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5:50:57

늑대와 향신료/실제 중세시대와의 비교

늑대와 향신료/고증에서 넘어옴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늑대와향신료 한글로고.svg 파일:늑대와향신료 한글 화이트 로고.svg
등장인물 · 정령 | 세계관 | 만화
애니메이션 ( 구작 1기 · 구작 2기 | 신작 1기 · 신작 2기)
OST | 중세 반영 | 성경 인용 | 경제

1. 개요2. 작가가 직접 참고한 자료들3. 모티브로 삼은 시기4. 시대에 따른 배경5. 언급되는 사건들6. 중세 상업7. 중세 생활상
7.1. 식생활7.2. 미용7.3. 문학7.4. 물품
8. 중세 도시
8.1. 자유도시 대학도시8.2. 도시의 구조8.3. 도시의 운영
9. 중세 가톨릭10. 전설과 미신11. 그 외
11.1. 중세 이외의 소재를 차용한 설정11.2. 중세시대와 차이가 있는 부분
12. 관련 문서

1. 개요

판타지 소설 『 늑대와 향신료』에서 중세 유럽 시대상이 어떻게 반영 되었는지를 설명한 문서.

작가인 하세쿠라 이스나가 12권 후기에 40~50권에 달하는 관련 서적 및 논문들을 읽어봤다고 언급한 만큼 사전 조사를 치밀하게 준비했고[1][2], 그 때문에 가상의 판타지 세계관을 다루고 있지만 중세 유럽의 문화나 경제 등이 잘 반영되어 있다. 문서 하단에 있는 재현 오류 부분과 판타지적 요소가 들어간 장면을 제외하면 실제 중세 유럽의 모습 그대로라고 봐도 무방할 정도. 특히나 하세쿠라 이스나는 중세인들이 가진 관념, 개념등도 소설 속에 녹여냈다는 점이 대단 한데 몇가지 예시를 꼽자면 등이 있다.

이런 이유로 늑대와 향신료를 보면서 작가가 곳곳에 집어 넣은 중세 관련 소재들을 발견하는 재미도 쏠쏠한 편이다. 본 문서에 수록되지 않은 중세 소재들도 있으니 직접 찾아보면 또다른 재미를 느낄수 있을 것이다.

2. 작가가 직접 참고한 자료들

작가는 16권 후기와, 블로그를 통해 자신이 읽은 자료 중 일부를 공개하기도 했다. 전부를 공개하지 않은 이유는 남들이 알지 못하는 창의적인 글을 쓰고 싶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늑대와 향신료』는 프랑스의 중세경제사학가인 장 파비에가 쓴 『금과 향신료』를 차용했습니다. 1권의 소재도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걸 쓸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것입니다. ⋯⋯ 자료를 읽을 때에도 판타지 소설을 쓰는 사람을 대상으로 나온 책은 결코 읽지 않고, 거의 학술서에 집중했습니다. 중세경제사도 입문서는 읽지 않고, 이해하지 못할 것을 잘 알면서도 전문서만 읽었습니다. 신에 대한 이야기도 세계의 신들에 관한 사전 같은 것은 읽지 않고, 『 성경』과 『 황금가지』를 읽었습니다. (후략)}}}
늑대와 향신료 16권 작가 후기 中.(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6)』, 서울, 학산문화사, 2012, p.347-348.
||
덧붙여 의도적으로 목록에서 제외한 책이 있습니다. 알려드리고 싶지 않은 책들이 있거든요! 모두가 모르는 정보가 실려있는 책을 발견했다!!라는 것은 작가에게 필요한 중요한 요소라고 생각합니다. 자기가 쓰고 싶은 장르를 위해, 모두가 알지 못한 책을 읽고 조사한다면 누구나 생각하지 못한 그런 창의적인 것들을 써 내려 갈수 있다고 믿기 때문입니다.[8]}}}
하세쿠라 이스나. 참고한 도서 목록을 밝히며.
||

*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베스트셀러이자 중세 역사에 반드시 언급되는 책인 《 성경》.

그 외에 읽어보고 싶은 책으로 토마스 아퀴나스의 『 신학대전[9] 아우구스티누스의 저서, 『신의 나라, 이교도와의 대결(De Civitate Dei contra Paganos)』[10]을 꼽았다.

참고로 위에 언급된 자료 중 한국에 정발된 책은 성경, 황금가지이며, 나머지 책들도 출간된 지 오래된 책들이라 원서 구매도 힘들다. 특히 작가 본인이 읽어보고 싶다고 밝혔던 신학대전은 그 방대한 분량 탓에 일본에서조차 번역조차 제대로 되지 않은 판인데다가, 비기독교권 국가에서 본격적인 번역 시도가 이뤄진 것이 한국이 세계 최초일 정도다. 1994년, 번역 소식을 듣고 요한 바오로 2세가 한국에 축전을 보낸 일도 있었을 정도. 자세한 내용은 토마스 아퀴나스 참조.

3. 모티브로 삼은 시기

작중 언급되는 사건들을 본다면 약 11세기부터 14세기의 중세 유럽을 모티브로 삼았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그리고 작중에서 묘사되는 생활상의 경우에는 작가가 " 14세기 독일 지역을 참고했다"고 밝혔다. 위에 기준으로 제시된 사건들을 보면 카노사의 굴욕이나 자유도시의 탄생 등 11세기~ 12세기 중세 전성기의 사건들이 포함되어 있기는 하나, 작중 이런 사건들은 주로 '현재 진행중인 사건' 이라기보다는 '예전에 그런 일도 있었다'는 과거의 지식으로 다뤄지는 점을 감안할 때, 작중 배경은 상당히 명확하게 14~15세기, 중세 말-근세( 르네상스) 정도의 유럽을 모티프로 삼고 있다고 단정해도 좋을 것이다. 단순히 구체적인 생활상의 묘사뿐 아니라, 사회적 면모 자체가 꽤 명확하게 14말15초 정도를 모사하고 있는 것. 예를 들어 정점으로 치달았던 교황권이 명확하게 퇴조를 보이기 시작하고, 로렌스같이 각 도시와 영지를 돌아다니는 행상인들이 본격적으로 대두하여 상업조합이 영향력을 확장한 것은 교역망 자체가 사실상 붕괴했던 중세 전기나 갓 부활하기 시작한 중세 전성기가 아니라 중세 후기~말기의 특성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그 망할 놈의 고추 감자만 빼고.

그외 늑대와 향신료 1권의 역사 반영 분석 포스팅은 여기를 참고하고, 중세 근대의 분기점으로 해석한 리뷰는 여기[12]를 참조. 이곳을 참조해 보는 것도 좋다. ##

4. 시대에 따른 배경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근대 유럽의 농업에서는 윤작, 즉 돌려짓기[14]가 일반적이었다. 농사를 한 번 짓고 난 뒤 고갈된 지력을 회복시킬 방법이 없었기 때문이다. 오늘날과 같이 화학 비료가 있는 것도 아니었고, 과거 동양에서 처럼 사람의 분뇨를 거름으로 이용할 줄도 몰랐다. {{{#!wiki style="margin: 24px 0 0 16px; float: right; width: 35%; max-width: 600px; font-size: .9em"}}}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이영주 옮김, 『하룻밤에 읽는 세계사』, 알에이치코리아, 2015.
||
"교회는 옛날부터 대단했잖아?"}}}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90.
||
또한 가끔 전해 듣는 자연학자의 교회비판이라는 대목은 자연철학자[16][17]이 교회의 사상과 충돌하는 것을 묘사한 것으로 보여진다.

참고로 호로가 여행을 떠나 정착하고 다시 요이츠로 돌아가는 것이 서로마의 붕괴와 이민족들의 번영, 그리고 기독교의 번성을 나타낸다는 분석도 있다. 엔딩 스포 주의

게다가, 최근 교회는 이단심문(異端審問)이나 이교도 개종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고, 요사이에는 도시부 교회에서 신학자들과 자연학자들 간에 언쟁이 벌어지는 일도 드물지 않다. 옛날처럼 모든 민중들이 무조건적으로 교회 앞에 넙죽 엎드리는 일은 없어졌다. 절대적이었던 교회의 권위가 무너지기 시작하고 있는 것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22.
||

신이라 불리는 존재가 무조건 세상의 중심이었던 시대는 지나려 하고 있다. 그것은 교회가 강대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는 남쪽에서도 마찬가지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요즘 세상에는 교회의 권위가 약화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래도 아직 그 저력은 쇠약해지지 않았다는 인상을 어딘지 모르게 받았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0)』, 서울, 학산문화사.
||
이는 십자군 전쟁의 실패[18]와 세속 군주의 성장, 흑사병[19]으로 급속도로 떨어지고 있던 13세기 이후 교황의 권위를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교회에 대한 불평불만은 많았으나 뭐니 뭐니해도 가장 심한 불만이 쏠린 것은 교회의 재산이었다. 그럼에도 교회는 국왕들로부터 해마다 공납금을 거두고 있었다. 사교(司敎, 사제)[20]들도 취임할 때는 교회에 취임료를 바쳐야 했다. 교회당의 건립, 내부 장식, 걸인 구제, 전쟁, 그 밖의 무수한 일을 구실 삼아 교회는 갖가지 방법으로 세금을 징수하고 있었다.[21]}}}
이영수, 「루터 종교개혁의 원동력」, 『독일학연구』, 제18권, 2002, pp.129-142, p.130.
||
제가 젊었을 적에는 새로운 땅을 향해 진격하는 것은 영주와 그가 이끄는 기사인 귀족들의 역할이었지요. 그러던 것이 어느새 귀족은 기사가 아니게 되고, 왕은 성 밖으로 나오지 않게 되었습니다.[22] 우리 용병들이 돈에 고용되는 빈도가 몇 배는 많아지고, 고용주는 각지의 왕에서부터 큰 도시에서 두각을 나타내는 부자 귀족들, 대상인들이 되었습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5)』, 서울, 학산문화사.
||
11세기말~13세기 중반에는 봉건제 영주를 따르는 기사들이 있었고, 기사는 가문이나 혈통에 주어지는 계승 직위가 되기 시작하면서, 기사라 것이 준귀족화 하기 시작한다. 이때부터 기사는 기사로 태어나는 것, 또는 군주가 하사하는 것이 된다.[23]
이어지는 독립 성주의 시대에는 사회관계가 기사와 농민으로 재편되며, 노예와 명사라는 표현이 사라진다. 기사는 토지 영주권([ruby(Seigneurie Foncier, ruby=세뇌리 퐁시에)]), 공권 영주권([ruby(Sei-gneurie Banale, ruby=세뇌리 바날)])을 행사하는 전사로 존재하며, 일종의 카스트가 이루어진다. 13세기 초에 이르면 신분 질서는 혼란되며, 부자들이 기사가 되기도 하고, 기사도가 출현하면서 귀족 혈통이 세습되고 폐쇄된다.[24]}}}
『사료로 읽는 서양사 2 중세편: 게르만족의 이동에서 르네상스 전야까지』.
||
이렇게 되자 십자군 전쟁, 백년전쟁을 거치며 국왕이 땅을 가진 이들에게 기사가 되라고 강요하는 일이 늘어나게 되는데, 목숨을 바치는 것이 두려운 귀족들이 전쟁터에 나가는 것을 거부하며 반대 급부로 돈을 주고 사는 용병이 군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작품에서 언급되듯이 상당히 높아지게 된다. 중세: 왜 ‘용병’ 인가? #1

중세 서유럽 심장부의 기원은 프랑크족의 유산이었다. 그것은 남부에 비해 더 적은 수의 도시를 가지고 있었고 그 도시들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다. 파리 같은 정착지는, 이를테면 밀라노와 같은 곳 보다는 상업의 몰락이 덜 괴로웠던 곳이었다. 삶은 토지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귀족은 지주로 변신한 성공적인 전사였다.}}}
J.M.로버츠, O.A.베스타 저. 노덕경 외 옮김, 『세계사(The History of the World)』, 2015년, p.530.
||

그러나 이번 싸움은 무의미한 전사자를 내지 않고, 적에게도 가능한 원한을 남기지 않으며, 그러면서도 서로의 고용주와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묘기다. 어처구니없을지는 몰라도 중요하지 않을 리 없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6)』, 서울, 학산문화사. p.164
||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기본적으로 국왕이라는 이름을 달고 있다 해도 다른 귀족들보다 재산이나 영지가 많고, 그 위에 국왕으로서 행사할 수 있는 정당성을 주위가 인정하도록 만든 것에 지나지 않는다.[25] 그러니 국왕이 다른 제후들과 공동으로 관리하는 국가의 재산을 멋대로 처분할 수는 없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229-230.
||
시성되어 성녀로 인정되면 그 인물과 관련된 물품들은 성유물이 되어 그 어떤 것이든 믿어지지 않을 만큼 비싼 값에 팔려 나간다. 거기에 기적을 일으킨다는 평판까지 나면 순례자들이 몰려들어, 교회뿐 아니라 주변 일대까지 윤택해진다. 그러니 자기 영토 내의 성직자를 성인으로 만들고 싶어 애를 쓰는 귀족들이 수두룩한데, 그러기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이 든다고 한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2)』, 서울, 학산문화사. p.205
||
중세시대, 혼란했던 시기에서 사람들이 성인의 유물을 소지하거나, 집에 모셔다 두는 등의 행위로 안식을 찾고자 했고 그 때문에 성유물을 갖고자 하는 욕망이 사회 전체를 뒤덮었었다. 당시 성유물에 대한 집착이 어느 정도였나면 지체 높은 관리들 사이에서 성유물을 수집하는 관행이 성행했으며, 종교 개혁을 추진했던 마르틴 루터를 바르트부르크성에 보호해 주어서 끝내 개혁을 완성시키는 데 일조한 작센의 선제 후 프리드리히 3세(Friedrich III)조차 5,005점의 성유물을 보유하고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출처14] 그러나 당연하게도 수많은 사람들이 원하는 것과는 달리 진짜 성인의 유물은 매우 한정적이기에, 가짜 성유물들의 제작 및 판매가 이루어지게 된다. 9권과 10권에 언급되는 늑대의 발바닥[27]을 둘러싼 교회, 국왕, 상인 간의 다툼은 바로 이런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시간이 흐르면서 이집트인, 그리스인, 로마인이 가장 능숙하게 포도주를 제조할 수 있게 되었다. 중세로 접어들면서 고대의 과학적 발견 중 상당수가 잊히고 말았지만 포도주 제조법만큼은 수도자들의 노력 및 종교와 포도주의 밀접한 연관성 때문에 살아남았다. 1500년대쯤에는 교회가 벌이는 사업의 일환이었던 포도원 재배가 개인이 운영하는 형태로 전환되기 시작했고, 이러한 개인 중 상당수가 귀족이었다.}}}
에이미 스튜어트 지음, 구계원 옮김, 『술 취한 식물학자: 위대한 술을 탄생시킨 식물들의 이야기』, 문학동네, 2016년.
||

(중세) 독일의 경제는 급속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었다. 독일은 광업과 금속 분야에서 선두를 달리고 있었으며 금융분야에서는 이탈리아를 능가했다.(중략) 독일 경제를 이끌었던 분야는 하르츠, 에르츠게비르게, 투링기아 숲, 알프스 등지에 매장되어 있는 광석을 기본으로 하는 광업이었다.}}}
『케임브리지 독일사』
||
"혹시 이 마을에 연대기 작가 있어?"}}}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3)』, 서울, 학산문화사. p.64
||
실제 중세에는 역사를 기록하는 연대기 작가들[29][30]이 있었으며 이들은 전설을 비롯한 당시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기록해 남겼다. 호로 전설속 고향인 요이츠와 관련된 이야기를 수집하기 위해 로렌스가 연대기 작가들을 찾아 다니는 것도, 연대기 작가인 디아나 루벤스 호로전설과 관련된 이야기를 알고 있는 것도 이를 근거로 한 설정이다.[31]



마법은 불가사의한 능력에 속했는데 이런 식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것은 중세 문화사에서 흔하게 발견할 수 있었다. 대체로 중세 사회에서 마녀나 유태인처럼 차별을 받던 존재들은 공동체에 필수 불가결한 직업을 가진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특별한 능력이 있다고 보인 반면 그렇기 때문에 유사시에 통제 불가능할 것이라는 공포심을 심어주었고, 그 때문에 마치 늑대인간이나 뱀파이어처럼 언제든지 추방당할 위험에 노출되어 있었다. 이런 직업군에는 사형 집행인이나 양치기, 또는 물레방아를 관리하는 방아꾼 같은 부류가 속했다. 양치기나 목동에 대한 중세인들이 품었던 신비주의는 상당히 흥미롭다. 중세인들에게 자신이 속한 마을이라는 곳은 소(小) 우주였는데 이 소우주 바깥에 대(大)우주가 존재한다고 중세인들은 믿었다. 대우주는 소우주로 들어올 수 없는 괴물들이 거주하는 곳이었다. 그런데 양치기는 소우주를 지배하는 질서에 속하면서도 무서운 대우주로 나가서 양을 치거나 간혹 늑대에 맞서 싸움을 벌이는 존재였다. 늑대가 나타났다고 거짓말을 하는 양치기 소년에 대한 우화는 바로 이를 상징한다고 할 수도 있다. 양치기는 유용하고 필요한 존재지만 때로는 신뢰하기 어려웠다.}}}
이택광 지음, 『마녀 프레임 - 마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자음과모음, 2013년
||

여행하는 도중에 양치기를 만나게 되면 나그네는 2가지를 주의해야 한다고 한다. 하나는 양치기의 기분을 해치지 말 것. 또 하나는 로브 속에 있는 것이 악마가 아닌지 잘 확인할 것.}}}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p.90
||
파일:신성 로마 제국 국기(후광 포함).svg
신성 로마 제국기
"하여튼 저놈들은 간이 큰 건지 작은 건지 알 수가 없다니까."}}}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2)』, 서울, 학산문화사.
||
"( 중세 최강의 국가의 상징인) 독수리를 베껴 쓰는 놈들은 간이 크다."는 로렌스의 발언은 이런 중세 시대의 분위기와 유행을 반영한 대사인 것이다.

