출발해 12월 26일 귀경했다.
1865년
(29세)
할복까지 거론하며 <안세이 5개국 조약> 비준의 칙령을 받아냈다.
1866년
(30세)
[ 펼치기 · 접기 ]
7월, 금리어수위 총독 사임
8월 5일, 조슈 대투입 출정 선언
8월 8일, 쇼군 명목으로 예궐했다, 천황이 천배절도(天盃節刀)를 하사했다.
8월 12일 오구라 성 함락의 보고가 요시노부에게 도착
8월 14일 조슈 대투입 중지 선언, 가쓰 가이슈에게 평화교섭을 명했다.
8월 18일, 가쓰 가이슈가 도쿠가와 요시노부로부터 비밀 명령을 받았다.
8월 30일, 도쿠가와 종가 상속 칙허가 내려졌다.
9월 2일,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가 사망했다. 오사카성을 떠나는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분향하며 배웅했다.
12월 5일,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제15대 정이대장군( 쇼군)에 취임했다.
12월 25일, 고메이 덴노가 천연두로 붕어했다. 향년 35세.
시기 미상 쇼군에 취임한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게이오의 개혁(慶応の改革, 경응의 개혁)을 단행했다.
1867년
(31세)
[ 펼치기 · 접기 ]
1월, 해병을 조정에 주청
2월 6일, 오사카 성에서 프랑스 공사 레옹 로슈(Léon Roches)와 회담했다.
2월 7일, 삿초 동맹과 영국의 책모를 로슈에게 경고했다.
2월 18일, 마츠다이라 가타모리에게 친서를 보내 출사를 촉구했다.
2월 20일, 오사카성에서 로슈와 회담했다.
3월 5일, 효고 개항 칙허를 신청했다.
3월 27일, 오사카성에서 영국 공사 해리 파크스(Harry Parkes)와 회견했다.
3월 28일, 영국, 프랑스, 네덜란드 등 3국 공사와 공식 회견을 갖었다.
3월 29일, 미국공사와 회견했다. 4개국 공사들에게 효고 개항을 확약했다.
5월 23일, 효고 개항·조슈 처분 관대의 칙허를 요구했다. 밤새도록 논의한 끝에 다음날인 24일 칙허되었다.
6월 6일, 효고 개항을 12월 7일로 하고 에도, 오사카에 외국인 거류를 허용한다고 포고했다.
7월 25일, 프랑스 공사 로슈와 회견
7월 27일, 영국 공사 파크스와 회견
8월 14일 요시노부의 심복, 하라 이치노스케가 니조 성 이타쿠라 가쓰마사 저택 앞에서 살해되었다.
10월 4일, <대정봉환건백서>를 읽고 마츠다이라 슌가쿠에게 의견을 묻는 편지를 썼다.
10월 12일, 교토 주둔 막부 관리들을 니조 성에 모아 정권 반납을 통첩했다.
10월 14일, 니조 성에 여러 번 대표를 모아 대정봉환을 발표했다.
10월 14일, 고마쓰 기요카도가 도쿠가와 요시노부와 대면하여 5개조의 확약을 받았다.
10월 15일, 대정봉환을 조정이 받아들였다.
10월 22일, 조정이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잠시 정무를 보라는 통보를 내렸다.
10월 24일, <정이대장군 사직서>를 제출했다.
10월 26일, 조정이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다이묘의 상경까지 종래와 같이 지시했다.
12월 9일, <왕정복고 대호령>. 어전회의가 사관납지[15]를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요구했다.
12월 10일, 마츠다이라 슌가쿠, 니조 성의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입궐을 전했다.
12월 12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마츠다이라 사다아키, 이타쿠라 가쓰키요가 오사카 성에 입성
12월 14일, 오사카성에서 로슈, 파크스와 회견
12월 16일, 6개국 외국 사신 면담
12월 21일, 영국 공사 파크스와 회견
12월 26일, 오고쇼 삼직회의,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사관납지를 결정
12월 28일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에도 사쓰마 번 저택 방화의 보고가 들어왔다.
1868년
(32세)
[ 펼치기 · 접기 ]
1월 1일, <토사쓰의 표>[討薩の表]를 발표했다.
1월 3일, 도바-후시미 전투 발발.
1월 5일, 사가와 칸베이를 불러 보병 두병에 임명했다.
1월 6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마츠다이라 사다아키, 이타쿠라 가쓰키요가 군함 카이요마루로 오사카를 탈출했다.
1월 7일, 신정부군이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추토령>을 발표했다.
1월 10일, 신정부군이 <토벌 대호령>을 발표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 마츠다이라 카타모리의 관위 박탈 결정
1월 12일, 에도성에 들어가 가쓰 가이슈와 선후지책을 논했다.
1월 19일, 프랑스 공사 로슈, 에도성에서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신정부군을 제거하라고 권고했다.
1월 21일, 도쿠가와 요시노부, 호의의 재경 다이묘에게 편지를 써서 조정에 대한 주선을 바랬다.
1월 23일, 가쓰 가이슈 육군총재 임명, 에노모토 다케아키 해군 부총재에 임명.
1월 26일, 프랑스 공사 로슈와 회담
1월 27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로슈와 회담끝에 신정부군과의 항전론을 거부했다.
2월 2일,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에게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처분을 엄하게 하라는 편지를 썼다.
2월 5일, 도쿠나가 요시노부가 마츠다이라 슌가쿠에게 서한을 보내 공순[恭順]의 태도를 표명했다.
2월 9일, 도쿠가와 요시노부, 도바-후시미 전투의 책임자를 처벌했다.
2월 12일, 도쿠가와 요시노부, 우에노 간에이지 다이지원에서 근신 공순했다.
2월 16일, 오쿠보 도시미치, 가고시마의 미노다 덴베에에게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처분에 대한 편지를 썼다.
3월 9일, 야마오카 뎃슈(山岡鐵舟), 슨푸 대총독부에서 사이고 다카모리와 담판했다. 이후 사이고가 항복 조건을 제시했다.
3월 13일 & 14일, 가쓰 가이슈와 사이고 다카모리가 회담. 에도성 진격 중지를 결정.
3월 20일, 사이고 다카모리가 입궐,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구명(助命)의 칙재를 받았다.
4월 4일, 동해도 진무총독 하시모토 사네야네가 칙사로 에도성에 입성하여 도쿠가와 요시노부에게 미토에서 근신하라는 조정의 명령을 전했다.
4월 11일, 에도성을 비웠다. 이후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간에이지를 나와 미토로 향했다.
4월 15일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미토 히로미치관에 들어갔다.
4월 21일, 치히토 친왕이 에도성에 입성했다.(에도무혈입성)
7월 19일,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구막부함 반류마루에 승선했다.
7월 23일,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반류마루'로 시미즈 항에 입항했다. 슨푸성의 호다이인에 들어갔다.
1869년
(33세)
9월 28일, 메이지 덴노가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죄를 용서한다는 조칙을 내려 근신이 해제되었다.
10월 5일, 호다이인 히가시콘야쵸 구 막부대관소 터로 이사했다.
1872년
(36세)
1월 6일, 종4위에 서위되었다.
1877년
(41세)
5월 14일, 정2위로 승서되었다.
5월 26일, 기도 다카요시가 지병으로 사망. 향년 43세.
9월 24일, 사이고 다카모리 세이난 전쟁에서 패색이 짙어지자 할복했다. 향년 49세.
1878년
(42세)
5월 14일, 오쿠보 도시미치가 암살당했다. 향년 47세.
1888년
(50세)
3월 6일, 콘야쵸에서 니시쿠사후카 저택으로 거처를 옮겼다.
6월 20일, 종1위에 서위되었다
1893년
(57세)
1월 27일, 어머니 요시코 여왕이 사망했다. 향년 90세.
1894년
(58세)
9월 11일, 정실 이치조 미카코가 사망했다. 향년 60세.
1897년
(61세)
11월 19일, 도쿄 스가모로 이사했다.
1898년
(62세)
3월 2일, 황궁 입궐. 30년 5개월만에 메이지 천황을 만났다. 입궐 후 히카와초, 가쓰 가이슈의 집을 방문했다.[18]
1900년
(64세)
6월 22일, 메이지 유신의 공로자들이 받는 사향간지후를 수여받았다.
1901년
(65세)
12월 24일, 도쿄 코히나타다이로쿠텐쵸우 마을로 이사했다.
1902년
(66세)
6월 3일, 공작 작위를 받았다. 도쿠가와 종가와는 별도로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문의 창설이 허가되었다. 귀족원 의원에 취임했다.
1908년
(72세)
4월 30일, 대정봉환의 공으로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
1912년
(75세)
7월 29일, 메이지 덴노가 요독증으로 붕어. 향년 59세.
1913년
(76세)
11월 12일, 급성 폐렴으로 사망했다.[19]
11월 22일, 훈1등 욱일동화대수장이 추서된다.
11월 30일, 야나카레이엔 묘지에 묻혔다.

