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의 공군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동아시아 | 대한민국 | 북한 | 중국 | 대만 | 일본(준군사조직) |
동남아시아 | 태국 | 싱가포르 | 필리핀 | 인도네시아 | 말레이시아 | |
서아시아 | 이란 | 이스라엘 | 튀르키예 | 사우디아라비아 | 아제르바이잔 | 카타르 | |
남아시아 | 인도 | |
동유럽 | 러시아 |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루마니아 | |
서유럽 | 영국 | 프랑스 | 네덜란드 | 벨기에 | |
중부유럽 | 독일 | 스위스 | 폴란드 | 체코 | 슬로바키아 | |
남유럽 | 이탈리아 | 스페인 | 포르투갈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세르비아 | 슬로베니아 | |
북유럽 | 덴마크 | 노르웨이 | 스웨덴 | 라트비아 | |
아프리카 | 이집트 | 모로코 | 나이지리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앙골라 | 차드 | 에티오피아 | |
아메리카 | 미국 | 캐나다 | 멕시코 | 브라질 | 칠레 | 페루 | |
오세아니아 | 호주 | |
※ 독립된 문서가 있는 공군만 링크. 그 외 각국 공군은 틀:세계의 군대 참고 | }}}}}}}}} |
<colcolor=#fff>
자위대 |
||
육상자위대 | 해상자위대 | 항공자위대 |
항공자위대 [ruby(航空自衛隊, ruby=こうくうじえいたい))] Japan Air Self-Defense Force(JASDF) |
|||
蒼き空を明日へ つなぐ 航空自衛隊 푸른 하늘을 내일로 연결하는 항공자위대 |
|||
모토 | |||
창설연도 | 1954년 7월 1일 | ||
국가 | 일본국 | ||
상급기관 | 방위성 | ||
내부조직 |
항공총대,
항공지원집단,
항공교육집단 항공개발실험집단, 항공자위대보급본부 |
||
본부 | 도쿄도 신주쿠구 이치가야혼무라초 5 - 1 | ||
군종 | 공군 | ||
역할 | 일본 영공 방어 | ||
인원 | 약 47,073명 | ||
연간예산 | 약 1조 6,630억 엔 | ||
라운델 | |||
전신 |
대일본제국 육군 항공대 대일본제국 해군 항공대 |
||
항공막료장 | 우치쿠라 히로아키 | ||
항공막료부장 | 오가사와라 타쿠토 | ||
BCC[1] | 7C / SB | ||
[clearfix]
1. 개요
일본 자위대의 공중 방위 담당 준군사조직.2. 상세
|
항공자위대 공식 홍보 영상 |
|
항공자위대가 |
항공자위대는 해상자위대나 육상자위대와 다르게 전신이 없는 일본에서는 공군으로는 처음 만들어진 군사체로 대일본제국 육군 항공대, 대일본제국 해군 항공대와는 다르다고 볼 수 있다. 깃발 역시 욱일기 계통을 쓰는 육/해상자위대와 구분되는 깃발을 사용한다.
대한민국 공군의 공군본부에 해당하는 항공막료감부의 감독을 받으며, 공군작전사령부에 해당하는 항공총대가 실질적인 방공전투를 지휘·총괄한다. 항공막료감부의 본부는 방위성사 내에 입주하고 있고, 항공총대의 사령부는 미국 제 5공군 주둔지이자 주일미군 사령부 역시 위치하고 있는 요코타 공군기지에 입주하고 있다.
입대자는 65세까지 정부에서 재취업을 보장하여 주기 때문에 타 군종에 비해 인기가 많다. 전 세계 공군이 마찬가지이지만 방위대학교 생도들도 민항 조종사 재취업을 노리고 항공자위대를 1지망으로 쓴다.[2] 그리고 일반 병사와 부사관들에게도 항자대 지원율이 가장 높은 이유 또한 한국과 같이 가장 부조리[3]가 덜한 편이기 때문이다.
타국의 공군처럼 일본정부전용기 등 VIP 전용기의 운용과 관리의 임무도 맡고 있다.
