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4 17:23:38

제국대학

구 제국대학에서 넘어옴

제국대학
[ruby(帝国大学, ruby=ていこくだいがく)] | Imperial University
파일:제국대학.svg
일본 본토에 위치한 구 제국대학의 휘장

1. 개요2. 일람3. 역사
3.1. 설립3.2. 개편
4. 위상5. 상호 관계
5.1. 동문회5.2. 정기전
6.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련7. 기타 기록
7.1. 여담

[clearfix]

1. 개요

제국대학령(帝國大學令)
제1조: 제국대학은 국가의 필요에 응한 학술 기예를 가르치고 또한 그 학문의 심오한 경지를 연구함을 목적으로 한다.[원문]
칙령 제3호, 1886년( 메이지 19년) 3월 1일 공포
제국대학(帝國大學)은 일본 제국이 제국대학령[2]에 의거하여 설립한 9곳[3] 국립대학이다. 일본 제국이 설립한 종합대학은 이 제국대학들뿐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제국대학령이 국립종합대학령으로 대체되면서 제도적으로 제국대학은 폐지되었지만 현재 일본 본토에 있는 7곳 제국대학들의 후신은 구제국대학(旧帝国大学)으로 지칭되고 있다. 약칭은 구제대([ruby(旧帝大, ruby=きゅうていだい)]), 혹은 칠제대([ruby(七帝大, ruby=ななていだい)]). 19세기 이토 히로부미가 근대국가 일본 제국에 봉사할 소수 정예를 양성하기 위해 독일을 답사한 후 이를 참고하여 ‘제국대학’을 건립한 것이 유래이다.[4]

일본 제국 시기의 소학교(6년)- 구제중학교(5년)[5]- 구제고등학교(3년)[6] 도합 14년에 걸친 입시 경쟁에서 승리한 학생들만이 가는 학교였으며 오늘날 제국대학의 후신들도 마찬가지다. 당시에는 오직 제국대학들만이 학사[7] 박사[8] 학위[9]를 취득할 수 있던 곳이었다. 일본 정부 문부과학성 제국대학의 발족

2. 일람

파일:imperialuniversitiesofjapan.png
9제국대학

3. 역사

3.1. 설립

제국대학의 기원은 1877년 세워진 구 도쿄대학[16]이다. 일본 제국은 1886년 3월 1일 제국대학령( 메이지 19년 칙령 제3호)을 제정 공포하고 4월 1일 시행하여, 이 구 도쿄대학을 모체로 하는 최고학부인 제국대학[17] 도쿄시에 설립했다. 1897년에는 도쿄제국대학으로 개칭되었다.[18]
• 제1차 제국대학령 [ 펼쳐 보기 / 접기 ]
>제1조: 제국대학은 국가의 수요에 부응해 학술기예를 교수하고 그 온오[19]를 공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제국대학은 대학원과 분과대학으로 구성하며, 대학원에서 학술기예의 온오를 공구하고 분과대학은 학술기예의 이치와 응용을 교수한다.
제3조: 분과대학 학과 졸업시 규정된 시험을 통과하면 졸업증서를 수여한다.
제4조: 분과대학을 졸업한 자나 동등한 학력을 가진 것으로 인정되는 자는 대학원에 입학하여 온오를 공구하고 규정된 시험을 통과하면 학위를 수여할 수 있다.
제5조: 제국대학의 직원을 다음과 같이 둔다.
- 총장(칙임관)
- 평의관
- 서기관(주임관)
- 서기(판임관)
제6조: 제국대학 총장은 문부대신의 명을 받아 제국대학을 총할하며 그 직무 요령은 다음과 같다.
- (1) 제국대학의 질서를 보지하는 일
- (2) 제국대학의 상황을 감시하고, 개량의 필요가 있다고 판단할 때 문부대신에게 방안을 제출하는 일
- (3) 평의회 의장으로 의사를 정리하고 의사의 전말을 문부대신에게 보고하는 일
- (4) 법과대학장의 직무에 해당하는 일
제7조: 평의회는 편의에 따라 제국대학이나 문부성에서 열리며 평의회는 다음 사항에 관해 논의한다.
- (1) 학과과정에 관한 사항
- (2) 대학원과 분과대학의 이해에 관련된 사항
제8조: 평의관은 문부대신이 각분과대학 교수 중 두명씩을 특별히 선정한다.
제9조: 평의관의 임기는 5년으로 하며 임기가 만료된 후 시의에 따라 근속을 명받을 수 있다.
제10조: 분과대학은 법과대학•의과대학•공과대학•문과대학•이과대학으로 하며 법과대학은 법률학과•정치학과의 두 부분으로 한다.[20]
제11조: 각분과대학의 직원을 다음과 같이 둔다.
- 장(주임관)
- 교두(주임관)
- 교수(주임관)
- 조교수(주임관)
- 사감(주임관)
- 서기(판임관)
제12조: 각분과대학장은 교수 중에서 특별히 선정해 겸임하고 분과대학장은 제국대학 총장이 명령한 범위내에서 주관 분과대학의 사무를 처리한다.
제13조: 각분과대학 교두는 교수 중에서 특별히 선정해 겸임하고 교수와 조교수의 사무를 감독하며 교실의 질서를 보지한다.
제14조: 각분과대학 교수와 조교수의 정원은 그 학과의 경중과 학생의 숫자에 따라 문부대신이 정한다.
메이지 19년 3월 2일 칙령 제3호 제국대학령
파일:2fdda3cc7cd98d10db13ab6b2f3fb80e7aec90a1.jpeg.jpg 파일:37d12f2eb9389b501dc2f10a8b35e5dde7116eac.jpeg.jpg
일본 제국은 제1차 제국대학령에 따라 도쿄제국대학(당시 명칭 제국대학)을 설립한 1886년 당시만 하더라도 제국대학을 추가로 설립할 계획이 없었으나, 청일전쟁 승전 후 전쟁 배상금을 활용해 제3고등학교를 기반으로 1897년에 교토제국대학[21]을 설립했으며 러일전쟁 후 후루카와 재벌의 기부금을 등을 활용하여 1907년에 도호쿠제국대학[22], 1911년에 규슈제국대학[23], 1918년에 홋카이도제국대학[24]을 설립하게 된다.

1918년 12월 6일 공포된 대학령 제정과 고등학교령의 개정에 발맞추어, 기존의 제1차 제국대학령을 전부개정하는 형태로 제2차 제국대학령[25](1919년 4월 1일 시행)이 1919년 2월 6일에 공포되었다.
• 제2차 제국대학령 [ 펼쳐 보기 / 접기 ]
>제1조: 제국대학은 수 개의 학부를 종합해 구성한다.
제2조: 각제국대학에 설치할 학부는 별도의 칙령으로 정한다.
제3조: 제국대학에 대학원을 둔다.
제4조: 제국대학 관제에 총장·학부장·교수·조교수 기타 필요한 직원을 설치한다. 필요한 경우 제국대학 총장이 강사를 촉탁할 수 있다.
제5조: 제국대학에 평의회를 두고 각학부장과 각학부 교수 2인 이내로 조직한다. 제국대학 총장은 평의회를 소집하고 의장이 된다.
제6조: 교수로서 평의원이 되는 자는 각학부마다 2명의 교수를 호선하여 문부대신이 임명하며, 전항 평의원의 임기를 3년으로 한다.
제7조: 1. 평의회는 다음의 사항을 심의한다.
- (1) 학부에서 학과의 설치 및 폐지
- (2) 강좌의 설치 및 폐지에 관하여 자문한 사항
- (3) 대학 내부의 규정
- (4) 기타 문부대신이나 제국대학 총장이 자문한 사항
2. 평의회는 고등교육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 문부대신에게 건의할 수 있다.
제8조: 학부에 교수회를 두고 교수들로 조직한다. 학부장은 교수회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제9조: 교수회는 다음의 사항을 심의한다.
- (1) 학부의 학과에 관한 사항
- (2) 학생의 시험에 관한 사항
- (3) 기타 문부대신이나 제국대학 총장이 자문한 사항
제10조: 학부장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조교수나 촉탁 강사를 교수회에 참석시킬 수 있다.
제11조: 학부강좌를 둔다. 강좌는 교수를 담임으로 삼는데, 교수가 없거나 기타 특별한 사정의 경우에는 조교수나 촉탁 강사를 담임으로 할 수 있다.
제12조: 강좌의 종류와 그 수는 별도의 칙령으로 정한다.
제13조: 제국대학은 공로가 있고 학술상 업적이 있는 자에게 (천황의)칙지에 의해 명예교수의 명칭을 더할 수 있다.
다이쇼 8년 2월 6일 칙령 제12호 제국대학령
개정된 제국대학령에 의거해 1924년 조선에 경성제국대학[26], 1928년 대만에 다이호쿠제국대학[27]이 각각 설립되었으며 이와 함께 문과 계열 학부 설치가 예정에 없었던 도호쿠제국대학과 규슈제국대학에도 법문학부를 설치했다.

