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7 06:53:09

중의원

일본 하원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의원 | 衆議院 참의원 | 参議院
※ 양원의 원내 구성 }}}}}}}}}
<colbgcolor=#112fa7><colcolor=#C4C974> 파일:일본국 정부기.svg 일본 국회
중의원
衆議院[1] | House of Representatives
파일:중의원 홈페이지 배너.png
파일:B91DBAD5-2DE7-496A-B2C5-FD40A14301DA.jpg
구성 <colbgcolor=#fff,#1f2023> 양원제 국회 하원, 다당제
개회 1890년 11월 29일
의장 누카가 후쿠시로 (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 이바라키 2구)
부의장 겐바 고이치로 (
[[입헌민주당(2020년)|
입헌
]] / 후쿠시마 2구)
사무총장 츠키야마 노부히코
의원 정원 465석 중 재적 465인
주소 도쿄도 치요다구 나가타초1초메 7-1
국회의사당
최근 선거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차기 선거 제5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사무국]

1. 개요2. 원내 구성3. 상세
3.1. 자격3.2. 임기3.3. 정수 및 선출 방법3.4. 권한
3.4.1. 안정다수
3.5. 표결
4. 중의원 해산5. 역대 선거6. 역대 중의원 의장7. 위원회8. 의원 목록
8.1. 홋카이도8.2. 도호쿠8.3. 기타칸토8.4. 도쿄8.5. 미나미칸토8.6. 호쿠리쿠신에쓰8.7. 도카이8.8. 긴키8.9. 주고쿠8.10. 시코쿠8.11. 규슈
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중의원()은 양원제를 채택하고 있는 일본 국회에서 하원을 부르는 말이다. 상원 참의원과 함께 일본의 국회를 구성한다.

2. 원내 구성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30px><tablebordercolor=#2d3865><tablebgcolor=#2d3865> 파일:일본 국회의사당 흰색 아이콘.svg 일본 국회
원내 구성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2차 이시바 내각
(2024 ~ 현재)
연립여당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
자유민주당

115석파일:1px 투명.svg 191석
파일:공명당 로고 (white).svg
공명당

27석파일:1px 투명.svg 24석
야당
파일:logo_w.svg
입헌민주당

39석파일:1px 투명.svg 148석
파일:일본유신회(2016년) 로고.svg
일본유신회

21석파일:1px 투명.svg 38석
파일:국민민주당 로고.svg
국민민주당

9석파일:1px 투명.svg 28석
{{{#!wiki style="margin: -16px -11px" 파일:일본 공산당 흰색 로고.svg
일본공산당

11석파일:1px 투명.svg 8석
파일:레이와 신센구미 흰색 로고.svg
레이와 신센구미

5석파일:1px 투명.svg 9석
파일:참정당 흰색 로고.png
참정당

1석파일:1px 투명.svg 3석
파일:社民党ロゴwhite.svg
사회민주당

2석파일:1px 투명.svg 1석
파일:일본보수당 로고.png
일본보수당

0석파일:1px 투명.svg 3석
}}}
무소속
14석파일:1px 투명.svg 12석
재적
245석 • 465석
공석
3석 • 0석
※ 정당조성법상 정당 요건을 충족 못하는 정치단체는 무소속으로 분류
정당 구분 (원내 · 원외)
좌측은 참의원(상원) 의석 수, 우측은 중의원(하원) 의석 수 }}}}}}}}}

일본 국회에서는 원활한 의정 활동을 목적으로 각 정당이 연합해 회파를 구성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회파별 의석 수는 해당 정당의 의석 수와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의정 활동에서 소속 회파는 당적보다 중요하게 작용하며 한국의 원내교섭단체와 비슷한 개념이다.
전체
42.1%
{{{#!wiki style="margin: -2px -10px -5px; font-size: 0.9em"
{{{#!folding 회파별 의석 점유비율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colbgcolor=#ffffff,#1f2023> 여당 <colbgcolor=#ffffff,#1f2023>
[[자유민주당(일본)|
자민
]]
196석

[[공명당|
공명
]]
24석
야당
148석

[[일본 유신회(2016년)|
유신
]]
38석
'''
국민
'''
28석
'''
레신
'''
9석

[[일본공산당|
공산
]]
8석
'''
유지
'''
4석

[[무소속(정치)|
무소속
]]
2석
}}}}}}}}}

3. 상세

3.1. 자격

선거권은 18세 이상의 일본 국민, 피선거권은 25세 이상의 일본 국민에게 있다.

중의원이 창설된 1890년에는 국세 연간 15 이상을 납부한 25세 이상 남자(황족, 화족, 현역 군인 제외)에게만 선거권과 피선거권이 주어졌는데, 이 때 선거권을 가진 사람은 일본 전체 인구의 1%에 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점차 이러한 재산 제한이 낮아지기 시작하다가 1925년에 다이쇼 데모크라시를 계기로 보통선거법을 제정해 25세 이상 모든 남자에게 선거권을 부여했다. 그리고 태평양 전쟁 패전 이후 1946년에 보통선거법이 개정되어 20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게 선거권이, 25세 이상의 모든 성인에게 피선거권이 부여되었다. 그리고 2015년 6월 일본 공직선거법이 개정됨에 따라 투표 가능 연령이 기존의 20세에서 18세로 내려갔다.[8]

피선거권 제한은 한국과 같지만 한국 국회보다 20대 당선자가 꾸준히 나오는 편이다. 중의원 최연소 당선자의 계보는 이시바 시게루(38회, 당시 29세, 現 13선)-아카기 노리히코(39회, 당시 30세, 前 6선)-우사미 노보루(40회, 당시 26세, 前 재선)- 후루카와 모토히사(41회, 당시 30세, 現 10선)-하라 요코(42회, 당시 25세, 사상 최연소, 前 초선)-테라다 마나부(43회, 당시 27세 現 7선)-스기무라 다이조(44회, 당시 26세, 前 초선)-오타 가즈미(44회, 당시 26세, 前 3선, 現 카시와시장)-마쓰오카 히로타카(45회, 당시 27세, 前 초선)- 이마에다 소이치로(46회, 당시 28세, 現 5선)- 스즈키 다카코(46회, 당시 27세, 現 5선)- 바바 유키(49회, 당시 29세, 現 재선)-오오조라 코키(50회, 당시 25세, 現 초선)[9]으로 이어지는 중이다. 이들 중 친족의 기반을 이어 출마한 세습 의원(이시바, 아카기, 테라다, 스즈키)이나 역량이 뛰어난 이들(후루카와, 오타, 이마에다) 말고는 대부분 시류를 잘 타고 당선된 기반도 없는 청년들이라 대부분 초선 이후로는 당선되지 못하고 있지만, 최연소 국회의원을 해봤기 때문에 계속 선거에 나오는 이들이 많다. 스즈키 다카코(1986년생, 스즈키 무네오의 딸) 이래 중의원에 이 이상 어린 당선자가 나오지 않아 근 8년간 최연소 의원이다가, 2021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를 통해 최초의 헤이세이 출생 중의원 의원이 2명 나왔다. 각각 도쿄 13구 츠치다 신(자민, 90년생)과 비례 도호쿠의 바바 유키(입민, 92년생)이다.

참고로 태평양 전쟁 패전 이전에는 일본 제국의 식민지였던 조선과 대만에 선거구가 설정되어있지 않아 선거가 치러지지 않았지만[10] 식민지인이였던 조선인( 조선적)과 대만인(대만적)도 일본( 내지)에 1년 이상 거주했다면 선거권과 피선거권을 가졌다. 조선인인 박춘금이 이런 식으로 태평양 전쟁 패전 이전에 중의원 의원에 당선된 바 있다.

아베 신조 내각은 선거법을 추가 개정하여 중의원 피선거권도 20세, 통일지방선거 피선거권은 18세로 내릴 계획이다. 대략 2023년 시행을 목표로 준비중이다. 그러나 2020년 9월 16일 아베 신조 내각총리대신의 사임에 따라 내각이 사퇴하면서 시행될지는 미지수이다.

