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1.1. 대한민국 육군
2. 종류2.1. 8cm 그라나트베르퍼 34 (8cm GrW 34)
3. 동구권4. 대중매체에서5. 관련 문서2.1.1. 둘러보기
2.2. 브랑 Mle 27/312.2.1. 둘러보기
2.3. 97식 곡사보병포2.4. Mortaio da 81 Mod. 352.5. M12.6. L162.6.1. 둘러보기
2.7. M29 / KM29A12.7.1. 둘러보기
2.8.
M2522.9. KM-1872.10. (한국 육군) 신형 81mm 박격포2.11.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2.11.1. 둘러보기
2.12. 오드넌스 ML 3인치 박격포2.12.1. 둘러보기
1. 개요
81㎜ 박격포는 주로 대대급 지원화기 또는 중대급 지원화기로 사용되는 박격포로서, 경(輕)박격포로 분류되는 50㎜ 박격포 및 60㎜ 박격포보다 좀 더 체급이 크기에 중(中)박격포로 분류된다. 중(重)박격포로 분류되는 107㎜ 박격포( 4.2인치 박격포) 및 120㎜ 박격포에 비해서는 체급이 작다. 도수운반으로 운용 가능한 화기들 중에서는 가장 무거운 축에 속한다.1.1. 대한민국 육군
한국 육군의 보병대대의 경우 60㎜ 박격포가 3개의 소총 중대 포반에 3문씩 9문, 81㎜ 박격포는 중화기 중대 3개 소대에 4문씩 12문이 있다. 과거에 단일 화력으로도 숫자로도 대대 내에서는 최고의 화력이었으나 한국군의 차량화 추세로 인해 중대급 지원화기로 내려갔다. (더 자세한 것은 아래의 신형 81㎜ 박격포 문단 참조)2. 종류
2.1. 8cm 그라나트베르퍼 34 (8cm GrW 34)
Der Granatwerfer 34
전장: 1,143mm
구경: 81.4mm
중량: 57 ~ 62kg
포구초속: 174m/s
발사속도: 분당 18발
최대사거리: 2,400m
유효사거리: 1,200m
조작인원: 3명
제2차 세계 대전 시기 독일군이 사용했던 박격포. 8cm sGrW 34(Schwerer Granatwerfer 34, 34년도형 중박격포)로도 부른다. 8cm라곤 하지만 실 구경은 81mm.
보통 차량에 싣거나 말로 견인하지만, 3분할해서 도수운반도 가능하다. 하지만 도수운반시엔 무게가 과하기 때문에, 포신 길이를 줄이고 경량화한 'Der Kurzer 8-cm-Granatwerfer 42'가 공수부대 등에 배치되었다.
평범한 HE탄과 연막탄 외에 Wurfgranate 39라는 독특한 도약탄도 썼는데, 탄두 전방에 약간의 부스터를 달아놔서 착탄하면 20피트 정도 튕겨올라 공중폭발한다. 퓨즈 조절 없이 바로 쏠 수 있는 장점이 있다고.
2.1.1.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나치 독일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Gew71V, Gew88/05V, Gew98V, Kar98k, VKV, G98/40, G24(t), G33/40(t), G29/40(p) | |||
반자동소총 | G41, G43, VG 1-5V, ZH-29 | ||||||
자동소총 | FG42, MKb42, MP43, StG44 | ||||||
산탄총 | 컴비네이션 건 | M30 | |||||
기관단총 | 독일제 | MP18, MP28, MP35, EMP35, M712,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 |||||
외국제 | MP34, ZK-383, MP739(i), KP/-31 | ||||||
권총 | M1883,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VolkspistoleV, P645(p), P671(i)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G13, VMG27, MG30, IMG28(p), MG35/36, MG26(t), MG30(t) | ||||
중기관총 | MG08, MG34, MG42, MG81, MG07/12, MG37(t) | ||||||
대전차화기 | 대전차 소총 | PzB 35(p), PzB 38/39, PzB M.SS.41, S-18 | |||||
대전차 로켓 | PzF, RPzB 43, RPzB 54, RPzB 54/1 | ||||||
기타 | Sturmpistole, H3, H3.5 | ||||||
화염방사기 | FmW 35, FmW 41/42 | ||||||
박격포 | 8cm GrW 34/42, 5cm leGrW 36, 12cm GrW 42, 10cm NbW 35/40 | ||||||
맨패즈 | Fliegerfaust | ||||||
유탄 | M24, N39, M43, M39, GrB 39, Gewehrgranatengerät | ||||||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 (t/p/i) : 체코슬로바키아/폴란드/이탈리아제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불가리아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M1895, Kar98k, M91/30A | ||
기관단총 | ZK-383, MP34, MP40, PPSh-41A, PPS-43A | ||||
권총 | P08, 발터 PP, TT 권총A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기관총, MG 07/12, MG08, MG30, MG34, PM M1910A, DP-28A, 브렌 경기관총A | |||
대전차화기 | 졸로투른 S-18, 라케텐판처뷕세, 판처파우스트 | ||||
수류탄 | M24 | ||||
박격포 | 8 cm 그라나트베르퍼 34, 브랑 Mle 27/31 | ||||
※ 윗첨자A : 1944년 이후부터 사용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ar98k, Vz.24, 카르카노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KP/-31, EMP35, MP40, PPSh-41,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M1922,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Vz.26,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 |||||
박격포 | 브랑 Mle 27/31, 8cm GrW 34, 스토크스 박격포, 12cm Grw 42 | |||||
유탄 | M24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2. 브랑 Mle 27/31
Le mortier Stroke-Brandt de 81 mm Mle 27/31(Mortier de 81 mm Mle 27/31, Mortier modèle 27/31)
전장: 1.26m
구경: 81mm
중량: 56kg
발사속도: 분당 18발
최대사거리: 1,900m
유효사거리: 1,000m
조작인원: 3명
스토크블랑 사가 개발한 프랑스군의 박격포. 1931년 시판되었다. 브랑트 81mm 박격포의 성능에 주목한 세계 각국에서 라이선스 생산되었다. 제휴 생산된 것으로 일본의 97식 곡사보병포, 미국의 M1 81mm 박격포, 체코슬로바키아의 Vzor36 81mm 박격포, 중화민국의 민국 20년식 82mm 박격포 등이 있다. 이 때문에 미군과 일본군처럼 적국끼리 같은 포탄을 사용하는 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실제 사정거리가 서로 차이가 있었기 때문에 미일 양군이 상대의 포탄을 이용할 경우 사표(射表)를 참고해야 했다.