1931년에는 오사카제국대학[28], 1939년에는 나고야제국대학[29]을 설립함으로서 최종적인 9개의 제국대학 체제가 완성된다. 한편 1931년 만주사변과 1937년 중일전쟁 개전에 따라 공학 수요가 높아짐에 따라 도쿄제국대학에는 군수 공업을 담당한 제2공학부를 설치하고[30] 각 제국대학에는 공학부를 증설했으며 전쟁으로 인해 군의관 수요가 폭증하자 각지에 의학전문학교를 늘려감과 동시에 각 제국대학에는 임시의학 전문부를 설치했다.

3.2. 개편

파일:1608144821487.jpg
파일:제국대학 후신 위치 수정.png
제국대학 9개교와 후신학교
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이 무조건 항복한 후 GHQ에 의해 미군정이 실시되고 있던 일본에서는 1947년 9월 30일 쇼와 22년 정령 제204호로 국립종합대학령( 본문)이 공포되어 기존의 제국대학령의 명칭을 개정하였고 제국대학령 조문의 '제국대학'이 '국립종합대학'으로 변경됐다.[31] 따라서 일본 본토의 제국대학들은 교명에서 제국이 빠진 '국립종합대학'이 된다.
• 국립종합대학령 [ 펼쳐 보기 / 접기 ]
>제1조: 국립종합대학은 수 개의 학부를 종합해 구성한다.
제2조: 각 국립종합대학에 설치할 학부는 별도의 칙령으로 정한다.
제3조: 국립종합대학에 대학원을 둔다.
제4조: (1) 국립종합대학에는 관제에서 정한 바에 따라 총장·학부장·교수·조교수·기타 필요한 직원을 둔다. (2) 필요한 경우 국립종합대학 총장은 강사를 촉탁할 수 있다.
제5조: (1) 국립종합대학에 평의회를 두고 각 학부장과 각 학부 교수 2인 이내로 조직한다. (2) 국립종합대학 총장은 평의회를 소집하고 의장이 된다.
제6조: (1) 교수로서 평의원이 되는 자는 각 학부마다 2명의 교수를 호선하여 문부대신이 임명한다. (2) 전항 평의원의 임기를 3년으로 한다.
제7조: 1. 평의회는 다음의 사항을 심의한다.
- (1) 학부에서 학과의 설치 및 폐지
- (2) 강좌의 설치 및 폐지에 관하여 자문한 사항
- (3) 대학 내부의 규정
- (4) 기타 문부대신이나 국립종합대학 총장이 자문한 사항
2. 평의회는 고등교육에 관련된 사항에 대해 문부대신에게 건의할 수 있다.
제8조: 학부에 교수회를 두고 교수들로 조직한다. 학부장은 교수회를 소집하고 그 의장이 된다.
제9조: 교수회는 다음의 사항을 심의한다.
- (1) 학부의 학과과정에 관한 사항
- (2) 학생의 시험에 관한 사항
- (3) 기타 문부대신 또는 국립종합대학 총장이 자문한 사항
제10조: 학부장은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에 조교수나 촉탁 강사를 교수회에 참석시킬 수 있다.
제11조: (1) 학부에 강좌를 둔다. (2) 강좌는 교수를 담임으로 하며, 교수가 없거나 기타 특별한 사정의 경우에는 조교수나 촉탁 강사를 담임으로 할 수 있다.
제12조: 강좌의 종류와 그 수는 별도의 칙령으로 정한다.

부칙 : 본령은 다이쇼 8년 4월 1일부 시행한다.
부칙( 쇼와 21년 칙령 제353호 초) : (1) 본 칙령은 공포일부 시행한다. (7) 본 칙령을 시행할 당시 국립종합대학, 고등사범학교 또는 기타 문부성 직할제학교의 명예교수 명칭을 가진 자는 각자 이 칙령에 따라 명예교수의 명칭을 부여받은 것으로 간주된다.
쇼와 22년 정령 제204호

이어 통합학부들이 단일학부로[32] 분리되었으며 미군정의 ' 고등교육기관 일원화' 방침에 따라 1948~1949년에 걸쳐 각 지방( 도도부현)에 있던 구제고등교육기관 구제고등학교[33], 구제전문학교[34], 고등사범학교[35], 여자고등사범학교[36], 사범학교(1943년 이후)[37], 청년사범학교[38]들을 흡수하여 신제대학[39]으로 개편되었다. 1949년 5월 31일 국립학교설치법( 쇼와 24년 법률 제150호)이 공포·시행되면서 국립종합대학령이 폐지되고 제국대학을 비롯한 구제대학의 개편 작업이 일단락되었다.
외지에 위치한 2개의 제국대학인 조선 경성제국대학 대만 대북제국대학은 일본령이 아니게 되면서 보다 큰 변화를 거치는데 경성제대는 1945년 9월 미군정청에, 대북제대는 1945년 11월 중화민국 정부에 접수되어 경성대학 국립타이완대학으로 교명을 바꾸고 예과 및 부속 전문부를 폐지하여 학부에 흡수시킴과 동시에 인근에 위치한 구제전문학교들을 흡수통합하면서 미국식의 신제대학 체제로 개편되었다.

4. 위상

파일:THE_Japan_university_rankings_2022_top10.jpg
영국 타임즈고등교육(THE) 일본대학순위
파일:admission imperial univ.png
동 세대 1.6%만이 구제국대학에 진학
ARWU, THE 세계 대학 랭킹, QS 세계 대학 랭킹이나 자연과학계 연구성과를 나타내는 네이처 인덱스 등을 살펴보면 일본내 800여개 대학 중 1위부터 8위까지는 구제국대학이 차지한다.

이러한 실적은 일본제국 시절의 고등문관시험을 보아도 알 수 있는데, 전쟁 격화로 중단되기 전 마지막이었던 1943년까지의 일본 제국 고등문관시험 행정과 합격 실적을 보면, 도쿄제대와 교토제대가 선두를 달리는 한편, 유일한 문과계열 학부인 문정학부[45]를 통틀어 한 학년이 10~20명 수준에[46] 법학과는 존재하지 않았던 대북제대에서도 합격자가 있었고, 심지어는 아예 문과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던 홋카이도제대에서도 합격자가 있었다.[47][48] 합격률로 따지면 문과가 없던 제국대학들도 모든 사립대학보다 높은 수치를 보인다. 또한 사립학교들이 50년 동안 누적된 수치인 데 반해서, 도호쿠제대(1926년 법문학부 1회 졸업), 규슈제대(1928년 법문학부 1회 졸업), 경성제대(1929년 법문학부 1회 졸업)는 15년 정도 동안의 합격자에 불과한 수치인데다[49], 사립대에 비해 학부의 규모 자체가 상당히 작았는데도[50] 상당수의 합격자를 배출하였다.

