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1-19 01:31:18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항성 은하천문학
Stellar & Galactic Astronom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 항성천문학
항성 ( ) 광도 · 별의 등급 · 색등급도 ·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 별의 종족 · 다중성계( 쌍성) · 변광성 · 성단( 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항성 진화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갈색왜성 · 티타우리 별 · 주계열성 · 적색거성 · 적색초거성 · 볼프–레이에별 · 행성상성운 · 초신성( 중력붕괴 · 좀비별 · 감마선 폭발)
밀집성 백색왜성( 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 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 에딩턴 광도)
성간물질 성운( 전리수소영역) · 패러데이 회전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 분류) · 활동은하핵( 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 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 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 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 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 은하단 · 화로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1. 개요2. '별'의 지칭 범위3. 관념4. 성질
4.1. 형태4.2. 거리4.3. 밝기4.4. 크기 및 질량4.5. 온도 및 색상
5. 비유6. 언어별 명칭7. 대중매체에서8. 관련 문서

1. 개요



밤하늘에 점의 모습으로 반짝거리는 천체.

2. '별'의 지칭 범위

별이 영어로 star라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지만, 사실 영단어 star는 항성만을 뜻한다. 한자문화권에서 별을 항성 행성으로 나눴던 것처럼, 고대 그리스에서도 별을 고정된 별과 떠도는 별로 구분했는데, 이게 전해져 오다가 행성은 떠돌이라는 뜻의 planet이라는 이름이 붙고, 항성은 그냥 star라고 부르게 되었다.[1] 그래서 천문학에서 star는 오직 항성만을 뜻하며, 행성은 star가 아니라 planet이다.

문제는 민간에서 여전히 sun, moon, star 분류법을 관습적으로 사용한다는 점이다. 때문에 star는 별일수도 항성일 수도 있다. 가령 일론 머스크의 starlink와 starship이 대표적인 예이다. 이는 문맥에 따라 파악하는 수밖에 없다.

한국어 별 역시 일상적인 용어로 항성뿐만 아니라 행성, 유성등을 포함하는 단어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지구별'과 같이 일상 속에서 '별'로 호칭되는 경우도 흔한데 아기공룡 둘리 얼음별 대모험은 이러한 용례의 대표적인 예시. 오히려 항성의 일종인 태양은 일반인에게는 '별'로 치지 않는 분위기가 강하다. 일반적으로 '별'하면 밤하늘에 떠 있는 우리에게는 조그마하게 보이는 항성을 연상하기 때문. 한편 금성 샛별로도 불리는 것처럼 태양빛을 반사해 밤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행성도 조그만한 점으로 반짝이기에 별 취급을 받기도 한다.

한때는 블랙홀을 제외하고 표면적이 존재하는 모든 단일 천체를 '별'이라 불려도 상관이 없었으나 이젠 지구를 포함한 행성 천문학계에서 '별'로 인정하지 않는 추세이다. 이는 영어식 표준 천문용어들을 한국 천문용어와 등치시키려는 목적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런 움직임에 반대 입장을 보이는 이들도 존재한다. 이미 핵융합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는 천체만을 지칭하는 항성이란 용어가 존재하니 '별'은 항성은 물론 행성, 위성, 유성, 혜성 등 표면적이 존재하는 단일 천체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정해두고 항성( 붙박이 별)이라는 용어만 star와 등치시키는 쪽을 지지하는 게 이들의 입장이다.

3. 관념

보통 저녁~새벽 시간대에 떠 있으며 행성이나 태양, 등과 달리 천구상의 한 지점에서 움직이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옛 사람들은 별들이 천구에 고정되어 있는 불멸의 존재라고 여겼으며, 이 별들을 잇고 전설을 붙여서 별자리라는 것을 만들어냈다. 옛날에는 이 별자리와 북극성, 남십자성을 보고 방향과 절기를 알았으며, 시력 검사에도 쓰였다고 한다. 큰곰자리( 북두칠성)의 미자르가 그 예이다.

문제는 이 불멸의 존재라는 것이 종교와 엮임에 따라 다른 주장을 펼치기 곤란해지기도 하였다. 후에 티코 브라헤가 새로운 별을 발견하고 다른 여러 가지 증거에 의해 해결돼서 이런 경향은 사라진 편.

