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21:31:56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8d0000, #b00000 20%, #b00000 80%, #8d0000); color: #f7c3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드라고슈 사스 보그단 1세 페트루 1세 라슈쿠
페트루 2세 로만 1세 슈테판 1세 이우가 알렉산드루 1세
일리아슈 슈테판 2세 슈테판 2세
일리아슈
슈테판 2세 페트루 3세
로만 2세 페트루 3세 로만 2세 페트루 3세 치우바르 보다
알렉산드루 2세 보그단 2세 페트루 4세 아론 알렉산드루 2세 페트루 4세 아론
알렉산드루 2세 페트루 4세 아론 슈테판 3세 보그단 3세 슈테판 4세
페트루 5세 라레슈 슈테판 5세 알렉산드루 3세 코르네아 페트루 5세 라레슈 일리아슈 2세 라레슈
슈테판 6세 라레슈 이오안 1세 졸데아 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 이오안 2세 야콥 헤라클리드 슈테판 7세 톰샤
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 보그단 4세 이오안 3세 첼 비테아즈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이오안 4세 포트코아바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알렉산드루 5세 포트코아바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이오안 5세 사술 페트루 6세 슈체아풀
아론 트리아눌 알렉산드루 6세 첼 라우 페트루 7세 카자쿨 아론 트리아눌 슈테판 8세 라즈반
이에레미아 모빌라 미하이 1세 이에레미아 모빌라 시미온 모빌라 미하이 2세 모빌라
콘스탄틴 모빌라 미하이 2세 모빌라 콘스탄틴 모빌라 슈테판 9세 톰샤 알렉산드루 7세 모빌라
라두 미네아 가슈파르 그라치아니 알렉산드루 8세 일리아슈 슈테판 9세 톰샤 라두 미네아
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 알렉산드루 9세 코코눌 모이세 모빌라 알렉산드루 8세 일리아슈 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
모이세 모빌라 바실레 루푸 게오르게 슈테판 바실레 루푸 게오르게 슈테판
게오르게 기카 콘스탄틴 셰르반 슈테파니타 루푸 콘스탄틴 셰르반 슈테파니타 루푸
유스트라티에 다비자 게오르게 두카 일리아슈 알렉산드루 게오르게 두카 슈테판 페트리세이쿠
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슈테판 페트리세이쿠 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안토니에 루세트 게오르게 두카
슈테판 페트리세이쿠 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콘스탄틴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콘스탄틴 두카
안티오 칸테미르 콘스탄틴 두카 미하이 라코비차 안티오 칸테미르 미하이 라코비차
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 디미트리에 칸테미르 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 미하이 라코비차 그리고레 1세 기카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그리고레 1세 기카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이오안 마브로코르다트 그리고레 1세 기카
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요르다케 스타브리치 콘스탄틴 라코비차 마테이 기카 콘스탄틴 라코비차
스카를라트 기카 이오안 테오도르 칼리마치 그리고레 칼리마치 그리고레 2세 기카 그리고레 칼리마치
그리고레 2세 기카 콘스탄틴 모루지 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델리베이 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피라리스 알렉산드루 입실란티
마놀레 기아니 루세트 알렉산드루 모루지 미하이 수추 1세 알렉산드루 칼리마치 콘스탄틴 입실란티
알렉산드루 수추 알렉산드루 모루지 스카를라트 칼리마치 알렉산드루 모루지 알렉산드루 한제를리
스카를라트 칼리마치 요르다케 루세트로즈노바누 베냐민 코스타체 스카를라트 칼리마치 미하이 수추 2세
베냐민 코스타체 슈테판 보고리디 이오안 스투르자 미하이 스투르자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
테오도르 발슈 니콜라에 보고리디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

<colbgcolor=#8d0000><colcolor=#fff> '''
몰다비아 제94대 보이보드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
Grigore Alexandru Ghica
'''
파일: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jpg
출생 1804년 8월 27일
몰다비아 공국 보토샤니
사망 1857년 8월 24일 (향년 52세)
프랑스 제2제국 일드프랑스 르메 쉬르센
재위 몰다비아 보이보드
1차: 1849년 5월 ~ 1853년 10월
2차: 1854년 10월 ~ 1856년 6월 3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d0000><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알렉산드루 콘스탄틴 기카
어머니: 엘레나 그리고라스 스투르자
형제 엘레나
배우자 엘레니 스투르자, 아나 카타르기우, 마리 프루던스 유프로신 르로이
자녀 콘스탄틴, 이온, 알렉산드루, 카틴카, 아글레이에, 나탈리아, 그리고레, 페르디난트
가문 기카 가문
종교 기독교 }}}}}}}}}
1. 개요2. 생애3. 가족

[clearfix]

1. 개요

몰다비아 공국 제94대 보이보드.