게다가 북방 지역은 북으로 가면 갈수록 양질의 보석을 채취하기가 어려워지고, 큰 건물이라도 목조인 경우가 많다. 그렇기 때문에 북방 지역의 교회에서는 색유리로 그린 성인이나, 기둥머리에 새겨진 조각상 같은 것은 보기가 힘든 대신, 교회의 가르침을 포교하기 위해 자연스럽게 그림에 의존하게 되는 경향이 크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2)』, 서울, 학산문화사. p.89
||
악마 역시 신과 똑같이 인간 경험의 실재적인 부분을 상징하고, 양자 모두 제도화되고 인격화된 존재들이다. 신과 악마는 인간의 마음이 창조해 낸 것이지만, 악마가 단순히 악의 상징일 뿐이라고 해서 악이 덜 실재적이라는 뜻은 결코 아니다.}}}
폴 루카스 지음, 이지현 옮김, 『악마의 탄생 : 선에 대한 끝없는 투쟁』
||

악마가 독보리를 넣었건 누군가 악의를 품은 자가 넣었건, 재앙이 일어나면 사람들은 그 원인을 캐고 싶어 한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5. 언급되는 사건들

늑대와 향신료를 보면 실제 유럽사에서 벌어졌던 사건들도 약간 변형해서 등장한다. 20년도 더 전에 온 세계에 불어 닥친 대전(大戰)의 열기 속에서 용병 비스름한 일을 했었지. (중략)"}}}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7)』, 서울, 학산문화사. p142~143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52px-Teutonic_Order_1260.png
튜튼기사단과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의 진출로
파일:external/patepis.com/Latvia_12.jpg
리보니아 검의 형제기사단

당시 유럽 시장에서는 영국산 양모가 단연 최고로 여겨졌는데, 이유는 영국의 습하고 비가 많은 기후 덕분이었다. 최고급 영국산 양모, 즉 상등품 가운데에서도 최고급 품질의 양모는 얼굴에 기름기가 잘잘 흐르고 홍조를 띈 영국의 수도자들이 사는 곳에서 구할 수 있었다.}}}
『중세 유럽의 상인들 - 무법자에서 지식인으로』
||
잉글랜드의 켄들은 양모산업이 발달한 곳이다. 또 중세시대에는 레이크 디스트릭트(Lake District) 지역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던 수도원들도 주로 양모를 이용해 부를 쌓았다.}}}
『영국 양치기의 편지: 대자연이 가르쳐준 것들』
||
파일:카노사의 굴욕.jpg
카노사의 굴욕
* 10권 25P에는 ' 교회의 총본산에 앉아 있는 교황이 속세의 황제와 대립하고 있던 시절에는 황제를 눈이 펑펑 내리는 들판에 사흘간 내버려 두었다는 이야기도 있는데, 상대가 상인이라면 그 정도로 끝나지 않는다'라는 대목이 있다. 이는 저 유명한 ' 카노사의 굴욕(1077)'이다.

산길을 가는 도중에도 가끔 나무들 너머로 강이 보일 때마다, 떠내려가는 통나무가 눈에 띈다. 온천에 몸을 담그러 온 나무꾼에게서 들은 이야기로는 요 수년 동안 목재가 날개 돋친 듯이 팔려, 저 나무들도 전부는 아니지만, 대부분 배의 재료로 쓰일 거라고 하였다. 그리고 그중 일부는 터무니없을 정도로 먼 바다까지 가게 될 것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8)』, 서울, 학산문화사.
||
파일:attachment/한자동맹/hanseatic_league.jpg
15세기 한자동맹 참가 도시들과 주요 교역로
* 작중에 당대 최강의 경제 연결체인 루윅 동맹이 등장하고, 이들은 자신들의 무역을 방해한 국왕의 군대를 탈탈 털은 적이 있다는 내용이 등장한다. 이는 루윅 동맹의 모티브인 한자동맹 1426년 덴마크 국왕 포메른의 에리크 한자동맹 소속 무역선들로 하여금 자신의 영토인 준트를 지나갈 때 통행세를 요구하자 선전포고를 한 사건[출처11]이 모티브다.
과거에는 루윅 동맹이 자신들의 군선을 동원해, 무역을 방해해 온 국왕의 군대를 격파한 적이 있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5)』, 서울, 학산문화사.
||
파일:external/thekingdomiswithinyou.com/constantines-vision.jpg
밀비우스 다리 전투 십자가를 바라보는 콘스탄티누스 1세. 라파엘로 산치오
대원정에 참가한 고명한 기사단이 이교도들의 군대에게 고전을 하고 있을 때였어. 하늘에 붉게 물든 해질녘이 가까워지자, 이젠 한계로구나 하며 지휘관이 퇴각 명령을 내리려는데 돌연 전장 일대에 그림자가 진 거야. 무슨 일인가 싶어 고개를 든 순간─ 그 자리에 있던 모든 사람이 봤대. 새하얗고 거대한 교회의 문장이 온 하늘 가득 펄럭이고 있는 모습을."}}}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2)』, 서울, 학산문화사. p145~146
||

6. 중세 상업

6.1. 무역

파일:중세_행상인.jpg
중세 여자 행상인을 그린 삽화
12세기 전형적인 이탈리아 상인은 상품을 가지고 지중해 전역을 돌아다니는 여행상인이었던 반면, 중세 말의 일반적인 이탈리아 상인은 본토에 머물면서 해외시장에 대리인을 보내 국제무역을 관장하는 정주상인으로 변모했다. 그런 점에서 중세 말 정주상인의 사업 패턴은 오늘날 무역상사의 그것과 여러 면에서 유사할수 있다고 말할수 있다.}}}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
"필론은 물자를 운반하는 등의 수송대 역할을 맡고 싶어 하는, 목숨 아까운 줄 모르는 상인들에게 용병들을 알선해 주고 있지요."}}}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4)』, 서울, 학산문화사. p13
||

군대에서 병참은 전투력 유지의 근본이다. 병참은 군대에서 필요한 물자를 관리하고 보급하는 군사 행위다. 하지만 그 무렵 군대는 이러한 병참을 직접 챙기지 않고 외주를 주어 이를 하청업자들에게 맡기는 형태였다. 그리하여 빵과 고기, 술 등의 조달과 배분은 민간업자인 주보상인酒保商人들이 맡았다. 주보상인은 이러한 병참뿐만 아니라 무기, 탄약, 갑옷 등과 함께 생활에 필요한 잡화도 취급했다. 그리고 각종 약탈품을 싸게 매입하기도 했다. 전투가 끝나면 병사들에게 주점이나 도박장을 열어주고, 요리, 세탁, 제봉, 간호를 담당할 여자들을 데리고 다니며, 필요시에는 병사들에게 위안부 서비스까지 제공했다.}}}
『홍익희의 유대인경제사 5: 중상주의를 꽃피운 유대인들 근대 유럽 경제사 上』
||

이세환 : 용병들을 항상 따라다니는 사람들이 있었거든요? 무기에서 부터 여흥까지 제공하는 사람들이 있었어요.}}}
토크멘터리 전쟁사 94회 전쟁의 패러다임에 변화를 준 용병1
||
파일:external/www.doopedia.co.kr/547657.jpg




파일:external/www.alte-salzstrasse.de/57f5ee2a0f.jpg
중세 유럽의 소금길
* 당시 행상인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것은 2가지로, 하나는 정비가 되지 않아 지나치게 울퉁불퉁한 도로, 그리고 언제 출몰할지 모르는 도적 떼와 늑대의 습격이었다.
( 토빗기를 다룬 그림) 《토비아와 천사》가 불티나게 팔린 배경을 살펴보면, 그 시대의 비지니스 환경을 알 수 있다. 여행을 거듭해야 하는 상인들에게 가장 큰 걱정거리는 '여행길의 안전'이었다. 언제 어떻게 무뢰한이나 도적들이 출몰할 줄 몰랐다. 심지어 친척이 배신하여 돈이나 물품을 훔쳐 달아나는 일도 있었다.}}}
다나카 야스히로 지음, 『부의 지도를 바꾼 회계의 세계사』
||
이 사실을 알게 된 영주들은 세금을 거둘 명목으로 소금길(Salzstraße)을 건설해 안전을 보장해주는 대신 돈을 받았다. 독일 북부 소금길들은 12세기~16세기 독일의 북쪽과 남쪽을 잇는 주요 교통로이기도 했으며 현재는 중요 관광지로 활용되고 있다.[출처9]
그 지방의 권력자가 만드는 경우도 있다. 길이 나도록 풀을 깎아내는데, 돈이 많은 곳에서는 돌을 깐 위에 목판을 올려놓아 마차가 빠른 속도로 지나갈 수 있도록 만들기도 한다. 물론 그런 길은 공짜가 아니라 상당히 많은 통행세를 내야 하는데, 그런 길에는 도적에 대한 대응도 철저하기 때문에 시간과 안전을 고려하면 오히려 싸게 먹힐 수도 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p.81
||

6.2. 금융

공증인 제도는 글자 그대로 공공기관이 계약의 증인을 서는 제도를 말한다. 하지만 공증인 앞에서 계약을 했다고 해서, 그 계약이 백지화됐을 때 도시의 치안을 지키는 병사들이 그 상대를 잡아가는 것은 아니다. 크게 융성한 도시국가에서도 그런 일은 해주지 않는다. 그 대신 백지화를 당한 쪽은 그 사정을 공증인의 이름하에 소문낼 수 있다. 상인에게 그것은 치명적이다. 특히 큰 거래를 할 마음이 있다면 더욱 그렇다. 타지에서 온 장사꾼이라고 해도, 적어도 그 마을에서는 그 이후로 거래가 불가능해지게 된다. 따라서 장사를 때려치울 작정인 상대에게는 별 효과가 없더라도, 계속해서 장사를 할 생각인 상대라면 매우 효과적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137-138.
||

어떤 약속이든 구두로 한 약속은 분쟁의 씨앗이 된다. 모든 약속이나 계약은 문서로 기록하여 구체적인 형태로 남겨 놓아 분쟁을 방지하는 것이 당시의 관례였다. 그렇지만 당시 사람들은 '기록'을 남기기가 수월하지 않았다. 왜냐하면 '종이를 쉽게 손에 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다나카 야스히로 지음, 『부의 지도를 바꾼 회계의 세계』, 위즈덤 하우스, 2018년
||

공증인이라는 직업 자체가 대단히 품위 있는 일로 여겨졌던 것은 아니지만, 계약에 의해서 굴러가고 특히 소송이 잦았던 (중세 이탈리아의) 문화였던 만큼 그 수는 대단히 많았다. 피렌체에서 공증인으로 일했던 라포 마체이는 팔에 서류 뭉치를 하나씩 끼워든 채 시청으로 몰려가는 600~700명에 달하는 공증인들의 모습을 전한다. "서류 뭉치 하나가 족히 『 성서』 두께의 절반은 되었다." 공증인은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해당 지역의 규제 내용을 정하고 마을 선거를 시행하며 각종 항의서를 작성하는 일을 했다. 도시의 정의를 지켜야 할 관료들은 종종 맡은 바 일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를 모르는 경우가 많았다. 그럴 때면 공증인들이 나서서 무슨 말을 해야 하며 어떤 문서가 필요한지를 속삭여 주고 필요한 문서도 작성하곤 했다. 한마디로 그들은 주위에 두면 요긴한 존재였다.}}}
스티븐 그린블랫 저, 이혜원 옮김, 『1417년, 근대의 탄생: 르네상스와 한 책 사냥꾼 이야기』, 까치, 2013년, p.141
||
중세 이탈리아인들은 근대 회계업무의 중요 부분뿐만 아니라 국제무역의 금융을 위해서 새로운 신용수단을 고안했다. 환어음은 13세기에 등장했고, 환어음과 최초의 진정한 은행가들을 통해 우리는 근대 자본주의의 근처에 와있다. 유한책임(有限責任)이라는 관념도 1408년 피렌체에서 처음 탄생했다.}}}
J.M. 로버츠, O.A.베스타 공동 저, 노경덕 외 옮김, 『세계사(The History of the World)』, 까치, 2013년, p.661
||

상품 거래가 늘면 화폐의 사용과 운반도 자연스레 증가하게 된다. 상파뉴에 온 이탈리아 상인들에게도 화폐로 사용하는 금과 은이 많이 필요했다. 하지만 본국과 멀리 떨어진 곳까지 수레에 금은을 실어서 운반하는 것은 매우 위험했기 때문에 가능한 한 현지에서 조달 할 방법을 찾아야 했다. 그래서 나온 것이 바로 '환換어음'이다.}}}
남종국 저,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엘피, 2015년.
||
대표적인 예로 피렌체의 상인들은 프로뱅에서 모직물을 구입하고, 물건 값을 화폐가 아닌 환어음으로 지불하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피렌체 상인이 환어음을 발행하면, 프로뱅의 현지 상인이 지정하는 제3자가 수취인이 되었다. 그렇게 되었을 때 물건값에 해당되는 돈을 제3자가 피렌체 상인의 대리인으로부터 받게 되는 것이다.

중세 초기의 거래는 구체적인 '현금거래'였다. 그런데 현금을 노리는 강도들이 많이 출몰하자 유대인들이 이외에 다른 방법을 생각해냈다. 신용과 유가증권이 그것이다. 신용거래나 어음의 교환은 유대인 커뮤니티 간의 신뢰가 바탕이 되어 가능할수 있었다.}}}
『홍익희의 유대인경제사 3: 동방무역과 금융업 중세 경제사 上』
||
로프도 사다리도 없는 지금, 두 사람이 그 구멍을 올라가는 것은 일단 불가능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278-279.
||

"고리대금업자를 비난하는 설교 중에 이런 구문이 있어. 그 행위, 밭에 돈을 뿌리는 것과 같나니."}}}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3)』,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92.
||
이는 실제 중세시대의 인식이었고 제5회 라테란 공의회[53]에서 "그 사용으로 아무것도 생산하지 못하는 것으로 아무런 노력이나 비용 혹은 위험을 감수하지 않고 얻는 이익"을 고리대(usury)로 정의해 공식적으로 금지시켰다.[출처15] 이유는 크게 3가지인데,
* 첫째, 당시 시간과 공간은 하느님의 영역이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 둘째, 돈을 빌리려던 사람들은 가난한 이들이라는 인식이 자리잡았는데, 가난한 사람들의 불행을 이용해 돈을 벌려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이었다.
* 셋째, 하느님이 허락한 돈은 인간이 정직하게 일해서 번 돈뿐이었고, 일하지 않고 벌어들이는 돈인 이자는 하느님이 허락하지 않은 돈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또한, 고대 아테네부터 살인, 강간, 폭력 등의 범죄는 가해자가 자신의 죄에 대해 신물나게 되면 더는 죄를 짓지 않는다고 믿었지만, 고리대금업자의 고리대금은 그렇지 않다고 여긴 풍습이 남아있었던 것도 한 이유였다. 그래서 1권에서 "마치 고리대금업자가 천국으로 가는 길이 아득히 먼 것에"라는 구절이 나오는 것처럼 이자를 받는 이들은 천국에 가지 못할 것 이라는 인식이 강했다.[55][56]
당연하지만 자본이 존재하는 곳에 고리대금은 생기기 마련이었고 결국 고리대금을 담당하는 업자들은 주로 유대인들이 맡았다. 중세시대에는 유대교를 믿는 유대인들은 가톨릭에서 지옥으로 가도 되는 이교도로 보았기 때문이다.
중세 가톨릭은 고리대금을 못하게 했어요. 그런데 금융이 안 돌면 안 되잖아요. 그래서 유대인한테 "너네 이거 해."라고 했어요. "니네는 나쁜 놈들이니까 해. 어차피 기독교인이 아니니까."(라는 것이 그 이유였어요.)}}}
임용한. 토크멘터리 전쟁사 75부 1차 중동전쟁1 中
||

중세시대에 기독교는 상인이 '이자'를 취하는 것을 금지했던 것이다.}}}
부의 지도를 바꾼 회계의 세계사
|| "당신들은 이 은화가 자라, 새로운 은화를 낳는다고 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6)』,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318~319.
||
고리대금과 이자의 개념은 별개의 것으로 중세시대에는 이자는 허용하되 고리대금은 허용하지 않았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돈은 교환의 수단일 뿐 목적이 아니다. 돈을 빌려 주고 이자(usury)를 받는 것은 존재하지 않는 것을 파는 것이며, 이는 정의에 반한다. 포도주를 돈을 받고 팔았는데 포도주를 사용하는 것(마시는 것)에 대해서 또 돈을 받는다면, 이는 두 번 돈을 받는 것이며 자신에게 존재하지 않는 것을 팔고 돈을 받는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돈을 빌리는 것은 돈을 사용하기 위한 것인데, 이자를 요구하는 것은 사용에 대해 또 다시 돈을 받는 것과 같다.}}}
토마스 아퀴나스
||
이 문장만 보면 중세에서 이자는 원천적으로 금지된 것으로 보일 수 있다. 문제는 돈을 빌려주고 위험에 대한 담보로 적절한 금액를 받는 등 '정당한 대가'의 경우는 이야기가 다르다는 점이다. 이 경우 토마스 아퀴나스는 '죄가 아니다'고 봤다. 이를테면 어떤 부자가 선원에게 돈을 빌려줬다고 가정해보자. 그런데 선원이 돈을 들고 야반도주하거나, 혹은 바다에서 난파할 가능성은 분명히 존재한다. 다시 말해서 원금 그대로 돌려 받는 것은 부자에게 손해가 된다. 그런데 이 위험을 매꿀 수 있는 정당한 대가가 X라고 가정해본다면, 부자는 X를 선원에게 요구하는 것은 죄악이 아니게 된다. 다만 부자가 나쁜 마음을 먹고 X를 넘어서는 돈을 요구한다면 그건 죄악이 된다. 다시 말해, 이자를 받는 게 죄냐 아니냐를 결정하는 것은 이자가 '정당한 액수인가?'라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번역의 문제가 나타나는데, 일반적으로 '중세에서 이자는 죄악시된다'라고 말해질 때의 '이자'는 영단어 usury다. 그런데 usury는 고리대금업을 뜻하는 영단어이면서도 다소 고풍스러운 어투에선 '이자' 자체를 뜻하기도 한다는 점에서 문제가 꼬인다. 위의 사례로 설명하자면, 토마스 아퀴나스의 관점에서 X+알파를 요구하는 것은 사리사욕을 추구하는 usury이지만, X만 요구하는 것은 '정당한 대가'만을 요구하는 것이므로 usury가 아니다. interest다. interest의 어원인 중세 라틴어 "인테레세"도 법률용어로 현재의 "이자" 개념이 아닌 "손해의 보상"이라는 의미로 사용되었었다. 21세기 한국인의 관점에서 보자면 interest나 usury나 둘 다 이자로 해석되지만, 중세인들은 '탐욕스러운 개인'이 받는 이자(usury)와 '정당한 대가'인 이자(interest)를 구분했다.

그러므로 이 문제를 정리하자면, 중세인들은 usury를 금했지만 interest에 대해서는 그러지 않았으며, 토마스 아퀴나스는 interest가 적법하다고 봤다는 것이며, 늑대와 향신료 16권에서 호로가 말한 "교회는 이자를 인정하지 않는다"는 발언에서 이자는 usury를 의미하는 것이다.