예산의 경우도 타 대학보다 우대를 받고 있는데, 실제로 국가나 지자체에서 학생 한 명에게 쏟아붇는 공재정지출을 참고해 보아도 국립대학은 231만 엔, 사립대학은 18만 엔으로 약 13배의 차이가 난다. 출처 게다가 현재 일본 정부는 일본의 저출산, 고령화와 국채발급과 이자지급에 쓰이는 예산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그나마 줄일 수 있는 연구비를 줄이고 있다.[51] 그래서 결국에 제대로 된 학문의 연구·공부를 하려는 사람은 연구중심대학인 구제국대학에 몰릴 수밖에 없다. 실제로도, 일본은 최근 2000년대에 들어서 2021년까지 과학 분야 노벨상 수상자를 20명 배출하며 대략 1년에 1명 꼴로 수상하였으나[52] 그 수상자들은 모두 국립대학 출신이었고, 최종학력은 대부분이 구제국대학이었다.

5. 상호 관계

파일:도쿄대학 교표_White.svg 파일:교토대학 교표_White.svg 파일:도호쿠대학 교표_White.svg 파일:규슈대학 교표_White.svg 파일:홋카이도대학 교표_White.svg 파일:snuui.png 파일:taiwannatiuniv.png 파일:오사카대학 교표_White.svg 파일:나고야대학 교표_White.svg
일본 국립대학의 최고 직위(한국의 총장)는 법적으로 학장(学長)이라고 부르도록 규정되어 있지만[53], 구제국대학만은 특별히 총장(総長)이라고 일관되게 부르고 있다. 그 이유는 당시 1947년까지만 해도 국공립대학, 관립대학 중에서 종합대학이라곤 제국대학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타 국공립대학과 다르게 제국대학들이 대학 최고 직위를 학장이 아닌 총장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은 이에 대한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사례이다. #

서울대학교의 경우에도 이런 자부심을 엿볼 수 있는 사례가 있다. 해방 후 당시에는, 사범대학은 '사범대학신문', 농과대학은 '농대신문' 등, 자신의 단과대학 소속을 이름에 넣어서 단과대학 별로 따로 기관지를 발행했다. 하지만, 1947년 7월 1일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학생회 문화부에서 창간한 학보의 제호는 그냥 '대학신문'이었다.[54] 유독 문리과대학이 '대학신문'이라 한 이유는, 구제전문학교 구제중학교와 통합된 다른 단과대학들(법대, 공대 등)과는 달리, 문리과대학은 온전히 일제시대 유일한 대학이었던 경성제국대학의 문학부와 이학부만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적통[55]에서 기인한 자부심이었던 것이다.[56]

이들은 지금도 끈끈한 결속력을 보유한다. 구제국대학 출신들의 동창회학사회가 존재함은 물론, 또한 구제국대학들이 매년 모여 전국7대학종합체육대회라는 대학교 정기전을 개최한다. 이는 약 30~40종목의 경기를 치러 점수를 합산해 순위를 매기며, 각 대학들이 매년 돌아가면서 대회를 주관한다. 구제전 수학부문(旧帝戦数学部門)이라는 것도 있는데, 각 구제국대학들의 캠퍼스에 3문의 수학 문제가 게시되어 있는 상자를 설치, 그것을 가장 빨리 푸는 대학이 승리하는 대회로, 문제를 다 풀면 상자 안에 있는 전리품을 참가상으로서 얻을 수 있다. 우승자에게는 수학제전[57]에 참가 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다.

5.1. 동문회

[ruby(学士会, ruby=がくしかい)]
학사회
Gakusikai
파일:1557929133206.png
설립 1886년 7월
분류 일반사단법인
이사 사사키 다케시 (佐々木 毅)
대표 위치 도쿄도 치요다구 칸다니시키초
홈페이지 학사회 링크
학사회관 링크

구제국대학 출신자들의 종합적인 동문회 모임인 학사회(学士会)가 존재한다. 이름이 ' 학사'회인 이유는 당시 학위를 부여할 수 있는 교육기관은 원칙적으로 제국대학들에만 한정[62]되었기 때문이다. 지금도 여전히 학사회 규정 제 3장 6조의 1에는 경성제국대학 대북제국대학 출신자도 역시 회원자격이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63]

일본 학술연구기관들의 연합 동창회인 만큼, 다른 사립대 동창회처럼 단순히 인맥만들기 모임의 기능 뿐만이 아니라 학술 강연, 선학 방문, 연구 지원에도 크게 힘을 쏟고 있다. 특히 격월로 각 분야 최고의 교수 수십명을 초빙해 강연을 진행하고, 그 내용들을 엮어 학사회회보(學士會会報[64])로 발간하고 있다. 학사회회보는 1887년부터 지금까지 계속 발간 중이며, 그 외에도 학사회 아카이브, NU7, 메일 매거진 등을 발행하고 있다.

2005년부터는 전국7대학종합체육대회에도 협찬하고 있으며, 매년 한화 악 7천만원 정도의 협찬금을 지출하며 우승 대학에는 학사회 트로피를 증정하고 있다. #

학사회의 학사회관(学士会館) 건물은 1928년에 건설되었으며, 현재 유형문화재에 지정되어 있다. 내부에는 숙박시설, 레스토랑, 회의실, 연회장, 미용실, 사진관, 결혼식장 등의 시설이 있으며, 일반인들도 이용이 가능하다.

학사회 회원만 발급받을 수 있는 신용카드도 있다. 사진 참조. 다이너스 클럽 시티카드로 발급받을 수 있다.
[clearfix]

5.2. 정기전

파일:nanadaisenn.jpg
개회식의 모습[65]
파일:nanataisenn.jpg
야스다강당 앞에 모인 각 대학의 응원단[66]
파일:CIMG1700-Yuji-Higuchi.jpg
칠대전 글라이더 경기
홈페이지 링크

일본 본토 7개의 제국대학이 모여 매년 전국7대학종합체육대회(全国七大学総合体育大会)라는 대학교 정기전을 실시한다. 줄여서 칠대전(七大戦)으로 부르기도 하며, 2023년 기준 62회를 맞이했다.[67] 대회는 약 30~40종목의 경기를 치러 점수를 합산하여 순위가 매겨지며, 7개 대학이 매년 돌아가면서 대회를 주관하게 된다.[68] 종목은 일정하진 않지만, 주로 아래와 같은 항목을 두고 겨룬다. [clearfix]

6. 일제강점기 조선인 관련

{{{#!wiki style="margin: -1px -1px" <tablealign=center> 제국대학명 학생 수
도쿄제국대학 163 명
교토제국대학 236 명
도호쿠제국대학 106 명
규슈제국대학 162 명
홋카이도제국대학 62 명
오사카제국대학 34 명
나고야제국대학 21 명
총계 784 명

본토 제국대학의 조선인 유학생 수
}}} ||

모든 제국대학은 원칙적으로 구제고등학교를 졸업하거나 그 제국대학에 부속되어 있는 예과를 졸업해야 입학이 가능했다. 이 당시의 고등학교(구제)는 현재 대학 교양과정 레벨을 가르치는 고등교육기관으로, 독일계 학교인 김나지움 혹은 영국계 학교의 식스폼 과정에 가까운 양성 기관[70]이었다.

그런데 한반도에는 실업학교나 고등보통학교[71] 혹은 구제고등여학교 구제중학교[72]까지밖에 없었기 때문에 한반도에 예과를 갖추고 있는 경성제국대학 이외의 제국대학에 바로 진학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가지 못한 조선인 학생들은 보성전문학교(現 고려대학교)나 연희전문학교(現 연세대학교)와 같은 구제전문학교를 다녔고, 대학을 가고 싶다면 일본 본토의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과 같은 사립 구제대학[73]을 다녔다.[74]

본토의 제국대학에 입학하는 극소수의 조선인 학생들은 구제전문학교를 졸업한 다음 제국대학 본과에 바로 입학하는 과정을 밟거나[75], 일본 본토의 구제고등학교를 통해서 제국대학으로 진학하였다고 한다. 대다수가 조선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조선인에게 입학허가를 비교적 후하게 내주었던 마쓰야마(松山, 송산)고등학교(現 에히메대학)로 진학한 다음 제국대학으로 진학하였다고 한다.

