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9:18:50

은행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식물에 대한 내용은 은행나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시설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교통 시설
도로 분류 자동차전용도로 · 인도( 보행자전용도로 · 보행자우선도로 · 자전거도로) · 고가도로 · 지하도로( 지하도 · 지하차도)
등급 고속도로( 고속화도로 · 도시고속도로) · 국도 · 특별시도 · 광역시도 · 지방도 · 시도 · 군도 · 구도
시설물 교차로( 나들목 · 분기점) · 횡단보도 · 교통섬 · 교량 · 육교 · 터널 · 버스 정류장( 버스 터미널 · 환승센터) · 주차장 · 갓길 · 요금소 · 휴게소
기타 세차장 · 정비소 · 운전면허시험장
철도 분류 고속철도 · 광역철도 · 도시철도( 중전철 · 경전철 · 노면전차 · 모노레일 · 자기부상열차)
형태 지하철 · 고가철도
시설물 · 조차장 · 신호장 · 차량기지 · 철교 · 건널목
항만 항구( 부두 · 선착장) · 여객선 터미널 · 등대 · 방파제
공항 여객터미널 · 활주로 · 유도로 · 계류장
기타 운하, 갑문
공간 시설
광장 · 공원 · 녹지 · 유원지( 놀이공원 · 동물원 · 워터파크 · 온천 · 해수욕장 · 삼림욕장) · 공공 공지
유통·공급 시설
유통·생산 공장 · 물류 터미널
공급 수도 취수장 · 정수장 · 배수지
전기 발전소 · 변전소 · 송전탑
방송·통신 방송국 · 기지국
시장 재래시장( 도매시장) · 쇼핑몰( 백화점 · 면세점) · 할인점
유류 주유소
공공·문화 체육 시설
공공 기관 중앙관청 지방관청( 도청 · 시청 · 군청 · 구청 · 행정복지센터) · 경찰서 · 지구대 · 파출소 · 치안센터 · 해양경찰서 · 해경파출소 · 해경출장소 · 소방서 · 119안전센터 · 119지역대 · 우체국( 우편집중국 · 우편취급국) · 은행 · 세무서 · 세관 · 법원 · 등기소
교육 유치원 · 학교 · 학원
문화 공연장 · 영화관 · 박물관 · 미술관 · 과학관 · 전시관 · 도서관
체육 운동장( 경기장 · 체육관) · 골프장 · 농구장 · 당구장 · 볼링장 · 빙상장 · 사격장 · 수영장 · 스키장 · 승마장 · 야구장 · 축구장 · 테니스장
복지 어린이집 · 보육원 · 복지관 · 요양원 · 요양병원 · 마을회관 · 쉼터
방재 시설
하천 · 유수지 · 저수지 · · · 빗물펌프장 · 저류지
보건 위생 시설
의료 병원( 의원 · 산후조리원) · 보건소
결혼 결혼식장
장례 장례식장 · 화장장 · 공동묘지 · 봉안당
기타 도축장
환경 기초 시설
하수도 하수 처리장 · 정화조
폐기물 처리 매립지 · 소각장
기타 폐차장 }}}}}}}}}

금융기관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110A04,#f5e4d5
<colbgcolor=#a9a9a9,#565656> 국제
금융기구
<colbgcolor=#d3d3d3,#2c2c2c> 국제통화기구 국제통화기금(IMF)
다자개발은행 세계은행(WB)( 국제부흥개발은행(IBRD) ‧ 국제개발협회(IDA)) ‧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 아시아개발은행(ADB) ‧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기타 국제결제은행(BIS) ‧ 녹색기후기금(GCF)
중앙은행 한국은행(BOK) ‧ 연방준비제도(Fed) ‧ 중국인민은행(PBC) ‧ 중화민국중앙은행(CBC) ‧ 유럽중앙은행(ECB) ‧ 독일연방은행(BBk) ‧ 프랑스은행(BDF) ‧ 영란은행(BOE) ‧ 일본은행(BOJ) ‧ 러시아연방중앙은행(ЦБ РФ)
국가(산하)기관 금융위원회(FSC) ‧ 금융정보분석원(FIU) ‧ 금융감독원(FSS) ‧ 금융결제원(KFTC) ‧ 예금보험공사(KDIC) ‧ 우체국예금
지주회사 금융지주회사
회계법인 세계 4대 회계법인( 딜로이트, EY, KPMG, PricewaterhouseCoopers), 일반 회계법인
거래소 한국거래소(KRX), 한국금융투자협회(KOFIA)
제1금융권 은행( 지방은행 인터넷전문은행), 농협은행(NH), 수협은행(Sh)
제2금융권 금융투자회사 증권회사, P2P금융, 자산운용사, 선물회사, 신탁회사, 종합금융회사( 단자회사), 투자자문사, 투자은행, 헤지펀드, 사모펀드, 창업투자회사, 기업성장집합투자기구, 부동산투자신탁, 인프라투자신탁
보험회사 생명보험사, 손해보험사, 재보험사, 법인보험대리점
여신전문
금융회사
신용카드사, 리스사‧할부금융사, 신기술금융사, 선박금융사
상호금융 농·축협(NACF) ‧ 회원수협(NFFC) ‧ 신협(CU) ‧ 산림조합(NFCF) ‧ 새마을금고(KFCC) ‧ 상호저축은행
기타 사금융(제3금융권) 사채( 일수), 유사수신업체, 전당포
어음교환소/네트워크 금융공동망
}}}}}}}}}}}} ||