4. 성질

4.1. 형태

문자나 도형으로 표기할 때는 * 같은 5각이나 6각으로 뾰족한 모양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건 밤하늘에 밝게 빛나는 별에서 '반짝'하고 퍼져나오는 빛살을 추상화한 것으로 보인다. 5각별의 경우 오망성(Pentagram)이라고 불리며 오망성을 뒤집은 형태인 역오망성은 사타니즘의 상징으로 채택되기도 했다. 6각별은 다윗의 별이라고 불리며 현재 이스라엘의 국기에 사용되고 있다.
파일:attachment/별/star.jpg
천칭자리 알파별 주벤엘게누비
천체 망원경으로 찍은 천체 사진을 보면 밝은 별은 작은 광점으로 찍히지 않고 위 사진처럼 십자형 또는 X자형으로 빛살이 퍼져나온다. 이는 크로스 필터 등으로 빛살이 퍼지는 효과를 일부러 준 것이 아니라 반사식 망원경에서 부반사경을 고정 지지하는 스포크로 인해 빛이 스포크의 경계에서 회절하여 빛이 퍼지기 때문이다. 스포크가 필요 없는 굴절식 망원경 또는 반사식 망원렌즈는 이런 십자형 빛살이 생기지 않는다. 상당히 SF적인 느낌이 들기에 우주 같은 것을 그릴 때 일부러 이런 빛살을 넣기도 한다.

천문대나 고배율의 천체 망원경으로 보면 밤하늘의 별이 아주 크게 보일 것이라 생각할 수 있으나, 행성이 아니라면 몇 배율로 봐도 지구에서 보면 별은 그냥 으로 보인다.

4.2. 거리

연주시차[2]를 이용하면 지구에서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연주시차가 1''(=1/3600º)인 별의 거리를 1 pc( 파섹)라 한다. 1pc는 약 3.26 광년에 해당하는 상당히 먼 거리이다. 연주시차와 별의 거리는 반비례 관계를 가진다. 참고 자료

4.3. 밝기

광체의 밝기 단위는 ' 등급'을 쓰며 절대등급(10 pc의 위치로 옮겼을 때로 가정한 밝기)과 겉보기등급(실제로 지구에서 봤을 때의 밝기)으로 나뉜다. 또한 겉보기등급은 사진등급과 안시등급으로 나뉜다. 이러한 별의 등급은 높은 숫자일수록 어둡고, 낮은 숫자일수록 밝다. 수능 등급처럼 자연수만 있는 게 아니고 0과 음수도 될 수 있고 소수점도 가능하다. 숫자가 작을수록 밝은 별이며, -1등급이면 2.5배 밝아지고 +1등급이면 2.5배 어두워진다. 5등급의 차이가 나는 별은 2.55 = 97.66배 밝기 차가 나게 되는데 편의를 위해 100배로 근사하여 계산하기도 한다.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우리나라에서는 시골로 멀리 나가야 볼 수 있게 되었다. 그래도 충분히 맑은 날에는 서울 한복판에서도 1등성은 충분히 볼 수 있다. 특히 날씨가 맑은 날이 많고 밝은 별이 많이 뜨는 겨울철에는 대도시에서도 '이렇게 별이 많이 보였나?'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많은 수의 별을 볼 수 있다. 금성이나 목성의 경우는 매우 밝기 때문에 날씨가 웬만큼 흐리지 않는 이상 어디서든지 볼 수 있다. 흔히 도시에서 별이 보이지 않는 이유가 대기 오염 때문이라는 주장이 많지만 사실은 불빛으로 인한 광공해의 문제가 가장 크다. 가까운 곳에 밝은 광원이 있으면 암순응을 해치게 되며, 도시 불빛이 멀리 떨어져 있더라도 대기에 반사되어 전체적인 밤하늘의 밝기를 높여버리는 효과가 있다. 이는 육안관측 뿐만이 아니라 천체사진 촬영시에도 가장 큰 장애물이 되는데 별은 아주 작은 점광원이기 때문에 이를 촬영하려면 장노출 고감도 촬영이 필요한데 이는 배경의 광공해까지 함께 담아버리기 때문에 장노출을 하자니 사진이 새하얗게 타버리고 노출을 줄이거나 저감도를 하자니 별이 안 찍혀버리게 되어 천체사진 촬영에 큰 어려움을 준다. 천체사진 최고의 장비는 광공해가 없는 지역의 밤하늘이라고 할 정도.