5. 평가

慶喜は、徳川家康の再来なり
요시노부는 이에야스의 재림이다.
카츠라 코고로
昨夜の対談で全く感服してしまった。実に偉い人だ。
어젯밤 대담에서 완전히 감복하고 말았습니다. 참으로 훌륭한 사람입니다.
이토 히로부미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후지산 같은 사람이었다. 가까이서 보면 바위 덩어리이지만, 멀리서 보면 위대한 영봉(霊峰)인 것이다.[20]
역사학자 이시다 미치후미(磯田道史) #

마지막 쇼군으로 유명하지만, 정작 요시노부의 정치적 전성기는 전임 쇼군 이에모치의 섭정이자 교토 조정의 총독으로서 공무합체파 정권을 이끌던 시기다. 오히려 요시노부의 쇼군 취임은 이에모치의 급사로 공무합체가 붕괴하고 막부가 거의 돌이키기 힘들 정도로 망조가 든 시점에서 일종의 파산관리인으로 맡은 것이었다.

에도 막부 마지막 쇼군이라는 이미지[21] 때문에 일본 대중들의 호불호가 갈리는 인물이기도 하다. 대표적으로 쇼군으로서 전쟁을 포기하고 도망을 쳤다는 부정적인 반응과 내전을 크게 만들지 않았고, 프랑스나 영국 등의 서양 열강들의 개입에 의한 영향도 최소한으로 했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뉜다. 심지어 그를 애국자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을 정도로 일본 대중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갈리는 인물 중 한 명이다.

