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5 23:52:02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서울대학교/학부
파일:서울대학교 로고.svg 서울대학교의 단과대학
인문대학 간호대학
경영대학 공과대학 미술대학
사범대학 수의과대학 약학대학
음악대학 의과대학 첨단융합학부
치의학대학원

파일:external/ell.snu.ac.kr/list-02-3.jpg
<colbgcolor=#00338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colbgcolor=#fff><colcolor=#00338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Social Sciences
파일:CSSLOGO2.png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줄여서는 '사회대'로 통칭한다.

2. 연혁

3. 학과

3.1. 정치외교학부

Department of Political Science and International Relation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정치외교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EEEEEE>1926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정치학과
1927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1937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제2류
1945 경성대학 법문학부 정치학과[1]
1946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정치학과
1955[2]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정치학과/정치학과 외교학전공
1959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정치학과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외교학과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학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외교학과
2010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외교학전공

3.2. 경제학부

Department of Economic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서울대학교/학부/사회과학대학/경제학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경성대학
1926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률학과 경제학강좌
1927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3] 경제학강좌
1928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경제학1/경제학2/재정학/통계학강좌
1937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제3류[4]
1945 경성대학 법문학부 경제학과
전문학교
1907 동양협회전문학교 경성분교[5]
1915 동양협회식민전문학교 경성분교
1918 동양협회경성전문학교 고등상업과
1920 경성고등상업학교(사립)[6]
1922 경성고등상업학교(관립)
1944 경성경제전문학교
1946 경성경제대학 학부
경성경제대학 예과
경성경제대학 전문부
서울대학교
1946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1955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상학과 무역학전공
1959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상과대학 무역학과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무역학과
198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과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국제경제학과[7]
199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경제학부[8]

3.3. 사회학과

Department of Sociology
1926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철학과 사회학전공
1943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 사회학전공
1945 경성대학 법문학부 철학과 사회학전공
1946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사회학과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1926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소속의 철학과 사회학전공(강좌 담임교수 아키바 다카시(秋葉隆))으로 출범하였다.

광복 후 경성제대 법문학부와 이공학부를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으로 통합하면서 문리대 문학부 사회학과로 개편되었다가 1975년 관악캠퍼스로 종합화되면서 문리대가 인문대/사회대/자연대로 재편될 당시 사회과학대학 소속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운영위원회라는 이름의 자치기구가 설립되어 있다. 과반 및 단과대에서 활동하는 사람 중 사회학과 출신이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3.4. 인류학과

Department of Anthropology
1946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인류학과
1948 폐지
196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고고인류학과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인류학과

해방 후 경성대학 부속 박물관에 재직 중인 민속학자 송석하의 주도로 인류학과를 개설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며, 서울대학교가 출범하자 문학부에 인류학과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1948년 송석하의 사망 등, 교원 및 학생의 부족으로 이때의 인류학과는 폐지되며, 1961년 김원용에 의해 다시 설치되었다.

인류학과 자치회는 2005년 과반체제 이행 후 가장 먼저 과 자치회를 부활시키며 만들어졌다. 다만 학내잡지 '포트레이츠(3호)'에 따르면 2009년에 다시 만들어질 때까지는 몇년동안 활동하지 못했다.

2018년부터 인문대학 철학과, 종교학과, 서양사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과 정치학 전공, 지리학과, 인류학과와 같이 PP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설한 프로그램이다. #

3.5. 심리학과

Department of Psychology
1926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철학과 심리학전공
1943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 심리학전공
1945 경성대학 법문학부 철학과 심리학전공
1946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심리학과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심리학과

1926년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소속의 철학과 심리학전공(제1강좌 담임교수 하야미 히로시(速水滉), 제2강좌 담임교수 구로다 료(黑田亮), 제3강좌 담임교수 후쿠토미 이치로(福富一郎), 제4강좌 담임교수 아마노 토시다케(天野利武))으로 출범하였다.

광복 후 경성제대 법문학부와 이공학부를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으로 통합하면서 문리대 문학부 심리학과로 개편되었다가 1975년 관악캠퍼스로 종합화되면서 문리대가 인문대/사회대/자연대로 재편될 당시 사회과학대학 소속이 되어 현재에 이른다. 심리학과 자치회는 2012년 학과제 전환과 비슷한 시기에 창립되었다.

곽금주 교수가 유명한데 뉴스데스크 게임 폭력성 실험 사건의 그 교수 맞다. 스랖에 곽서심교라는 멸칭으로 유명했으나 정작 과 학생들한테는 평가가 좋은 편이다. 라는 서술이 있지만 전공생들 안에서 곽금주 교수의 랩실은 타대생 학벌세탁 아니면 안간다는게 정설인데 대체 누가 평가가 좋다는 것인지는 모르겠다. 애초에 본인 전공수업을 강사한테 짬때리고 교양수업을 진행한 시점에서 평가가 좋을 수가 없다!

