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종(軍種)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일반 편성 | |||||
육군 | 해군 | 공군 | ||||
특수 편성 | ||||||
공수부대 | 산악부대 | 특수부대 | 해병대 | 방공군 | 우주군 | |
전략로켓군 | 사이버군 | 의무군 | 군수군 | 내무군 | 국경경비대 | |
해안경비대 | 헌병대 | 친위대 | 공공부대 | 외인부대 | 예비군 | |
민병대 | 연합군 | 합동군 | 통합군 | |||
※ 준군사조직 포함 |
군종(軍宗) 관련 틀 | |||||||||||||||||||||||||||||||||||||||||||||||||||||||||||||||||||||||||||||||||||||||||||||||||||||||||||||||||||||||||||||||||||||||||||||||||||||||||||||||||||||||||||||
|
1. 軍種
'군별(軍別)'이라고도 한다. 영어로는 '(military) branch'라고 한다. 독립적으로 작전이나 전투를 할 수 있는 무장력의 구성부분을 의미한다. 흔히 '병종'이나 '병과'와 혼동되고는 하지만, 의미나 용례가 다소 다르다. 병과는 군종보다 하위 개념으로서 군종 내에서 임무에 따라 군인에게 부여하는 전공분야인 군사특기를 가리키며, 병종은 사전적으로는 군종과 병과의 뜻을 모두 지니나 실제 사용에서는 대개 군종보다는 병과에 가까운 뜻으로써 쓰인다.전통적으로는 주로 육군과 해군으로 나누어졌으며, 전쟁 양상의 변화와 기술 발전, 군 조직의 고도화 등에 따라 그 밖의 새로운 군종이 탄생하였다. 현대에는 2군체제를 유지하거나 공군 정도가 추가되어 3군 체제인 경우가 가장 흔하다. 현대 대한민국 국군은 " 대한민국 육군", " 대한민국 해군/ 대한민국 해병대", " 대한민국 공군"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존재하는 군종의 종류는 다음과 같다.
- 육군
- 해군
-
공군
항공기의 발달과 제공권의 중요성 증대에 따라 육군 항공대와 해군 항공대에서 공군으로 발전해 독자적으로 분립·추가되어 3군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많다. 현대에는 우주 군사작전의 중요성이 대두하면서 우주군을 창설하는 대신 공군을 항공우주군으로 개편하는 국가들도 있다. -
헌병대(Gendarmerie)
각군 군사경찰(Military Police)이 각자 군사치안을 담당하는 것과는 달리 서유럽권 전통의 헌병은 독립군종으로서 민간치안과 군사치안을 모두 맡는다. 헌병대의 소속은 국방부이며 전시에 전투병력으로서 지휘통제를 받지만, 평시에는 내무부에 배속되어 감독받는 경우가 많다. 4군 체제인 경우, 상기한 3군에 더해서 헌병대가 독립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국가에 따라서는 역으로 군종이 헌병대만 존재하기도 한다.
참고로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개념인 동유럽권식 내무군은 치안 임무를 위하여 무장화한 민간경찰 기원으로서 준군사조직으로 간주되며, 평시에도 국방부가 아닌 내무부에 예속되어 있다. -
해병대
상륙전의 발달에 따라 상륙전력을 중시하는 국가들 중에는 해군육전대에서 해병대로 분립한 나라들도 있다. 다만, 진짜로 완전 독립 군종으로 떨어져 나온 사례는 미합중국 해병대 정도를 제외하면 매우 드물다. 일반적으로는 해군이나 육군의 하위 편제인 경우가 많다. -
공수군
동유럽권 국가들은 내륙에 위치하여 광대한 국토에 비해 바다와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은데, 그에 따른 전략기동성 문제를 공수부대 강화로써 극복하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국가들에서는 아예 독립군종으로서 국방부나 총참모부에 직속시키는 경우가 많다.
이밖에도 국가에 따라서 전략무기를 다루는 "전략군" 혹은 "전략로켓군", 우주 군사자산을 다루는 "우주군", 방공전력을 통제하는 "방공군", 국경수비대를 확대한 "국경군", 특수전 전력을 운용하는 "특수군" 등 다양한 군종이 있다.
군 조직 내 각 군종에 대한 군정권과 군령권, 지휘체계 등에 따라 "단일군제"-" 통합군제"와 "병립군제"-" 합동군제"로 유형이 나뉜다. 세계적으로는 대부분 합동군 체제이지만, 통합군으로 편성하는 나라도 존재한다.[1] 대표적으로 이스라엘군(거의 단일군제), 러시아 연방군, 중국군, 북한군이 있다.
