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위관의 양성 과정 |
간부( 장교) | 조( 부사관) | 사( 병) |
방위대학교 | 방위의대 | 간부후보생 | 항공학생 | 기술조 | 고등공과학교 | 일반조후보생 | 자위관후보생 |
防衛医科大学校 National Defense Medical College(NDMC) 방위의과대학교 |
|||||
# | |||||
분류 | 국립대학(부처대학교) | ||||
설립 | 1973년 | ||||
국가 |
[[일본| ]][[틀:국기| ]][[틀:국기| ]] |
||||
학장 | 시노미야 나리요시(四ノ宮成祥) | ||||
주소 | 사이타마현 소자와시 나미키 산쵸메 2번지 | ||||
링크 |
[clearfix]
1. 개요
1973년( 쇼와 48년) 설립된 일본국 방위성 산하 군의관 양성국립교육기관이다. 그렇기에 일본인만 입학 가능하다. 약칭은 防衛医大(ぼうえいいだい) 또는 防医(ぼうい). 소재지는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 나미키3-2(埼玉県所沢市並木3-2)에 위치한다. 부속병원으로 방위의과대학교병원이 있다. 참고로 일본에서는 대학교로 끝나면 특수단과대학을 가르키며 일반적인 종합대학은 대학으로 끝난다.[1]유튜브 자위대 모집채널에서 올린 방위의대 소개 영상이다.
2. 상세
제2차 세계 대전 패전 이후 전쟁 전 군대는 해체되고 평화헌법으로 인해 군대는 가질 수 없게 되었다. 단지, 자위권 행사를 위해 자위대가 설치되었고, 이들은 군인이 아니기에 타국처럼 강제적인 징병은 불가능해졌다. 당연히, 군에 필요한 의사들은 민간에서 자위대로 유입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했다. 우리나라 처럼 모든 남성을 징병자원으로 잡고 군복무를 좀더 편한 군의관 장교 입대나 공중보건의로의 활용은 일본에서는 불가능한 방법이였다. 따라서, 군 혹은 의료취약지의 의사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게 방위의과대학교와 자치의과대학[2]의 설립이였다.방위의과대학교는 자위대의 의관 획득을 위해 1974년에 처음으로 신입생을 받았다. 문부과학성 소속은 아니지만 일반대학의 의학부와 동등한 것으로 대우하는데, 군의관 중 치과의사는 양성하지 않고 민간에서 획득한다. 방위의대의 가장 큰 혜택은 입학비와 수업료는 무료[3]이며 학생으로서 방위성의 직원이 되기에 되려 국가로부터 월급을 지급받는다.[4]. 졸업하면 각 자위대별 간부후보생학교에서 6주간 교육[5]을 받고 의사고시를 치러 합격하면 중위에 해당하는 이등 육/ 해/ 공위 계급으로 임관한다. 그후 자위대병원이나 각 부대 의무대에서 근무한다.
의무복무기간은 9년이며 그 전에 퇴직할 경우 최대 5,021만엔까지 정부에 배상해야 한다. 그러나 문제는 자위대병원이나 위생대( 의무대) 근무가 임상에서 제한적인 영역인지라[6] 1/3 가량이 커리어에 불안을 느껴 9년 의무복무를 채우기 전에 그만두고 학비를 변제하는 길을 선택한다. 일반 의대생들과 비교해서, 어찌보면 고등학교보다 더 통제된 학생생활에 부담을 느끼고 중도퇴학 하는 케이스도 꽤 있다고 한다. 이 역시 다닌 기간 만큼 국가에서 부담해준 경비를 변제해야 한다.
미군의 군의관 양성기관인 미국국립군의관의과대학(USUHS)과 비교하면 미국의 의사양성과정이 그렇듯 대학원과정으로 장교로 임관 후 교육을 받으나 방위의대는 학부과정으로 방위성 소속 민간직원으로 교육받는다.