3.2. 임기

임기는 4년이다. 하지만 내각총리대신 중의원 해산을 시전하면 즉시 임기가 종료되고 해산일로부터 40일 이내에 중의원 의원 총선거가 시행된다. 중의원이 임기를 꽉 채웠던 경우는 1947년 일본국 헌법 시행 이후 1976년 딱 한 번밖에 없고[11] 1890년부터 보면[12] 총 다섯 번이다. 대체로 총리가 여론의 추이를 지켜본 뒤 임기 만료 이후보다 지금 당장 총선을 할 경우 여당에게 유리하다고 판단할 때(대략 3년차) 의회를 해산하고 조기 총선거로 몰고 가는 경우가 많다. 다만 총선에서 망할걸 감수하고 여론의 압박에 울며 겨자먹기식으로 해산하는 경우도 있는데 1980년, 1983년, 2009년, 2012년 총선이 이런식으로 치러졌다.

3.3. 정수 및 선출 방법

2017년 기준 총 의석 수는 465석으로, 소선거구제 지역구 의석 289석[13] 석패율제 광역 비례대표 의석 176석으로 이루어져 있다.[14] 석패율제 비례대표가 시행됨에 따라 지역구 후보자의 비례대표 중복 출마가 허용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지역구에서 낙선해도 비례대표 선거 결과에 따라 구제받아 당선될 수 있다.[15] 일본 중의원 총선 비례대표는 한국의 총선과 달라서 전국 비례대표가 아니라 홋카이도, 도쿄, 규슈, 긴키 등 일부 지역지역을 나눠서 광역 비례대표로 선출한다.

의원 정수를 늘리지 않고 인구가 늘어나는 지역의 선거구를 뜯어고친 결과 게리맨더링이 매우 심한 편이다. 시정촌을 둘로 쪼개서 각각 다른 선거구로 꿔주는 경우는 다반사고 지역의 일부 마을만 뜯어서 타 선거구로 넘기는 경우도 빈번하다. 게리맨더링이 심한 이유는, 일본 최고재판소에서 정한 일본 지역구 국회의원의 최소:최대 인구비가 1:2인 상황에서 도도부현당 지역구를 최소 2석씩 할당하면서 지역구의 총 의석 수를 최소한도로 잡기 위해서이다. 선거구의 인구를 책정하는 기준도 한국의 경우처럼 기준일의 주민등록상의 내국인 총인구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유권자 수를 기준으로 정하며, 인구가 가장 적은 지역구[16]의 2배를 기준으로 하여 도쿄23구 지역은 2배를 꽉 채우는 경우가 많고, 돗토리나 시마네 같은 촌지역은 1배에 가까운 경우가 많다.

3.4. 권한

일본 헌법상 양원의 권한은 원칙적으로 동등하나, 헌법개정 등 일부 사항을 제외한 대부분의 경우 중의원이 참의원보다 의사결정에서 우위를 점한다. 중의원이 가결한 법률안이 참의원에서 부결되거나 60일 이내에 참의원이 의사결정을 하지 않는 경우 중의원에서 출석의원 2/3 이상의 찬성으로 재의결하면 바로 천황의 공포를 통해 법률로 확정된다. 또한 총리 지명(일본국 헌법 제67조)[17]예산안 의결(제60조), 조약 비준 동의(제61조)에 대해서는 양원의 의결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재의결 절차 없이 중의원의 의결을 국회의 의결로 한다. 그리고 내각을 무너뜨릴 수 있는 내각불신임 결의 역시 중의원만이 가능하다(제69조). 그러나 개헌은 양원 각각 총의원 2/3 이상이 찬성해야 국민투표를 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이 경우에는 양원이 동등한 권한을 가진다.

중의원이 참의원보다 우위를 갖고 권한이 큰 것은 일본 국회의 기원인 서구 의회, 특히 영국 의회의 전통에서 비롯된 것이다. 영국 하원 서민원(House of Commons)이 상원 귀족원(House of Lords)에 비해 극단적으로 큰 권한을 가지는 체제로, 상원의원은 사실상 명예직에 가까운 반면 하원의원이 거의 모든 실권을 갖는다.[18] 이는 현대 민주주의 사회에서 구체제 귀족의 대표인 상원보다는 시민의 대표인 하원이 절대적으로 정당성과 우위를 갖는다는 원칙 때문인데, 패전 이후 화족 시스템이 사라진 일본도 여전히 양원제를 고수하면서 하원인 중의원이 상원인 참의원보다 큰 권한을 갖도록 설정해 놓았다.

이렇듯 중의원은 규정상으로는 참의원보다 우위이나, 실제 정치에선 중의원 다수당(여당)이 참의원에서 과반수 확보에 실패하면 국정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일단 중의원에서 2/3를 차지하는 것도 상당히 어렵고, 단독이든 연립이든 중의원의 2/3를 점하고 있더라도 마냥 밀어붙였다가는 다수당(여당)이 참의원을 쌩깐다는 여론의 질타를 받을 수 있어 정치적 부담을 안게 된다. 물리적으로도 참의원이 법률안을 쥐고 질질 끌 수 있는 최소시간 60일을 기다려야 한다. 그래도 여튼 의원내각제 국가인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선거가 중의원 의원 총선거라고 볼 수 있다.[19]

패전 이전의 중의원은 당시의 상원이었던 귀족원보다 권한이 강하다고 할 수는 없었다. 현재와 달리 중의원에서 통과된 법안이 귀족원에서 부결되면 그걸로 끝이었다. 또한 당시 일본은 의원내각제가 확립되지 않아 내각은 중의원이 신임해주는 게 아니라 천황이 신임해주는 것이었고, 물론 내각 구성원도 중의원 의원이 아닌 경우가 많았다. 또한 당시 정부의 요직을 차지한 자들이 화족으로서 많은 수가 당연직 귀족원 의원이기도 했으므로 중의원과의 파워 게임에서 밀리지 않거나 우위에 있을 수 있었다.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절에는 민주주의에 대한 요구가 높아져 중의원 제1당 당수 총리로 선출되고 내각을 구성하는 등(정당내각) 의원내각제적인 정치가 시행되기 시작해 귀족원의 위상이 어느 정도 내려갔지만, 이는 헌법과 같은 견고한 제도적 장치로 지지되는 것이 아니었고 기반도 취약했다.

3.4.1. 안정다수

국회법상으론 제1당이 과반 의석만 차지하면 총리를 배출할 수 있으나 아래 제시할 의석수 이상을 가지면 더욱 더 원활하게 중의원을 운영이 가능하다.

※ 총원 465석

3.5. 표결

중의원은 어지간한 사안은 본회의에서도 기립 표결이나 거수 표결을 통해 찬반 다수만 가린다. 참의원에서 재심의하기 때문에 중의원에서는 찬반 다수만 가리면 된다. 중요한 사안들을 지정해서 투표를 할 때도 있긴 한데 대한민국 국회처럼 전자투표를 매번 하거나 그러지는 않는다. 어지간한 사안들은 기립한 사람 수를 세어서 재적 과반수가 되는 순간 표결을 종료(착석요구)하고 가결처리한다. 참의원도 각 상임위원회에서는 찬반 다수만 가리고 본회의에서만 투표한다.

그래서 일본 국회 절차를 보다 보면 상임위원장이나 중의원 의장이 이런 말만 한다.
OO안건은 찬성 다수로 가결되었습니다.
또는
XX안건은 찬성 소수로 부결되었습니다.

즉 찬성은 몇 표이고, 반대는 몇 표인지는 알려주지 않고 결과만 공표한다는 얘기이다. 이것은 영연방 의회의 특징이기도 하다.[23] TPP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무역/ 통상 조약에서도 중의원에서는 찬성 다수라고만 말하고 가결 처리한다.