그에 대한 평가와는 별개로 요시노부는 상당히 유능한 인물이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막번체제 이후의 구상력을 가지고 있었고, 카리스마도 있었으며, 날카로운 정보 분석에 의한 정치력을 겸비했었다. # 사카모토 료마 대정봉환 이후에 요시노부가 정권을 주도하는 형태를 구상했을 정도였다.[22]

1868년의 도바·후시미 전투에서 승리한 이후 에도 진격을 서둘렀던 사이고 다카모리는 "요시노부에게 생각할 시간을 주면, 어떻게 반격할지 모른다"라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고 한다. 요시노부가 에도성으로 돌아온 이후에 고향의 미토에 폐거한 요시노부를 "미토보다 슨푸성이 좋다"라고 하며 요시노부를 안전한 곳으로 피신시킨 것이 도막파의 일원 중 한 명이었던 이와쿠라 토모미였다. 이후 오쿠보 도시미치 보신전쟁에서 요시노부를 이용하는 것을 생각했다고 한다. 그만큼 상대방으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패장이었다. 쇼군 취임 당시 만났던 서양의 공사들도 요시노부를 고평가하기도 했다.

에도에서 교토로 거점을 옮긴 1863년 이후의 요시노부의 정치적 수완은 확실히 뛰어났다. 시마즈 히사미츠 등 유력 다이묘의 정치력을 꺾으면서, 1864년에는 중요 인물로서 '금리어수위 총독'에 임명되어 고메이 천황의 측근이 되었다. 같은 해의 금문의 변에서는 당초 신중파였지만, 일전해 군세를 지휘하여 죠슈 번병을 격퇴했다. 다음해인 1865년에는 < 미일수호통상조약> 등에 대한 칙허를 얻어 약 7년에 걸친 현안을 해결했다.

결단력도 빨라서, 1866년에는 스스로 주도하고 있었던 제2차 조슈 정벌을 중지했다. 그 후 제15대 정이대장군에 취임했고, 막부의 군제 개혁(게이오의 개혁) 등을 가속화했다. 영국과 프랑스 공사 등 구미 공사들과 오사카성에서 회견해, 외교 성과를 보여주어 개국파 지도자로서의 인상을 주었다. 계속해서 주저했던 효고 개항도 요시노부가 실현시켰다. 이후 국내에서는 막부 타도 계획에 대항해 대정봉환을 실행시켜서, 삿초 동맹 등 무력을 사용해 막부 토벌을 진행하려고 했던 토막파의 노림수도 무너뜨렸다. 왕정복고의 쿠데타도 사전에 정보를 파악하고 있었지만 굳이 보고만 있었고, 우발적인 충돌을 일으키지 않도록 교토에서 오사카성으로 피신했다. 요시노부는 무력 충돌을 피하면서, 오사카성의 막부 군사들을 배경으로 압력을 계속 가하고 있으면 정세가 유리하게 호전한다고 읽고 있었다.

항상 상대의 한 수 앞을 읽어, 임기응변으로 뜻밖의 묘수를 만들어내는 수완은 훌륭했다. 하지만 역사학자 안도 유이치로(安藤優一郎)는 요시노부의 결점으로 "자신의 강한 정치 기반을 갖지 못한 것"을 꼽았다. 엎친데 덮친격으로 나카네 쵸쥬로(中根長十郎, 1794 ~ 1863), 히라오카 엔시로(平岡円四郎, 1822 ~ 1864), 하라 이치노신 등 그가 아꼈던 심복들이 모두 암살되었다. 요시노부의 히토츠바시 가문은 제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창설했으며 가신단은 막부에서 파견된 출향자들로 구성되었다. 막부 인사의 사정으로 교체되어, 다이로도 막부 직책의 하나로, 수년 정도 맡으면 전임해 갔다.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히토츠바시 가문에서 점점 발탁되어 프랑스에서 가게 된 이유는 여기에 있었다. 다른 번의 색을 띠지 않은 유능한 젊은이였던 시부사와를 무엇과도 바꿀 수 없었던 것이다. 또한 요시노부는 아이즈 번 쿠와나 번과 제휴했지만, 군사면에서는 거의 전적으로 의지하고 있었다. 안도 유이치로는 "요시노부는 막부 내부에 강한 반발을 사고 있었다"고 덧붙였다. 약 5년이나 에도에 돌아오지 않고, 행선지인 칸사이에서 제멋대로 일을 하고 있다고 하는 불만이 에도성에 소용돌이치고 있었다고 한다. 요시노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 이래 유일하게 에도성에 들어가지 않은 쇼군이었다. 교토에서 취임해 도바 후시미 전투 이후 에도로 돌아왔을 때는 이미 쇼군이 아니었다.

또한 안도는 "자신의 주장을 표변[23]시키는 장면도 여러 번 있었다"고 지적했다.[24] 또한 그의 최대 결점으로 "설명 책임의 결여가 결정적이었다. 진의를 설명하지 않고 사전 공작도 하지 않아 불필요한 혼란을 초래했다"고 설명했다. 한마디로 상당히 독단적이었다는 것이다. 과묵했다는 이미지와는 달리 오히려 동시대 누구보다 그는 웅변적이었다. 논리가 명쾌했고, 언어도 명료했으며 유력 다이묘와의 회의나 교토 어소 내의 조의 등에서의 논의는 거의 불패였다고 한다.[25] 그러나 상대를 승복시키는 것과 진정으로 납득시키는 것은 미묘하게 달랐다. 오랜 맹우였던 마츠다이라 슌가쿠(松平春嶽)도 종종 그의 저의를 의심했다고 한다. 마츠다이라 슌가쿠는 요시노부를 "100가지 재주와 꾀가 있으나 단 한 가지의 담력도 없다(百の才能や智略があるが、ただ一つの胆力もない)"라고 평하기도 했다. # #