2.2.1. 둘러보기
제2차 세계대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16, M1907/15 M34, MAS-36 | ||
반자동소총 |
RSC M1917, RSC M1918,
|
|||||
기관단총 | MAS-38, EMP35, 톰슨 M1928 | |||||
권총 | MAS 1873, Mle 1892, M10, M1907, 루비 권총, M1914, M1935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09, CSRG M1915, M1918 브라우닝, M1922, M1926, FM 24/29 | |||
중기관총 | M1914, M1930, M1922, M1933, MAC 31, MAC 34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 |||||
유탄 | F1 수류탄 | |||||
※ |
}}} |
냉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le 1934, MAS-36, FR-F1, FR-F2,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AS-49, M1 개런드, M1 카빈, G3SG/1 | ||||||
자동소총 | FAMAS F1, SG540, M2 카빈, M16A2 | ||||||
기관단총 | MAS-38, MAT-49, M1928A1, M1A1, 스텐 기관단총, MP40, Mini Uzi, MP5A3 | ||||||
산탄총 | 발트로 PM-5, 레밍턴 M870 | ||||||
권총 | Mle 1892, MAB Mle D, Mle 1935A, Mle 1935S, Mle 1950, PA-MAS G1, 마뉘랭 MR73, M686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22, M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Minimi | ||||
중기관총 | M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로켓발사기 | M1A1, M9A1, M20, LRAC F1, RAC-112 APILAS | ||||||
미사일발사기 | MILAN, Eryx, Mistral | ||||||
무반동총 | M40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 ||||||
유탄 | F1 수류탄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당시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22, M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 |||||
유탄 | F1 수류탄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불가리아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M1895, Kar98k, M91/30A | ||
기관단총 | ZK-383, MP34, MP40, PPSh-41A, PPS-43A | ||||
권총 | P08, 발터 PP, TT 권총A | ||||
지원화기 | 기관총 | 마드센 기관총, MG 07/12, MG08, MG30, MG34, PM M1910A, DP-28A, 브렌 경기관총A | |||
대전차화기 | 졸로투른 S-18, 라케텐판처뷕세, 판처파우스트 | ||||
수류탄 | M24 | ||||
박격포 | 8 cm 그라나트베르퍼 34, 브랑 Mle 27/31 | ||||
※ 윗첨자A : 1944년 이후부터 사용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크로아티아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ar98k, Vz.24, 카르카노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KP/-31, EMP35, MP40, PPSh-41,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M1922,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Vz.26,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판처파우스트, 판처슈렉 | |||||
박격포 | 브랑 Mle 27/31, 8cm GrW 34, 스토크스 박격포, 12cm Grw 42 | |||||
유탄 | M24 | }}} |
중일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의 국민혁명군(중화민국)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마우저 M1871, 88식 소총, 24식 소총, Vz.24, Kar98k, 모신나강, 카르카노 M1891, 리-엔필드L,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스프링필드 M1903L, M1917 엔필드L | |||
반자동소총 | ZH-29, M1 개런드L, M1 카빈L | ||||||
기관단총 | SIG M1920, 마우저 M712, MP34, 스텐 기관단총L, 톰슨 기관단총, M42L, PPD-40C, PPSh-41C, PPS-43C | ||||||
권총 | C96, P08, M1914, 발터 PP, M1900, 루비, 콜트 M1903, FN M1922, 브라우닝 하이파워, TT-30, TT-33, M1911A1L, M1917L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Vz.26/30, 마드센 M1902, MG13, DP-28C, 루이스 경기관총, 맥심-토카레프C, 호치키스 M1922, 라티-살로란타 M/26, SIG KE7, FN M1930, 브렌 경기관총L | ||||
중기관총 | PM M1910, 24식 중기관총, ZB-53, 호치키스 M1914, 30식 중기관총, M1919 브라우닝L | ||||||
대전차화기 | PTRD-41C, 바주카L, 보이스 대전차 소총L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L | ||||||
박격포 | 20식 82mm 박격포, 27년식 척탄통, 31식 60mm 박격포 | ||||||
유탄 | 23식 수류탄 | ||||||
냉병기 | 도검 | 대도 | |||||
※ 윗첨자C : 홍군이 사용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에 의한 지원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AS-36,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 ||||||
기관단총 | M45,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모델 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 ||||||
화염방사기 | M9A1-7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3. 97식 곡사보병포
중일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 대전의 일본군 보병장비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99식 저격총,
|
||
반자동소총 |
|
|||||
기관단총 |
|
|||||
권총 |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스기우라식 자동권총, 90식 신호권총, 94식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92식 7.7mm 기총 | |||
중기관총 | 3년식 기관총, 92/1식 중기관총, 93식 중기관총, 89/97식 고정 기관총, 98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98/1식 선회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97식 자동포, 4식 7cm 분진포, 99식 파갑폭뢰, 갈고리 폭탄, 자돌폭뢰 | |||||
화염방사기 | 93식 소화염발사기, 100식 화염발사기 | |||||
척탄통 및 박격포 | 10식 척탄통, 89식 척탄통, 97식 곡사보병포, 94식 90mm 박격포 ,96/97식 150mm 박격포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수류탄/일본군, 100식 총류탄발사기, 2식 총류탄발사기 | |||||
냉병기 | 군도 | 일본 군도( 구군도/ 신군도), 30년식 총검 | ||||
※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九七式曲射歩兵砲(きゅうななしききょくしゃほへいほう)
전장: 1,269mm
구경: 81.3mm
중량: 67kg
발사속도: 분당 20발
최대사거리: 2,850m
수평사계: 좌우 각 3도
각도: 45~80도
포탄초속: 196m/s
사용탄: 97식 유탄, 100식 유탄
1937년 일본군이 채용한 박격포. 중일전쟁 당시 중국군의 8cm sGrW 34에 호되게 당하자 스토크블랑 사에서 사들인 특허와 견본을 토대로 라이선스 생산했다. 실전에서 가벼운 무게와 빠른 발사속도, 발포시 소음과 연막이 작은 점이 높은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스토크블랑식 박격포의 본질적인 특징이었던 사격 정밀도의 저하와 탄약소비가 많았던 점 때문에 결국 대량생산 배치는 이루어지지 못했다. 특히나 일본군 특유의 돌격적 교리가 만들어진것에 기여한것이 탄약 부족 문제였을 정도로 일본군은 탄약 소비가 많은 무기체계는 들이기 꺼려했다.
2.4. Mortaio da 81 Mod. 35
제2차 세계대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1870/87, M1870/87/15, M91, M38 | ||
반자동소총 | MAB 18/30, Mod. X, M1935, M39 | |||||
기관단총 | MAB 18, MAB 38, MAB 38/42, FNAB-43 | |||||
권총 | 이탈리아제 | M1889, M1910, M15, M17, M23, M31, M32, M34, M35 | ||||
오스트리아제 | M1907, M1912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4, M1935, M30, M37, M38 | ||||
대전차화기 | 기병총/대전차용 총 "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판처슈렉) | |||||
화염방사기 | M35, M40, M41 | |||||
박격포 | 브릭시아 M35, 81mm 박격포 M35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81mm 박격포 M35로 정도 해석이 가능하다.
제2차 이탈리아-에티오피아 전쟁 초기 당시 이탈리아군은 프랑스에서 직수입한 브란트 81mm M1927을 사용하고 있었는데, 그것을 사론노 전기공학건축(CEMSA)사가 개량한 것이 M35이다.
중(重)화기중대가 담당하였으며, 45mm급 브릭시아 M35의 경우 대대급 박격포소대 내에서 3개 분대마다 3문이 지급되었다.
당시 이탈리아 왕국군이 운용한 박격포 중에서 최고의 성능을 갖췄다.