사회대 내의 일반적인 과들보다 등록금이 조금 더 비싼데 (아마 심리, 지리, 인류가 그럴 것이다) 지리와 인류는 답사 비용이라고 쳐도 심리는 도대체 왜 더 비싼 것인지 알 수가 없다.[9]

\

3.6. 지리학과

Department of Geography
1934 경성제국대학 예과 지리학교과목[10]
1936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 지리학강의[11]
1946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지리학과 (개설 취소)
1958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지리학과[12]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1934년 경성제대 예과 1학년 교과목으로 지리학(담당교수 啊部廣吉) 교과가 추가되었고 1937년부터 조선인 육지수 강사가 담당하기 시작했다. 1939년에는 지리학 교과가 확대되어 문과갑반(文科甲班) 학생이 2학년 때 이수하게 되었고 이과갑반(理科甲班)에 인접 학문인 광물지질학 수업이 개설되었다. 학부 본과에서는 1936년에부터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 학생의 필수이수과목으로서 지리학강의가 개설되었다.

1946년 서울대학교 설립 당시 개설 계획이 세워졌었으나 학생을 모집하지 못하고 개설이 불발되었다. 이후 육지수 교수의 노력으로 1955년 재설립이 결정되어 1958년 제1회 신입생 15명이 입학하며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지리학과가 정식 출범했다. 초대 학과장은 사학과의 류홍렬 교수가 겸임으로 위촉되었고, 최초의 지리학과 전임교수로 육지수 교수가 부임하였다. 또 경성제대 법문학부 출신으로 1952~1958년 미국 유학을 마치고 돌아온 김경성 교수가 당해 지리학과에 부임하였다. 이외에도 서울대학교 사범대학의 이지호 김상호 교수와 건국대학교의 이봉수, 중앙대학교의 송종국 교수 등이 강사로 출강하였다. 상세내용은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30년사 참조.

지리학과 자치회는 2012년 창립되었다. 현재 학생투표로 선출되는 정·부회장 하에 각 학번 과 대표로 구성된다. 매년 2월 지리학과 신입생 OT를 준비한다. 그와 별도로 사진 동아리인 Geo-i 와 학술 동아리 G.E.T(Geographers Exploring The world)이 있고 각각 학과 지원 하에 활동 중에 있다.

가장 큰 연례 행사로는 1학기 춘계 국내답사/2학기 추계 해외(동아시아 국가)답사가 있다. 여담으로 지리학과의 등록금은 답사 지원금으로 인해 단과대 내 타과보다 비싸다. 기타 행사로는 1학기 지리인의 낮/2학기 지리인의 밤(구 지리학과 총MT)이 있다.
정원은 2020년 기준 24명이며, 성비는 대개 남초다.

2018년부터 인문대학 철학과, 종교학과, 서양사학과, 불어불문학과, 독어독문학과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외교학 전공과 정치학 전공, 지리학과, 인류학과와 같이 PPE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에서 최초로 개설한 프로그램이다. #

3.7. 사회복지학과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1959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문학부 사회사업학과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사업학과
1978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

사회사업학과 설립 이전인 1958년, 대학원과정으로 사회학과 사회사업전공이 한발 먼저 설립된 바 있다. 1959년 문리과대학 내 학부 사회사업학과 과정이 개설되었으며, 1979년 학과 명칭을 사회복지학과로 변경하였다. 1990년 1월에는 사회복지연구소가 설립되었으며, 대학원 중심 학부의 모습을 갖추었다.

사회복지학과 졸업생의 상당수가 대학원에 진학한 후 사회복지학 전공 교수, 혹은 국책 연구소에서 연구자의 길을 걷거나, 행정고시에 합격하여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등 관련 정부부처에 진출하고 있다. 최근에는 법학전문대학원에 진학하여 법조계에 진출하는 비율도 크게 늘었다.

학부 신입생 정원은 2025학년도 기준 18명이며, 10명의 전임교수진이 있다.

학생 조직의 경우, 2018년까지 두 개의 기구가 운영되었다. 기존에는 한길반 학생회 산하에 과/반 공동체인 사회복지/한길반이, 사회복지학과 산하에 과 자치회가 존재하였다. 그러나 2017학년도 이후 사회대 광역 모집 인원이 사라지면서 두 개의 기구는 통합되어 사회복지/한길반 학생회가 현재 운영되고 있다. 학회로는 문화예술학회 창과 시사사회학회 열음이, 동아리로는 독서토론동아리인 SWAN(Social Welfare Academic Network)이 있다.

3.8. 언론정보학과

Department of Communication
1975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신문학과
1997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언론정보학과

언론정보학과의 연원은 1963년 설립된 신문연구소와 1968년 설립된 신문대학원에서 찾을 수 있다.

1975년 서울대종합화계획에 따른 대학구조개혁의 일환으로 신문대학원이 폐지되고 신설 사회과학대학에 학부과정을 포함한 신문학과가 설립되었다.