1. 개요2. 종류
2.1. 중앙은행2.2. 일반은행
2.2.1. 시중은행2.2.2. 지방은행2.2.3. 외국은행 국내지점
2.3. 특수은행
2.3.1. 정책금융기관
3. 어원 및 표기4. 조직
4.1. 직급 체계4.2. 경제권 간섭
5. 목록
5.1. 국내 은행5.2. 해외 은행
6. 특수 지점7. 여담8. 용어9. 관련 문서

1. 개요

은행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은행업"이란 예금을 받거나 유가증권 또는 그 밖의 채무증서를 발행하여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하는 것을 업(業)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2. "은행"이란 은행업을 규칙적·조직적으로 경영하는 한국은행 외의 모든 법인을 말한다.
제6조(보험사업자 등) 보험사업자와 상호저축은행업무 또는 신탁업무만을 경영하는 회사는 은행으로 보지 아니한다.
제7조(은행 해당 여부의 결정) ① 법인이 은행에 해당하는지 여부는 금융위원회가 결정한다.

은행()은 대출, 수신 등을 주요 업무로 하는 기관을 말한다. 금융권 중 제1금융권을 구성한다. 상기의 현행 대한민국 은행법의 "불특정 다수인으로부터 채무를 부담함으로써 조달한 자금을 대출"이라고 하는 것은 간단히 풀어 쓰면 이렇다. 여러 명의 사람들에게서 돈을 빌려서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는 것으로, 빌릴 때의 이자를 낮게 하고, 빌려주는 이자를 높게해서 그 차익(=예대마진)으로 돈을 버는 것이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도 은행 입장에서는 돈을 빌리는 것에 해당한다. 날로 먹는 일인 것 같지만, 금융 융통이 매우 중요한 시장경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심장이나 다름 없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은행의 다른 기능들은 이 기본 기능에서 파생된 것인데, 파생된 기능들 역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거시경제 차원에선 그보다 지급준비제도를 이용해 없는 돈을 만들어서[1] 쓰기도 한다. 그러나 이 짓을 잘못 했다가 지급 준비금은 없는 반면 채무자가 돈을 못 갚는 상황에서 뱅크런이 터지기라도 하면, 은행이 망하는 것은 순식간이거니와 연쇄 붕괴 사태가 올 위험성도 크며[2], 2008년 9월 세계금융위기처럼 국제적 금융위기가 올 수도 있다.

돈을 예금하거나 대출을 받은 것 외에도 체크카드 직불카드, 계좌이체, 수표, 어음 등 지급 결제 기능도 한다. 지급 결제가 뭐냐면, 자동이체 공과금 내고, 신용카드 체크카드로 물건을 사는 그런 것이다. 수표나 어음을 발행할 때 보통 은행과 수표, 어음계약을 하게 되는데, 이것은 은행이 "이 사람은 계좌에 충분히 돈이 있습니다. 당신들이 이 사람에게 청구한 영수증을 제시하면 우리가 이 사람 계좌에서 돈을 지급합니다." 라고 판정을 해주는 것이다. 개인거래의 경우 당좌 거래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거의 신용거래 혹은 직불(혹은 선불)거래 위주이기 때문에 체크카드를 사용하게 되는데, 체크카드도 신용카드의 일종이라 먼저 신용승인이 이뤄지고(즉, 카드전표가 먼저 생성된다.) 신용승인에 대한 대금을 연계은행 계좌에서 즉시 결제해서 청구금액을 0으로 만드는 것이다. 체크카드를 사용하다 보면 매달 집이나 이메일에 신용카드 청구서가 오는데 바로 이 이유이다. 한국에서는 거의 사문화된 직불카드[3][4]는 계좌에 있는 돈이 먼저 빠져나가고 카드전표를 생성하기 때문에 은행이 자금의 중개 역할을 한다.

2. 종류

기능에 따라 분류할 경우 크게 상업은행(Commercial Bank, CB)과 투자은행(Investment Bank. IB)으로 나뉜다. 상업은행은 동네 은행으로 볼 수 있는데 다수의 고객에게 예금을 받고 대출을 해준다.

투자은행은 가지고 있는 자본으로 기업과 시장에 투자하여 수익을 내는 은행이다. 그 유명한 리먼 브라더스 미국의 대표적인 투자은행이었다. 유럽계 은행은 상업은행이 투자은행 일도 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에서는 일단 자본시장통합법 은행법의 구도로 겸업이 불가능하다.[5] 그 외에 저축은행, 상호금고, 체신은행, 이슬람은행 등이 있다.

체신은행은 한마디로 우체국의 금융업무 부문이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는 우체국에서 예적금/보험금을 담보로 잡는 대출을 제외한 신용대출과 주택담보대출 등은 법적으로 취급하는 것 자체가 금지되어 있어서 은행의 기능을 하기는 어렵다. 대한민국의 경우는 법적으로는 은행으로 보지 않으나 광의의 은행에 해당한다.