구제고등학교와 제국대학 테크를 밟은 사람들의 예시로는 다음과 같다. 그 외의 출신자는 구제고등학교 항목 참조.
1924년 조선에서도 경성제국대학이 설립되었고, 1930년대에 이르러서 경성제국대학 졸업생들이 조선 식민지 사회에서 두각을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그럼에도 일본 본토의 제국대학으로 진학하려 하는 유학생은 계속 증가하였다. 우선 일본 본토 제국대학이 교육, 설비의 질적인 수준이 높았으며, 본토 제국대학 출신들이 더 대접받기도 했다. 경성제국대학은 또한 법문학부, 의학부만 존재하였고, 1941년이 되어서야 이공학부가 추가되는 등, 배우거나 연구할 수 있는 분야도 한정되어 있었다.[77] 두 번째 이유로 관료주의 사회였던 일본에서 기반을 얻기 위해서이다. 일본 제국대학을 졸업함으로서 이를 얻어내하고자 하는 열망이 강했다. 마지막으로 식민지로서의 억압으로 인한 이유이다. 조좌호[78], 김사량, 송을수[79] 등의 조선인 유학생들도 항일운동 활동으로 인해 조선에서 대학 진학이 어려워졌고, 이로 인해 일본 유학을 떠났다. #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재학하던 중에 학병으로 끌려간 신상초도 회고록 <탈출>에서 이와 관련한 에피소드를 소개하고 있다. 고등학교에 입학하려고 현해탄을 건너는 도항증을 요청하러 갔을 때, 일본인 경찰관들은 불손하다는 이유로 소년 신상초를 욕하고 때렸다. 몇 년 후 신상초가 도쿄제국대학 법학부에 입학하고 귀향하자 이번에는 그 경찰관들이 “환심을 사느라고 오히려 아첨” 하기에 바빴다.
- 정종현 저, 제국대학의 조센징 -대한민국 엘리트의 기원, 그들은 돌아와서 무엇을 하였나?-, 휴머니스트, 2019년 출판 中.

당시 조선인 출신으로 제국대학 교수까지 한 케이스도 있었다.[80]
구제고등학교는 전부 남고라 실질적으로 제국대학의 대부분은 남학생이었으나 조선인 출신의 제국대학 여학생도 있었다. 이회창 자유선진당 대표위원 및 대통령 후보의 막내이모이자 대한민국 최초의 여성 과학자 김삼순이 그러한데 김삼순은 도쿄여자고등사범학교(現 오차노미즈여자대학)[86]를 졸업한 다음 홋카이도제국대학에서 이학부를 졸업하였다. #

일제강점기 평양 숭실전문학교 교수와 광복 후 김일성종합대학 초대 의학부장을 지낸 정두현은 무려 3곳의 제국대학을 졸업했다. 기사 링크 도쿄제대에서 '농학'을, 도호쿠제대에서는 '이학'을, 대북제대에서는 '의학'을 공부했다. 다만 도쿄제대의 '농과대학 실과'는 이후 농학부가 되는 농과대학 본과가 아니라, 부속 전문부 과정이었므로 정식 학사 학위로 인정되진 않았다.[87]

대한민국의 여러 대학의 초창기 총장 중에도 제국대학 출신이 많다. 예를 들어 김두헌은 대구고보, 도쿄제국대학을 졸업하고 해방 후 전북대학교 초대 총장을 역임했고 # #, 최상채는 1924년 경성의학전문학교[88]를 졸업한 후 규슈제국대학에서 수학한 다음 교토제국대학에서 의학 박사 학위를 취득하여 훗날 대한민국 지방국립대학인 전남대학교의 초대총장을 역임하였다. # 충남대학교 총장 역시 제국대 출신이다. #

한 때 최초의 농학박사로 잘못 알려진 우장춘은 1936년 5월 4일에 도쿄제국대학에서 농학 박사 학위를 받았지만 사실 그보다 수개월 앞서 상술한 임호식이 홋카이도제국대학에서 곰팡이를 이용한 식품연구로 최초 농학박사학위를 취득한 바 있다. #

민족시인으로 유명한 윤동주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한 다음 제국대학으로 진학하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기울였지만 뜻대로 되지 않아, 릿쿄대학에 입학하였다고 한다.[89] 특히 동갑내기 사촌이었던 송몽규 교토제국대학 문학부 사학과에 입학하여 친척들의 비교대상이 되어 부끄러움, 같이 열도에 있다는 점에서는 위안을 느꼈다고 한다.[90][91] #

7. 기타 기록

7.1. 여담

<nopad>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상징 천황 · 일본 황실( 황실 관련 문서) · 일장기( 니시키노미하타) · 국장 · 기미가요
국호 국호 · 니혼/닛폰 · 야마토 · 야시마 · 히노모토 · 재팬 · 지팡구 · 미즈호 · 시키시마 · ( · · ) · 부상국 · 동영 · ( 왜국)
정치 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 사라진 정당) · 국회( 참의원 · 중의원 ( 중의원 해산))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 정부홍보 온라인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도쿄도지사 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이념 · 사상 틀:일본의 이념 · 일본 좌파 · 일본의 자유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일본 내셔널리즘 · 야마토 민족주의 · 천황제 파시즘
외교 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일뽕 · 친일파 · 탈아입구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JUSCANZ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 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왜관
군사 군사 전반( 군사사) · 자위대( 편성 · 역사 ( 일본군) · 계급) · 문제점( 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 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의 경찰제도( 계급 · 일본 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나라현 경찰본부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후추 형무소 · 도쿄 구치소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시대 역사 전반 · 조몬 시대 · 야요이 시대 · 고훈 시대 ·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남북조시대 · 무로마치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전국 3영걸 · 에도 시대 · 겐로쿠 · 막말 · 메이지 유신 · 메이지 시대 · 다이쇼 시대 · 쇼와 시대 · 헤이세이 시대 · 레이와 시대
정권 야마타이국 · 야마토 정권 · 소가 · 원정 · 겐페이토키츠 · 후지와라 · 헤이케 · 막부 · 쇼군 · 가마쿠라 막부 · 집권 · 무로마치 막부 · 관령 · 에도 막부 · · 조슈 번 · 사쓰마 번 · 일본 제국 · 에조 공화국 · 연합군 점령하 일본 · 류큐 왕국
기타 일본서기 · 육국사 · 신찬성씨록 · 관위 · 후궁제도 · 봉행 · 태정관 · 공가 · 사쓰마 번 · 사무라이 · 다이묘 · 닌자 · 공가 · 화족 · 데지마 · 카쿠레키리시탄 · 쿠로후네 사건 · 에조 · 에도 · 왜구 · 다이쇼 데모크라시 · 다이쇼 로망 · 대일본제국 헌법 · 중일전쟁 · 태평양 전쟁 · 일제강점기 · 과거사 청산 문제 · 역코스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일본의 역사왜곡( 일본의 전쟁범죄 · 해군선옥론 · 육군악옥론 · 일본 극우사관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야스쿠니 신사 · 전범기업) · 오키나와/역사 · 전공투( 적군파)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무역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 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 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내지 · 지진( 대지진) · 후지산
사회 사회 전반( 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 알레프)) · 국수주의( 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 대단해 · 애국 비즈니스)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 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 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 일본어족 · 일본어( 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 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 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 펀드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 교통 전반 · 도로( 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 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 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비짓 재팬 웹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교포 일본계 · 일본계 한국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일본계 미국인 · 일본계 중국인 · 일본계 팔라우인 · 일본계 러시아인 · 일본계 대만인 · 일본계 멕시코인 · 일본계 인도네시아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영국인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예술 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 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 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 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 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 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 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 오키나와 음악
음식 음식 전반( 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 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 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니기리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 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일본학 · 국학 ·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고민가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 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 스포츠 전반( 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그랑프리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 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왕자계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데코라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 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 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 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특공복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 와패니즈 }}}}}}}}}}}}