우주가 무한하다고 가정할 때 하늘의 별 또한 무수히 많을 것이므로, 지구에서 밤에 하늘을 바라보면 '시선 방향에 어딘가는 별 표면이 위치하기 때문에 태양처럼 밝아야 한다'라는 패러독스는 흔히 천문학에 입문할 때 수수께끼처럼 던져지는 명제다. 단순히 아주 먼 곳에 있는 별빛 가운데에는 아직 지구에 도달하지 못한 빛들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게 간단한 내용은 아니다. 올베르스의 역설 문서로.

4.4. 크기 및 질량

2022년까지 관측된 바로 가장 큰 별은 방패자리 스티븐슨 2-18. 태양 반경의 2150배 정도이며,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인 AU로 치면 대략 10 AU 정도의 크기이다. 만약에 이 별이 지금의 태양 자리에 있다면 천왕성에 닿을 정도의 거리가 된다.

가장 무거운 것은 황새치자리 산개성단 R136에 속한 R136a1. 극대거성이자 볼프-레이에별이다. 질량이 태양의 265배에 달한다. 현재까지 발견된 항성 중에서 독보적인 질량.

4.5. 온도 및 색상

파일:1604653935753.gif
별의 온도는 '따뜻한 색'과 '차가운 색'에 대한 일반적인 느낌과 정반대로 돌아간다고 보면 된다. 보통 색상에 대한 느낌을 분류하면 빨간색, 노란색, 주황색 등은 따뜻한 색 으로 파란색, 흰색, 보라색 등은 차가운 색 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별의 온도는 '색지수(Color Index)'에 따라 책정되어, 빨간색 별이 가장 차가운 별이고 노란색과 흰색은 중간 정도이며 파란색 계열 별들이 오히려 가장 뜨거운 별이다.

파란색 별은 표면 온도가 무려 30,000 K에 달한다. 노란색 별은 의외로 5,150 K에 불과해 상대적으로 차가운 편이며 적색 거성은 그보다 더 낮아서 3,840 K에 불과하다.

5. 비유

누구나 우러러 볼 수 있는 아주 높은 지위에 있는 사람, 즉 천상계를 가리키기도 한다. 여기서 파생된 별들의 전쟁은 천상계끼리의 싸움을 뜻한다. 비슷한 의미로 한자로도 거성이라고 하기도 한다.

그리고 밤만 되면 모두가 고개 들어 천구에 달린 빛나는 별들을 볼 수 있기 때문에 명예의 전당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그리스 신화에서 기릴 만한 인물들이 별자리로 박제되는 것도 이 상징적 의미와 관련있다. 태양이 따뜻한 햇살과 빛을 가져다 주는 고마운 신급 존재로 추앙받는다면, 별은 인간계 내 기릴만한 존재 정도[3]로 묘사된다.

스포츠에서는 우승횟수를 별로 표현하는 경우도 많다.

그리고, 군대에서 장성급 장교 계급으로 별을 사용한다. 그래서 회사에서 임원이나 이사같은 고위직으로 영전하면서 승진하면 "별을 달았다" 같은 표현으로 비유하기도 한다. 또한 이런 사람들이 많이 모여있으면 이를 은하수라고 부르기도 한다. 조직 내 문제로 인하여 이런 사람들이 우수수 옷을 벗으면 별똥별이라고도 한다.

야구에서는 심판의 스트라이크 존이 이상할 때 별존이라고 부른다. 거기다 회전까지 하면 절정 그 자체. 강광회 문서에 회전하는 별존이 있다.

만화 등에서는 강하게 머리를 맞았을 때 머리 위에 별 여러 개가 빙글빙글 도는 표현을 사용한다. 이를 말로 표현해서 '별이 보인다'라고 말하기도 한다. 이는 실제로 머리를 강하게 맞으면 하얀 점들이 보이는 현상에서 유래되었다. 비문증의 다양한 증세 중 하나이다.

개그 장면에서 캐릭터를 하늘로 날리면 하늘의 별이 되어 반짝하고 사라지는 만화적 표현이 있다. 가장 유명한 예시로는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로켓단 삼인방이 있다.