역사학자 이에치카 요시키(家近良樹)는 "에도막부 말기 정치의 중심 교토에서 정치적 경험을 쌓았고 권모술수에도 뛰어났던 그의 능력은 돋보였다. 요시노부는 신하나 주위에 상의 없이 독단적으로 중요한 결정을 내리는 고고한 쇼군이었다. 그러므로 결단할 수 있었던 것이 에도막부 말기 정치 사상 최대의 사건이라고 할 수 있는 대정봉환이다. 요시노부라는 개성(個性)이어야 가능했을 것이다. 그런 요시노부에 이상하리만치 부족한 것이 있었다. 막신이나 민중에 대한 관심, 배려 같은 것은 찾아볼 수 없었던 것이다. 막부에서 조정으로 정치를 반납하면 당연히 많은 막신이 실직한다. 하지만 대정봉환을 결단함에 있어, 요시노부가 막신의 기분이나 생활에 고민하고 배려하거나 한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라고 평했다. #

보신전쟁 때 너무 쉽게 전쟁을 포기했다라며 아군(구 막부군)은 물론 적군(신정부군)에게까지 비난을 받았다.[26] 더욱이 장병들에게 싸우라고 엄명해 놓고, 자신은 몰래 야반도주했다. # # 이 때문에 도쿠가와 이에야스 때부터 내려오던 우마지루시[馬印]인 금부채는 잃어버렸지만[28] 애첩은 소중히 챙겨왔다는 썰이 있었을 정도. 그러나 어차피 막부 중심의 개혁이라는 건 조선 동도서기 청나라 양무운동에서 보듯이 한계가 명백했던데다 서방 여러 국가들이 본격적인 개입을 준비하는 상황에서 전쟁을 지속할 경우 후에 일어날 일은 일본의 식민지화였으니[29] 대국을 고려하여 포기한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다만 그런 식으로라면 본인이 쇼군이었으므로 아예 그 자리에서 개혁을 수행하면 그만 아니냐, 혹은 요시노부가 진심으로 대정봉환의 의사가 있었다면 전쟁이 일어나기 전에 알아서 다 바치고 기었으면 되므로 보신전쟁은 일어나지 않았다는 반론이 가능하다.

그에 대한 평가는 복잡한 측면 때문에 극과 극으로 나뉜다. 아는 건 많지만 유약한 엘리트, 또는 약삭빠르고 치졸한 배신자, 심지어 피도 눈물도 없는 냉혈한으로 묘사될 때도 있다. 극도의 현실주의자이거나 속을 알 수 없는 인물로 묘사되기도 하며, 고도의 정치적 감각을 보유한 현자로 묘사될 때도 있다. 강경파가 많았던 막부측 인사들은 후일 막부를 포기하고 수만 명의 신하(특히 아이즈 번)를 희생시킨 주제에 홀로 유유자적하게 취미생활을 즐기며 우아한 신사로 인생을 마친 그를 경멸했다. 그의 이야기가 나오면 불쾌감을 숨기지 않거나 아예 일체의 연락을 끊은 사람도 있었다고 한다. 신하였던 이타쿠라 가쓰키요(板倉勝静)는 이렇게 항전을 포기하고 유유자적한 말년을 보낸 그에게 실망하여 "요시노부 공과 행동을 같이 한 것을 후회하고 있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 요시노부가 이런 말년을 보낸 이유는 명확하지 않지만 더 이상 정치에 관여하고 싶지 않았다는 설이 유력하다. [30]

대체적으로 시대를 제대로 읽고 현실을 냉정하게 받아들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만일 요시노부가 권력을 탐하여 너 죽고 나 죽자 식으로 끝까지 내전을 벌였다면 메이지 유신과 일본의 근대화는 늦춰졌거나 아예 실패로 끝나 제국주의 열강의 침략을 허용하여 식민지로 전락했을지 모를 일이다.[31]
요시노부는 근세인(近世人)이면서도 현대인과 같은 논리성과 사고력을 갖추고, 게다가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뛰어나고, 타인을 압도하는 인간력을 갖추고 있었다. 한편, 자신의 말로 상대에게 전하는 것을 생략해, 직감 신념으로 신속히 행동했기 때문에, 그 동향은 이해하기 어렵고, 단지 ' 고집'이라고 보였을 때도 있었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요시노부는 근세인이며, 가장 조정을 준봉(遵奉)하고 고메이 천황에 가까운 인물이기도 했다. 근세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한, 너무 일찍 태어난 현대인.
역사학자 마치다 아키히로(町田明広)의 평가. #

이후 객관적인 평가가 증가해 온 메이지 시대 1880년대 무렵부터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재평가해야 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요시노부가 철저하게 공순근신(恭順謹慎)해 에도 무혈개성 등을 단행함으로써 막부군과 정부군의 전면 내전을 피해 비교적 원활하게 정권을 이양할 수 있었기 때문에 근대 일본의 독립성이 지켜지고, 메이지 유신에 대한 공적이 크다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역사학자 하기노 요시유키(萩野由之)는 요시노부가 고분고분히 명령을 따라 교토나 에도가 초토화되는 것을 모면했으며, 또 프랑스의 원조를 거절했기 때문에 외국의 개입이 없었다고 해 유신 최대의 공로자들 중 한 사람이었다고 평가했다. 토리가야베 슌테이(鳥谷部春汀)는 제2의 세키가하라 전투를 회피할 수 있었던 것은 요시노부의 공적이라는 등 극찬하기도 했다. #
파일:요시노부 교과서.png
다이쇼 시대의 교과서 → 2019년의 교과서

