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d7b 0%, #00309a 20%, #00309a 80%, #000d7b); color: #d8d8d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알치데 데 가스페리 | 주세페 펠라 | 아민토레 판파니 | 마리오 스켈바 | |
제34대 | 제35대 | 제32대2 | 제34대2 | |
안토니오 세니 | 아도네 촐리 | 아민토레 판파니 | 안토니오 세니 | |
제36대 | 제32대3 | 제37대 | 제38대 | |
페르난도 탐브로니 | 아민토레 판파니 | 죠반니 레오네 | 알도 모로 | |
제37대2 | 제39대 | 제40대 | 제41대 | |
죠반니 레오네 | 마리아노 루모르 | 에밀리오 콜롬보 | 줄리오 안드레오티 | |
제39대2 | 제38대2 | 제41대2 | 제42대 | |
마리아노 루모르 | 알도 모로 | 줄리오 안드레오티 | 프란체스코 코시가 | |
제43대 | 제44대 | 제32대4 | 제45대 | |
아르날도 포를라니 | 조반니 스파돌리니 | 아민토레 판파니 | 베티노 크락시 | |
제32대5 | 제46대 | 제47대 | 제41대3 | |
아민토레 판파니 | 조반니 고리아 | 치리아코 데 미타 | 줄리오 안드레오티 | |
제48대 | 제49대 | 제50대 | 제51대 | |
줄리아노 아마토 |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 람베르토 디니 | |
제52대 | 제53대 | 제48대2 | 제50대2 | |
로마노 프로디 | 마시모 달레마 | 줄리아노 아마토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 |
제52대2 | 제50대3 | 제54대 | 제55대 | |
로마노 프로디 |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 마리오 몬티 | 엔리코 레타 | |
제56대 | 제57대 | 제58대 | 제59대 | |
마테오 렌치 | 파올로 젠틸로니 | 주세페 콘테 | 마리오 드라기 | |
제60대 | ||||
조르자 멜로니 | ||||
* 이탈리아 공화국 총리 대수는 이탈리아 왕국 총리 대수를 이어서 가산한다. 이탈리아 왕국 총리 · 파시스트 정권 관련 직위: 이탈리아 대통령 |
}}}}}}}}}}}} |
<colbgcolor=#0306A5><colcolor=#d8d8d4> | |||
|
|||
출생 | 1977년 1월 15일 ([age(1977-01-15)]세) | ||
이탈리아 로마 | |||
국적 |
[[이탈리아| ]][[틀:국기| ]][[틀:국기| ]] |
||
재임기간 | 제60대 총리 | ||
2022년 10월 22일 ~ 현직 | |||
서명 |
|
||
링크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306A5><colcolor=#d8d8d4> 학력 | 고등학교 과정 졸업(언어학) | |
소속 정당 |
|
||
가족 | 슬하 1녀(2016년생)[1] | ||
종교 | 가톨릭 ( 세례명: 제오르지아) | ||
신장 | 157cm[2] | ||
의원 선수 | 5 (하원)[3] | ||
경력 |
청소년부장관 (2008~2011) 이탈리아의 형제들 대표 (2014~현재) 유럽 보수개혁연합 대표 (2020~현재) |
}}}}}}}}} |
[clearfix]
1. 개요
이탈리아의 정치인. 現 제60대 이탈리아 총리.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총리 재임 전에는 언론에서는 극우 및 파시스트 성향이라는 주장이 판을 쳤으나 취임 이후로는 극우까지는 아닌 정도만 좀 강경한 우익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는다.
친서방[4], 친러[5], 반중, 반이민, 반LGBT[6], 반페미니즘 행보를 보이고 있다.