2.5. M1
제2차 세계대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1903, M1917, M70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M1941,
M3 Carbine,
|
|||||
자동소총 | M1918A2, M2 Carbine | |||||
기관단총 |
M1928A1, M1, M1A1,
|
|||||
산탄총 | M97, M12, M520, M620, M37, M10, M31, M11, M720 | |||||
권총 | 자동권총 |
M1903,
|
||||
리볼버 | S&W M&P, M1917, M1927 | |||||
조명탄 권총 | M2, AN-M8, Mk.III, M5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18, M1917A1, M1919A4, M1919A6, M1941, M2 | ||||
대전차화기 | Boys Mk I, M1, M9, M18, M20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 |||||
박격포 | M1, M2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 ||||
총류탄 | M1, M2, M7, M8 | |||||
화학탄 | M18, M7A3, M14, M25 | |||||
지뢰 | 대인지뢰 | M2, M3 | ||||
대전차지뢰 | M1, M5 | |||||
폭약 | M1, M1A1, M2A3, M039, M183 | |||||
도검 | 단검 및 총검 | M1905, M1, M1917, M3 | ||||
예도 | M1902* | |||||
※ ※ * : 몇몇 자료에서는 M1907이라고 표기함. |
}}} |
한국전쟁기의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
기관단총 | M3 기관단총, M1A1 톰슨 | |||||
권총 | M1911A1, M1917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AS-36,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 ||||||
기관단총 | M45,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모델 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 ||||||
화염방사기 | M9A1-7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 현대의 벨기에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FN FAL, FN FNC, FN F2000, SCAR-L (STD/CQC), SCAR-H CQC | ||||
지정사수소총 | FN SCAR-H PR | ||||||
저격소총 | AW, AX338, 바렛 M107A1 | ||||||
기관단총 | FN Uzi, FN P90 | ||||||
산탄총 | 레밍턴 870, FN SLP | ||||||
권총 | 브라우닝 GP, Five-seveN Mk.2 | ||||||
지원화기 | 기관총 | FN MAG, FN 미니미 Mk.3 · Mk.3 택티컬 SB, FN 맥시미, M2HB QCB | |||||
유탄발사기 | GL-1, FN 40GL, H&K GMG | ||||||
대전차화기 | M72 LAW, RGW-90 HH, MILAN, 스파이크-MR | ||||||
박격포 | M1 박격포, M19 박격포, MO 120 RT | ||||||
맨패즈 | 미스트랄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그리스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돌격소총 | G3A3, G3A4, M16A1, M16A2, M16A4, M4, M4A1 | ||||
지정사수소총 | G3A3ZF | |||||
기관단총 | MP5 | |||||
권총 | M1911A1, USP9, CZ75 | |||||
지원화기 | 기관총 | HK11, MG3, FN MAG, FN 미니미, M2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H&K GMG, Mk.19,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40 무반동포, LRAC F1, RPG-18, M72A2 LAW, 칼 구스타프 M2, BGM-71 | |||||
박격포 | M6C-210, E44-E, M1, E56-E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G36, AK-74, SCAR-L | ||||
지정사수소총 | M14, M110 SASS | |||||
저격소총 | 케페우스, AW, M82A1M, M95, SSG 69 | |||||
기관단총 | UZI, MP5SD, MP7, P90 | |||||
산탄총 | 베넬리 M4 | |||||
권총 | 글록 17 | |||||
기관총 | M60E4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M1 개런드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에티오피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BM59, G3, AK-47, AKM, Vz.58, AK-103 | |||
저격소총 | PSL | |||||
기관단총 | MAB 38, UZI | |||||
권총 | 마카로프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46, RPD, RPK, DShK | ||||
유탄발사기 | M79, QLZ-87 | |||||
대전차화기 | RPG-7, RPG-18, B-10, B-11, M72, M40A1C, BGM-71, 9K135, 9K114, 9K111, 9K11, SS-11 | |||||
박격포 | M19, M-43, M1, M29, M43 | |||||
맨패즈 | SA-7, SA-7B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M1 mortar
구경: 81.2mm
전장: 1,210mm
중량: 61.5kg(포판 20kg, 포열 20kg, 포다리 21kg)
최대발사속도: 분당 30~35발
포구초속: 213m/s
최대사거리: 3,010m
유효사거리: 1830m
프랑스의 스토크블랑 사가 설계한 81mm 박격포를 미국에서 라이선스 생산한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중 미 육군과 미 해병대에서는 보병대대의 박격포 소대에서 6문을 운용했으며 1950년 후반부터 M29에 밀려 퇴역했다. 기갑사단용으로 M2 하프트랙에 M1 박격포를 탑재한 M4 자주박격포 및 M3 하프트랙에 M1 박격포를 탑재한 M21 자주박격포도 제작되었으며 현재도 일부 국가에서 현역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국군과도 연관이 깊은데 창군 직후에 일부를 교육훈련용으로 미군에서 공여받았으며 1949년 주한미군 철수 시 284문을 인수했다. 한국전쟁 당시 2010문이 보급됐으며 휴전 때에는 822문을 보유하게 됐다. 이후 일부 2군지역 화기중대에서 운용하였으나 서서히 M29로 교체가 진행되었으며 그 결과 상당수의 M1 81mm 박격포는 전시 대비 물자로 치장 중이다. #
2.6. L16
L16 81mm mortar
구경: 81mm
전장: 1280mm
중량: 35.3 kg (포신, 포판, 포다리와 조준경 3분할시 각 부품이 11 kg 내외)
최대발사속도: 분당 20발, 지속사시 12~15발 내외 권장
포구초속: 225 m/s
사거리: 100~5650m(HE탄 기준)
영국과 캐나다가 합동으로 설계한 81mm 박격포. 오스트레일리아에서는 'F2(F2 81mm Mortar)'라고 부른다. 1965년에 채용했다.
영연방 국가들에서 두루 쓰이고 있고 일본 육상자위대도 사용한다. 그리고 이 L16을 미국이 제식화한 게 M252이다.
2.6.1. 둘러보기
냉전기의 영국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SMLE No.4 Mk.I, L8A1, L42A1, L81A1, L96A1, L118A1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L1A1 | ||||||
자동소총 |
M2 Carbine,
|
||||||
기관단총 | STEN Mk II, Mk V, Lanchester Mk.I, L2A1, L34A1, M1928A1, M1A1 | ||||||
산탄총 | L32A1, L74A1 | ||||||
권총 | Webley Mk IV, S&W 38/200, L9A1, L9A1 DS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 IV, Bren Mk2, L4A4, L86A1 | ||||
다목적기관총 | L7A2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Browning L3A1, Browning L2A1 | ||||||
로켓발사기 | PIAT, M20, L72A9 | ||||||
미사일발사기 | Blowpipe, LAW-80, Javelin, Milan, FIM-92 | ||||||
무반동총 | L14A1 | ||||||
박격포 | Ordnance SBML 2-inch mortar, L9A1, L16A1 | ||||||
유탄 | Mills No. 36M Mk I, L2A2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L22A1, M16, M16A1, L100A1, L101A1, HK33 | |||||
기관단총 |
|
||||||
권총 | Welrod, L47A1, L66A1, L102A1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 |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SMLE No.4 Mk.I, C3A1 | |||
반자동소총 | C1, C1A1 | ||||||
자동소총 | C7, C7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 II, C1 SMG | ||||||
권총 | Webley Mk IV, Colt "New Service", FN M1910, M1911A1, S&W Victory Model, Inglis P35, Mk I, Mk II, Mk III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AR, Bren, C2A1 SAW, C9 LMG | ||||
다목적기관총 | C5 GPMG, C6 GPMG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M2 HMG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M72 | ||||||
미사일발사기 | Javelin | ||||||
무반동총 | M40A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inch mortar, C3, Ordnance ML 3-inch mortar, M19 | ||||||
폭발물 | 수류탄 | No.36M, V40, M61, C13 | |||||
화학탄 | M7A3 | ||||||
폭약 | Bangalore torpedo | }}} |
냉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ar98k, SSG 69, 스프링필드 M1903, 리-엔필드, G44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돌격소총 | StG58, StG77 | |||||