3. 역사
1973년 11월에 설립되어 이듬해 4월부터 신입생을 받았는데 당시엔 교사가 완성되지 않아서 항공자위대 이루마(入間) 기지[7]에서 임시로 학생을 수용했다, 동년 8월에 교사가 완공되면서 이전했다. 1975년엔 부속기관으로 고등간호학원(高等看護学院)을 설치했다.1974년 입학한 1기가 6년의 교육을 거쳐 1980년에 졸업한다. 1985년에 12기는 최초로 여성을 입학을 허용했으며 이는 방위대학교의 첫 남녀공학 기수인 40기(1992년 입학)보다 빠르다.
1987년 대학원이 인가되어 의학연구과(医学研究科)가 설치된다.
1996년 방위의학연구센터(防衛医学研究センター)가 설치된다. 2007년엔 간사[8]를 설치하고 학생부(생도대) 훈련과를 폐지한다.
2014년엔 간호학과가 신설되었다. 이곳을 졸업하면 간부후보생을 거쳐 보건사(保健師) 혹은 간호사(看護師) 특기의 간부자위관(장교)으로 임용된다.
2016년 3월자로 고등간호학원[9]이 폐지되었다.
4. 개설학과
- 학부
- 의학과 (6년제) - 의관(医官) 양성
- 간호학과 (4년제) - 자위관(自衛官) 혹은 방위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기관(技官) 양성[10]
- 대학원
- 의학연구과 - 수료[11]시 박사학위 수여
5. 입학 및 생활과정
5.1. 입학
당연히 일본인이어야 하며 입학연도 4월 1일 기준으로 18~21세여야 한다. 수험료는 무료이며 방위대학교와 함께 일반대학의 입학전형과는 일정이 달라 의대를 지망하는 수험생들이 동시 지원하는 경우가 많다. 수험료가 없고 최상위권은 돼야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에 타 국공립 의대를 지망하는 학생들이 무료 실력테스트로 이용해먹는다고 한다. 사실 이건 비단 일본만 그런 건 아니고 우리나라도 최상위권 학생들이 3군 사관학교 입학시험을 수능 전에 모의고사 개념으로 쳐보기도 한다.2014학년도부터 기존 의학부에 간호학과가 설치되어 군의관 자원을 80명, 간호장교 자원을 75명, 기관[12] 간호사를 약 45명 정도 선발하여 합해서 200명 정도를 뽑게 됐다. 물론 동기로 입학하더라도 군의관은 교육기간이 6년제 의과대학에 상응하여 6년, 간호사는 4년으로 달라서 임관년도는 다르다.
5.2. 생도생활
학생(생도)은 캠퍼스 내에서 집단 생활을 해야 한다. 교복은 방위대학교와 같은 것을 입는데 여학생은 다르다. 방위의과대학교 학생들은 결혼이 허용된다. 일과는 방위대와 거의 같아 6시 기상 후 아침 식사, 8시 국기게양식 후에 과업(수업) 시작, 11시 45분부터 13시까지 점심 식사, 오후 과업, 17시 15분 국기하강, 20시 50분 점호, 24시 취침이다. 평일의 외출은 17시부터 20시까지 가능하며 주말 외출은 학년마다 제한이 있다. 4학년 이후부터는 병원실습을 하게 되므로 위의 해당 시간은 4학년까지만 적용된다.
방위대생들은 교우회(동아리) 가입이 의무지만 방위의대생은 아니다. 2014년 4월부터 4년제로 간호학과 학생을 받아들인다.
졸업 후 부대 단위별 배정은 2008년에 졸업한 29기(2002년 입학) 59명 기준으로 육자대에 38명, 해자대 12명, 공자대 9명이 배정됐다.