2. 생애
로마에서 태어나고 자랐다. 아버지는 사르데냐 출신의 회계사였고 어머니는 시칠리아 출신의 주부였다. 어린 시절 아버지가 집을 나가 카나리아 제도로 떠났고 어머니와 어렵게 자랐다고 한다. 학교에서는 뚱뚱하다고 놀림을 받아 다이어트를 했다고 한다.아버지가 1995년 스페인의 작은 섬 메노르카에서 인도 대마초인 하시시 1,500㎏을 배에 싣고 입항하다 세관에 적발돼 9년 형을 선고받은 것이 뒤늦게 알려지기도 했다. # 물론 멜로니 본인이 미성년자일 때의 일인데다가 멜로니가 한 살때 집을 나간 이후로 아버지와는 사실상 교류가 없었기 때문에 아버지의 범죄 전력이 멜로니 본인에게 정치적인 타격을 주지는 않았다.
1992년 15세 때 이탈리아 사회운동(MSI)[7] 청년단체에 가입하며 정치활동을 시작했으며, 1995년 전국 학생운동의 대표로 활동했다.
1996년 19세때 프랑스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베니토 무솔리니가 했던 정치활동은 이탈리아를 위해서였다 더 나아가 베니토 무솔리니를 존경한다 라고 프랑스어로 대답했던 영상이 나중에 다시 화제가 되었고, 멜로니는 어린 시절의 생각이었을 뿐이며 지금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2006년 MSI의 후신인 국민동맹 소속으로 라치오-1 지역구 하원의원에 출마하여 당선되었으며, 2008년 31세의 나이에 베를루스코니 내각의 청소년부 장관으로 입각하며 이탈리아 통일 이후 최연소 장관으로 기록되었다.
2022년 총리가 되기 전에는 친러ㆍ친푸틴 성향을 보였는데, 2014년 당시 러시아의 크림반도 합병을 옹호했으며 #, 2018년 푸틴의 4선을 축하하는 트위터를 올렸었다. #
2.1. 2022년 총선
2020년의 개헌으로 총선에서의 소선거구제 효과가 더욱 커졌고, 여기에 민주당을 이끄는 엔리코 레타 전 총리의 애매한 인기도 이러한 정국 상황에 한몫을 하면서 중도우파 연합이 유리한 고지에 서게 되었다.2022년 7월 21일, 세르조 마타렐라 대통령이 마리오 드라기 총리의 사임안을 재가하면서 9월 총선이 예정되었다. #
정당 지지율 상으로는 멜로니가 이끄는 이탈리아의 형제들이 엔리코 레타 전 총리가 이끄는 민주당과 1위 싸움을 벌이고 있지만 정당 연합에 따라 중도우파/중도좌파/ 오성운동으로 범주화한다면 이탈리아의 형제들이 포함된 중도우파 연합의 과반 확보가 유력한 상황이다.
특히 그 내부에서도 이탈리아의 형제들이 1당에 오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멜로니가 유력한 차기 총리 후보로 점쳐지고 있는데, 이로 인해 서방 국가에 파시스트 총리가 탄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불거지자 8월 10일 외신 기자들을 통해 "내가 총리가 되더라도 민주주의에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
8월 22일에는 아프리카 이주민에 의한 성폭행 사건을 선거 캠페인에 활용했다가 거센 역풍을 맞았다. '일 피아첸차'는 "멜로니라는 정치인에 대한 찬반을 떠나 넘어서는 안 될 선이 있다"며 "이 영상을 SNS에 올린 정치인은 멜로니뿐"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해당 SNS들로부터 모두 삭제 조치를 받았다. #
9월 9일 발표된 여론조사 공표기간 중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1위 자리를 지키면서 총리 취임이 유력해졌다. #
그리고 9월 25일 열린 총선에서 중도우파연합이 상·하 양원 과반을 확보한다. 상원 115석(과반은 101석), 하원 237석(과반은 201석). 이에 따라, 중도우파연합 제1당의 리더인 멜로니가 신임 이탈리아 총리에 등극할 것이 확실시된다. 정식으로 임명된다면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총리이자, 공화국 체제전환 이후 최초의 극우 정당 출신 총리로 기록된다.
이후 9월 27일 멜로니 대표는 자신의 트위터를 통해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의 총선 승리 축하 트윗에 “친애하는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국민들의 자유를 위한 우리의 충실한 지원을 믿어도 된다는 걸 우크라이나 정부는 알고 있다”며 “강인함을 유지하고 굳건히 신념을 지켜달라”고 화답했다.
