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7 07:34:43

튀코 브라헤

티코 브라헤에서 넘어옴
<colbgcolor=#000><colcolor=#fff> 튀코 브라헤
Tycho Brahe
파일:Tycho_Brahe_2.jpg
본명 튀게 오테센 브라헤
Tyge Ottesen Brahe
출생 1546년 12월 14일
덴마크-노르웨이 스코네
사망 1601년 10월 24일 (향년 54세)
신성 로마 제국 보헤미아 왕국 프라하
직업 천문학자, 작가
모교 코펜하겐 대학교
라이프치히 대학교
로스토크 대학교
가족 배우자 (1572년경 결혼)
자녀 8명
종교 개신교( 루터회)
서명 파일:Tycho_Brahe_Signature.png

1. 개요2. 천문학자로서3. 기행과 죽음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s-media-cache-ak0.pinimg.com/9f51697ee38dee5aaf8df4b3aa1a652c.jpg
어딘가 부족한 초상화[1]
... 이 나라에[2] 한 세가(世家)가 있으니 이름은 제곡(第谷, 티코 브라헤)이다. 그는 높은 산 정상에 한 누대를 세워 천상(天象 천체의 현상)을 연구하였다. 전심전력하여 30년을 연구하였지만 측량의 기준이 맞지 않았는데, 그가 만든 하늘을 관측하는 기기는 매우 정묘하여 오늘날 서양 역법의 근원이 되었다.
- 조선 후기 학자 이의봉(1733~1801)이 저서 《북원록》에 남긴 평가. #

덴마크(현 스웨덴 남부 스코네 출신)의 천문학자. 교과서에서는 지동설의 성립에 주목하는 탓에 잘 언급되지 않지만, 과도기적이었던 16 ~ 17세기 천문학계에서는 언급할 만한 가치가 있는 인물이다. 천문학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의미로 대단한 사람이다. 의 '티코 크레이터'는 이 사람의 이름을 딴 것이다.

2. 천문학자로서

'인간 천문대'로 불릴 정도로 엄청나게 시력이 뛰어난 걸로 유명하다. 망원경이 없던 시절이었기 때문에 이 시력을 통해 그는 어마어마한 양의 정밀 관측을 할 수 있었고 덕분에 천문학자로 대성할 수 있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8px-Mauerquadrant.jpg
이런 것을 만들어놓고 의자를 이리저리 돌리면서 관찰하는 것이 그 시대의 관찰 방법으로, 보는 사람과 각도를 불러주는 사람, 계산하는 인간 컴퓨터[3]가 각각 따로 존재했다. 이 방법으로 그는 새로운 별이 생겨난 것을 발견해 천구는 영원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신성 사건은 당시 교회의 '중층적인 천구 중 가장 바깥의 천구는 영원불멸하다'는 천구 이론에 대하여 '영원불멸의 천구'에서 생사가 존재하는 별을 반례로 제시한 것이었다.[4] 그는 그 '별'을 계속 관측한 끝에 이를 토대로 『신성에 관하여』라는 책을 냈으며, 덕분에 학계의 유명인사가 되었다. 이후 정밀한 조사 결과 초신성임이 밝혀졌지만, 당시엔 초신성의 개념조차 없었으니 당연한 오류다.

한편 그 또한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 지동설에 대해 알고 그것을 확인하기 위해 노력했다. 천동설을 따를 경우 금성의 위상 변화와 연주시차, 즉 금성이 새벽과 저녁에만 보이면서 보름달에 가까운 위상이 보이는 것을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이 문제는 천동설과 지동설 사이의 갈등을 해결할 열쇠였다. 티코 브라헤는 자신의 그 미친듯이 뛰어난 눈을 가지고 노력했으나 안타깝게도 참담하게 실패했다. 그럴 만도 했던 것이, 연주시차는 단위가 와 분을 넘어서 초 단위로도 소수점까지 떨어지는 매우 작은 차이라 아무리 눈이 좋다 한들 맨눈으로 관측하는 건 불가능하다. 그럼에도 그는 주전원 같은 문제를 해결하며 천동설과 지동설의 중간 단계인 자신만의 체계를 만들어낸다.
일명 하이브리드 지동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76px-Tychonian_system.svg.png
달과 태양은 지구 주위를 돌고 다른 모든 행성들은 태양의 주위를 돈다는 것이 바로 그 체계다. 교과서에서는 천동설과 지동설을 모두 받아들였다고 하여 절충설이라고 나와있다. 당시의 천동설과 지동설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었으나, 요하네스 케플러식 지동설에 의해서 이 체계는 깨지고 만다.

이후 그 공로를 인정받아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2세로부터 코펜하겐 앞 외레순 해협의 벤(Ven) 섬과 그 곳의 주민들을 하사받았고, 그 곳을 "우라니보르크(Uraniborg,[5] '빛나는 성'이라는 뜻)"라고 이름붙인 뒤 자신의 천문학 기지로 삼았다. 이 외딴 섬에서 거대한 상한의(象限儀)[6]만을 사용하여, 20년 간 천체 연구를 하였고, 웅장하고도 포괄적인 항성목록을 작성하였다. 여기에는 변하는 행성의 위치를 그 배후의 항성과 대비시켜 나타내 주는 표들도 포함되어 있었다. 여담이지만 그의 서재에는 유명한 천문학자들을 그린 벽화가 있었는데, 마지막 인물은 바로 자신이었다. 사실 당대의 입장에서는 코페르니쿠스와 갈릴레이를 감안하더라도 틀린 말까지는 아니었으나, 그 바로 다음 세대에 천문학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천문학자이자 과학 혁명의 선구자, 천체역학의 창시자인 요하네스 케플러가 등장하는 바람에 묻혔다.

