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게임에 대한 내용은 살아남아라! 개복치 문서 참고하십시오.
개복치[1] Ocean sunfish[2] |
|
|
|
학명 |
Mola mola ( Linnaeus, 1758)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기어강(Actinopterygii) |
목 | 복어목(Tetraodontiformes) |
과 | 개복치과(Molidae) |
속 | 개복치속(Mola) |
종 | 개복치(M. mola)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복어목 개복치과에 속하는 어류. 개복치속의 모식종이다.
2. 특징
현생 경골어류 중 가장 큰 종으로[3] 평균적인 길이는 1.8m이고 지느러미 간 길이는 2.5m이다. 성체의 무게는 평균적으로 247~1,000kg까지 나갈 수 있다. 기록된 최대 길이는 3.3m, 최대 무게는 2,300kg이다.쟁반형의 거대하고 넓은 몸에 몸의 끝쪽 위 아래로 뾰족한 지느러미가 돋아나 있으며, 그 외에도 꼬리지느러미가 달려있지만 돌출되어 있지는 않고, 배지느러미조차 없어서 얼핏 보면 물고기보다는 연에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어류 중에서도 외피가 매우 질긴 편이라서[4] 손도끼, 톱 등으로 절단하며,[5] 아주 예리한 칼로 겨우 손질할 수 있을 정도다. 그래서 다른 물고기들이 개복치의 단단하고 거친 외피에 몸을 문질러 기생충을 떼어내는데, 이때 항생물질도 같이 분비되어서 치료 효과를 낸다고 한다. 그래서 바다의 의사라는 이명도 있다. 그런데 정작 개복치는 움직임이 느려서 기생충이 살기 좋은 환경이라 최대 40여 종에 달하는 기생충들을 달고 산다.[6]
수컷은 주둥이가 앞쪽으로 돌출되었지만 암컷은 주둥이의 앞 끝이 거의 수직이라 암수를 구별할 수 있다.
3. 생태
온대성 어류로서 보통 바다의 표층[7]에서 헤엄쳐 다닌다는 인식이 강하지만, 실제로는 수심 600m까지 잠수해 먹이활동을 하는 등 상당히 넓은 범위를 오가면서 생활한다. 지금까지 관측된 가장 깊이 잠수한 기록은 심도 844m라고 한다. 그러다가 하늘이 맑고, 파도가 없는 조용한 날에는 바다 표면에 떠올라 등과 등지느러미를 물 위에 내놓고 물살에 따라 둥실둥실 움직인다. 이는 깊은 수심에서 먹이활동을 한 뒤 체온 조절을 위해 일광욕을 하는 것이다.[8][9]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수면 위로 점프하기도 한다.특이한 모습 때문에 재빠르게 움직이는 것이 불가능할 것처럼 보이지만, 의외로 등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를 통해 순항속도 2.2km정도로 빠르게 수영할 수 있다.[10] 90도 회전되었을 뿐이지 펭귄과 같은 유영방법을 쓴다고 한다. 관측된 최대 시속은 8.6km로 매우 빠른 편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숫자가 작아 느려보이지만 사람의 수영 최고속도가 시속 4~5km 정도라는 것을 알고 비교하면 그 속도를 실감할 수 있다. 입 주변에 모여드는 플랑크톤, 소형 어류, 부유성 갑각류, 해파리[11]등을 먹고 산다. 실제로는 해파리보다는 오징어를 더 많이 먹는다. 또한 개복치는 어류임에도 부레가 없는데, 젤라틴질 피하조직으로 깊이에 상관없이 중성부력을 얻을 수 있고, 부레가 없기 때문에 빠른 잠수와 상승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잠을 잘 때는 바다 위에 누워서 잔다.
3.1. 성장 과정
알에서 막 태어났을 때와 다 자랐을 때의 모습을 비교해 보면 같은 개복치라는 것을 믿기 어려울 정도다. 갓난 새끼일 때에는 여타 물고기들처럼 꼬리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 배지느러미, 등지느러미 등이 모두 있지만 자랄수록 점점 개복치 특유의 모습으로 변한다.