3. 역사
1954년 1월, 미국 대일군사고문단의 협력으로 세워진 항공준비실을 그 기초로 하여 1954년 3월에 방위2법을 근거로 창설되었다. 육군항공사관학교의 인원을 상당수 흡수하였다. 초기 항공자위대의 육성에 도움을 준 미국 측 인사 중 하나가 아이러니하게도 일본 열도를 불바다로 만든 커티스 르메이였다. 그는 이 공로로 일본국 정부로부터 훈1등 욱일대수장을 수여받았다.2020년, 일본 정부가 우주에서의 감시 활동을 강화하기로 하면서 항공자위대 산하에 우주작전대를 신설하는 동시에 항공자위대의 명칭을 '항공우주자위대'로 바꾸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
4. 전력
항공자위대는 표면적으로는 정식 공군이 아니지만, 세계 기준으로도 상당히 강력한 공군력을 보유한 준군사조직이다. 1960년대부터 미국으로부터 F-104, F-4 전투기를 구입했으며, 국산 전투공격기 미쓰비시 F-1를 개발, 1970년대에 배치해 공군력 육성에 투자해왔고, 1980년대에는 경제호황에 힘입어 미국으로부터 F-15J 전투기를 220여 기 대량 구매해 라이센스 생산함으로써 방공 전력을 대폭 증강했다. 또한 2000년대에는 F-2 전투기를 미국과 공동개발하는 한편, F-15J의 근대화 개수를 진행했으며, 2020년대에는 100기 가량의 F-15MJ를 F-15EX 상당인 F-15JSI로 개량하는 동시에 최신예 5세대 스텔스 전투기 F-35A/B의 대량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항공자위대는 공격받아도 타국을 공격하지 않는다는 자위대의 전수방위전략에 따라서 전력 확보 과정에서 적국을 공격할 수 있는 지상 공격 능력은 스스로 제한했다. 그래서 공대지 타격 능력에서는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공대지 타격 능력이 아예 전무한 건 아닌지라 JDAM, SDB, 페이브웨이 같은 소형 단거리 공대지 유도 폭탄을 도입해 보유하고 있다.
공대지 능력과는 반대로 공대공 능력과 공대함 능력은 충실하게 갖췄다. 특히 바다에서 해상자위대를 지원하여 적 함정을 공격하는 공대함 전력이 매우 독보적으로 뛰어난데, 이는 적군이 상륙하기 전 저지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이다. ASM-2 공대함 미사일 4발을 장착할 수 있는 F-2 전투기를 함정을 공격하기 위한 대함 전용 지원기로 편성하기도 했으며[4], 최근에는 ASM-2의 후속인 ASM-3 초음속 공대함 미사일도 개발을 완료하고 사정거리 연장 버전을 개발하고 있다.
현재는 중국의 군사적 위협과 북한의 미사일 위협이 대두됨에 따라 실질적인 장거리 공격 미사일인 장거리 스탠드-오프 미사일들을 도입하고 있는데, F-35에 내부무장이 가능한 대함·대지 미사일인 JSM을 구입하고 자국판 JASSM-ER, LRASM에 해당하는 1000km급 육해공 공용 대함·대지 미사일의 개발 또한 하고 있다.
공대공 부문에서는 자국산 공대공 미사일을 직접 생산하는 몇 안되는 나라 중 하나로서 자국산 AAM-4와 AAM-5를 운용하고 있다.
또한 항공자위대는 풍부한 조기경보기, 수송기, 급유기, 전자전기, 훈련기 등을 상당량 보유하고 있어 꽤 균형잡힌 전술기 지원 전력을 갖추고 있다. 대형 AWACS 조기경보통제기인 E-767 4기와 E-2C 13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현재는 E-767을 최신 버전으로 개량하고 E-2C를 성능이 더욱 향상된 E-2D로 대체하고 있다. 수송기 역시 C-1/ C-2 중형 수송기 35기를 위시해 C-130 5기, 블랙호크와 치누크를 합쳐 48기를 운용하고 있다. 급유기는 KC-767 4기와 KC-130H 2기를 보유하고 있고, 최신 급유기인 KC-46 10기를 추가 도입하고 있다. 전자전기로는 C-1 수송기를 개조한 EC-1 광역 전자전 훈련기 1기와 YS-11EA/B 전자정찰기 6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C-2를 개조한 대형 전파정보수집기를 도입하고 있고, 또 C-2를 개조한 원격전자교란기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중등훈련기 T-4를 195기 운용하고 있다.
일본 전역에 설치되어 있는 항공/BMD 조기 경계 레이더의 수와 항공자위대의 항공기가 상시 운영되는 공항 숫자는 각각 25개이며, 항공자위대 소속의 PAC-3 24개 포대와 육상자위대 고사대가 이들을 방어하고 있다.