기관단총 | MP40, MPi-69, MPi-81, AUG Para, M3 기관단총, PPSh-41 | |||||
산탄총 | 레밍턴 M870 | |||||
권총 | P38, P8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 | |||
다목적 기관총 | MG42, MG74, MG-A4 | |||||
중기관총 | üsMG M2 | |||||
박격포 | M2 | |||||
대전차화기 | PAR 66/79, RBS 56 | |||||
박격포 | M6C-210, mGrW82, sGrW86 | }}} |
포클랜드 전쟁 당시의 영국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L42A1 | |||
반자동소총 | L1A1 SLR | ||||||
자동소총 | M16A1 | ||||||
기관단총 | L2A3, L34A1 | ||||||
권총 | L9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4, L7A2 GPMG, L2A1 HMG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로켓발사기 | HEAT L1A1 | ||||||
미사일발사기 | Blowpipe, Milan, FIM-92 | ||||||
무반동총 | L14A1 | ||||||
박격포 | L9A1, L16A1 | ||||||
폭발물 | 수류탄 | L2A2 | }}} |
베트남전기의 호주ㆍ뉴질랜드 연합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SMLE No. 1 Mk. III* (HT), M82 | |||
반자동소총 | L1A1 SLR, M21 SWS | ||||||
자동소총 | M14, M16A1, CAR-15 | ||||||
기관단총 | Owen Gun, L2A1 SMG, F1 | ||||||
권총 | L9A1,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2A1 LMG, M60 | |||||
유탄발사기 | M79, XM148 | ||||||
대전차화기 | M20, M72 | ||||||
화염방사기 | M2A7-7 | ||||||
박격포 | L16 | ||||||
폭발물 | 수류탄 | M26 | |||||
화학탄 | M7A2, M18, M25A2 | ||||||
지뢰 | M18A1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영국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L85A2, L85A3, L22A2, C7, C7A1, L119A1, L119A2, SCAR-H, M6A2 UCIW, MCX | |||
지정사수소총 | L86A2, L2A1, L129A1 | |||||
저격소총 | L115A1, L115A3, L118A1, L118A2, L121A1, AWC, AX50, L135A1 LRPAS | |||||
기관단총 | L2A3, L34A1, L80A1, L90A1, L91A1, L92A1 | |||||
산탄총 | L128A1, L74A1 | |||||
권총 | L9A1, L105A1, L106A1, L107A1, L117A1, L131A1, L137A1, P230,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108A1, L108A3, L110A2, L7A2, L111A1, M3M, Mk.44 | ||||
유탄발사기 | L17A1, L123A2 UGL, L134A1 | |||||
대전차화기 | ILAW, MBT LAW, FGM-148, L2A1 ASM | |||||
박격포 | M6-895, L16A2 | |||||
맨패즈 | Javelin, Starstreak HVM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 현대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7A1, C7A2, C7A3 | ||||
지정사수소총 | C7CT, C20 | ||||||
저격소총 | C14 MRSWS, C19, C15 LRSW | ||||||
기관단총 | MP5A2, MP5A3, P90 | ||||||
산탄총 | M870 | ||||||
권총 | Inglis Mk III, P225, P226, P229 | ||||||
지원화기 | 기관총 | C6 GPMG, C9A2 LMG, M2HB-QCB, M134D | |||||
수류탄 | M67 | ||||||
유탄발사기 | M203A1, C16 CASW | ||||||
대전차화기 | M3 SRAAW(M), M72 SRAAW(L), ERYX SRAAW(H), TOW LRAAW(H) | ||||||
박격포 | L16 | ||||||
맨패즈 | Javelin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8A1, C8A2, C8 SFW, C8A3, C8 CQB, C8 IUR, C8A4 | ||||
지정사수소총 | C8CT, C20, PSG1 | ||||||
저격소총 | M82, C15 LRSW, AWM | ||||||
기관단총 | MP5SD | ||||||
산탄총 | Benelli M3 Super 90 | ||||||
권총 | USP | ||||||
유탄발사기 | HK69 | ||||||
대전차화기 | AT4 CS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7NLD, C8NLD | |||
지정사수소총 | HK417 | |||||
저격소총 | AWM, TRG-41, SR93, SSG 69, M82A1 | |||||
기관단총 | MP9 | |||||
권총 | 글록 17M | |||||
산탄총 | 모스버그 590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LOAWNLD, FN 미니미, FN MAG, M2HB-QCB | ||||
유탄발사기 | H&K UGL, H&K AGW | |||||
대전차화기 | M72A2, Pzf-3, TLV 84mm, 유로스파이크 | |||||
박격포 | MO-60-CA, L16A2, MO-120 RT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유탄 | NR20 C-1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HK416, MCX* | ||||
저격소총 | MSG90, AWSM-F* | |||||
기관단총 | P90, MP5, MP7, MPX | |||||
권총 | 글록 18, P226, P11 | |||||
기관총 | 콜트 캐나다 LOAWNLD | |||||
박격포 | 브란트 MO-60 V*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FN FAL, FN FALO, M47 드래곤, AT4 | |||||
*: 왕립 네덜란드 해병대가 사용.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에스토니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Galil, AK 4, G3, G36, Rk 62, M16A1 | |||
저격소총 | 갈라츠, PGM 에카트 II, HK417, TRG-42 | |||||
기관단총 | UZI, MP5A2, MP7, m/45B | |||||
권총 | USP, 마카로프 권총 | |||||
산탄총 | 베넬리 M3T | |||||
지원화기 | 기관총 | 네게브, Ksp 58, MG3, MG4, M2 브라우닝 | ||||
유탄발사기 | GL06, H&K GLM, HK79, 밀코 MGL | |||||
대전차화기 | MAPATS, MILAN 2, 칼 구스타프 M2, 칼 구스타프 M3, FGM-148 재블린, 69식 화전통, B-300, AT4 | |||||
박격포 | B455, L16A1, M252 MERM, 2B11, m/41 | |||||
맨패즈 | 미스트랄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M14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포르투갈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961, m/963, G36, G36K, G36C, HK416, SG543, 갈릴 ARM, M16, M4, TAR-21, AK-47, SCAR-L, SCAR-H | |
지정사수소총 | PSG1, MSG90, HK417 | |||
저격소총 | AW, AWSM, AW50, M82A1, M95 | |||
기관단총 | P90, MP5K, MP7, MP9 | |||
산탄총 | 베넬리 M3, SPAS-12, SPAS-15, 모스버그 500 | |||
권총 | 발터 m/961, P226, P228, USP9, G17, G19, 데저트 이글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3, HK21, MG4, 네게브, 미니미, M2HB, M3M, Kord | ||
유탄발사기 | HK79, M203, 밀코 MGL, AG36 | |||
대전차화기 | M72 LAW, 칼 구스타프 M2, 스파이크, BGM-71 TOW, 밀란 | |||
박격포 | m/68, m/937, mGrW82, Tampella B, 쏠탐 K6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StG77, HK416 | |||
저격소총 | SSG 69, SSG 08, HS.50, M82, M95, M107 | |||||
기관단총 | MPi-69, MPi-81, TMP, P90 | |||||
산탄총 | 레밍턴 M870 | |||||
권총 | P80, G17, G18, G21, G26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74, FN MAG, üsMG M2 | ||||
유탄발사기 | GL40 | |||||
대전차화기 | 칼 구스타프 무반동포, RBS 56 | |||||
박격포 | M6C-210, mGrW82, sGrW86 | |||||
의장용 화기 | StG58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자위대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64식 7.62mm 소총, 89식 5.56mm 소총, 20식 소총, M4, HK-416, FN SCAR, 특수소총 (A), 특수소총 (B) | |
저격소총 | 64식 7.62mm 저격총, M24 SWS | |||
기관단총 | SCK-65, 9mm 기관권총, MP5, 4.6mm 단기관총(B), 11.4mm 기관단총 | |||
권총 | 9mm 권총, 9mm 신 권총, USP, SIG P230 | |||
수류탄 | M67,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K-1 조명수류탄, 최루탄 2형, 섬관발음탄, 연막 수류탄 | |||
지원화기 | 기관총 | 62식 7.62mm 기관총/74식 차재 7.62mm 기관총, 7.62mm 기관총 M240B, 5.56mm 기관총 MINIMI, 12.7mm 중기관총 M2 | ||
총류탄 | M31 대전차소총척탄, 06식 소총척탄 | |||
유탄발사기 | M203A2, 96식 40mm 자동척탄총, Mk.19 고속유탄기관총 | |||
대전차탄 | 휴대형 | 84mm 무반동포, 84mm 무반동포(B), 110mm 개인 휴대용 대전차탄, 01식 경대전차유도탄 | ||
설치형 |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 |||
박격포 | 60mm 박격포(B), 81mm 박격포 L16, 120mm 박격포 RT | |||
견인포 | 155mm 유탄포 FH70, 105mm 유탄포 M2A2 / 58식 | |||