[원문] [ruby(第一條, ruby=だいいちじょう)] [ruby(帝國大學, ruby=ていこくだいがく)]ハ[ruby(國家, ruby=こっか)]ノ[ruby(須要, ruby=しゅよう)]ニ[ruby(應, ruby=おう)]スル[ruby(學術技藝, ruby=がくじゅつぎげい)]ヲ[ruby(敎授, ruby=きょうじゅ)]シ[ruby(及, ruby=および)][ruby(其, ruby=その)][ruby(蘊奧, ruby=うんのう)]ヲ[ruby(攷究, ruby=こうきゅう)]スルヲ[ruby(以, ruby=もっ)]テ[ruby(目的, ruby=もくてき)]トス [2] 제국대학은 설립/운영 주체에 따른 분류상으로 관립대학( 국립대학)에 속했지만 대학령에 의거하여 설립된 다른 모든 구제대학(旧制大学)과 달리 별도 법령인 제국대학령에 따라 설립되었다. [3] 일본 본토에 7곳, 외지에 2곳이 설립. 참고로 6번째로 설립된 제국대학인 경성제국대학만이 광복 전 한반도 유일의 대학이었으며, 그 전까지는 한반도엔 구제전문학교만 존재했기 때문에 민립대학설립운동까지 벌어졌다. [4] # 제국 대학을 만들어 낸 이토의 정열 [5] 오늘날의 중학교(전기중등교육)와 고등학교(후기중등교육)를 합쳐놓은 학교이다. 대한민국도 1950년까지는 일제의 구제중학교 시스템을 이어받아 중학교가 5~6년제였다. [6] 오늘날 한국의 의예과처럼 대학의 교양과정에 해당하며 현재의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과정은 중학교와 함께 5년제 구제중학교에 통합되어 있었다. 단, 부속 예과를 둔 경우도 있다. 대표적으로 경성제국대학은 당시 한반도에 구제고등학교가 설립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학 예과를 두어 직통으로 학생을 선발하였다. 본토에는 홋카이도제국대학에도 예과를 둔 바 있다. [7] 1920년대 이후에는 다른 교육기관들도 대학령에 의거해 대학( 구제대학)으로 승격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정식 학사 학위 수여권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와세다대학 게이오기주쿠대학 등도 당시에는 학사 학위(당시에는 칭호)가 수여되지 않는 구제전문학교였다. 물론 당시에는 전문학교 학생들도 나름 엘리트로 취급되었지만 1918년 대학령 반포 전까지는 제국대학만이 학위가 수여되는 실제 제도적 대학이었다. [8] 전후 1947년 이후에는 다른 교육기관들도 신제대학으로 개편 됨에 따라 대학원을 설치하여 박사 학위 수여권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제국대학령 제3조에는 제국대학 대학원을 둔다고 규정하고 있었고, 제국대학평의회의 심의를 거친 자에게만 문부대신이 박사 칭호를 수여하는 것으로 정해져 있었다. [9] 당시에는 석사 학위가 없었고 박사 학위를 취득하기 위해서는 학사 학위를 받고 대학에 남아 박사 과정에 등록해야 했는데 이러한 과정에 등록 중인 사람을 연구생이라고 불렀다. 현재는 일본에서 석사 혹은 박사 과정에 정식 등록하기 전까지 실험이나 연구 등의 연수를 받는 비정규생들을 연구생이라고 칭한다. [10] 다만 현재 일본에서 호쿠다이(北大)는 홋카이도대학의 약칭으로 쓰이고 있고 도호쿠대학은 약칭 없이 그냥 토호쿠([ruby(東北, ruby=とうほく)])라고 불리고 있다. 마작 패의 중국어 독음을 가져온 속칭으로는 톤페(とんぺー)라고 불리기도 한다. [11] 다만 전후 홋카이도대학과 관련해서는 일본 제국 시절 약칭인 카이다이(海大)가 아니라 과거 도호쿠제국대학의 약칭인 호쿠다이(北大)가 현재 홋카이도대학의 약칭으로 쓰이고 있다. 그래서 원래 호쿠다이(北大)이던 도호쿠대는 약칭 없이 도호쿠다이([ruby(東北大, ruby=とうほくだい)])라고 불리고 있다. [12] 경성은 일본어로 케이조([ruby(京, ruby=けい)][ruby(城, ruby=じょう)])로 읽힌다. 쿄다이(京大, 경대)는 당시 교토제국대학의 약칭이었으므로, 신설된 경성제국대학은 조다이([ruby(城, ruby=じょう)][ruby(大, ruby=だい)], 성대)로 불렸다. 2차대전 패전과 해방 이후 국립 서울대학교 설립 이전의 경성대학은 기존의 성대와 함께 약칭 경대(京大)를 사용했다. 이러한 명칭 변경을 다룬 논문도 있다. [13] 법제상으로는 국대안에 따라 경성대학이 서울과 근교의 관립 고등교육기관 경성의학전문학교, 경성법학전문학교, 경성경제전문학교, 경성공업전문학교, 경성광산전문학교, 수원농림전문학교 등의 구제전문학교 및 경성사범학교, 경성여자사범학교 등의 사범학교, 그리고 사립 경성약학전문학교, 경성치과의학교, 경성음악학교와 모두 통폐합되어 1946년 10월 국립서울대학교가 출범하였으며 단과대학이 아닌 본부는 공식적으로 경성제국대학의 역사를 계승하지 않는다. [14] 일본의 제국대학과 고베대학, 츠쿠바대학, 히로시마대학 등의 관립대학들도 전부 각 현에 1개의 고등교육기관만을 둔다는 미군정 GHQ의 방침에 따라 근교의 구제고등학교 구제전문학교를 병합해 미국식 신제대학으로 새롭게 출범했으나 역사적으로는 구제대학 시절의 역사를 계승하는 부분과 대조된다. 서울대도 조선의 유일한 구제대학이었던 경성제국대학 본부가 그대로 서울대학교 본부가 되는 등 실질적으로는 경성제대를 중심으로 각종 구제전문학교를 엮은 연합대학으로 출범한 것이며 아래 대북제국대학- 국립타이완대학의 경우처럼 민주화 이후 1990년대부터 경성제대의 역사를 계승하는 입장이 늘어나고 있다. 현재도 단과대학별로는 경성제대와 각종 전문학교 등 구제 고등교육기관의 역사를 자신의 것으로 서술하고 있다. [15] 서울대학교 경성제국대학의 역사를 자교 역사로 계승하지 않는 것과는 달리 국립타이완대학은 자신들이 대북제국대학을 승계했음을 인정하고 교사(校史)에서도 대북제국대학 시절까지 거슬러 올라가 1928년 개교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 사실 국립타이완대학도 중국국민당이 철권을 휘두르던 독재정권 시기에는 1945년에 개교했다는 공식 견해를 표명하고 있었는데 민주화되면서 1945년 개교인지, 1928년 개교인지에 대해 학내 견해가 엇갈리다가 대만정명운동(台灣正名運動)의 일환으로 2007년에 공식적으로 '1928년 개교' 입장을 확정함으로써 대북제국대학을 국립타이완대학의 전신으로 공식화했다. [16] 최초의 관립대학. 메이지 시대 내각 각 부처 소속의 개별 교육기관들의 연합체였다. 참고로 이 1877~1886년까지 있었던 구 도쿄대학은 현재의 도쿄대학(신제)의 전신격 기관이지만 법제상의 제도가 다르다. [17] 1886년 3월 1일 메이지 19년 칙령 제3호 제국대학령( 원문) 공포로 구 도쿄대학(舊 東京大學)이 공부대학교(工部大學校)를 흡수합병하여 창설된 최초의 제국대학. 1893년 8월 11일 메이지 26년 칙령 제83호 제국대학관제(帝國大學官制)( 원문)가 공포되고(동년 9월 11일 시행), 1897년 6월 메이지 30년 칙령 제210호 도쿄제국대학관제(東京帝國大學官制)( 원문)로 대체. [18] 교토제국대학이 설치됨에 따라 더 이상 제국대학이 단 하나뿐이 아니게 되었기 때문이다. [19] 깊고 오묘한 이치 [20] 1890년 일부개정(메이지 23년 칙령 제93호) 되어 분과대학의 종류에 (도쿄농림학교를 개조한) '농과대학'(농학과·임학과 및 수의학과 3부로 구성)가 추가되었다. [21] 1897년( 메이지 30년) 6월 18일 칙령 제209호 교토제국대학에 관한 건(京都帝國大學ニ關スル件)( 원문) 및 칙령 제211호 교토제국대학관제(京都帝國大學官制)( 원문) 공포로 교토제국대학 설립. 