저축은행은 저축예금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은행을 말하며, 주로 소매금융이나 중소기업을 위한 금융 상품을 운영한다. 대한민국에서는 제2금융권에 해당하고 은행이 아니나, 경제학적으로는 은행에 해당한다.

신용조합은 상업은행과는 달리 주식회사가 아니고 구성원들이 직접 소유하는 은행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신협, 새마을금고, 농축협, 수협 등이 있으며 은행이 아닌 제2금융권으로 분류하지만 이 또한 광의의 은행으로 분류된다.

이슬람은행 이자를 금지하는 이슬람 율법에 의거하여 무이자은행(interest-free banking)으로 운영한다는 특징이 있다.

2.1. 중앙은행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앙은행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일반은행

은행법에 의해 설립된 은행이다. 고유업무는 예금·대출 및 지급결제이다.

2.2.1. 시중은행

4대 시중은행( 국민은행, 하나은행, 신한은행, 우리은행), 외국계 시중은행( SC제일은행, 한국씨티은행) 2개,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토스뱅크) 3개를 포함한다.

농협은행 수협은행은 특수은행으로 시중은행에 포함되지 않는다. 시중은행은 수익성 문제로 시골 지역에서는 지점을 잘 안 내지만 농협 및 수협은 특수은행이기 때문에 농어촌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다만 일반 고객들이 볼때 업무 상 차이가 거의 없어서 사실상 같이 엮이는 경우가 많다. 특히 4대 은행과 농협은행을 합쳐서 5대 은행이라고도 자주 불린다.

2.2.2. 지방은행

특정 지역을 주 영업구역으로 삼는 은행. 현재 6개의 지방은행( 부산은행, 대구은행, 광주은행, 경남은행, 전북은행, 제주은행)이 있다.[6]

2.2.3. 외국은행 국내지점

외국은행이지만 국내에 지점을 갖고 있는 경우, 일반은행으로 간주한다. 예시로 과거 다이렉트 뱅킹로 유명했던 HSBC 서울지점, 중국공상은행 서울지점, 중국은행 서울지점, 교통은행 서울지점등이 존재한다.

그냥 해외본점의 연락사무소 수준이거나 중계업무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과거 HSBC 서울지점처럼 아예 본격적으로 개인 상대로 영업을 하는 경우도 있다.

2.3. 특수은행

일반은행이 재원의 제약, 수익성 확보의 어려움 등을 이유로 필요한 자금을 충분히 공급하기 어려운 부문에 자금을 원활히 공급하기 위하여 설립된 은행이다. 농협은행이나 수협은행의 경우 주주가 없으며[7] 조합원이 공동소유한다.

농협은행, 수협은행 및 정책금융기관에 해당되는 은행을 포함한다.

2.3.1. 정책금융기관

정부의 금융정책을 집행하기 위해 정부에서 출자하여 설립한 은행으로 기업이나 산업 등에 대한 자금 지원 등을 담당한다. 국책은행이라고도 한다.

한국산업은행, 한국수출입은행, 중소기업은행이 있다.

3. 어원 및 표기

한자 - [8]
영어를 비롯한 대다수의 언어 - (Commercial) Bank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 Banco
이탈리아어 - Banca
프랑스어 - Banque[9]
러시아어 - банк
태국어 - ธนาคาร

은행(銀行)이란 한자어의 어원은 중국이다. 금행(金行)이 아니라 은행(銀行)이라고 하는 이유는 중국이 장기간 은본위제 국가였기 때문이다.

당시 시기였던 중국에서는 아메리카 지역의 (銀)이 교역을 통해 대거 유입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은 중심의 세금 제도인 일조편법 지정은제가 시행되었을 정도로 은이 많이 유입되었다.

은행이라는 말은 유통에서 비롯되었다. 중국의 상인조합을 '항()'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교역에서 결제 대금으로 은을 사용하였다. 은을 취급하는 상인 조합인 항이 나중에 금융업의 주체가 되면서 '은항'이라는 말이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이것이 한국에 들어오면서 음이 잘못 알려져 '은행'이 되었다.[10] 동남 방언 서남 방언에서는 자를 원래 발음대로 읽어서 은항이라고도 한다.

영어 단어인 '뱅크(Bank)'는 이탈리아 유대인 대부업자들로부터 유래되었다. 당시 대부업 성경의 해석( 이자를 받지 말라) 때문에 일반인들에게는 금지되어 있었고, 신약성경과는 상관없는 유대인들이 맡아 하고 있었다. 이 유대인 대부업자들은 시장에서 긴 의자에 앉아 환전을 비롯한 업무를 보았는데, 이 긴 의자가 이탈리아어로 '방코 Banco' 였고, 이 단어가 변형되어 '뱅크 Bank'가 된 것이다. 의자가 은행을 뜻하게 된 셈. 한국어 자료 중 어떤건 Banca 라고 써놔서 서로 다른 단어인가 생각할 수 있는데, 단어의 성이 다를 뿐 같은 단어다.

