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7 15:24:39

영국 육군

<colbgcolor=#4A2235><colcolor=#fff> 파일:BritishArmedForces.svg
British Armed Forces
영국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영국 육군기.svg 파일:영국 해군기.svg 파일:영국 공군기.svg
British Army
영국 육군
His Majesty's Naval Service
국왕 폐하의 통합해군

[[영국 해군|
왕립 해군
]] [[영국 해병대|
왕립 해병대
]] [[영국 함대 보조전대|
왕립 함대 보조전대
]] [[영국 해군 모병청|
왕립해군 모병청
]]
Royal Air Force
왕립 공군
}}}}}}}}}
영국 육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1em"
{{{#!folding [ 정치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상징 유니언 잭 ( 성 조지의 십자가) · 국장 · 국호 · God Save the King · 존 불 · 브리타니아
왕실·귀족 영국 국왕 · 영국 국왕의 배우자 · 윈저 왕조 · 영연방 왕국 · 웨일스 공 · 웨일스 공비 · 프린세스 로열 · 근위대 · 가터 기사단 · 영국 왕실 훈장 · 버킹엄 궁전 · 세인트 제임스 궁전 · 홀리루드 궁전 · 윈저 성 · 밸모럴 성 · 런던 탑 · 켄싱턴 궁전 · 클래런스 하우스 · 성 에드워드 왕관 · 영국 제국관 · 커타나 · 운명의 돌 · 영국 왕실과 정부의 전용기 · 벤틀리 스테이트 리무진 · 코이누르 · 왕실령 · 영국 왕실 인증 허가 브랜드 · 웨스트민스터 사원 · 귀족/영국 · 영국의 귀족 목록 · 요크 공작 · 콘월 공작 · 에든버러 공작 · 말버러 공작 · 케임브리지 공작 · 던세이니 남작 · 작위 요구자/유럽/영국
정치 전반 정치 전반 · 연합왕국 · 의회( 귀족원 · 서민원) · 총선 · 자치의회 · 총리 · 내각 · 행정조직 · 다우닝 가 10번지 · SIS · MI5 · MHRA · 웨스트민스터 · 웨스트민스터 궁전 · 마그나 카르타 · 권리청원 · 권리장전 · 의전서열
치안·사법 영국의 경찰제도 · 런던광역경찰청 · 영국 국가범죄청 · 영국 국경통제국 · 영국 이민단속국 · 사법 · 영미법 · 근로기준법 · 시민권 · 크라임 펌 · 스코틀랜드 경찰청 · 영국 철도경찰 · 영국 국방부경찰 · 영국 원자력경찰대
정당 정당 · 보수당( 레드 토리 · 미들 잉글랜드 · 블루칼라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코커스) · 자유시장 포럼) · 노동당( 강성좌파 · 연성좌파) · 자유민주당
사상 근력 자유주의 · 글래드스턴 자유주의 · 대처주의 · 블레어주의 · 왕당파 · 일국 보수주의 · 하이 토리
사건·의제 영국의 자치권 이양 · 스코틀랜드 독립운동 · 잉글랜드 자치( 웨스트 로디언 질의 · English votes for English laws) · 브렉시트 · 플러브 게이트
외교 외교 전반(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여권 · 거주 허가 · 영연방 · 영연방 왕국 · CANZUK · 파이브 아이즈 · 상임이사국 · G7 · G20 · 오커스 · 영미권 · JUSCANZ · 브렉시트( 탈퇴 과정과 이슈들 · 영국 내 영향 · 브렉시트/세계 각국의 영향) · 친영 · 반영 · 영빠 · 냉전 · 신냉전 · 미영관계 · 영불관계 · 영독관계 · 영국-캐나다 관계 · 영국-호주 관계 · 영국-뉴질랜드 관계 · 영국-이탈리아 관계 · 영국-스페인 관계 · 영국-포르투갈 관계 · 영국-아일랜드 관계 · 영국-싱가포르 관계 · 영국-남아프리카 공화국 관계 · 영인관계 · 영국-홍콩 관계 · 한영관계 · 영러관계 · 미국-캐나다-영국 관계 · 미영불관계 · 영프독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 영국-스페인-지브롤터 관계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역사 전반 역사 전반() · 이교도 대군세 · 북해 제국 · 노르만 정복 · 백년전쟁 · 장미 전쟁 · 칼레 해전 · 청교도 혁명 · 명예혁명 · 영국 통일 · 해가 지지 않는 나라 · 북아일랜드 분쟁
시대 로만 브리튼 · 로만 브리튼 이후 · 무정부시대 · 대항해시대 · 엘리자베스 시대 · 찰스 시대 · 조지 시대 · 빅토리아 시대
국가 칠왕국 · 노섬브리아 · 켄트 왕국 · 동앵글리아 · 에식스 · 웨식스 · 서식스 · 머시아 · 잉글랜드 왕국 · 스코틀랜드 왕국 · 웨일스 공국 · 아일랜드 왕국 · 잉글랜드 연방 ·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 대영제국