12세기의 공증인 문서가 알려 주는 가장 중요한 사실은, 대부분의 제노바 상인들이 사업 자금을 조달하는 데 '소키에타스(societas)'[59]와 '아코멘다티오(acoomendatio)'[60]라 불리는 투자계약을 이용했다는 점이다. 이 두계약 모두 코멘다(Commenda) 계약에 속한다.}}}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
"증명서도 진짜인 듯 하군요."}}}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
또한 권리증명서의 존재가 언급되는데 실제로 중세에는 이런 권리증명서가 널리 사용되었다는 것을 차용한 설정이다. 대표적인 권리증명서가 바로 중세 최고의 금융업자중 한명이었던 푸거가 발행한 푸거서류(Fuggerbriefe).
1540년, 신성 로마 제국 황실의 재정이 극도로 악화되자 푸거는 예전에 로마에서 레오 10세 교황의 빚을 받았던 방식으로 합스부르크 가문에게 빌려준 돈을 받을 궁리를 한다. 합스부르크 가문의 빚을 시장에 내다팔기로 한 것이다. 만약 푸거가 스페인 왕 펠리페 2세에게 1천 원을 꿔주었는데 합스부르크 가문이 10년 후에 2천 원으로 갚기로 했다고 치자. 푸거는 10년 후에 100원의 돈을 받을수 있는 권리 증명서를 20장 발행해 시장에 60원씩에 파는 방식을 생각해 낸 것이다. 그러면 푸거는 황제에게 1천 원을 꿔 주고, 1천 200원을 되받을 수 있다. 200원의 수익이 남는 것이다. 60원을 주고 황제에게 빚 받을 권리를 산 사람은 10년 후에 100원을 받을 수 있어, 40%의 이자를 받는 셈이다. '푸거서류(Fuggerbriefe)'라고 불리는 이 증명서는 오늘날의 채권이나 서브프라임 채권의 전신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 증서는 1540년대부터 벨기에 시장에서 거래되기 시작했다.[61]}}}
『비지니스의 탄생』
||
따라서 어느 정도의 부를 쌓아올렸으면서도, 기독교를 믿지 않았던 유태인들이 자연스럽게 대부업(금융업)을 하게 되었던 것이죠. 은행을 의미하는 단어인 'Bank'는 유대인들이 길가에 탁자를 놓고 벤치(bench)에 앉아 업무를 했던 것에서 유래가 됐습니다. (bank와 bench의 어원이 같다고 하네요^^)}}}
IBK기업은행 공식 블러그, 은행의 탄생과 진화
||

중세에 이르러 지중해 연안에서 상업적 교역이 활발해지면서 환전상이 나타났다. 이들은 뱅크(bank)라 불리는 환전대 위에서 당시에 유통되는 품질이 제각각인 잡다한 종류의 화폐 교환해주면서 상업적 교역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역할을 했다. 오늘날 은행이 뱅크라고 불리는 연유다.}}}
한국경제, 세계경제를 바꾼 사건들 (45) 이자의 역사와 은행의 등장
||
또한 다리 위의 상점이 위치했다는 대목도 등장하는데, 피렌체를 비롯한 이탈리아의 도시국가들의 풍경을 그대로 묘사한 것이다.
피렌체는 성벽으로 둘러싸인 중세 도시 특유의 모습을 한 폐쇄적이고 어두운 도시였다.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의 중심지역은 높은 탑과 요새화 된 석재 건물로 빼곡하게 들어차 있었고, 복잡하게 꼬인 좁은 길과 골목은 앞으로 삐죽 나와있는 건물 위층과 지붕 덮힌 발코니 때문에 한층 더 어두컴컴했다. 심지어 아지르 강 위에 놓인 오래된 다리ㅡ폰토 베키오(Ponto Vecchio : 단어 자체가 이탈리아어로 '오래된, 혹은 낡은 다리'라는 뜻이다/역주)ㅡ위에는 상점들이 서로 너무나 다닥다닥 붙어 있어서 아무리 둘러봐도 도무지 빈공간을 찾을수 없을 정도였다.}}}
『1417년, 근대의 탄생: 르네상스와 한 책 사냥꾼 이야기』 139p~140p
||
호로는 거짓말을 가려낼 수 있는 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어떤 세리보다도 성질이 더럽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크래프트 로렌스가 성질머리를 더러운 것을 세리에 빗대어 말한 것은 중세시대의 세리(稅吏), 즉 징세청부업자의 악명 때문이다. 당시 징세청부업자는 국가에게 세금 징수 권한을 구매한 후, 민중들에게 세금을 갈취 거두는 직업이었는데 국가에게 세금징수권한을 사기 위해서는 막대한 돈이 들어가게 되고, 당연히 이때 들어간 금액을 만회하고 수익을 내기 위해서 백성들을 쥐어 짜내서 중세 세리들은 악명이 높았다.

6.3. 길드

파일:external/pbs.twimg.com/CeAavXfUYAAyNnw.jpg
중세시대 직인들의 모습
몇몇 지역의 잡다한 상인들이 손을 잡고 만든 경제동맹도 있는가 하면, 모직물을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상인들이 지역에 관계없이 만든 직업조합의 건물도 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
상인들이 모인 상인조합(商人組合)과 수공업자들이 모인 동직조합(同職組合)이 있으며[65] 작중에서 로렌스가 몸을 담고 있는 로엔 상회는 바로 상인 길드.

파일:middle_age_clothwoker.png
중세시대 clothwoker(옷감 다루는 사람)의 장인과 도제를 그린 그림
직인이 되려면 엄격한 도제기간을 거쳐 스승의 시험에 합격해야만 한다. 가루의 양을 재는 법을 비롯해, 돌돌 만 빵처럼 까다로운 제빵 기술도 익혀야 한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3)』, 서울, 학산문화사.
||
미국의 역사가 헌트는 이들[67]을 중세의 "초대형 상사(super-companies)"로 명명했다. 헌트가 정의한 초대형 상사는 유럽 주요 시장에 세운 사업 지부를 통해 대규모 상품 거래와 국제적 규모의 상업 활동, 국제 수준의 은행업과 제조업 등 다양한 사업 활동을 대규모로 전개한 회사이다.}}}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
이런 이유로 해당 상회 소속 상인들은 동료들에게 서신을 자주 보내야 했다. 멀리 떨어져 있는 곳의 시장 상황을 같은 상회 동료들에게 전달함으로써 최선의 상업적 판단을 내릴수 있게끔 한 것이다. 3권을 비롯해 중간중간에 로렌스가 로엔 상회나 동료 상인들로부터 편지를 받고 그 편지로 시장 상황을 전달받는 등의 모습이 나오는 것도 바로 이러한 것을 반영한 장면이다.
로렌스 앞으로 몇몇 마을에서 보내온 편지를 건네주었다. 1년 내내 여행을 다니며 사는 행상인일지라도 계절에 따라 들르는 곳은 정해져 있으므로 편지를 받게되는 기회가 의외로 많다. 어느 어느 마을을 경유해서 올 것 같으면, 내년에는 아무개 상품을 사 와라, 그러면 높은 값을 쳐 주겠다느니, 지금 이 상품의 값이 비싼데 저쪽 지방은 어떠하냐 등등 여러 가지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3)』,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72.
||

편지쓰기는 상인, 특히 상사의 주재원이나 고용 상인에게는 매우 성가시고 귀찮은 일이었지만 피할 수 없는 기본 의무였다. 페골로티의 《상업 안내서》에 따르면, "모든 것, 즉 모든 계약, 모든 상품의 출입과 출납 등을 기록해야 하며, 항상 펜을 손에 쥐고 있어야 한다. 상인의 손은 항상 잉크 자국으로 물들어 있어야 바람직하다." (중략) 복식부기를 도입하면서 상품과 자본, 인력의 운영과 배치를 조절하고 관리 할 수 있게 되면서, 이탈리아 상인의 사업 활동이 체계적으로 조직화 된 것이다. 이제 상인들은 여러 지역을 순회하지 않았고, 해외 시장에 주재원을 상주시키고 자신은 본토에서 사업을 총괄 지휘했다. 이에 따라 본국과 해외 시장 사이의 정보 교환 필요성이 커져 편지 쓰기의 필요성이 높아질 수밖에 없었다.}}}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
그리고 편지 첫 문구가 <친애하는 로렌스 님께>라고 적혀있는 것을 보고 "신의 이름으로, 라는 문구로 시작되지 않는 것이 그야말로 북쪽에서 온 편지다웠다."라는 로렌스의 독백은 당시 중세 상인들 사이의 편지의 첫 문구였던 "하느님과 이윤의 이름으로"를 묘사한 것이다.

13세기 서구 문화 속으로 침투한 신앙 이미지를 한 번 살펴보자. 교회가 황제를 임명하고, 작위를 받은 기사단 역시 모두 그리스도인이다. 모든 길드는 자신만의 수호성인과 수호축제가 있고, 약국과 약사는 모두 종교적 이름과 관계가 있다}}}
『젊은 복음주의자를 말하다』
||
초기 덴마크 규약을 보면 길드 전체에 같은 형제라는 감정이 퍼져 있어야 한다는 규정이 처음에 나온다. 길드는 신의와 형제애에 기초하여 행동할 것을 서약한다. 모든 사람들이 길드에서는 평등했다. 이들은 공동으로 약간의 재산을 소유했다. 길드는 모든 상황마다 ‘행동과 충고’를 통해 서로 도와주는 단체였고, 정의를 유지하기 위한 조직이었다.(중략) 무엇보다도 모든 조합원들은 과거의 불화를 모두 잊어버리기로 서약한다. 어떤 조합원이 신의를 저버렸을 경우에만 하찮은 인간으로 불리며 조합에서 배제되었다.}}}
『만물은 서로를 돕는다』
||

상업조합은 상호부조의 단체다. 운영은 조합원의 기부금으로 이루어지며, 야콥이 말한 것 같은 재난을 당하여 장사를 할 수 없게 된 사람들을 구제하기도 하고, 이국 땅에서 부당한 대접을 받았을 때에는 집단적으로 항의를 하기 위해 세워졌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
"역시 밀가루보다는 빵으로 만들어 팔아야 가장 잘 팔리겠지요."}}}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도시 내에서는 신발 가게는 신발을, 옷 가게는 옷을 파는 것 처럼, 기본적으로는 조합 별로 저마다의 영역을 정해 그것만 팔게 되어 있다. 그러니 옷 가게에서는 재봉을 해서는 안 되고, 신발 가게에서는 신발의 수선을 해선 안된다. 기름 가게는 빵을 팔아선 안 되고, 생선 가게는 육류를 팔아선 안된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3)』, 서울, 학산문화사.
||

6.4. 화폐

중세 화폐와 관련해서 중세 유럽 화폐 체계에 대해서 : 베네치아의 사례로 보기를 참고하는 것도 좋다. 본문 내용에 늑향을 언급하고 있기도하고.
"화폐는 몇 백 종류나 되고, 은이나 금의 절하, 절상이 종종 일어나거든. 화폐는 신용으로 결정 나는 거야."}}}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138-139.
||
로렌스가 책상 위의 물건 중 맨 마지막으로 펼쳐든 지갑 속의 내용물 가운데에는 늑대 퇴치용 부적으로 쓰이는 가장 대표적인 것들이 몇 개나 들어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3)』, 서울, 학산문화사.
||
이는 중세시대에 대표적인 화폐훼손 행위였던 테두리 깎기(Clipping)를 말하는 것이다. 여기서 Clip은 종이 뭉치등을 찝는데 쓰는 클립이 아니라 손톱깎이(nail clipper)의 그 클립이다.
파일:external/2.bp.blogspot.com/clipped+Roman+coins.jpg
테두리 깎기로 인한 동전 형태의 변화. 해당 동전은 동로마 제국의 은화였던 실리쿠아(Siliqua).
테두리 깎기란, 발행되는 금화 은화의 테두리를 살살 깎아 내어 떨어지는 부스러기들을 모으는 행위를 말하는 것으로 모은 부스러기들을 통해 또 다른 화폐를 생산할 수 있었다. 테두리 깎기 뿐 아니라 가죽가방 안에 동전들을 집어넣고 흔들어서 떨어지는 가루들을 모으는 땀내기(Sweating) 방법도 있었는데 이런 행위들로 인해 화폐의 신뢰도를 믿을 수 없게 되어 환전을 할 때 동전의 무게를 재는 방식이 널리 퍼지게 되었다. 당연한 이야기지만 이런 행위들은 범법행위였지만 돈이 되기 때문에 처벌이 강화됨에도[68] 지속적으로 자행되었다.

그 후 1663년 당시 영국 조폐국장이었던 아이작 뉴턴의 지시로 화폐 주변에 홈을 파내는[69], 화폐 훼손을 방지하는 장치를 동전에 적용하게 되면서 사라지게 되었다.[70][출처4] 참고로 이 홈은 20세기까지 사용되다 현재는 화폐 제조 기술의 발달등으로 인해 많은 국가들에서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 유로를 비롯해 엔화, 그리고 한국의 십원 주화에서도 이 홈이 빠진 것을 볼수가 있다.

15세기 중반에 이르기까지 중세 내내 유럽은 적절한 교환 및 지불 수단의 결여 때문에 교역과, 특히 국제 무역에 방해받는 심각한 귀금속 부족사태를 겪고 있었다.}}}
『스페인 은의 세계사 - 아메리카의 은은 역사를 어떻게 바꾸었는가?』
||
주조차익의 역사에 대해 간략히 소개하자면 기원전 6세기 아테네를 이끌던 솔론이 1달란트 = 6,000드라크마의 가치를 1달란트 = 6,300드라크마로 만든 것이 기록상 남아 있는 최초의 주조차익이다. 그 후 3세기 이후 점령지가 부족해진 로마 제국은 지출은 그대로인데 수입이 줄어들자 재원 확보를 위해 은화 데나리우스의 은 함량을 줄여 주조차익을 감행했다. 함량을 줄이게 되면 같은 무게의 은으로 만들 수 있는 동전의 수가 더 늘어나기 때문이다. 심지어 네로는 은도금(...)을 한 은화를 발행하기도 했다. 결국, 시민들은 은 함량이 높은 은화를 사용하지 않고 집에 감춰두었으며 결국 악화가 양화를 구축하는 상황이 벌어지며 296년 디오클레티아누스가 순도 100%짜리 은화를 발행하지만 이미 때가 늦어버렸다.[출처4]

그 후로도 동로마 제국 명군이었던 알렉시오스 1세도 돈이 모자라자 "돈이 없어? 돈을 만들면 되지! 돈을 만들 금이 부족해? 구리를 섞으면 되지!"라는 막가파식(...) 주장으로 주조차익을 실현시킨 바 있다.[74] 중세로 넘어서면서 다양한 곳에서 화폐를 제조하게 되고 이후 각종 이권의 개입으로 인해 화폐의 순도가 오락가락 하게 되었는데 그 중에서 신용도가 높은 화폐들이 바로 현재의 미국 달러와 같은 기축 통화의 역할을 했다.

현대에 들어서는 화폐의 순도가 아니라, 그 화폐의 신용도(=국가의 경제력)가 화폐 가치를 결정하게 된다.[75]

파일:external/i1.wp.com/elcambistaysumujerobrad.jpg
환전상과 그의 아내. 마리누스 반 레이메르스바엘 作 1539년
지금도 그렇지만 중세 유럽에서는 다양한 화폐가 쓰였다. 우선 크게 3가지 종류의 귀금속 화폐, 즉 금화, 은화, 동화가 통용되었다. 그러나 왕과 제후들 뿐 아니라 자치 도시와 공화국들도 독자적인 화폐를 주조했기 때문에 다양한 순도와 무게를 지닌 화폐들이 통용될 수 밖에 없었다. 결국 다양한 지역 출신의 상인들이 서로 다른 화폐를 사용했기 때문에 상품 대금을 귀금속 화폐로 지불하기 보다는 가급적이면 환어음을 발행해 각자의 채무와 채권을 장부상에서 처리하는 것이 편리했다.}}}
『이탈리아 상인의 위대한 도전』
||

"그런데 왜 이렇게 화폐가 많은 거야? 복잡한 것도 정도가 있지."}}}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p.85
||
참고로 작중에 등장하는 가짜 주화가 무엇인지 궁금한 사람은 여기를 참고하자. 여기의 동로마 주화도 참조해보자. 이슬람 주화를 카피해서 썼다. 십자군 왕국이!

중세기의 환전상은 시장 거리 한구석에 저울, 주판, 시금석[79]으로 주화의 가치를 평가했다. 그는 수백 종류의 금화와 은화의 가치가 그 주화를 만든 도시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알아야만 했다. 당시 군주들은 연례행사처럼 주화의 순도를 낮추었다. 일종의 세금이었다. 수많은 종류의 돈이 국제무역을 어지럽히고 있었다.}}}
『유대인 이야기』
||
다만 여기서 사용한 주판은 아바쿠스(abacus)라 불리는 로마식 주판으로 현대의 주판과는 거리가 멀다.

파일:external/admin.u-am.or.kr/9427_1456866171_6.jpg
카이사르가 새겨진 데나리우스
* 16권에서 태양의 화폐를 제조할때 태양 무늬가 찍힌 망치를 이용해 제조한다는 묘사는 실제 중세시대 타각망치를 통해 화폐를 제작하는 것을 그대로 묘사한 것이다. EBS 세계테마기행 - 체코문화기행 4부(5분 15초 부터) 또한 화폐에 권력자의 얼굴이 찍히는 경우가 많다,라는 대목 또한 화폐 제조시 영주나 지도자의 얼굴이 들어가 있는 것을 반영한 장면이다.
테이블 위에 나타난 것은 망치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6)』, 서울, 학산문화사.
||

당시 동전 제조 과정은 기본적으로 세단계로 분류되었다. 첫째, 2개의 화폐 각인봉(刻印棒)을 준비한다. 그런 다음 페돈(Fedoni)라고도 부르는 동전 모양의 둥근 판을 준비한다. 마지막으로 준비한 둥근 판을 각인봉 사이에 넣고 두들겨, 액면 가격을 지닌 동전을 찍어 낸다.}}}
『중세 유럽의 상인들 - 무법자에서 지식인으로 -』
||

7. 중세 생활상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97d6551045b21b5d368472f4fa7a1571.jpg
중세 가정집.
* 14권에서 시골 가정집에 대한 묘사가 등장한다. 이는 중세 농촌에서 흔히 볼수 있는 가정집을 묘사한 것이다.[80]다만, 위의 사진과 달리 후대의 지어진 유럽의 농가 주택은 사람과 가축이 여전히 한공간에서 살되 집주인들의 생활 공간과 축사가 분리되기 시작했다.
집 안은 나무를 깐 것도 돌을 깐 것도 아닌, 그저 흙을 다져 놓기만 한 간소한 바닥으로 되어 있었다. 거기에 구덩이를 파서 만든 화로를 둘러싸듯이 나무 탁자와 의자를 겸한 긴 궤가 놓여 있고, 높다랗게 매단 선반 위의 우윳빛 물건은 빵을 부풀리는 효모일 것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4)』, 서울, 학산문화사. p.29
||
관련 내용은 링크를 참조 하는 것도 좋다.