기존 제국대학은 칙령 도쿄제국대학으로 개칭. [22] 1907년 6월 21일 메이지 40년 칙령 제236호 도호쿠제국대학에 관한 건(東北帝國大學ニ關スル件)( 원문) 및 칙령 제237호 도호쿠제국대학농과대학관제(東北帝國大學農科大學官制)( 원문) 공포로 삿포로농학교가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으로 개편되면서 도호쿠제국대학 설립. 참고로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은 1918년 4월 1일 현재의 홋카이도대학이 되는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이관되었으며 센다이시에 현재의 도호쿠대학의 일부가 들어선 것은 1910년 12월 21일 메이지 43년 칙령 제447호 도호쿠제국대학관제(東北帝國大學官制)( 원문) 공포에 따라 1911년 1월 1일 설립된 이과대학(1913년 9월 22일 개학)이 최초이다. [23] 1910년 12월 22일 메이지 43년 칙령 제448호 규슈제국대학에 관한 건(九州帝國大學ニ關スル件)( 원문) 공포로 1911년 1월 1일부 규슈제국대학 설립(분과대학으로 공과대학을 설치. 공과대학의 수업 개시는 1911년 9월 11일), 1911년 3월 30일 메이지 44년 칙령 제43호 규슈제국대학관제(九州帝國大學官制)( 원문) 공포로 교토제국대학 후쿠오카의과대학(京都帝國大學福岡醫科大學)이 4월 1일부로 규슈제국대학 의과대학으로 이관 개편. [24] 1918년 3월 30일 다이쇼 7년 칙령 제43호 홋카이도제국대학에 관한 건(北海道帝國大學ニ關スル件)( 원문) 및 칙령 제44호 홋카이도제국대학관제(北海道帝國大學官制)( 원문) 공포로 홋카이도제국대학이 창설되고 도호쿠제국대학 농과대학이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이관. [25] 다이쇼 8년 칙령 제 12호 [26] 1924년 5월 1일 다이쇼 13년 칙령 제103호 경성제국대학관제(京城帝國大學官制)( 원문) 및 칙령 제105호 경성제국대학에 관한 건(京城帝國大學ニ關スル件)( 원문) 공포. [27] 1928년 3월 16일 쇼와 3년 칙령 제30호 다이호쿠제국대학에 관한 건(臺北帝國大學ニ關スル件)( 원문) 및 칙령 제31호 다이호쿠제국대학관제(臺北帝國大學官制)( 원문) 공포. [28] 1931년 4월 28일 쇼와 6년 칙령 제67호 오사카제국대학관제(大阪帝國大學官制)( 원문) 공포. [29] 1939년 3월 30일 쇼와 14년 칙령 제112호 나고야제국대학관제(名古屋帝國大學官制)( 원문) 공포. [30] 현재는 치바대학 본부인 치바대학 니시치바캠퍼스가 되었다. [31] 물론 1946년 7월 6일 쇼와 21년 칙령 제353호로 공포된 국립종합대학의 명예교수에 관한 건(国立総合大学等の名誉教授に関する件) 등을 보면 1947년 이전인 1946년 7월에도 이미 제국대학이 아닌 국립종합대학으로 지칭하고 있었음이 확인된다. 경성제국대학→경성대학(서울대학)→ 국립서울대학교와 마찬가지로 국립종합대학령은 이미 사용되고 있던 국립종합대학의 명칭을 공식적으로 확인한 것이다. [32] 예컨대 법문학부는 법학부/경제학부/문학부로, 이공학부는 이학부/공학부로 [33] 1886년 제1차 중학교령 중 고등중학교 관련 규정과 제1차 고등학교령(1894년) 및 제2차 고등학교령(1918년)에 준거한 제국대학의 예과. [34] 전문학교령( 1903년)에 준거한 학교로 본과·예과·연구과·별과로 구성되며, 구제중학교급 학교의 졸업생을 대상으로 교육하는 본과의 수업연한은 3년 이상이었다(제6조). 고등공업학교, 고등상업학교, 고등농림학교 등의 고등실업학교 외, 여자전문학교(여전), 의학전문학교(의전), 치과의학전문학교(치과의전), 약학전문학교(약전), 외사전문학교(외전), 기타 예술계 전문학교 등 관·공·사립의 다양한 학교가 존재했으며 구제 고등교육기관의 대부분을 차지했다. 구제대학보다 하위의 고등교육기관이었지만, 극소수의 학교는 대학령(1918년)에 준거한 구제대학으로 승격하기도 했다. 한편 제국대학을 포함한 구제대학들도 부속학교로 구제전문학교에 해당하는 전문부을 두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35] 사범학교령(1886년) 중 고등사범학교 관련 규정과 고등사범학교규정 (1894년), 사범교육령(1897년, 1943년 )의 고등사범학교 관련 규정에 준거한 학교로, 본과·연구과 등으로 구성되어 본과는 구제중학교 졸업자를 입학시켜 4년간 교육시키는 중등학교( 구제중학교, 고등여학교, 사범학교) 교원양성기관이었다. 관립 고등사범학교 중 도쿄와 히로시마의 2개교는 본과 졸업생을 교육시키는 전공과를 기반으로 문리과대학을 설립했으며, 몇몇 사립대학들은 고등사범학교에 상당하는 과정으로서 부속 고등사범부를 설치했다. 또 중등교원 부족현상에 따라 제국대학을 포함한 관립대학· 구제전문학교에도 고등사범학교급의 임시교원양성소와 실업학교교원양성소 등이 부설되기도 했다. [36] 여자고등사범학교규정(1894년)과 사범교육령(1897년, 1943년) 중 여자고등사범학교 관련 규정에 준거한 학교로, 본과·연구과로 등으로 구성되어 본과는 고등여학교 졸업자를 입학시켜 4년간 교육시키는 여자중등학교( 고등여학교, 여자사범학교) 교원양성기관이었다. [37] 원래 소학교 졸업자를 교육시켜 초등학교(소학교) 교원을 양성하던 사범학교가 전면개정된 제2차 사범교육령(1943년)에 준거해, 구제중학교· 고등여학교 졸업자 및 해당 사범학교 예과 수료자를 입학시켜 3년간 교육시키는 본과를 설치하면서 고등교육기관으로 격상되었다. [38] 제2차 사범교육령이 1944년 일부 개정되면서 청년사범학교 관련 규정을 삽입하여 기존의 청년학교 교원양성소를 청년사범학교로 개편 승격시켜 본과·예과·연구과를 두고 본과에 구제중학교· 고등여학교 졸업자와 해당 청년사범학교 예과 수료자를 입학시켜 3년간 교육하도록 규정했다. [39] 新制大學. 구제대학의 반댓말로, 현재 제도의 대학을 의미. [40] 본래 출발이 홋카이도제국대학의 전신인 삿포로농학교 수산학부로, 1935년 홋카이도제국대학 부속 수산 전문부에서 하코다테고등수산학교로 분리독립했다가 1944년 하코다테수산전문학교로 개칭한 후 1949년 다시 홋카이도대학으로 합병된 현재 홋카이도대학 수산학부 [41] 현재 서울대학교의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공과대학, 의과대학, 간호대학, 법과대학, 서울대학교 경제학부의 모체가 되었다. [42] 일제강점기의 학제에서 초등교원을 양성하는 사범학교는 당시 중등학교급이었다. 고등사범학교가 아닌 일반 사범학교는 고등교육기관으로 승격이 일제 말기인 1943년 제2차 사범교육령( 전부 개정법률)이었기 때문에 1945년 해방 당시까지 아직 고등교육기관이라는 인식이 미약했고 중학교(구제)급으로 인식되었기 때문에 일본 내지에서도 신제대학이 될 때 사범학교가 전신인 신제대학의 교육학부나 에키벤 대학은 천시 대상이었다. 