왕조 웨식스 왕조 · 노르만 왕조 · 플랜태저넷 왕조 · 요크 왕조 · 랭커스터 왕조 · 튜더 왕조 · 스튜어트 왕조 · 하노버 왕조 · 작센코부르크고타 왕조 · 윈저 왕조
세력 젠트리 · 요먼 · 원두당 · 청교도 · 토리당 · 휘그당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경제 경제 전반 · 산업 혁명 · 무역 · 파운드 스털링 · 영란은행 · 런던증권거래소 · 역사 속의 경제위기 · 한영 FTA · 영국제 · 에어버스 · 롤스로이스 plc
지리 브리튼 · 그레이트브리튼 섬 · 아일랜드섬 · 구성국 · 잉글랜드( 하위지역) · 스코틀랜드( 하위지역) · 웨일스( 하위지역) · 북아일랜드 · 카운티( 카운티 목록) · 지역 및 속령 목록 · 주요 도시 · 런던의 행정구역 · 하이랜드 · 미들섹스 · 왕실령 · 영국 해협( 도버 해협) · 영국령 남극 지역
사회 사회 전반 · OBE · 젠틀맨 · 신사 · 하이랜더 · 공휴일 · 인구 · NHS
민족 영국인 · 잉글랜드인( 앵글로색슨족) · 스코틀랜드인( 게일인) · 웨일스인( 브리튼인) · 콘월인 · 아일랜드계 · 영국 백인 · 프랑스계 · 폴란드계 · 인도계 · 재영 한인사회 · 러시아계 · 영국 흑인 · 파키스탄계 · 우크라이나계 · 일본계 · 한국계 · 헝가리계 · 튀르키예계 · 독일계 · 아르메니아계 · 그리스계 · 리투아니아계 · 벨라루스계
영국계 영국계 미국인 · 영국계 호주인 · 영국계 뉴질랜드인 · 영국계 남아프리카 공화국인 · 잉글랜드계 캐나다인 · 스코틀랜드계 캐나다인 · 웨일스계 캐나다인 · 앵글로아일랜드인 · 영국계 아르헨티나인 · 영국계 칠레인 · 영국계 러시아인 · 영국계 멕시코인 · 재한 영국사회 ·
교육 교육 전반 · 유학 · 장학금 · 급식 · 파운데이션 · 퍼블릭 스쿨 · 식스폼 · IELTS · PTE · A-Level · UCAS · 대학교 일람() · 대학 서열화( 옥스브리지 · 러셀 그룹) · 기타 교육 관련 문서
교통 교통 전반 · 공항 · 철도 환경( High Speed 1 · High Speed 2 · Eurostar · 내셔널 레일) · 런던 지하철 · 런던의 대중교통 · 좌측통행 · 채널 터널
기타 그리니치 천문대( 자오선) · 월드 와이드 웹( 팀 버너스리) · 제국 단위계 · 영국/생활 · 혐성국 · TERF의 섬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5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문화 전반 문화 전반 · 영국의 문화재 · 종교 · 성공회( 잉글랜드 국교회) · 장로회( 스코틀랜드 교회) · 영국/관광
예술 브릿팝 · 브리티시 인베이전 · 영국 드라마 · 영국 영화 · 웨스트엔드 · 아서 왕 전설 · 로빈 후드 전설 · 마더 구스 · 캔터베리 이야기 · 베오울프 · 셜로키언 · 톨키니스트 · 후비안 · BAFTA · 백파이프
언어 영어 · 영국식 영어 · 용인발음 · 스코트어 · 스코틀랜드 게일어 · 웨일스어 · 코크니 · 에스추어리 · 콘월어 · 영어영문학과( 영어교육과)
음식 요리( 종류) · 로스트 디너 · 쇼트브레드 비스킷 · 티타임( 애프터눈 티) · 홍차 · · 아침식사 · 피시 앤드 칩스 · 맥주 · 위스키 · 사과주
스포츠 축구(어소시에이션 풋볼) · 프리미어 리그 · FA( 대표팀) · FA컵 · 스코티시 프리미어십 · SFA( 대표팀) · 컴리 프리미어 · FAW( 대표팀) · NIFL · IFA( 대표팀) · 럭비( RFU · SRU · WRU · IRFU) · 프리미어십 럭비 · British and Irish Lions · 식스 네이션스 챔피언십 · 크리켓( 잉글랜드 크리켓 대표팀) · 윔블던 · 영국 그랑프리 · F1
서브컬처 모드족 · 하드 모드 · 로커스 · 카페 레이서 · 펑크 문화 · 차브족 · 영국인 캐릭터
기타 왕립학회 · 대영박물관 · 대영도서관 · 영국 국립미술관 · BBC · 가이 포크스 데이 · 킬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C8102E><colcolor=#fff>군사 전반 국방부( 국방위원회) · 영국군( 스코틀랜드군) · 해외 주둔군 · 계급 · 전투식량/영국군 · 징병제(폐지) · 빅토리아 십자무공훈장 · NATO · 군기분열식
장비 군복( 레드 코트) · 군장/영국군 · 군함( 1차대전 · 2차대전 · 현대전 · 항공모함 · 원자력 잠수함) · 항공기( 2차대전) · 핵무기( 튜브 앨로이스, AWE)
부대 육군( 연대 · 제3사단 · 제1사단 · 왕립 독일인 군단 · 원정군 · 블랙와치 · 사관학교) · 통합해군( 해군 · 해병대 · 함대 보조전대 · 대함대 · 본토함대 · 사관학교) · 공군( 제617비행대대 · 독수리 비행대대 · 사관학교) · 전략사령부 · 근위대 · 특수작전부대( E Squadron · SAS( 제21SAS연대) · SBS · SRR · SFSG · JSFAW · 제18정보통신연대) · 코만도 · 구르카 · 레인저연대 · 낙하산연대 · 연합합동원정군 }}}}}}}}}}}}