사람들은 판자로 된 칸막이 사이에 놓인 짚더미 위에서 잠을 잤다. 아마도 12세기 이후 직물 생산이 증가하면서 짚으로 채운 담요가 사용되었을 것이다. 시대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민요는 사람들이 귀리 짚을 가장 선호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당시 사람들도 작은 벌레들 때문에 고생을 했다. 선뜻 말하고 싶지는 않지만 우리의 할아버지 세대도 벼룩과 이 때문에 시달렸을 정도이니 당시의 상황은 더욱 심각했을 것이다.}}}
페르디난트 자입트 저, 차용구 역, 『중세, 천년의 빛과 그림자』, 서울, 현실문화, 2013, p.148.
||
"흥. 당신은 대체 뭘 본거야? 그네들은 시간에 정확한 게 아냐. 공기에 정확한 거지."}}}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94-95.
||
이 개념은 중세 계급별로 각자 다른 시간대를 가진 것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당시 중세 농민들의 경우 시간을 알고 있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농민들은 시, 분, 초단위의 개념은 의미가 없었는데, 그들에게는 씨를 뿌리는 계절, 그것을 가꾸는 계절, 농작물을 수확하는 계절, 씨 뿌릴 날을 기다리는 계절만 알고 있으면 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도시민들과 상업에 종사하는 이들은 달랐다. 그들의 거래 물품의 가격, 환율 등은 하루하루가 다르게 바뀌었으므로, 시간을 맞추는 것이 돈벌이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신용"을 얻을 수 있었다.
또 서양의 중세에는 수도원의 시간, 농민들의 시간 그리고 상인들이나 도시의 시간 등으로 분절되어 있었다. 도시를 중심으로 활동을 하고 있던 중세의 상인들이 가진 시간의 개념은 교회의 신성한 시간이나 농민들의 자연적인 시간과는 별도로 발전하게 되었다.}}}
함한희 전북대학교 교수. ##.
||

(중세에는) 오늘날처럼 정확한 시간 개념을 갖고 있지 않았고, 날짜에 대해서만 알고 있었다. 정치와 법률 분야의 지식인을 제외하고는 시간 개념의 필요성에 대해 전혀 자각하지 못했다.}}}
이야기 독일사.
||
이외에 상세한 내용은 문화일보)중세의 시간과 근대의 시간, 『시간, 노동규율, 산업자본주의』 관련 포스팅을 참조해 보는 것도 좋다. 다만 작중에서는 시계가 따로 등장하지 않는데, 최초의 기계식 시계가 발명된 것은 13세기 후반이었고 교회나 도시의 공공장소에서 시계가 설치되기 시작한 것은 약 14세기 무렵이었기에[출처10][82] 작가가 따로 언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중세의 숲은 아직 개간되지 않았고 위험했다. 정체를 알 수 없는 요정이나 용 같은 괴물이 산다는 소문도 돌았다. 실제 사냥을 갔다가 들짐승의 공격을 받거나, 숲에서 길을 놓쳐 목숨을 잃는 기사도 꽤 있었다. 숲은 두려움의 대상이자 남성성을 발현하는 무대이기도 했다.'}}}
'기사도 정신'은 어디에서 시작됐나.
||
이런 숲에 대한 공포는 12세기 들어서 교역을 위해[83] 대규모 개간 사업과 도시 건설 붐이 일어나면서 숲을 밀어내고 그 자리에 마을을 건설하고 도로를 연결하면서 차츰 옅어졌다.

이렇게 농업이 발전하자 중세 유럽의 경제가 오랜 침체 끝에 10세기 부터 되살아나기 시작했다. 인구가 증가하고 광범위한 개간사업이 이루어지며 농업생산이 꾸준히 증가하여 잉여 산출이 가능해졌다. 이것이 중세 경제사의 터닝 포인트였다.}}}
『홍익희의 유대인경제사 3: 동방무역과 금융업 중세 경제사 上』.
||
또한 13권 복숭아 꿀절임에서 개간을 통해 새롭게 만들어진 도시 루와이 마을에 찾아가게 되는데 루와이 마을의 물레방아 건설작업 현장에 양치기, 농부, 광대, 직인, 수도자 등이 몰렸다고 언급된다. 이는 실제로 12세기~13세기에 이루어진 독일의 개간 사업에서 거주 중인 농부나 양치기 등을 동원한 것을 반영한 것이다.



파일:external/4.bp.blogspot.com/mill%2Bovershot.png
13세기에 그려진, 물레방아를 묘사한 삽화.
농부들이 수확한 식량은 식탁에 오르기 전에 수공업자가 다시 가공해야만 했다. 본래 이런 종류의 수공업은 여성들에게 음식 준비를 맡겼던 예전의 노동 분업에서 유래한 것이다. 제분업자는 물레방아로 연자질의 부담에서 여성들을 해방시켰다. 물레방아는 처음에는 사치품이었지만 기원전 3~4세기부터는 널리 보급되었다. 간단하기는 하지만 효율성이 떨어졌던 풍차는 12세기 직후에 보급되었다. 1080년경에 잉글랜드에는 이미 수천 개의 물레방아가 있었고, 지주들은 종종 방앗간 건설에 관심을 보였다. 농부들은 제분 시에 사용료를 지불해야 했다. 그래서 제분업자는 농촌에서 공적인 직무를 담당했다. }}}
페르디난트 자입트 저, 차용구 역, 『중세, 천년의 빛과 그림자』, 서울, 현실문화, 2013, p.241.
||


파일:external/s464659611.onlinehome.us/candle6.jpg
중세시대 양초 직인들이 양초를 만드는 장면을 묘사한 그림
양초는 영어 사용권과 북유럽 여러 곳에서 특히 부유한 사람들이 널리 사용했다.(중략) 귀족 집에서도 단순한 용도에는 기름 양초에 의존했다. 아일랜드 최고 갑부 토머스 코널리의 고향인 캐슬타운에 있는 대 적택에서는 1787년 한 해 2,127파운드의 기름 양초를 썼던 반면, 거실과 식당과 같은 공적인 장소에서 쓴 밀랍 양초는 250파운드에 불과했다. 부르주아 가정에서는 특별한 행사 때만 밀랍 양초를 사용했다. 노퍽의 목사였던 제임스 우드퍼드는 친구가 베푼 만찬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
『잃어버린 밤에 대하여: 우리가 외면한 또 하나의 문화사』
||
여담으로 종이 대신 밀랍에 나뭇가지를 긁어서 쓴다는 묘사가 18권에서 딱 한 차례 등장하는데 바로 두 주인공의 외동딸의 필기 노트로 쓰는 모습으로 등장한다. 이는 로렌스가 외동딸을 얼마나 아끼는지 보여주는 대목중 하나다.

그래서 성직자들은 미사를 집전하고 성경을 읽기 위해서 반드시 라틴어를 배워야 했다.[93] 중세에 성직자들이 지식인 계층을 대표한 이유는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이야기 프랑스사』
||
마녀재판·공창·페스트… 중세 유럽 뒷골목 비주류의 삶을 파헤치다
||




그렇다면 계약을 완수하기 위해 아마티가 쓸 수 있는 방법으로는, 빚을 지거나 도박 등으로 단기간에 거금을 확보하는 것으로 압축된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3)』, 서울, 학산문화사. p145
||
카드와 주사위는 고대부터 이어져온 역사와 전통이 있는 기초적인 도박이다. 또한 까탈은 떠는 교회가 없다는 대목은 중세시대 교회가 도박문제에 골머리를 앓았다는 것을 이야기 하고 있다. 중세 교회는 수도원들에게는 도박에 손을 대지 못하도록했으며, 민간인들의 도박 또한 규제하려 노력했다.
우리가 흔히 아는 도박장, 즉 카지노[97]의 시초가 바로 중세시대 도시국가 및 도시공동체에서 도박장소를 통제함과 동시에 자체 수입을 늘리기 위해 탄생한 것이다. 특히 축제나 시장과 같이 사람들이 몰리는 경우에 시에서 운영하는 도박장을 만들어 운영했다.
중세 유럽에 허가받은 도박장은 13-14세기부터 벌써 생겨나기 시작했으며, 독일어권에서는 14세기말 뷔르츠부르크나 프랑크푸르트에 특정시기에 도박장이 개설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런 도박장의 관리는 궁정 출신의 인물이나 도시의 문벌가 출신이 맡았습니다. 승인받지 않는 도박이나 도박장 설치, 즉 시장 등 백주대로에서 도박은 엄격히 금지되었고, 이를 어길 경우 벌금형이나 자유형, 태형 등을 부과했습니다.}}}
주사위 도박판에 빠져 있던 중세 유럽사회.
||
그리고 함께 언급된 토끼몰이의 경우에는 고대로부터 중세 귀족들이 즐겨했던 몰이 사냥[98]을 말하는 것이며, 이런 몰이사냥을 위해 탄생한 견종이 바로 포인터 래브라도 리트리버다.

보통 원거리용 선박에서는 노 젓는 일꾼들은 2할이 2년 내에 쓸모없어지고, 나머지 1할은 다음 2년 내에 쓸모를 다하며, 살아남는 1할이 강인한 체력의 소유자들은 해적과 싸우는 선박에 실려 돌아올 수 없는 몸이 된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

이때 노잡이들이 얼마나 가혹한 취급을 받았냐면, 한번 노잡이가 되잖아요? 대부분 1년을 못버티고 죽었다고 합니다. 항상 쇠로 된 족쇄를 차고 있었는데 이게 한 2,3개월만 지나면 쇠독이 오르고 허물이 벗겨지며 손 발을 잘랐다고 합니다.}}}
토크멘터리 전쟁사 57부 - 로도스 공방전 中 ##.
||
이 그림 모양의 간판들은 중세 시대에 글을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가게에서 파는 물건을 알리기 위해 제작되었던 것들이다. 가게 이름이 적혀 있지 않은 그림 위주의 간판만 보고도 그 가게가 무엇을 파는 가게인지를 알 수 있는 것이다.}}}
잘츠부르크 게트라이데 거리(Getreide Gasse) 기행.
||

7.1. 식생활

테이블 위의 식기는 언감생심 은식기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5)』, 서울, 학산문화사.
||
이는 당시 중세의 서유럽에서는 포크가 일반화 되지 않았음과 더불어, 최상위계급에서나 장식용으로 사용했던 것을 그대로 묘사하고 있는 것이다.

고대 이집트에서도 사용된 포크는 성경에도 등장하고 8세기 말 앵글로색슨족 계 사람들도 사용했다는 것이 고고학적 발견을 통해 확인된다. 그러나 중세로 넘어오며 포크는 식탁 위에서 사라지게 되는데 이는 교회의 인식 때문이었다. 성직자들은 하느님이 만든 인간의 손가락만이 하느님이 주신 음식을 만질 가치가 있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어떤 목사는 '음식들에 손가락을 대지 않는 것은 신의 섭리에 대한 모독'이라고 주장하기까지 했다. 또한 악마의 형상을 그릴 때 포크( 삼지창)를 함께 그렸던 것도 사람들의 거부반응을 주기엔 충분했을 거라는 주장도 있다. 11세기 베네치아 총독의 후계자인 도메니코 실비오(Domenico Silvio)가 동로마 제국의 공주인 테오도라와 결혼했을 때 테오도라가 포크를 가져 왔는데, 이를 보고 페트루스 다미아니(Petrus Damiani) 주교가 강력하게 비판하며 사회적 논란이 될 정도였으니 포크에 대한 거부감이 얼마나 컸는지를 대충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후 중세 서유럽 지역에 포크가 존재하긴 했지만, 자신의 부를 상징하는 장식용에 불과했다. [출처16]
1363년에서 1380년 까지 재위한 프랑스의 샤를 5세가 남긴 재산 목록에는 금과 은으로 만든 포크도 포함되어 있었지만 ,그것은 식사용이라기보다는 과시용에 가까웠다.}}}
조경숙, 이미혜, 「동서양 취식(取食)도구 문화에 대한 고찰 ― 포크와 나이프, 스푼식문화권(食文化圈)과 저식문화권(箸食文化圈)」, 『한국조리학회지』, 제9권, 제1호, 2003, pp.101-120, p.109-110.
||
이후 1608년에 영국인 토머스 코리어트가 유럽을 돌아다닌 여행기를 편찬했는데[100] 유럽 곳곳에서 포크를 사용하면 퍼시퍼(furcifer), 즉 포크잡이라는 조롱 섞인 별명을 얻게 되었다.[101] 중세 유럽 전역에서 포크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은 17세기 무렵으로 늑대와 향신료의 모티브가 된 시대와는 거리가 멀다.

파일:external/cookit.e2bn.org/000_0334bbb.original.jpg
중세시대 농민들이 먹던 빵의 모습. 보기만 해도 딱딱하다.
* 밀빵이 귀해서 호로가 밀빵을 먹고 싶어 하지만 결국 호밀빵만 먹게 되는 장면들이 나오는데, 밀빵은 상당한 고급 빵으로 부유한 소작농이나 도시 공민 등 상위 중산계급 이상만 매일 먹을 수 있었다. 특별한 날이 아니면 하층민은 대부분 보리빵이나 호밀빵을 먹었다.

작중에서 호밀빵은 밀가루와 섞어서 만든다는 대목이 언급되는데, 실제로 호밀에는 글루텐이 부족해 빵으로 만들기가 쉽지 않아 밀가루를 섞어 굽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호밀 문서 참조.

중세 시대에 사람들은 손가락으로 음식을 먹었다. 나이프와 스푼은 존재하였으나, 포크는 아직 등장하지 않았다. 접시는 도마(tranchoir)라고 불리는 둥글고 판판한 원형의 흑빵을 사용했다. 농민들은 식사 후에 빵 접시를 통째로 다 먹어치웠으나, 영주들은 가난한 사람들에게 이를 적선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영주와 농민의 식생활의 비교 (프랑스사, 2005. 8. 1., 미래엔).
||

오래된 빵 가운데 넙적한 것은 접시로 썼다.이런 빵은 고깃국물에 적셔 먹었으나 적시고도 먹지 않으면 가난한 사람이나 개에게 줬다.}}}
『비주얼 박물관』 49권, 중세의 성 (주식회사 웅진미디어)
||
"그밖에도 냄비 바닥에 구워서 납작한 빵 같은 것도 있었지."}}}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p.157
||


"적동색의 신부라는 건...증류기 말입니까?}}}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6)』, 서울, 학산문화사.
||
증류기 자체는 오래된 기술로 바빌로니아의 유적지에서도 발견되고도 하지만, 본격적으로 이를 이용한 술이 대중들에게 유통되기 시작한 것은 한참 후인 중세시대 부터다. 8세기 이슬람 연금술사들에 의해 개량된 증류기는 십자군 전쟁을 거치며 13세기 유럽에 퍼지기 시작했으며 15세기 부터 위스키, 브랜디, 보드카, 진(술) 등의 생산이 적극적으로 이루어 지며 민간에 유통되었다. 역사속의 술 이야기, 증류주의 탄생

그뿐 아니라 어디에서 알았는지 말젖으로 만든 술까지 목록에 들어 있었다. 뇨히라에는 북방 지역을 거쳐 동쪽 끝에 있는 초원과 황야의 나라에서도 사람과 물자가 들어오는 경우가 있다. 아마 그들에게서 들은 것이리라.}}}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7)』, 서울, 학산문화사.
||
1429년 런던에서 열린 헨리 6세의 대관식 만찬에는 공작새 고기가 역시 일품 요리로 나왔다. 다행히 여러 다른 요리도 함께 준비되었는데, 색이 화려한 공작새는 맛이 없기로 악명 높았기 때문이다. 이런 경향은 상류층에서는 지속되었지만, 빅토리아 시대에 이르자 영리한 만찬 준비자들은 식단에서 화려한 공작을 빼버렸다.}}}
『치킨로드 : 문명에 힘을 실어준 닭의 영웅 서사시』
||
고대 로마시대나 중세에 먹던 음식은 다량의 향신료를 넣어야 먹을만 했다는 이야기다. 후추를 비롯해 그와 비슷한 종류의 향신료는 소금을 보조하는 양념으로 여겼다.}}}
『원더랜드』
||

중세에는 냉장고가 없어서 잡아먹을 때까지 짐승을 부엌 근처에 묶어 두었다.그러지 않으면 고기를 소금에 절여 보관했으며, 겨울에는 양념을 듬뿍 쳐서 조금 상한 고기 맛을 감추었다.}}}
『비주얼 박물관』 49권, 중세의 성 (주식회사 웅진미디어)
||
"세상에는 말이지 수탉, 암탉 외에도 이 있거든."}}}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4)』, 서울, 학산문화사. p15
||

병아리들은 천성적으로 싸우기를 즐깁니다.그들을 잘 길들이려면 우리는 반드시 칼을 써야 합니다. 병아리들을 거세하려는것입니다. 거세란 즉 병아리의 고환을 제거해버립니다. 이렇게 수술한 후 수병아리들은 어떻게 변했을가요? 원래 높다랗던 계관이 거세한후 점차적으로 짧아지다가 위축되여 버립니다. 거세한 은 키가 더욱 커졌고 살도 더 쪘습니다. 수탉을 거세하면 체내의 남성호르몬이 크게 감소되여 성격이 매우 온순하게 변하며 다시는 싸움에서 이기려고 애쓰지 않습니다. 활동량이 적어졌기에 좋은점도 당연히 따라옵니다. 즉 살이 찌기 시작했습니다. 이 가슴팍의 고기도 특별히 풍만해지고 두꺼워졌습니다. 거세하지 않은 수탉은 많아야 3근 반인데 거세한 닭들은 5-6근 지어는 7근 짜리도 있습니다.
길림신문 - 수탉 거세하면 무게 배로





교회 눈에 띄었다가는 경을 칠 술이라 공공연하게 살 수 없는 증류주도 이 근방에는 버젓이 나와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3)』, 서울, 학산문화사.
||

7.2. 미용

중세 시대 왕족과 귀족들의 패션 감각은 매우 뛰어났습니다. 향수와 화장품, 패션 등 아름다움을 위한 다양한 분야가 발달했는데요, 그 중에서도 이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이 바로 헤어스타일입니다. 중세에는 모발의 길이, 스타일이 어떠한지에 따라 여성의 미가 판단되었습니다. 다양한 모양(새, 배 등)의 가발로 스타일을 꾸미기도 하고 독특한 무늬를 위해 땋거나 올리기도 했죠.}}}
봉주르! 이정아의 미술박물관 - 초상화로 보는 헤어스타일의 변천사
||

귀족 여자들과는 다르게 평민 여자들은 결혼 후에 머리 모양을 바꾸었다. 치렁치렁한 긴 머리를 틀어 올리고 모자를 쓰는 게 일반적이었다. 당시에는 이런 머리 모양을 한 여자는 결혼한 여자로 간주했다. 여자는 집안일을 하기 때문에 머리를 틀어 올리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에서 나온 풍속이었다.}}}
『중세의 뒷골목 사랑』 ## p.153
||
또한 결혼 후 에피소드를 다룬 18권부터는 호로가 머리를 땋은 채로 등장하는데, 이는 바이에른 지방에서 결혼을 한 후엔 머리를 땋아 말아 올렸다는 것을 차용한 설정이다.

