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오기 Crested ibis |
|
|
|
학명 |
Nipponia nippon Temminck, 1835 |
분류 | |
<colbgcolor=#fc6><colcolor=#000>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강(Aves) |
하강 | 신악하강(Neognathae) |
상목 | 신조상목(Neoaves) |
목 | 사다새목(Pelecaniformes) |
아목 | 왜가리아목(Ardei) |
과 | 저어새과(Threskiornithidae) |
아과 | 따오기아과(Threskiornithinae) |
속 | 따오기속(Nipponia) |
종 | 따오기(N. nippon)[1] |
멸종위기등급 | |
영어: ibis
일본어: トキ/toki
[clearfix]
1. 개요
넓은 의미로는 사다새목 저어새과 따오기아과에 속하는 조류를 한데 묶어 부르는 걸 의미하고 좁은 의미로는 동아시아에 분포하는 종인 따오기(Crested ibis, Nipponia nippon)을 의미한다.2. 특징
예전에는 우수리강(Ussuri river)[2] 인근지역, 중국, 대만, 일본, 대한민국 등지에 분포했으나 현재는 중국 일부 지역에서만 자연 분포하며, 일본 및 대한민국에서는 복원된 개체들이 방사되어 자연 번식하고 있다.[3] 몸길이 약 75㎝, 날개 길이 38-44㎝, 부리 길이 16-21㎝이다. 몸 빛깔은 흰색이지만 약간 분홍빛이 돌며, 여름에 번식기가 되면 목부분 피부에서 검은 기름 성분이 분비되어 머리와 목과 등이 어두운 회색으로 변한다. 머리 뒤쪽에 뚜렷한 벼슬깃이 있으며, 부리는 길게 아래로 굽어 있고 검은색이다. 검은 부리 끝부분은 붉은색인데, 이 붉은 부분은 검은 부분과 달리 부드러운 재질이며 촉각을 느낄 수 있어 먹이를 찾는데 쓴다. 이마·머리꼭지·눈 주위·턱밑에 붉은색 피부가 드러나 있다.한반도에서는 1911년 천 마리 이상의 무리가 발견되었다는 기록이 있고,[4] 60년대까지 흔하게 보였던 새였으나 1979년 판문점의 비무장지대에서 목격된 것을 마지막으로 20년 이상 발견되지 않아 야생에서 사라졌다. 19세기 말 영국의 캠프벨은 ‘한국에서는 따오기가 겨울과 봄에 흔한 새이며 쉽게 총의 밥이 되는 새’라고 표현하였을 정도니 격세지감이다. 주된 먹이가 늪이나 논에서 자라는 벌레와 물고기라서 농약이 보편화되자 서식지 파괴로 인해 근현대 들어서 숫자가 급속도로 줄어들었던 것이다. 특히 농약이 따오기 몸 속에 쌓이면 알껍데기가 얇아지는 기형이 생기는데 이것이 번식에 치명적이라고 한다. 굉장히 흔했던 새인데 지금은 멸종 직전까지 가 있다는 데서 환경파괴에 대한 경각심을 불러일으킨다.
Nipponia nippon이라는 학명이 있듯이 일본과 관련이 있는 데, 이는 서양에 최초로 소개된 따오기가 일본산이었기 때문이다. 일본에 야생 따오기가 2마리 밖에 없던 시절에는 이를 소재로 한 공익광고도 나왔으며, 일본에서는 2003년 마지막 야생 따오기 '킨'이 사망하면서 멸종된 바 있다.
실제 따오기 울음소리 링크. 따옥 따옥 하는 소리가 상당히 처량하다. 나라나 지역에 따라서는 이 소리가 까마귀 울음소리와 비슷하게 시끄럽다고도 하고, 따오기의 울음소리에 따라 대재앙이 일어난다는 소재의 옛날 이야기도 있었다고 한다.
따오기는 멸종위기에 처한 매우 희귀한 새로 한국에서는 천연기념물 제198호로 지정되어 보호받는다. 2010년 기준 동아시아 3국을 합쳐 총 1814마리가 서식한다고 추정하는데, 그 중 1200여 마리가 중국 양현 지방에 밀집되어 분포한다. 2019년 기준으론 중국에 2,600마리, 일본에 600마리, 한국에 363마리가 생식한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일본에서는 중국에서 몇 마리를 들여와 전용 연구단지를 짓고 아주 조심스럽게 키우지만, 워낙 수가 적다보니 부득이하게 근친교배까지 시킨다.[5] 한국에서도 중국으로부터 받은 따오기로 복원 중에 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참조.