영국 육군
상비사단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영국 제1사단.png 파일:제3사단 엠블럼.svg 파일:영국 제6사단.png
1st Division
제1사단
3rd Division
제3사단
6th Division
제6사단
}}}}}}}}} ||

세계의 육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동아시아 파일:대한민국 육군기.svg 대한민국 파일:조선인민군륙군기.svg 북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00px-Ground_Force_Flag_of_the_People%27s_Republic_of_China.svg.png 중국 |
파일:육상자위대기.svg 일본(준군사조직) 파일:대만 육군기.svg 대만
동남아시아 파일:싱가포르 육군기.svg 싱가포르 | 파일:태국 육군 엠블럼.svg 태국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ietnam_People%27s_Army_insignia.png 베트남 |
파일:Flag_of_the_Indonesian_Army.svg.png 인도네시아 | 파일:필리핀 육군기.svg 필리핀 | 말레이시아
서아시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Israeli_Army_%28Land_Arm%29_Flag.svg.png 이스라엘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육군기.png 사우디아라비아 | 카타르
남아시아 파일:Flag_of_Indian_Army.svg.png 인도 | 파일:파키스탄 육군 로고.png 파키스탄 | 방글라데시
중앙아시아 투르크메니스탄
동유럽 파일:러시아 육군기.svg 러시아 | 파일:우크라이나 육군 엠블럼.svg 우크라이나 | 파일:벨라루스 육군기.svg 벨라루스 |
루마니아
서유럽 파일:영국 육군기.svg 영국 | 파일:프랑스 육군 로고.svg 프랑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22px-Flag_of_the_Royal_Netherlands_Army.svg.png 네덜란드 | 벨기에
중부유럽 파일:독일 육군 로고.svg 독일 | 파일:스위스 육군 엠블럼.svg 스위스 연방 | 파일:폴란드 육군 엠블럼.svg 폴란드 | 파일:Emblem_of_Czech_Land_Forces.svg.png 체코 | 파일:슬로바키아군 엠블럼.svg 슬로바키아 | 파일:헝가리 육군기.svg 헝가리
남유럽 이탈리아 | 스페인 | 파일:포르투갈 육군기.png 포르투갈 | 튀르키예 |
파일:그리스 육군 엠블럼.svg 그리스 |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40px-War_flag_of_Bulgaria.svg.png 불가리아 |
슬로베니아
북유럽 스웨덴 | 덴마크 | 파일:노르웨이 육군기.svg 노르웨이 | 파일:에스토니아 육군 엠블럼.svg 에스토니아 | 파일:라트비아 육군 엠블럼.png 라트비아 | 파일:리투아니아 육군기.png 리투아니아
북아메리카 파일:미합중국 육군기.svg 미국 | 파일:캐나다 육군 엠블럼.png 캐나다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Logo_de_Ej%C3%A9rcito_Mexicano.svg.png 멕시코
남아메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Coat_of_arms_of_the_Brazilian_Army.svg.png 브라질 | 파일:칠레육군기.png 칠레 | 파일:페루 육군기.svg 페루
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Flag_of_the_Army_of_Egypt.svg.png 이집트 | 파일:Flag_of_the_Royal_Moroccan_Army.png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파일:faa1.png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육군 엠블럼.svg 호주
※ 독립된 문서가 있는 육군만 링크. 그 외 각국 육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영국 특수작전부대
United Kingdom Special Force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SAS 휘장.png 파일:SBS.png 파일:Insigne_Special_Reconnaissance_Regiment_(SRR).svg.png
SAS[[SAS|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특수주정부대[[SBS(특수부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특수정찰연대[[SRR|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파일:Insigne_du_Special_Forces_Support_Group_(SFSG).svg.png 파일:영국 합동특수부대항공전대 문장.png 파일:18정보통신대대.png
특수작전부대 지원단[[SFSG|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합동특수작전부대항공지원전대[[JSFAW|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제18정보통신연대[[제18정보통신연대|
{{{#!wiki style="letter-spacing: -0.5px;"]]
}}}}}}}}}
영국 육군
British Army (BA)
파일:영국 육군기.svg
<colbgcolor=#D80008> 육군기
{{{#!folding [ 다른 상징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영국 국기.svg
전쟁기
파일:영국 육군 로고.svg
로고
파일:영국 육군 문장.svg
문장
}}}}}}
최고가 되라
BE THE BEST
창설 1707년[1]
국가
[[영국|]][[틀:국기|]][[틀:국기|]]
소속 파일:영국군기.svg 영국군
군종 육군
역할 지상전, 영국 본토·해외 영토· 왕실령 방위
본부
[[영국|]][[틀:국기|]][[틀:국기|]] 런던, 화이트홀
영국군총감[2] 국왕 찰스 3세
총참모장[3] 대장 롤랜드 워커 경[4]
부참모장[5] 중장 샤론 네스미스 경[6]
주임준위[7] 일등준위 폴 카니[8]
병력 총합 101,410명
상비군 75,166
예비군 26,244
군사훈련 샌드허스트 왕립육군사관학교 (사관생도)
해러것 육군기초대학 (모집병)
전신 잉글랜드 군대[9]
스코츠 군대[10]
참전 참전 목록 보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수뇌부3. 상징
3.1. 핵심 가치3.2. 군인의 약속
4. 역사
4.1. 1600년대 이전과 1700년대 초반4.2. 대영제국4.3. 대전기4.4. 현대
5. 구성6. 편제
6.1. 육군본부
6.1.1. 야전군
6.1.1.1. 야전군 직할부대6.1.1.2. 제1사단6.1.1.3. 제3사단6.1.1.4. 제6사단
6.1.1.4.1. 2030년 조직개편안
6.1.1.5. 합동헬리콥터사령부6.1.1.6. 지상전센터
6.1.2. 연합신속대응군단6.1.3. 본토사령부
6.1.3.1. 런던관구사령부6.1.3.2. 육군인사센터6.1.3.3. 육군인사근무지원단6.1.3.4. 육군모병·기초훈련사령부6.1.3.5. 지역사령부6.1.3.6. 상설합동사령부
6.1.4. 주벨리즈 영국 육군 훈련·지원대6.1.5. 주독 영국 육군
6.2. 육군의 통제 밖에 있는 육군부대
6.2.1. 전략사령부6.2.2. 해군사령부6.2.3. 공군사령부
7. 복제
7.1. 군복7.2. 군장
7.2.1. 오스프리 방탄복 체계7.2.2. 비르투스 방탄복 체계
8. 계급9. 장비
9.1. 보병장비
9.1.1. 개인화기9.1.2. 조준 장비/통신 장비/투척 화기/방호 장비/총검9.1.3. PLCE9.1.4. PLCM9.1.5. 보병 분대 장비
9.2. 기갑차량9.3. 항공전력
10.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영국 육군 사진.png
British Army
영국 육군(, British Army)은 영국 육군으로, 국토 방위를 주된 임무로 삼고 영국군 가운데 가장 인력 규모가 큰 군종이다. 2018년 기준으로 상비군 75,166명과 예비군 26,244명의 인적 규모로 구성되어 있다.

현대 영국군의 기원은 잉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사이의 합병 조약이 체결된 해인 1707년으로 보고 있으며, 그 전신은 1660년 설립된 잉글랜드 군대이다.

현재 영국 육군은 경제 위기에도 꾸준한 현대화를 추진했으며 2020년대 초 배치될 스카우트 SV등을 비롯한 다양한 자산의 배치와 개량을 준비하고 있다.

2. 수뇌부

3. 상징

3.1. 핵심 가치

A Soldier's The Values and Standards

군인의 가치와 표본(The Values and Standards of the British Army)은 영국 육군의 군인이라면 명심해야 되는 핵심 가치이자 윤리적 지침이다. 이는 총 6가지로 분류된다.

3.2. 군인의 약속

Soldier's Promise

군인의 약속(Soldier's Promise) 대한민국 국군 복무신조 미군 군인의 신조(Soldier's Creed)와 비슷한 목적암기에 해당하는 영국 육군의 군 용어이다. 전문은 아래와 같다.