5. 항공막료감부
역대 항공막료장( 공군참모총장)은 자위대/역대 막료장을 참고할 것.제36대 항공막료장([ruby(航空幕僚長, ruby=こうくうばくりょうちょう)]) | |
|
|
성명 | 우치쿠라 히로아키([ruby(井筒 俊司, ruby=うちくら ひろあき)])[5] |
임기 | 2023년 3월 30일 ~ 현재 |
생년월일 | 1964년 1월11일 |
출신지 | 치바현 |
6. 블루임펄스
일본 대표 곡예비행팀. 블루임펄스 항목 참조.7. 주요 보유 항공기 / 장비 및 수량
현대 일본 자위대 항공병기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letter-spacing: -0.9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bgcolor=#B76E79,#914852> '''[[틀:현대전/일본 항공병기| 일본 자위대 (1954~현재) ]]'''
日本 自衛隊 |
||
회전익기 |
<colbgcolor=#B76E79,#914852> '''[[무장헬기| 경헬기 ]]'''
|
OH-1 닌자■ | BK 117 | OH-6(D/J) 카유스■ | H-13 수우■■ | |
''' 다목적 헬기 '''
|
EC225 슈퍼 퓨마 | { UH-2}■ | UH-60(J■■/JA■) 블랙 호크 | UH-1J 휴이■ | UH-1(B/H) "히요도리"■ | S-62J■■ | S-61A■ | S-55A · H-19 "하츠카리"■■■ | ||
수송헬기 | MV-22 오스프리 | CH-47(J■/JA■) 치누크 | KV-107 "시라사기"■■■ | H-21B "호오"■■ | ||
공격헬기 | AH-64DJ 아파치■ | AH-1S 코브라■ | ||
대잠헬기 | SH-60(J/K/L) 시호크■ | SH-3(B/D/H) "치도리"■ | ||
소해헬기 | MCH-101 멀린■ | MH-53E 시 드래곤■ | ||
'''[[전투기| 전투기 ]]'''
|
'''[[1세대 전투기| 1세대 ]]'''
|
F-86F "쿗코" · F-86D "겟코" | |
'''[[2세대 전투기| 2세대 ]]'''
|
F-104(J/DJ) "에이코" | ||
'''[[3세대 전투기| 3세대 ]]'''
|
F-4EJ → EJ 改 팬텀 II | F-1 | ||
4(.5)세대 | F-15(J/DJ) → F-15J 改 이글 | F-2(A/B) | ||
'''[[5세대 전투기| 5세대 ]]'''
|
F-35(A/{B}■) 라이트닝 II | ||
'''[[6세대 전투기| 6세대 ]]'''
|
{ GCAP} | ||
공격기 | TBM-3 어벤저■ | ||
'''[[정찰기| 정찰기 ]]'''
|
전술 | RF-4(E/EJ) | RF-86F | |
전자 | { RC-2} | EP-3 | EP-2J | ||
'''[[수송기| 수송기 ]]'''
|
경량 | YS-11 | R4D-6Q "마나즈루"■ | |
전술 | C-2 | C-130(H/R) 허큘리스 | C-1A | C-46D 코만도 | ||
수상기 | US-2■ | US-1A■ | HU-16 "하리가네"■ | G-21 구스■ | ||
다목적기 | U-125A | U-4 | U-36A■ | LR-2■ | LC-90 | LR-1■ | LM-1■ | 가와사키 KAL-2 | ||
''' 지원기 '''
|
'''[[공중조기경보통제기| 조기경보기 ]]'''
|
E-767 | E-2(C/{D}) 호크아이 | |
'''[[대잠초계기| 해상초계기 ]]'''
|
P-1■ | P-3C 오라이언■ | P-2J 넵튠■ | S-2F-1 "아오타카"■ | PV-2 하푼■ | ||
'''[[공중급유기| 공중급유기 ]]'''
|
{ KC-46A 페가수스} | KC-767J | KC-130R | ||
전자전기 | { EC-2} | EC-1 | YS-11(EA/EB) | ||
''' 연락기 '''
|
L-19 "소요카제" | L-5 센티넬 | L-21B 슈퍼 컵 | L-16 | ||
'''[[무인기| 무인기 ]]'''
|
''' SUAV '''
|
클래스 1 - 소형 RQ-27 스캔이글■
|
|
UAV |
클래스 3 - HALE급
RQ-4 글로벌 호크 블록 30(I)
|
||
'''[[훈련기| 훈련기 ]]'''