왜가리처럼 먹이를 조준해서 사냥하는 것이 아니라 부리의 감각을 이용하여 진흙이나 수초를 휘저으며 숨어있는 벌레와 물고기 등을 찾아먹는데, 마치 키위 혹은 친척뻘인 저어새와 습성이 유사하다. 하지만 왜가리나 백로 같은 새들에 비하면 사냥 효율이 크게 떨어져 파괴되지 않은 논과 습지, 늪지는 따오기의 서식지에 있어 아주 중요하다.
하천과 습지의 수생동물을 잡아먹으며, 배가 고프면 가끔 씨앗도 먹는다는 얘기도 있다. 중국과 일본에서의 복원 과정에 따르면 뱀장어나 지렁이, 곤충이 주요 먹이원이라고 한다.
생태계 내에서는 중간에 위치해있으며, 천적으로는 왕쥐잡이뱀, 삵, 담비, 맹금류가 있으며[6], 알과 새끼는 족제비, 까마귀에게도 위협을 받는다.
3. 복원
국내에서도 현재 복원 작업 중인데, 2008년 이명박 정부 당시 중국에서 기증받은 따오기 한 쌍이 알을 낳아 2014년에는 국내에 있는 따오기가 57마리로 늘어났다. 상황이 상황인만큼 일본처럼 근친교배를 시켜 그 수를 늘린 것인데, 유전적 다양성을 위해서 박근혜 정부 당시 '한·중 공동 따오기 보호 협력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같은 해 12월 23일 중국 수컷 따오기 2마리(진수이, 바이스)를 추가 도입했다.
2021년 상반기 현재 사육 개체수는 300여 마리고, 오는 3~5월 내에 40마리를 방사할 계획이 있다고 창녕군 측에서 밝혀왔다.
한국에서는 결국 2019년 5월 22일 방사작업이 이루어졌다. 멸종 40년만의 복원을 기리기 위해 암수 1:3/성체와 새끼 2:1의 비율의 40마리를 우선적으로 방사했다고. 복원센터 주변 39헥타르를 논과 숲으로 조성하여 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라고 한다. 하지만 약 2달도 못되어 벌써 2마리가 폐사하였다. 해외 역시 자연방사 후 3년간 생존율은 약 40% 정도로 높지 않은 편이기는 하다.
간혹 몰상식한 관광객과 탐사객들의 만행으로 눈쌀이 찌푸려질 지경. 소란을 피워 놀라게 하는 것은 기본, 펜스를 넘어 복원지역으로 들어가거나 아예 따오기를 직접 만지는 사람까지 있을 정도. 관련기사 이에 복원사업을 관광자원으로 이용하지 말고, 인공서식지 자체를 일반인으로부터 격리해야 한다는 비판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2020년 1월 기준, 방사된 총 40마리의 따오기 중 11마리 폐사, 2마리 부상, 5마리 행방불명 상태다. 대부분의 사망이 '포식자에 의한 공격'에 의한 것으로 미루어 볼 때, 행방불명 된 5마리도 이 과정에서 위치추적 장치가 떨어졌을 확률이 높다. 단, 숫자만 보면 비관적으로 보일지 몰라도, 일본에서의 따오기 복원의 경우 1년 생존률이 50~60%밖에 안됐던 점에 비교하자면 마냥 나쁜 성적표라고 볼 수는 없다. 물론, 따오기 복원을 위해 온 마을이 뛰어들었던 만큼 주민들은 감정적으로 안타까움을 금치 못하는 것 같지만... 관련기사
2020년 12월 20일 기준, 2년간 자연 방사한 따오기는 80마리에 평균 생존율은 75%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9년에 방사한 따오기 생존율은 72.5%(부상 포함), 이듬해 생존율은 77.5%다. 일본 따오기 방사의 1년간 생존율 61%, 2년 차 생존율 55%와 비교하면, 창녕 따오기 생존율은 높은 편이라고 한다. #
이런 가운데 창녕군의 따오기 복원사업과 관련,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경제적 성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복원 전후로 지역상권이 기대만큼 활성화가 되지 않았다는 것. 반면 멸종위기종 복원을 단순히 돈벌이의 도구로만 생각해서는 안된다는 의견과 장기적으로는 친환경 도시 창녕군의 브랜드 가치를 따오기가 올릴 것이라는 평가도 있다. 따오기는 친환경 서식지가 아니라면 생존할 수 없는 조류이기 때문이다. #
2021년에 한국 멸절 42년 만에 야생 부화에 성공했다. 참고 26일/28일에 각각 한 마리씩 총 2마리가 부화했다.
이후 2023년에도 3쌍이 자연번식에 성공하여 총 5마리의 야생에서 부화한 새끼들이 생존하였다.