1997년 학과명을 언론정보학과로 개칭했는데, 논의 과정에서 '소통학과' '미디어학부' 등 다양한 명칭이 거론된 바 있다고 한다.

4. 학생활동

4.1. 학생회

단과대학 학생회 슬로건: 진보의 요람 학생회 홈페이지# 페이스북 계정#

대학 내 페미니즘 관련해서 나름 유명한 유명한 사건인 서울대 담배녀 사건 피해자가 바로 이 사회대의 학생회장이었던 유수진씨다. 정치인이자 작가인 유시민의 딸이기도 하다.

이 사건에서 가해자인 이른바 담배녀는 사회대가 아닌 인문대 여학생이었는데, 이 사건의 자세한 내막을 잘 모르는 사람들에겐 피해자인 "사회대" 학생회장의 소속 단대인 사회대만 부각되면서 문제의 담배녀도 같이 싸잡아서 다 사회대생인 걸로 잘못 아는 이들이 많게 됐다. 그래서 나중에 언론이 페미니즘과 관련해서 이 사건을 인용할 때도 "사회대생인 담배녀" 라는 식으로 오보를 내는 경우들이 종종 있다. 그리고 학생회장 유수진씨가 문제의 담배녀인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이들도 꽤 있다.

4.2. 과/반체제

학과 슬로건 반명
정치외교학부 칠천만 민중의 창과 방패, 인민의 벗 정치외교/일치단결반
정치외교학부 흔들림 없는 시대의 길잡이 정치외교/나침반
경제학부 꺼지지 않는 진보의 횃불 경제A/불꽃반
경제학부 전진하는 바리케이드 경제B/飛반
경제학부 사랑과 꿈이 넘치는 경제C/始반
사회학과 해방사회 그날까지 사회/惡반
인류학과 하나의 소리를 향한 다양성의 고민 인류/한음반
심리학과 잠재된 무한의 가능성을 여는 우리 심리/알반
지리학과 칠천만 겨레에 가슴으로 답하라, 승리하는 해방겨레 지리/겨레반
사회복지학과 요람에서 무덤까지 민중복지의 한길 사회복지/한길반
언론정보학과 시대와 공명하는 사람의 소리 언론/꼼반

참고로, 과반 학생회가 2000년대 초반에 세워졌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슬로건에 운동권스러움이 느껴진다(...) 사회학과의 반명인 惡반은 사회학과에 운동권이 많아 높으신 분들이 '저것들은 사회악이다'라고 말한 것을 비꼰 것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온건(?)해 보이는 始반의 과반명도 "인민에 대한 사랑과 혁명에 대한 꿈이 넘치는"이었다. 한길반의 슬로건은 원래는 "요람에서 무덤까지" 없이 그냥 "민중복지의 한길"이었다. 그밖에도 정치/일치단결반의 '치'자는 한자로 致가 아니라 정치의 治로 표기한다.

5. 건물


파일:social1.jpg

파일:social3.jpg

사회과학대는 16동 본건물과 신양학술관을 쓰고 있다. 16동 본건물은 19,397㎡의 넓은 건물이긴 하지만 사회대 전체가 쓰기에는 상당히 좁고, 신양학술관은 소규모 건물이라 역시 한계가 있다. 현재 경제학부에서 단독 건물을 건축 중에 있어서 추후에는 공간 문제가 어느정도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


[1] 서울대학교 정치학과 60년사는 1946.4로 기록하고 있으나, 1945년 보도자료에 따르면 이미 정치학과가 개설되어 있었다. [2] 개설은 1955년, 그러나 55학번은 모두 분과 이전에 졸업했기 때문에 외교학과 학적 첫 졸업생은 56학번부터이다. [3] 1926년 법문학부 개교 당시 설치된 법률학과와 정치학과가 1927년 법학과로 통합. [4] 법학과를 제1류(사법학전공), 제2류(공법학•정치학전공), 제3류(경제학전공)로 전공구별. [5] 1900년 가쓰라 타로가 설립한 대만협회학교의 후신이다. 경성분교는 동양협회전문학교 조선어과 3학년생이 파견되어 설립되었다. 현재, 타쿠쇼쿠대학. [6] 행정과 폐지 [7] 학과명을 무역학과에서 국제경제학과로 변경. [8] 경제학과와 국제경제학과가 통합하여 경제학"부"가 되었다. [9] 교수들도 모른다고 둘러댄다...만 원래 명분은 실험비용이었다 [10] 담당교수 啊部廣吉(1934~1936), 육지수(1937~1945).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50년사>> 16쪽 참조. [11] 담당교수 多田文男(1936~1942 동경제국대학 조교수로서 방문교수 자격으로 담당), 保柳睦美(1942~1945, 경성제국대학 조교수).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50년사>> 16쪽 참조. [12] 전국최초 개설이다. 경희대학교 지리학과와 같은 년도에 개설도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3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3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