맨패즈 | 91식 지대공유도탄 | |||
지뢰 | 92식 대전차 지뢰, FFV-013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11.4mm 권총, 7.62mm 소총 M1, 휴대방사기, BAR, M1 기병총, 신형 의장용 소총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인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INSAS/1B1 INSAS, T91 전투소총, AKM, Vz.58*, AK-103, CAR-15, TAR-21, M4A1, SCAR | |
저격소총 | 갈라츠, 드라구노프 SVD59, PSG1, 마우저 SP66, NTW-20/비드완사크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SAF 카빈 2A1, UZI, MP5, MP9 | |||
권총 | 자동권총 9mm 1A, 글록 17 | |||
지원화기 | 기관총 | INSAS LMG, 네게브, PKM, MG 2A1/5A/6A, M2 브라우닝, NSV, KPV | ||
유탄발사기 | GP-25, MGL 40mm, AGS-17, AGS-30 | |||
대전차화기 | RCL Mk II, RCL Mk III, 106mm M-40A1*, 밀란 1/2T, 스파이크, 9K111-1 콘쿠르스, 9K135 코넷, B-300/시폰, RPO-A 시멜 | |||
박격포 | OFB E1 51mm*, OFB E1 81mm, L16 81mm 박격포, OFB E1 120mm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9K38 이글라 | |||
개발중인 제식화기 | 현대 기관 카빈, 다구경 개인화기 체계, 칼란티크 마이크로, 아모그 카빈, 엑스칼리버 소총, CAR-817, AK-203 | |||
*: 도태 여부 미확인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호주 국방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usteyr F88, F90 | |
지정사수소총 | SR-25, HK417 | |||
저격소총 | SR-98/AW50F | |||
권총 | Browning Hi-Power Mk.III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F89 Minimi/Maximi, MAG 58, M2HB QCB, M134 | ||
유탄발사기 | M203, Mk.19, Mk.47 | |||
수류탄 | M67 | |||
대전차화기 | M72A6, Carl Gustaf M2, Carl Gustaf M3, FGM-148 | |||
박격포 | F2 | |||
맨패즈 | RBS 70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M4A5, HK416 | |
지정사수소총 | Mk.14 EBR | |||
저격소총 | Blaser R93 Tactical 2, Barrett M82 | |||
기관단총 | MP5 | |||
산탄총 | M870 | |||
권총 | USP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L1A1 SLR, M16A1, SMLE No. 1 Mk III, No. 5 Mk I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뉴질랜드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F90, M4, LMT MARS-L | |
지정사수소총 | LMT 308 MWS | |||
저격소총 | AW, M107A1, MRAD | |||
기관단총 | MP5 | |||
산탄총 | Benelli M3 | |||
권총 | P226, Glock | |||
지원화기 | 기관총 | C9 Minimi, 7.62 LSW, MAG 58, M2HB-QCB | ||
유탄발사기 | M203, GMG | |||
대전차화기 | M72 LAW, L14A1, FGM-148 | |||
박격포 | F2 | |||
맨패즈 | Mistral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7. M29 / KM29A1
M29 mortar (M29)한국군은 베트남전 당시 1966년부터 한국군 파병 부대에 신형 장비를 지원할 것을 결정하면서 당시 신형 모델인 M29A1을 보급받기 시작했다. 1970년대 무기체계 국산화 추진에 따라 국내 생산이 이뤄져 국방과학연구소(ADD)에 의해 개발된 국산화 모델 KM29A1이 1975년부터 야전에 배치되고, 이 시기에 구형인 M1은 현역부대에서 완전히 퇴역했다.
M29A1은 무게를 줄이기 위해 포다리를 알루미늄 주조 합금으로 만들고, 포판 또한 알루미늄으로 만든 것이 특징이다. M29A1의 무게는 43.5㎏으로 M1에 비해 30% 정도 중량을 줄였다. 반면 사거리는 1.5배 정도 늘어나 4700m에 달한다.
한국 육군에서는 최전방 일부 사단에서 운용하였으나 국방개혁 2020에 따라서 퇴역하였지만 후방부대에서 81mm M1 박격포도 후방에서 치장물자로 보관중인 것을 보면 M29도 치장물자로 전환되거나 후방의 사단에서 운용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중화민국군은 이것을 개량하여 "T75 81mm 박격포(T-75 81公釐迫擊砲)" 이름으로 현역으로 운용 중이다.
2019년 제19호 태풍 하기비스가 일본에 내습할 때 M29 박격포의 불발탄이 가정집에서 발견된 바 있었다.
2.7.1. 둘러보기
베트남전기의 미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1903, M40, M70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XM21, M21 | ||||||
자동소총 | M1918A2, M2 Carbine, M14 | ||||||
돌격소총 | M16, XM16E1, M16A1, CAR-15, XM177E1, XM177E2, GAU-5, T223 | ||||||
기관단총 | M1A1, M3A1, MP40, MAC-10, UZI, M/50, M76, M/45, PM12, Mk.IIS | ||||||
산탄총 | M12, M37, M870, Auto-5, M11-48, M1200, M7188 | ||||||
권총 | M1903, M1911A1, M1917, PPK, Hi-Power, HDM, M15, Mk.22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7A1, M1919A6, Mk.23, M60, M134, M2 | |||||
유탄발사기 | M79, China Lake, XM148, M203, Mk.19 | ||||||
대전차화기 | M20, M72, M18, M20, M67, M40, XM26 | ||||||
화염방사기 | M2, M9, XM191 | ||||||
박격포 | M2, M19, M29 | ||||||
맨패즈 | FIM-43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M26, M67 | |||||
화학탄 | M7A2, M14, M18, M25A2, M34 | ||||||
지뢰 | M14, M16, M18A1 | ||||||
폭약 | M1A2, M2A4, M3A1, M039, M112, M118, M183 | ||||||
냉병기 | 단검 | Gerber Mk II, Ka-Bar USMC | |||||
총검 | M6, M7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AS-36,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 ||||||
기관단총 | M45,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모델 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 ||||||
화염방사기 | M9A1-7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중화민국 국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57식 소총, T65, T65K2, T86, T91 소총, T68 소총, M16A2, M4A1, G36C | |
저격소총 | M24 SWS/T93K1, M82A1, M107A1, DSR-1, PSG1, SSG 2000 | |||
기관단총 | T77 기관단총, UZI, MP5A5/SWA5, FN P90 | |||
산탄총 | SPAS-12, 베넬리 M4 | |||
권총 | T51K1, T75K1, 글록 17/19/26, USP | |||
지원화기 | 기관총 | 57식 기관총, T74 다목적 기관총, T75 분대 기관총, T90 중기관총, GAU-19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T85 유탄발사기, T91 40mm 자동유탄기관총, MGL Mk-1, MGL-140 | |||
대전차화기 | 1식 66mm 대전차 로켓, APILAS, FGM-148 재블린, 홍집, BGM-71 TOW-2A/B, M136 | |||
박격포 | T63 120mm 박격포, T75 60mm 박격포, T75 81mm 박격포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멕시코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FX-05 시우코아틀, M4, G3, HK33, IAR | ||||
저격소총 | PSG1, M82 | ||||||
산탄총 | 레밍턴 M870, M1014 | ||||||
기관단총 | MP5, UMP, P90 | ||||||
권총 | P7, P226, FN Five-seveN, 베레타 92FS | ||||||
지원화기 | 다목적기관총 | MG3, HK21, FN 미니미 | |||||
중기관총 |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M-134 | ||||||
유탄발사기 | M203, MGL, AG-C/GLM, Mk.19 | ||||||
대전차화기 | RPG-29, 칼 구스타프 84mm, SMAW, M40 무반동포, MILAN, RL-93 블라인드사이드 | ||||||
박격포 | 모르테로, 브랑 60mm, M29, 120mm 박격포 RT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윈체스터 모델 54, 몬드라곤 F-08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에티오피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BM59, G3, AK-47, AKM, Vz.58, AK-103 | |||
저격소총 | PSL | |||||
기관단총 | MAB 38, UZI | |||||
권총 | 마카로프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46, RPD, RPK, DShK | ||||
유탄발사기 | M79, QLZ-87 | |||||
대전차화기 | RPG-7, RPG-18, B-10, B-11, M72, M40A1C, BGM-71, 9K135, 9K114, 9K111, 9K11, SS-11 | |||||
박격포 | M19, M-43, M1, M29, M43 | |||||
맨패즈 | SA-7, SA-7B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8. M252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미국의 현용 대대급 박격포. 1987년에 구형 M29A1을 대신해 L16를 도입, M252 81mm 박격포로 명명한다.