멜로니는 2021년 2월 마리오 드라기 총리가 거국 내각을 구성할 당시 주요 정당 중 유일하게 내각에 참가하지 않고 야당으로서 정부의 실정을 비판했지만, 드라기 총리의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결정에 대해서만큼은 기존 여당인사들보다 강하게 지지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내각 구성을 두고 전진 이탈리아와 동맹과 내분이 벌어지고 있다. # 특히, 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의 메모에 있는 불만이 포착되기도 했다. # 결국 베를루스코니가 멜로니를 찾아가 갈등을 해소시켰다. #
게다가 베를루스코니 전 총리가 젤렌스키 대통령을 비난한 녹취록이 뜨자 이런 주장에 반대하며 자신이 이끌 새 정부는 친 NATO 정부가 될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
10월 21일, 세르조 마타렐라 대통령이 멜로니 대표를 공식적으로 이탈리아의 총리로 지명하고 정부 구성 권한을 위임했다. 멜로니가 총리로 지명되면서 이탈리아 최초의 여성 총리 타이틀을 얻게 되었다. 멜로니 총리가 이끌 새 내각은 다음 주 상원과 하원의 신임투표를 거친 뒤 공식 출범할 예정이다. #
2.2. 총리 재임 시절
자세한 내용은 조르자 멜로니 내각 문서 참고하십시오.총리 당선 전 언론에서 부르는 별명은 ‘여자 무솔리니’였으나 파시스트 여부는 다소 불분명하다. 현재 멜로니 본인은 파시즘은 지나간 역사라고 발언하며 오히려 파시스트 지도자들을 칭송하는 당원들을 경계하는 등 파시즘과는 선을 긋고 있다. 다만 과거에 했던 발언[8]이 논란이 된 적이 있었다.
또한 멜로니 본인이 심경의 변화인지 처세술인지 막상 총리 당선 이후로는 위와 같은 과거 발언과 반대되는 친EU 행보를 보이고 당의 정치색을 희석시키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더욱 애매하다. 사실 파시즘은 학계에서 그 정의가 논쟁적이며, 사회적으론 가장 넓은 정의[9]와 가장 좁은 정의[10]를 어지럽게 섞어 쓰므로 '멜로니가 파시스트냐 아니냐'는 논쟁은 다소 소모적인 측면이 있다. 파시즘 문서 참고.
뉴욕타임스에서는 2023년 2월 기사로 멜로니가 초반 우려와는 달리 실용주의 노선과 온건한 지향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평가했다.
타임지에서는 2023년 7월 기사로 멜로니가 극우 성향에도 반러시아(우크라이나 지원)와 반중국 행보로 오르반 빅토르,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이 얻지 못한 외교적 인정을 얻고 있다고 평가했다. 동월 뉴욕타임스에서는 멜로니가 대외적으로는 서방 국가들이 신뢰할 만한 파트너로 자리잡았지만 이탈리아 내부에서 보이는 행보는 우려할 만하다고 평가했다.
미국을 방문했을 때 척 슈머 민주당 상원대표가 이탈리아 국기의 의미를 물었는데 총리란 사람이 대답을 못하는 촌극이 빚어졌다. #
11월 1일 러시아 유튜버가 아프리카 연합의 고위 외교관으로 속인 전화를 15분간 했는데 멜로니 총리는 유럽 지도자들이 우크라이나에서 20개월간 지속되고 있는 전쟁에 지쳤다고 말했다. 이후 총리실은 이를 인정했다. #
3. 여담
- 한국 웹에 도는 망언 모음집의 상당수가 이탈리아 원문을 찾을 수 없다. 즉, 가짜뉴스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
-
2019년 동성(同性) 육아에 반대[11]하는 집회의 연단에 올라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Io sono Giorgia(저는 조르자입니다)", ''Sono una donna(저는 여성입니다)", "Sono una madre(저는 (아이를 키우는) 어머니입니다)", "Sono italiana (저는 이탈리아 여인입니다)"[12], "Sono cristiana(저는
크리스천입니다)" 라고 외치는 그녀의 연설이 강경한 목소리와 어우러져 묘한 리듬감마저 느껴진 탓에 해당 연설이 디스코 음악과 함께 편집되어 '조르자 멜로니 리믹스'라는 제목으로 유튜브에 올라왔고, 조회수 1200만회를 넘기며
인터넷 밈으로 유튜브에서 화제를 모았다.