'(전략)중세 말기인 14세기에 이르자 독일에서는 목욕문화가 더욱 점진적으로 전개되었다. 특히 당시 독일의 대중 목욕탕은 다른 유럽국가와는 달리 향연의 장소가 될 정도로 고대 로마 시대의 목욕문화를 답습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결혼식이나 특별한 연회가 있을 때면 일반 가정이 아닌, 대중목욕탕을 이용하였고 그곳에 초대된 모든 사람은 맨몸을 드러낸 채 환담을 하거나 술을 마시며 여흥을 즐기기도 하였다.'}}}
출처
||

포조는 독일 바덴(Baden)의 온천장을 둘러보고 깜짝 놀랐다. 그는 피렌체에 있는 친구에게 이렇게 썼다. "젊은 여자나 나이든 여자나 할 것 없이 남자들 앞에서 벌거벗은 채로 물에 들어갑니다. 사적인 내밀한 부분이나 엉덩이도 다 드러내놓은 채 말입니다." 남자와 여자가 쓰는 욕탕 사이에는 일종의 격자 같은 것이 있어서 공간이 분리되어 있기는 했지만, 그 분리라는 것은 그야말로 최소한의 수준이었다. 포조는 그곳을 이렇게 묘사한다. "곳곳에 야트막한 창문이 많아서 목욕하는 이들이 창문을 사이에 두고 함께 음료를 마시고 이야기를 나누며 서로의 모습을 볼 수 있지요. 그들은 양쪽 방향에서 서로를 만지기도 했는데, 마치 이 모두가 관습이라도 되는 것처럼 자연스럽더군요."}}}
「1417년, 근대의 탄생」 p.219~p.220
||


옷을 노란빛으로 물들이는 염색은 바다를 7개는 건넌 곳에 있다는, 지상의 낙원으로 이어지는 강에서 실려 온 ‘사프란’이라는 것으로 한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9)』, 서울, 학산문화사
||

( 사프란은) 아랍어의 Sahafaran으로서 노란색이란 뜻으로 황금 염료라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샤프란의 염료는 의류뿐 아니라 음식물의 착색제 및 향미료로 쓰며 과자, , 음료수 및 여러 가지 요리의 착색향미료로 쓰여서 유럽 음식문화에 없어서는 안 될 식물이다.}}}
##
||

7.3. 문학

980년 이후로 줄곧 이어져온 근대 희곡은 앞서 언급했듯이 부수적인 이야기가 쌓여서 만들어진 간단한 라틴어 트로프(trope)[110]에서 출발해, 인물 묘사와 감정 자체만을 위한 감정을 발전시켜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같은 자국어로 ( 번안)된 동종의 작품이 되기에 이르렀습니다. 그 이후로 차츰, 15세기 말의 기적극과 도덕극으로 발전했습니다. (중략) 도덕극이란 서양 중세 말기부터 근세 초에 걸쳐 성행한 연극의 한 종류. 교훈극이라고도 한다. 민중에게 계몽이나 도덕적 교훈을 주며, 인간 영혼 구제를 역설한 것이 대부분이나 성사·교리의 전달이 주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좁은 의미로는 종교극이라고는 할 수 없다. 특정 인물이 아닌 보편적 인간을 대표하는 주인공의 사실적인 표현과 진·선·미·신앙·악·허영·방탕 등의 추상적인 개념을 의인화 한 것이 특징이다. 영국· 프랑스· 독일· 네덜란드 등지에서 설교에 다소 희극적인 각색을 함으로써 성행하였으며, 작자는 대부분 성직자였다.}}}
윌리엄 앨런 닐슨 지음, 김영범 옮김. 『열린 인문학 강의 : 전 세계 교양인이 100년간 읽어온 하버드 고전 수업』, 유유, 2012
||

훗날 중세 종교극은 사도들의 생애와 순교에 관한 이야기를 다룬 '기적극'과 인간의 창조와 타락, 예수 탄생과 부활, 고난 등을 주제로 한 '신비극', 기독교 속성을 논의하는 '도덕극'으로 다양하게 변해갔다. 이들 중 '도덕극'은 '기적극'과 '신비극'보다 훨씬 늦은 1400년 경에 나온 것으로, 추상적인 개념들이 의인화해 인물로 등장한다. 이렇게 추상적인 성격에 등장인물에게 생명을 보여해 무대에 올린 이유는 극 상연의 궁극적인 목표를 즐기는 가운데 성서 내용과 교리를 깨닫도록 하는 데 두었기 때문이다. 이중 도덕극에서 가장 많이 다룬 소재는 죽음이다. 1495년경에 나온 작자 미상의 〈만인(Everyman)〉이 대표작으로, 죽음이라는 가장 엄숙한 진실 앞에서 인간의 향배를 관찰해 보게한다. 죽음의 부름을 받게 된 인간이 갖고 있는 자비나 지식, 힘이나 감각, 또는 우정이나 혈연, 재산에게 무덤까지만 동행해 줄 것을 청하지만 모두 거절한다. 단지 '선함'만이 응낙해 심판 때 인간을 변호해준다.}}}
안영옥 지음, 『스페인 중세극』, 지만지드라마. 2009.
||

"아, 아닙니다. 죄송합니다. 바로 얼마 전 남쪽에서 보내온 희곡을 읽었는데, 거기에 나오는 이야기가 떠올랐습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308
||

7.4. 물품

벽에 창이 있기는 해도, 큰 상회들처럼 유리가 붙어 있는 게 아니라 창틀에 기름 먹인 마포를 달아 놓은 것 뿐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p.157
||

하층 계급에서는 창문을 기름 수건이나 헝겊이나 종이로 막았지만, 중세 후기에 이르러 귀족들의 집은 채색한 유리창을 자랑하기 시작했다.}}}
『잃어버린 밤에 대하여: 우리가 외면한 또하나의 문화사』
||
젊은 시절 이 몸의 목숨을 지켜 준 철갑옷엔 얼마만 한 가격이 매겨지려나?"}}}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7)』, 서울, 학산문화사.
||

뿐만 아니라 갑옷, 방패, , 등을 비롯한 각종 무기들도 모두 자기 돈으로 구입해야 했어요. 철제로된 갑옷은 모두 수제품으로, 여기에 호버크라고 불리는 보호장비 등을 갖추려면 요즘돈으로 수천만원 이상이 들었어요. 칼, 창 같은 공격용 무기들은 이와 별개로 추가 구입해야 했죠. 물론 많은 경우엔, 기사 개인 뿐 아니라 가문에서 그 비용을 도와주긴 했지만 말이죠.}}}
이범진 기자의 잉글랜드 문화사 - 기사가 되는데 필요한 사교육비는 얼마?
||

파일:external/www.livescience.com/medieval-books.jpg
중세 시대 서적들
양피지 책 1권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약 300두가 필요했다. (중략) 책의 가치는 대단한 것이어서, 1047년 어떤 수도자는 책 1권을 잘 가꾼 포도밭과 바꾸었고, 15세기 독일에서는 설교집 1권이 양 200마리와 수십 가마의 호밀과 바뀌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구텐베르크의 귀환 : 출판문화의 re-르네상스를 위한 성찰』
|| 상인이라면 철학적인 책에는 투자해선 안 된다. 책들은 오직 현자와 학자만이 구매하는데, 이들은 대부분 가난하고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이다.}}}
『컨스티블』, p.197
|| 중세시대의 제본생산은 무척 비싼과정이었다. 15세기 중엽 활자의 발명까지 중세 제본 생산은 필경으로 생산되었다. 반면 종이는 15세기에는 크게 일반화 되었는데 필사본은 그때까지 정성껏 준비된 동물가죽으로 알려진 양피지나 송아지 가죽이었다.}}}
『영문학으로 본 중세시대』
||
" 화폐라는 건 말이지, 거의 신용으로 성립되는 거야. 화폐 속에 들어 있는 을 같은 무게의 은과 금의 가치와 비교했을 때, 은화 금화 쪽의 가치가 확실히 높지. 물론 가치는 아주 신중하게 정해지지만, 사실은 원래는 그 정도 값어치가 아닌 것에 가치를 매기는 거니까 그야말로 신용의 덩어리라고 할 수 있는 거야. 뿐만 아니라, 실제로 화페의 순도 변화는 웬만큼 크게 변하지 않는 한 정확히 알 수는 없어. 환전상들도 분명하게는 몰라. 녹이지 않는 한은 알 도리가 없는 거야. 그런데 말이지. 화폐라는 게 그런 신용을 바탕으로 성립되는 거니까, 어떤 화폐가 인기를 모으게 되면 액면가 이상의 가치를 갖게 되는 일이 많이 생겨. 그 반대인 경우도 있고. 그리고 인기를 좌우하게 되는 계기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가장 많은 것이 은과 금의 순도 변화야. 그러니까 사람들은 화폐의 변화에 지극히 민감해지지. 그야말로 저울과 안경으로는 발견할 수 없을 만큼 아주 미세한 변화도 큰 변화로 여길 만큼."}}}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144-145.
||
{{{#!wiki style="margin: 24px 0 0 16px; float: right; width: 35%; max-width: 600px; font-size: .9em"
파일:external/historyofinformation.com/first_depiction_of_spectacles-tommaso_da_modena_1352.jpg
『위고 추기경의 초상』. 토마소 다 모데나 作. 1352년. }}}
이때 언급되는 안경 중세 중기에 처음 등장하는 물건으로 작중 모티브가 된 시대와 일치한다. 13세기경에 처음으로 제작된 이 안경은 14세기와 15세기를 거치며 유럽에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다만 현재까지 기록상으로 안경이 발명 되었다는 사실이 입증된 최초의 기록은 정확히 알수가 없다. 로저 베이컨이 1268년에 "누구든지 수정이나 유리를 통해 글자나 작은 물체를 관찰하면, 그리고 그 수정이나 유리가 둥근 것을 자른 단면이고 그 볼록면이 눈 쪽으로 향하고 있을 경우, 글자는 훨씬 더 잘보이고 더 크게 보일 것이다."라는 기록을 남겨 안경의 개발자로 여겨지기도 하나, 렌즈뿐 아니라 테두리까지 포함된 안경의 존재는 1305년 2월 23일 피렌체의 산타 마리아 노벨라 성당에서 피사의 조르다노가 미사 도중 신자들에게 언급한 것이 <피렌체의 사순절(Quaresimale Fiorentiono)>이라는 책에 기록되어 있어 의견이 분분하다. 안경이 그려진 가장 오래된 그림인 <위고 추기경의 초상>은 이로부터 50여년이 지난 1352년에 제작되었다.

실제로 안경을 착용하고 돌아 다닌 것이 확인이 된 것은 베니스의 뮤라노(Murano) 섬에서 연질 유리를 볼록 렌즈로 깎아 안경테두리에 결합해 끼고 다닌 것이었다. 출처 그러나 이 시기 물건은 품질이 좋지 않았던 데다 값비싼 물건이었기에 아무나 사용하지 못했다. 이런 안경의 주요 소비층은 성직자와 상인으로 공부 및 필사를 위해 독서용 안경을 낀 성직자들의 모습을 담은 그림이나, 장부 기록을 위해 안경을 착용했다는 상인들의 기록을 통해서 확인이 가능하다. 소수의 인원들이 착용했던 안경은 15세기 부터 렌즈의 대량 생산이 가능해 지며 사용이 확산되었고, 15세기 후반에는 근시를 위한 안경이 발명 되면서 현재에 이르게 되었다.
"그래서 뭐, 처럼 신인지 뭔지에게 기도하려고? 눈이 좋아지도록?"}}}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9)』, 서울, 학산문화사, p.260~261.
||

중세 시대 최초의 안경렌즈는 11세기경에 투명한 석영 또는 녹주석으로 만들어졌습니다. 이 안경은 유럽 수도자들 사이에서 원고 읽는 것을 돕기 위해 처음 사용 되었습니다. 석영으로 만들어진 안경은 아라비아 천문과 수학자 Alhazen 이론에 근간을 두고 있지만 현재와 같이 눈에 직접 렌즈를 씌우는 생각을 하기까지는 두 세기가 더 걸렸습니다.}}}
니콘 공식 홈페이지. 흥미 있는 안경렌즈의 역사 2편 - 중세시대
||

안경이 발명된 이후에 놀라운 기술적 발전이 가능했던 것은 유리 생산과 생산 공정의 기술적 완벽함이 직접적인 관련을 가졌기 때문이다. 13세기 말부터 안경이 확산되면서 특히 책을 읽는 독자층이 큰 헤택을 받았다. 반면 근시 수정을 위한 렌즈는 15세기 중반이 지나면서 생산되기 시작했다.}}}
『중세 3 : 1200~1400: 성, 상인, 시인의 시대』
||

아마도 중세 시대 류트의 주요 사용처는 반주였을 것이나, 1500년대 이전에 류트로 연주한 음악은 (현재까지) 온전히 남아서 전해진 것이 없다. 중세 및 초기 르네상스의 반주는 대부분 즉흥곡이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그러한 이유로 기록이 남아있지 않는 것이다.}}}
영문 위키피디아 류트 항목
||
값비싼 양피지를 나이프로 재단하여 내용을 기입한 후 모래를 뿌려 잉크를 말린다. 그 사이에 말총으로 만든 끈과 붉게 염색한 밀랍을 준빟나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8)』, 서울, 학산문화사.
||

부싯돌을 연신 맞부딪쳐 튄 불꽃으로 맨 처음 불을 지피는 것은 풀을 두드려 으깨 물에 빨았다가 다시 말린 뒤 헤쳐 놓은 것.[116] 그런 후 지푸라기, 장작 순으로 불을 옮겨 붙인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7)』, 서울, 학산문화사.
||
"고맙습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311.
||

8. 중세 도시

8.1. 자유도시 대학도시

상공업에 종사하는 사람들은 그들 활동의 성질상 봉건적 지배로부터의 해방, 즉 자유과 자치권을 원하였다. 이러한 자유와 자치권의 획득은 평화롭게, 즉 돈으로 사는 경우도 있었으나, 많은 경우 힘으로 쟁취하지 않으면 안 되었고, 그러기 위하여 도시민들은 서로 서약(conjuratio)으로 단결하고 코뮌(commune)을 형성하였다. ⋯⋯ 대부분의 도시가 12세기 중엽까지는 자유와 자치권을 획득하게 되었으며, 그것은 특허장(Charter : Privilegien)[A]으로 문서화되었다. 그 내용에 있어 가장 중요했던 것은 신분의 자유와 경제활동에 필요한 여러 자유였다. 신분의 자유는 "도시의 공기는 자유를 만든다."[120](Stadtluft macht frei.)는 말과 같이 도시가 갖는 지역적인 특권으로서, 도시 내에 1년과 1일을 거주하면 그 이전의 신분과는 관계없이 누구든지 자유로운 신분이 될 수 있었다. 그리하여 농촌의 농노제의 흔적은 도시의 성벽 내에서는 사라졌으며 시민과 자유민은 동의어가 되었다.}}}
민석홍 저, 『서양사개론』, 제2판, 제37쇄, 서울, 삼영사, 2016, p.212-213.
||
또 작중에서 한 몇몇 도시들은 종교에 대해 관용적인 제스처를 취하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실제 1,000년경에 베니스 등 일부 도시들은 그리스도교와 적대 세력이라고 할 수 있는 이슬람 세력과도 교역을 진행하는 등의 종교와 무관한 움직임을 보였다.[출처3] 또한 12세기 베네치아의 경우 종교와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 대해 관용을 베풀고 피난처를 제공했다. 이는 베네치아의 급격한 성장에 도움이 되었고 14세기에 이르러서는 16,000명이 넘는 직인들이 활동했다.[출처2]

{{{#!wiki style="margin: 24px 0 0 16px; float: right; width: 35%; max-width: 600px; font-size: .9em"
파일:external/img.hani.co.kr/00503691_20161110.jpg
『위고 볼로냐 대학교의 수업 장면. 1350년대에 그려진 것으로 추정된다. }}} 볼로냐 대학의 특징은 학생이 대학 운영 전반에 대한 주도권을 가지고 있던 것으로, 각 동향단은 학생장(rector)을 선출하여 조합을 대표하게 했다. 각 학생 조합은 자체 학생장의 재판권에 복종했으며 초기에는 스스로 교수를 채용하여 교수들에게 수업시간 준수나 강의의 체계성 등 상세한 규칙 조항을 준수하도록 규정했으며 그러한 조항에 입각하여 교수들의 봉급을 지불했다. 교수들은 전적으로 학생들의 수업료에 의지하여 생활하고 있었기 때문에 학생들에 의한 집단 수업거부는 교수들에게 매우 효과적인 위협의 도구가 될 수 있었다. 심지어 교수들은 학생장에게 복종을 맹세하고, 볼로냐를 떠나려면 허락을 얻어야 했으며, 강의를 늦게 시작하거나 너무 오래 끌면 벌금을 내야 할 정도였다.}}}
박승찬, 「중세 대학의 설립과 발전 -학문의 자유를 지키기 위한 보루-」, 『가톨릭철학』, 제26권, 2016, pp.5-56, p.13.
||
그리고 나이 어린 토트 콜이 어떻게 대학도시에서 공부할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이 들 수 있는데, 중세시대 대학들의 커트라인은 12세 이상이라면 계급에 상관없이 돈은 상관 있지만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 곳이었다.
중세 대학의 학생들은 대개 14~15세 때 대학에 입학하였고, 그 중 많은 사람들은 그 전에 감독학교나 수도원에서 7, 8세 때부터 3학 4과, 즉 문법, 수학, 음학, 수사학, 논리학, 윤리학, 천문학 등을 공부하였다. 그리고 대학원에는 법학(교회법과 민법), 의학, 신학의 세 분야가 있었고, 이 대학원 졸업생들은 중세 사회에서 최고의 직업을 가지고 최고의 대우와 존경을 받는 사람들이 되었다.}}}
이장식의 교회 역사 이야기
||