4. 역사

4.1. 1600년대 이전과 1700년대 초반

고대에는 브리튼 제도 내에 여러 세력이 있었고, 이 세력들이 평정되어 잉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웨일스 아일랜드 왕국같은 나라꼴을 갖춘 후에도 봉건제 사회가 한동안 이어졌다. 그렇기에 오늘날의 비대칭전력에 해당하여 자본 및 기술집약적인 해군[11]은 국왕이, 지상군은 각 영주들이 보유했다가 국왕의 요청이 있으면 중앙으로 소집되는 비상설군 형태로 운영되었다. 지상군은 귀족들이 왕권에 맞설 수 있도록 하는[12] 사병과 같이 취급되었고, 의회 설립 이후에도 같은 형태로 유지되었다.

그러다가 잉글랜드 내전이 발발하였고, 올리버 크롬웰신모범군[13]라는 최초의 상비 육군을 편성하여 전쟁에서 승리하였다. 비록 크롬웰의 치세는 오래 가지 못했으나, 상비군이라는 체제는 그 효용성이 입증되었기에 왕정복고 이후에도 유지되었다. 1660년 찰스 2세의 복귀 당시 신모범군을 해체하며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육군이 각기 따로 설립되었다. 이 시기의 잉글랜드 군대[14]는 국왕과 함께 망명에서 돌아와 그의 지갑에서 돈을 타 쓰는 군단과, 크롬웰이 설립하여 아직도 의회에서 예산을 받는 군단으로 나뉘어 지휘계통이 상당히 어수선했다. 스코틀랜드 군대[15]는 런던이 아닌 에든버러의 의회에서 예산을 타 썼다.

찰스 2세가 서거하고 즉위한 그의 동생 제임스 2세 가톨릭 신자였고, 청교도가 다수였던 귀족들을 찍어누를 목적으로 자신의 통제 하에 있는 군단들의 규모를 키우기 시작했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귀족들이 명예혁명을 일으켜 제임스 2세를 폐위시켰고, 그 후 권리장전을 법률을 통과시켰다. 권리장전 6조는 국왕의 평시 상비군 조직권을 의회의 동의 조건부로 바꾸었다.

국왕이 설립하고 간판을 달아준 해군이나 공군과는 달리 육군은 이렇게 각 단위마다 기원이 모두 다르며, 따라서 육군 그 자체는 왕립(Royal)이 아니다. 크롬웰이 설립한 신모범군 역시 콜드스트림 가드 등 몇몇 부대로 계승되어 내려올 정도이다. [16] [17]

각기 분리되어있던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의 군대는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설립을 전후해 브리튼 육군(British Army)로 통합되어 현재에 이른다.

4.2. 대영제국

1700년 이후 영국의 대륙 정책은 프랑스 스페인 제국과 같은 해양 패권에 의한 팽창을 억제하는 것이었다. 비록 스페인이 지난 2세기 동안 세계적인 제국이었고, 영국의 대서양 해양 패권 장악 초기에 상당한 위협이었지만, 영국에 대한 스페인의 영향력은 줄어들고 있었다. 하지만 프랑스 제국의 나폴레옹이 전쟁을 일으켰고 이는 영국의 패권에 상당한 위협이 되었다. 대영제국의 부흥에는 영국 해군이 매우 지대한 역할을 했다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영국 육군 또한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식민지인 보호, 그리고 해외 영토의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영국의 대륙 침략에서의 사건을 시간 순으로 나열하자면 7년 전쟁, 폰티악 전쟁, 미국 독립 전쟁, 나폴레옹 전쟁, 아편 전쟁, 세포이의 난이 있었고 그 이후로도 보어 전쟁, 페니언 침공, 아일랜드 독립 전쟁과 식민지 인도 러시아 제국사이에 완충 지대를 설정하여 러시아의 영향력을 저지하기 위한 영국-아프가니스탄 전쟁을 일으켰고 러시아 제국의 남하를 저지하기 위해 오스만 제국과 함께 일으킨 크림 전쟁 이후 북아메리카와 서인도 제도의 패권을 놓고 스페인, 프랑스, 네덜란드와의 대립하였다.

4.3. 대전기

영국은 20세기 동안 주로 독일 제국 나치 독일과 같은 강대국들의 도전을 받아 왔다. 불과 한 세기 전까지만 해도 나폴레옹 프랑스와 세계적 패권을 위한 파워게임을 벌였고, 당시 영국의 동맹국은 북부 독일 왕국과 그 군주들이었다. 하지만 19세기 중반 무렵, 영국과 프랑스, 러시아는 독일 제국의 영향력에 경계하여 연합을 구성하였고 러시아와 오스만 사이에 전쟁이 발발하기 전에 영-프가 선제 공격을 한다는 계획을 꾸몄고 실행에 나선다.

1914년 8월 제1차 세계 대전이 발발했을 때 영국 육군은 영국 원정군(British Expeditionary Force)을 프랑스와 벨기에로 보냈고. 육군은 전쟁의 나머지 기간 동안 정적인 참호전에 빠졌다. 1915년 영국 육군은 호주-뉴질랜드와 함께 ANZAC을 창설하여 상륙을 통해 이스탄불까지 점령하려고 하였으나 실패하였으며 수많은 사상자를 낳은 전투가 갈리폴리 전투이다. 위 처참히 실패한 전투를 포함하여 제1차 세계 대전은 거의 80만 명의 사상자와 2백만 명 이상의 부상자를 낸 영국 육군 역사상 가장 피해가 컸던 사건이었다. 전쟁 초기에 BEF는 사실상 파괴되었고, 전쟁 초기에는 자원 입대에 의해 병력을 충당하였으며 그 다음에는 징병으로 대체되었다. 주요 전투에는 솜므 전투 파스샹달 전투가 있으며. 최초의 전차 출현(MK.1)과 최초의 항공전이 발생하였고 화학무기가 사용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은 1939년 9월 독일군 폴란드 침공으로 발발했다. 폴란드에 대한 영국의 확약은 대영제국이 독일에 자연스레 전쟁을 선포하도록 이끌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때와 마찬가지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영국 원정군이 프랑스로 보내졌고 1940년 5월에 독일군이 아르덴 숲을 돌파하고 낫질 작전의 성공으로 말미암아 프랑스에 잔존해있던 BEF 소속의 영국군 프랑스군에 독일군이 압박을 가하자 절박해진 영-프 군은 독일의 포위를 피해 덩케르크로 철수를 하였고 됭케르크 철수작전이 성공함에 따라 대다수의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영국 본토로 철수하였다. 이후 종전 때까지 동남아 및 유럽 전선에서의 작전에 참여하였으며 1950년 발발한 한국 전쟁에 참전하였다.