- 당초 성소수자에 대해 보수적인 그녀의 정치 성향을 비꼬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 올린 영상이었지만, 오히려 그녀의 인지도를 넓혀주는 데 도움이 되었다.
- 목소리가 상당히 저음인데다가 딕션과 발성이 상당히 좋은 편이다. 거기다 강경한 성향의 정치인답게 연설 등에서 강한 어조로 말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탈리아어 특유의 악센트와 겹쳐 상당히 강렬한 인상을 준다. 위의 동영상이 밈화된데에도 이런 인상적인 비언어적 요소들이 한몫했다.
- 이탈리아 디자니어' 키아라 페라니'는 멜로니 대표에 투표하는 것은 LGBT와 사람, 여성의 권리를 후퇴시킬 위험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투표를 통해 극우 세력에 맞서줄 것을 부탁했다. #
- 페라니 외에 나무위키에 등재된 이탈리아인 중 조르자 멜로니 당선에 부정적인 의견을 표한 인물은 카를라 브루니, 도나텔라 베르사체, 알레산드로 미켈레, 비토리아 세레티, 알리체 파가니, 베네데타 포르카롤리, 모네스킨의 다미아노 등이 있다.[13] 어느 나라나 비슷하지만 문화계와 연예계는 좌파 성향이 강하다.
- 율리야 티모셴코처럼 금발로 염색하는 정치인이다. 젊은시절엔 갈색 머리였다. 2008년도의 모습
- 밀라노 중산층 가정에서 태어난 기자 출신 방송인 안드레아 잠브루노와 사실혼 관계다. 둘은 동거하면서 2016년 딸을 낳았다. 잠브루노는 총리 배우자로서 해외 순방 동행 등은 하겠지만 아이를 키우기에 적합한 환경이 아닌거 같다며 총리 관저 입주는 하지 않겠다고 한다. 또 멜로니는 공식석상에서 그가 좌파라서 자신과 의견이 일치하지는 않는다고 말한 적이 있는데 잠브루노는 그건 농담이고 자신은 좌파가 아니며 조력 자살 등 일부 의견이 다를 뿐이라고 답했다. # 잠브루노가 음담패설을 하는 스캔들이 일어나 결국 두 사람은 결별하게 되었다. #베를루스코니 가문의 사주라는 음모론이 있다. # 결별 약 1년 만에 재결합설에 휩싸였다. #
- Aspen Institute 라는 국제 비영리 기구 단체의 회원이다. #
- 일각에서는 멜로니가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의 전철을 밟을 것이라고 비판하기도 한다. 전술했듯이 우파 포퓰리스트임에도 불구하고 집권 이후에는 중도우파에 가까운 행보를 보이고 있는데, 이러한 행보는 완고한 우익 성향임에도 집권 초기에는 중도우파, 친서방, 친유럽주의 노선을 걸었던 에르도안의 행보와 놀랄만큼 흡사하기 때문이다. 즉 에르도안이 집권 2, 3기 이후부터 슬슬 본색을 드러내다가 대통령에 오른 뒤 아예 대통령제로 개헌 해 강력한 권력을 장악했듯이, 멜로니도 조만간 이렇게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도 그럴 것이, 멜로니 또한 대통령제를 지지하는 인물이기 때문이다.[14]
- 하원에서 진행된 대정부 질의에서 안젤로 보넬리 녹색당 대표가 가자지구 상황에 관해 토론하던 중 재킷으로 얼굴을 가렸다. #
- 2018년 당시 일부 지지자에 의해 모에선이 쬐여 '멜로니쨩'이라고 불린 바 있는데 그녀의 공식 페이스북에 <러브라이브 선샤인>의 Aqours 멤버 오하라 마리 짤이 실린 적 있었다.( 예시, #1, #2) 실제로 극우 행적에 묻혀서 그렇지 외모 자체는 상당히 준수한 편이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사실상 군부 소속 ☭ 공산국가의 수상 ♔ 전제군주국, 혹은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네팔 공산당 (마오주의 센터)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무소속| 무소속 ]]
|
||||
푸슈파 카말 다할 (3차) | 줘룽타이 | 한덕수 (2차) | ||||
동티모르 | 라오스☭ | 레바논**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라오 인민혁명당| 라오 인민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샤나나 구스망 (2차) | 쏜싸이 씨판돈 | 나지브 미카티 (3차) | ||||
말레이시아 | 몽골 | 미얀마*** | ||||
[[인민정의당| 인민정의당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안와르 이브라힘 | 롭상남스랭 어용에르덴 | 민 아웅 흘라잉 | ||||
바레인♔ | 방글라데시 | 베트남☭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베트남 공산당| 베트남 공산당 ]]