4. 중의원 해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의원 해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선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의원 의원 총선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역대 중의원 의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3C96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제국의회 중의원 의장
초대 제2대 제3대
초대
나카지마 노부유키
제2대
호시 토오루
제3-5대
쿠스모토 마사타카
제4대 제5대 제6대
제3-5대
쿠스모토 마사타카
제6대
하토야마 가즈오
제7-10대
카타오카 겐키치
제7대 제8대 제9대
제7-10대
카타오카 겐키치
제11대
고노 히로나카
제12대
마츠다 마사히사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3대
스기타 데이이치
제14·17대
하세바 스미타카
제15·16·20대
오오카 이쿠조
제11대 제12대 제13대
제14·17대
하세바 스미타카
제18·21대
오쿠 시게사부로
제19대
시마다 사부로
제15·16·20대
오오카 이쿠조
제14대 제15대
제18·21대
오쿠 시게사부로
제22·23대
카스야 기조
제24대
모리타 시게루
제16대 제17대
제25대
모토다 하지메
제26대
가와하라 모스케
제27대
호리키리 센베에
제28대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9대
나카무라 게이지로
제30대
아키타 기요시
제31대
하마다 쿠니마츠
제32대
도미타 고지로
제20대 제21대
제33대
코야마 쇼쥬
제34대
다코 이치민
제35대
오카다 타다히코
제36대
시마다 도시오
제22대
제37대
히가이 센조
제38대
야마사키 다케시
일본 국회 중의원 의장
제23대 제24대
제39대
마쓰오카 고마키치
제40대
시데하라 기주로
제41대
하야시 조지
제42·43대
오노 반보쿠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42·43대
오노 반보쿠
제44대
쓰쓰미 야스지로
제45대
마쓰나가 토오
제46대
마스타니 슈지
제28대 제29대
제47대
호시시마 니로
제48대
가토 료고로
제49·50대
기요세 이치로
제30대 제31대
제51·56대
후나다 나카
제52대
야마구치 기쿠이치로
제53대
아야베 겐타로
제54대
이시이 미쓰지로
제31대 제32대 제33대
제55대
마쓰다 다케치요
제51·56대
후나다 나카
제57대
나카무라 우메키치
제58대
마에오 시게사부로
제34대 제35대 제36대
제59대
호리 시게루
제60·61대
나다오 히로키치
제62대
후쿠다 하지메
제37대 제38대
제63대
후쿠나가 겐지
제64대
사카타 미치타
제65대
하라 켄자부로
제66대
타무라 하지메
제39대 제40대 제41대 제42대
제67대
사쿠라우치 요시오
제68대
도이 다카코
제69대
이토 소이치로
제70대
와타누키 다미스케
제43대 제44대 제45대 제46대
제71·72대
고노 요헤이
제73대
요코미치 다카히로
제74대
이부키 분메이
제47대 제48대 제49대
제75대
마치무라 노부타카
제76·77대
오시마 다다모리
제78대
호소다 히로유키
제49대 제50대
제79·80대
누카가 후쿠시로
}}}}}}}}}}}}}}}
기수 대수 이름 임기 선출 당시 정당 퇴임사유
1 1 나카지마 노부유키 1890년 11월 26일 ~ 1891년 12월 25일 입헌자유당 해산
2 2 호시 토오루 1892년 5월 3일 ~ 1893년 12월 13일 자유당 제명
3 쿠스모토 마사타카 1893년 12월 15일 ~ 1893년 12월 30일 동맹구락부 해산
3 4 1894년 5월 12일 ~ 1894년 6월 2일 입헌혁신당 해산
4 5 1894년 10월 15일 ~ 1896년 6월 8일 퇴직
6 하토야마 카즈오 1896년 12월 22일 ~ 1897년 12월 25일 진보당 해산
5 7 카타오카 켄키치 1898년 5월 15일 ~ 1898년 6월 10일 입헌정우회 해산
6 8 1898년 11월 9일 ~ 1902년 12월 7일 임기만료
7 9 1902년 12월 7일 ~ 1902년 12월 28일 해산
8 10 1903년 5월 9일 ~ 1903년 10월 31일 사망
11 코노 히로나카 1903년 12월 5일 ~ 1903년 12월 11일 헌정당 해산
9 12 마츠다 마사히사 1904년 3월 18일 ~ 1906년 1월 19일 입헌정우회 사퇴
13 스기타 테이이치 1906년 1월 23일 ~ 1908년 12월 23일 임기만료
10 14 하세바 스미타카 1908년 12월 23일 ~ 1911년 9월 6일 사퇴
15 오오카 이쿠조 1911년 12월 24일 ~ 1912년 8월 21일 임기만료
11 16 1912년 8월 21일 ~ 1914년 3월 6일 사퇴
17 하세바 스미타카 1914년 3월 7일 ~ 1914년 3월 15일 사망
18 오쿠 시게사부로 1914년 3월 17일 ~ 1914년 12월 25일 해산
12 19 시마다 사부로 1915년 5월 17일 ~ 1917년 1월 25일 입헌동지회 해산
13 20 오카 이쿠조 1917년 6월 21일 ~ 1920년 2월 26일 입헌정우회 해산
14 21 오쿠 시게사부로 1920년 6월 29일 ~ 1923년 2월 16일 사퇴
22 카스야 기조 1923년 2월 17일 ~ 1924년 1월 31일 해산
15 23 1924년 6월 26일 ~ 1927년 3월 25일 사퇴
24 모리타 시게루 1927년 3월 26일 ~ 1928년 1월 21일 헌정회 해산
16 25 모토다 하지메 1928년 4월 20일 ~ 1929년 3월 14일 입헌정우회 해산
26 카와하라 모스케 1929년 3월 15일 ~ 1929년 5월 19일 사망
27 호리키리 젠베에 1929년 12월 23일 ~ 1930년 1월 21일 해산
17 28 후지사와 이쿠노스케 1930년 4월 21일 ~ 1931년 4월 13일 입헌민정당 사퇴
29 나카무라 케이지로 1931년 12월 23일 ~ 1932년 1월 21일 해산
18 30 아키타 키요시 1932년 3월 18일 ~ 1934년 12월 13일 입헌정우회 사퇴
31 하마다 쿠니마츠 1934년 12월 24일 ~ 1936년 1월 21일 해산
19 32 토미타 코지로 1936년 5월 1일 ~ 1937년 3월 31일 입헌민정당 해산
20 33 코야마 쇼쥬 1937년 7월 23일 ~ 1941년 12월 22일 사퇴
34 타코 이치민 1941년 12월 24일 ~ 1942년 5월 25일 익찬의원동맹 임기만료
21 35 오카다 타다히코 1942년 5월 25일 ~ 1945년 4월 9일 익찬정치회 사직
36 시마다 토시오 1945년 6월 8일 ~ 1945년 12월 18일 대일본정치회 해산
22 37 히가이 센조 1946년 5월 22일 ~ 1946년 8월 23일 일본자유당 사퇴
38 야마자키 타케시 1946년 8월 23일 ~ 1947년 3월 31일 일본자유당[24] 해산
파일:일본 국기.svg 중의원 의장
(전략)
43 71 고노 요헤이 2003년 11월 19일 ~ 2005년 8월 8일 자유민주당 해산
44 72 2005년 9월 21일 ~ 2009년 7월 21일 자유민주당 해산
45 73 요코미치 타카히로 2009년 9월 16일 ~ 2012년 11월 16일 민주당 해산
46 74 이부키 분메이 2012년 12월 26일 ~ 2014년 11월 21일 자유민주당 해산
47 75 마치무라 노부타카 2014년 12월 24일 ~ 2015년 4월 21일 자유민주당 사임
76 오시마 다다모리 2015년 4월 21일 ~ 2017년 9월 28일 자유민주당 해산
48 77 2017년 11월 1일 ~ 2021년 10월 14일 자유민주당 해산
49 78 호소다 히로유키 2021년 11월 10일 ~ 2023년 10월 20일 자유민주당 사임
79 누카가 후쿠시로 2023년 10월 20일 ~ 2024년 10월 9일 자유민주당 해산

7. 위원회

상임위원회 특별위원회 심사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내각위원회 재해대책특별위원회 헌법심사회
총무위원회 정치윤리의 확립 및 공직선거법개정에 관한 특별위원회 정보감시심사회
법무위원회 오키나와 및 북방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정치윤리심사회
외무위원회 북한에 의한 납치 문제 등에 관한 특별위원회
재무금융위원회 청소년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문부과학위원회 소비자 문제에 관한 특별위원회
후생노동위원회 과학 기술 · 이노베이션 추진 특별위원회
농림수산위원회 동일본 대지진 부흥 특별위원회
경제산업위원회 원자력 문제 조사 특별위원회
국토교통위원회 지방 창생에 관한 특별위원회
환경위원회
안전보장위원회
국가기본정책위원회
예산위원회
결산행정감시위원회
의원운영위원회
징벌위원회 }}}}}}}}}
부설기관
사무국 법제국

8. 의원 목록

현재 중의원의 총 정수는 465명으로 이중 지역구의원은 289명, 광역구 비례대표는 176명이 있다.