도쿠가와 요시노부에 대한 평가는 시대가 변하면서 계속해서 바뀌고 있다. 대표적인 예를 일본의 교과서에서 볼 수 있다. 다이쇼 시대의 교과서에서는 그에 대해 '도망쳤다' '죄를 사죄했다'라고 삿초동맹군과의 싸움에 패해 도망친 끝에, 성을 내준 겁쟁이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2019년 기준 역사 교과서를 보면 '프랑스군의 군사원조를 거절해 외국의 개입을 막고 일본의 독립을 지키는 것으로 이어진 명군'이라고 쓰여져 있다. # 타임슬립 닥터 진이나 바람의 빛 같은 막부 말기를 다룬 만화에서도 취급이 좋다. 특히 바람의 빛에서의 요시노부는 그야말로 상당히 유쾌한 청년. 하지만 요시노부가 모티브로 추정되는 은혼 히토츠바시 노부노부는 취급이 영 좋지 않다.

아이러니하게도 막부를 타도하고 신정부를 수립하여 요시노부의 목숨을 앗아가려고 한 유신 삼걸( 사이고 다카모리, 오쿠보 도시미치, 기도 다카요시)은 비참하게 요절했으나[32], 정작 요시노부 본인은 다이쇼 시대까지 살면서 천수를 누렸다. 그의 처세가 쇼군이 아닌 개인의 입장에서는 현명했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6. 여담

파일:pic_yoshinobu-1.jpg }}} ||
당시 자전거를 즐겨 탄 요시노부를 그린 그림
도쿠가와 요시노부 공이 도쿄에 자전거를 주문해, 그 후 타고 다니고 있다
1887년 2월 5일자 시즈오카 다이무신문
자전거 타기는 요시노부가 신체를 단련하는 운동의 하나였다. 쇼군 자리에 물러난 이후, 그가 시즈오카 거리에서 자전거로 달리는 모습을 많은 사람들이 볼 수 있었다고 한다.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하인들이 쓴 《가부일기》에 의하면, 요시노부가 자전거에 빠진 것은, 40대 후반부터 50대에 접어서 부터였다. 일기에는 자전거를 타는 행위를 오늘도 자전거로 운동했다고 적고 있다. # 당시 자전거의 가격은 1대 300엔, 현재 가치로 600만 엔에 달했다. 이즈음 요시노부는 양아들한테서 1달에 1,000엔씩 생활비를 받고 있었는데, 3분의 1에 해당하는 돈을 자전거를 구입하는데 쓴 셈이다.
파일:44cee92c7c97273eb1dc1efccbf9ba69-1200x630.png }}} ||
시즈오카 슨푸성에 살던 시절 한(ハン)이라는 이름의 고양이를 키웠다. 그가 직접 찍은 사진도 있다. #
파일:요시노부 그림.jpg }}} ||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은거하면서 그린 그림[39] #
《그 후의 요시노부》(저·이에치카 요시키/치쿠마 문고)라는 책에 의하면, 그의 취미는 수렵, 매사냥, 투망, 가마우지 낚시, 바둑, 쇼기, 노래, 노, 소고, 서양화 그리기, 당구, 자수, 사진 찍기 등으로 취미는 놀랄 정도로 다방면에 걸쳤다고 한다. 슨푸성에서 살았을 때는 신하들과 사이클링을 하기도 했다. 또 현미경에 손을 대기도 했다. 야담가나 곡예사 마술사를 집으로 부르기도 했다. 새로운 것을 좋아해서 인력거, 자전거, 전화기, 축음기, 자동차 등이 등장하면, 즉시 구입했다고 한다. 취미를 즐기며 30년 가까이 산 시즈오카에서는 '케이키님' '케이키씨'라고 불리며 사랑받았다고 한다. # 도쿠가와 요시노부 자신도 '케이키'라고 불리는 것을 좋아했다.
파일:img_8774_sub_1_fcafcb68031881b4f276b425aff9f8f3.jpg }}} ||
금리어수위 총독 재임 당시 촬영한 사진
서양의 새로운 문화가 일본에 들어왔을 무렵, 새로운 것을 좋아해서 카메라를 비롯한 서양의 물건에 관심이 있었다. # 이 때문에 '서양에 물들었다'라는 비난을 듣기도 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새로운 기법에 의한 유화와 사진 촬영을 상당히 좋아했다. 특히 사진 촬영에 대해서는, 종종 자신이 모델이 되어 촬영을 시키는 등, 에도 막부 말기부터 강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쇼군 취임 이전인 1864년부터 1866년,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교토 어소를 호위하는 금리어수위 총독으로 임명되었던 시대에, 2장의 초상 사진을 촬영했다. 한 장은 책상에 팔꿈치를 괴고 담뱃대를 입에 물고 있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사진으로, 애독서인 《 자치통감》이 옆에 놓여져 있다. 다른 한 장은 미제 후장 총포를 놓고 촬영한 것이다. 두 사진 모두 마치 정치인으로서의 자신을 연출하고 있는 듯한 초상화 사진이다. 이 사진의 촬영자는 판명되지 않았지만, 당시 히토츠바시 도쿠가와 가문은 여러 명의 사진사를 거느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파일:Akitake_Tokugawa.jpg }}} ||
이복 동생 도쿠가와 아키타케(徳川昭武)
요시노부는 촬영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 피사체를 사진에 담았다. 시즈오카에서 사진 촬영에 몰두하고 있었던 무렵의 작품으로는 시미즈항 부두 풍경과 아베가와 철교를 달리는 증기기관차 등 명소를 촬영한 풍경 사진이 많이 남아 있다. 또, 도쿠가와 요시노부 자택 근처에서 아이들을 촬영한 사진도 남아있다. 1905년에는 도테이 저택 아래를 흐르는 사카가와에서 사진 촬영을 하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모습을 도쿠가와 아키타케가 담은 1장이 남아 있다. 그러나 사진 찍기를 좋아하기는 했지만 기술은 좋지 않았다고 하며, 사진 잡지에 투고했지만 채택된 적은 없다. 사진작가 나가노 시게이치(長野重一)는 세미 프로 수준이라고 평했고, 현대의 프로 사진사들의 평가도 좋지 않다. 그러나 당시에는 카메라 자체가 많이 보급되지 않았고, 남아 있는 사진도 적어서인지 그의 사진은 당시의 시대 풍경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는 평가받고 있다.
파일:151884794092780595177_3165269b11.jpg }}} ||<bgcolor=#ffffff,#1f2024>
파일:IMG_8380-bdbbc.jpg
||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찍은 도쿄의 아이들[40] 사진을 찍는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뒷모습을 찍은 이복 동생 도쿠가와 아키타케
파일:FEPnQWkUYAYG89V.jpg }}} ||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찍은 열차 사진. 일본인 최초로 열차를 찍은 인물로 추정하기도 한다. #
《도쿠가와 요시노부 공전》 중에서
흥미로운 사실은 고죠(小姓, 시중드는 하인) 히라오카 엔시로가 1822년생으로, 1837년생인 도쿠가와 요시노부보다 열 다섯 살이 많았다. 어린 소년인 요시노부가 어른인 엔시로에게 식사 시중을 드는 예법을 가르쳤던 것이다. 정작 엔시로는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아들이 잘못을 지적해 줄 수도 있는 가신이 곁에 있어야 한다고 판단해서 측근인 후지타 토코(藤田東湖)에게 부탁해서 뽑은 인재였다. 엔시로는 상급무사 하타모토 집안 출신으로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하나를 들으면 열을 안다고 평가할 정도로 두뇌명석한 수재로 그가 죽기 전까지 요시노부의 책사 역할을 했다. 그가 사망한 이유도 그가 요시노부의 곁에 있으면 곤란하다는 판단 하에 암살당했다.
파일:도쿠가와 요시노부 다임러.jpg }}} ||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자가용으로 다임러 자동차를 소유하고 있었으며, 전속 운전사 안도와 함께 이 자동차로 외출했다고 한다. 자동차의 보급율이 낮은 그 시대에 운전사는 매우 드문 특수직업이었다. #
파일:pic_ogawa_jihei01.jpg }}} ||
후케츠루(浮月楼)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시즈오카에서 20년 가까이 칩거하면서 살았던 집이 바로 후케츠루(浮月楼)다. 이곳은 요시노부의 신하였던 시부사와 에이이치가 주군이었던 요시노부를 맞이하기 위해서 준비한 곳으로, 1869년 시부사와가 일본에서 첫 주식회사라고 불리는 '상법회소'를 창립해, 스스로 행장격으로서 지휘를 한 곳이기도 하다. # 이 건물을 지은 건축가는 일본의 근대 다실(寄屋) 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가 요시다 이소야(吉田五十八)다. 요시노부가 도쿄로 떠난 이후에는 다른 사람한테 팔려서 요릿집으로 사용됐다. 수많은 유명인사들이 이곳을 들렸는데 대표적으로 이토 히로부미, 사이온지 긴모치, 아쿠타카와 류노스케, 이노우에 가오루, 기시 노부스케, 이케다 하야토가 있다. 현재도 고급 음식점으로 쓰이고 있으며, 시즈오카의 각종 행사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2010년대 이후에는 쇼기 명인전 도전자를 결정하는 중요한 대국인 A급 순위전 최종일제대국의 행사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파일:1634032320_photo.jpg }}} ||
도쿠가와 요시노부가 전쟁터에서 입었던 진바오리 '白羅紗葵紋付陣羽織'. 현재 도쿄 에도박물관에서 소장중이다. #