|
||||
살만 빈 하마드 알할리파 (왕세자) | 무함마드 유누스 (임시) | 팜민찐 | ||||
부탄 | 북한☭ | 브루나이♔ | ||||
[[무소속| 무소속 ]]
|
[[조선로동당| 조선로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체링 토브가이 (2차) | 김덕훈 | 하사날 볼키아 (국왕) | ||||
사우디아라비아♔ | 스리랑카* | 시리아 | ||||
[[무소속| 무소속 ]]
|
[[스리랑카 인민전선| 스리랑카 인민전선 ]]
|
[[바트당| 바트당 ]]
|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왕세자) | 디네쉬 구나와데나 | 후세인 아르누스 (2차) | ||||
싱가포르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
[[인민행동당| 인민행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탈레반| 탈레반 ]]
|
||||
로렌스 웡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두바이 아미르) |
압둘 가니 바라다르 (정치 및 외교) 무하마드 야쿠브 (군사 작전) 시라주딘 하카니 (재정 및 군수 물자) |
||||
예멘 | 오만♔ | 요르단♔ |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마드 아와드 빈 무바라크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국왕) | 비셰르 알카사우네 | ||||
우즈베키스탄 | 이라크 | 이스라엘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이슬람 다와당| 이슬람 다와당 ]]
|
[[리쿠드| 리쿠드 ]]
|
||||
압둘라 아리포프 | 모하메드 시아 알수다니 | 베냐민 네타냐후 (6차) | ||||
인도 | 일본 | 중국☭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자유민주당(일본)| 자유민주당 ]]
|
[[중국공산당| 중국공산당 ]]
|
||||
나렌드라 모디 (3차) | 이시바 시게루 (2차) | 리창 | ||||
카자흐스탄 | 카타르♔ | 캄보디아 | ||||
[[아마나트| 아마나트 ]]
|
[[무소속| 무소속 ]]
|
[[캄보디아 인민당| 캄보디아 인민당 ]]
|
||||
올자스 벡테노프 | 모하메드 빈 압둘라흐만 알사니 (왕족) | 훈 마넷 | ||||
쿠웨이트♔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
[[무소속| 무소속 ]]
|
[[아르 나므스| 아르 나므스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
아마드 알압둘라 알사바 (국왕의 조카) | 아킬베크 자파로프 | 코히르 라술조다 | ||||
태국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
[[태국인당| 태국인당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
|
[[파타| 파타 ]]
|
||||
패통탄 친나왓 | 셰바즈 샤리프 (2차) | 무함마드 무스타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바티칸 시국의 명목상 정부수반은 바티칸 시국 행정부 장관이다. |
||
그리스 | 남오세티야 | 네덜란드 | ||||
[[신민주주의당| 신민주주의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키리아코스 미초타키스 (2차) | 주소이트 콘스탄틴 | 딕 스호프 | ||||
노르웨이 | 덴마크 | 독일 | ||||
[[노동당(노르웨이)| 노동당 ]]
|
[[사회민주당(덴마크)| 사회민주당 ]]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
||||
요나스 가르 스퇴레 | 메테 프레데릭센 (2차) | 올라프 숄츠 |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
[[신단결| 신단결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루마니아)| 사회민주당 ]]
|
||||
에비카 실리냐 | 미하일 미슈스틴 (2차) | 마르첼 치올라쿠 | ||||
룩셈부르크 | 리투아니아 | 리히텐슈타인 | ||||
[[기독사회인민당| 기독사회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애국연합| 애국연합 ]]
|
||||
뤼크 프리당 | 잉그리다 시모니테 | 다니엘 리쉬 | ||||