8.1. 홋카이도

홋카이도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홋카이도 선거구
2025년 개선 2028년 개선
다카하시 하루미 가쓰베 겐지 이와모토 쓰요히토 하세가와 가쿠 도쿠나가 에리 후나하시 도시미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구 2구 3구 4구 5구
미치시타 다이키 마쓰키 겐코 아라이 유타카 오쓰키 구레하 이케다 마키
6구 7구 8구 9구 10구
아즈마 구니요시 스즈키 다카코 오사카 세이지 야마오카 다쓰마루 가미야 히로시
11구 12구
이시카와 가오리 다케베 아라타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시노다 나오코 이토 요시타카 니시카와 마사히토 나카무라 히로유키 사토 히데미치
비례 6 비례 7 비례 8
가와하라다 에이세이 무코야마 준 우스키 히데타케
[🗺️중원선 선거구 지도 보기]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2. 도호쿠

도호쿠 지방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오모리현 선거구 이와테현 선거구 미야기현 선거구
2025년 개선
다키사와 모토메 요코사와 다카노리 이시가키 노리코
2028년 개선
다나부 마사요 기도구치 에이지 사쿠라이 미쓰루
아키타현 선거구 야마가타현 선거구 후쿠시마현 선거구
2025년 개선
테라다 시즈카 하가 미치야 모리 마사코
2028년 개선
이시이 히로오 후나야마 야스에 호시 호쿠토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오모리 1구 아오모리 2구 아오모리 3구 이와테 1구 이와테 2구
쓰시마 준 간다 준이치 오카다 하나코 시나 다케시 스즈키 슌이치
이와테 3구 미야기 1구 미야기 2구 미야기 3구 미야기 4구
오자와 이치로 오카모토 아키코 가마타 사유리 야나기사와 쓰요시 아즈미 준
미야기 5구 아키타 1구 아키타 2구 아키타 3구 야마가타 1구
오노데라 이쓰노리 도가시 히로유키 미도리카와 다카시 무라오카 도시히데 엔도 도시아키
야마가타 2구 야마가타 3구 후쿠시마 1구 후쿠시마 2구 후쿠시마 3구
스즈키 노리카즈 가토 아유코 가네코 에미 겐바 고이치로 오구마 신지
후쿠시마 4구
사카모토 류타로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에토 아키노리 바바 유키 모리시타 치사토 데라다 마나부 기쿠치 다이지로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후쿠하라 준지 쇼지 겐이치 마스타 세키오 미노리카와 노부히데 사와라 와카코
비례 11 비례 12
사이토 유키 네모토 다쿠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3. 기타칸토

기타칸토 지방 국회의원
이바라키현, 도치기현, 군마현, 사이타마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바라키현 선거구 도치기현 선거구 군마현 선거구 사이타마현 선거구
2025년 개선
고즈키 료스케 다카하시 가쓰노리 시미즈 마사토 후루카와 도시하루 구마가이 히로토
오누마 다쿠미 야쿠라 가쓰오 이토 가쿠
2028년 개선
가토 아키요시 우에노 미치코 나카소네 히로후미 세키구치 마사카즈 우에다 기요시
도고미 마키코 니시다 마코토 다카기 마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이바라키 1구 이바라키 2구 이바라키 3구 이바라키 4구 이바라키 5구
후쿠시마 노부유키 누카가 후쿠시로 하나시 야스히로 가지야마 히로시 아사노 사토시
이바라키 6구 이바라키 7구 도치기 1구 도치기 2구 도치기 3구
아오야마 야마토 나카무라 하야토 후나다 하지메 후쿠다 아키오 야나 가즈오
도치기 4구 도치기 5구 군마 1구 군마 2구 군마 3구
후지오카 다카오 모테기 도시미쓰 나카소네 야스타카 이노 도시로 사사가와 히로요시
군마 4구 군마 5구 사이타마 1구 사이타마 2구 사이타마 3구
후쿠다 다쓰오 오부치 유코 무라이 히데키 신도 요시타카 기카와다 히토시
사이타마 4구 사이타마 5구 사이타마 6구 사이타마 7구 사이타마 8구
호사카 야스시 에다노 유키오 오시마 아쓰시 고미야마 야스코 시바야마 마사히코
사이타마 9구 사이타마 10구 사이타마 11구 사이타마 12구 사이타마 13구
스기무라 신지 사카모토 유노스케 고이즈미 류지 모리타 도시카즈 하시모토 미키히코
사이타마 14구 사이타마 15구 사이타마 16구
스즈키 요시히로 다나카 료세이 쓰치야 시나코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나카노 히데유키 하세가와 가이치 구니미쓰 아야노 기시다 미쓰히로 고시미즈 게이이치
<rowcolor=#fff>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다케마사 고이치 나가오카 게이코 미스미 소타 다카이 다카시 타도코로 요시노리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다카하시 히데아키 시오카와 데쓰야 후쿠시게 다카히로 다케우치 치하루 사토 쓰토무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이가라시 기요시 이치키 도모코 노나카 아쓰시 야마구치 료지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4. 도쿄

도쿄도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쿄도 선거구
2025년 개선 2028년 개선
공석 야마구치 나쓰오 키라 요시코 아사히 겐타로 다케야 도시코 야마조에 타쿠
시오무라 아야카 공석 다케미 게이조 공석 이쿠이나 아키코 야마모토 타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구 2구 3구 4구 5구
가이에다 반리 쓰지 기요토 이시하라 히로타카 다이라 마사아키 데즈카 요시오
6구 7구 8구 9구 10구
오치아이 다카유키 마츠오 아키히로 요시다 하루미 야마기시 잇세이 스즈키 하야토
11구 12구 13구 14구 15구
아쿠쓰 유키히코 다카기 게이 쓰치다 신 마쓰시마 미도리 사카이 나츠미
16구 17구 18구 19구 20구
오니시 요헤이 히라사와 가쓰에이 후쿠다 가오루 스에마쓰 요시노리 기하라 세이지
21구 22구 23구 24구 25구
오카와라 마사코 야마하나 이쿠오 이토 슌스케 하기우다 고이치 이노우에 신지
26구 27구 28구 29구 30구
마쓰바라 진 나가쓰마 아키라 다카마쓰 사토시 오카모토 미쓰나리 이가라시 에리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안도 다카오 스즈키 요스케 마도카 요리코 이토 다쓰야 마쓰시타 레이코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가사이 고이치 아베 쓰카사 마쓰모토 요헤이 다무라 도모코 모리 요스케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구시부치 마리 아리타 요시후 오조라 고키 아베 유미코 하토야마 기이치로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나가시마 아키히사 오모리 에리코 시바타 가쓰유키 이노쿠치 사치코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중원선 선거구 지도 보기]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5. 미나미칸토