4. 여담
- 일본 방사행사 때에는 현재 황족인 후미히토가 참석했다. 환경보호에 관심이 많은 형 나루히토 당시 황태자 대신 나온 게 특기할 만한 점이다. 방사 10주년 행사 때는 후미히토의 큰딸 마코 공주가 참석했다. 여타 정황을 살펴보더라도 따오기에 대한 일본 황실의 관심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는 따오기 머리의 붉은 점과 하얀색 깃털이 마치 일본 국기를 연상시키기 때문에 일본에서 암암리에 자신의 나라를 상징하는 새로 생각하고 있어서 인데,(일본의 국조는 따오기가 아닌 꿩이다.) 따오기의 학명 Nipponia nippon를 봐도 nippon은 일본을 뜻하고 -ia는 표상을 뜻하므로, 학명의 뜻만 해석해보아도 '일본(nippon)에 사는 일본의 표상(Nipponia)'인 동물인 셈이다. 이것을 잘 알고 있었던 장쩌민 주석이 1998년 중국의 최고지도자로서 전후 처음으로 일본을 방문했을 때, 올림픽 유치 등 현안에 대한 일본의 지지를 얻기 위해 따오기 1쌍과 사육사 2명을 대동하였다고 한다.[7]
-
보일 듯이 보일 듯이 보이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떠나가면 가는 곳이 어디메이뇨
내 어머니 가신 나라 해 돋는 나라
잡힐 듯이 잡힐 듯이 잡히지 않는
따옥 따옥 따옥 소리 처량한 소리
떠나가면 가는 곳이 어디메이뇨
내 아버지 가신 나라 해 돋는 나라
따오기 (한정동 사 윤극영 곡)
한정동이 작사하고
윤극영이 작곡한 동요 따오기. 따오기가 조선반도에서 처량한 소리를 내며 '어머니가 가신 나라'이자 '해 돋는 일본'으로 떠나간다는 내용. 즉, 처량한 조선의 현실에서 벗어나 어머니가 건너간 나라인 일본으로 갈 수 밖에 없다는 그런 메세지를 담고 있다.
염상섭의
만세전같은 소설에서도 보이는 대목으로 당시 산업화와 식민지 수탈에 따른 인구 이동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8] 풍문에 따르면 이 동요는
조선민족의 한이 느껴진다고 해서 일제강점기에 금지곡이었다고.
- 이집트 신화에서 등장하는 지혜의 신 토트의 얼굴은 아프리카검은따오기에서 차용했다.[9] 그런 따오기의 미라가 신들에게 봉헌되는 일이 많았는데, 때로는 인간의 미라와 함께 보존되는 일도 있었다.
- 역병 의사가 쓰는 가면의 모습도 따오기 부리랑 비슷하다는 평이 적지 않다.
-
케모노 프렌즈에 등장.
무지막지한 노래로 시청자들의 유명세를 타고 있다. 이후
케모노 프렌즈 3에서 등장하는 친척인 홍따오기와 흑따오기도 지독한 음치다. 결국 동요까지 패러디되는 경지에 이르렀다....
유튜브 재미있는 건 일본판의 성우인
카네다 토모코는 실제로도 음치가 맞지만, 한국판의 성우인
이용신과 홍따오기의 성우
타카하시 치아키, 그리고 흑따오기의 성우
이마이 아사미는 독자 음반을 낼 정도로 노래를 잘 하는데도 일부러 음치 연기를 했다.
사실은 힘을 숨기고 있었다 카더라그런데 반전이...
-
따오기아과의 다른 종들은 위의 따오기처럼 멸종위기인 종도 있지만 흔한 종들도 많다. 개체수가 50만 마리를 넘는 종들도 있을 정도.
[10]
이중 호주흰따오기는 호주에서는 매우 흔한데다가 쓰레기통을 뒤지고 하수구에서 먹이를 찾는 등 지저분해서 비둘기의 포지션을 차지하고 있다.[11] 그래서 한국인들이 비둘기를 닭둘기라고 부르는 것처럼 호주 사람들은 따오기를 Bin Chicken[12]라는 비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이렇게 호주인들에게 온갖 욕은 다 먹지만 야생동물보호법에 보호를 받는 새라서 괜히 괴롭히거나하면 불법이니 딱 욕만 먹는다. 이 새에 대한 빡침을 담은 노래도 있다.[13] 호주인들의 반응은 가히 폭발적.[14] 사실 이런 처지가 된 것도 본래 살던 서식지가 개간이나 가뭄으로 파괴되면서 번식이 가능한 도시로 몰려들었기 때문이기도 하다.[15] 또 공교롭게도 북미흰따오기(American White ibis)는 미국에서 꽤 수가 많다고 한다.
- 남미에선 몸색이 온통 붉은 홍따오기(Eudocimus ruber)가 사는데, 위에서 설명한 북미흰따오기와 같은 속이자 근연종이다.
