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09:44:33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관련 틀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 펼치기 · 접기 ]
----

[[영국|
파일:영국 국기.svg
]] 영국-아일랜드 관계 관련 문서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역사
영국(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왕국, 아일랜드 공화국, 아일랜드 자유국)
정치
영국, 북아일랜드, 아일랜드, 아일랜드 통일
외교
영국-아일랜드 관계,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아일랜드-스코틀랜드 관계
북아일랜드
정치성향·정체성 연합주의( 민주연합당, 얼스터 연합당), 민족주의( 사회민주노동당, 신 페인)
기타( 녹색당, 북아일랜드 동맹당, 반긴축동맹-이윤 이전에 인민)
주요 사건
아일랜드 대기근, 북아일랜드 분쟁, 벨파스트 협정, 브렉시트, 북아일랜드 의정서, 윈저 프레임워크, UEFA 유로 2028
아일랜드 독립운동
관련 인물 마이클 콜린스, 로저 케이스먼트, 에이먼 데 벌레라
관련 사건 영국의 자치권 이양, 부활절 봉기, 아일랜드 독립 전쟁, 아일랜드 내전
북아일랜드 분쟁
피의 일요일 사건, 아일랜드 단식투쟁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파일:중국 원형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잉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
서아시아 · 북아프리카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공화국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아프리카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파일:감비아 국기.svg
감비아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시에라리온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
파일:카메룬 국기.svg
카메룬
파일:암바조니아 국기.svg
암바조니아
파일:나미비아 국기.svg
나미비아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파일:에스와티니 국기.svg
에스와티니
파일:레소토 국기.svg
레소토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아메리카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벨리즈 국기.svg
벨리즈
파일:자메이카 국기.svg
자메이카
파일:그레나다 국기.svg
그레나다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파일:세인트키츠 네비스 국기.svg
세인트키츠 네비스
파일:바하마 국기.svg
바하마
파일:앤티가 바부다 국기.svg
앤티가 바부다
파일:바베이도스 국기.svg
바베이도스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가이아나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파일:통가 국기.svg
통가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바누아투
파일:투발루 국기.svg
투발루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영프독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CANZUK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미국·캐나다·영국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국·영국·프랑스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파일:지브롤터 기.svg
영국·스페인·지브롤터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파이브 아이즈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미영일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UN기.svg
키프로스 5+1 회담
과거의 대외관계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영국-러시아 제국 관계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영국-나치 독일 관계
파일:독일 국기.svg
영국-바이마르 공화국 관계
파일:영국 국장.svg Foreign Relations of U.K 파일:영국 국장(스코틀랜드).svg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국 대만 국기.svg
중화권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유럽|{{{#fff,#191919 유럽}}}]]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
파일:영국 원형.pn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
다자관계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f8832> 상징 국호 · 국기 ·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아일랜드 자유국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총리 · 의회( 하원 · 상원)
외교 외교 전반 · 아일랜드 여권 · 유럽연합 ·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
경제 경제 전반 · 아일랜드 파운드(폐지) · 유로
국방 아일랜드군
사회 Leaving Cert · 대학 · 기타 교육 및 유학 관련 문서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세인트 패트릭 데이 · 게일릭 풋볼 · 아일랜드 럭비 유니언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축구 국가대표팀 · 아일랜드 크리켓 대표팀 · 아일랜드 영어 · 아일랜드어 · 아일랜드의 포크 음악 · 켈트족의 축제 · 아일랜드 신화 · 아일랜드/관광
치안·사법 평화수호대
지리 아일랜드섬 · 토리섬 · 렌스터 · 얼스터 · 먼스터 · 코노트
기타 아일랜드인 · 아일랜드/인구 · 아일랜드계 미국인 · 아일랜드계 영국인 · 아일랜드계 러시아인 · 아일랜드계 칠레인 · 아일랜드계 캐나다인 · 아일랜드계 아르헨티나인 · 아일랜드계 멕시코인 · 아일랜드계 호주인 · 아일랜드계 독일인 · 아일랜드계 프랑스인
}}}}}}}}} ||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영국 아일랜드 북아일랜드
1. 개요2. 역사
2.1. 고대~중세2.2. 아일랜드 독립 이후2.3. 북아일랜드 분쟁2.4. 현대
3. 관련 문서

1. 개요

영국, 아일랜드, 북아일랜드의 관계를 정리한 문서.