6.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별( 순우리말)[4]
한자 ()
게르만조어 sternô/sternaz
고트어 staírnō
교회 슬라브어 gvězda
그리스어 αστέρας(아스테라스)
ἀστήρ(astḗr, 아스테르)( 고대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ster
네팔어 तारा(tārā, 타라)
독일어 Stern(슈테른)
라틴어 stēlla/stella(스텔라), astro(아스트로)
러시아어 Звезда(즈베즈다)
루마니아어 stea(스테아)
마라티어 तारा(tārā, 타라)
마인어 bintang(빈땅)
말라얄람어 നക്ഷത്രം(nakṣatraṁ)
몽골어 од(od, 어드)
미얀마어 ကြယ်(cɛ, 채)
베트남어 sao, ông sao[5], ngôi sao[6]
벵골어 তারা(tārā, 타라)
브르타뉴어 sterenn
산스크리트어 क्षत्र(satra), स्तृ(stṛ), स्त्रि(stri), तारा(tara, 타라), तारक(tāraka, 타라카)
스와힐리어 nyota(뇨타)
스페인어 estrella(에스트렐라)
싱할라어 තරුව(taruva)
아랍어 نجمة(najima), نجم(nazm(un), 나즘(나즈문)), كَوْكَب
아르메니아어 աստղ(astł, 아스터흐, 아스트)
아이누어 ノチュ/nociw(노츄)
영어 star(스타)[7]
steorra( 고대 영어)
sterre( 중세 영어)
암하라어 ኮከብ(코커브)
오리야어 ଦକ୍ଷିଣ
우르두어 ستارہ
우즈벡어 yulduz(율두즈)
원시 인도유럽어 *H₂ster/ *H₂stḗr
웨일스어 seren(세렌)
에스페란토 stelo(스텔로)
이탈리아어 stella(스텔라)
일본어 [ruby(星, ruby=ほし)](호시), [ruby(星, ruby=せい)](세이)
중국어 [ruby(星, ruby=xīng)], [ruby(星星, ruby=xīngxing)]
중세 아일랜드어 ser
칸나다어 ನಕ್ಷತ್ರ(nakṣatra)
쿠르드어 stêr
크메르어 ផ្កាយ(phkay, 프까이)
타밀어 நட்சத்திரம்(naṭcattiram)
태국어 ดาว(dāw, 따우)
터키어 yıldız(이을드즈)
텔루구어 నక్షత్రం(nakṣatraṁ)
토하라어 śreñ( 토하라어 A: 아그니 방언)
ściriñ( 토하라어 B: 쿠차 방언)
티베트어 སྐར་མ་ སྐར་མ།(skarma, 까마)
파슈토어 ستوری(stóray)
페르시아어, 다리어 ستاره (setâre, 세터레)
펀자브어 ਤਾਰਾ(tārā, 타라)
포르투갈어 estrela(에스트렐라)
프랑스어 Étoile(에투알), Astre(아스터)
헝가리어 csillag(칠러그)
히타이트어 ḫasterza
히브리어 כוכב(koˈxav, 코하브)
זֵתַר(zethar)(고대 히브리어)
힌디어 तारा(tara, 타라), तारक(ta:rak)