미군은 기본 구성인 육해공 외에 해병대와 해안경비대도 육군, 해군에 준하는 규모를 갖추고 있다. 근래에는 우주군도 별도의 군종으로 창설하면서 도합 6개 군종이 규정되어 있다.
소련의 구성국들은 서방권 군대와는 달리 통합군에 가까운 체제로서 상이한 조직체계를 지녔다. 예컨대 소련에서 정규군은 "군대"(Army), "함대"(Fleet)로 나뉘었고, 군대 아래에 "지상군"(Ground Force)과 " 방공군", "공군", " 전략로켓군"[2]이, 함대 아래에는 "해군"이 소속되었으며, 그와 별도로 최고사령부 직속으로 "공수군"과 "우주군" 군종이 있었다. KGB 산하 "국경군"이나 내무부 산하 "내무군" 등 준군사조직이 존재하였으나, 자체적인 기갑전력과 특수부대를 보유하는 등 사실상 군대에 가까운 조직이었다.
오늘날 러시아 연방군은 육해공 삼군 체계에 미사일 공격을 하는 전략로켓군 + 미사일 방어와 인공위성을 관리하는 우주군 + 공수부대를 확대편성한 공수군의 독립군종이 추가되어 있다. 현재 대부분의 소련 출신 국가들은 육해공으로 통합하는 중이다.
중국군은 전구(구 군구)가 나뉘어져 있어 군종보다 군구가 더 위세가 있던 시절도 있었지만 현재는 통합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독일군은 각 군에 공통되는 지휘, 병참, 통신, 헌병, 교육을 통합하여 군수군으로 만들고, 의료부대를 통합하여 의무군으로 만들었다. 단 군수군과 의무군은 별개 군종은 아니며, 육해공군의 해당 특기 인원들을 배속시켜 근무하는 일종의 국방부 직할부대다. 이는 엄밀히 따지면 한국어 번역의 오역인데, 의무군의 원어는 "Zentraler Sanitätsdienst der Bundeswehr"로 영어로 직역시 "Central Health Service, the Federal Defence Forces",[3] 한국어로는 "중앙 보건서비스(부대), 연방 방위군"이 되며, 군수군의 원어는 "Streitkräftebasis"로서 영어로 옮기면 "Armed force Foundation"[4], 한국어로 "국군 기반(부대)"가 되기 때문이다. 얼핏 독립군종처럼 보이는 것은 이를 "―군"으로 옮겨서 발생하는 현상이다. 다른 외국군 조직에 대한 역어들이나 국군 조직명을 참고하여 적당히 의역하면, "의무군"은 "연방군 중앙 의무국" 혹은 "연방군 의무사령부", "군수군"은 "국군 군수국"이나 "국군 군수사령부" 정도로 번역하는 것이 적절하다.
폴란드군은 특이하게도 각군 산하에 있던 특수부대를 종합하여 독립군종으로서 특수군을 창설하였다.
우크라이나군은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여러 군종이 탄생하였는데, 특수군이나 해군보병대 뿐만 아니라 무인장비군과 같은 새로운 개념의 군종이 탄생하였다.
2. 軍宗
군 내에서 종교 병과를 말한다. 군종의 주요 임무는 군 장병들의 사기증진과 정신전력의 강화, 그로 인한 전투력 보존에 있다. 해당 군사특기자의 군 생활에 관해서는 군종병과 군종장교 문서를 참조할 것.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과거의 군대에서는 출정 전에 제사를 올린다든가 하는 일이 있기는 했지만, 이러한 종군 성직자들의 역할이 오늘날의 군종과는 많이 다르므로 현대적인 개념의 군종은 서양의 군사 전통에서 출현했다고 보는 게 맞을 듯 하다.
대한민국 국군에서는 불교( 조계종), 개신교[5], 천주교, 원불교로 이루어져 있다. 미군은 개신교, 천주교, 유대교가 전통적인 군종이었고, 1943년에 정교회가 추가되고, 1990년대에는 이슬람, 불교가 추가된 후 2010년대 기준으로 힌두교 군종을 시범적으로 운용하고 있다. 이스라엘군은 유대교, 드루즈, 개신교, 천주교, 불교, 이슬람 군종을 두고 있다. 대한민국 국군은 건군기에 미군의 모델을 많이 따 왔기 때문에 대한민국의 전통적인 무속신앙 등은 군종에 포함되지 않았다.