[12]
개복치는 자라면서 꼬리지느러미가 퇴화하고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가 비대하게 커지는 반비례 성장을 하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헤엄치는 모습을 하게 된다.
이렇게 성장하여 우리가 아는 개복치가 되는 것이다. 수명은 성체가 되어서야 약 20년쯤 되며, 성체가 되지 못하는 개체는 빠르면 1주일 안에 죽기도 한다.
3.2. 별별 이유로 죽는 물고기?
2ch를 비롯한 일본 웹에서는 점프 후 착지의 충격으로 죽는다든가 하는 별의별 해괴한 이유로 죽어나가는 개복치가 개그 소재로 유명한데, 모바일 게임 살아남아라! 개복치가 바로 이 소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이 때문에 한국에서도 개복치는 잘 죽는 생물의 대명사로 쓰이며, 게임에서 잘죽는 캐릭터에게 'X복치'라는 별명을 붙이기도 한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일본에서 나온 개그일 뿐이다. 실제로 개복치는 그렇게 잘 죽는 어종이 결코 아니다. 앞서 언급했다시피 개복치의 피부는 다른 어류들보다 엄청 질기고 덩치도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에 성체가 되면 천적이 사실상 없다. 위 움짤의 말도 안되는 크기를 보면 알겠지만, 개복치와 무언가가 충돌했다면 부딪힌 생물 목숨 걱정을 해야 할 판이다. 인간과 개복치의 덩치 비교, 1분 30초부터 흔히 알려진 것처럼 툭하면 죽는 종이었다면 가뜩이나 개체 수가 적은 동물이기에 개복치는 진작에 멸종했을 것이다.
알을 3억 개나 낳는데 그 중 1마리만 살아 남는다는 얘기도 확인되지 않은 얘기다. 이러한 오해(?)는 1921년 생물학자 요하네스 슈미츠가 『 Nature』에 기고한 글, "개복치의 난자에서 미성숙한 난세포를 3억 개 이상 발견했다 (ovary was found to contain no fewer than 300 milion small unripe ova.)"는 글에서 비롯됐다. 즉, 난세포가 3억 개라는 말이, 알이 3억 개라는 말로 잘못 전해진 것이다. 실제로 개복치가 몇 개의 알을 낳고 그 중 몇 마리가 살아 남는지는 아직 연구되지도 않은 주제이다. 따라서 3억 개의 알에서 깨어난 개복치 치어들이 온갖 이유로 사망한다는 속설은 거짓말에 불과하다.
다만 인간이 만든 수족관에서 덩치 큰 개복치는 엄청난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에 빨리 죽는 것은 사실이다. 게다가 개복치는 주로 원양과 심해에서 서식하는 물고기라 수족관에서 기르기 매우 힘들며[13] 이런 이유 때문에 개복치가 빨리 죽는다는 오해가 널리 퍼진 듯 보인다. 다만 인간에게 사육되는 과정은 원체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을 수밖에 없는 환경이기 때문에, 백상아리같은 해양 최상위 포식자나 돌고래처럼 지능이 높은 해양포유류도 수족관에 넣자마자 죽어버리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점은 감안한다면 개복치만 유달리 "별별 이유로 죽는 생선"의 타이틀을 가질 이유는 없다. 사육 환경에서 쉽게 죽어나가는 게 딱히 개복치만의 문제는 아니다.
4. 식재료로서
포항에서 제사 음식이나 장례식장 음식으로 먹는다. 경상도의 예식장이나 장례식장 등에서도 개복치로 만든 음식이 올라오곤 한다. 포항 최대의 전통 시장인 죽도시장에서 가끔 개복치를 해체하는 장면을 볼 수 있는데, 워낙 특이하게 생긴 물고기라 그런지 작업할 때 주변에 구경꾼들이 몰린다.[14] 죽도 시장에는 거의 항상 해체된 개복치를 여타 물고기처럼 진열 판매하고 있는 상점이 많다. 주문진 어시장에서도 개복치를 해체하고 있는 모습을 간혹 볼 수 있다. 쥐치처럼 복어목이지만 독이 없기 때문에 먹는 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다.