그리고 파산을 뜻하는 bankrupt도 이탈리아어 banca rotta(벤치 파괴)에서 유래된 말이다. 이 Bank라는 단어가 메이지 유신이후 일본이 서구 문물을 도입하면서 bank라는 개념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번역에 어려움을 겪을때, 상술한대로 은 상인 조합이 하는 일이 bank가 하는 일이다보니 은행을 bank라고 번역하면서 이후 아시아에서 bank = 은행이 되었다.

4. 조직

지점은 정규직은 1명의 지점장, 1명의 CS매니저와 부지점장[11], 차장, 과장, 대리, 행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은행텔러, 경비원, 청소부, 파트타이머[12] 등의 계약직원이 상주한다.

SC제일은행을 제외하고, CS매니저라 함은 대개 경비원을 두고 하는 말이다. 나열하자면 하나은행,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농협, 새마을금고 등등 보통 CS매니저는 경비원을 그렇게 직급상 부르는 은행이 많다.

일반 회사들과 비교해 봐도 보수적 조직문화가 아직 많이 남아있다. 2010년대 초중반만 하더라도 상급자보다 더 좋은 차를 사면 눈치주는 일이 많았다. 기업 거래와 대출이 많은 지점은 일반 주거지역 지점보다 회식이 잦은 편이다.

창구 직원이 하는 일은 고객의 계좌 관리 및 예금하고 출금하는 일과 은행을 찾는 고객의 궁금증을 풀어주는 일이다. 그 밖에도 업무의 시작과 마감 시 결재 처리, 서류 검토 등등이 있다. 창구 직원의 진짜 일과는 오후 4시에 은행 문을 닫고 난 뒤부터 본격 시작된다. 하루종일 업무 본 것에 대해서 정리하고, 입출금 숫자 등을 맞추다 보면 저녁 7~8시를 훌쩍 넘기기도 한다. 은행 마감시간이 직장인들의 퇴근시간보다 이른 이유가 은행 마감시간 이후에 결산하는 업무가 있기 때문이다.

은행은 많은 봉급을 받고, 어느 정도 사회적 지위도 인정받으며, 일반 사기업보다도 안정성이 훨씬 높은 직장이지만, 고객 응대와 영업실적 압박[13] 등으로 취준생들 사이에서 호불호가 강하다.[14] 한번 쯤 주변 은행원으로부터 신용카드나 적금, 펀드를 권유받은 적이 있을 것이다. 이 때문인지 높은 봉급 등에 이끌려 은행에 입사했다가 진상 민원인, 실적압박 등을 겪고 얼마 지나지 않아 퇴사, 이직하는 경우 또한 타 직장보다 흔한 편이다. 따라서 은행에 취업하고 싶다면, 자신이 고객응대 및 영업에 소질이 있고, 이를 잘 해낼 수 있는지 신중히 고려하고, 아울러 여러 현직자를 만나 은행의 근무 환경을 조사해본 후 준비하기를 권장한다.

4.1. 직급 체계

파일:external/cphoto.asiae.co.kr/2011062311271837257_1.jpg

시중은행의 직급 체계는 일반 사기업과는 많은 차이가 난다.

팀장/부부장/부장 시절의 직책 SC제일은행에서는 크게 둘으로 갈린다. 다만, 나머지 은행에서는 CS매니저가 부장 직책이 아닌 경비원을 의미하므로 이렇게 갈리지는 않는다.

4.2. 경제권 간섭

은행은 고객 신뢰를 높이기 위해 직원의 경제권에 간섭한다.

이 5가지는 발각 시 무조건 책임을 묻는다. 채용 시 확인되면 결격 사유이고, 나중에 밝혀져도 무조건 책임을 묻는다. 즉 은행원이 되고나서 저런걸 한게 알려지면 일방적인 해고를 포함한 합법적인 징계 사유가 될 수 있다는 것이다.[20]
아래에 있는 것은 승진상 불이익이 따른다. 그렇다고 해도 자기가 자기 돈 쓰는 걸 일일이 은행에서 다 제어할 수는 없는 노릇이기에 하는 사람은 재테크도 하고[22] 사치도 부릴 거 다 부린다. 단, 금액의 규모가 좀 크다 싶으면 인사상의 불이익은 단단히 각오해야 한다. 저 중에 2개 이상의 전과(?)가 있다면 임원 승진은 영원히 안녕이다.

5. 목록

본 문서에서 누락되거나 사라진 은행 및 유사 기관은 은행 관련 정보 참조.