모나코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피에르 다르투 | 밀로이코 스파이치 | 도린 레체안 | ||||
몰타 | 바티칸** | 벨기에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Open VLD| Open VLD ]]
|
||||
로버트 아벨라 (2차) | 피에트로 파롤린 | 알렉산더르 더크로 |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VMRO-DPMNE ]]
|
||||
라만 할로우찬카 (2차) | 보랴나 크리슈토 | 흐리스티얀 미츠코스키 | ||||
북키프로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
[[국민통일당| 국민통일당 ]]
|
[[무소속| 무소속 ]]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
||||
위날 위스텔 | 디미터르 글라브체프 | 밀로시 부체비치 | ||||
스웨덴 | 스위스* | 스페인 | ||||
[[온건당| 온건당 ]]
|
[[스위스 녹색자유당| 스위스 녹색자유당 ]]
|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스페인 사회주의노동자당 ]]
|
||||
울프 크리스테르손 | 빅토르 로시 | 페드로 산체스 (3차) |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
[[사회민주당(슬로바키아)| 방향-사회민주주의 ]]
|
[[자유운동(슬로베니아)| 자유운동 ]]
|
[[시민계약(정당)| 시민계약 ]]
|
||||
로베르트 피초 (4차) | 로베르트 골로프 | 니콜 파시냔 (3차) |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독립당(아이슬란드)| 독립당 ]]
|
[[피너 게일| 피너 게일 ]]
|
[[무소속| 무소속 ]]
|
||||
뱌르드니 베네딕트손 (2차) | 사이먼 해리스 | 알리 아사도프 | ||||
안도라 | 알바니아 | 압하지야 | ||||
[[안도라 민주당| 안도라 민주당 ]]
|
[[알바니아 사회당| 알바니아 사회당 ]]
|
[[아이타이라| 아이타이라 ]]
|
||||
샤비에르 에스포트 자모라 (2차) | 에디 라마 (3차) | 알렉산드르 안콰브 (2차) | ||||
에스토니아 | 영국 | 오스트리아 | ||||
[[에스토니아 개혁당| 에스토니아 개혁당 ]]
|
[[노동당(영국)| 노동당 ]]
|
[[오스트리아 인민당| 오스트리아 인민당 ]]
|
||||
크리스텐 미할 (1차) | 키어 스타머 | 카를 네하머 |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조지아 | ||||
[[무소속| 무소속 ]]
|
[[이탈리아의 형제들| 이탈리아의 형제들 ]]
|
[[조지아의 꿈| 조지아의 꿈 ]]
|
||||
데니스 시미할 | 조르자 멜로니 | 이라클리 코바키제 | ||||
체코 | 코소보 | 크로아티아 | ||||
[[시민민주당| 시민민주당 ]]
|
[[자결당| 자결당 ]]
|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크로아티아 민주연합 ]]
|
||||
페트르 피알라 | 알빈 쿠르티 (2차) | 안드레이 플렌코비치 (3차) | ||||
트란스니스트리아 | 포르투갈 | 폴란드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시민 연단| 시민 연단 ]]
|
||||
알렉산드르 마르티노프 | 루이스 몬테네그루 | 도날트 투스크 (3차)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미셸 바르니에 | 페테리 오르포 | 오르반 빅토르 (5차)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대통령 권한대행 ☭ 공산국가의 수상 |
||
가이아나* | 그레나다 | 도미니카 연방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국민민주회의(그레나다)| 국민민주회의 ]]
|
[[도미니카 노동당| 도미니카 노동당 ]]
|
||||
마크 필립스 | 디콘 미첼 | 루스벨트 스케릿 (5차) | ||||
바베이도스 | 바하마 | 벨리즈 | ||||
[[바베이도스 노동당| 바베이도스 노동당 ]]
|
[[진보자유당| 진보자유당 ]]
|
[[인민연합당| 인민연합당 ]]
|
||||
미아 모틀리 (2차) | 필립 데이비스 | 조니 브리세뇨 | ||||
세인트루시아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 | 세인트키츠 네비스 | ||||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세인트루시아 노동당 ]]