|
프롭 | 후지 T-7 | 후지 T-5■ | 후지 T-3 | KM-2■■■ | 비치 B65 "우미바토" | T-34A "하츠카제" · LM-1 "닛코" | T-28B 트로젼 | T-6(D/F/G) "마츠카제" | |
제트 | T-4 | T-400 | T-2 | T-1(A/B) "하츠타카" | 뱀파이어 T.55X | T-33A "와카타카" | ||
헬기 | TH-135■ | TH-480B■ | OH-6DA■ | TH-55J 오세이지■ | ||
VIP 탑승기 | B777-300ER | U-4 | EC225 LP■ | B747-47C | ||
※ 갈색 글자: 퇴역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해당 자위대 운용 (육자■/해자■/공자■), 표기 없을 시 항공자위대 |
|||
}}}}}}}}} |
7.1. 전투기
기종 | 보유수량 | 계획수량 | 제조국 | |
F-15J/DJ[6] | 199[7] | 68 | ||
↳ | F-15MJ[8] | 101? | - | |
F-15SJ[9] | 99? | - | ||
F-15JSI[10] | - | 68 | ||
F-2 | 91 | - | ||
↳ | F-2A[11] | 62 | - | |
F-2B[12] | 29 | - | ||
F-35[13] | 29+ | 147 | ||
↳ | F-35A | 29+[14] | 105 | |
F-35B | - | 42 |
7.2. 지원기
기종 | 보유수량 | 계획수량 | 제조국 | |
조기경보통제기 | 21 | 18 | ||
↳ | E-767 | 4 | - | |
E-2C | 13 | - | ||
E-2D | 6 | 18 | ||
공중급유기 | 7 | 15 | ||
↳ | KC-767 | 4 | - | |
KC-46A | 3 | 15 | ||
KC-130H | 2 | - | ||
전자전기 | 9 | 8 | ||
↳ | EC-1 | 1 | - | |
YS-11EA/B | 6 | - | ||
RC-2 | 2 | 4 | ||
EC-2 | 0 | 4 | ||
중대형 무인기 | 1 | 4 | ||
↳ | RQ-4 글로벌 호크 | 2[15] | 4 |
7.3. 훈련기
기종 | 보유수량 | 계획수량 | 제조국 | |
훈련기 | 257 | - | ||
↳ | T-4[16] | 195 | - | |
T-7[17] | 49 | 0 | ||
Hawker 400[18] | 13 | - |
7.4. 수송기 및 기타 특수목적기
기종 | 보유수량 | 계획수량 | 제조국 | |
전술 수송기 | 42 | - | ||
↳ | C-2[19] | 15+ | 22 | |
C-1[20] | 13 | - | ||
C-130H | 14 | - | ||
탐색 / 구조기 | 26 | - | ||
↳ | U-125A | 26 | - | |
비행 검사기 | 5 | - | ||
↳ | U-125 | 2 | - | |
U-680A | 3 | - | ||
정부 전용기 | 7 | - | ||
↳ | 보잉 777-300ER | 2 | - | |
걸프스트림 IV U-4 | 5 | - |
7.5. 헬리콥터
기종 | 보유수량 | 계획수량 | 제조국 | |
헬리콥터 | 48 | - | ||
↳ | UH-60J[21] | 33 | - | |
CH-47[22] | 15 | - |
7.6. 고정식 조기경계관제레이더 및 방공 유도탄
형식명 | BMD 능력 여부 | 보유수량 | 제조국 |
고정식 조기 경계 관제 레이더 | |||
J/FPS-2 | 無 | 3 | |
J/FPS-3改 | 有 | 7 | |
J/FPS-4 | 無 | 6 | |
J/FPS-5 | 有 | 4 | |
J/FPS-7 | 有 | 6 | |
방공 유도탄[23] | |||
PAC-3[24] | 有 | 24 | |
81식 단거리 방공 유도탄[25] | 無 | 17 | |
11식 기지 방공 유도탄[26] | 無 | 13 |
8. 편제
※ 항공총대사령부(航空總隊司令部) | 요코타 공군기지 | ||
◇ | 북부항공방면대(北部航空方面隊) | 미사와 공군기지 | |
제2항공단(第2航空団) | 치토세 공군기지 | ||
제3항공단(第3航空団) | 미사와 공군기지 | ||
