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22:22:53

게이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케이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AF001F, #BD0029 20%, #BD0029 80%, #AF001F); color: #DCA6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FEFA7,#5A004A>
[[아스카 시대|
아스카
시대]]
다이카(大化) 하쿠치(白雉) - 슈초(朱鳥) - 다이호(大宝) 게이운(慶雲) 와도(和銅)
와도(和銅) 레이키(霊亀) 요로(養老) 진키(神亀) 덴표(天平) 덴표칸포(天平感宝) 덴표쇼호(天平勝宝) 덴표호지(天平宝字) 덴표진고(天平神護) 진고케이운(神護景雲) 호키(宝亀) 덴오(天応) 엔랴쿠(延暦)
[[헤이안 시대|
헤이안
시대]]
엔랴쿠(延暦) 다이도(大同) 고닌(弘仁) 덴초(天長) 조와(承和) 가쇼(嘉祥) 닌주(仁寿) 사이코(斉衡) 덴난(天安) 조간(貞観) 간교(元慶) 닌나(仁和) 간표(寛平) 쇼타이(昌泰) 엔기(延喜) 엔초(延長) 조헤이(承平) 덴교(天慶) 덴랴쿠(天暦) 덴토쿠(天徳) 오와(応和) 고호(康保) 안나(安和) 덴로쿠(天禄) 덴엔(天延) 조겐(貞元) 덴겐(天元) 에이간(永観) 간나(寛和) 에이엔(永延) 에이소(永祚) 쇼랴쿠(正暦) 조토쿠(長徳) 조호(長保) 간코(寛弘) 조와(長和) 간닌(寛仁) 지안(治安) 만주(万寿) 조겐(長元) 조랴쿠(長暦) 조큐(長久) 간토쿠(寛徳) 에이쇼(永承) 덴기(天喜) 고헤이(康平) 지랴쿠(治暦) 엔큐(延久) 조호(承保) 조랴쿠(承暦) 에이호(永保) 오토쿠(応徳) 간지(寛治) 가호(嘉保) 에이초(永長) 조토쿠(承徳) 고와(康和) 조지(長治) 가쇼(嘉承) 덴닌(天仁) 덴에이(天永) 에이큐(永久) 겐에이(元永) 호안(保安) 덴지(天治) 다이지(大治) 덴쇼(天承) 조쇼(長承) 호엔(保延) 에이지(永治) 고지(康治) 덴요(天養) 규안(久安) 닌페이(仁平) 규주(久寿) 호겐(保元) 헤이지(平治) 에이랴쿠(永暦) 오호(応保) 조칸(長寛) 에이만(永万) 닌난(仁安) 가오(嘉応) 조안(承安) 안겐(安元) 지쇼(治承) 요와(養和) 주에이(寿永) 겐랴쿠(元暦)
[[가마쿠라 시대|
가마쿠라
시대]]
겐랴쿠(元暦) 분지(文治) 겐큐(建久) 쇼지(正治) 겐닌(建仁) 겐큐(元久) 겐에이(建永) 조겐(承元) 겐랴쿠(建暦) 겐포(建保) 조큐(承久) 조오(貞応) 겐닌(元仁) 가로쿠(嘉禄) 안테이(安貞) 간키(寛喜) 조에이(貞永) 덴푸쿠(天福) 분랴쿠(文暦) 가테이(嘉禎) 랴쿠닌(暦仁) 엔오(延応) 닌지(仁治) 간겐(寛元) 호지(宝治) 겐초(建長) 고겐(康元) 쇼카(正嘉) 쇼겐(正元) 분오(文応) 고초(弘長) 분에이(文永) 겐지(建治) 고안(弘安) 쇼오(正応) 에이닌(永仁) 쇼안(正安) 겐겐(乾元) 가겐(嘉元) 도쿠지(徳治) 엔쿄(延慶) 오초(応長) 쇼와(正和) 분포(文保) 겐오(元応) 겐코(元亨) 쇼추(正中) 가랴쿠(嘉暦) 겐토쿠(元徳)
남조
겐코(元弘)
북조
겐토쿠(元徳) 쇼쿄(正慶)
겐코(元弘) 쇼쿄(正慶)
겐코(元弘) 겐무(建武)
[[무로마치 시대|
무로마치
시대]]
남조
엔겐(延元) 고코쿠(興国) 쇼헤이(正平) 겐토쿠(建徳) 분추(文中) 덴주(天授) 고와(弘和) 겐추(元中)
북조
겐무(建武) 랴쿠오(暦応) 고에이(康永) 조와(貞和) 간노(観応) 분나(文和) 엔분(延文) 고안(康安) 조지(貞治) 오안(応安) 에이와(永和) 고랴쿠(康暦) 에이토쿠(永徳) 시토쿠(至徳) 가케이(嘉慶) 고오(康応) 메이토쿠(明徳)
메이토쿠(明徳) 오에이(応永) 쇼초(正長) 에이쿄(永享) 가키쓰(嘉吉) 분안(文安) 호토쿠(宝徳) 교토쿠(享徳) 고쇼(康正) 조로쿠(長禄) 간쇼(寛正) 분쇼(文正) 오닌(応仁)
[[센고쿠 시대|
센고쿠
시대]]
오닌(応仁) 분메이(文明) 조쿄(長享) 엔토쿠(延徳) 메이오(明応) 분키(文亀) 에이쇼(永正) 다이에이(大永) 교로쿠(享禄) 덴분(天文) 고지(弘治) 에이로쿠(永禄) 겐키(元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겐키(元亀) 덴쇼(天正) 분로쿠(文禄) 게이초(慶長)
게이초(慶長) 겐나(元和) 간에이(寛永) 쇼호(正保) 게이안(慶安) 조오(承応) 메이레키(明暦) 만지(万治) 간분(寛文) 엔호(延宝) 덴나(天和) 조쿄(貞享) 겐로쿠(元禄) 호에이(宝永) 쇼토쿠(正徳) 교호(享保) 겐분(元文) 간포(寛保) 엔쿄(延享) 간엔(寛延) 호레키(宝暦) 메이와(明和) 안에이(安永) 덴메이(天明) 간세이(寛政) 교와(享和) 분카(文化) 분세이(文政) 덴포(天保) 고카(弘化) 가에이(嘉永) 안세이(安政) 만엔(万延) 분큐(文久) 겐지(元治) 게이오(慶応)
일세일원제
메이지(明治) 다이쇼(大正) 쇼와(昭和) 헤이세이(平成) 레이와(令和) }}}}}}}}}}}}