조선에서도 서울대학교 설립 초창기에 경성제대 예과•법문학부•이공학부 이학계열 등 경성제대 출신들로만 구성된 문리과대학에서 경성사범학교에서 비롯된 사범대학을 철폐하려고 시도한 적도 있었다. [43] 1919년 대만총독부 고등상업학교로 설립, 1926년 대북고등상업학교를 거쳐 1944년 대북경제전문학교로 개편(동년 조선의 경성고등상업학교도 경성경제전문학교로 개편). 1945년 중화민국에 접수되어 1946년 대만성립법상학원으로 개칭되어있던 상황 [44] 대만 의학전문학교는 1936년에 이미 대북제국대학 의학부를 창설할 때 부속 의학 전문부로 흡수된 상태였고, 공업전문학교 농림전문학교(원래 대북제국대학 캠퍼스 자리에 1919년 먼저 개교했던 대북고등농림학교(臺北高等農林學校)였으나, 제국대학 설립의 모체가 되어 흡수당했다가 1943년에 타이중으로 독립해 나감)는 각각 타이난 타이중에 위치해 있어서 각각 국립성공대학 국립중흥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이외에 대만 유일의 구제고등학교인 대북고등학교는 대북제국대학 캠퍼스 바로 근처에 위치해 있었으나, 시급한 중등교원 양성을 위해 국립대만사범대학으로 별도 승격되었다. [45] 철학과, 사학과, 문학과, 정학과(政學科)로 구성 [46] 1930년 제1 회 졸업생 14명부터 1943년 제14 회 졸업생 32명까지 총 324명으로 연평균 23명의 졸업생 배출. 논문 20페이지 참고. [47] 역사적으로도 제국대학 자체가 의학부/이학부/공학부를 시초로 출발한 곳이 많았기 때문에, 1945년 종전 당시 기준으로도 도쿄제대 교토제대만 법학부/경제학부/문학부가 독립되어 있었고, 도호쿠제대(1907년 개교, 1922년 8월 법문학부 설치, 1923년 법문학부 제1 회 입학)와 규슈제대(1911년 개교, 1924년 9월 법문학부 설치, 1925년 법문학부 제1 회 입학), 경성제대(1924년 예과 개교, 1926년 법문학부 설치), 대북제대(1928년 개교 및 문정학부 설치)에는 법문계가 '법문학부'( 대북제국대학의 경우는 법학과가 없이 '문정학부'였다.)라는 단일학부로 통합되어 있었다. 이외에 홋카이도제대 오사카제대 나고야제대는 문과 자체가 존재하지 않았다. [48] 그래서 홋카이도, 오사카와 나고야제국대학의 문과계열 학부들은 대부분 전후 신제대학이 되면서 구제고등학교를 흡수하거나 관공립대학을 병합하면서 만들어진 경우가 많아 비교적 역사가 짧다. 제국대학에 흡수된 구제고등학교 고등과(대학예과)는 주로 교양학부가 되었다. 홋카이도대학 홋카이도제대 예과를 교양학부로 개편하고 법문학부를 신규설치했고, 오사카대학도 구제고등학교인 오사카고등학교 나니와고등학교를 흡수해 교양학부로 삼고 법문학부를 신설했다. 나고야대학 제8고등학교를 교양부로 개편했다. 기타 문과 학부가 존재하고 있었던 제국대학들도 마찬가지. 나고야대학은 1948년 나고야경제전문학교와 오카자키고등사범학교를 흡수해 법경학부와 교육학부의 모체로 삼았고, 오사카대학은 2007년 오사카외국어대학을 외국어문학부로 흡수했다. [49] 당시 평균수험기간이 졸업 이후 5년 정도였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더욱 그렇다. [50] 모집정원 도호쿠제대 법문학부 300명과 규슈제대 법문학부 200명 중 법학과의 정원은 1/4~1/3에 불과했고, 경성제대의 경우는 법문학부 80명의 절반인 40명 뿐이었다. [51] 국립대학 연구비 삭감 2019년 대학별 연구비 순위 교차검증자료 [52] 21세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보면 미국에 이어 2번째. 참고로 2021년 기준 전부 29명의 일본인이 노벨상을 수상했다. 틀:일본의 역대 노벨상 수상자 참조. [53] 원래는 일본도 대학령이 반포되기 전인 1919년까지는 종합대학 밑에 단과대학을 두는 시스템이었다. (예를 들어, 도쿄제국대학 공과대학, 홋카이도제국대학 농과대학 등.) 그래서 이런 단과대학 학장들을 총괄하는 직위가 총장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단과대학이 모두 학부제로 개편(e.g. 공과대학→공학부, 법과대학→법학부, 농과대학→농학부, 문과대학→문학부, 이과대학→이학부, 의과대학→의학부 등)되었으니, 일반 대학의 수장은 자연스럽게 학장이라고 부르는 게 원래는 맞는 셈. [54]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의 '대학신문'은 1947년 9월 제3호까지만 발행되었다. 1948년 3월 1일에는 서울대 전체 학보인 '서울대학신문'이 창간되어 1950년 5월까지 발행되다가 한국 전쟁이 발발하는 바람에 제17호를 마지막으로 정지되었다. 그리고 현재 발행되는 '대학신문'은 1952년 2월 4일 전시연합대학 시절에 탄생한 것이 이어내려온 것이다. 전쟁으로 중단되지 않았더라면 서울대 학보의 명칭은 그대로 '서울대학신문'이 되었을 것이다. [55] 의학부도 의예과를 경성제국대학 예과를 그대로 활용하면서 의과대학이 아닌 문리과대학 소속으로 두었음. 2012년 3월에 자연과학대학에서 의과대학으로 소속변경 [56] 사실 제호나 명칭을 보통명사로 퉁치는 명칭부심은 최초, 최고의 위상이 확고한 경우에 종종 드러나기도 한다. 세계 최초의 일간신문 이름은 그냥 "TIMES"이고 세계 최초인 잉글랜드 축구협회 명칭은 그냥 "FA". 밑에서 서술할 제국대학의 종합적인 동창회인 ' 학사'회 역시 대표적인 예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가 위치해있던 동숭동과 의학부가 있던 연건동을 가로지르는 도로의 명칭 역시 '대학로'인 것도 대표적인 예. 이는 21세기에도 현재진행형이어서 행정동이 십몇 개 동이던 봉천동, 신림동의 이름을 개편하면서 서울대가 위치한 신림9동은 명칭을 아예 "대학동"으로 바꿔버렸다. [57] 2회차 기준 수학제전 MATH POWER 2018 참가 티켓이 주어졌다. [58] 교수의 학부별 출신대학 점유율을 보면 거의 대부분이 제국대학 출신들로, 특히 이공계열에서 그러한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 [59] 단과대학 수준까지 포함하면 1987년 7월 15일 서울대 농대가 규슈대학 농학부와 학술교류협정을 체결한 것이 최초 [60] 이는 교환학생 파견 협정으로, 도쿄대학과의 '학술교류협정' 체결은 1990년. 서울대학교 60년사 (제3부 교육, 제4장 장학제도와 학생교류 확대) 참고. 현재는 관악캠퍼스에 도쿄대학 사무소를, 도쿄대학 캠퍼스에 서울대학교 사무소를 두고 있기도 하다. 참고 링크 [61] 홋카이도대학 공학부 건물 내에는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일본 오피스가 설치되어 있기도 하다. [62] 제국대학령이 반포되기 전까지 학사 학위를 부여할 수 있는 고등교육기관은, 개척사 삿포로농학교(일본 최초의 학위 부여 기관), 구제 도쿄대학, 부성의 공부대학교, 농상 무성의 코마바농학교, 사법성의 법학교가 있었다. 제국대학령 반포 후에는 삿포로농학교를 제외한 다른 기관들은 모두 도쿄제국대학으로 통합되었고, 삿포로농학교도 나중에 홋카이도제국대학으로 통합된다. [63] 물론 그 후신 대학인 서울대학교나 국립타이완대학 출신자는 가입할 수 없다. 