7. 대중매체에서

8. 관련 문서



[1] 행성은 주행성(primary planet), 위성은 부행성(secondary planet), 소행성은 작은행성(small planet)이라 블렀다. 하지만 민간 점성술의 영향으로 부행성과 작은 행성 또한 행성에서 퇴출되어 위성(satellite), 소행성(asteroid)이 된다. [2] 관측자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물체를 바라보았을 때 생기는 의 1/2 [3] 때문에 선조들의 영혼이 별이 되었으며 인간들은 선조들의 도움을 받아 항해한다는 세계관이 생기기도 했다. [4] 신라 향가 혜성가에서는 星利로 표기되어 있다. 일부 언어학자들은 이를 함경 방언인 '베리' 등과 연관지어, 고어형은 '벼리'나 '볘리'처럼 2음절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5] '별님'과 유사한 뉘앙스가 있다. [6] 한정사를 붙여 별이라는 것을 명확히 한 표현. [7] 프랑스어 단어 Étoile(에투알)에서 온 Etoile(에투알)도 있다. 한국어 '별'과는 달리 천문학에서 학술적 용어로도 사용되는데, 그 경우 항성을 뜻한다. [8] 남십자성의 사신 [9] 별을 일본어로 발음하면 홋시가 된다, 본명인 아크룩스는 남십자성을 이루는 구성인 항성이다 [10] 이쪽은 진짜 별이다. 밤 하늘의 클로버 에피소드로. [11] 단간론파 시리즈가 아니다. [12] 오각형의 반짝이가 아닌, 태양과 같은 항성으로서의 별. [13] 별을 창조해낸 존재이다. [14] 본인이 하늘의 별이 되었다. [15] 별명이 저녁별이다. [16] 무려 별의 창조자다. [17] 이쪽은 스킬명부터가 암흑 물질, 사건의 지평선, 태초의 폭발이다. [18] 이쪽은 그냥 별 속성이라기 보단 구체적으로 태양 속성의 캐릭터이다. [19] 2D에서는 무적아이템으로 등장. 3D의 경우 일부를 제외하고 클리어 목표로 등장. 별개로 SMG에서는 아이템인 스타구슬로 등장. 마의 6분 45초 [20] 코스믹 오브가 별 역할을 한다. [21] 정확한 모티브는 별사탕. 사탕이라 그런지 가면이 ☆모양이다. [22] 거기다 이 쪽은 위에 있는 캐릭터와 많이 닮았다! 위에 있는 캐릭터의 의인화 버전이라고 해도 믿을 수준. [23] 모두 신체에 ☆무늬가 새겨져 있고 별의 힘을 사용하며, 그 중에서 특히 아키넬라는 온몸과 말투에 ☆과 ★을 두른 캐릭터다. [24] 뿌요 소멸 동작은 물론, 연쇄 주문도 별과 관련된 것들이 많다. [25] 오행에 통달했다는 상징이다. [26] 전체 줄거리가 하늘에서 떨어진 별 이베인을 향한 모험 이야기이다. [27] 레어에서는 관련 잡지를 보고 우주비행사 비슷한 옷을 입고, 신데걸즈 극장에서는 별자리에 해박한 모습을 보인다. 게다가 솔로곡 모두 제목이 별과 관계있다. [28] 이름에서부터 호시(별)이 들어가 있다. [29] 스바루 (スバル)는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호쿠토 (北斗)는 북두칠성을 나타낸다. 두 캐릭터가 있는 유닛명마저도 트릭스타이다. [30] 워터폴에서 망원경 사업을 하는 샌즈 옆 근처에서 만나볼 수 있다. 하늘을 볼 수 없는 지하세계이기 때문에 별이 무엇인지 모른다. 별을 먹을 수 있는지, 만질 수 있는지, 죽일 수 있는지 궁금해하며, 주인공이 우산을 가져와도 그게 별이냐고 묻는다. [31] 별 탄막을 흩뿌리는 "스타 블레이징/갤럭타 블레이징" 공격을 한다. [32] 죠죠 3부의 스탠드의 이름은 타로카드에서 따오는데, 스타 플래티나는 별의 타로카드에서 이름을 따왔다. [33] 별들이 주변을 맴돌며 별가루젤리를 뿌리는 것이 쿠키의 능력이다. 마법사탕 재료도 별조각ㅡ>작은별이다. [34] 쿠키런의 펫들은 보너스타임에 들어가면 눈이 별 모양으로 빛난다. [35]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에서는 '천상의 별'로 바뀌었다. [36] 이쪽도 이세하와 비슷하게 스킬 이름이 별과 관련되어있다 스킬 이름들이 모두 별자리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결전기의 이름만 별과 관련되어있는 이세하와 달리 루나는 모든스킬이 다 별과 관련되어있어 루나쪽이 더 연관성이 많은 편. [37] 별과 관련된 기술을 사용해서 나온 메카니멀이고 별의 수호자란 별명이 있다. [38] 스토리 상에서 별구름이라 불린다. [39] 스위츠에 들어 있어 사람을 기쁘게 해주는 별 알갱이 형태의 에너지인 키라키라루가 작중에서 주로 다뤄진다. [40] 약 스포) 눈에 별 반짝이가 들어가는 쌍둥이 요정이다. [41] 정확히는 은하수가 상징이다. [42] 1기 1회에서 자신을 소개할 때 별을 언급했고, 밝고 명랑한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주인공이다. [43] 소속 비밀결사인 MMM의 로고가 오각성을 연상시킨다. [44] 내 문서함에 문서를 넣는 아이콘이 별 모양이다. 이 문서의 별이 다른 문서에 비해 유난히 많은 것도 이것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