포항에서도 자주 볼 수 없는 물고기인데, 공급 자체가 적은 생선이라 행사 때 장터 열리면 가끔 파는 고래고기보다 보기 힘들다. 물론 마구잡이를 했다간 멸종위기에 처할 수도 있는 우려도 있다. 아직은 번성과 개체 수 자체가 큰 위협을 받진 않았지만, 얼마나 오래 유지될지는 아무도 예상할 수 없다.[15][16] 인근 경주시에서도 장례식장에서 종종 개복치 수육을 맛볼 수 있다.
개복치 껍질은 새하얀 묵이나 두부마냥 생겼다. 실제로도 맛도 밍밍한 것이 비슷하다. 식감이 매우 뛰어나서, 포항 지역에서는 껍질 지방층을 수육처럼 먹거나 묵처럼 만들어 먹는다. 묵처럼 만들어 먹는다고 해서 특별한 조리법이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그냥 찜기에 쪄놓고 식히면 청포묵처럼 변한다는 것이다. 한국인의 밥상의 최불암이 개복치 묵을 맛보았는데, 얼음보다 맛이 없다고 말할 정도로 맛이 나질 않는다고 했다. 이는 '못 먹는 음식'이 아니라 '어떠한 맛도 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오히려 생선 자체의 맛보다는 그냥 쫄깃한 식감과 더불어 양념장 맛으로 먹는 별미 생선이라고 할 수 있다. 다만 껍질의 경우 특유의 식감을 좋아하지 않는다면 호불호가 좀 갈리는 편이다.
최현석: 개복치는 제가 손꼽는 맛 없는 생선 중에 하나인데, 생선 자체의 껍데기를 보시면 투명하거든요? 맛있어서 맛있고, 맛이 없어서 맛이 없다고 표현하는 것이 아니라 그냥 맹맛이에요, 맹맛. 그냥 이건 묵이나, 그런 느낌인 거죠. 고추장의 맛으로 먹는.
강호동: 와, 진짜 무(無) 맛이네요. 무 맛.
한식대첩 시즌 4 中
강호동: 와, 진짜 무(無) 맛이네요. 무 맛.
한식대첩 시즌 4 中
아가미는 국거리로 쓰인다. 껍데기를 삶아 단단하게 굳힌 뒤 매운 양념과 야채를 더해 볶음으로 해먹거나 묵처럼 먹는다. 부드러운 살은 매운탕감으로도 쓰인다. 물회로도 먹는 등 흔히 먹어볼 수 없는 음식이라고 해도 생선으로 할 수 있는 조리법은 대부분 쓰는 모양이다. 살은 참치보다 기름이 많다고 하며, 등을 쪼개면 나오는 흰색 내장이 별미다. 쓸개만 제외하면 내장도 식용이 가능하다.[17] 간이 웬만한 사람 몸통만한것이 특징이다. 부산 영도에서는 개복치를 해체할 때 전기톱으로 자른다.
속살은 의외로 부드럽게 잘 익힌 닭가슴살 느낌이라고 한다.[18] 다만 개복치 자체가 수분이 많다보니 구워먹기에는 손이 많이 간다. 개복치 살은 구울 때마다 수분이 나와 수분을 중도에 버려줘야 하고, 튀겨먹을 때에는 살 자체의 수분기로 반죽하지 않아도 될 정도. # 개복치가 덩치가 큰 물고기인만큼 살 자체는 많이 나오는 편이다. 그러나 개복치의 신선도가 좋지 않다면 속살을 회로는 먹을 수 없다.