대한민국 국군에서 군종 장교의 진급 상한선은 대령이다. 군의관의 최고인 국군의무사령부의 의무사령관은 원래 소장이지만 중장까지 진급한 사례가 있는데 비해 군종은 대령이 사실상 한계다. 법무도 고등군사법원장이 준장이라 미군처럼 군종사령부를 설치해 달라고 하지만, 현실적으론 이뤄지기 힘들 듯. 근데 미국도 번역을 "군종사령부"라고 해서 그런 것이지, 실제로 군종사령부(military chaplain command)가 있는 게 아니다. 그냥 군별로 군종감과 군종실이 있는 수준이다. 미군은 육군 군종병과장이 소장이며, 그 아래로 준장이 3명 있다.
2.1. 대한민국 국군
대한민국 국군의 군종 | |||
개신교[6] | 가톨릭[7] | 불교 | 원불교 |
군종 목사 | 군종 신부 | 군종 승려 | 군종 교무 |
|
|
|
|
대한민국 육군의 군종 병과 휘장 | |||
|
|
|
|
대한민국 공군의 군종 병과 휘장 |
2.1.1. 육군
육군의 경우 군종장교는 340명. 이 중 최요직은 당연히 대한민국 육군본부이고, 그 다음이 육군교육사령부로 알려져 있다.대령 박근호 알렉산델 신부(대구대교구)가 2023년부터 육군 군종병과장 및 육군본부 군종실장을 맡고 있다. 관련기사
2.1.2. 해군
대령 서하기 신부가 2014년 4월부터 해군 군종감을 맡고 있다.대령 이희찬 목사가 2020년 1월부터 해군 군종실장을 맡고 있다.
대령 이경한 법사가 2022년 1월부터 해군 군종병과장 및 해군본부 군종실장을 맡고 있다.
대령 김준래 신부가 2024년 1월부터 해군 군종병과장 및 해군본부 군종실장을 맡고 있다. 관련기사
2.1.3. 공군
이일우 목사가 2022년 말까지 제 30대 대한민국 공군 군종병과장을 맡고 대령으로 전역하였다. 관련기사중령 정연호 법사(진홍 스님)가 2023년부터 공군 군종병과장 및 공군본부 군종실장을 맡고 있다. 관련기사
2.2. 미군
2013년 12월 기준으로 2,900명의 군종장교가 근무하고 있다.
|
2008년 8월 29일
이라크에서
무슬림 병사들에게 설교 중인 미합중국 육군의 이슬람 군종 이맘 이브라힘 라힘(Ibraheem Raheem) 소령. 명찰 윗부분에 부착된 초승달 마크는 이슬람 군종장교를 상징하는 병과 휘장이다.[8] 참고로 라힘 소령은 2008년 당시 단 6명 뿐인 육군 이슬람 군종장교 중 한 명이었다. |
미군의 군종 | ||||
기독교[9] | 유대교 | 이슬람교 | 불교 | 힌두교 |
특이한 점은 육군의 군종 장교들은 전투모와 베레모에 계급장이 아니라 종교 휘장을 단다. 위의 휘장들이 다른 병과와 달리 은색인 것도 그 때문일 것이다. 미군의 장교 계급장은 소위와 소령을 빼면 전부 은색이니까. 전투복에는 다른 장교들과 똑같이 계급장이 달려있고, 다만 이름 위에 해당 종교 마크가 있다. 원래 미 육군 장교들과 준사관들은 BDU 시절까지는 전투복 오른쪽 옷깃에 계급장, 왼쪽 옷깃에 병과 마크를 부착했으나 ACU 채택 이후론 다른 병과 장교들과 준사관들은 병과 마크를 부착하지 않는데, 군종장교들만 위치를 바꿔서 종교마크를 여전히 달고 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대한민국에 주둔 중인 주한미군 군종들이 복무하고 있다. 보통 대대 단위로 복무하며 아래 처럼 종교에 구분은 있으나 종교에 관계 없이 병/장교에 대한 가벼운 상담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10] 미군은 법적으로 군종장교의 상담이 보장되어 있으며, 상담 비밀 보장의 원칙 또한 강력하게 법적으로 유지된다. 또 다른 주 임무는 병/장교가 아파서 입원을 했을 때 바로 문병을 가는 역할이다. 참고로 이는 엄연히 미군에 소속되어 일하는 KATUSA에게도 적용된다. 흔치 않은 일이지만 카투사로 복무 중 대한민국 국군병원에 입원하게 된다면 2-3일 내에
2.2.1. 합동군종센터
|
Armed Forces Chaplaincy Center. 사우스캐롤라이나에 주둔하며 미군 군종 관련 업무를 집행한다. |
2.2.2. 육군 군종실
|
United States Army Chaplain Corps. |
|
군종감 |
|
데이비드 루더포드 |
가톨릭 |
2.2.3. 해군 군종실
|
미합중국 해병대와 해안경비대의 군종실도 포함한다. |
2.2.4. 공군 군종실
|
2.3. 이스라엘군
|
2010년까지
이스라엘군의 수석 랍비직을 맡았던 아비차이 론츠키(Avichai Rontzki) 준장.