2. 생애

1804년 8월 27일 몰다비아 공국 보토샤니에서 몰다비아 로고테테(logothete: 고위 관리)인 알렉산드루 콘스탄틴 기카와 엘레나 그리고라스 스투르자의 아들로 출생했다. 누이 엘레나(1801 ~ 1889)는 러시아군 대령 파벨 루빈의 부인이었다. 그는 아버지에 의해 프랑스와 독일로 유학가서 학업을 수행한 후 1826년 22세의 나이에 몰다비아 보이보드이자 장인인 이오안 스투르자에 의해 몰다비아군 헤트만(Hetman: 사령관)에 선임되었다. 1838년 4월 18일 몰다비아 보이보드 미하이 스투르자에 의해 교구 위원에 선임되었으며, 1842년 11월 12일 국무장관에 선임되었고, 1843년 7월 18일 재무부 장관에 선임되었다.

1848년 혁명이 서유럽에서 발발했을 때, 그는 자유주의에 깊이 공감하여 몰다비아에서도 이에 입각한 혁명이 일어나길 바랐다. 그는 외삼촌인 미하이 스투르자의 보수적인 정책에 불만을 품고 있었기에, 오스만 제국 궁정 관리인 탈라트 에펜디에게 미하이 스투르자를 보이보드에서 물러나게 해달라고 요청하는 서신을 보냈다. 1849년 5월 러시아 제국의 권고로 미하이 스투르자가 물러난 뒤 그가 보이보드로 발탁되었고, 10월 2일 성 니콜라에 교회에서 보이보드로서의 대관식과 기름 부음 행사가 거행되었다. 1849년 5월 1일 발타-리만에서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이 합의한 내용에 따르면, 몰다비아 보이보드 그리고레와 왈라키아 보이보드 바르부 슈티르베이의 통치 기간은 7년으로 고정되었다.

그리고레는 공공 사업, 전문 도로 및 건설 엔지니어 학교, 남용 중단, 관세를 12%에서 5%로 낮추어 수출 및 수입 촉진 등 국가 복지 측면에서 많은 개선을 이루고자 했다. 또한 이아시의 코푸에서 민병대 막사를 건설했으며, 염전 개발을 위한 새로운 시스템을 수립했다. 그가 추진한 가장 중요한 정책은 1851년에 시행한 농업 및 공교육 조직이었다. 노동일 단축, 농업 이외의 작업에서의 사용 중지, 십일조 폐지, 이미지 제고, 농민의 지위 향상 등을 통해 소유자와 노동자 간의 관계를 규제함으로써 농민의 상황을 개선하고 이주 조건을 완화했다. 그리고 63개의 카운티에 초등학교를 설립하고, 법학과 철학의 두 학부를 몰다비아 최초의 현대 대학 기관인 미하일레아나 아카데미에 설립했다. 또한 루마니아어를 모든 교육기관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쳐야 했으며, 외국어도 가급적 가르치도록 했다. 고아를 위한 시설도 설립하고, 임산부들을 위한 교육 기관도 세웠으며, 가난한 여성들을 위한 학교, 수술 학교 및 갈라타 간호학교도 설립했다.

1853년 1월, 그리고레와 관련된 허위 문서, 헌장, 심지어 유언장을 오스만 제국 궁정에 발송한 무리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 위조자들은 행정위원회 의장 니콜라에 긴타를 포함한 고위 관리들과 긴밀한 관계를 맺었으며, 그리고레의 가까운 동료 일부는 아예 칸타가 위조 사업의 공범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 사건에 엄청난 충격을 받고 우울증에 시달렸다. 그는 질병으로 인해 통치권을 니콜라에 수추에게 임시로 위임한다는 헌장을 발표했다. 이후 그는 수면마비에 시달리는 등 상태가 더욱 악화되자, 하르 파셰슈티의 마브로코르다트 수도원에 들어가서 요양 생활을 했다. 그해 3월 23일, 그는 이아시로 돌아와서 통치를 재개했다.