5.1. 국내 은행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대한민국 은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앙은행
파일:한국은행 행표 및 CI.svg
국내은행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중소기업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한국수출입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특수은행 [[수협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NH농협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b81c"]]
시중은행 [[KB국민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B400"]] | [[우리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SC제일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0473ea"]] | [[한국씨티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0000"]] | [[하나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신한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지방은행 [[DGB대구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BNK부산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d7191f"]] | [[광주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제주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전북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BNK경남은행|{{{#!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d7191f"]]
인터넷전문은행 [[케이뱅크|{{{#!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 [[카카오뱅크|{{{#!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000"]] | [[토스뱅크|{{{#!wiki style="background: #fff; 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fff; color: #fff"]]
외국은행의 국내지점
[[모건 스탠리|
파일:모건 스탠리 로고.svg
]] | [[HSBC|
파일:HSBC 로고.svg
]] | [[도이체방크|
파일:도이체방크 로고(1973-2009).svg
]] | [[JP모건 체이스|
파일:체이스 뱅크 로고.svg
]] | [[미즈호 은행|
파일:미즈호 은행 로고.svg
]] | [[미쓰비시 UFJ 은행|
파일:미쓰비시 UFJ 은행 로고.svg
]] | [[미쓰이스미토모은행|
파일:미쓰이스미토모은행 로고.svg
]] | [[뱅크 오브 아메리카|
파일:뱅크 오브 아메리카 로고.svg
]] | [[BNP 파리바|
파일:BNP 파리바 로고.svg
]]
[[유니크레딧|
파일:유니크레딧 로고.svg
]] | [[중국공상은행|
파일:중국공상은행 로고.svg
]] | [[중국은행|
파일:중국은행 로고.svg
]] | [[중국광대은행|
파일:중국광대은행 로고.svg
]] | [[대화은행|
파일:대화은행 로고.svg
]] | [[교통은행|
파일:교통은행 로고.svg
]] | [[중국농업은행|
파일:중국농업은행 로고.svg
]] | [[중국건설은행|
파일:중국건설은행 로고.svg
]] | [[BNI|
파일:BNI 로고.svg
]] | [[스테이트 뱅크 오브 인디아|
파일:스테이트 뱅크 오브 인디아 로고.svg
]]
[[ING(기업)|
파일:ING(기업) 로고.svg
]] | [[스코틀랜드 왕립은행|
파일:스코틀랜드 왕립은행 로고.svg
]]
⊛ : 소매금융 미취급
지로코드순 정렬
같이 보기: 대한민국의 비은행예금취급기관 | 대한민국의 증권사 | 대한민국의 사라진 은행 | 각 은행의 코드 보기 }}}}}}}}}

점포수[25] 총 자산[26] 당기순이익[27] BIS 비율[28]
KB국민은행 808 519조 496억원 3조 3,194억원 18.36%
하나은행 631 481조 3,737억원 2조 7,703억원 17.47%
신한은행 749 459조 9,336억원 2조 4,449억원 18.21%
우리은행 740 425조 4,603억원 2조 3,320억원 16.22%
IBK기업은행 639 403조 9,655억원 1조 8,800억원 14.95%
NH농협은행 1,119 397조 8,362억원 2조 809억원 18.96%
KDB산업은행 85 316조 1,109억원 2조 9,076억원 13.66%
SC제일은행 164 95조 6,904억원 3,624억원 20.63%
BNK부산은행 216 79조 5,410억원 4,326억원 16.37%
DGB대구은행 205 70조 2,261억원 3,836억원 16.80%
수협은행 129 56조 2,383억원 2,221억원 13.89%
카카오뱅크 1 53조 21억원 2,482억원 30.67%
BNK경남은행 156 50조 7,430억원 2,518억원 14.34%
한국씨티은행 26 46조 4,018억원 2,859억원 27.87%
광주은행 130 29조 5,114억원 2,347억원 15.94%
토스뱅크 1 24조 6,972억원 -298억원 10.84%
전북은행 90 22조 2,058억원 1,234억원 14.27%
케이뱅크 1 19조 5,543억원 382억원 13.91%
제주은행 31 7조 1,101억원 90억원 16.98%

5.2. 해외 은행

순위 은행명 국가 총 자산[29]
1 중국공상은행 중국 5,719.0b$
2 중국건설은행 중국 4,995.7b$
3 중국농업은행 중국 4,898.2b$
4 중국은행 중국 4,171,7b$
5 JP모건 체이스 미국 3,665.7b$
6 뱅크 오브 아메리카 미국 3,051.4b$
7 미쓰비시 UFJ 파이낸셜 일본 2,967.5b$
8 HSBC 영국 2,966.5b$
9 BNP파리바 프랑스 2,846.3b$
10 중국개발은행 중국 2,634.0b$
11 크래딧 아그리꼴 프랑스 2,539.6b$
12 씨티그룹 미국 2,416.7b$
13 중국 우체국 저축은행 중국 2,031.1b$
14 미쓰이 스미토모 파이낸셜 일본 2,006.4b$
15 미즈호 파이낸셜 일본 1,909.1b$
16 웰스 파고 미국 1,881.0b$
17 통신은행 중국 1,875.8b$
18 방코 산탄데르 스페인 1,851.7b$
19 바클레이즈 영국 1,823.2b$
20 유초은행 일본 1.719.7b$
21 BPCE 프랑스 1,634.5b$
22 소이에테 제너랄 프랑스 1,587.2b$
23 중국초상은행 중국 1,463.9b$
24 골드만 삭스 미국 1,441.8b$
25 도이체방크 독일 1,427.0b$
26 캐나다 왕립 은행 캐나다 1,423.8b$
27 토론토 도미니언 뱅크 캐나다 1,420.3b$
28 산업은행 유한회사 중국 1,337.9b$
29 중국농업개발은행 중국 1,312.4b$
30 상하이 푸동 개발 은행 중국 1,256.8b$
31 중국 CITIC은행 중국 1,234.1b$
32 모건 스탠리 미국 1,180.2b$
33 크래딧 뮤추얼 프랑스 1,180.0b$
34 UBS 스위스 1,104.4b$
35 로이드 뱅킹 영국 1,051.9b$
36 중국 민성 은행 중국 1,047.6b$
37 인테사 산파올로 이탈리아 1,041.5b$
38 ING 네덜란드 1,033.1b$
39 노바스코샤 캐나다 1,012.3b$
40 유니크레딧 이탈리아 915.66b$
41 중국 광대은행 중국 909.68b$
42 내셔널 웨스트민스터 영국 867.25b$
43 몬트리올 은행 캐나다 843.86b$
44 호주 커먼웰스 은행 오스트레일리아 831.80b$
45 스탠다드차타드 영국 819.92b$
46 LBP 프랑스 796.35b$
47 중국 수출입 은행 중국 786.39b$
48 핑안은행 중국 768.33b$
49 BBVA 스페인 761.27b$
50 ANZ 오스트레일리아 737.47b$
51 노린추킨은행 일본 730.00b$
52 내셔널 오스트레일리아 오스트레일리아 716.51b$
53 인도주립은행 인도 694.27b$
54 웨스트백 뱅킹 오스트레일리아 688.71b$
55 캐나다 임페리얼 상업은행 캐나다 679.09b$
56 U.S. 뱅코프 미국 674.81b$
57 라보뱅크 네덜란드 670.93b$
58 DZ은행 독일 669.32b$
59 카이사뱅크 스페인 632.20b$
60 노르디아은행 핀란드 632.09b$
61 KFW 독일 592.03b$
62 유럽투자은행 룩셈부르크 581.34b$
63 크레디트 스위스 스위스 574.36b$
64 Sberbank 러시아 574.23b$
65 후아시아은행 중국 563.11b$
66 PNC 미국 557.26b$
67 레소나홀딩스 일본 557.01b$
68 KB금융 대한민국 556.20b$
69 트루이스트 파이낸셜 미국 555.26b$
70 DBS 싱가포르 553.98b$