4.4. 현대

1960년대 이후 영국 육군의 양적 규모는 제2차 세계 대전 한국 전쟁 시기에 비하여 상당히 축소되었고 기존 영국 식민지 국가의 독립이 이어짐에 따라 세계에 막대한 영향력을 끼치던 영국의 정치적 영향 또한 축소되었고 당시 초강대국으로 부상한 미국과 소련에 의해서도 영국의 영향력은 국지적인 수준으로 전락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국 군대는 아덴, 인도네시아, 키프로스, 케냐, 말라야에서도 교전 중이었다. 냉전 당시 영국 육군은 영국 본토에서 비상 대응을 맡는 영국 지상군(United Kingdom Land Forces) 서독에 주둔하며 소련의 공격에 대응하는 영국 라인 주둔군(British Army of the Rhine)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냉전이 지속되던 1982년에 아르헨티나의 포클랜드 제도 침략으로 발생한 포클랜드 전쟁에 육군은 해병대와 함께 아르헨티나군과 교전을 벌였고 승리하였다. 이후 걸프 전쟁, 유고슬라비아 내전, 이라크 전쟁을 거쳤으며 한편 1969년 8월 14일 부터 지속되어 온 영국-IRA간 교전사태에 따른 피해가 막심하자 1994년, 1996년에 양측이 정전 협정에 서명하고 1997년부터 본격적인 비무장화가 시작되었다. 그리하여 2007년 7월 31일 웨일즈 왕립 사단 소속 2대대가 완전 철수함에 따라 38년[18] 동안 유지된 교전을 마치고 배너 작전이 종지부를 맺게되었고 2001년 부터 시작된 아프간 전쟁이 2014년에 종료되었으나 테러 단체들이 현재에도 활개를 치고 있으니 그곳에 육군 병력이 주기적으로 파병되고 있으며 테러와의 전쟁은 아직까지도 끝날 기미가 보이지 않는다.

2020년대 들어서 영국 육군의 양적 규모는 더더욱 축소되어갈 것으로 보인다. 정규군 숫자를 72,500명선까지 끌어내리는 대신 워리어 장갑차를 비롯한 구형 장비들을 20년대 중반까지 퇴역시키고 신 장비들을 추가로 도입할 예정이다.

영국군이 보유한 전차는 2023년 12월 기준 챌린저 2 150대 정도이고, 운용 가능한 장거리 포병 장비는 12대 정도이다. #

파일:DAlvrH-XYAAcvgo.jpg

2017년 맨체스터 경기장 테러 사건 때 영국 육군 소속 특수부대인 SAS 소속 부대원 22명과 영국 경찰이 치안 유지를 위해 투입되었다.

현대 기준으로 영국 육군은 전시 상황에서 1년 안에 무너지는 수준이라고 한다. #

5. 구성

인종적으로, 영국 육군은 영국군의 다른 군종들보다 다양한 인종들을 포괄하고 있는 편이다. 2017년 10월 기준으로 구르카를 제외한 영국 육군의 병력은 약 7만 9천여명 수준이며, 이중 11%가 BAME (Black, Asian and Minority Ethnic), 즉 백인이 아닌 소수 민족이다[19]. 영국 해군과 공군의 3.6%, 2.2%에 비해 확실히 높은 비율로, 구르카들까지 더하면 그 비율이 더 높이 올라간다.

다만 소수 민족 출신이 사병들에만 퍼져 있는 터라, 장교 계급에서의 소수민족은 그리 많지 않다. 총원 1만을 헤아리는 육군 장교 중 320여명을 밑도는 수준. 영국군에 본격적으로 소수 민족이 입대한 것이 2000년대 이후 이라크 전쟁과 아프가니스탄 전쟁에서 군이 많은 전사자와 부상자를 내고 모병 쿼터를 올린 후므로[20] 아직까지 장관급 장교를 하나도 내지 못하였고, 영관급에도 그 수가 많이 없다. 그래도 소수 민족 출신 장교가 거의 존재하지 않았던 21세기 초반보다는 나아진 것으로, 계급이 내려갈수록 꽤나 많은 영국 흑인, 인도계 영국인, 파키스탄계 영국인등 소수민족계 장교들이 복무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수 민족계 사병들은 영국군에서 부사관급의 첫 단계로 인식하는 '상병[21]' 계급에 머물러 있으며, 이 계급 인원의 약 15%를 차지한다. 소수 민족계 장병들은 주로 비전투 부대에 많이 배치되어 있으며, 군수 지원부대, 의료 부대등에 상당한 수를 이룬다. 비율은 2018년 기준으로 병의 12.7%를 차지하며, 장교는 2.9%를 차지한다. 이 수치는 영국이 영연방 출신 인적자원들의 입대를 허용한 이후 더욱 더 늘어날 전망이다.

또 하나의 괄목할 만한 점으로, 네팔 출신들로 충원되는 '구르카' 외에도 영국 육군에서 외국인들을 받는다는 점이다. 영연방 출신들을 받으며,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피지 출신들이 상당히 많이 복무하고 있다. 아일랜드 연대 (Royal Irish Regiment)는 아예 모병지가 아일랜드 섬이며, 소속원 중 아일랜드 시민이 상당히 많다. 피지, 남아프리카 공화국등에서 온 흑인들은 영국 육군에 복무하는 소수 민족에 반절 가량을 차지할 정도로 비중에 다대하고, 오스트레일리아나 뉴질랜드 출신이 영국군에서 장교로 임관하였다가 다시 고국으로 돌아가 복무하는 경우도 꽤 있다. 다만 영국도 생각이 없는 것이 아니라서 이러한 방식의 모병이 매년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며, 모병 인원이 쿼터를 못 채울 때만 이루어진다고 한다. 하지만 2018년, 영국군이 심각한 모병난을 겪으며 이러한 모병 방식을 허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당장 현행은 영국에 주소지를 갖고 5년 동안 살아야 하지만, 이제부터는 영연방 소속 국가 시민이기만 하면 된다. 영국 육군의 모병난이 얼마나 심각한지 단적으로 보여주는 부분.