게이오
慶応
<colbgcolor=#bd0029><colcolor=#dca600> 일본어 [ruby(慶, ruby=けい)][ruby(応, ruby=おう)]
개막 1865년 5월 1일
종막 1868년 10월 22일(4년)
천황 고메이 천황(~1867)
메이지 천황(1867~)
정이대장군 도쿠가와 이에모치(~1866)
도쿠가와 요시노부(1867~1868)
이전 겐지(元治)
이후 메이지(明治)

1. 개요2. 설명

[clearfix]

1. 개요

고메이 천황 메이지 천황이 재위했던 시기에 사용했던 연호.

2. 설명

메이지 시대에 일세일원제가 확립되기 이전까지, 일본에서는 '혁명개원(革命改元)'이라 하여 역학적으로 큰 변화의 기운이 일어나는 신유년과 갑자년에 연호를 바꾸어서, 반역의 기미를 차단하고 자연재해 등으로부터 액땜을 하는[1] 주술적인 관습이 있었다. 1865년 역시 갑자년이라서 연호를 바꾸어야 했던 일본 조정은 신하들(실질적으로는 도쿠가와 막부)로부터 연호를 건의받아 그 중에서 채택했는데, 구와나 번 번주인 마쓰다이라 사다아키(松平定敬, 1847 ~ 1908)가 올린 연호 후보 중에서는 간에이(乾永), 분류(文隆), 다이레키(大暦), 만토쿠(万徳), 게이오(慶応), 메이테이(明定), 덴세이(天政)가 있었고, 공가인 다카쓰지 오사나가(高辻修長, 1840 ~ 1921)가 올린 연호 후보로는 헤이세이(平成)[2]가 있었다.

이를 받은 당시 쇼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는 '무엇으로 채택되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예려(叡慮)[3]하신 바와 같이 게이오(慶応)가 마땅할 것으로 생각되옵니다[4]'라며 고메이 천황의 의향을 전적으로 따를 것이라는 의향서[5]를 조정에 바쳤다. 이로써 에도 시대 내내 관습적으로 막부가 건의해서 결정하던 연호 제도는 끝을 고하게 되었고, 얼마 안 가 1868년 10월 23일 메이지(明治)로 개원하면서 일세일원제가 시작된다.

해당 연호의 출전은 소명태자가 편집한 문선(文選)의 다음 구절이다.
輝,皇階授木。(경운응혼 황계수목)
상서로운 구름이 응하여 밝게 빛나매, 황위는 목덕(木德)에게 하사되었도다.[6]
《문선(文選)》, 한고조공신송(漢高祖功臣頌) 중에서

일본의 사립대학인 게이오기주쿠대학이 이 연호에서 유래했다.


[1] 마치 압력솥으로 밥을 지을 때 솥이 폭발하지 않도록 증기를 빼주는 것과 같다고 이해하면 된다. [2] 이는 124년 뒤인 1989년 1월 8일부터 2019년 4월 30일까지 사용했던 연호가 된다. [3] 임금의 심려(心慮) [4] 「何以被採用所存無之候」「叡慮之通慶応可然被存候」 [5] 특정 업무를 수행할 의향을 밝히는 문서 [6] 고대 중국의 제자백가 음양가에서는 오행의 순서에 따라 천명이 이어진다고 여겼는데, 이를 '오덕종시설'이라고 한다. 선양의 경우에는 상생, 선양이 아닌 경우에는 상극으로 보았다. 헌원황제는 토덕, 하나라는 목극토의 목덕, 은나라는 금극목의 금덕, 주나라는 화극금의 화덕, 진나라는 수극화의 수덕, 전한은 토극수의 토덕이었다가, 한무제 때 상생설을 받아들이면서 수생목의 목덕이 전한을 상징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