미나미칸토 지방 국회의원
치바현, 가나가와현, 야마나시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치바현 선거구 가나가와현 선거구 야마나시현 선거구
2025년 개선
이시이 준이치 나가하마 히로유키 공석 마키야마 히로에 모리야 히로시
도요카 도시로 사사키 사야카 미즈노 모토코
2028년 개선
우스이 쇼이치 이노구치 구니코 미하라 준코 마쓰자와 시게후미 나가이 마나부
고니시 히로유키 미우라 노부히로 아사오 게이이치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치바 1구 치바 2구 치바 3구 치바 4구 치바 5구
다지마 가나메 고바야시 다카유키 마쓰노 히로카즈 미즈누마 히데유키 야자키 겐타로
치바 6구 치바 7구 치바 8구 치바 9구 치바 10구
안도 준코 사이토 겐 혼조 사토시 오쿠노 소이치로 고이케 마사아키
치바 11구 치바 12구 치바 13구 치바 14구 가나가와 1구
모리 에이스케 하마다 야스카즈 마츠모토 히사시 노다 요시히코 시노하라 고
가나가와 2구 가나가와 3구 가나가와 4구 가나가와 5구 가나가와 6구
스가 요시히데 나카니시 겐지 와세다 유키 사카이 마나부 아오야기 요이치로
가나가와 7구 가나가와 8구 가나가와 9구 가나가와 10구 가나가와 11구
나카타니 가즈마 에다 겐지 류 히로후미 다나카 가즈노리 고이즈미 신지로
가나가와 12구 가나가와 13구 가나가와 14구 가나가와 15구 가나가와 16구
아베 도모코 후토리 히데시 아카마 지로 고노 다로 고토 유이치
가나가와 17구 가나가와 18구 가나가와 19구 가나가와 20구 야마나시 1구
마키시마 카렌 소노 하지메 쿠사마 쓰요시 오쓰카 사유리 나카지마 가쓰히토
야마나시 2구
호리우치 노리코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후루카와 나오키 야타가와 하지메 나카타니 신이치 후카사쿠 헤스스 사사키 나오미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쓰노다 히데오 에리 아르피야 미야카와 신 가네무라 유나 다가야 료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스즈키 게이스케 오카노 준코 시이 가즈오 오카지마 가즈마사 누마자키 미쓰코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미타니 히데히로 나가토모 요시히로 호시노 쓰요시 니시오카 요시타카 야마자키 마코토
비례 21 비례 22 비례 23
후지마키 겐타 스즈키 아쓰시 야마기와 다이시로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6. 호쿠리쿠신에쓰

호쿠리쿠신에쓰 지방의 국회의원
니가타현, 도야마현, 이시카와현, 후쿠이현, 나가노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니가타현 선거구 도야마현 선거구 이시카와현 선거구 후쿠이현 선거구 나가노현 선거구
2025년 개선
우치코시 사쿠라 도코 시게루 미야모토 슈지 다키나미 히로후미 하타 지로
2028년 개선
고바야시 가즈히로 노가미 고타로 오카다 나오키 야마자키 마사아키 스기오 히데야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니가타 1구 니가타 2구 니가타 3구 니가타 4구 니가타 5구
니시무라 지나미 기쿠타 마키코 구로이와 다카히로 요네야마 류이치 우메타니 마모루
도야마 1구 도야마 2구 도야마 3구 이시카와 1구 이시카와 2구
다바타 히로아키 우에다 에이슌 다치바나 게이이치로 고모리 다쿠오 사사키 하지메
이시카와 3구 후쿠이 1구 후쿠이 2구 나가노 1구 나가노 2구
곤도 가즈야 이나다 도모미 쓰지 히데유키 시노하라 다카시 시모조 미쓰
나가노 3구 나가노 4구 나가노 5구
고즈 다케시 고토 시게유키 미야시타 이치로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구니사다 이사토 야마 도시히로 사이토 히로아키 후쿠다 준타 이데 요세이
<rowcolor=#fff>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오다케 가이 하타노 쓰바사 니시다 쇼지 나카가와 히로마사 사이키 다케시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000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7. 도카이

도카이 지방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후현 선거구 시즈오카현 선거구 아이치현 선거구 미에현 선거구
2025년 개선
오노 야스타다 마키노 다카오 사카이 야스유키 오쓰카 고헤이 요시카와 유미
신바 가즈야 다지마 마이코 야스에 노부오
2028년 개선
와타나베 다케유키 와카바야시 요헤이 후지카와 마사히토 사토미 류지 야마모토 사치코
히라야마 사치코 사이토 요시타카 이토 다카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후 1구 기후 2구 기후 3구 기후 4구 기후 5구
노다 세이코 다나하시 야스후미 무토 요지 이마이 마사토 후루야 게이지
시즈오카 1구 시즈오카 2구 시즈오카 3구 시즈오카 4구 시즈오카 5구
가미카와 요코 이바야시 다쓰노리 고야마 노부히로 다나카 겐 호소노 고시
시즈오카 6구 시즈오카 7구 시즈오카 8구 아이치 1구 아이치 2구
와타나베 슈 기우치 미노루 겐마 겐타로 카와무라 타카시 후루카와 모토히사
아이치 3구 아이치 4구 아이치 5구 아이치 6구 아이치 7구
곤도 쇼이치 마키 요시오 니시카와 아쓰시 니와 히데키 히노 사리아
아이치 8구 아이치 9구 아이치 10구 아이치 11구 아이치 12구
반노 유타카 오카모토 미쓰노리 후지와라 노리마사 단노 미도리 시게토쿠 가즈히코
아이치 13구 아이치 14구 아이치 15구 아이치 16구 미에 1구
오니시 겐스케 이마에다 소이치로 네모토 유키노리 후쿠다 도루 다무라 노리히사
미에 2구 미에 3구 미에 4구
시모노 고스케 오카다 가쓰야 스즈키 에이케이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와카야마 신지 마쓰다 이사오 후카자와 요이치 센다 아키히로 마노 사토시
<rowcolor=#fff>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나카가와 야스히로 가쓰마타 다카아키 사카구치 나오토 오타케 리에 가와사키 히데토
<rowcolor=#fff>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스기모토 가즈미 스즈키 다케유키 나가사카 야스마사 모토무라 노부코 니시조노 가쓰히데
<rowcolor=#fff>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고야마 지호 구도 쇼조 다케가미 유코 우에무라 히데아키 후쿠모리 와카코
<rowcolor=#fff> 비례 21
이토 타다히코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8. 긴키

긴키 지방 국회의원
시가현, 교토부, 오사카부, 효고현, 나라현, 와카야마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가현 선거구 교토부 선거구 오사카부 선거구 효고현 선거구 나라현 선거구 와카야마현 선거구
2025년 개선
가다 유키코 니시다 쇼지 우메무라 미즈호 공석 시미즈 다카유키 다카하시 미쓰오 호리이 이와오 공석
구라바야시 아키코 스기 히사타케 오타 후카에 가다 히로유키
2028년 개선
고야리 다카시 요시이 아키라 다카기 가오리 마쓰카와 루이 가타야마 다이스케 스에마쓰 신스케 사토 게이 쓰루호 요스케
후쿠야마 데쓰로 아사다 히토시 이시카와 히로타카 이토 다카에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시가 1구 시가 2구 시가 3구 교토 1구 교토 2구
사이토 알렉스 우에노 겐이치로 다케무라 노부히데 가쓰메 야스시 마에하라 세이지
교토 3구 교토 4구 교토 5구 교토 6구 오사카 1구
이즈미 겐타 기타카미 게이로 혼다 다로 야마노이 가즈노리 이노우에 히데타카
오사카 2구 오사카 3구 오사카 4구 오사카 5구 오사카 6구
모리시마 다다시 아즈마 도루 미노베 테루오 우메무라 사토시 니시다 가오루
오사카 7구 오사카 8구 오사카 9구 오사카 10구 오사카 11구
오쿠시타 타케미츠 우루마 조지 하기하라 게이 이케시타 타쿠 나카츠카 히로시
오사카 12구 오사카 13구 오사카 14구 오사카 15구 오사카 16구
후지타 후미타케 이와타니 료헤이 아오야기 히토시 우라노 야스토 구로다 마사키
오사카 17구 오사카 18구 오사카 19구 효고 1구 효고 2구
바바 노부유키 엔도 다카시 이토 노부히사 이사카 노부히코 아카바 가즈요시
효고 3구 효고 4구 효고 5구 효고 6구 효고 7구
세키 요시히로 후지이 히사유키 다니 고이치 사쿠라이 슈 야마다 겐지
효고 8구 효고 9구 효고 10구 효고 11구 효고 12구
나카노 히로마사 니시무라 야스토시 도카이 기사부로 마쓰모토 다케아키 야마구치 쓰요시
나라 1구 나라 2구 나라 3구 와카야마 1구 와카야마 2구
마부치 스미오 다카이치 사나에 타노세 타이도 야마모토 다이치 세코 히로시게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하야시 유미 고테라 히로오 모리야마 히로유키 다케우치 유즈루 미키 게
<rowcolor=#fff>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이시다 마사토시 무코야마 고이치 도쿠야스 준코 다쓰미 고타로 하시모토 게이고
<rowcolor=#fff>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오오카 도시타카 오이시 아키코 우키시마 도모코 이케하타 고타로 오구시 마사키
<rowcolor=#fff>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오카다 사토루 이치무라 고이치로 고바야시 시게키 히라이와 마사키 기타노 유코
비례 21 <rowcolor=#fff> 비례 22 비례 23 비례 24 비례 25
와니부치 요코 와다 유이치로 호리카와 아키코 오쓰지 가나코 시마다 도모아키
<rowcolor=#fff> 비례 26 비례 27 비례 28
아베 게이시 시마다 요이치 야하타 아이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9. 주고쿠