3. 기행과 죽음

한 번은 파르스베르크와 수학공식을 두고 서로 자신의 말이 옳음을 증명하지 못하여 결투를 벌이다 코가 날아가서 으로 만든 인조 코를 풀로 붙이고 다녔다고 했다. 그런데 2012년에 그의 시신을 분석한 결과, 그의 코 대용품은 금도 은도 아닌 놋쇠로 만들어졌음이 밝혀졌다. 다음은 최초의 브라헤 전기에 나온 사건 경위이다.
"티코는 갑자기 테이블에 앉아 있던 여러 동료들 중 파르스베르크와 언쟁을 시작했는데, 채 얼마가 되지도 않아 그 둘은 흥분한 채 덴마크 말로 싸우기 시작했다. 그러다가 서로 검투를 신청하게 되었고, 곧장 일어나 밖으로 나갔다. 그 당시 나의 할머니는 그들과 같은 방에서 함께 식사를 하고 있었는데, 덴마크 말도 알고 있었다. 나의 할머니는 테이블의 다른 친구들에게 그 둘 사이에 실제로 결투가 벌어지지 않도록 곧장 뒤따라가서 불행한 사건을 말려 달라고 요청했다. 그 둘이 교회 마당으로 나올 때까지도 다른 사람들은 시끌벅적한 파티를 이어갔는데, 결국 티코는 자신의 코를 베어가는 칼끝의 일격을 당하고 말았다.[7]"

티코는 자기의 연구에 방해가 되는 일은 일절 허용하지 않았다. 상술했듯이 섬 하나를 주었으니 섬의 모든 주민들은 티코만 위해서 일했고, 그는 천문학 연구에 필요한 돈을 거두는 데에 인정사정이 없었으며, 주민들에게 소작료를 어김없이 징수하려고 관측소 안에 감옥을 만들어 놓았고, 누구든 지불을 게을리해서 자금 공급에 위험을 주면 즉각 가두어 버렸다.[8] 이를 견디지 못해 주민들의 항의가 심해지자 덴마크 왕은 원조를 중단했다.

매우 황당한 계기로 사망했는데, 그의 죽음은 이 사람이 컬트적인 인기를 끄는 이유이기도 하다. 한 귀족의 만찬에 초청되었는데, 오줌이 마려웠으나 체면 때문에[9] 오줌을 너무 오래 참다가 너무 많이 참은 나머지 오줌을 쌀 수 없을 정도의 상황으로까지 악화되어 급성 방광염에 걸려 버렸고, 이게 악화되어 11일 후에 죽고 말았다. 모두 그의 죽음을 애도하였고, 그의 죽음을 슬퍼하던 조수 요하네스 케플러는 티코 브라헤가 살아 생전에 보여주지 않아 그토록 갈망하던 관측자료를 손에 넣었다. 브라헤의 관측자료와 케플러의 천재성이 만나 나중에 천문학, 나아가서 물리학 등 과학의 다른 분야에도 엄청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티코 브라헤가 죽은 지 300년 후인 1901년에 예배당 바닥 무덤에 안장된 그의 관을 열어 본 과학자들은 그의 시신에서 수은이 발견되었다는 이유로 그의 자료를 탐내던 케플러에 의한 독살설을 주장하기도 했다. 하지만 위에 적혀 있듯이 2012년에 덴마크의 한 대학에서 그의 시신을 다시 분석한 결과는 수은이 검출되지 않아서 독살설은 부정되었다.[10]

1994년에 다윈상을 받았다. (...)

2019년 6월 16일자 신비한 TV 서프라이즈에서 다뤄졌다.


[1] 왼쪽을 보는 옆얼굴을 그리려다 정면으로 바꾸면서 실패한 것으로 보인다. [2] 덴마크를 의미한다. [3] 티코 브라헤가 고용한 유명한 컴퓨터로는 요하네스 케플러가 있다. 케플러는 어린시절 천연두의 영향으로 시력이 좋지 않은 대신 수학적 능력이 뛰어나 우수한 인간 컴퓨터였는데, 후술하듯 티코 브라헤 사후 관측자료를 넘겨받아 계산을 통해서 여러 천문학적 업적을 남긴다. [4] 1572년의 초신성 폭발인 SN 1572를 관측한 것이었다. 티코의 저서 외에 이 초신성이 기록된 문헌으로는 이이가 저술한 『석담일기』, 조선의 『 선조수정실록』, 명나라의 『 신종현황제실록』등이 있다. 현대의 연구를 통해 동반 거성에 의해 일어난 Ia형 초신성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5] 모국인 덴마크어로는 Uranienborg라고 쓴다. [6] 90도의 눈금이 새겨져 있는, 부채 모양의 천체 고도 측정기. 18세기까지 쓴 것으로, 한 변은 수직이 되도록 고정하고, 부채꼴의 중심점과 천체를 연결하는 선을 눈금으로 읽어 천체의 높이를 잰다. '사분의(四分儀)'라고도 한다. [7] 결투 상대가 어떻게 되었는지에 대한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8] 만화로 보는 현대과학의 세계에서는 우라니보르크의 귀족인 듯한 주민들이 한 명씩 '관측반장'이니 '식사보급반장'이니 하면서 자기소개를 하는데, 마지막의 평범한 농부에겐 세금납부반으로 꺼지라며 발길질을 한다. [9] 당시 주인이 일어나기 전에 손님이 먼저 일어서면 굉장히 무례한 행동이었는데 주인이 계속 일어나지 않아 계속 참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10] 여담으로 브라헤의 사슴은 맥주를 과다하게 마셔 술에 취해 죽었다. 그 주인에 그 사슴이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