5.3. 교육과정
5.3.1. 학부
- 의학과
- 진학과정(일반교육과목, 외국어과목, 보건체육과목, 기초교육과목)
- 전문과정(전문교육과목)
- 기초강좌(재생의학, 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약리학, 증세병리학, 면역/미생물학, 위생공중위생학, 국제전염병학, 법의학, 의학공학, 방위의학)
- 임상강좌(내과, 정신과, 소아과, 외과, 신경외과, 정형외과, 피부과, 비뇨기과, 안과, 이비인후과, 산부인과, 방사선과, 마취, 임상시험과)
- 훈련과정
- 체육
- 기본교련(도수제식, 체육일반, 수영, 스키, 교육법)
- 부대실습
5.3.2. 대학원
- 의학연구과
- 종합기초의학군
- 종합생리학계(해부학, 생리학, 생화학, 약학, 의학전자공학, 분자생체제어학
- 종합병리학계(병리학, 미생물/면역학, 기생충학)
- 종합사회환경의학계(위생학, 공중위생학, 법의학)
5.3.3. 임상
- 전체임상의학군
- 응급의학및초기진료의학계(종합내과, 외과기초진료, 구급의학, 집단임상의학, 임상병리학, 마취/소생의학, 성장발달임상학)
- 성인의학계(순환기과, 호흡기과, 소화기관과, 신장내과, 내분비/대사과, 알러지/교원(膠原)과, 혈액과, 신경과, 정신과, 정형외과, 피부과, 비뇨기과, 안과, 이비인후과, 산부인과, 방사선과, 구강외과)
5.3.4. 연구
- 동물실험시설
- 공동이용연구시설
6. 부속기관
6.1. 방위의과대학교병원
병상 수는 800병상이며 15개 진료과를 가졌다. 방위의대와 마찬가지로 사이타마현 도코로자와시에 있다.
6.2. 기타
- 방위의학연구센터
- 방위의과대학교 도서관
- 고등간호학원 (2014년 폐지)
7. 출신인물
- 가나이 노리시게(金井宣茂): 해상자위대 잠수의관, JAXA 우주비행사, 최종 계급 일등해위( 대위)
- 우와베 야스히데(上部泰秀): 육상자위대 자위대중앙병원장, 최종 계급 육장( 중장)
[1]
이점은 우리와 반대다. 우리는 종합대학을 대학교라고 부르고 단과나 전문대학은 대학 혹은 전문대학으로 끝나고 대표자도 학장으로 제한했었다. 2010년경 규제완화로 지금은 전문대도 다 대학교라고 한다.
[2]
일본의 지방자치단체들이 합심해서 세운 사립대학이다. 학비 무료의 혜택이 있기에 엄청난 학비를 자랑하는 사립의대중에서는 가장 입결이 높다. 단지, 졸업해서 의사면허를 따면 우리 공중보건의 같은 의무복무를 해야한다.
[3]
국립대의대의 경우 일년학비가 5-600만원 사이이나 사립의대는 최하가 수천만원이다.
[4]
자위관은 아니며 직원대우이다. 2006년 기준 월급여는 10만 6,700엔이며 기말수당은 연간 38만엔이였다
[5]
굉장히 짧은 거다. 보통
간부후보생들은 6개월에서 1년씩 받는다.
[6]
일반 종합병원에 비해 군병원의 임상케이스는 당연히 제한적일수 밖에 없다. 거기에 연구역량도 떨어지고.
한국도 그렇지만 일본도 큰 수술이라면 군 병원보단 민간병원을 선호하는 편이고.
[7]
사이타마현에 소재한 이루마 공항 옆이다.
[8]
방위대나 방위의대나 민간요원이 주축이지만 간사는 현직 자위대원이 한다.
[9]
일본은 최근까지 간호사를 부사관으로 두었지만 앞으론 장교로 다 갈음할 계획이다.
[10]
자위대가 군대는 아니지만 우리식으로 보면 간호장교가 될것이냐 병원에 근무하는 군무원이 될것이냐 차이정도
[11]
한국에서는 수료가
영구수료의 의미로 쓰이지만 일본에서의 수료는 논문이 통과되어 졸업했다는 뜻이다. 일본에서는 영구수료를 만기퇴학이라고 한다.
[12]
技官. 방위성 소속의 기술관으로
자위대병원이 아닌 방위성 소속의 병원 등에서 근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