嫌 싫어할 혐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女, 10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3획
|
||||
고등학교[1]
|
3급
|
||||||
嫌[A]
|
|||||||
일본어 음독
|
ケン, (ゲン)
|
||||||
일본어 훈독
|
きら-う, いや, うたが-う
|
||||||
嫌[A]
|
|||||||
표준 중국어
|
xián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嫌은 '싫어할 혐'이라는 한자로, '싫어하다', '꺼리다' 등을 뜻한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5ACC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TXC(女廿難金)로 입력한다.훈을 나타내는 女(계집 녀)
3. 용례
3.1. 단어
- 공혐( 控嫌)
- 구혐( 舊嫌)
- 기혐( 忌嫌)
- 노혐( 怒嫌)
- 무혐( 無嫌)
- 사혐( 私嫌)
- 세혐( 世嫌)
- 소각지혐( 銷 刻 之嫌)
- 수혐( 讎嫌)
- 숙혐( 宿嫌)
- 시혐( 猜嫌)
- 여혐( 餘嫌)
- 용혐( 用嫌)
- 원혐( 遠嫌/ 怨嫌)
- 이혐( 貳嫌)
- 인혐( 引嫌/ 姻嫌)
- 작혐( 作嫌)
- 전혐( 前嫌)
- 증혐( 憎嫌)
- 친혐( 親嫌)
- 피혐( 避嫌)
- 함혐( 含嫌)
- 혐가(嫌 家)
- 혐개(嫌 介)
- 혐극(嫌 隙)
- 혐기(嫌 忌)[4]
- 혐기(嫌 氣)[5]
- 혐기(嫌 棄)
- 혐노(嫌 怒)
- 혐명(嫌 名)
- 혐문(嫌 文)
- 혐방(嫌 謗)
- 혐삽(嫌 澁)
- 혐시(嫌 猜)
- 혐심(嫌 心)
- 혐애(嫌 礙)
- 혐연권(嫌 煙 權)
- 혐염(嫌 厭)
- 혐오(嫌 惡)
- 혐외(嫌 畏)
- 혐원(嫌 怨)
- 혐의(嫌 疑)
- 혐점(嫌 點)
- 혐정(嫌 情)
- 혐질(嫌 嫉)
- 혐체(嫌 遞)
- 혐피(嫌 避)
- 혐핍(嫌 逼)
- 혐한(嫌 恨)
- 혼혐( 婚嫌)
- 회혐( 懷嫌)
3.2. 고사성어/ 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배드 엔드 영화는 싫어( バッドエンドの映画は嫌いなんだ)
- 생명에게 미움받고 있어.( 命に嫌われている。)
- 아가씨는 기분이 나쁘다( お嬢様はご機嫌ナナメ)
- 정말 싫었을 터였어.( 大嫌いなはずだった。)
- ジェニーはご機嫌ななめ( 제니는 저기압)
3.6. 기타
4. 유의자
- 싫어하다
- 꺼리다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 鹻/ 𨢑[⿰酉兼](소금기 감)
- 謙/ 嗛(겸손할 겸)
- 鎌(낫 겸)
- 鰜(넙치 겸)
- 鼸(도마뱀 겸, 두더지 혐)
- 槏(문설주 겸, 난간 렴)
- 𦩵[⿰舟兼](밑깊은배 겸)
- 嵰(산높고험한모양 겸)
- 傔(시중들 겸)
- 慊(앙심먹을 겸, 족할 협)
- 䯡(여윈모양 겸)
- 㻩(옥돌 겸)
- 縑(합사비단 겸)
- 膁(허구리 겸)
- 𨐩[⿰辛兼](힘들 겸)
- 磏(거친숫돌 렴)
- 𦖾[⿰耳兼](귀처질 렴)
- 𠔨[⿰乆兼](끊을 렴)
- 䁠(내리깔 렴)
- 𪖳[⿰鼻兼](매부리코 렴)
- 稴(메벼 렴)
- 𧰋[⿰壴兼](북칠 렴)
- 熑(불꺼지지않을 렴)
- 𠗳[⿰冫兼](살얼음 렴)
- 𪐋[⿰黍兼](성긴모양 렴)
- 㼓(오이씨 렴)
- 溓(질척질척할 렴)
- 搛(집을 렴)
- 螊(팽월 렴)
- 㡘(휘장 렴)
- 䭑(흉년들 렴/겸, 떡소 함)
- 𨃰[⿰𧾷兼](공차는기술 엄)
- 隒(낭떠러지 엄/렴)
- 𪙊(이고르지아니할 염)
- 賺(속일 잠)
- 𤑃[⿰炙兼](고기소 함)
- 𥻧[⿰米兼](메벼 함)
- 豏(콩반쯤싹틀 함)
- 㺌(싸울 혐)
- 馦(향긋할 혐)
- 㽐(향기로울 혐)
- 𱍵[⿰リ兼]
- 𠁟[⿰並兼]
- 𡏊[⿰土兼]
- 𢐎[⿰弓兼]
- 𱝀[⿰并兼]
- 𮖨[⿰衤兼]
- 𫇗[⿰舌兼]
- 𫘕[⿰馬兼]
7. 여담
- 한국 한자음으로 '혐' 발음을 갖는 한자 중 많이 쓰이는 한자는 이 한자 외에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