8.2. 도시의 구조

중세도시의 특색은 고대도시와는 달리 상공업, 특히 시장과 무역을 기반으로 발달하였기 때문에 첫째, 입지상으로 보면 해항(海港)·하구(河口) 등 교통의 요지를 차지하고, 또 방위에도 편리한 지형을 근거로 발달하였다.[125]}}}
『네이버 지식백과』-서양의 중세도시 (두산백과)
||
파일:external/www.renaissancevenice.org/index_map_1.jpg
1497년 중세시기의 베네치아
* 12권에 등장하는 케르베는 북부, 남부, 삼각주로 구성되어 있고 거주지역, 상업지역 등으로 나뉘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12세기 베니치아가 모티브가 되었다. 베네치아는 급격한 성장을 거치면서 지역에 따라 구역을 나누었는데 선박 건조와 군수품 제조, 유리 제조 등이 이루어지는 산업 공동체 구역, 숙소들이 위치한 특별거주구역 등으로 나누었다.[출처2] 또한 케르베에서는 귀족과 상회 간의 권력투쟁이 벌어지는데 실제로 도시국가들은 도시 지배권을 두고 길드, 상인, 귀족, 성직자들 사이의 알력 다툼이 빈번하게 일어났다.[출처3]

그런 대화를 나누다 보니, 둘은 어느덧 좁다란 강에 맞닥뜨렸다. 파치오 옆을 흐르는 슬라우드 강이 아니라, 인공적으로 흙을 판 뒤 강에서 물을 끌어들여 만든 용수로다. 이 용수로를 이용해 슬라우드 강을 따라 이 도시로 운반되어 온 수 많은 화물들이 일일이 땅에 내리지 않고 효과적으로 시장으로 운반할 수가 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
옛날 지하수로가 있던 곳으로, 시장까지 용수로가 들어온 뒤로는 쓰이지 않고 있는 곳이다. 로렌스가 알고 있는 것은 거기까지였으나, 밀로네 상회는 이곳을 완벽하게 파악하여 마음대로 확장한 뒤 몇몇 건물을 지하에서 연결시켜 놓은 모양이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241.
||
또 도시민은 여러 계급으로 구분되어 차별 대우를 받았다. 계급에 따라 사는 지역도 달랐다. 도시민이기는 하나 시민권이 없는 경우에는 성안에 살지 못하는 사람도 많았다. 또 계급에 따라 입는 옷, 심지어 착용하는 장신구까지 세세히 규정되어 있었다. 근대초인 1621년에 독일의 프랑크푸르트 시는 도시민을 다섯 계급으로 나누는 법을 만들어 일상생활을 엄격하게 규제했다.}}}
유럽 중세도시는 자유로웠나? ②
||
돌로 지은 성 문루의 둥근 천장에는 구멍이 여럿 있다. 위에서 이 구멍으로 물을 부어 불을 끄거나 공격군의 머리 위로 돌이나 끓는 물을 쏟아부었을 것이다.}}}
『비주얼 박물관』 43권, 중세의 기사
||

영국 보디엄 성에는 입구통로 천장에 이른바 살인구멍이 있다. 불이 나면 이 구멍으로 찬물을 쏟아부을 수 있었다. 그러나 적이 침입하면 끓는 물이나 달군모래, 그밖에 살상물질을 퍼부었을 것이다.}}}
『비주얼 박물관』 49권, 중세의 성
||

8.3. 도시의 운영


로렌스는 눈을 힘껏 감았다가 이내 확 뜨고 뛰기 시작했다. 이 기회를 살리지 못하면 다시는 호로와 만나지 못할 것만 같았다. 어두운 골목을 내달리고, 수도 없이 걸려 넘어질 뻔하면서 달려 나갔다. 큰길을 일단 가로지르고, 다른 블록의 골목으로 뛰어든 뒤 다시 서쪽으로 향했다. 아직도 떠들썩한 소리가 들린다. 저쪽도 그리 오래 소동을 피울 수는 없을 것이다. 도시의 자경단(自警團:지역 주민들이 스스로를 지키기 위하여 조직한 민간단체)에게 걸렸다간 골치 아파질 터이기 때문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207.
||
실제로 자경단을 비롯한 야간 순찰대는 중세시대에 존재했었다. 1667년경 유럽 길거리에 처음 야간전등이 설치되기 전까지 중세의 길거리는 밤만 되면 암흑의 천지가 되었는데, 특히 독일의 경우 겨울철에는 4시만 되어도 어둑어둑해지는데 이 때문에 베를린은 중세에 "어두운 도시"라는 이명을 가지기도 했다. 거기다 오블라텐(Oblaten)[134]장수나 불을 켜주는 상인 등 야간에 활동하는 상인들도 필요한 존재지만 사고의 위험이 있기 이 때문에 야간의 치안이 상당히 중요해졌고[135] 이로 인해 도시에는 야간 순찰대를 운영했다. 이들은 연장을 손에 들고 한 손에 종을 들고 다니며 자정이 되면 "12시가 되었습니다!"라고 외치며 불순자들을 감시하는 등 도시의 치안을 담당했다. [출처9]

파일:external/cdn1.vtourist.com/7734651-Might_get_crowded_Florence.jpg
* 3권에 등장하는 이교도의 도시 크멜슨에서는 대규모 축제가 펼쳐지는 것으로 묘사되는데, 이는 14세기 피렌체의 축제였던 " 노동절(May Day)"을 모티브로 삼았다. 피렌체에서 열렸던 노동절 축제는 도시의 모든 사람이 나와 축제를 즐겼으며, 짚단으로 만든 거대한 동물 인형을 동원했고, 젊은 남녀가 나와 함께 춤을 추었다. [출처3] 작품 속에서 검은 옷과 기이한 가면을 쓰고 등장한다는 것도 해당 축제에 등장하는 모습 중 하나.
피렌체는 다양한 상업 길드의 덕택으로 1년에 노동하는 날이 275일 정도여서, 90일 정도는 여유를 즐기며 놀 수 있었다. 축제 가운데 노동절 메이데이가 가장 인기가 있는 날이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메디치의 영광』 p258}}}
또한 샹파뉴 정기시(-定期市)도 어느 정도 모티브가 된듯하다. 샹파뉴[138]에서는 북유럽 남유럽의 상인들이 만나 여는 대규모 시장이 개설되었는데 한번 열게 되면 6개월간 북유럽, 남유럽 등의 상인들이 모여 종교와 관계없이 장사를 진행하게 되었고 이 덕에 막대한 자금이 도시로 흘러들어와 도시가 자치권을 행사하기에 이른다.


그런 생각을 하고 있는 사이, 어딘지 먼 곳에서 종치는 소리가 들렸다. 시장 개방을 알리는 종소리다. 이것을 신호로 진입할 것이라 했으니, 지금쯤 위는 아수라장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시장 개방을 알리는 종소리에서 작업 개시를 알리는 종소리 사이에 구출해내지 못하면 상황이 어려워진다. 위쪽 잡화상에 거래를 하러 사람들이 오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 서울, 학산문화사, 2007, p.242.
||

저렴한 가격에 대량의 병구류를 입수한 로렌스와 호로는 정오의 종소리가 울리기를 채 기다리지 않고 포로손 마을을 나섰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

중세 도시에서 사람들은 닭이 홰치는 소리, 처마 밑에 둥지를 튼 새들이 지저귀는 소리, 외곽 지대 수도원의 종소리, 하루의 시작을 알리거나 시장의 개장을 알리기 위해서 시장 광장에 새로 설치된 종각에서 울리는 차임벨 소리에 눈을 떳다.
『역사 속의 도시 2』

9. 중세 가톨릭

"하지만 그래도 저는 저의 신을 믿습니다. 모든 신들의 꼭대기에 계시며, 이 세상의 모든 것을 창조하신 신으로서."}}}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작중 교회는 사실상 가톨릭 넓게 보면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모습을 하고 있기 때문에 창조신은 야훼, 혹은 하느님을 의미한다.

그때에는 대가족이 흔했다. 장남은 아버지의 뒤를 이어 기사가 되고, 딸들은 귀족 남자와 혼인하기 바랬을 것이다. 차남과 차녀들은 흔히 성직을 택했다.}}}
『비주얼 박물관』 43권, 중세의 기사
||
"에네크를 주운 뒤로 양치기가 되었어요."}}}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넌 수도원과 교회의 차이가 뭔지 알아?"}}}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

(3) 자선에 대한 개념 변화}}}
『사회복지의 발달과 사상』, 김성미 저,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2002년, p.117
||

중세의 자선은 가난한 자에 대한 책임이 개인적 선택이 아니라 상호의존의 체계 내에서 의무적인 것이었다는 걸 보여준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가 강했던 것은 자선이 중세를 지배하던 기독교의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였기 때문이다. 이것은 중세 내내 기독교에 의해 조직적으로 자선활동이 이루어져 왔다는 사실을 봐도 알 수 있다. 한편 자선행위는 중세의 부자들에게도 이익이 되었다. 부자들은 자선을 통해 덕을 실천하고 죄를 씻었다. 상업이 발달하여 사람들 사이에서 거래관념이 강하게 자리 잡게 된 것도 자선활동을 부자와 빈자의 거래 혹은 일종의 교환행위로 여기게 한 요인이 되었다. 즉 부조를 통해 부자는 저승에서의 구원을 약속 받았고 이승에서의 삶을 즐길 수 있었던 것이다.}}}
프레시안. 가난은 언제부터 죄가 되었나.
||
또한 5권에서 로렌스가 교회를 찾으러 갔다가 교회 근처에서 서성이는 걸인으로부터 "이 교회에서 , 을 우리에게 나눠준다."라는 말을 듣는데, 실제 중세시대 교회는 걸인들에게 빵 등을 나눠주는 역할을 담당했다.[출처9] 오늘날에도 교회에서 노숙자나 독거노인 등 어려운 사람들에게 무료급식을 제공한다.


황야에서는 검을 빼든 기사가 가장 강하지만, 마을 안에서는 현금을 가진 자가 제일이다. 교회가 경제적으로 풍족해진 원인도 여기에 있다. 매주 기부금이라는 형식으로 현금이 수중에 들어오니 강해지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3)』, 서울, 학산문화사. 208년
||

한편 중세의 교회는 중세 유럽인들의 생활과 의식을 지배하였다. 중세 교회의 주된 수입은 군주나 귀족에 의한 기부금과 개인 수입의 10%를 거두어들이는 세가 있었다. 또한 높은 지위의 성직자들은 일반 귀족들과 같이 장원을 거느리고 있었으며, 귀족처럼 농민에게 부과금을 받기도 했다.}}}
『1월의 모든 역사: 세계사 : 1월에 세계에서는 무슨 일이 있었을까』, 이종하 저, 디오네, 2021년
||

사람들은 거의 신앙심이 깊었고, 교회는 십일조를 세금으로 거둬들이며 번창했다.}}}
『비주얼 박물관』 43권, 중세의 기사
||
오늘날 한국 가톨릭에서는 교무금이라고 부른다. 반드시 수입의 10%를 내는 건 아니고, 형편에 따라 정할 수 있다. 또한 수입이 없는 경우에는 내지 않아도 된다.

10세기 중반에 이르러 많은 교구 교회가 방치되거나 파괴되었다. 살아남은 교회는 몇몇 지방 유력 가문의 개인 소유물처럼 간주되었고, 그들은 교회 보호 임무를 빙자해 교회를 억압하곤 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교구 교회는 마치 영주 소유의 방앗간, 빵공장, 대장간ㅡ농민은 사용료를 지불해야 하고 영주는 그로부터 수익을 얻는다ㅡ 처럼 장원의 종속물이 되기 일쑤였다.}}}
『새로운 서양 문명의 역사』(상) - 문명의 기원에서 종교개혁까지, 로버트 스테이시 & 주디스 코핀 저, 박상익 옮김, 출판사 소나무, 2014년
||

"카테리나 루치는 충분히 추앙받으며 성인의 반열에 오를 것으로 거론되었던 성녀입니다. 레노스에서는 신분을 감추기는 했어도, 후원하는 귀족들도 많았어요. 그녀를 성인으로 인정하는 절차인 시성(諡聖)을 위해 교황님께 보내는 진정서는 지금도 추기경들의 책상속에 들어 있을 겁니다. 어떠세요?"}}}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2)』, 서울, 학산문화사. 2010년, p.205
||
복음적 권고 (출처 : 천주교 용어사전) 한자 [福音的勸告]}}}
천주교 용어사전
||
"내 추측이지만, 이 마을에 들어올 때 샘이 있는 쪽에 통나무랑 돌이 쌓여 있는 거 봤지? 그건 여기에 수도원을 지으려는 걸 거야."}}}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1)』, 서울, 학산문화사.
||

1100년경 처음 창립된 시토 수도회는, 베네딕토회 회칙을 가능한 한 가장 순수하고 엄격하게 준수하고자 했다. 세속적인 유혹을 피하기 위해, 그들은 되도록 문명과 동떨어진 숲과 황무지에 새로운 수도원을 건립했다. 그들은 모든 불필요한 교회 장식과 화려한 집기들을 회피했고, 정교한 기도문을 강조한 클뤼니 수도원의 방식을 포기하고 명상과 개인적인 기도생활을 존중했으며, 고된 육체노동에 종사했다.

{{{#!wiki style="text-align:right"
『새로운 서양 문명의 역사』(상) - 문명의 기원에서 종교개혁까지 -}}}
'『비주얼 박물관』 43권, 중세의 기사}}}
종군사제는 전쟁터에서 말로 싸우는 자다. 공포로 다리가 풀린 이를 북돋워 일으키고, 임박한 죽음에 겁먹은 이에게는 마음의 평안을 주는 것이 임무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2)』, 서울, 학산문화사, p.243.
||

이와 더불어 각 부대에는 (일반적으로 백인대) 의사, 종군사제, 기수, 포고꾼, 통역원[146] 등이 포함됐다.

{{{#!wiki style="text-align:right"
중세 유럽의 군 편제와 병과}}}

봄병이라는 게 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2)』, 서울, 학산문화사, 2008, p53~54.
||

악습들은 그와 반대되는 덕에 따라 분류할 수 있고, 또 죄종(罪宗)과 연관시킬 수 있다. 죄종(peccata capitalia)은 요한 카시아누스 성인과 대 그레고리오 성인의 뒤를 이어 그리스도인들의 경험으로 식별되었다. 이 악습들을 죄종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그것들이 다른 죄들과 악습들을 낳기 때문이다. 죄종은 교만, 인색, 질투, 분노, 음욕, 탐욕, 나태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1866항
||
반 주교는 냉정하게 대응하며 이따금 자신의 곁에 선 연로한 보좌사제에게 의견을 묻는 정도였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신께서는 올바른 길을 보여주셨습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4)』, 서울, 학산문화사.
||
여기서 말하는 성배는 예수가 사용한 성배가 아니라 평범한 포도주 잔, 미사에 사용되는 제구인 성작(聖爵, Chalice)을 말한다. 한국 천주교에서 전례에 이용되는 제구의 정식 명칭으로 성작이라고 하는데, 가톨릭 외부에서는 이를 무시하고 예수가 사용한 포도주 잔과 제구에 사용되는 포도주 잔을 뭉뚱그려 성배라고 부르기 때문에 이런 문장이 나왔다.

또한 엘사가 언급한 축성 주교 신부가 하느님께 바칠 목적으로 특정 물건을 봉헌하는 것을 말한다. 작중에서는 이를 통해 악마의 소행이 아니며 하느님이 보여주신 기적임을 엔베르크 주교구의 반 주교가 입증해 테레오 마을을 이단으로 몰고가는 것을 막음과 동시에 테레오 마을의 교회를 정통 교회로 인정 받게 하기 위한 엘사의 방책으로 언급된다.




호로는 자신은 이 아니라고 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5)』, 서울, 학산문화사.
||
이는 가톨릭에서 말하는 천국의 개념을 그대로 차용한 장면이다.
지극히 거룩하신 삼위일체 하느님과 함께하는 이 완전한 삶, 곧 성삼위와 동정 마리아와 천사들과 모든 복되신 분들과 함께 하는 생명과 사랑의 이 친교를 ‘천국’이라고 부른다. 천국은 인간의 궁극적 목적이며, 가장 간절한 열망의 실현이고, 가장 행복한 결정적 상태이다.}}}
가톨릭 교회 교리서』 제3장 ##
||

성서에서의 천국은 물질적인 천체, 하느님의 거처, 천국에 사는 자의 상태를 나타낸다. 교리적으로는 완전한 초자연적 행복이 있는 곳, 혹은 그 상태를 말한다. 천국의 행복은 지복직관과 하느님의 사랑으로 되어 있다. 세상의 종말과 육신의 부활이 있을 때까지는 그리스도와 성모님 이외에는 영혼만 들어갈 수 있다. 천국은 영원하기에 결국 천국이란 최후의 심판 뒤에는 부활한 영혼과 육신이 들어가는 영원한 행복의 상태라고 할 수 있다.}}}
가톨릭 용어사전』
||

10. 전설과 미신


"일각고래라면, 그 불로장생의?"}}}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8)』, 서울, 학산문화사.
||
실제 일각고래의 뿔은 중세시대 무척이나 귀하게 여겨졌다. 현재까지도 제대로 된 연구결과가 없을 정도로 희귀한 동물인 일각고래는 북극해 일대에 살고 있는 고래로 뿔처럼 생긴 엄니는 유니콘의 뿔과 닮아, 마력을 지닌 물건으로 여겨져 중세시대에 아주 값비싸게 거래 되었다.
북극 동물 중 외형적으로 가장 독특한 동물은 바다의 유니콘으로 알려진 일각고래다. 일각고래는 북극해 캐나다 북부, 그리고 그린란드 주변 해역에서만 서식하는 고래로 흰고래인 벨루가와 가장 가까운 친척이다. 나이가 들면 피부가 점점 하얗게 변해간다. 일각고래의 가장 큰 특징은 뿔처럼 보이는 뾰족한 엄니로 최대 3m 정도까지 자란다. 이 엄니는 중세 유럽에서 마력을 가진 것으로 인식돼 부의 상징이었으며, 같은 무게의 금값보다 20배나 높은 30억원에 거래됐다고 한다. 일각고래의 엄니는 독을 정화하는 능력이 있다고 믿었기 때문에 독살을 두려워하던 귀족들은 비싼 돈을 주고 사 잔으로 만들어 썼다.}}}
‘바다의 유니콘’ 일각고래 엄니, 금값 20배 거래도
||

중세시대 귀족들은 북극 고래의 긴 상아뿔을 탐냈다. 현대의 사냥꾼들도 마찬가지기 때문에 고래 개체수에 타격을 주고 있다.}}}
내셔널지오그래픽 ##
||
로렌스가 그런 생각을 하고 있으려니, 에이브는 아득한 시선으로 자신의 입가를 가리키며 말문을 열었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8)』, 서울, 학산문화사.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Ulysses_and_the_Sirens_by_H.J._Draper.jpg
율리시스 세이렌. 허버트 제임스 드레이퍼 作(1909년)[147]

여기서 "인어의 노랫소리에 넘어가지 않으려고 애쓰는 선원"이야기는 세이렌의 전설을 인용한 것으로 고대 그리스의 전설인 세이렌은 인어의 모습을 한 존재로 지나가는 선원들을 향해 노래를 부르는데, 이 노랫소리를 들은 선원들은 뭔가에 취한듯이 바다에 빠져 죽게 된다고 한다. 이 전설은 중세를 거쳐 대항해시대에까지 선원들 사이에서 믿음 처럼 존재했다. 따라서 로렌스는 저 상황에서 죽음과 싸우는 선원처럼 매우 굳은 의지를 보였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clearfix]

11. 그 외

파일:attachment/앙헬 폭포/pp.jpg
앙헬 폭포의 모습

"노인들 중에는 단검을 아예 옛날 말로 "자비"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더군."}}}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7)』, 서울, 학산문화사
||
“옛날 옛적 수도사가 한 말이야.”}}}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9)』, 서울, 학산문화사
||
이는 말을 물가로 데려갈 수는 있어도 물을 억지로 먹일 수는 없다.(You can lead a horse to water but you can’t make him drink.)라는 서양 격언을 차용한 대사다.