출처 선해 보이는 인상과 달리 2008-2009년 가자 전쟁 당시 일선 장병들에게 인종주의적 증오와 팔레스타인 민간인 공격을 부추기는 내용의 교육을 하다가 국내외적으로 비난을 받은 인물이다. 결국 전쟁 끝난 이듬해 수석 랍비직에서 물러났다. |
이스라엘은 유대교와 드루즈 신자만 징병되고 나머지는 모병인데도 불구 타 종교를 믿는 경우 이에 따른 군종장교를 운영한다. 이스라엘군이 인정하는 종교는 불교(대승불교, 상좌부불교 통합), 기독교 계열(개신교, 가톨릭), 유대교, 드루즈교, 이슬람(시아파, 수니파 통합)이며 종파 구분은 없다.
2.4. 러시아군
|
전투 전 예배를 올리는 러시아군 정교회 군종 사제 |
러시아군에는 러시아 정교회가 초강세지만 중앙아시아 출신 이민자가 많아 그다음으론 이슬람이 많다. 티베트 불교[11]도 인정되어 군종스님도 있다.
|
2023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인터뷰 중인 러시아 육군의 이슬람 군종 이맘 유수프 압두라만 무사 호세인 소령. 러시아 내에서 이슬람 비율이 높은 체첸 지역 출신이라고 한다. |
야전 군종이 발달하여 공수부대는 성당과 함께 강하한다. 강하 후에 장병들이 세우는 성당이 있는가 하면 아예 공수성당차량도 존재하며, 저 공수 차량 안에는 에어컨 및 편의 시설과 미사용 제단 같은 게 포함되어 있다고 한다.
[1]
단일군은 대단히 문제가 많은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예컨대
캐나다군은 한때 육군, 해군 및 공군을 없애는 등 공식적으로 인류 역사상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단일군을 추구했다가 성급한 조치로 결론내리고 다시
합동군으로 전환하고 있다.
# 참고로
대한민국 국군의 해·공군 비중은 캐나다군과 비교하면 그들의 2/3 수준이다.
[2]
공군이나 방공군 등이 육상전력에 포함된 것은 소련군 자체가 광활한 영토를 지켜야 해서
육방부 성격이 짙었기 때문이었다. 즉, 주 전력인 육군을 보조하는 역할이 큰 지분을 차지했다.
[3]
Sanitätsdienst는 "Sanitäts"(health)+"dienst"(service, duty)의 합성이다. 참고로 미국에도 이와 유사한
미합중국 공공보건임무단이 있는데, 이쪽은 군대의료가 아닌 대민의료에 종사한다.
[4]
Streitkräftebasis는 "Streitkräfte"(Armed force)+"basis"(foundation)의 합성이다. 즉, 군대의 기초, 기반, 토대가 되어주는 군수를 담당한다는 뜻이다.
[5]
대한민국 국군 공식 명칭은 기독교이다.
[6]
국군 공식 명칭은 기독교
[7]
국군 공식 명칭은 천주교
[8]
출처 BDU 시절에는 준위 이상 대령 이하 모든 장교들이 왼쪽 옷깃에 병과 휘장을 부착했으나 ACU가 도입된 후 병과 휘장을 부착하지 않게 되었지만, 유독 군종장교들은 ACU에도 자신들의 종교 휘장을 계속 달고 있다.
[9]
가톨릭과
정교회,
개신교 뿐만 아니라
안식교와
몰몬교도 포함된다.
[10]
상담/카운셀링은 미국 문화에서 꽤나 중요한 일이다.
[11]
러시아의 자치공화국 중
투바 공화국
칼미키야 공화국,
부랴티야 공화국이 몽골 문화권이라 티베트 불교 또한 주요 종교로 자리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