|
[[통일노동당| 통일노동당 ]]
|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세인트키츠 네비스 노동당 ]]
|
||||
필립 조셉 피에르 | 랄프 곤살베스 (5차) | 테런스 드루 | ||||
아이티** | 앤티가 바부다 | 자메이카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자메이카 노동당| 자메이카 노동당 ]]
|
||||
게리 코닐 (권한대행) | 개스턴 브라운 (3차) | 앤드루 홀네스 (3차) | ||||
캐나다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 ||||
[[캐나다 자유당| 캐나다 자유당 ]]
|
[[쿠바 공산당| 쿠바 공산당 ]]
|
[[인민민족운동| 인민민족운동 ]]
|
||||
쥐스탱 트뤼도 (3차) | 마누엘 마레로 크루스 (2차) | 키스 롤리 (2차) | ||||
페루* | ||||||
[[무소속| 무소속 ]]
|
||||||
구스타보 아드리안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정부수반이 아닌 총리 ** 군부에 의해 임명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가봉** | 기니*,** | 기니비사우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레몽 은동 시마 (임시) | 바 우리 | 후이 두아르테 드 바호스 | ||||
나미비아* | 니제르** | 레소토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무소속| 무소속 ]]
|
[[번영을 위한 혁명| 번영을 위한 혁명 ]]
|
||||
사라 쿠공겔롸 (2차) | 알리 라민 제인 | 샘 마테카네 | ||||
르완다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
[[사회민주당(르완다)| 사회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에두아르 응기렌테 (2차) | 압둘 하미드 드베이베 | 크리스티앙 은차이 | ||||
말리** | 모로코♔ | 모리셔스 | ||||
[[무소속| 무소속 ]]
|
[[독립국민연합| 독립국민연합 ]]
|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모리셔스 사회주의 운동 ]]
|
||||
쇼겔 코칼라 마이가 (임시) | 아지즈 아칸누시 | 프래빈드 주그노트 (2차) | ||||
모리타니 | 모잠비크* | 부룬디* | ||||
[[공정당| 공정당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민주방위국민회의-민주방위군 ]]
|
||||
모하메드 울드 빌랄 | 아드리아누 말레이안 | 제르베 은디라코부차 | ||||
부르키나파소**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상투메 프린시페 | ||||
[[무소속| 무소속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
아폴리네르 조아킴 키엘렘 드탐벨라 (임시) | 보우치라야 함무디 비요운 | 파트리스 에메리 트루부아다 (2차) | ||||
세네갈* | 소말리아 | 수단 공화국** | ||||
[[무소속| 무소속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우스만 송코 | 함자 압디 바레 | 오스만 후세인 (권한대행) |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에스와티니♔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데이비드 모이니나 셍게 | 나디르 라르바우이 | 러셀 들라미니 (왕족) |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이집트** | ||||
[[번영당| 번영당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비 아머드 | 로비나 나반자 | 무스타파 아드불리 | ||||
적도 기니*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 지부티* | ||||
[[적도 기니 민주당| 적도 기니 민주당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
마누엘라 로카 보테이 | 펠릭스 몰루아 | 압둘카데르 카밀 모하메드 (3차) |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개혁당(차드)| 개혁당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민주운동(카보베르데)| 민주운동 ]]