35.8 kg으로 경량화한 M252A1이 2014년부터 도입되고 있다. 자세한건 M252 MERM 문서로
2.9. KM-187
||<:><bgcolor=#CCC><table bordercolor=#CCC><tablewidth=100%>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ADD에서 독자개발하였으며 1996년부터 대한민국 국군에서 M29를 대체하였다. 전체 중량을 구형 M29A1보다 약 500g 정도 감소시키면서 무게 구성을 기존의 포다리에서 포열로 많이 이동시켰다.[1] 최대사거리를 대략 4,700m에서 6,400m[2]로 약 1.4배 연장하였으며 지속 발사속도가 25% 증가되고, 피해 반경은 50m에서 70m로, 살상 반경도 대략 30m에서 40m로 약 1.36배 커지는 등 전체적으로 성능이 향상되었다. 포열과 포판의 연결부위가 단순화 되어 관리가 쉽다.
2.10. (한국 육군) 신형 81mm 박격포
[3]||<:><bgcolor=#CCC><table bordercolor=#CCC><tablewidth=100%>
현대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둘러보기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014년 KM187 81mm 박격포를 대체하기 위해 시작된 사업이나 어쩌다 보니 차기 중대 지원화기로 선정되어 KM181 60mm 박격포까지 대체하게 되었다. 개발은 박격포 체계를 현대 WIA가, FCS와 신형 성형파편탄을 한화가 담당한다. 이 장비는 통상적인 120mm 박격포탄과 비슷한 살상범위[4]를 가지는 K247 MAPAM[5] 신형 성형파편탄을 사용하고, 기존 팔꿈치경을 대신해 GPS, 진북감지 장비, 전자나침반 등이 탑재된 FCS가 장착되어 비숙련자 역시 3분 내에 정확한 사격이 가능하다. 인코넬 718 합금강과 알루미늄 합금강을 사용해 무게를 줄였으나 81mm의 체급을 어쩔 수는 없는지 차량운반을 전제로 한다. (하지만 훈련에서는 도수운반을 한다.) 최소/최대사거리는 기존에서 약간 늘어난 75/6,320m이고, 발사속도는 기존 KM187과 동일하다. 2014년 11월에 2018년까지 전력화 예정이라 밝혔지만 개발이 지연되어 2019년 8월 29일에 개발 완료를 발표했다.
KBS의 취재 내용에 따르면 자동 연동 기능이 없어서 차기 통신 체계를 통한 신속 작전이 불가능해 일일이 무전을 받아야 하는 걸로 밝혀져서 뒤늦게 연동을 검토 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해당 기사엔 잘못된 주장이 상당수 포함되어 있으니 대부분 걸러 들을 것.
2.11.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3인치는 환산하면 76.2mm 정도 되지만 실제 구경은 3.2인치이거나 81mm다. 밑에서 서술하는 3인치 박격포도 실제 구경은 81mm에 가깝다.2.11.1. 둘러보기
'''[[틀:2차 세계대전/폴란드 보병장비|제2차 세계대전기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b wz.98, Kb wz.98a, Kbk wz.29, Kbk wz.91, Kbk wz.98, 리-엔필드W | ||
반자동소총 | Kbsp wz.38M, SVT-40E | |||||
기관단총 | Pm wz.39, MP18W, 스텐 기관단총W, 톰슨 기관단총W, PPSh-41E, PPS-43E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TT-33E, 루비,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루이스 경기관총W, 브렌 경기관총W, DP-28E | ||||
중기관총 | Ckm wz.25, Ckm wz.30, Ckm wz.32, wz.1910E | |||||
대전차화기 | Kb ppanc wz.35, PIATW | |||||
박격포 | Granatnik wz.36,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wz.33 | |||||
※윗첨자W: 서부군 ※ 윗첨자E: 동부군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95, 리-엔필드, Vz.24 | ||
반자동소총 | M1941 존슨 소총K,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K, MP28K, 스텐 기관단총K, 오웬 기관단총K | |||||
권총 | M1903, M1910/22, 하이파워, C96K, MAS 1873,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기관총, M.20,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K | |||
중기관총 | M.8, M.18, M.25 | |||||
대전차화기 | PIAT, M1, S-18/1100 | |||||
박격포 |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K | |||||
※ 윗첨자K : 네덜란드령 동인도에서 사용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2.12. 오드넌스 ML 3인치 박격포
Ordnance ML 3 inch mortar / Ordnance ML 3-inch mortar
2.12.1. 둘러보기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SMLE No.4 Mk.I, C3A1 | |||
반자동소총 | C1, C1A1 | ||||||
자동소총 | C7, C7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 II, C1 SMG | ||||||
권총 | Webley Mk IV, Colt "New Service", FN M1910, M1911A1, S&W Victory Model, Inglis P35, Mk I, Mk II, Mk III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AR, Bren, C2A1 SAW, C9 LMG | ||||
다목적기관총 | C5 GPMG, C6 GPMG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M2 HMG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M72 | ||||||
미사일발사기 | Javelin | ||||||
무반동총 | M40A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inch mortar, C3, Ordnance ML 3-inch mortar, M19 | ||||||
폭발물 | 수류탄 | No.36M, V40, M61, C13 | |||||
화학탄 | M7A3 | ||||||
폭약 | Bangalore torpedo | }}} |
한국전쟁기의 영연방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No.1 Mk.III*, No.4 Mk.I, No.4 Mk.I(T), No.5 Mk. I | |||
반자동소총 | M1 Garand, M1 Carbine, M3 Carbine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V, L2A1, Owen Mk.I | |||||
권총 | Webley Mk.IV, Browning Hi-Power,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Gun, Bren Gu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esa, Browning M1919A4, Browning M2HB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Ordnance ML 3 Inch | |||||
유탄 | Mills No.36M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3. 동구권
3.1. PM-36/37/41/43 (M-1936/37/41/43)
PM-36
PM-37
PM-41
구경: 82mm
전장: 1,???mm / 1,220mm / 1,225mm / 1,200mm
중량: 5?.?kg / 56.0kg / 57.0kg / 45.0kg
최대발사속도: 분당 ??발 / 분당 30발 / 분당 25발 / 분당 20발
포구초속: 2??m/s / 211m/s / 202m/s / 2??m/s
최대사거리: 2 ~ 3,???m / 3,040m / 3,100m / 3,???m
유효사거리: 1,???m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구 소련이 개발 사용한 82mm 박격포다. 6.25 당시 북한이 사용한 것은 PM-37이며, 지금 현재 아마도 예비군용으로 쓰이고 있는 듯 싶다. 중국에서는 PM-37을 53식 박격포라는 이름으로 면허 생산했다.