6. 특수 지점

평소 외부인의 출입이 불가한 보안구역의 은행 지점만을 기재한다. 보안검색이나 출입대장 작성 등이 불필요하여 대중의 출입이 자유롭다면 기재하지 않는다.[예시] 은행은 금융결제원 코드순, 영업점은 지점/출장소 순, 점포명은 국문/영문 순으로 정리한다.

7. 여담

8. 용어

은행 관련 정보, 분류:은행에 가나다순 정리가 되어 있으니 참고.

9. 관련 문서



[1] 이를 경제학 용어로 신용창조라 한다. 실제로 한 국가의 전체 통화량(화폐 유통량)은 민간이 보유 하고 있는 순수 화폐 자산(본원통화)과 은행이 신용 창조를 통해 창출한 파생 통화의 합으로 정의된다. 은행에서 예금과 대출이 몇 번 반복되다 보면 돈은 매우 쉽게 늘어난다. 한국조폐공사에서 5만 원짜리 지폐 20장을 찍어내면 겨우 100만 원이 새로 생겨나지만, 이 을 A라는 사람이 은행에 저축하면 은행은 지급 준비율(통상 10% 정도)을 제외한 90만 원을 B에게 대출해줄 수 있다. B는 당장 사용할 수 있는 돈 90만 원이 생겼지만, A의 100만 원은 단 1원도 줄어들지 않았다. 100만 원이 190만 원으로 둔갑하는 것이다. B가 90만 원으로 C에게서 물건을 사고, C가 그것을 은행에 저축하면 은행은 또다시 그 90만 원 중 지급준비율 9만 원을 제외한 81만 원을 D에게 대출해주고, 이런 과정을 반복하여 한국조폐공사가 그리 많은 화폐를 찍어내지 않더라도 사회 전체의 통화량은 엄청나게 늘어나게 된다. [2] 뱅크런이 현실화되면 은행은 당연히 최대한 빠른 속도로 채권을 팔아치우거나 회수하기 시작하고, 그러면 해당 은행에 돈을 빌렸던 기업들의 줄도산으로 이어진다. [3] 2000년대 중반인 2007년까지는 체크카드와 직불카드가 경쟁 관계였다. 카드 수수료 분쟁으로 한국 최대 대형마트 신세계그룹 이마트가 적극적으로 직불카드 사용을 장려했기 때문이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를 계기로 여신금융협회(카드사 협의체)와 이마트 간 수수료가 극적 타결되면서 이마트도 직불카드를 내다 버리고 체크카드를 지원하면서 직불카드는 한국에서는 거의 사라졌다. [4] 미국이나 일본, 유럽연합에서는 체크카드 대신 직불카드를 취급하는 곳이 많다. 한국같이 카드사 협의체가 없기 때문에 신용카드사와 개별 기업들이 일일이 가맹 협정을 따로 맺어야 하기 때문이다. 물론 신용카드 취급점이면 체크카드도 다 받는다. [5] 이 때문에 계열사로 증권사 자산운용사를 두는 은행 및 금융지주회사들도 있다. [6] 지방 뿐만이 아닌, 수도권에도 분포해있다. 심지어 전북은행은, 대구와 부산에도 있다. [7] 농협은행과 수협은행 또한 신경분리로 인해 법적으로는 주주가 있고 주주에게 배당을 하기는 한다. 하지만 농협은행은 농협금융지주를 주축으로 만들어진 NH농협금융그룹에 속한 은행, 수협은행은 수산업협동조합법에 근거하여 설립된 수협중앙회 소유의 특수법인으로 모두 비상장기업이며 농협중앙회와 수협중앙회가 이 은행들의 모든 지분을 보유하고 있어서, 사실상 중앙회의 출자자인 단위조합들이 이 은행들을 공동소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8] 표준중국어에서는 [yínháng](인항)이라고 읽으며 일본어에서는 ぎんこう-[ginkou](긴코), 베트남어에서는 Ngân hàng이라 읽는다. [9] 다만 프랑스는 Banque라는 명사가 잘 쓰이지는 않는다. 미시시피 거품으로 인해 '은행'이라는 단어가 금기어가 되어버렸기 때문. 형용사형인 bancaire는 잘 쓰이며, 그냥 은행의 경우는 소시에테나 크레디가 대체어로 쓰인다. [10] 은 '가다'를 의미할 때 '행'으로 읽고, 줄(line)이나 점포를 의미할 때 '항'이라고 읽는다. 오늘날 표준중국어에서도 두 음은 각각 xing과 hang으로 구별되며, 표준중국어로 은행은 yinxing이 아닌 yinhang이라고 발음한다. 