- 뜸부기 드립의 변형으로 따오기 드립이 쓰이기도 한다. (~떴따/오기)의 형식으로 쓰인다.
- 국내에서 서식하던 따오기를 보유한 동물원은 없다. 대신 외국종 따오기들은 동물원에서 사육되고 있는데, 대표적으로 아프리카흑따오기(African Sacred Ibis)[17] 및 검은머리흰따오기(Black-headed ibis)[18], 홍따오기(Scarlet Ibis)[19]를 전시하고 있다. 따오기 복원 센터에는 밀짚따오기(Straw-necked Ibis) 및 미국흰따오기(American White Ibis) 등이 있다.[20]
[1]
종명이 nippon이지만 현재 일본에서는 공식적으로 따오기가 절멸되었다.
[2]
중국과
러시아 국경의 일부를 이루며 북류하여
아무르강(Amur river)으로 흘러드는 강. 잘 모르겠다면 위키피디아
아무르강 항목의 지도를 참고하면 된다. 오른쪽 큰 글씨로 Amur가 적혀있고 바로 밑에 Ussuri가 있다.
[3]
다만 아직 야생에서 유의미한 개체수를 이루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되기에 공식적으로
세계자연보전연맹에서는 대만, 일본 및 한반도에서는 절멸되었다고 분류하였고, 러시아에서도 아마 절멸되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
[4]
철새였는지 텃새였는지는 명확하지 않다.
[5]
1981년에는 중국에 7마리, 일본에 5마리밖에 남지 않았을 때도 있었다.
[6]
실제
수리부엉이로 인해 복원 사업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7]
참고로 중국의 이러한 따오기 외교는 일본에 국한된 것만은 아니라서,
2008년
후진타오 주석이 한국을 방문했을 때도
이명박 대통령에게 따오기 한 쌍을 기증하였으며,
2013년에는
시진핑 주석이 수컷 두 마리를 추가로 선물하기도 했다. 이것이 오늘날 우포따오기복원센터에서 사육되고 있는 따오기들의 어버이이다.
[8]
이산가족을 찾습니다를 보고 있으면 이런 도일 노동자층이 일본 패망 후 귀국하는 과정에서 이산가족이 되어버린 가슴아픈 사연들이 꽤 나온다. 심지어 본인들의 한국 이름도 알지 못해 무슨 "카즈오" "야에꼬"같은 일본식 아명으로 서로를 찾을 정도.
[9]
따오기 머리 또는
망토개코원숭이(비비) 머리로 표현한다. 매체에 많이 실린 쪽은 따오기 머리이나 원체는 개코원숭이 머리 쪽이 좀 더 오래된 모습이고 따오기 머리는 나중 전승에서의 모습이라고 한다. 참고로 세트가 악신이 된 뒤로는 벽화 속 세트 개머리를 파내버리고 따오기머리를 대신 새겨 토트로 마개조하는 일이 꽤 흔했다고.
[10]
사진 속 따오기는 호주흰따오기다(Australian white ibis).
[11]
물론 당연히 호주에는 비둘기도 있다.
큰유황앵무와 같이 쓰레기를 뒤진다.
[12]
직역하면 쓰레기통 닭이라는 뜻이다.
[13]
전반부는 새들의 긍정적인 특징을 하나씩 말하지만 점점 따오기에 대한 욕이 늘어가더니 후반부에선 따오기 욕하는 내용이 전부다.
[14]
호주에는
오스트레일리아까치나
코카투같은 것도 비둘기만큼 흔해서 골칫덩이라고 한다. 이놈들은 지능까지 좋아서 더 문제라고. 호주따오기는 쓰레기 뒤지는 정도가 다지만 오스트레일리아까치는 사람을 공격하기까지 한다.
[15]
이 종은 동남아, 인도 등에서 서식하고 한국에서는 몇 차례 미조로 관찰된 적이 있는 종인 검은머리흰따오기와 같은 속(Threskiornis)에 속하는 데다 아프리카검은따오기랑 완전히 비슷한 호주흰따오기이다. 겉모습이 서로 상당히 비슷한 편이라 검은머리흰따오기나 아프리카 흑따오기와 헷갈릴 수도 있다.
[16]
2층 고속(?)열차로 운행하던 MAX 토키도 2021년까지 있었다.
[17]
서울동물원에서 사육하고 있으며 특히 서울동물원에서는 다량의 개체를 볼 수 있다.
[18]
우치공원 동물원에서 사육, 전시 중이다.
[19]
서울동물원,
에버랜드,
일산 아쿠아플라넷, 영등포 주렁주렁에 있다.
[20]
후자의 경우
대전 오월드에서도 사육되고 있으며, 과거
붉은볼따오기도 있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