살에는 독이 없지만 독사마냥 이빨에는 독이 있어서 식재료 판매로 손질 중에 이빨들을 제거한다고 한다.[19]
5. 관람할 수 있는 곳
2015년 9월에 촬영된 부산 시라이프 아쿠아리움의 개복치
- 2009년 부산 시라이프 아쿠아리움에 4마리가 들어왔었다. 약 5년 동안 전시되었지만 관리하기 힘든 물고기에다가 전용 수조는 작은데 개복치는 점점 커지면서 한마리씩 죽어나가더니 2014년 초 4마리 다 폐사했다. 개복치 전용 수조의 크기가 크지 않고, 개복치 자체가 인기도 없고, 개복치를 5년 키운건 이례적인 일이라서 상괭이 수조로 전환한다고 한다. 아쿠아리스트에게 문의했는데 개복치를 다시 들여올 계획은 없다고 했지만 2014년 8월에 다시 한 마리가 들어왔으며, 그 한마리는 우연히 정치망에 걸린 것을 데려왔다고 한다. 이로써 부산 시라이프 아쿠아리움은 현재 한국에 유일한 관상용 개복치를 볼 수 있는 곳이었으나 2015년 12월에 확인한 결과 폐사했다고 한다.
- 코엑스 아쿠아리움에서는 개복치를 들여온 지 4일 만에 폐사했다.
- 한화 계열 아쿠아플라넷 제주에서도 개복치를 들여왔지만 오래 지나지 않아 폐사했다.
이렇듯 한국 쪽에서는 개복치와 같이 상업성이 떨어지는 어종에 큰 투자를 하지 않는 점도 있고 도입과 관리가 원래 어려운 종인 점도 있어 현재 한국에서는 개복치를 관람할 수 없다. 그나마 '전 세계에서 개복치를 가장 오랫동안 사육하는데에 성공한 나라'라는 타이틀을 따냈다는 점이 위안거리.
그러나 일본의 경우 도처의 수족관에서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이런 쪽으로 기술이 좋은 데다 인기도 좋으니 꾸준히 사육중에 있다. 가령 오사카에 있는 수족관인 가이유칸에 가면 두 마리가 있으며, 도쿄에 있는 가사이 린카이 수족관에 개복치 한 마리가 있다
6. 포획된 기록
2003년 12월에는 무려 2t에 이르는 개복치가 잡혀 부산공동어시장에서 5,500,000원에 팔린 일도 있었다. 400~500kg짜리는 가격이 1,000,000원 정도다.2010년 7월, 강원도 동해에서도 길이가 2m를 넘고 무게가 300kg인 대형 개복치가 그물에 걸려있는 것이 발견된 바가 있다.[20]
2010년 7월 30일에 동해에서 300kg이 나가는 개복치가 잡히기도 했다.
7. 인터넷 은어
2014년 모바일 게임 살아남아라! 개복치가 한국에서 정식 출시되고 상당한 인기를 끌었다. # 이 게임에서 개복치가 윗 문단에 언급한 대로 별별 이유로 죽어나가면서 인터넷 상에서 약한 존재=개복치라는 이미지가 정립되었다.이후 뉴스나 언론에서도 개복치가 약하고 잘 죽는다는 잘못된 이미지로 등장하면서 세간에 널리 알려지게 되었고[21], 인터넷에서 약한 것 또는 잘 죽는 것을 개복치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비슷한 은어로 잘 망가지고 잘 부숴지는 것을 쿠크다스라고 한다.
8. 각종 매체에서의 개복치
- 소설가 박민규의 단편소설 중에 '몰라몰라 개복치라니'라는 작품이 있다. 개복치의 학명을 이용한 일종의 언어유희.
- 코나미의 슈팅 게임 스페이스 맨보우의 주인공 기체, 최종보스의 모티브가 모두 개복치로, 셀프 패러디 게임 극상 파로디우스, 섹시 파로디우스에도 플레이어블 캐릭터로 출연하고 있다. 역시 같은 회사의 유희왕 오피셜 카드 게임에도 스페이스 맘보란 이름으로 출연했다.