7. 창작물에서

파일:yoshinobu02-e1593052192974.jpg }}} ||
모토키 마사히로가 연기한 도쿠가와 요시노부
1998년에 방영한 NHK 대하드라마 《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그를 주인공으로 했는데, 주연이자 요시노부 역할을 맡은 사람은 모토키 마사히로.[43] 원작은 시바 료타로의 소설 《마지막 쇼군》. 도막파 유신지사들의 일대기를 그리는 작품이 많은 NHK 대하드라마였기에, 망국의 군주인 요시노부를 주인공으로 좌막파의 입장을 그린 이례적인 드라마였다. 시청률은 21.1%를 기록했다. 자세한 내용은 도쿠가와 요시노부(드라마) 문서 참고.

막말시기를 막부와 요시노부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치드라마로 아버지인 도쿠가와 나리아키가 살아있을 때는 그다지 존재감이 드러나지 않으며 에도 환락가들을 잠행하는 모습을 보이나 아버지와 정적이었던 이이 나오스케 사후에는 각성하고, 쇼군 후견직에 오르면서는 복잡한 정세 속에도 양이와 개국을 오가는 과감하고도 현실적인 모습을 잘 보여주었다. 이에모치 사후에 쇼군이 되어 어떡하든 막부를 지키고자 신헌법 초안을 지시하고 임시방편으로 대정봉환도 단행하나, 대정봉환에 분개한 막부군의 편을 들어 조정에서 역적 취급을 받자 에도로 돌아가며 쇼군직을 사직하고 여생을 보내는 것으로 마무리했다. 도쿠가와 요시노부의 인생과 막부 말기의 상황을 잘 그려낸 명작이라고 볼 수 있다. 기획의도를 번역한 글
파일:1466571_650.jpg }}} ||
쿠사나기 츠요시가 연기한 도쿠가와 요시노부
2021년 NHK 대하드라마 시리즈 청천을 찔러라에서는 쿠사나기 츠요시가 배역을 맡았다. 굉장히 비중있게 등장했으며, 전반부의 주인공급으로 등장한다. 이 드라마에서 요시노부를 유능하고 덕망있는 인물로 그렸다. 쿠사나기 츠요시의 연기도 호평을 받았다.