2. 역사

2.1. 고대~중세

북아일랜드는 영국 본토인 그레이트브리튼 섬과 , 그레이트 브리튼 섬 북부인 스코틀랜드에 무척 가까워서 예로부터 인적 교류가 있었다. 고대에 아일랜드가 팽창했을 때는 아일랜드인들이 여기를 통해 스코틀랜드로 건너가 정착하기도 했는데 후대에 잉글랜드가 팽창해 아일랜드가 복속되자 개신교인들이 대거 이주해 이 지역에 정착했다.[1] 아일랜드인들은 여전히 가톨릭을 믿고 있었고 개신교도들이 가톨릭교도들을 박해하면서 분쟁이 일어났다.

2.2. 아일랜드 독립 이후

20세기 들어 아일랜드는 투쟁 끝에 독립을 쟁취했으나 개신교도 수가 가톨릭교도보다 많은 이 지역은 개신교도를 중심으로 영국에 잔류하기를 원해 반독립 운동을 벌였던 곳이었다. 아일랜드의 독립 운동을 주도한 세력들도 북아일랜드 문제로 분열되어 1922년 아일랜드 내전이 일어났고 결국 북아일랜드를 제외한 나머지 지역을 국토로 아일랜드 자유국이 수립된다. 신생 독립국의 안정을 원한 아일랜드 정부에 의해 북아일랜드는 버려졌고 이후 북아일랜드는 끝없는 분쟁이 일어났다.

북아일랜드 IRA는 아일랜드를 배신자로 지칭하고 분노를 토했지만 영국-아일랜드 전쟁을 우려한 아일랜드 정부는 묵살했다. 허나 아일랜드 민족주의자들은 개개인별로 암암리에 IRA를 돕거나 우호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했다.

2.3. 북아일랜드 분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북아일랜드 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72년 피의 일요일 사건을 터트리는 등 30년 동안 IRA 분쟁 이후 철수했다. 공식적으로는 보그사이드 전투라 불리는 데리/런던데리[2]에서 일어난 1969년의 대대적인 시위 이후 1998년 굿 프라이데이 협정으로 분쟁에 관련된 대부분의 무장 단체가 종전 선언을 했을 때까지의 기간을 북아일랜드 분쟁 혹은 영어로는 The Troubles라고 부른다.

2.4. 현대

1972년부터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는 별도의 국경 검문 없이 자유통행을 하고 있다. 실제로, 국경지는 국경이 무색할 정도로 일원화된 사회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2019년 브렉시트로 인해 EU 회원국으로 남는 아일랜드와 EU를 탈퇴하는 북아일랜드 사이에 국경과 검문소가 생겨야 하는 이른바 '아이리시 백스톱' 문제가 발생했다. 이는 양국간의 관계가 벨파스트 협정 이전으로 돌아가는 일이 될 수 있으므로 긴장도가 높아졌었다. 2019년 4월 데리에서 IRA계가 주도한 시위를 취재하던 벨파스트 출신 기자가 총격을 받아 사망하는 등의 일이 일어나 영국 정부에서도 초긴장 상태였다.