한때 북한군이 82mm 박격포를 운용한 이유가 대한민국 국군의 81mm 포탄을 써도 문제없이 사용할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는 설이 인터넷을 떠돌곤 했다. 이 계열의 박격포는 북한이 만든것이 아니라 소련이 공여한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낭설이다. 현실은 과거 러시아 제국시절 만들어진 아르신(Аршин) 단위가 서방측의 미터(m)단위와 인치(inch)단위에 맞지 않아서 그런점도 있고, 소련의 공업 정밀도와 품질관리도가 낮은 탓에 정확하게 81mm로 생산하려다가는 81mm보다 구경이 좁은 포가 생산되어 포탄이 들어가지 않는 불량품 이하의 물건이 생산될까봐 설계할 때 약간 넉넉히 잡고 만든것이다.[6]
3.1.1. 둘러보기
겨울전쟁을 포함한 제2차 세계대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1891/30, M1938, М1944 | ||
반자동소총 |
SVT-38, SVT-40,
|
|||||
자동소총 | 페도로프 자동소총, AVS-36, AVT-40 | |||||
기관단총 | PPD-34, PPD-38, PPD-40, PPSh-41, PPS-42, PPS-43, 톰슨 기관단총L, M50 레이징L | |||||
권총 | M1895, M1921, TK, TT-30, TT-33, M1911L | |||||
지원화기 | 기관총 |
PM M1910/30,
맥심-토카레프,
DP-28, DPM,
DT, DTM,
DShK,
DS-39,
SG-43,
|
||||
대전차화기 |
PTRD-41,
PTRS-41,
VPGS-41,
RPG-43,
|
|||||
화염방사기 | ROKS-2, ROKS-3 | |||||
박격포 | 37mm 야삽 박격포, 50mm RM-38/40, 82-BM/PM-36/37/41/43 | |||||
유탄 | F-1, RG-14/30, RGD-33 | |||||
※ 윗첨자L : 무기대여법으로 지원받음 | ||||||
※ |
}}} |
냉전기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 ||||||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88식 소총, 24식 보총, Kar98k,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53식 보기총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소총, 56식 반자동소총, 79/85식 저격소총 | |||||
돌격소총 | 56식 자동소총, 63식 자동소총, 81/87식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50식 기관단총, 36식 기관단총, 54식 기관단총, 64식 소음기관단총, 79식 기관단총, 82식 기관단총, 85식 기관단총 | |||||
권총 | C96, 54식 권총, 59식 권총, 64/67식 미성권총, 77식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Vz.26, MG34, 브렌 경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53식 경기관총, 56식 분대 기관총, 67식 다목적 기관총, 80식 다목적 기관총, 81식 분대 기관총 | |||
중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24식 기관총, 53/57식 중기관총, 54식 중기관총, 77/85식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QLZ-87 | |||||
대전차화기 | PTRD-41, PTRS-41, 56식 화전통, 69식 화전통, 65식 무반동포, 78식 무반동포, HJ-73, HJ-8 | |||||
화염방사기 | 74식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53식 박격포, 67식 박격포, 84식 박격포,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QLT-89 | |||||
맨패즈 | HY-5 | }}} |
냉전기의 국가 인민군(동독군) 보병장비 | ||||||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Kar98k, Kar38, Kar44 | ||
반자동소총 | G43, SWT-40, Karabiner S, SWD | |||||
돌격소총 | StG44, MPi-K, MPi-KM, MPi-KMS-72, MPi-AK-74N, MPi-AKS-74(N/NK) | |||||
기관단총 | MPi 41, Vz.61 | |||||
권총 | Nagant M1895, Pistole 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DPM, RP-46, RPD, RPK, RPK-74, PK | |||
중기관총 | MG34, DTM, SG-43, DSchKM, NSW, KPW | |||||
유탄발사기 | AGS-17 | |||||
대전차화기 | RPG-2, RPG-7, RPG-18, SPG-9, B-10, B-11, 9K11, 9M111, 9M113 | |||||
박격포 | 82-PM-41, 2B11 | |||||
맨패즈 | 9K32, 9K34, 9K310, 9K38 | |||||
수류탄 | F-1, RGD-5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SSG 82 | |||
돌격소총 | StG-940, HK33 | |||||
기관단총 | PM-63, MP5 | |||||
권총 | P08, P1001, P38, TT-33 | }}} |
한국전쟁기의 조선인민군 및 인민지원군 보병장비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38식 소총, 97식 저격총, 99식 소총, 모신나강, 한양 88식C, 게베어 1898C, Kar98k, Vz.24 | |||
반자동소총 |
SVT-40, |
||||||
권총 | 남부 권총, 나강 M1895, C96, TT-33, 루거 P08 , 발터 P38 | ||||||
기관단총 | 100식 기관단총, PPSh-41, 49식 기관단총, PPS-43, 36식 기관단총C, MP38, MP40, MP41C, M1928C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1식 경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DP-28, DPM, RP-46,
Vz.26, Vz.30, |
||||
중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97식 중기관총, 24식 중기관총, PM M1910, DT, DTM, DShK, SG-43, KPV | ||||||
대전차화기 | PTRD-41, PTRS-41, RPG-43 | ||||||
화염방사기 | ROKS-3 | ||||||
박격포 | 27년식 척탄통C, 82-PM-37, 120-PM-43 | ||||||
유탄 | F1 수류탄, RGD-33 | ||||||
※ 윗첨자C: 중공군이 사용 ※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 align=center> 현대의 베트남 인민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K-47, AKS-47, AKM, AKMS, 56식, 56-1식, ACE 31/32, M16A1 | |
저격소총 | SVD | |||
권총 | TT-33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 PKM, RPD, NSV | ||
유탄발사기 | M79 | |||
대전차화기 | RPG-7V, RPG-29, ĐKZ-1, B-10, 9K11, 9M111, 9M113, RPO-A, M72 LAW, MATADOR | |||
박격포 | 82-PM-41, PM-43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SKS | |
돌격소총 | TAR21, Vz.58, FNC, M-18 | |||
저격소총 | 갈라츠, KSVK, OSV-96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PM-63, 마이크로 Uzi, Uzi Pro, PP-19, P90 | |||
권총 | 마카로프 PM | |||
기관총 | Negev, 미니미 Mk3, M240B, M60 | |||
유탄발사기 | M203, MGL Mk-1, AGS-17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몽골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K-47, AKM, AKMS, AK-74, AKS-74U, 9A-91, 갈릴, FN FNC, M4 카빈 | |||
저격소총 | SVD, VSK-94, 갈라츠 | |||||
기관단총 | PP-93 | |||||
권총 | TT-33, PM, PS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D, RPK, PKM, DShK, SG-43, NSV | ||||
유탄발사기 | RG-6, GM-94 | |||||
대전차화기 | RPG-7 | |||||
박격포 | BM-37, PM-43 | |||||
치장/ 의장/ 예비용 화기 | SKS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3.2. 2B14 Podnos
2Б14 «Поднос», 2B14 "Podnos"
최소 사거리는 85m이다.[7]
3.2.1. 둘러보기
냉전기의 소련군 보병장비 | ||||||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M1891/30, М1944 | ||
반자동소총 |
SVT-40,
SKS,
|
|||||
돌격소총 |
AK-47,
|
|||||
기관단총 | PPSh-41, PPS-43 | |||||
산탄총 | KS-23 | |||||
권총 | M1895, TT-33, TK,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DPM, RP-46, RPD, RPK, RPK-74, PK, PKM | |||
중기관총 | PM M1910/30, DTM, SGM, DShKM, NSV, KPV | |||||
유탄발사기 | GP-25, GP-30, AGS-17 | |||||
대전차화기 | RPG | RPG-2, RPG-7, RPG-16, RPG-18, RPG-22, RPG-26, RPG-29 | ||||
기타 | PTRD-41, PTRS-41, RPG-43, RPO, SPG-9, B-10, B-11, 9K11, 9K111, 9K111-1 | |||||
화염방사기 | ROKS-3, LPO-50 | |||||
박격포 | PM-43, 2B9, 2B14 | |||||
맨패즈 | 9K32, 9K34, 9K310, 9K38 | |||||