북부항공 경계관제단(北部航空警戒管制団) | 미사와 공군기지 | ||
제3고사군(第3高射群) | 치토세 공군기지 | ||
제6고사군(第6高射群) | 미사와 공군기지 | ||
북부항공 설비대(北部航空施設隊) | 미사와 공군기지 | ||
북부항공 음악대(北部航空音楽隊) | 미사와 공군기지 | ||
◇ | 중부항공방면대(中部航空方面隊) | 이루마 공군기지 | |
제6항공단(第6航空団) | 코마츠 공군기지 | ||
제7항공단(第7航空団) | 햐쿠리 공군기지 | ||
중부항공 경계관제단(中部航空警戒管制団) | 이루마 공군 기지 | ||
제1고사군(第1高射群) | 이루마 공군기지 | ||
제4고사군(第4高射群) | 기후(岐阜) | ||
중부항공 설비대(中部航空施設隊) | 이루마 공군기지 | ||
이오지마 기지대(硫黄島基地隊) | 이오섬 분둔기지 | ||
중부항공음악대(中部航空音楽隊) | 하마마츠 공군기지 | ||
◇ | 서부항공방면대(西部航空方面隊) | 카스가 공군기지 | |
제5항공단(第5航空団) | 뉴타바루 공군기지 | ||
제8항공단(第8航空団) | 츠이키 공군기지 | ||
서부항공경계관제단(西部航空警戒管制団) | 카스가 공군기지 | ||
제2고사군(第2高射群) | 카스가 공군기지 | ||
서부항공 설비대(西部航空施設隊) | 카스가 공군기지 | ||
서부항공방면대 지원비행대(西部航空方面隊司令部支援飛行隊) | 카스가 공군기지 | ||
서부항공 음악대(西部航空音楽隊) | 카스가 공군기지 | ||
◇ | 남서항공방면대(南西航空方面隊) | 나하 공군기지 | |
제9항공단(第9航空団) | 나하 공군기지 | ||
남서항공경계관제단(南西航空警戒管制団) | 나하 공군기지 | ||
제5고사군(第5高射群) | 나하 공군기지 | ||
남부항공 설비대(南西航空施設隊) | 나하 공군기지 | ||
남부항공 음악대(南西航空音楽隊) | 나하 공군기지 |
항공방면대(항공혼성단)사령관은 중장(공장)이 보임되며 각 방면대 소속의 항공단과 항공경계관제단에는 소장(공장보)이 보임된다. 고사군에는 대령으로 방공포병부대의 격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각 항공단은 기지 업무군, 비행군, 정비보급군 등의 군( 전대)으로 구성되며 각 군(群) 사령의 계급은 대령이다. 한국과 비슷하게도 정비보급군에는 군수 출신들이 보임되지만 비행군은 조종 출신들이고 기지업무군도 상당수가 조종 출신들이다.
위의 편제에는 항공총대(한국의 공군작전사령부)만 나오고 있다. 다른 자세한 편제는 자위대/편성을 확인할 것.
9. 대중매체에서
대민홍보용으로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나 게임 제작에 지원을 해주는 경우가 빈번한 편이다.- 기동경찰 패트레이버 극장판 2
-
전투요정 유키카제
실제 전투기 엔진음이나 기타 음향을 지원해줬으며, 코마츠 미사와 항공자위대 기지의 지원이 있었다.[27] (http://www.faf.jp/) -
되살아나는 하늘 -RESCUE WINGS-
일본 항공자위대의 항공구조사를 배경으로 한 애니메이션으로 드라마로도 제작되었다. -
백수전대 가오레인저
와시오 가쿠가 항공자위대 전투기 파일럿이다. - 스트라토스4
- BLOOD+[28]
- 퍼스트 러브 하츠코이
-
하늘을 나는 홍보실
항공자위대 홍보실의 출입기자와 홍보실 부서 군인들의 이야기를 다룬 드라마. -
에이스 컴뱃 시리즈
에이스 컴뱃 4 때부터 항공자위대와 협력관계를 가져 고증에 필요한 자문을 받고 있지만, 세계관 자체는 가상이기 때문에 직접적인 등장은 없었다. 그러나 현실 세계관으로 옮겨간 에이스 컴뱃 어설트 호라이즌과 에이스 컴뱃 인피니티, 에이스 컴뱃 X2에서는 직접 등장한다. 시리즈 내에서도 항공자위대 스킨을 고정, 혹은 이벤트성으로 자주 제공하는 중이다. 다시 가상 세계관으로 돌아간 에이스 컴뱃 7에서도 아트 디렉터 '칸노 마사토'에 따르면, 항공 자위대에 방문해서 전투기 조종석 계기에 대해 집중 취재할 수 있었고, VR 멀미 해결을 위한 많은 조언을 얻기도 하였다고 밝혔다. ATD-0의 경우 항자대의 협력을 통해 게임 안에 구현할 수 있었다. - 드래곤 파일럿: 히소네와 마소땅
-
우리 메이드가 너무 짜증나!