영국 육군은 약 10.3% 정도의 여군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장교 층에 특히 많은 수의 여군들이 밀집되어 있다. 그 동안은 여군들이 비 전투부대에 배치 되었으나 2018년을 기점으로 전투부대[22]에 전면적인 배치가 시작된다고 한다.

나이대로 보자면, 영국 육군은 영국군의 삼군 중에서 가장 젊은 군이기도 하다. 모병제 국가의 특성상 30살이 넘은 병들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긴 한데... 전체 병력의 23.6%가 25세 미만이고... 당장 영국군의 장교의 평균 연령은 37세, 부사관과 사병은 30세로, 전체 군의 평균 연령은 31세다. 30세 미만의 장병들이 널리고 널린 한국군 입장에서는 상당히 나이 들어 보이지만, 유럽 국가들의 입장에서는 젊은 것이다[23] 영국군도 점점 고령화되어가는 것이 문제이긴 하지만.... 점차 모병 인원 중 30세 미만인 자들의 비율을 늘리려고 노력하고 있는 것이 현재 영국 육군이다.

현재 영국 육군이 처한 가장 큰 위기는 병력 자원의 부족이다. 최근 영국의 실업률 하락으로 군대에 지원하는 청년의 수가 줄자, 안 그래도 부족했던 병력이 더욱 부족해지고 있다. 상술했듯이 영연방 출신 자원들의 입대를 허용한 것도 해결책의 일환이고, 구르카를 1,000명 가까이 증원하는 것도 영국군의 병력 부족분을 채우기 위함이다. 현재 영국 육군의 병력은 구르카를 제외하고 7만 9천여명 수준으로, 정원인 8만 2천명에 비해 3천명이나 부족하다. 영연방 출신들로 모병 자원을 확대한다고 해도 1,350여명, 구르카까지 더해도 1,000여명 정도만이 늘어나므로, 장기적으로 1,000명 정도의 병력이 부족할 예정이다.

2018년 10월 기준으로, 영국 육군의 정원은 구르카를 제외하고 약 8만 2천명 수준인데 8만여명 정도만이 근무하고 있고, 이중 기초 군사훈련만을 마친 인원 3,000여명을 제외하면, 7만 6천여명만이 완전히 훈련되었다고 할 수 있는 병력이다. 병력 문제가 심각한게, 작년 10월과 근무하면, 2천여명 가까이가 줄었다. 영국 국방부가 지속적으로 정원 유지를 위해 복지 확대등을 걸고 노력중이지만, 잘 먹히지 않고 있다는 증거다.

6. 편제

Army 2020으로, 전투 부대는 2개 사단 하에 9개 여단전투단이 편성되어 있고[24], 그 외에 독립 여단으로 1개의 공중강습여단전투단이 편성되어 있다. 2025년을 목표로 한 대규모 편제 변경이 이루어지고는 있지만, 현재로서의 편제는 다음과 같다.

6.1. 육군본부

Army Headquarters

6.1.1. 야전군

Field Army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 육군 야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1. 야전군 직할부대
Field Army Troops

NATO군 유럽연합군 최고사령부 연합지상사령부 예하 부대이다.
6.1.1.2. 제1사단
1st Divisi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 육군 제1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3. 제3사단[28]
3rd Division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 육군 제3사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1.4. 제6사단[33]
6th Division
6.1.1.4.1. 2030년 조직개편안
6.1.1.5. 합동헬리콥터사령부
Joint Helicopter Command

영국군 제3군의 회전익 항공기를 모두 관리하고 운용하는 제3군 합동부대. 영국 육군 야전군 사령관의 지휘 하에 있다.
6.1.1.6. 지상전센터
Land Warfare Centre

6.1.2. 연합신속대응군단

Allied Rapid Reaction Corp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연합신속대응군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3. 본토사령부

Home Command
6.1.3.1. 런던관구사령부
London District Comman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런던 관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3.2. 육군인사센터
Army Personnel Centre
6.1.3.3. 육군인사근무지원단
Army Personnel Services Group
6.1.3.4. 육군모병·기초훈련사령부
Army Recruiting and Initial Training Command
6.1.3.5. 지역사령부
Regional Command
6.1.3.6. 상설합동사령부
Standing Joint Command

6.1.4. 주벨리즈 영국 육군 훈련·지원대

British Army Training and Support Unit Belize

6.1.5. 주독 영국 육군

British Army Germany

2020년 주독 영국군[50]이 전면 철수한뒤 창설되어 독일에 주둔하고 있는 유일한 영국군이 되었다.

6.2. 육군의 통제 밖에 있는 육군부대

6.2.1. 전략사령부

Strategic Command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영국 전략사령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2.2. 해군사령부

Navy Command

6.2.3. 공군사령부

Air Command

7. 복제

7.1. 군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복/영국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군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군장/영국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1. 오스프리 방탄복 체계

파일:552px-British_Army_Soldier_in_Full_Kit_in_Afghanistan_MOD_45152579.jpg
파일:552px-British_Army_Soldier_in_Full_Kit_in_Afghanistan_MOD_45152581.jpg
Osprey Body Amour System (OBA)
2010년부터 보급된 영국 육군 병사의 표준 장비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MK.7 헬멧오스프리 MK.4 방탄복, SA-80A2 소총을 갖췄으며. 현재 영국 육군은 보다 가볍고 활동성이 뛰어난 Virtus 방탄복 시스템을 2016년 5월 부터 보급 중이고 SA-80A3를 휴대한다.