주고쿠 지방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오카야마현 선거구 히로시마현 선거구 야마구치현 선거구
<colbgcolor=#a0a0a0,#5f5f5f> 2025년 개선
마이타치 쇼지 이시이 마사히로 모리모토 신지 미야구치 하루코 기타무라 쓰네오
2028년 개선
아오키 가즈히코 오노다 키미 미야자와 요이치 미카미 에리 에지마 기요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돗토리 1구 돗토리 2구 시마네 1구 시마네 2구 야마구치 1구
이시바 시게루 아카자와 료세이 가메이 아키코 타카미 야스히로 고무라 마사히로
야마구치 2구 야마구치 3구 오카야마 1구 오카야마 2구 오카야마 3구
기시 노부치요 하야시 요시마사 아이사와 이치로 야마시타 다카시 가토 가쓰노부
오카야마 4구 히로시마 1구 히로시마 2구 히로시마 3구 히로시마 4구
유노키 미치요시 기시다 후미오 히라구치 히로시 사이토 데쓰오 소라모토 세이키
히로시마 5구 히로시마 6구
사토 고지 고바야시 후미아키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신타니 마사요시 히라오카 히데오 히라누마 쇼지로 히라바야시 아키라 이시바시 린타로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후쿠다 겐 쓰무라 게이스케 요시다 신지 테라다 미노루 아즈마 가쓰야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10. 시코쿠

시코쿠 지방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카가와현 선거구 에히메현 선거구
2025년 개선
히로타 하지메 미야케 신고 나가에 다카코
2028년 개선
나카니시 유스케 이소자키 요시히코 야마모토 준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도쿠시마 1구 도쿠시마 2구 카가와 1구 카가와 2구 카가와 3구
니키 히로부미 야마구치 슌이치 오가와 준야 다마키 유이치로 오노 게이타로
에히메 1구 에히메 2구 에히메 3구 고치 1구 고치 2구
시오자키 아키히사 시라이시 요이치 하세가와 준지 나카타니 겐 오자키 마사나오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무라카미 세이이치로 다카하시 에이 히라이 다쿠야 이시이 도모에 야마사키 마사야스
<rowcolor=#fff> 비례 6
세토 다카카즈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8.11. 규슈

규슈- 오키나와 지방의 국회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참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쿠오카현 선거구 사가현 선거구 나가사키현 선거구
2025년 개선
마쓰야마 마사지 시모노 로쿠타 노다 구니요시 야마시타 유헤이 고가 유이치로
2028년 개선
오이에 사토시 고가 유키히토 아키노 고조 후쿠오카 다카마로 야마모토 게이스케
구마모토현 선거구 오이타현 선거구 미야자키현 선거구 가고시마현 선거구 오키나와현 선거구
2025년 개선
바바 세이시 시라사키 아키 나가미네 마코토 오쓰지 히데히사 다카라 데쓰미
2028년 개선
마쓰무라 요시후미 고쇼 하루토모 마쓰시타 신페이 노무라 데쓰로 이하 요이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중의원 의원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후쿠오카 1구 후쿠오카 2구 후쿠오카 3구 후쿠오카 4구 후쿠오카 5구
이노우에 다카히로 이나토미 슈지 고가 아쓰시 미야우치 히데키 구리하라 와타루
후쿠오카 6구 후쿠오카 7구 후쿠오카 8구 후쿠오카 9구 후쿠오카 10구
하토야마 지로 후지마루 사토시 아소 다로 오가타 린타로 기이 다카시
후쿠오카 11구 사가 1구 사가 2구 나가사키 1구 나가사키 2구
무라카미 토모노부 하라구치 가즈히로 오구시 히로시 니시오카 히데코 가토 류쇼
나가사키 3구 구마모토 1구 구마모토 2구 구마모토 3구 구마모토 4구
가네코 요조 기하라 미노루 니시노 다이스케 사카모토 데쓰시 가네코 야스시
오이타 1구 오이타 2구 오이타 3구 미야자키 1구 미야자키 2구
기라 슈지 히로세 겐 이와야 다케시 와타나베 소 에토 다쿠
미야자키 3구 가고시마 1구 가고시마 2구 가고시마 3구 가고시마 4구
후루카와 요시히사 가와우치 히로시 미타조노 사토시 노마 다케시 모리야마 히로시
오키나와 1구 오키나와 2구 오키나와 3구 오키나와 4구
아카미네 세이켄 아라가키 구니오 시마지리 아이코 니시메 고사부로
<rowcolor=#fff> 비례 1 비례 2 비례 3 비례 4 비례 5
아베 도시코 야라 도모히로 하마치 마사카즈 미야지 다쿠마 요시카와 하지메
<rowcolor=#fff> 비례 6 비례 7 비례 8 비례 9 비례 10
나가토모 신지 오니키 마코토 야마카와 히토시 요시다 노부히로 고쿠바 고노스케
<rowcolor=#fff> 비례 11 비례 12 비례 13 비례 14 비례 15
야마다 가쓰히코 아베 히로키 이와타 가즈치카 쓰쓰미 가나메 긴조 야스쿠니
<rowcolor=#fff> 비례 16 비례 17 비례 18 비례 19 비례 20
고노미 료타로 후루카와 야스시 요시카와 리나 다무라 다카아키 미야자키 마사히사
일본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 ||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9. 둘러보기