11.1. 중세 이외의 소재를 차용한 설정

"싸다고 샀다가 돈만 날릴 수도 있으니까. 우선은 마음을 정리하는 게 먼저야."}}}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5)』, 서울, 학산문화사, p.102
||
서기인 이 사람은 그 밑으로 특징 있는 필체로 간결하게 상황을 기록해 놓았다.}}}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12)』, 서울, 학산문화사, p.214
||
만의 하나 호로가 아마티의 청혼을 받아들인다 해도, 기다리고 있는 것은 팍팍한 생활가 장사일 뿐이다. 사랑은 돈으로 살 수 없다고 시인은 노래하지만, 그 거꾸로 역시 진실이니까.}}}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 (3)』, 서울, 학산문화사
||
이는 19세기에 활동한 미국 시인 헨리 워즈워스 롱펠로(henry w. longfellow)[150]가 이야기한 "사랑은 자기 자신이 주는 것이다. 결코 돈으론 살수 없다.(Love gives itself; it is not bought)"를 차용한 대사다.[151]

11.2. 중세시대와 차이가 있는 부분

엄연히 가상의 세계를 배경으로 하는 판타지 작품이기 때문에 현실의 중세시대와는 차이가 나는 부분도 있다. 다만 실제 유럽이 아닌 만큼 이는 어느 정도 의도한 설정일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하단에 서술된 내용 외에 사소한 디테일 부분에선 오류가 좀 있는 편.

파일:external/s3-eu-west-1.amazonaws.com/B802122.jpg


백년전쟁은 전쟁 기술의 발전을 가져왔다. 특히 새로운 무기인 화포를 이용한 전술이 개발되었다. 이런 전술은 또한 통치 구조에 영향을 끼쳤다. 중세기 내내 기사와 성곽에 의존하던 봉건 군대의 전술은 새로운 전술 앞에서 효용성을 상실했다.}}}
김창성 지음, 『사료로 읽는 서양사 2 중세편: 게르만족의 이동에서 르네상스 전야까지』, 책과함께, 2014.
||
다만 임용한이 토크멘터리 전쟁사에서 직접 밝힌 바로는 이렇게 알려진 것은 잘못 알려진 것이며 화약의 발달은 성벽의 강화로 이어졌다고 언급했다. 자세한 내용은 성형 요새 문서 참조.
우리가 역사시간에 제일 잘못 배우는 게 그건데. 우리가 역사시간에 이렇게 배우잖아요. 화약이 나오니까 성이 쓸모 없게 되어서, 기사들이 몰락했다. 이렇게 배우는데 그건 정말 잘못 가르치고 있는 거예요. 왜냐하면 기술은 액션 리액션이거든요. 하나가 발달하면, 리액션이 나오거든요. 사실은 대포가 나오면서, 그 난공불락의 콘스탄티노플 무너졌잖아요. (화약의 발명으로) 성이 없어진 게 아니라 건축술이 획기적으로 발달해요. 대포에 견딜수 있는 축성술. 이게 아마 20세기 콘크리트가 개발하기 전까지는 최고의 건축술일 거에요.}}}
임용한. 토크멘터리 전쟁사 영상 14분 11초 부터
||

세례 받은 남자만이 거룩한 서품을 유효하게 받는다.}}}
《가톨릭교회법》 제1024조
||
"학교에서 들은 적이 있어요."}}}
하세쿠라 이스나 지음, 박소영 옮김, '늑대와 향신료(10)』 , 서울, 학산문화사, p97.
||