|
||||
알라마예 할리나 | 조셉 응구테 (2차) | 울리스스 코헤이아 이 시우바 (2차) | ||||
코트디부아르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
[[공화연합| 공화연합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콩고의 미래| 콩고의 미래 ]]
|
||||
로베르 뵈그레 맘베 | 아나톨 콜리넷 마코소 (2차) | 주디스 툴루카 수민와 | ||||
탄자니아* | 토고 | 튀니지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카심 마잘리와 | 빅투아르 토메가 도그베 | 아메드 하차니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사실상 전제군주국인 입헌군주국 |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사모아 | ||||
[[뉴질랜드 국민당| 국민당 ]]
|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변화를 위한 재통일 운동 ]]
|
[[사모아 연합 내 믿음| 사모아 연합 내 믿음 ]]
|
||||
크리스토퍼 럭슨 | 샬롯 살와이 (2차) | 피아메 나오미 마타아파 | ||||
솔로몬 제도 | 통가♔ | 투발루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제러마이아 머넬레 | 시아오시 소발레니 | 펠레티 테오 | ||||
파푸아뉴기니 | 피지 | 호주 | ||||
[[팡구당| 팡구당 ]]
|
[[인민동맹| 인민동맹 ]]
|
[[호주 노동당| 호주 노동당 ]]
|
||||
제임스 마라페 | 시티베니 람부카 (2차) | 앤서니 앨버니지 | }}}}}}}}} | |||
재위 중인 군주 · 재임 중인 대통령 및 총통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
[1]
사실혼 관계였던 전 남자친구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2]
2006년에 본인이 언급한 적이 있다.
[3]
15대, 16대, 17대, 18대, 19대.
[4]
친미 성향이다.
친EU라는 관점도 있으나 연성적인
유럽회의주의로 보기도 한다. 다만 집권 이전에는 지금보다 훨씬 유럽회의주의자로 비춰졌었다.
[5]
다만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로 러시아의 침략을 비난하는 등 행보도 보인다.
[6]
동성 부부의 자녀 친권을 박탈. 아이를 키운지 수년이 지난 경우에도 해당.
[7]
해당 정당은
국가 파시스트당의 직계 후신으로,
이탈리아의 형제들의 삼색기 불꽃 로고 역시 이 MSI당로고에서 따왔다.
[8]
(1996년 발언) “나는 무솔리니가 좋은 정치인이라고 믿는다. 그가 행한 모든 일은 이탈리아를 위한 것이었다. 우리는 지난 50년 동안 그와 같은 정치인을 보지 못했다”라고 한 적이 있다. 이탈리아어가 아니라 프랑스어로 한 인터뷰 영상이다. 멜로니는 모국어인 이탈리아어 외에도 프랑스어, 스페인어, 영어에 유창하다.
[9]
이 정의에 따르면 거의 모든 극우에 대한
엄밀치 못한 욕설로 쓸 수 있다.
[10]
이 정의에 따르면
나치즘도 오리지널과 다른 형태를 보아기에 파시즘이 아니며, 사실상 오리지널인
이탈리아 파시즘에만 한정된다.
[11]
정작 본인도 결혼한 적 없는 미혼모여서 조르자와 비슷한
사회보수주의,
제3의 위치주의자들도 썩 달가워하진 않는다.
[12]
밈에는 미등장.
[13]
모네스킨이 LGBTQ+를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밴드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다미아노 뿐만 아니라 모든 멤버들도 조르자 멜로니에 대해 부정적일것이다. 실제로 멤버들 중 베이시스트 빅토리아만 해도 양성애자이며 드러머 에단 또한 sexually free로 성소수자다.
[14]
그러나 이탈리아는 튀르키예와는 다르게 어느정도 민주주의가 안착되는 나라이기 때문에 아직은 섣불이 판단할 수 없다. 게다가 이탈리아는 유럽 연합 회원국가 즉, 민주주의를 후퇴시킬 시 강제로 퇴출당하는 것 기본이고, 유럽에서 고립되어 이탈리아를 후진국로 전락시키고 본인은 이 일로 무솔리니의 길을 걸을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안할 가능성도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