[[일본|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관련 문서
]]
{{{#!wiki style="word-break:keep-all; 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정치 · 군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상징 천황 · 일본 황실( 황실 관련 문서) · 일장기( 니시키노미하타) · 국장 · 기미가요
국호 국호 · 니혼/닛폰 · 야마토 · 야시마 · 히노모토 · 재팬 · 지팡구 · 미즈호 · 시키시마 · ( · · ) · 부상국 · 동영 · ( 왜국)
정치 수상관저 · 일본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 · 내각총리대신 · 정부 · 정당( 사라진 정당) · 국회( 참의원 · 중의원 ( 중의원 해산)) · 행정조직 · 55년 체제 · 우경화 · 정부홍보 온라인
선거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 중의원 의원 총선거 · 통일지방선거 · 도쿄도지사 선거 · 내각총리대신 지명 선거 (간접선거)
이념 · 사상 틀:일본의 이념 · 일본 좌파 · 일본의 자유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일본 내셔널리즘 · 야마토 민족주의 · 천황제 파시즘
외교 외교 전반 · 친일 · 반일 · 지일 · 일뽕 · 친일파 · 탈아입구 · G7 · 6자회담 · G20 · G4 · Quad · IPEF · JUSCANZ · 한중일 · 한일관계 · 중일관계( 중일평화우호조약) · 한미일관계 · 미일관계 · 미일 반도체 협정 · 러시아 제국-일본 제국 관계 · 러일관계 · 한러일관계 · 여권 · 비자 · 영토 분쟁( 독도 · 쿠릴 열도 · 센카쿠 열도) · 옛 식민지 국가들과의 관계 · 일본 제국-나치 독일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왜관
군사 군사 전반( 군사사) · 자위대( 편성 · 역사 ( 일본군) · 계급) · 문제점( 무기 관련) · 사건 사고 · 군복 · 교육훈련 · 전투식량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통합막료감부 · 방위대학교 · 방위의과대학교 · 재무장 문제 · 주일미군( 미일안전보장조약) · 97식 중전차 치하 · 95식 경전차 하고/케고/규고 · 욱일기
사법 · 치안 사법 전반 · 재판소 · 최고재판소 · 일본 형법 · 일본 경찰( 계급 · 일본 제국 경찰) · 일본 경찰청 · 경시청 · 나라현 경찰본부 · 공안조사청 · 엔자이 · 저작권법 · 사형제도 · 후추 형무소 · 도쿄 구치소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시대 역사 전반 · 조몬 시대 · 야요이 시대 · 고훈 시대 · 아스카 시대 · 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 가마쿠라 시대 · 남북조시대 · 무로마치 시대 · 센고쿠 시대 ·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 전국 3영걸 · 에도 시대 · 겐로쿠 · 막말 · 메이지 유신 · 메이지 시대 · 다이쇼 시대 · 쇼와 시대 · 헤이세이 시대 · 레이와 시대
정권 야마타이국 · 야마토 정권 · 소가 · 원정 · 겐페이토키츠 · 후지와라 · 헤이케 · 막부 · 쇼군 · 가마쿠라 막부 · 집권 · 무로마치 막부 · 관령 · 에도 막부 · · 조슈 번 · 사쓰마 번 · 일본 제국 · 에조 공화국 · 연합군 점령하 일본 · 류큐 왕국
기타 일본서기 · 육국사 · 신찬성씨록 · 관위 · 후궁제도 · 봉행 · 태정관 · 공가 · 사쓰마 번 · 사무라이 · 다이묘 · 닌자 · 공가 · 화족 · 데지마 · 카쿠레키리시탄 · 쿠로후네 사건 · 에조 · 에도 · 왜구 · 다이쇼 데모크라시 · 다이쇼 로망 · 대일본제국 헌법 · 중일전쟁 · 태평양 전쟁 · 일제강점기 · 과거사 청산 문제 · 역코스 ·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 · 일본의 역사왜곡( 일본의 전쟁범죄 · 해군선옥론 · 육군악옥론 · 일본 극우사관 · 일본의 피해자 행세 · 야스쿠니 신사 · 전범기업) · 오키나와/역사 · 전공투( 적군파)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사회 · 경제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경제 경제 전반 · 경제사 · 일본 엔 · 일본은행 · 무역 · 도쿄증권거래소 · 오사카증권거래소 · 닛케이 225 · 재벌 · 대기업 · 취업 · 일본제( 목록 · 내수용) · 아베노믹스 · 1980년대 일본 거품경제 · 플라자 합의 · 잃어버린 10년 · 일본국채 · 잽머니 · 갈라파고스화 · 블랙기업 · 자동판매기
지리 일본 열도 · 혼슈 · 규슈 · 시코쿠 · 홋카이도 · 난세이 제도 · 류큐 제도 · 오키나와섬 · 오가사와라 제도 · 쓰시마섬 · 지명 · 지역구분 · 간토 · 간사이 · 주부 · 주코쿠 · 도호쿠 · 오키나와 · 행정구역 · 도도부현 · 시정촌 · 도시 · 수도권 · 케이한신 · 주쿄권 · 내지 · 지진( 대지진) · 후지산
사회 사회 전반( 문제점 · 야쿠자 · 폭주족 · 한구레 · 옴진리교( 알레프)) · 국수주의( 인종차별 · 혐한 · 극우 미디어물 · 넷 우익 · 일본 대단해 · 애국 비즈니스) · 일본인 · 야마토 민족 · 조몬인 · 야요이인 · 류큐인 · 아이누 · 니브흐 · 윌타 · 오로치 · 재일 외국인( 재일 한국-조선인 · 재일 중국인) · 성씨( 목록) · 주거 · 주소 · 연호 · 공휴일 · 출산율 · 차량 번호판 · 메이와쿠 · 다테마에 · 오모테나시 · 이지메 · 니트족 · 히키코모리 · 중2병 · 잇쇼켄메이 · 초식남 · 건어물녀 · 여자력 · 야마토 나데시코 · 멘헤라 · 토요코 키즈
언어 일본어족 · 일본어( 문법 · 발음) · 도호쿠벤 · 하치조 방언 · 에도벤 · 나고야벤 · 간사이벤 · 도사벤 · 하카타벤 · 우치나 야마토구치 · 일어일문학과 · JLPT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반복 부호 · 스테가나 · 오쿠리가나 · 후리가나 · 만요가나 · 역사적 가나 표기법 · 한자( 신자체 · 목록) · 상용한자 · 일본식 한자어 · 류큐어 · 아이누어 · 니브흐어 · 훈독 ·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 세로쓰기 · 일본어 위키백과 · 재플리시( 목록) · 한자 문화권
과학 · 기술 해체신서 · 이화학연구소 · 물질·재료 연구기구 · 니호늄 · 아시모 · JAXA · QZSS · H-II · H-III · LE-7 · LE-9 · 엡실론 로켓 ·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 가구야(탐사선) · 하야부사(탐사선) · 아카츠키(탐사선) · 카미오칸데 · KAGRA · 양산 바이러스 연구소
교육 대학 목록 · 대학 서열화 · 지잡대 · 제국대학 · 관립대학 · 슈퍼글로벌대학 · 학술연구간담회 · 대학 펀드 · 대학입학공통테스트 · 대학입시센터시험(폐지) · EJU · 편차치 · 관리교육 · 유토리 교육 · 일본 문부과학성 장학금 · 한일 공동 고등교육 유학생 교류사업 · G30 · 실용영어기능검정
교통 교통 전반 · 도로( 고속도로 · 국도 · 도도부현도 · 시정촌도) · 교통 패스( 홋카이도 · 동일본 · 도카이 · 서일본 · 시코쿠 · 큐슈 · 도서 지역 · 복수 지역) · 철도( 철도 환경 · JR그룹 · 대형 사철 · 신칸센) · 공항 목록 · 전일본공수 · 일본항공 · 비짓 재팬 웹 · 좌측통행 · 차량 번호판
교포 일본계 · 일본계 한국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일본계 미국인 · 일본계 중국인 · 일본계 팔라우인 · 일본계 러시아인 · 일본계 대만인 · 일본계 멕시코인 · 일본계 인도네시아인 · 일본계 아르헨티나인 · 일본계 영국인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문화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colbgcolor=#fe0000><colcolor=#fff> 예술 일본 음악 · 우타이테 · J-POP · 엔카 · 일본 아이돌 · 전통악기 · NHK 교향악단 · 일본 미술 · 일본 영화( 역대 흥행 순위 · 도쿄 국제 영화제) · 일본 드라마 · 찬바라 · 일본 방송( NHK · 일본의 민영방송) · 일본 만화( 만화잡지 · 걸작 만화) · 일본 애니메이션( 심야 애니메이션) · 가부키 · 라쿠고 · 우키요에 · 하이쿠 · 센류 · 와카( 만요슈 · 백인일수) · 모노가타리( 겐지모노가타리 · 타케토리모노가타리) · 렌가 · 오리가미 · 노가쿠 · 조루리 · 가가쿠 · 만자이 · 오와라이 · 가레산스이 · 자포네스크 · 오키나와 음악
음식 음식 전반( 지리적 표시제 · 급식) · 스시 · 사시미 · 가이세키 · 돈부리( 가츠동 · 규동) · 우동 · 소바 · 덴푸라( 새우튀김) · 돈가스 · 멘치 · 고로케 · 유부 · 낫토 · 우메보시 · 니쿠자가 · 타쿠앙즈케 · 일본의 술 · 라멘 · 나가사키 짬뽕 · 와규 · 카레라이스 · 오므라이스 · 오니기리 · 오코노미야키 · 몬쟈야키 · 나폴리탄 · 오뎅 · 샤브샤브 · 에키벤 · 카스텔라 · 화과자( 모찌 · 만쥬 · 양갱 · 모나카 · 센베이 · 타코야키) · 이자카야 · 오토시 · 오키나와 요리
전통문화 일본학 · 국학 · 기모노 · 유카타 · 촌마게 · 게다 · 오하구로 · 훈도시 · 쥬니히토에 · 료칸 · 다다미 · 코타츠 · 마츠리 · 아마 · 화지 · 가라쿠리 · 부시도 · 일본 갑옷 · 일본도 · 천수각 · 다도 · 쇼기 · 화투 · 카루타 · 게이샤 · 마이코 · 오이란
종교 · 신화 일본/종교 · 신토 · 신사 · 신사본청 · 무녀 · 신궁 · 이세 신궁 · 덴만구 · 이치노미야 · 일본 신화 · 고사기 · 풍토기 · 요괴( 오니 · 일본삼대악귀 · 텐구 · 유키온나 · 캇파 · 츠쿠모가미 · 오바케) · 정토교 · 일련종 · 부동명왕 · 창가학회 · 류큐 신토
스포츠 스포츠 전반( 도쿄 올림픽) · 프로야구 · 고교야구 전국대회 · 야구 국가대표팀 · 여자 야구 국가대표팀 · J리그 · 축구 국가대표팀 ·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일본 그랑프리 · 검도 · 주짓수 · 유도 · 가라테 · 스모 · 아이키도 · 킥복싱 · 슛복싱 · 일본 고류 무술 · 발도술 · 궁도
서브컬처 오타쿠 · 특촬물( 일본 3대 특촬물) · 괴수물 · 동인샵 · 아키하바라 · 오토메 로드 · 덴덴타운 · 코믹마켓 · 아키바계 · 코스프레 · 다키마쿠라 · 네코미미(고양이귀) · 이타샤 · 니코니코 동화 · 매드무비 · 5ch · 아스키 아트 · 후타바 채널 · 라이트 노벨 · 미연시 · 비주얼 노벨 · 오토메 게임 · JRPG · 탄막 게임 · 쯔꾸르 · 오락실/일본 · 모에 · 모에화 · 모에 그림 · 츤데레 · 데레 · 존댓말 캐릭터 · 갸루 · 로리타 패션 · 왕자계 · 고스로리 · 양산형 · 지뢰계 · 페어리계 · 데코라계 · 반쵸 · 스케반 · 버츄얼 유튜버( hololive 프로덕션 · 니지산지) · 보컬로이드 · MMD · 음성 합성 엔진 · 프라모델 · 소설가가 되자 · 이세계물 · 거대로봇물 · 슈퍼로봇 · 리얼로봇물 · 마법소녀 · 케모노 · 몬무스 · 메카무스메 · 여간부 · 세카이계 · 가상 아이돌 · 지하 아이돌 · 메이드 카페 · 집사 카페 · 동인녀 · 부녀자 · 상업지 · 에로 동인지 · 에로게 · 야애니 · 에로 라이트 노벨
기타 문화 전반 · 호칭 · 벚꽃 · 가쿠란 · 하쿠란 · 세라복 · 란도셀 · 관광 · 세계유산 · 국립 박물관( 도쿄 · 교토 · 나라 · 규슈) · 도쿄 타워 · 도쿄 스카이트리 · 도쿄 디즈니랜드 · 오사카성 · 유니버설 스튜디오 재팬 · 통천각 · 구마모토성 · 레고랜드 재팬 리조트 · 삿포로 눈 축제 · 온천 · 파친코 · 스도쿠 · 가라오케 · 이모지 · 스카잔 · 특공복 · 유루캬라 · 동영 · 왜색 · 와패니즈 }}}}}}}}}}}}