7.2.2. 비르투스 방탄복 체계

영국 국방부 소개 영상.
제조사 소개 영상.
파일:virtus-stats-infographic.jpg
2003년 당시의 표준 영국 육군 보병 장비와 2016년 부터 2019년 까지 52,000벌이 지급될 VIRTUS와의 비교.
Virtus Body Amour System | 비르투스 방탄복 체계

수 년 간 전장에서 얻은 전훈을 바탕으로 설계한 VIRTUS는 기존의 오스프리 방탄복과 동일한 방호 능력을 제공하지만 기존의 것보다 4.7kg 정도 가량 가볍고 새로 개발 중인 방탄판이 도입되면 더욱 가벼워질 예정이다. 또한 착용 시 움직임이 보다 수월하고 위급 시에 방탄복을 빨리 벗을 수 있도록 퀵-릴리스 기능을 탑재하였다. 방탄 시스템에 포함되는 신형 헬멧은 충격 보호, 안면과 턱 보호대와 무기를 사용자가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야시경 장착용 마운트와 착용자의 목 근육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설계한 헬멧 라이트 부착 시스템 및 동작 시 체중 분산에 도움을 줘서 효율적 활동이 가능한 동적 체중 분배[54] 시스템을 도입하여 병사가 부담하는 하중에 대한 압박을 완화 시켜 준다.국내 도입이 시급합니다

8. 계급

영국군/계급 문서 참조.

9. 장비

9.1. 보병장비

9.1.1. 개인화기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현대의 영국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돌격소총 <colbgcolor=#fefefe,#191919> L85A2, L85A3, L22A2, C7, C7A1, L119A1, L119A2, SCAR-H, M6A2 UCIW, MCX, L403A1
지정사수소총 L86A2, L2A1, L129A1
저격소총 L115A1, L115A3, L118A1, L118A2, L121A1, AWC, AX50, L135A1 LRPAS
기관단총 L2A3, L34A1, L80A1, L90A1, L91A1, L92A1
산탄총 L128A1, L74A1
권총 L9A1, L105A1, L106A1, L107A1, L117A1, L131A1, L137A1, P230, P11
지원화기 기관총 L108A1, L108A3, L110A2, L7A2, L111A1, M3M, Mk.44
유탄발사기 L17A1, L123A2 UGL, L134A1
대전차화기 L4, L6, LAW 80, ILAW (L2A1), MBT LAW, FGM-148, L2A1 ASM
박격포 M6-895, L16A2
맨패즈 Javelin, Starstreak HVM
비치사성무기 ARWEN 37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현대 보병장비 }}}
}}}}}}


9.1.2. 조준 장비/통신 장비/투척 화기/방호 장비/총검

9.1.3. PLCE

전시에 병사들은 탄약, 물, 음식, 보호 장비를 휴대해야 하기에 영국 육군 병사들은 위장 벨트, 짐판 및 주머니로 된 모듈식 시스템인 PLCE(Personal Load Carrying Equipment)를 사용한다. 더 많은 휴대를 위해 필요한 경우 운반 용량을 추가하기 위해 작은 배낭 두개와 큰 배낭 하나를 추가할 수 있으며. 현재 PLCM 도입으로 도태되는 중이다.

9.1.4. PLCM

PLCE를 대체하기 위해 나온 PLCM(Personal Load Carrying Model)은 VIRTUS 방탄복 시스템에 맞춘 신형 휴대 시스템이다.

9.1.5. 보병 분대 장비

분대는 2개의 화력팀(Fireteam)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분대장(하사/중사)나 부분대장(병장)이 각각의 팀의 팀장으로 임먕된다. 화력팀들의 휴대 장비는 다음과 같다.

9.2. 기갑차량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국군 (1707~현재)
His Majesty's Armed Forces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빅커스 중형 순항전차E, 키메라, 마틸다 II Mk. II, 마틸다 II Mk. IIIR/P, 셔먼 IIAR, 셔먼 IIIAY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ICR, 셔먼 IC 하이브리드R, T-34-85C/R, T-34-85CZC/R
MBT <colbgcolor=#000066> 1세대 A41 센추리온R, 59식 전차T/R
2세대 FV4201 치프틴R, 빅커스 MBT Mk.(1, 2 , 3)E
3세대 FV4030/4 챌린저 1R, 빅커스 MBT Mk.(4E, 7), MBT-80
3.5세대 FV4034 챌린저 2, { 챌린저 3}
경전차 키메라, GSR 3301 세터, FV301, FV101 스콜피온R, 채피R
중전차 FV214 컨커러R, FV214SA
장갑차 차륜형 AT105C 색슨R, 험버 피그R, FV701 페렛R, FV721 폭스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훅스 1 NBC, 부시마스터, 쿠거, 마스티프, 릿지백, 울프하운드, { MIV 복서}
궤도형 CVR(T), FV430 불독 / FV432 트로잔, FV510 워리어, FV107 시미터R, FV4333 스토머
{ 에이잭스, 아레스, 아테나, 아틀라스, 아폴로}, BvS-10 바이킹
차량 소형 핀츠가우어, 벡터, 울프, 핑크 팬더R, 폭스하운드,
MXT-MV / 허스키 TSV, 코요테 TSV / 재칼 2, {MRV-P} {MWMIK}, 판터 CLV, MRZR-D
트럭 MAN HX60 지원 차량, 베드포드 TM 6-6/4-4, FODEN DROPS, 오시코시 MTVR Mk.31,
오시코시 HET 1070F, 모바크 DURO-II/III, 알비스 스톨워트R
자주포 자주곡사포 L131 AS-90 · AS-90 브레이브하트, SP-70, FV215, M777 LIMAWS(G), FV433 애봇R, M107R, M109(A1/A2)R, M110(A2)R, 아처, { RCH 155}
자주박격포 FV432 81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SD-100C/R, FV4101 채리어티어R, M36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434 팔콘, 치프틴 마크맨 대공 시스템
단거리 대공미사일 트랙드 레이피어R, 스토머 HVM
다연장로켓 MLRS
무인 차량 UGV 미션 마스터 SP
기타 FV 시리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T: 테스트용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영국 육군의 전차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챌린저 2 MBT 영국 150대 148대는 챌린저 3로 개량 예정
영국 육군의 장갑차량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에이잭스 정찰 영국 44대 589대
FV430 불독 APC 영국 409대
FV510 워리어 IFV 영국 388대
MIV 복서 APC 독일 / 영국 623대
훅스 1 NBC CBRN 독일 8대
영국 육군의 포병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M270 MLRS 다연장로켓 미국 29문
아처 자주포 스웨덴 14문
AS90 자주포 영국 57문
L118 곡사포 영국 126문
L16 박격포 영국 360문
BV206 MAMBA 영국 5대
영국 육군의 방공장비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레이피어 SAM 영국 24대
스타스트릭 SP HVM MANPADS 영국 62대
스타스트릭 LML MANPADS 영국 145대
영국 육군의 지원차량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트로잔 AVRE 영국 32대
타이탄 AVLB 영국 33대
CRARRV ARV 영국 75대
테리어 CEV 영국 56대
버팔로 IED 제거 차량 미국 19대
JCM HMEE IED 제거 차량 영국 17대
알비스 유니파워 부교차량 영국 139대
M3 자주도하장비 부교차량 독일 37대
오시코시 HET HET 미국 91대
MTVR 수송차량 미국 357대
RMMV HX 수송차량 독일 7,484대
레이랜드 DROPS[60] 영국 1,217대
핀츠가우어 수송차량 오스트리아 190대
모바크 DURO 수송차량 스위스 190대
랜드로버 울프 다목적차량 영국 12,000대
랜드로버 펄스 야전 응급수송차량 영국 116대