비슷한 예로는 수학에서 나오는 행렬(行列)이 있는데 이쪽도 원래는 항렬 읽었으며 중국어에서도 hanglie라고 읽는다. [11] CS매니저나 부지점장은 지점의 규모에 따라 없을 수도 있다. 그런 경우 부지점장은 주변에 있는 출장소에 가 있다 [12] 지점도 1급 2급 3급등의 등급이 정해져 있으며, 지점장도 2급지점장 등이 있다. 급수 높은 지점엔 상주직원이 많아 자체적 구내식당이 있을 정도였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지점장실 등은 상담실로 교체 및 구내식당 폐쇄 등 몸집 줄일 때 한꺼번에 없앴다. 일부 급수높은 지점은 예외일 수도 있다. [13] 은행 중 IBK기업은행은 국책은행이라는 특성 때문에 다른 은행보다 상대적으로 실적압박이 없다는 인식이 있으나, 간혹 실적압박이 심한 지점도 있으므로, 아예 실적압박이 없다고 생각하면 안 된다. 국책은행보다는 시중은행이라고 생각하고 오는 게 속 편하다 [14] 그러나 코로나 19 유행 및 기존 기업의 공채 폐지 등으로, 기존에 은행을 목표로 하지 않던 취준생들도 점점 은행 취업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게다가 문과생을 이렇게 대규모로 공채 채용하는 대기업도 이젠 시중은행밖에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15] 본부장부터 퇴직금 정산 후 계약직으로 전환하며 차량이 지급되는데 통상 지급되는 그랜저의 경우 삼성에서는 상무에게 지급된다. [16] 한 은행장의 커리어 패스를 보면, 1976년 고교 졸업, 1981년 대학교 졸업, 1998년에 지점장을 처음으로 달기 시작했다. [17] 인천국제공항지점, 사북지점, KBS지점 등. [18] 아래 외부인 이용이 자유롭지 않은 지점이 대부분 그렇다. 중앙정부기관, 광역단체, 지상파 방송국, 재벌기업 본사 등이 그 예. [19] 주로 여자 상업고등학교 쪽에서 많이 온다. [20] 사실 은행원이 아닌 분야의 정규직도 아래의 행동 중 하나를 해서 범죄의 영역에까지 이르는 행동으로 가게되어 회사가 알게되면 합법적인 해고가 가능하다. [21] 가족이나 다른 사람의 명의를 빌려서 대출을 하도록 시킨 뒤 자기가 은행원으로서 부실한 서류를 심사해주어 은행의 돈을 빌려쓰는 행위. [22] 은행 직원이면 아무래도 금융계 일선에 있다보니 재테크도 잘 할 것이라는 막연한 편견이 있긴 하지만, 꼭 그렇지도 않으며, 사실 재테크와 금융업은 엄밀히 말하면 다른 분야이다. 물론 재테크의 특성상 금융업, 특히 은행권과 관련이 없지는 않지만, 그래도 다른 분야이므로 섣불리 범접하긴 어렵다. [23] 주식 한정으로 자기가 근무 중인 은행 혹은 은행의 모기업에 해당되는 금융지주회사의 주식 정도면 문제가 없지만 나머지 대부분의 재테크는 위에서 싫어한다. 2010년대에는 봐주는 경향이 있지만 인사상의 불이익은 각오해야 한다. 부동산은 은행원이 거주할 집을 사는 것 외에는 대부분 어렵다고 하며 주식은 2020년 이후로는 규제가 많이 완화된 것으로 보이지만 펀드 운용사 등 직접적으로 이해 관계가 있는 경우에는 거래내역을 신고해야 한다. [24] 자기 은행의 상품 이용은 좋아하지만 다른 은행의 금융상품을 이용하다 발각되면 인사상 좋지 않다. [25] 2023년 9월 30일 기준 [26] 2023년 9월 30일 기준 [27] 2023년 9월 30일 기준 [28] 2023년 9월 30일 기준 [29] 2022년 12월 31일 기준 [예시] 우리은행 국방부출장소 : 민원실 2층에 소재하여 외부인의 출입이 자유롭다. [31] ATM은 이용이 자유롭다. [32] 청와대 근처가 아니라 청와대 구내에 있다. 따라서 사전에 명확하게 공무 약속이 되어 있어야 한다. [33] ATM은 이용이 자유롭다. [34] 국고출납은행이라고 간판에 표시돼있는 것이 바로 요 기능을 나타낸다. 