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6 14:53:49

대륙사슴


{{{#!wiki style="margin: -10px" <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folding ⠀[ I급 ]⠀
<colbgcolor=#fff,#1f2023> 포유류 늑대† · 대륙사슴† · 무산쇠족제비 · 점박이물범 · 반달가슴곰 · 붉은박쥐 · 사향노루 · 산양 · 수달 · 스라소니† · 여우† · 작은관코박쥐 · 표범† · 호랑이
조류 검독수리 · 고니 · 넓적부리도요 · 노랑부리백로 · 느시 · 두루미 · 먹황새 · 뿔제비갈매기 · 저어새 · 참수리 · 청다리도요사촌 · 크낙새† · 호사비오리 · 혹고니 · 황새 · 흰꼬리수리
파충류 비바리뱀
양서류 수원청개구리
어류 감돌고기 · 꼬치동자개 · 남방동사리 · 모래주사 · 미호종개 · 얼룩새코미꾸리 · 여울마자 · 임실납자루 · 좀수수치 · 퉁사리 · 흰수마자
곤충 붉은점모시나비 · 비단벌레 · 닻무늬길앞잡이 · 산굴뚝나비 · 상제나비 · 수염풍뎅이 · 장수하늘소 · 큰홍띠점박이푸른부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귀이빨대칭이 · 나팔고둥 · 남방방게 · 두드럭조개
식물 광릉요강꽃 · 금자란 · 나도풍란 · 만년콩 · 비자란 · 암매 · 죽백란 · 제주고사리삼, · 탐라란 · 털복주머니란 · 풍란 · 한라솜다리 · 한란
}}}
}}}
⠀[ II급 ]⠀
||<colbgcolor=#fff,#1f2023><width=15%> 포유류 || 노란목도리담비 · 북방물개 · · 큰바다사자 · 토끼박쥐 · 하늘다람쥐 ||
조류 개리 · 검은머리갈매기 · 검은머리물떼새 · 검은머리촉새 · 검은목두루미 · 고대갈매기 · 긴꼬리딱새 · 긴점박이올빼미 · 까막딱따구리 · 노랑부리저어새 · 독수리 · 따오기 · 뜸부기 · 무당새 · 물수리 · · 벌매 · 붉은가슴흰죽지 · 붉은배새매 · 붉은어깨도요 · 붉은해오라기 · 뿔쇠오리 · 뿔종다리 · 새매 · 새호리기 · 섬개개비 · 솔개 · 쇠검은머리쑥새 · 쇠제비갈매기 · 수리부엉이 · 시베리아흰두루미 · 알락개구리매 · 알락꼬리마도요 · 양비둘기 · 회갈색올빼미 · 재두루미 · 잿빛개구리매 · 조롱이 · 참매 · 청호반새 · 큰고니 · 큰기러기 · 큰덤불해오라기 · 큰뒷부리도요 · 큰말똥가리 · 팔색조 · 항라머리검독수리 · 흑기러기 · 흑두루미 · 흑비둘기 · 흰목물떼새 · 흰이마기러기 · 흰죽지수리
양서류 고리도롱뇽 · 금개구리 · 맹꽁이
파충류 구렁이 · 남생이 · 표범장지뱀
어류 가는돌고기 · 가시고기 · 꺽저기 · 꾸구리 · 다묵장어 · 돌상어 · 둑중개 · 묵납자루 · 버들가지 · 부안종개 · 어름치 · 연준모치 · 열목어 · 새미 · 칠성장어 · 큰줄납자루 · 한강납줄개 · 한둑중개
곤충 깊은산부전나비 · 꼬마잠자리 · 노란잔산잠자리 · 대모잠자리 · 두점박이사슴벌레 · 뚱보주름메뚜기 · 멋조롱박딱정벌레 · 물방개 · 물장군 · 불나방 · 쇠똥구리 · 쌍꼬리부전나비 · 애기뿔쇠똥구리 · 여름어리표범나비 · 왕은점표범나비 · 은줄팔랑나비 · 윤조롱박딱정벌레 · 참호박뒤영벌 · 창언조롱박딱정벌레 · 큰자색호랑꽃무지 · 홍줄나비
기타
무척추동물
갯게 · 거제외줄달팽이 · 검붉은수지맨드라미 · 금빛나팔돌산호 · 기수갈고둥 · 깃산호 · 대추귀고둥 · 둔한진총산호 · 망상맵시산호 · 물거미 · 밤수지맨드라미 · 별혹산호 · 붉은발말똥게 · 선침거미불가사리 · 연수지맨드라미 · 염주알다슬기 · 울릉도달팽이 · 유착나무돌산호 · , 의염통성게 · 자색수지맨드라미 · 잔가지나무돌산호 · 착생깃산호 · 참달팽이 · 측맵시산호 · 칼세오리옆새우 · 해송 · 흰발농게 · 흰수지맨드라미
식물 가는동자꽃 · 가시연꽃 · 가시오갈피 · 각시수련 · 개가시나무 · 갯봄맞이꽃 · 검은별고사리 · 구름병아리난초 · 기생꽃 · 끈끈이귀개 · 나도범의귀 · 나도승마 · 나도여로 · 날개하늘나리 · 넓은잎제비꽃 · 노랑만병초 · 노랑붓꽃 · 눈썹고사리 · 단양쑥부쟁이 · 닻꽃 · 대성쓴풀 · 대청부채 · 대흥란 · 독미나리 · 두잎약난초 · 매화마름 · 무주나무 · 물고사리 · 물석송 · 방울난초 · 백부자 · 백양더부살이 · 백운란 · 복주머니란 · 분홍장구채 · 산붓꽃나무 · 산작약 · 삼백초 · 새깃아재비 · 서울개발나물 · 석곡 · 선모시대 · 선제비꽃 · 섬개야광나무 · 섬개현삼 · 섬시호 · 섬현삼 · 세뿔투구꽃 · 손바닥난초 · 솔잎란 · 순채 · 신안새우난초 · 애기송이풀 · 연잎꿩의다리 · 왕제비꽃 · 으름난초 · 자주땅귀개 · 장백제비꽃 · 전주물꼬리풀 · 정향풀 · 제비동자꽃 · 제비붓꽃 · 조름나물 · 죽절초 · 지네발란 · 진노랑상사화 · 차걸이란 · , 참물부추 · 초령목 · 칠보치마 · 콩짜개란 · 큰바늘꽃 · 파초일엽 · 피뿌리풀 · 한라송이풀 · 한라옥잠난초 · 한라장구채 · 해오라비난초 · 흑난초 · 홍월귤
해조류 그물공말 · 삼나무말
고등균류 화경버섯
||
†:대한민국에 더 이상 서식하지 않는 종
대륙사슴
Manchurian Sika deer
파일:Cervus nippon hortulorum.jpg
학명 Cervus nippon mantchuricus
Swinhoe, 1864
분류
<colbgcolor=#fc6> 동물계
척삭동물(Chordata)
포유강(Mammalia)
우제목(Artiodactyla)
사슴과(Cervidae)
사슴속(Cervus)
꽃사슴(Cervus nippon)
아종 대륙사슴(C. n. mantchuricus)