[[일본/정치|
파일:일본 황실 금색.svg
일본국
국가기관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 행정 파일:고시치노키리.svg 파일:오동칠문 금색.svg 내각총리대신 직속기관 · 중앙성청 · 회계검사원
내각총리대신 · 국무대신
입법 파일:일본국회 다크.svg 파일:일본 국회의사당 흰색 아이콘.svg 중의원 · 중의원 의장 · 중의원 부의장 · 중의원 의원
참의원 · 참의원 의장 · 참의원 부의장 · 참의원 의원
사법 파일:일본 재판소 휘장 미니.svg 파일:일본 재판소 휘장 미니_다크.svg 최고재판소 · 최고재판소장관 · 최고재판소재판관
고등재판소 · 지방재판소 · 가정재판소 · 간이재판소 }}}}}}}}}


[1] しゅうぎいん [사무국] [3] 자유민주당 190석+무소속 6석 [4] 입헌민주당 147석+ 사회민주당 1석 [5] 무소속 4석 [의장] 중의원 의장과 부의장은 당적은 그대로 유지하나 원내 회파에는 소속되지 않는다. [의장] [8] 참고로 개정된 선거법에서 18세, 19세 국민들이 투표하게 된 첫 선거는 제24회 일본 참의원 의원 통상선거. 이러한 것과는 달리 성년 연령도 똑같이 18세로 낮추는 민법 개정은 7년 후인 2022년 4월 1일부터 시행되었다. 기사 [9] 하라 요코가 당선 당시 만 25세 4개월, 오오조라 코키가 당선 당시 만 25세 11개월로 역대 최연소는 하라 요코다. [10] 1945년 일본의 패전 직전에 조선과 대만에 선거구가 설정되어서 1946년부터 조선 선거구 중의원 의원 23명, 대만 선거구 중의원 의원 5명을 선출하도록 하는 선거법 수정안이 제국의회를 통과했다. 하지만 얼마 못 가 일본이 항복함에 따라 조선과 대만이 일본의 통치를 벗어나서 실제로 선거가 치러진 적은 없다. [11] 이것도 당시 총리였던 미키 다케오 해산하려다가 타이밍을 놓쳐서 얼떨결에 임기가 만료되어 버린 일종의 해프닝. 정상적으로 임기를 만료하는 게 해프닝이라니 이후 스가 요시히데도 지지율 때문에 해산 시점을 잡지 못하고 후임 기시다 후미오가 취임 열흘 만에 해산 선언을 하여 다르면서도 비슷한 상황을 겪었다. 사실상 기시다가 중의원 해산을 대신해준 셈이며, 이 때문에 48대 중의원도 거의 임기를 다 채웠다. 때문에 기시다는 총리 취임 후 중의원 해산을 하는 시점이 가장 일렀다는 신기록을 세웠지만, 후임자 이시바 시게루가 취임 8일만에 의회를 해산하며 그 기록을 깬다. 그리고 폭망했다. [12] 1902년, 1908년, 1912년, 1942년. [13] 선거 때마다 조금씩 바뀌는 경우가 많다. 기준은 가장 인구가 적은 선거구를 기준으로 2배수까지 선거구를 구성하는데 보통 돗토리현 1구 또는 돗토리현 2구를 기준으로 한다. [14] 1993년 중의원 의원 총선거 때까지는 중대선거구제를 시행했다. [15] 간 나오토 일본국 내각총리대신이 2012년 12월 16일 총선에서 자유민주당 후보한테 털려서 지역구에서는 낙선했지만, 석패율 비례대표로 당선됐다. [16] 돗토리 1구 또는 2구가 기준이 된다. [17] 내각총리대신(총리)은 국회의원(참의원과 중의원 모두 해당) 중에서 선출하는데, 양원이 각각 선출절차를 거치며 만약 양원이 서로 다른 인물을 총리로 지명하였을 경우에는 중의원이 지명한 인물을 총리로 임명한다. [18] 2000년대 초반까지는 그나마 상원의원들이 영국 최고법원의 법관을 겸했으나, 별도의 최고법원이 신설되면서 그마저도 없어졌다. [19] 대통령 중심제로 치자면 총선과 대선 역할을 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20] 일반적인 법률은 국회의원 과반 찬성으로 법이 제정되는 것과 달리, 개헌은 각 원의 2/3 이상 찬성을 얻어 의결해 최종적으로 국민투표를 거쳐야 한다. [21] 이 경우 참/중의원이 각각 소속 의원을 제명한다. [22] 일본어로 '비밀회'라고 하며, 원래 공개가 원칙인 본회의와 상임위를 모두 비공개로 열 수 있다. [23] 정작 영국 의회에서는 찬성-반대 의원수를 의장이 모두 공표한다. 웨스트민스터 궁전 내 하원 회의장을 반으로 갈라 찬성 측은 의장의 오른쪽에, 반대 측은 의장의 왼쪽에 모이도록 하고 여-야에서 각 2명씩 차출한 감표위원들이 찬성 및 반대 측 의원들의 머릿수를 하나하나 세어 의장에게 보고하는 방식. [24] 임기도중 자유당 탈당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