공과금 납부, 즉 국고출납은 원래 한국은행법 상 한국은행의 독점권인데 국고출납기능을 민간 은행에 위탁하고 수수료를 받아먹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35] 정확히 말하면 가계당좌수표 [36] 수표라는 말이 거의 자기앞수표의 동의어로 쓰인다. [37] 동아시아 국가의 은행은 수표가 아닌 계좌에서 직접 출금하는 시스템이기 때문에 돈이 부족해도 은행이 잔액 부족 에러를 뱉으며 지급 거부하는 것으로 끝난다. [38] 특히 페이팔을 잘못 써먹으면 저렇게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39] 한국의 은행 시스템에선 고객이 필요에 의해 일부러 마통을 만들거나 당좌예금 계좌를 개설하는 과정에서 당좌차월이란 약정을 별도로 맺지 않는 한 일반 입출금계좌에서 마이너스 잔액을 뱉어내게 하는일은 시스템의 오류가 발생한 게 아닌 이상은 불가능 하도록 되어있다. 이렇다 보니, 당좌예금 계좌에 예치된 잔고를 초과한 액수로 수표를 발행하다가 부도나면 중대한 부정수표 단속법 위반으로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수표금액의 10배 이하의 벌금으로, 그리고 과실로 수표를 부도낸 경우에도 3년 이하의 금고 또는 수표금액 5배 이하의 벌금으로 처벌받게 된다. [40] SC제일은행과 우체국 금융창구 제외. SC제일은행은 9시 30분부터 16시 30분까지, 30분 늦게 대고객 업무시간을 개시하여 30분 늦게 영업을 종료한다. 우체국의 경우 업무 개시 시간은 9시로 같지만 종료 시간이 16시 30분으로 영업시간이 30분 가량 더 길다. 이외에 지역농협, 지역수협, 산림조합, 신협, 새마을금고 등은 조합에 따라 대고객 업무 시간을 자체적으로 연장하는 경우도 있다. [41] 그러다보니 하나원을 수료하고 나오는 북한이탈주민들의 애로사항 중 하나가 정착금을 인출하려 할때이다. 은행에 대한 불신이 높다보니 은행에 직접 입금된 정착금을 빼앗긴다 여겨 반발이 심했다고 한다. 다행히 한국의 은행과 북한의 은행이 다르다는 것을 깨달은 북한이탈주민은 은행에 대한 불신을 누그러뜨리기도 하나 아직도 북한에서의 생활상을 벗지 못한 일부 탈북민들은 잔여금액까지 모조리 뽑아다 집에다 보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한다. 게다가 은행에서 이자까지 준다는 사실에는 기절초풍을 한다고. '내 돈을 맡겼는데 오히려 돈을 준다고!?'라며 되려 놀란다. [42] 즉 은행에 돈을 맡기는 것은 곧 국가에 돈을 바친다고 보면 된다. [43] 이는 역효과를 불러와 그렇지 않아도 경제난에 허덕이는 북한 주민들을 더욱 힘들게 만들었고 더 이상 희망을 찾기 힘들어진 북한 주민들은 탈북을 결심하게 된 계기가 되었다. 뿐만 아니라 장마당이 활성화 되는 시초가 되었고 중국의 위안화와 달러가 공식 시중거래 화폐의 지위에 오르게 되었다. [44] 통상의 금융학자라면 예금자 보호 제도로 인해 오히려 리스크 지향적인 행태가 나타나서 문제라는 지적을 할 수는 있고, 또한 예금자 보호 제도 및 공적자금 공여가 완벽한 방어라는 말을 안할 수는 있지만 이하의 논리처럼 공적자금으로 방만한 경영을 보상하지 말아야한다는 류의 주장을 하지는 않을 것이다. [45] 보험금을 포함한 우체국에다 예치한 자금은 예외적으로 국가가 법적으로 지급 보장을 하도록 되어는 있다. 우체국과 별개로 개인을 상대로도 금융 업무를 취급하는 국책은행인 산업은행 기업은행, 특수은행인 NH농협은행 수협은행에다가 맡겨둔 예적금은 법적으로만 유사시에 예금보험공사가 보호한도 내에서 지급 보장을 한다고 할 뿐이지, 실제로는 운영 주체가 우체국 처럼 국가가 운영 주체가 되기 때문에 예금자 보호법에 정해놓은 한도를 초과한 자금을 예치했다고 해서 불안해 할 필요가 전혀 없다. 국책은행과 특수은행이 파산으로 망하는 시점이면 이미 대한민국 전쟁에 완패해서 멸망하는 시점이다. [46] 반면 일본의 은행법에는 이런 취지의 의무조항이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