다만, 1945년 이전에 학사회에 가입한 초고령의 원로들은 여전히 서울대학생이나 타이완대학생의 학사회 가입을 받아줘야 한다고 열변을 토하는 사람이 많다. 심지어는 일본 개최 국제 학술 심포지엄 때 서울대학교나 국립타이완대학 출신자가 참석하면, 그 100세 가까운 노인장들이 학사회만 모여앉은 VIP석으로 서울대나 타이완대 출신자를 데려와 앉히기도 한다. 그 영감님들 중에는 1945년 이후에 종합대학교 인가를 받은 일본 국내의 '비 학사회 대학교'들을 "역사도 없는 짝퉁 신생대학교"라면서 깎아내리는 사람들도 많은데, 그에 반해 현 학사회 뿐만 아니라 옛 학사회였었던 대학교 출신들에게도 자기 식구 만난 것처럼 국적과 상관없이 엄청나게 호의적이었다고 한다. [64] 會와 会는 구자체 신자체의 차이일 뿐 글자는 같은 '모일 회' 글자이다. '학사회' 부분만 구자체로 쓴 이유는 역사성, 정통성 강조 및 학회 예우 때문이다. 다른 예로 국학원대학(國學院大學)은 모든 한자를 구자체로 쓰고, 게이오기주쿠대학의 ' 게이오'가 연호에서 따와서 이 부분은 여전히 구자체를 원칙으로 하는 등 구자체는 이러한 정통성 강조와 예우의 목적으로 여전히 쓰인다. [65] 총장들이 모여서 카가미비라키(鏡開き)를 시연하고 있다. 행사가 탈 없이 진행되기를 기원하는 일본의 전통 풍습 중 하나. [66] 2023년 62회 칠대전은 도쿄대학이 주관한다. 본 사진에 찍힌 응원단기는 왼쪽에서부터 도호쿠대학, 홋카이도대학, 도쿄대학이다. 사진 [67]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영향으로 2020년 59회, 2021년 60회는 취소되었다. [68] 홋카이도 - 규슈 - 오사카 - 교토 - 도호쿠 - 도쿄 - 나고야 순서. 제1회 대회 개최를 기념하기 위해 홋카이도대학 클라크 회관 앞에는 칠대전 기념비가 건립되었다. [69] 전국7대학체육대회에서 하는 유도는 오늘날의 강도관 유도와는 규칙이 좀 다른 구석이 있는데, 스스로 누우며 그라운드 공방에 진입하는 행위에 대한 벌칙이 없으며, 스탠딩 선언을 받기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강도관 유도보다는 어려운 편이다. 강도관이 이런 저런 수정을 가하기 전의 초창기 유도의 형태와 가장 흡사하며, 오히려 브라질리언 주짓수와 더 비슷하다. [70] 실제로도 구제고등학교를 일단 합격하면 대학 진학 자체는 보장되었다. 그래서 언제나 고등학교 입시가 입시생과 부모들의 관심사였고 고등학교 재학생들의 프라이드는 하늘 높은 줄 몰랐다고 전해진다. 이런 구제고등학교의 전설적인 엘리트주의에 관해서는 일본에 많은 문학, 예술작품이 있다. [71] 예컨대 마산여자고등학교는 마산여자상업학교, 광주제일고등학교는 광주고등보통학교, 경복고등학교는 경성제2고등보통학교(경성제2고보, 경복중학교를 거쳐 경복 중, 고로 분리되었다.) 고등보통학교 구제중학교(5년제)로 인정된 것은 1938년부터. [72] 당시의 중학교는 5년제로서 현재의 중학교+고등학교와 같은 레벨의 학교였다. [73] 일본의 학교교육법(1947년)이 시행되기 이전의 제도에 의거하여 설립된 일본의 모든 대학을 지칭하는 말. [74] 일부 사립대학에서는 예과를 별도로 운영하면서 고등학교를 나오지 않은 학생들을 받아서 가르쳐 본과로 진입시키곤 했다. [75] 이를 방계입학이라고 한다. 이들은 구제고등학교 예과 출신과는 달리, '선과생'이라고 하여 편입생 취급을 받았으며 졸업 자격은 획득할 수 있었지만 학력 평가를 포함한 별도의 엄격한 심사를 거쳐야 했으며 고등학교/예과 출신과 같은 대접은 받지 못했다고 한다. [76] 정확히 말하면 원래 구마모토의과대학에 입학하였지만, 재학 중 광복을 맞아 귀국하여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로 편입하였다가, 법문학부 정치학과로 전과하여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를 졸업하였다. [77] 그 당시 연희전문학교, 보성전문학교 등에도 상과가 있었지만 구제전문학교이기 때문에 실용적인 성격이 강했다. 그렇기에 정치학, 경제학에 뜻을 둔 학생은 일본 본토로 갈 수밖에 없었다. [78] 도쿄제국대학 문학부 동양사학과 졸업, 전 성균관대학교 총장. [79] 교토제국대학 농학부 진학. [80] 당시 제국대학의 교원은 주임교수-조교수-강사-조수-부수 순으로 보직이 정해져 있었다. [81] 도중 경성제국대학에서 이공학부 화학과 교수로 초청받았으나 교토제국대학에 재직 상태였기 때문에 응할 수 없었다. [82] 이태규는 교토제국대학 교수 경력 때문에 해방 이후 국대안 파동 당시 좌익 계열 학생들에게 친일부역자로 낙인찍혀 숱한 테러를 받기도 했다. 이태규 박사와 후술할 리승기 박사는 교토제국대학 내 조선인 유학생들의 정신적 지주였다고 하며, 본인 살림도 그렇게 넉넉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일요일에 이태규 박사 댁에서 조선인 학생 모임이 있어 사모님(이태규 박사의 아내)이 해 주신 조선 음식( 불고기)을 얻어먹었다"라는 졸업생들의 술회가 많다. # [83] 경성의학전문학교 졸업, 홋카이도대학 의학박사 [84] 총독부의학전문학교 졸업, 도쿄제국대학 의학박사. 경성의학전문학교 세브란스의학전문학교 교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초대 학장, 대한의사협회 초대 회장 역임. [85] 해방 후 경성대학에서 대한민국 최초의 대학 교수이었으며(1946.8.22), 국립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지질학과 창설을 손치무 조교수와 같이 이루고 지질학과 과장이였다. [86] 구제전문학교 과정. 단, 당시 고등사범학교 구제전문학교 중에서도 우월한 지위였다. [87] 학위 수여 과정이 아니므로 도쿄제대 동문록에 등재되지 않았다. [88]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의 전신 [89] 이후 도시샤대학에 편입했다. [90] 거기다가 송몽규는 독립운동을 하다가 체포당해 시찰당하는 상황이었으므로 윤동주로써는 만감이 교차했을 것이다. [91] 영화 동주에서도 이런 상황이 묘사된다. 함께 교토제국대학 입학시험을 치렀는데 송몽규만 합격하자, 윤동주가 태연한 척 하려고 애쓰며 송몽규를 축하해주고 송몽규도 난처해한다. 그리고 그 소식을 편지로 접한 윤동주의 아버지도 실망한다. [92] 출처: 김두식, 「법률가들」, 창비, 2018. p.49 [93] 출처: 와세다와 게이오 사대의 영광과 그림자(早稲田と慶応 私大の栄光と影 - 橘木 俊詔 저) [94] 문교부에 해당 [95] 특히 도쿄대학 오사카대학전기에 단 한 번만 뽑으며 나머지 나고야대학, 규슈대학, 홋카이도대학, 도호쿠대학, 교토대학은 소수지만 후기 지원을 받는 경우가 있다. 2021년 국립대 합격자 발표일, 2022년 국립대 합격자 발표일, 2023년 국립대 합격자 발표일, 2024년 국립대 합격자 발표일. [96] 후기는 3월 10일경. 다만, 구제국대학들은 대부분의 인원을 전기로 뽑는다. [9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