1853년 크림 전쟁이 발발했고, 그해 6월 러시아군이 몰다비아에 입성했다. 그해 10월 오스만 제국이 러시아 제국을 상대로 전쟁을 선포했고, 그리고레는 이로 인해 왈라키아 보이보드 바르부 슈티르베이와 함께 물러나야 했다. 두 사람은 으로 망명했고, 몰다비아와 왈라키아는 러시아군의 통치를 받았다. 1854년 전세가 불리해진 러시아군이 본국으로 철수하면서 공백이 발생하자, 오스트리아군이 그들을 대신해 몰다비아와 왈라키아에 입성했다. 그해 10월 11일, 오스만 제국군 장성 데르비쉬 파샤는 그리고레에게 초대장을 보냈다. 그는 이를 받아들여 10월 28일 이아시로 돌아와서 주민들의 환영을 받고 통치를 재개했다. 그러나 그가 이끄는 정부는 몰다비아에 진주한 오스트리아군의 점령 비용을 지불해야 했고, 1856년년에는 700만 레이에 달하는 적자를 기록했다.

1855년 12월 10일, 그리고레는 "이 땅에서 노예 제도가 소멸될" 수 있도록 집시 노예 제도를 폐지하기 위한 법률 초안을 임시 의회에 제출했다. 1855년 12월 22일, 의회는 그의 법안을 만장일치로 통과했다. 또한 그는 1856년 2월 5일 검열 제도를 폐지했고, 루마니아 자유주의 성향 학자들의 작품 출간을 지원했다. 또한 프랑스 엔지니어의 도움을 받아 전신을 도입했다. 여기에 노조를 합법화하는 것에 긍정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오스만 제국 외무장관 푸아드 파샤갸 그에게 노동조합 후원을 중단하라고 경고하자, 그는 공국 주민들이 자기들의 희망을 표현하기 위해 평화적인 의견 수렴을 했을 뿐이며, 음모나 중상은 일절 없고, 자기는 이들에게 어떠한 후원도 한 바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그는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의 연합에 반대하는 오스만 제국의 입장에 동의하지 않았고, 통치 마지막 몇 주 동안 외국 군주 아래 양국의 연합을 강력하게 옹호했다.

1856년 3월 30일, 크림 전쟁의 종결을 알리는 파리 조약이 체결되었다. 이때 몰다비아와 왈라키아는 공식적으로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 아래 두되, 두 공국의 최종 조직에 관한 국민의 의지를 표현하기 위해 임시 의회가 설립되어 즉시 소집되며, 오스만 제국은 파리 조약에 서명한 국가들의 동의가 있어야만 이들 공국에 개입할 수 있었다. 그 후 그리고레는 1856년 6월 3일에 발타-리만 조약에서 정한 7년 임기가 끝나면서 퇴위해야 했다. 그는 반노조 입장을 취하는 오스트리아 제국을 혐오해 빈을 통과하지 않기로 마음먹고, 다뉴브 강에서 배를 타고 부다페스트까지 갔다가, 기차를 타고 베를린으로 여행했다. 1856년 8월 3일 파리에 도착한 뒤 그곳에 살던 루마니아인들로부터 노동조합 투사로서 환영받았다.

그리고레는 파리에 도착한 뒤 프랑스 황제 나폴레옹 3세에게 왈라키아와 몰다비아의 연합을 도와달라고 요청하고자 알현을 신청했지만, 나폴레옹 3세가 연합에 반대하는 대영제국을 불쾌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에 거절당했다. 그 후 조용히 지내던 그는 1857년 8월 24일 르메 쉬르센에 있는 자신의 성에서 사냥총으로 자기 머리에 총을 쏴 자살했다. 그가 자살한 이유에 대해, 사람들은 나폴레옹 3세의 알현 거부로 인한 충격에 더해 신임 카이마캄 테오도르 발슈가 행정 및 재정 관리에 관한 조사 위원회를 설치한 뒤 그를 비난하는 자료를 발간한 점, 국민당이 그리고레가 국가 재정을 횡령했다고 공개 비난한 점에 심한 수치심을 느꼈기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그는 자살하기 전에 아래의 유언장을 남겼다.
나는 끔찍한 음모의 희생자다. 나는 정말로 결백하나 살 수 없다. 정의가 실현되는 날이 올 것이다. 나는 나의 원수들을 하느님의 재판정에서 기다릴 것이다."

3. 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