8. 외부 링크


[1] 음력 9월 29일 [2] 히토쓰바시 가문은 도쿠가와 모치나가가 계승했다. 모치나가는 오와리 번주 도쿠가와 요시카쓰, 아이즈 번주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구와나 번주 마츠다이라 사다아키와 함께 다카스 4형제의 일원으로, 오와리 번의 번주였다가 은거했지만 동생 카타모리 등의 알선으로 1866년 요시노부의 뒤를 이어 히토쓰바시 가문을 물려받았다. [3] 1대 쇼군 후견직이었던 다야스 요시요리는 쇼군 이에모치가 성년이 되었음을 이유로 들며 반대하였으나 공무합체파였던 시마즈 히사미츠의 건의에 따라 임명된다. [4] 쇼군 재임은 대정봉환 메이지 유신으로 끊어졌지만, 도쿠가와 가문의 당주 자리는 고산쿄(어삼경)의 일원인 다야스 도쿠가와 가문의 당주 도쿠가와 이에사토가 계승했다. [5] 요시노부는 1902년 도쿠가와 종가와는 독립적으로 공작위를 수여받아 도쿠가와 요시노부 가문을 개창했다. 가문과 작위는 요시노부 사후 요시노부의 7남 도쿠가와 요시히사가 계승했다. [6] 훈독과 음독의 차이 [7] 하지만 키에 대한 증거인 위패가 없고, 사람들에게 전해져 내려온 키이다. 키가 155cm~157cm라는 소문이 있다. [8] 에도 막부는 물론이며 일본 막부 역사상 유일하게 사진을 찍은 쇼군이 도쿠가와 요시노부로 알려져있다. 다만 제14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도 사진을 찍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에모치 쇼군의 정실부인 카즈노미야 치카코 내친왕(和宮親子內親王)의 무덤을 이장하는 과정에서 이에모치로 추정되는 인물의 사진 유리원판이 발견되었지만, 하루 만에 사진 속의 화상이 사라져 버렸다고 한다. [9] 흑백 사진 링크. [10] 쇼켄 황후의 친정아버지인 이치죠 타다카(一條忠香)의 양녀. [11] 7남 요시히사의 딸로 다카마쓰노미야 노부히토의 친왕비가 되는 키쿠코 비다. [12] 자녀가 워낙 많았기에 요시노부의 4남 아츠시(厚)와 9남 마코토(誠)가 분가해서 남작이 되었고, 그 가문들은 지금까지 건재하지만, 지금 와서 요시노부 가문 본가를 잇지는 않는다. [大納言] 우대신(右大臣) 다음의 정부 고관으로, 태정관(太政官)의 차관. [中納言] 태정관(太政官)의 차관. 대납언의 아래. [15] 내대신(内大臣)의 관직 사퇴와 영지의 일부 반납(辞官納地)를 명령하는 것 [討薩の表] 사쓰마(薩摩)를 토벌하자는 격문 [恭順] 공손하고 온순한 태도로 있겠다는 뜻이다. 항복하겠다는 의미. [18] 이때 가쓰 가이슈는 요시노부가 일부러 자신을 찾아와 예를 받아 살아 있는 보람이 있었다며 기쁨의 눈물을 흘렸다. [19] 에도 막부 쇼군 중 가장 장수했다. 두 번째로 장수한 쇼군은 도쿠가와 이에야스(74세)이다. 사망하기 직전, "이 세상을 잠시의 이라고 들었지만 생각하면 긴 세월이 되었도다(この世をば しばしの夢と 聞きたれど おもへば長き 月日なりけり)"라는 사세구를 남겼다. [20] 여담이지만 조선총독부 정무총감을 역임한 유아사 구라헤이는 고노에 후미마로를 비판하며 "후지산을 멀리 보면 아름답지만 가까이서 보면 황량하기 그지없는 돌이 굴러다니는 황무지인데, 고노에 후미마로라는 사람의 성품이 딱 그러하다."라는 인물평을 남겼다. 같은 후지산에 빗대면서도 정 반대의 의미로 쓰인 사례. [21] 훗날 미야자와 기이치 내각총리대신이 총선에서 패해 55년 체제가 깨지고 호소카와 모리히로에게 정권을 뺏기자 자민당의 도쿠가와 요시노부라고 불렸다. [22] 요시노부가 사카모토 료마의 존재를 알게된 건 아키하루에 들어간 이후였다고 한다. 사카모토 료마의 존재는 메이지 유신 이후에서야 대중들에게 조금씩 알려질 정도로 당대에는 지명도가 낮았다. 메이지 정부 수립 이후인 1914년 3월 24일, 독일의 지멘스 회사 사건(해군 비리) 때문에 야마모토 곤노효에의 제1차 내각이 소멸당했던 직후에는 도쿠가와 가문의 인물들 중 (1903년 12월 4일부터 귀족원 의장을 맡고 있었던) 도쿠가와 이에사토가 27일에 정식 총리 후보로 출마했으나 2일 이후에는 일본 정부 내각에서 도쿠가와 정권으로 번지는 걸 우려했기 때문에 자진 사퇴했다. 그 직후 오쿠마 시게노부가 당선되었다. [23] 태도·의견 따위가 싹 바뀐다는 뜻 [24] 그래서 별명이 '이신덴'(二心殿)이었다. 참고로 사이고 다카모리는 요시노부에 대해 "확실히 인재이지만, 결단력이 부족한 것처럼 보인다(確かに人材ではあるが決断力を欠いていられるようである)"라는 평을 남겼다. [25] 도쿠가와 요시노부는 말솜씨가 뛰어나 당대 제일의 논객이기도 했다. [26] 실제로도 막부는 다시 싸워 볼 만한 저력이 남아 있었다. 