2017년 총선 이후 3년 가까이 내각 출범을 못하자 아일랜드와 영국이 공동으로 나섰다. # 그리고 북아일랜드 내에서 수용하면서 다시 자치수반을 뽑는다. #

결국, 2020년 말 영국의 브렉시트는 EU 탈퇴 협정에 ‘ 북아일랜드 협약(Northern Ireland Protocol)’을 포함시켜 북아일랜드는 EU 단일시장에 계속 남게 되었고, 오히려 영국 본토 브리튼 섬과 북아일랜드 간의 무역장벽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브렉시트 이후 영국-아일랜드-북아일랜드 관계는 상당히 미묘하게 재정립되었다. 유럽연합에 속한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 시장은 사실상 하나로 통합된 반면, 북아일랜드와 EU를 탈퇴한 영국 본토와는 무역 장벽이 세워져 있어서 사실상 EU 가입국가인 아일랜드와 하나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로 영국 본토와는 단절된 상황이다. 근데 여기서 영국이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를 아예 단절시켜버리는 식으로 나오면 반대로 북아일랜드의 친아일랜드 지지 세력이 반발하게 되어 있어서 영국은 어쩔수 없이 북아일랜드만을 EU와 연계시킨 상황인 것, 이는 벨파스트 협정 이후 북아일랜드 정세를 안정시키기 위한 영국의 고육지책인 셈이다. 일단 영국 정부는 영국 본토와 북아일랜드간의 상품의 통관 간소를 대책으로 내세웠지만 1920년대 이래로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가 유례없이 가까워진 이 상황에서 친영 연합주의자(영국 잔류를 주장하는 신교도들)의 반발은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급진 연합주의자들은 북아일랜드 자치정부에 참여하는 것 역시 거부하고 있다.

반면 친아일랜드계인 북아일랜드 가톨릭 쪽에서는 내심 영국과는 거리가 멀어지고 아일랜드와 밀접하게 연결된 지금의 현 상황을 '아따~기분 좋다.하하하, 호호'하며 즐기는 중이다. 점점 수가 줄어들어 전체 주민의 30% 정도로 비율이 내려간 신교도들과 달리 북아일랜드 가톨릭 교도들은 전체 인구의 40%를 상회하며 오히려 비율이 늘어나는 중인데, 이렇게 구교-신교 비율이 역전된 상황에서 아일랜드와 북아일랜드가 지금처럼 더욱 가까워지면 벨파스트 협정에 따라 주민투표를 실시할 시 아일랜드 통일이라는 오랜 아일랜드 민족의 염원도 가능하지 않을까 보기 때문이다. # 물론 북아일랜드 가톨릭교도들도 무조건 통일 아일랜드를 원하는 이들만 있는 것은 아니고, 현상 유지를 원하는 이들이 많은 터라 현재까지는 여전히 북아일랜드의 영국 잔류 지지율이 더 높은 편이다.[3] 가장 최근(2022년 12월)에 조사된 설문조사에 따르면 북아일랜드에서 아일랜드 통일 지지는 35%, 영국 잔류는 47%의 지지율을 보였을 정도이다. #

그나마 늦게나마 영국 잔류 측의 기회가 생긴 것이, 브렉시트를 강하게 주장하던 보리스 존슨 리시 수낙이 총선에서 참패하여 총리 직에서 물러나고 노동당의 키어 스타머가 집권하면서 EU와 본격적인 화해 구도를 잡았다는 것이다. 아예 "미국과 유럽, 둘 중 하나만 선택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기까지 했다. 거기다 왕실 입장에서도 아무리 노동당 소속이지만 왕실 폐지를 주장하지 않는 총리이니 나쁠 것이 없는 상태라 현 시점에서 어떻게 북아일랜드의 민심을 돌리느냐가 관건이 될 것이다.

3. 관련 문서



[1] 그 중에서는 잉글랜드인으로 동화된 아일랜드 출신이나, 개신교도인 아일랜드 출신도 있었다. [2] 아일랜드의 가톨릭 주민들은 데리(Derry), 북아일랜드의 개신교 주민들과 친영 세력들은 런던데리(Londonderry)라고 부른다. [3] 거기다 아일랜드 통일에 가장 적극적인 신 페인 또한 이미지를 쇄신하고 거대 정당으로 자리매김한 게 아일랜드 내셔널리즘, 아일랜드 통일에 무관심한 청년 진보층을 집중겨냥해서 이뤄진 거라 이들이 북아일랜드의 영국 잔류를 지지하지 않는다 해도 북아일랜드의 아일랜드 편입(아일랜드 통일)에도 적극적이지 않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83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8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