유탄 | F-1, RGD-33, RGD-5, RGO, RGN, RKG-3 | |||||
특수전 화기 | 돌격소총 | AS Val, VSS Vintorez, APS | ||||
기관단총 | OTs-02, Vz.61 | |||||
권총 |
TK,
APS,
|
|||||
유탄발사기 | BS-1, GSN-19, RGS-50 | |||||
냉병기 | 도검 | NRS-2 | ||||
※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러시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KMS, AK-74, AK-74M, AK-74MR, AKS-74U, AK-12, AK-15, A-545, A-762, AN-94 | |||
저격소총 | SVD, SV-98, T-5000, T-5000M, Tochnost, OSV-96 | |||||
권총 | MP-443, MP-446, PL-15, GSh-18, PM, PM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74, RPK-74M, RPK-16, PKM, PKP, NSV, Kord, KPV | ||||
유탄발사기 | GP-30, GP-34, RG-6, AGS-30, AGS-40 | |||||
로켓발사기 | RPG | RPG-7V2, RPG-26, RPG-27, RPG-28, RPG-29, RPG-30, RPG-32, RPO | ||||
대전차 미사일 | 9K111 (111-1), 9K115(115-1), 9K135 | |||||
박격포 | 2B9, 2B14, 2B25 | |||||
맨패즈 | 9K38 Igla, 9K338 Igla-S, 9K333 | |||||
수류탄 | RGD-5, RGO, RGN | |||||
특수전 화기 및 경찰특공대용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S Val, OTs-14, AK-103, AK-104, AK-105, AK-107, HK416, ASh-12.7, SR-3, A-91, 9A-91, OTs-11 | |||
저격소총 | VSS, SSG 08, G28, DVL-10, SVDK, SVLK-14S, VSSK, KSVK | |||||
특수소총 | ADS, APS | |||||
기관단총 | AEK-919K, SR-2, PP-2000, PP-19, PP-19-01, OTs-02, PP-91, MP5, MP7A1 | |||||
산탄총 | KS-23M, KS-23K, 18,5 KS-K, Vepr-12 | |||||
권총 | PB, PSS, Glock, APS, OTs-33, SPP-1 | |||||
기관총 | AEK-999 | |||||
유탄발사기 | GM-94, RGS-50 | |||||
냉병기 | 도검 | NRS-2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우크라이나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SKS | |||
반자동소총 |
AK-74]]*,
AKM, |
|||||
카빈 | Vepr*, AKS-74U, AKMS | |||||
저격소총 | Fort-301*, VPR-308*, Zbroyar Z-10, SVD, Barrett M82*, Barrett M107A1 | |||||
권총 | Fort-12*, Fort-14TP, PM/Makarych*, APS*, PS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RPK-74, PK, DShK, NSV | ||||
유탄발사기 | UAG-40*, AGS-17, GP-25 | |||||
대전차화기 | RPG | RPG-7, PSRL-1, RPG-16, RPG-18, RPG-22, RPG-26, RPG-27, RPG-29 | ||||
기타 | SPG-9, Corsar, Skif, 9K115-2, 9M113, 9K111, FGM-148 | |||||
박격포 |
KBA-118, KBA-48M,
2B9 바실료크,
2B14 포드노스,
2B16 노나-K,
82-BM-37, М120-15 몰롯, 2S12 사니, 120-PM-43 |
|||||
맨패즈 | 이글라-1/2, 스트렐라-2/3 | |||||
수류탄 | F1 수류탄, RGD-5, RKG-3 | |||||
특수전 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Fort-221* | |||
카빈 | Fort-224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MP5* | |||||
산탄총 | Saiga-12*, Fort-500* | |||||
권총 | Fort-21, PB | |||||
기관총 | Fort-401 | |||||
수류탄 | RGO/RGN | |||||
*: 우크라이나 주방위군이 사용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조지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AKM, AKMS, AK-74, AKS-74, AKS-74U, PM md.63, AK-74M, M4A1, M4A2, M4A3, G13, G3, HK33, SCAR | |||
지정사수소총 | DELTA-308, SVD, VSS, 갈라츠, SRS | |||||
저격소총 | PDShP-1, PDShP-2, 자스타바 M93, TRG-22, TRG-42, M24 SWS, B&T APR, Tac-50, M82, M95 | |||||
특수소총 | APS | |||||
기관단총 | MP5, MP5SD, MP5K, UMP45 | |||||
산탄총 | M4 | |||||
권총 | CZ75, SPP-1M, 제리코 941, SP-21, G17, G21, P226, P229, USP, FN Five-seveN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K-74, PKM, DShKM, NSV, Vz.59, 네게브, M240, M2HB, M134 | ||||
유탄발사기 | UBGL-1, AG-40, GP-25, AGS-17, M203, MGL, STK 40 AGL | |||||
대전차화기 | RPGL-7D, RPG-7, PDM-1, SPG-9, RPO-A, RPG-18, RPG-22, RPG-26, 9K111, 9K115, 9K115 메티스-M, 9K113, FGM-148, AT4 | |||||
박격포 | GM-60, GNM-60, M6C-210, M57, GM-82, 2B9, M69, 2B14, GM-120, 2B11, M74, 솔탐 K6 | |||||
맨패즈 | 9K38, 그롬, 9K32, 9K34, FIM-92 | }}} |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tablealign=center> 현대의 에티오피아군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BM59, G3, AK-47, AKM, Vz.58, AK-103 | |||
저격소총 | PSL | |||||
기관단총 | MAB 38, UZI | |||||
권총 | 마카로프 PM | |||||
지원화기 | 기관총 | RP-46, RPD, RPK, DShK | ||||
유탄발사기 | M79, QLZ-87 | |||||
대전차화기 | RPG-7, RPG-18, B-10, B-11, M72, M40A1C, BGM-71, 9K135, 9K114, 9K111, 9K11, SS-11 | |||||
박격포 | M19, M-43, M1, M29, M43 | |||||
맨패즈 | SA-7, SA-7B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3.3. 67식 박격포
냉전기의 중국 인민해방군 보병장비 | ||||||
{{{#!folding [ 펼치기 · 감추기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88식 소총, 24식 보총, Kar98k,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53식 보기총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941 소총, 56식 반자동소총, 79/85식 저격소총 | |||||
돌격소총 | 56식 자동소총, 63식 자동소총, 81/87식 자동소총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50식 기관단총, 36식 기관단총, 54식 기관단총, 64식 소음기관단총, 79식 기관단총, 82식 기관단총, 85식 기관단총 | |||||
권총 | C96, 54식 권총, 59식 권총, 64/67식 미성권총, 77식 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Vz.26, MG34, 브렌 경기관총, 96식 경기관총, 99식 경기관총, 53식 경기관총, 56식 분대 기관총, 67식 다목적 기관총, 80식 다목적 기관총, 81식 분대 기관총 | |||
중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24식 기관총, 53/57식 중기관총, 54식 중기관총, 77/85식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QLZ-87 | |||||
대전차화기 | PTRD-41, PTRS-41, 56식 화전통, 69식 화전통, 65식 무반동포, 78식 무반동포, HJ-73, HJ-8 | |||||
화염방사기 | 74식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53식 박격포, 67식 박격포, 84식 박격포, 86식 120mm 박격포, PP-87, PP-89, QLT-89 | |||||
맨패즈 | HY-5 | }}} |
보병 장비 둘러보기 |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3.4. 84식 박격포
4. 대중매체에서
소녀전선에서 2B14 pondos가 중장비부대로 출연한다.도미네이션즈에서 원자력 시대의 박격포 병력으로 등장한다.
5. 관련 문서
[1]
M29는 포다리가 가장 무겁지만 이놈은 포열이 가장 무겁다.
[2]
4.2인치 박격포보다 사거리가 길다.
[3]
현재 정해진 제식명칭이 없으므로 사업 이름으로 기재합니다.
[4]
155mm M107 통상탄의 65-85%
[5]
Mortar Anti Personnel Anti Material : 박격포용 인마 및 장비 대응탄
[6]
다른 나라들도 이러한 점을 걱정 81mm박격포도 대부분 81.3(~8)mm정도로 여유를 만들어 설계했다. 이 여유가 클수록 정확도와 안정성이 떨어지므로, 기술력이 뛰어난 국가들은 당연히 이 여유를 최소로 줄이고자 했다. 공업효율은 좀 떨어지는 편이었지만 기술최대강국이었던 독일의 8cm 박격포의 실 구경은 8.14cm였고 최상위권의 기술력+전세계를 뛰어넘는 대량생산능력을 보유했던 미국의 81mm박격포도 실제 설계는 81.3mm였다.
[7]
출처 : 국방TV 러시아 첨단무기2 ep5. 발트해를 지키는 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