12. 관련 문서



[1] 늑대와 향신료 18권 작가 후기에 따르면 원래 ' 막달라에서 잠들라'를 쓰기 위해 자료를 조사하던 중 '막달라에서 잠들라'보다는 늑대와 향신료 시리즈에 어울릴 거 같다고 생각해, 연재 종료된 지 4년 만에 늑대와 향신료 18권과 늑대와 양피지 시리즈를 발매했다고 하니, 역사를 얼마나 깐깐하게 검증했는지 알 수가 있다. [2] 작가 본인이 " 라노벨을 쓸 때는 참신한 소재와 그에 맞는 사전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어서인지, 전격소설대상 온라인 인터뷰에서 라노벨 지망생에게 한마디 해달라는 질문에 격려나 조언을 해주는 다른 작가들과 달리 "라노벨만 보고 라노벨 쓰려고 하지마라."라는 쓴소리를 하기도 했다. 원문은 "유행에 편승하겠다는 안이한 생각은 버립시다. 라노벨만 읽고 라노벨을 쓰려는 생각도 버립시다.(安易に流行に乗っかるのはやめましょう。 ラノベだけ読んでラノベを書くのはやめましょう。)" [3] 늑대와 향신료 1권 中 [4] 늑대와 향신료 4권 [5] 늑대와 향신료 6권 [6] 심지어 로렌스는 2권에서 빚을 갚지 못해 노예로 팔려 나갈 뻔 했음에도 그런 생각을 이야기 한다. [7] 늑대와 향신료 8권 [8] なお、意図的に外している本とかあります。 教えたくない本とかありますので!皆が知らない情報が載っている本を見つけた!!、というのは作家を目指すうえで重要な要素だと思います。自分の書きたいジャンルのことを、皆が読まないような本を読んで調べれば、皆が思いつかないようなものが書けると思いますよ。 [9] 작가는 "이후 종교개혁을 소재로 한 늑대와 양피지를 준비하면서 찾아봤으나, 너무 난해하고 어려워 일부 파트만 읽어봤다"고 밝혔다. [10] 한국에서는 신국론(神國論)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있다. [11] 단, 십자군 원정은 11세기 말~13세기 말까지 약 200년에 걸쳐 여러 차례 일어났고, 북방 십자군이나 대 오스만 십자군 등 아류 십자군까지 감안하면 15세기 이후에도 십자군 전쟁이라 불릴만한 전쟁이 있었음을 감안한다면 '20여년 전 십자군 전쟁이 일어났다'는 서술만으로 '1095+20=1115. 12세기 초반이다' 라고 독해할 수는 없다. 애초에 작중 서술 자체가 '20여년 전 최초로 십자군 원정이 시작되었다'고 나오는 것이 아니라 '20년 전 대규모 원정이 출격했다' 식으로 나오니 중후기 십자군 원정 기준일 가능성도 크다. [12] 카페 가입 필요. [13] 여담으로 실제 삼포제가 처음 개발된 곳은 카롤링거 제국으로 작중 배경이 중· 북유럽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남쪽 선진국의 모티브는 카롤링거 제국이 확실하다. [14] 같은 땅에 여러 가지 농작물을 해마다 바꾸어 심는 일. [15] 작중으로부터 약 수백 년 전. [16] 현재의 과학자 정도로 보면 된다. 대표적인 인물로 티코 브라헤, 요하네스 케플러, 갈릴레오 갈릴레이,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등이 있다. 과학자와 다른 점은 자연 물리학을 관측하지만, 오로지 과학적 이론에 근거하는 현재의 과학자들과는 달리 철학적, 종교적인 개념도 활용했기 때문이다.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을 주장한 이유도 과학적 이유뿐 아니라 " 천동설에 따르면 태양과 행성들의 움직임들이 쓸데없이 복잡한데 하느님께서 굳이 그렇게 복잡하게 만들었을까"라는 철학 개념에서 시작했다. [17] 또한 지금 관념에서는 과학자라고 취급되는 위인들도, 당시에는 스스로를 자연철학자(Natural Philosopher)라고 자칭했다. 아이작 뉴턴이 대표적. 애당초 과학(Science)과 과학자(Scientist)라는 단어는 19세기에 윌리엄 휴얼이 자연철학이라는 말이 너무 뜻이 심원하기 때문에 자신들은 지식의 탐구자(Scientist)라고 불려야 한다고 해서 제안된 단어다. 또한 이 19세기를 전후하여 철학적 색채가 많이 빠져나간 자연철학이 자연과학이라는 분야로 정착되며 지금의 과학/과학자라는 단어가 세상에 정착되게 된 것이다. [18] <늑대와 향신료>에서는 성지를 탈환하는 십자군은 이미 중단된 상태고, 이교를 정벌하기 위한 북방 대원정이 진행중이나 지지부진한 상황으로 묘사된다. [19] 작중 주인공들의 이야기에서는 등장하지 않으나 노라 아렌트 외전에서 "역병이 돌아 인구의 절반이 사라진 도시"가 언급된다. 또한 작가의 다른 작품에서도 흑사병이 언급된다. [20] 일본 천주교회에서 주교를 가리키는 말. 한국 천주교, 정교회, 대한성공회에서는 주교라고 한다. [21] 물론 오늘날 천주교에서는 주교와 사제가 취임료를 바치는 일도 없고, 헌금 명목도 그리 많지 않다. 오히려 오늘날 이런 일들을 하고 있는 것은 개신교다. [22] 물론 일반적이지 않은 설명으로 다는 아닐지라도 18세기까지 나폴레옹처럼 친정을 한 황제나 왕이 있었고, 귀족들도 대검 귀족 가문이라면 장교로 복무했다. [23] 국왕이 하사한다는 부분을 정확히 말하면 지위를 직접 내리는 것이 아니라 봉토를 주거나, 과거 미망인 등 봉토를 가진 여자와 결혼을 주선해주는 방식을 취했다. 해당 포스팅을 참고. [24] 상기한 13세기 중반에 기사가 준귀족화했다는 서술과 모순되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는데, 구체적으로 말하면 둘 다 사실이라서 그렇다. 11세기 이래로 기사가 '고귀한 신분'과 결부되는 개념은 계속 이어졌으나, 어디까지나 법적인 신분 자체는 자유민이었기 때문이다. 고귀한 신분이란 개념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법적으로 그게 무엇인지 정해진 바는 12세기 말까지 없었다. 때문에 기사 계급이 세습하는 경향이 나타나면서도 동시에 군주들의 군사적 필요성에 의해서 '저급한 신분'인 부르주아들이 기사로 서임되는 일은 끊임없이 있었고, 그런 신분 질서의 혼란이 절정에 이른 13세기 초중반부터는 자신들의 기득권이 침해되는 것을 볼 수 없던 귀족들에 의해 기사를 포함한 귀족 계급이 법적으로 세습되는 것으로 고정된다. [25] 신성 로마 제국의 경우 귀족들의 선거를 통해 왕위계승이 이루어 졌다. 이는 프랑스의 경우에도 별반 다르지 않아 카페 왕조의 시조인 위그 카페도 귀족들의 추대에 의해 왕위에 올랐다. [출처14] 종교개혁, 성경 위에 예술을 꽃피우다. [27] 루피마을을 지켜주던 늑대의 발바닥으로 그 늑대는 호로와 마찬가지로 정령이다. [28] 대륙의 위치도 현재 유럽의 바이에른 지역일 뿐 아니라 힐데 슈나우도 독일식 인명이다. [29] 대표적인 인물로 1137년에 아서 왕 전설의 초창기 버전을 포함한 연대기인 "영국 왕의 역사"를 저술한 몽마우스의 제퍼리, "프랑크 제국사"를 저술한 수도자 그레고리오, "성속(聖俗) 두 나라의 연대기"를 저술한 독일의 오토 폰 프라이징 등이 유명하다. [30] 여담으로 유명 연대기들 중에서 영화로 유명한 베오울프 영국 실록인 앵글로색슨 연대기(Anglo-Saxon Chronicle)처럼 작자 미상인 연대기들도 있다. [31] 참고로 중세시대의 연대기(Chronology)적 서술방식은 현재의 연대기적 서술방식과 달랐는데 "기독교 역사가들은 성경 중심의 역사를 기록하기 위해 속세의 연대기를 창출해냈다."라는 말처럼 인간 중심이 아닌 성경 중심의 저술방식이었기 때문이다. [32] 꽤 자주 등장한다. 한가지만 예를 들자면 밀로네 상회의 주인이 남쪽 상업국인 라온딜 공국 제33대 라온딜 대공이 공인한 대 밀로네 후작이 경영한다는 설정을 가지고 있다. 남쪽 상업국이면서 공국이라는 것을 감안하면 베네치아 공화국의 최고지지도자인 도제(Doge)와 비슷한 역할을 했을 것이다. 다만 도제는 귀족들의 투표로 뽑는 직책인 반면 대공은 교황이나 황제가 하사하는 직책이라는 점에서 다르다. [33] 정교회를 믿던 러시아를 개종시키기 위해서였는데, 결국 알렉산드르 넵스키가 이끄는 노브고로드 공화국 군대에 패배했다. [34] 참고로 리투아니아 그리스도교 문화가 스며들고, 발달하면서 생겨난 직업이 바로 딥디르비. 현재는 유네스코 세계무형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35] 결국 2차 세계대전 이후 동유럽의 여러 정부에서는 독일인들을 오데르-나이세 선 서쪽의 독일과 오스트리아 등으로 추방시키게 되어, 현재 동유럽에는 극소수의 독일인만이 남아 있다. [출처1] 『금융으로 본 세계사』 [37] 윈필왕국의 건국자인 윈필 1세의 손자라는 설정이 붙어있다. [38] 심지어 은접시나 은젓가락도 가져갔다. [출처1] [출처11] 『이야기로 읽은 부의 세계사』 [출처4] 『세계사 속 경제학』 [42] 참고로 중세 귀족들에게 인기있던 모피중 하나가 담비였다. 밀로네 상회와 같은 거대 상회에 로렌스가 거래를 청하는 것도 이러한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것이다. [출처1] [44] 이후 뤼네베르크의 명성은 항구도시 뤼베크(Luebeck)로 이동했다. [출처9] 『중세의 길거리의 문화사』 [출처12] 『하룻밤에 읽는 유럽사』 [출처2] 『권력과 부』 [48] 참고로 동물을 실어 나를 때는 107파운드(약 48kg)인데 반해, 소금을 실어 나르던 상자의 무게는 144파운드(약 65kg)까지 무게가 나왔다고 하며 만약 12개의 소금 통이라면 약 780kg에 달한다는 계산이 나온다. 그러므로 소금장수들에는 과 수레가 필요했고 따라서 소금장수들은 기본적으로 돈이 어느 정도 있는 이들이 할수 있는 직업이었다. [출처9] [50] 동양에서는 이전부터 어음과 비슷한 개념을 이미 활용 중이었다. 9세기 초 당나라에서는 상인과 세금 징수원이 비전(飛錢)이라는, 현재의 어음과 비슷한 개념의 지급 수단을 활용했다. 또한 중세 이슬람 제국에서는 환어음과 수표등의 어음이 화폐 역할을 사용했고, 고려 말에도 저화라는 어음이 활용되고 있엇다. [출처15] 경영학, 무엇을 말해야 하는가: 경영학 신화에 질문을 던지다. [52] 페르미 아마티는 어린 나이부터 시장바닥에서 활동한 유능한 상인으로 나오는데, 로렌스의 제안을 잘 이해하지 못하는 장면이 등장하기 때문. [53] 1512년~1517년에 개최. 교회 개혁 시도했으나 별다른 소득을 거두지 못했고 끝내 종교개혁이라는 거센 바람을 막지 못했다. [출처15] [55] 중세시대는 기독교 사상이 지배한 시대이기에, 천국을 가지 못한다는 건 엄청난 비난과 같다. [56] 단테 신곡(La Divina Commedia)을 보면 고리대금업자에 대한 당시 중세인들의 인식이 등장한다. 신곡에는 사후 세계로 지옥(inferno), 연옥(Purgatorio), 천국(Paradiso)을 묘사하고 있는데 7번째 지옥을 묘사하는 지옥편 17절을 보면 제일 바깥쪽에는 남과 남의 재산에 폭력을 행사한 자들이, 중간에는 자살한 자들이, 제일 안쪽에는 하느님과 자연에 폭력을 행사한 자들이 있다. 여기서 "하느님과 자연에 폭력을 행사한 자"는 신성 모독자, 동성애자, 그리고 고리대금업자들로 끊임없이 떨어지는 불덩이에 고통에 몸부림 치는 것으로 묘사된다.. [57] 독일어 Kapitalgeber [58] 독일어 Unte- rnehmer [59] 투자자가 자본의 ⅔를 제공하고 여행상인이 ⅓을 부담하는 것으로, 수익금은 투자가와 여행상인이 5:5로 분배되었다. [60] 투자자가 100% 투자를 하는 대신, 수익금은 투자가가 ¾, 여행상인이 ¼를 가져갔다. [61] 참고로 푸거가문은 이 때문에 폭망하게 된다. 이유는 합스부르크 가문의 빚이 너무 큰 나머지 "아 몰라 배째!"를 선언하며 푸거 가문에게 고스란히 떠넘겼기 때문. 결국 1560년대를 끝으로 푸거가문은 역사의 뒷편으로 사라진다. 다만 이는 상인 가문으로서 한정이며, 이후 빛을 어찌해서 청산은 했지만 다시는 상업 및 금융업에는 예전만 못하게 되나 그 이전 합스부르크 가문으로부터 신성 로마 제국과 에스파냐 왕국의 귀족 작위를 수여 받았기에 귀족 가문으로 활동하게 되었다. [62] 아직은 추론이며 정확한 것은 아니다. [A] 중세도시들은 영주로부터 도시의 법적 존립 근거인 특허장을 받아서 운영했다. 이 특허장에는 도시민의 3대 특권( ① 도시 설립 당시의 시민과 도시에서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은 누구나 자유민으로 인정 된다. ② 개별 도시민은 화폐지대 외에 봉건적 의무를 지지 않는다. ③ 도시민의 재산권은 영주의 자의적 침해를 받지 않는다.)을 비롯한 도시 규정들이 들어있는 일종의 헌법과 같은 역할을 했다. 두산 백과 - 도시특허장. [출처12] [65] 원래는 함께 운영되었으나 12세기 후반들어 수공업자들이 떨어져나가 독자적인 길드를 형성했다. [출처12] [67] 바르디 상사, 페루치 상사. 이 두 상회는 14세기 유럽에서 가장 큰 상회로 프랑스 필리프 6세의 재산이 78만 6,000 피오리노였는데, 바르디 상사는 약 87만 4,061 피오리노, 페루치 상사는 약 51만 2,150 피오리노의 재산을 가지고 있었다. 여담으로 1피오리노는 환율 1,200원을 기준으로 약 45~50만원 정도 되었다. 중세 물가는 현재보다 더 저렴했기 때문에 실제 체감은 현재의 100만 원을 넘었을 것이다. [68] 당시 잉글랜드만 해도 이런 행위가 발각되면 사형을 선고 받았다. [69] 돌기를 새기는 행위를 밀링(milling) 또는 리딩(reeding)이라고 부른다. [70] 단 땀내기는 동전을 구리로 제작할때까지 이어졌다. [출처4] [72] 문명 5에서도 나오는 포토시 언덕이 이 시기를 대표하는 은광.또한 이 시기에 들어온 수많은 귀금속 때문에 귀금속의 가치가 휘청거릴 수준이었다고 한다. [출처4] [74] 이런 막가파식 정책을 펼쳤는데도 알렉시오스 1세가 명군으로 평가받는 이유는, 일단 이 주조차익 실현이 사리사욕 추구를 위한 것이 아니라 폭증하는 군사비용을 감당하기 위해 이뤄진 것이었고, 이런 악화 주조 정책 자체가 알렉시오스 1세가 처음 시작한 것이 아니라 전전대 미하일 7세 시절부터 시작된 것이었으며, 무엇보다 알렉시오스 1세는 이런 막가파식 악화 발행으로 단기간에 제국의 국고를 다시 채워 군사력을 재건하고 의미있는 군사적 승리를 일궈내었으며, 외교적으로도 동맹세력을 확보하여 이슬람 세력에 대한 역습을 성공시키고 상실한 영토의 상당부분(특히 풍요로운 소아시아의 해안지대)를 탈환했을 뿐 아니라 국내적으로도 상공업을 육성하여 세수를 증진시키는 데 성공한 뒤 다시 양화를 주조하여 유통시키는 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즉, 결과적으로 보자면 막가파식 주조차익 실현을 비상사태 극복을 위한 일종의 비상수단이었다고 해명할 수 있게 된 것. [75] 이렇게 된 이유 중 하나는, 전세계가 지폐를 주로 쓰게 되었기 때문이다. 지폐는 그 만든 재료 자체는 가치가 그렇게 크지 않기에 위에 나왔던 방법들을 써봐야 큰 이득은 없고 때문에 현대의 위조지폐는 진짜 지폐와 비슷하도록 정교하게 만드는 것이지 지폐의 재질을 속이거나 지폐의 면적을 줄이는 등의 방법이 아니다. [76] 작중에서 언급되는 화폐만해도 23종류. 2권에서 로렌스 호로에게 각종 화폐를 가르쳐주다가 도저히 못 외우겠다며 포기하는 호로의 모습도 등장한다. [77] 늑대와 향신료의 작품 속에서도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화폐가 등장하는데 바로 뤼미오네 금화. [출처4] [79] 試金石. 귀금속의 순도(純度)를 판정하는 데 쓰이는, 검은빛의 현무암이나 규질(硅質)의 암석. 조흔색(條痕色)을 표본의 것과 비교하여 금·은의 순도를 시험함. [80] 우리나라에서도 함경도 일대와 강원·경상도 산간 지방에 여진족이나 호랑이와 같은 맹수의 공격에 대비하기 위해 집의 구조가 중세 유럽처럼 사람과 가축이 한공간에서 같이 사는 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고려시대까지 거슬려 올라간다, [출처10] 『시계와 문명』 [82] 참고로 가정용 시계가 보급된 것은 17세기 무렵이었다. [83] 중세시대 들어서면서 고대 로마 시대의 도로는 폐허가 되었고, 국가 단위의 거래가 도시 간의 소규모로 이루어지는 등 내수에 치중하는 등 오히려 과거보다 후퇴한 모습을 보여준다. 상거래가 점점 발달하고 도시의 규모가 커지자 각 국가는 교역 루트 확보에 나서게 되는데 이 때가 12세기였다. [출처6] SK 에너지 블로그. [85] 18권에서 로렌스의 마차가 진흙 길에 빠져 고생한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 바로 모티브가 바로 라스푸티차다 [출처7] 『테스』 [87] 여담으로 당시 길이 좁다 보니 지나가는 상인들이 마주하는 경우가 있는데, 독일에서는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 결투를 벌이는 경우가 많았다. 결국, 13세기 독일에서는 "짐을 적게 실은 자가 먼저 비켜주라"는 법이 제정되면서 차차 변화되기 시작했다. [88] 이런 도로 사정이 나아진 건 존 매키덤(John Loudon McAdam)이라는 사람이 아스팔트와 자갈을 이용한 매키덤 공법으로 도로를 건설하는 데 성공하면서부터였다. 이 때가 바로 1815년. [89] 이는 현재에도 일부 관습처럼 남아있다. [출처3] [출처9] [92] 건국 초기 미국에서는 곰과 사슴의 기름을 사용한 기록도 남아있다. [93] 오늘날도 가톨릭 사제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에서는 라틴어를 필수로 가르친다. [94] 다만 작중에서 프리드는 자신의 애양(愛羊)을 타고 달려왔고 로렌스는 선채로 프리드가 달려오는 모습을 지켜봤기 때문에 마상창시합은 아니다. 마상창시합이 가진 기사간의 결투라는 의미를 차용한 것에 가깝다. [출처14] 아내를 닮은 도시: 걸어본다 04 류블랴나 [96] 유럽에도 온돌과 비슷한 형태의 난방 기구가 존재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로마식 온돌인 하이포코스트(Hypocaust)가 존재하기도 했다. 하지만 중세시대로 넘어오면서 사라졌으며 일부 지역에만 흡사한 형태의 난방기구가 남게 되었다. [97] 카지노(Casino)는 이탈리아어로 집을 뜻하는 "까사(Casa)"와 작다, 귀엽다를 뜻하는 "이노(Ino)"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만들어 진 단어로 중세 귀족들이 소유한 사교 오락용 별관을 의미한다. 이것이 이후 현대의 도박장을 뜻하는 카지노라는 단어가 되었다. [98] 현재 영국 귀족들이 즐기는 스포츠 여우사냥도 몰이사냥의 일종이다. [출처16] 박영수, 유행 속에 숨어 있는 역사의 비밀. [100] Coryat's Crudities. 1611년. [101] 이탈리아 있을 때만 아니라 독일에서, 영국에서도 종종, 집으로 돌아와서부터 내 포크를 사용하는데, 언제 한번 잘 아는 내 친구인 어느 정도 배운 귀족인 로렌스 위태커 경에 의해서 놀림을 받은 적이 있다. 그는 유머스럽게 식탁에서 나를 푸시퍼(Furcifer)라고 불렀는데, 다른 이유가 아니라 먹을 때 포크를 쓴다고 그렇게 부른 것이다.” 출처. [102] 영어로는 Trencher. [출처8] [104] 다만 점점 인구의 증가와 맞물리며 경작지의 수가 줄어들었고 이 때문에 가축의 수도 점점 줄어들었다. 그 때문에 17세기 유럽의 경우 고기를 보는 경우가 굉장히 드물었다고 한다. [105] 대표적으로 17권 호로와 로렌스의 임신사실을 모두에게 알린 이후 장면을 묘사한 특전 일러스트에는 남녀노소 할거없이 온천탕에 모두 들어가 웃고 떠들고 있는 모습이 등장한다. [출처9] [107] 길거리 장사꾼들을 말하는 독일어. 당시 길거리에서 물건을 파는 이들은 물건 판매뿐 아니라, 정부에서 내려온 시행령 등을 거리에서 소리치는 등 언론의 역할도 일정부분 수행하기도 했다. [출처9] [109] 참고로 장미물은 현재도 화장품의 주 재료중 하나다. [110] 전희(轉義), 또는 수사적 어구를 뜻하는 단어. [111] 작중 묘사로는 그냥 "철갑옷"이나 삽화는 영락없는 플레이트 아머다. [출처9] [113] 다만 이때 로렌스는 실을 살 돈으로 콜에게 더 나은 외투를 사줄 수 있었으나, 콜이 마을을 떠날 때 가져온 추억의 물건이 수선용 실보다 싸다는 것에 마음 상하지 않도록 배려하여 그냥 실을 사줬다 [114] 종이가 본격적으로 민간에 보급된 시기는 15세기부터였다. [출처1] [116] 이렇게 불을 붙이기 용이하게 만든 촉매재를 "부시깃"이라고 부른다. [출처2] [118] 물론 형식적으로는 이들 도시 국가의 주권은 동로마 제국, 신성 로마 제국, 교황령이 나눠 가졌다. 다만 실효가 없었다. [A] [120] "Stadtluft macht frei". 이 문구는 15권 92p에서 "모든 시민에게 자유 있으라."라는 말로 패러디되어 등장한다. [출처3] [출처2] [123] 우니베르시타스가 현재 영어에서 대학(University)를 뜻하는 단어로 발전했다. 다만 이때의 대학은 교사조합, 학생조합이 중심이 된 이익집단이었다. [124] 뤼빈하이겐은 제외. [125] 대표적으로 다뉴브강 강가에 위치한 , 브라티슬라바, 부다페스트, 베오그라드, 다뉴브 강 지류에 위치한 뮌헨, 잘츠부르크, 자그레브, 부쿠레슈티, 라인 강가에 위치한 도시 뒤셀도르프, 쾰른, 마인츠 등이 있다. [출처2] [출처3] [128] 라틴어로 "처녀의 수로." [출처18] 『건축으로 만나는 1000년 로마』 [130] 5권에선 리콜로 데클리라는 인물이 "50인 회의"라는 시운영회의의 서기로 등장하고, 16권에서 등장하는 장 밀리케는 스베르넬의 영주이자 시참사회 의장이다. [A] [출처12] [133] 일반적으로는 도시국가들에서 상업길드가 시참사회에 이정도로 막대한 영향을 끼치는 경우는 드물었다. [134] 독일의 전통 과자로, 얇고 납작하게 구은 비스킷.
파일:external/allsaintstupelo.com/Communion-wafers.jpg
[135] 중세시대 밤은 위험성이 컸었다. 현재 영어로 좋은 밤을 뜻하는 Good Night라는 단어가 중세시대 안녕을 기원하는 "God give you good night(하느님께서 당신에게 좋은 밤을 주시기를)"이라는 단어에서 유래한 것만 보더라도 중세 야간 치안이 어느 정도였는지를 알수가 있다. 출처 - 『잃어버린 밤에 대하여: 우리가 외면한 또 하나의 문화사』 [출처9] [출처3] 『도시, 역사를 바꾸다』 [138] 샴페인의 도시로 유명하다. 애초에 샴페인이라는 말이 이 도시의 영어 이름에서 따온 것. [139] 유럽에서 가문의 장자 우선 승계는 1050년 부터 자리잡기 시작했다. [출처17] 『새로운 서양 문명의 역사』(상) - 문명의 기원에서 종교개혁까지 - [141] 현대 한국에서 이런 역할은 정신병원이 대신하고 있다(…) 가족끼리의 재산 다툼으로 정신병원에 강제 입원시키는 경우가 뉴스에서 종종 나오기도 한다. [출처9] [출처13] 『이야기 세계사』 [144] 가난(淸貧), 정결(貞潔), 순명(順命)을 말하며 가톨릭 성직자/ 수도자 성품성사/수도서원 때 이 3가지를 서약한다. 다만 청빈 외에 정결과 순명은, 성직자와 수도자뿐 아니라 모든 가톨릭 신자가 지켜야 한다. 가톨릭 신자는 부부관계 외의 혼외 성관계, 자위행위, 포르노 시청 등의 성적 음행을 해서는 안 되고, 교도권에 순명해야지 본인이 제멋대로 교리를 해석하여 믿으면 안 된다. [145] "붉은 매"를 뜻하는 단어라고 한다. 다만 늑대와 향신료에선 주인공들과 관련 없는 부분의 설정은 거의 없다시피해 어느 지역의 언어인지, 알파벳이 어떻게 쓰는 건지 등은 알수가 없다. [146] 대부분의 군대에는 외국용병이 포함돼 있었음. [147] 눈을 부릅뜨고 서있는 인물은 오디세우스다. [148] 여우가 높은 곳에 열린 포도를 찾아내서 그것을 먹으려고 온갖 방법을 다 써 보았다. 하지만 도저히 먹을 수가 없자, 결국 그 자리를 떠나면서 "저 포도는 분명히 시어서 먹을 수가 없는 포도야."라고 욕설을 퍼붓고 떠난다는 이야기. [149] 백부장의 이명이 백인부장(百人夫長)이다. [150] 생몰년 1807년 2월 27일 ~ 1882년 3월 24일. 『인생찬가』, 『 에반젤린』을 선보였으며, 단테의 『 신곡』을 미국에 처음 소개한 인물이기도 하다. [151] 여담이지만 비틀즈가 1964년 3월 16일에 발표한 곡중에도 이와 비슷한 ‘사랑은 돈으로 살수는 없어( Can't Buy Me Love)’가 있다. [152] 작중에 등장하는 것은 오류가 아니지만, 호로가 언급한건 수백년 전 자신이 동료들과 함께 돌아다니던 시절(최소 600년 이전)이라고 했기 때문. 근데 이건 이 세계관에선 감자가 구대륙에도 자생한다고 설정하면 끝인 문제라 뭐... [153] 다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하이힐은 귀족들의 전유물로 개발 의도는 키가 커 보이게 하려고 제작된 신발이다. 귀족들이 도시의 길거리를 지나간다면 마차를 타고 가지, 내려서 걸어가는 경우는 없었기에 위와 같은 이유로 굽 높은 신발을 신을 이유가 없었다. [154] 독일 바이에른 주 뷔르츠부르크 주에 위치한 소도시. [155] 참고로 후속작인 늑대와 양피지에서 이 부분을 언급한다. [출처9] [출처9] [158] (실제 출신지는 아니지만) 리비아의 게롤트, 벤거버그의 예니퍼 같은 경우를 떠올리면 쉽다. [159] 정확히 말하면 전치사+지역명 형태의 성은 유럽 문화권에서 널리 쓰이는 것이긴 한데, 이것도 영어로 치면 'from xxx'와 'of xxx'를 구별해야 한다. 간단히 말해, 자신이 태어난 영지에서 평생 살던 이들(농노등의 예속민이나 자유민이라 해도 여행할 이유가 없던 이들)은 직업이나 개인적 특징에 따른 별명등으로 동명이인을 구별했다. 예컨데 어떤 영지에 '제임스'가 여러 명 있다 하더라도 제임스①은 '농사꾼 제임스', 제임스②는 '대장장이 제임스', 근데 제임스③도 농사를 짓는다면? 그러면 신체적 특징을 따서 '키다리 제임스'나 '대머리 제임스', 아니면 사는 위치에 따라 '아랫골짜기 제임스'가 되는 식이다. 직업과 거주지가 세습되는 경향이 강하던 중~근세를 거치며 이런 호칭들 역시 많은 성씨의 기원이 되었다. 하지만 다른 지역을 방문하거나 이주할 일이 많은 이라면 그를 구별하기에 가장 편한 기호는 '어디 사람', 즉 그의 출신지이다. '용인'에서 온 사람이라면 '용인 사람 필립' 이라고 부름으로써 다른 필립과 그를 구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여기서 다시 of와 from을 구별해야 한다. '필립 from 용인'은 '용인에서 온 필립', 또는 '용인 사람 필립을 의미하는데 비해 '필립 of 용인'은 '용인의 필립', 즉 '용인을 다스리는 필립'(용인의 영주 필립)을 의미하는 호칭이며, 따라서 이것은 귀족의 성이다. 이런 성씨의 작명 원리를 잘 모르는 이들은 지역명 앞에(또는 지역명도 아니고 그냥 성 앞에) 전치사가 들어가면 무조건 귀족의 성이라고 오해하는 경우도 있고 그래서 양판소등에서 그런 설정을 써먹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는 않다. 예를 들어 ' 루트비히 베토벤'이나 ' 레오나르도 빈치'의 성에는 분명 전치사가 들어가지만, 귀족 출신임을 나타내는 성이 아니다. (또 유럽의 잘나가는 왕가중에서도 특히 유서깊던 카롤루스, 카페, 류리크, 피아스트, 아르파드 왕조등을 보더라도 흔히 생각하는 전치사+지역명 형태의 성이 아니다. 이들의 경우 말 그대로 '나는 누구의 후손이오' 라고 하면 누구나 알아볼 전설적인 인물의 후손인만큼 그 선조의 이름을 자신들을 구별하는 기호로 삼은 것이다.) 또 '프랑스의 왕 루이'면 당연히 '루이 드 프랑스'(프랑스의 루이)인데 같은 이름을 가진 왕이 많다면? 당연히 1~18까지 번호를 매겨가며 구별해주는 것이다. 일부 유럽계 문화권에서 O세 라는 호칭이 자주 쓰이는 것 역시 자녀의 이름을 아버지나 할아버지등 가까운 친족의 이름에서 따서 지어주는 전통이 있을 경우 그 가계의 많은 동명이인중에서 누구인가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 (같은 가계이니 당연히 성으로는 구별이 안 된다.) 이처럼 '성씨'란 결국 그 개인을 구별하는 기호(특히 다른 동명이인과 구별하는 기호)로 사용되는 것임을 이해하면 성씨의 탄생 원리를 이해하는 것도 간단하다. [160] 여담으로 작가의 또 다른 세계관이자 중세를 모티브로 삼은 막달라에서 잠들라의 경우엔 7권에 화약의 존재가 등장하기 시작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8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8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