- 다라이어스 외전의 최종 보스 중 하나인 ODIOUS TRIDENT의 모델이 된 생물이기도 하다. 로켓 부스터로 화면밖으로 튀어 나간다거나 새끼들을 살포한다거나 한다. 이 루트의 엔딩은 스타워즈 에피소드 6 패러디.
- 대항해시대 온라인에서 낚시로 잡는 물고기 중 가장 비싸다. 다른 물고기들은 몇십~몇백 두캇, 조금 비싸봐야 천몇 두캇 하는데, 개복치는 하나에 4000두캇이나 된다. 사실 화폐 가치 등을 생각하면 큰 이득은 아니고 재료로서의 활용 등으로 더 좋은 생선이 많지만 어쨌든 잡히면 기분은 좋다. 낚시 랭크가 조금 높아야 잡히지만 유일하게 특정 어장이 없이 전세계 아무데서나 잡힌다. 어육으로는 만들지 못한다.
- 디지몬 시리즈에서 등장한 맘보몬의 모티브이며 파닥몬이 빛의 디지멘탈로 진화해 맘보몬이 된다
- 인사의 마법의 타다이만보우(타다이마(다녀왔어요)+만보우(개복치))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에서는 스피드 카트 남복치 9와 아이템 카트 여복치 9가 출시되었다. 설명을 보면 '막자 때문에 돌연사할지도 몰라요', '미사일 소리에 돌연사할지도 몰라요'가 압권이다.
- 테일즈 오브 데스티니의 리메이크 시리즈에 나오는 리리스 엘론은 이 개복치를 던져 적을 제압한다.
- 팔콤사에서 만든 턴제 SRPG, 밴티지 마스터에서 소환 가능한 물의 네이티얼 중 터부스라는 개복치를 모티브로 만든 소환수가 있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코스트에 뛰어난 사거리와 화력을 겸비했지만 물고기인지라 물 속 지형에서만 사용할 수 있어 호불호가 갈린다.
- 개복치가 엄청 약하고 쉽게 잘 죽는다는 일본 인터넷상의 소문을 게임화한 살아남아라! 개복치! -3억마리의 동료들은 모두 죽었다, 방치계 도트 육성 게임-(生きろ!マンボウ!-3億匹の仲間はみな死んだ、放置系ドット育成ゲーム-)가 2014년 11월 5일 국내 앱스토어에 정발되면서 국내 웹에서도 '잘 죽는 개복치'가 트위터상에서 뜬금없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 동물의 숲 시리즈에서는 바다에서 낚시를 할 때 지느러미가 물 밖으로 노출된 물고기 중 한 마리로 나온다.[22] 너굴 상점에 팔면 지느러미가 보이는 물고기 중 2번째로 싼 가격으로 팔리고, 집에 전시해 두면 3x3을 먹는 모습을 보인다.[23]
- 아쿠아스토리에서는 몰라몰라 피쉬라는 이름으로 되어있으며, 도감에서 '말만 하면 몰라하고 대답하는'으로 설명하고 있다. 1시간마다 애정 주기 가능, 1시간 21분마다 물고기나이+1, 2시간 20분마다 배고픔 또한 개복치라는 대형 수조 물고기가 있다. 도감에서 '스트레스를 잘 받는'으로 설명하고 있다. 10시간마다 애정주기 가능, 4시간마다 물고기나이+1, 1일 6시간마다 배고픔.
- 네이버 웹툰 덴마에서 실버퀵 소속 택배기사들이 타고다니는 우주선의 디자인에 모티브를 준 듯하다.
- 보컬로이드 업로더인 집 뒤에 개복치가 죽어 있어P의 노래 중에는 '집 뒤에 개복치가 죽어 있어'라는 노래가 있다.