9.3. 항공전력

영국 육군의 항공기
이름 종류 제조국 운용 비축 추가 비고
WAH-64 AH.1 공격헬기 미국 50기
와일드캣 AH1 다목적 헬기 영국 34기
AS365 다목적 헬기 프랑스 6기
H135M 다목적 헬기 독일 30기
벨 212 다목적 헬기 캐나다 3기
WK450 UAV 영국 49기 1기

10. 관련 문서


[1] 현대 영국 육군의 기원은 잉글랜드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사이의 합병 조약이 체결된 해인 1707년부터 시작한다. [2] Head of British Armed Forces, 영국 국왕의 명예직이다. [3] Chief of the General Staff, 한국의 육군참모총장의 역할을 한다. [4] 찰스 롤랜드 빈센트 워커 경(Sir Charles Roland Vincent Walker) [5] Deputy Chief of the General Staff, 육군참모차장 역할을 한다. [6] 샤론 패트리샤 모팻 네스미스 경(Dame Sharon Patricia Moffat Nesmith) [7] Army Sergeant Major [8] 폴 크리스토퍼 카니(Paul Christopher Carney) [9] English Army [10] Scots Airmy/Scots Army [11] 훗날 대영제국이 패권을 어떻게 잡았는지 생각해보자. 현대에도 해군은 공군과 함께 돈이 없는 나라가 함부로 키울 수 있는 군종이 아니다. [12] 현재의 입헌군주국만 생각하면 상상도 못 할 일이지만, 1700년대 이전 영국의 국왕과 귀족들의 관계는 서로 물어뜯지 못해 안달일 정도로 험악했다. 마그나 카르타 존 왕의 과도한 납세 요구에 참다못한 귀족들이 런던으로 출병하여 얻어낸 결과물이다. [13] New Model Army 혹 New Modelled Army이라 불렸다. [14] English Army [15] Scots Army [16] 다만 His Majesty's나 Royal 등의 호칭이 각 단위에는 붙는다. 이 경우 정말로 내전 당시 근왕파 세력에 근원을 둔 경우거나, 현대 입헌군주제 확립 후에 왕이 간판을 달아준 경우 둘 중 하나이다. 전자의 예시로는 찰스 1세가 설립한 로열 스코츠(Royal Scots)의 직계후손인 왕립스코틀랜드연대가 있으며, 후자의 예시로는 왕립 정보통신단이 있다. [17] Royal이라는 단어 자체도 17-18세기 당시에는 일상생활에선 잘 쓰이지 않는 단어였는데, 제임스 2세가 "내 것이 아니라(His Majesty's) 내가 설립했을 뿐(Royal)이다" 라는 눈속임을 하기 위해 발굴해 온 단어였다. [18] 정확히는 37년 11개월 2주 하고도 3일 동안이다. [19] 출처 [20] 2000년 기준으로 영국 육군에 복무하는 소수 민족 장병은 구르카를 제외하고 1.4%, 1,000명 이하에 불과하였다. [21] E-4, Lance Corporal [22] 보병, 기갑등 [23] 당장 프랑스만 하더라도 2016년 기준으로 사병 및 부사관들의 평균 나이가 33.4세다. [24] 3개의 기계화보병여단, 6개의 보병여단. [25] 별명은 블랙 래츠(Black Rats, 검은 쥐떼). 담당 관할은 요크셔 주와 노스이스트 잉글랜드 주로 노스요크셔 캐터릭에 사령부가 있다. [26] 우방국 정규군 군사 고문 및 지원여단이다. [27] 담당 관할은 북아일랜드로 리즈번에 사령부가 있다. [28] 3rd (United Kingdom) Division, 별명은 아이언 디비전(Iron Division, 강철 사단). 영국 육군의 기갑부대를 총괄하며, 영국 육군의 신속대응군 역할을 맡고 있다. [규모] 부대명만 연대지 규모자체는 대대급 부대이다. [규모] [규모] [규모] [33] 6th (United Kingdom) Division, 이전 명칭은 병력지원사령부(Force Troops Command)였다. [34] 2020년까지는 제1사단 예하 전문보병단(Specialised Infantry Group)이었으며, 해외 파병 군사 고문단이자 전투부대이다. [35] 하이브리드 여단이다. [36] 영국군 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부대이다. [37] 왕립 정보통신단(Royal Corps of Signals) 소속 부대. [38] 하이브리드 여단이다. [39] 영국군 내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자랑하는 부대이다. [WatchkeeperWK450] Watchkeeper WK450 운영 [41] 전세계적으로 퍼져있는 영국 육군 부대들의 항공지원을 전담한다. [예비군] [43] 사령부급 통신을 담당한다. [44] 런던 가드 제1대대(1st Battalion London Guards)라고도 불린다. [예비군] [46] 의장 담당 독립 소총중대이다. [47] 의장 담당 독립 소총중대이다. [48] 의장 담당 독립 소총중대이다 [49] 수송수단 제공. [50] British Forces Germany [51] 제22SAS연대의 항공지원을 전담한다. [52] 키프로스 사령부가 있으며, 2개 순환배치 보병 대대로 구성된다. [53] 왕립정보통신학교 소속 부대. [54] dynamic weight distribution [55] Sight Unit Small Arms, Trilux [56] Commander's target locating systems [57] Personal Role Radio [58] General Service Respirator [59] L123A2 40mm 유탄 발사기 부착형 [60] demountable rack offload and pickup system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