1. 개요2. 특징3. 먹이4. 천적5. 번식6. 멸종의 역사7. 복원 사업

[clearfix]

1. 개요

과거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였으나 현재에는 북한, 러시아 우수리강 지방, 중국 북동부에서만 서식하는 꽃사슴의 아종이다. 만주록, 혹은 만주산 꽃사슴이라고도 한다.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었다.

북한의 경우 삼지연군 백암군의 대룩사슴을 각각 천연기념물 제349호, 제362호로 지정하여 보호 중이다.

2. 특징

꽃사슴 아종들 중에서 가장 대형으로, 네 다리가 길고 귀가 크다. 피모색은 연한 황갈색으로 하얀색 반점이 큼직큼직하다. 겨울에는 반점이 없어지고 피모색은 회색으로 변한다. 대륙사슴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등줄기를 따라 이어지는 흑갈색의 선이 꼬리 중간 부분에서 흰색으로 끊어져 있다는 것이다. 부전선은 희지 않고, 눈에 잘 안 띈다. 녹용 생산량 또한 다른 꽃사슴에 비해 월등히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머리와 몸통의 길이는 90~190cm, 꼬리의 길이는 14cm, 귀의 길이는 15cm, 뒷발의 길이는 45cm, 어깨의 높이는 70~130cm이며, 뿔의 길이는 30~80cm이다. 우리나라 사슴과 동물 중에서 대형이며, 암수 간에 크기 차이가 뚜렷해 수컷의 몸이 암컷보다 1.5배 정도 크다. 털의 색은 밤갈색에서부터 붉은 올리브색이고, 목 부분과 등 부위에 백색 반점이 많이 있다. 암수 모두 겨울에는 목에 갈기를 지닌다.

평야부터 해발 고도 2,500m까지의 산림에 살며 먹이를 섭취할 때 외에는 산림을 떠나지 않는다. 수컷끼리 또는 암컷끼리 무리를 이루거나 혼합 무리를 이룬다.

3. 먹이

먹이는 주로 나뭇잎과 , 줄기, 이끼를 많이 먹는데, 먹이가 부족하게 되면 나무껍질도 먹으며, 메밀, , , 도토리 등도 먹는다.

4. 천적

천적은 시베리아호랑이, 아무르표범, 우수리불곰, 우수리아시아흑곰, 몽골늑대, 시베리아스라소니, 우수리승냥이 등이 있지만 검독수리에게 50kg의 암컷 개체가 잡아먹힌 적도 있다. 우수리아시아흑곰도 대륙사슴의 천적이기는 하지만, 해당 종은 나무열매를 주식으로 먹기에 사슴을 자주 사냥하지는 않는다. 새끼는 아무르삵, 너구리, 한국여우, 맹금류에게도 사냥당한다.

5. 번식

번식기는 10월 ~ 12월이고, 임신기간은 227일 ~ 249일이며, 5월 ~ 6월에 한배에 1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새끼는 일반적으로 잡초가 무성한 수풀 속에 낳으며, 3일 ~ 4일 동안 그곳에 누워 있는다. 어미는 1일간 ~ 2일간 새끼의 옆을 떠나지 않고 지키다가 밖으로 나와 먹이를 섭취하면서 때때로 새끼들에게 을 먹인다.

6. 멸종의 역사

국내에는 과거 제주도를 포함한 한반도 전역의 야산에 널리 분포했으나, 남한의 경우 일제강점기 해수구제사업으로 인해 1940년대를 기점으로 절멸된 것으로 간주된다.

다만 2020년 낙동정맥 지역에서 대륙사슴으로 추정되는 꽃사슴이 무인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적이 있다. 토종 꽃사슴(대륙사슴)이 맞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무인카메라를 설치한 한반도 생태계 연구소에 따르면 대륙사슴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한다.

7. 복원 사업

과거 인제군에서 복원을 시도한 적이 있다. 2002년부터 시작된 사슴 복원 사업은 2012년 원종으로 추정되는 개체 6마리를 확보하여 순항되는 듯 하였으나, 5마리가 잇따라 폐사하였고, 마지막으로 남은 한마리는 유전자 분석 결과 원종이 아닌 대만꽃사슴으로 확인이 되어 사실상 마침표를 찍게 되었다. 북한의 대륙사슴들을 도입해오는 방법도 제안되었지만, 실제로 실행되지는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