그러나 바로 이 때문에 작정하고 캐삭빵 벌였다가는 향후 일본이라는 나라 자체의 역량을 엄청나게 까먹었을 것이다. 때문에 후대 사람들은 시대의 흐름을 인정하고 퇴장한 요시노부의 결단을 인정해주는 분위기로 흘렀다. [馬印] 전국시대에 대장의 말 앞에 세워두는 일종의 표식이다. [28] 여기서 잃어버린건 오사카에 있던 금부채 얘기로, 금부채는 에도 성에도 하나 더 있었다. 에도 성의 것은 현재에도 남아있으며 쿠노잔 토쇼구(久能山東照宮)의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29] 청나라처럼 스케일이 크지 않았기에 주권을 존중할 필요도 없었다. [30] 직전 정권의 실권자였던 만큼 신정부에게 불안 요소로 간주될 위험성이 다분해 정치에 관여하지 않고, 본인의 소일거리에 집중하는 자세를 보여줄 필요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31] 실제로 개혁 세력과 반대 세력이 끝까지 대립한 청나라와 조선은 외세의 침략에 무력하게 당했고, 결국 망국의 길을 걸었다. [32] 사이고는 세이난 전쟁에서 패배하고 할복 자살, 오쿠보는 사족들에 의한 암살, 기도 다카요시는 세이난 전쟁 중에 병사. [33] 쇼군을 직접 주군으로 섬기는 무사를 일컫는다. 일반적으로 10,000석 미만의 고쿠다카를 보유한 하타모토 또는 고케닌을 지칭하는데, 하타모토는 쇼군을 알현할 수 있었지만 고케닌은 쇼군을 알현할 수 없었다. 즉 농민 출신이었던 시부사와는 신분의 벽을 뛰어넘고 쇼군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하타모토가 된 것이다. [34] 시부사와 외에도 가쓰 가이슈, 에노모토 다케아키, 마츠다이라 카타모리 등과도 교류를 했다. [35] 시부사와는 "공께서는 세상으로부터 도쿠가와의 가문을 분쇄하러 들어갔다든가, 목숨을 아까워한다든가, 여러가지 악평을 받은 것을 일절 돌아보지 않고, 아무런 변명도 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오늘에 이르러도 이것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말씀하시지 않습니다. 이는 실로 그 인격의 높은 곳으로 저의 경모를 금치 못할 바입니다(公は世間から徳川の家を潰しに入ったとか、命を惜しむとか、様々に悪評を受けられたのを一切顧みず、何の言い訳もされなかったばかりか、今日に至ってもこのことについては何も言われません。これは実にその人格の高いところで、私の敬慕にたえないところです)"라고 글을 적기도 했다. [36] 여담으로 해당 전기에 의하면 '기억이 명확한 것이 놀라울 뿐'이라며, 요시노부가 나이가 들어도 기억력이 뛰어났다는 기록이 있다. [37] 이때 오사카성에서 도망쳐 돌아온 요시노부는 우에노 간에이지 대자원에서 근신 생활을 했다. [38]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취미도 스스로 약을 조제하는 것이었다. [39] 조사를 통해 그의 작품으로 밝혀졌다. 두꺼운 종이에 손수 만든 유화 물감으로 그려져 있다. 풍경이 그려진 곳 등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지만, 요시노부가 직접 사진을 많이 촬영했기 때문에 그것들이 조합되어 실제로는 없는 이상의 풍경이 그려졌을 가능성이 있다. # [40] 코히나타 다이로쿠텐초 저택 부지내의 연립 주택에 사는 아이들을 촬영한 것이다. [41] 덧붙여서 이 방송은 이 증언에 도달하기 위해서 100세가 넘는 고령자들을 대상으로 추가로 인터뷰를 했고, 다른 역사 인물들( 오쿠마 시게노부 더글러스 맥아더)의 목격 정보나 관동대지진이나 중일전쟁 등의 증언들도 확보하여 예능 프로그램답지 않게 엄청난 역사 프로그램이 되었다. 그 결과 이 방송은 극찬을 받았고, 갤럭시상을 받기도 했다. [42] 도쿠가와 이에야스만 무려 5번을 연기했고 여러 도쿠가와 쇼군을 연기한 도쿠가와 전문 배우이다. [43] 일본을 대표하는 거물급 연기파 배우 중 한 명이다. 굿' 바이: Good&Bye으로 유명하며, 일본 패망 하루전에서 쇼와 천황 역으로 등장했다. 또한 배우 설경구가 나왔던 사극 쇼토쿠 태자에서 주인공 쇼토쿠 태자를 연기하기도 했다. [44] 시바 료타로의 동명의 원작 소설을 원작으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