작중 주인공인 메이드 카모이 츠바메가 항공자위대 부사관 출신이다. -
걸리 에어포스
항공자위대와 콜라보레이션을 하였다. # - 워 썬더
- 아인: 원작 만화의 최종장이 항공자위대 이루마 기지에서 이루어진다.
- 강철비: 항공자위대 소속 F-15J가 미 공군 B-52 폭격기를 호위하며 잠시 등장했다.
- 비상선언
- 캡틴 아메리카: 브레이브 뉴 월드: 예고편에서 항공자위대 라운델이 도색 된 F-35가 2기 등장한다.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1]
Boeing Customer Code,
보잉사 고객코드
[2]
한국은 물론 미국도 마찬가지. 일단
공군사관학교가 4대 사관학교(육사, 해사, 공사, 간사. 3사는 편입 모집이므로 제외) 중에서 입결이 넘사벽으로 높은 이유가 우수 성적과 파일럿 적성 테스트에 통과 후, 양성과정을 거쳐 정식 파일럿이 되어 제대 할 경우 고연봉이 보장되어 있는 민항기 파일럿으로 재취업이 가능하다. 그리고 대한항공을 비롯한 민항공 기업들도 파일럿 군경력을 높게 쳐준다. 미국도 이와 마찬가지인데 항공전력을 운용하는 미 해군/미 공군에서도 항공병과가 가장 인기가 높은데다가 졸업하면 경비행기는 물론 조종사로써 취업이 가능하고 미육군과 한국 육군에서 헬기 조종병과가 가장 인기가 높은 이유도 전역 후 헬기 조종경험 또한 경력이 되어 조종사가 될 수 있다. 한국 KBS에서 운용하는 헬기 조종사 또한 군경력을 우대하고 가산점이 붙은채 뽑는다.
[3]
육상자위대나
해상자위대의 경우 옛
일본군의 잔재가 강하게 남아 있는 편이고, 특히 해상자위대가 가장 심하다. 반면 항공자위대는 한국 공군처럼 미군의 지도 아래 양성된 전력이라 부조리가 이 두 군종에 비하면 매우 적다.
[4]
2000년대 초반의 일로 2005년 이후에는 공대함을 포함해 가시거리 밖(BVR) 공대공, 공대지가 모두 가능한 멀티롤 전투기로 개념이 변경되어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다.
[5]
방대 31기. 한국 공사 35기에 해당.
[6]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7]
1995년 11월 1기 아군 오사로 추락, 조종사 생존, 2022년 1월 1기 추락, 조종사 전원 사망
[8]
MSIP(Multi-Stage Improvement Program) 개량
[9]
미개량, F-35A/B 105기로 대체
[10]
JSI(Japanese Super Interceptor) 개량, MSIP기 추가 업그레이드 예정
[11]
단좌형
[12]
복좌형
[13]
도입 중, 미쓰비시 중공업 조립 생산(B형 제외)
[14]
2019년 4월 1기 바다에 추락, 조종사 실종
[15]
1기는 미국과 공동운영
[16]
중등 훈련기
[17]
초등 훈련기, 2023년 중기방위력정비계획에 따라 후계기 없이 전량 퇴역 후 부대 해체 예정
[18]
중형 훈련기
[19]
도입 중
[20]
퇴역 중
[21]
탐색 / 구조기,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22]
수송기, 가와사키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23]
보유수량은 포대 단위
[24]
미쓰비시 중공업 라이센스 생산, 전 포대 MSE탄 업그레이드 완료
[25]
퇴역 중
[26]
도입 중
[27]
등장하는 전투기 음향도 F-15와 거의 유사
[28]
출처 エンディングクレジットの「協力」部分に「航空幕僚監部広報室」と記されていたが、途中から表示されなくなった。(일본 위키피디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