- 마비노기에서는 벨바스트 지역에서 낚시 스킬을 이용해서 잡을 수 있다. 차지하는 인벤토리의 칸은 가로 1칸×세로 2칸. 주로 요리 스킬을 이용해 개복치의 뼈를 만들고, 핸디크래프트를 이용한 수련에 사용한다. 그 외로는 요리 중에 '훈제 개복치'가 있는 정도다.
- ABZÛ에서는 챕터 3에서 등장한다.
- 냥코 대전쟁에서는 적 캐릭터인 '천사 개복치'와 '스페이스 개복치', '고대 병기 개복치'가 등장한다.
- 어비스리움 - 탭으로 키우는 수족관에서 키울 수 있는 물고기로 등장한다.
- Fishing Simulator에서는 개복치가 한 마리당 1,328원이라는 엄청난 가격과 Mythic이라는 가장 높은 등급을 가진다.
- 다이나믹스 콩콩 게임북스 3 우주대작전게임-권총과 전함에서 주인공이 탑승하는 기체의 디자인이 개복치다.[24]
- 록맨 대쉬 시리즈의 주인공이 타고 다니는 비행선의 디자인이 개복치와 비슷하다.
- SBS 드라마 펜트하우스에서 천서진의 딸 하은별의 별명이다.
- 파이널 판타지 14에서 키잡이 개복치, 모모라 모라등 개복치를 모티브로 삼은 물고기들을 낚시로 잡을 수 있으며, 개복치는 환영제도 북부에서 잡을 수 있다.
- 플레이투게더에서 낚시를 하면 잡을 수 있다.
- 헌트쿡에서도 사냥 가능 동물로 등장한다. 위에서 언급된 살아남아라! 개복치를 만든 게임사에서 만든 게임이라 관련 패러디도 들어가있는 것이 압권.[25] 게임상에선 초밥이나 트립파, 튀김으로 조리할 수 있다.
- 윤하의 앨범 GROWTH THEORY의 타이틀곡인 태양물고기의 모티브가 되었다. 위에 있는 내용들이랑은 달리 개복치의 오해와 진실을 담고 있는 가사가 특징이다.
9. 기타
개체수가 적고 덩치[26]가 크기 때문에 스쿠버다이빙을 즐기는 사람들이 마주치기를 학수고대하는 물고기 중 하나이다. 하지만 빈번하게 출몰하는 지역이 정해져 있는 것도 아니기 때문에 아주 운이 좋아야 볼 수 있다.[27]화석상으로 최초로 발견된 곳은 서유럽으로 1881년에 플리오세 지층에서 턱뼈 화석이 발견되었으며, 제일 오래된 화석으로는 에오세 중기인 4천만 년경 러시아에서 발굴된 것이 오래된 것 근거
[1]
부산, 경주 사투리로는 안진복, 포항 사투리로는 고래복치, 영덕 사투리로는 골복짱이이다.
[2]
영미권에서는 학명인 mola mola로도 부른다.
[3]
길이는
큰철갑상어가 더 길지만, 무게는 개복치가 더 무겁기 때문에 개복치가 가장 큰 경골어류인 것이다.
[4]
길버트 휘틀리(Gilbert Percy Whitley)라는 해양생물학자가
윈체스터
라이플로 개복치를 쏘았지만 총알이 피부를 뚫지 못했다고 한다.
[5]
크기 때문에 톱을 쓰기도 하지만 단단한 외피 때문이기도 하다.
[6]
청소놀래기에게 가서 기생충을 제거하게 하긴 하지만 이들도 제거하지 못하는 기생충도 많다. 그래서 수면 위로 떠올라서 갈매기 같은 바닷새들이 기생충을 뜯어먹게 한다.
[7]
연안 가까이는 잘 나타나지 않는다.
[8]
이때만의 모습이 주로 관찰되는 바람에 개복치가 헤엄치지 못한다는 잘못된 지식이 심지어는 학계에서도 퍼지기도 했다. 물론 현재는 사장된 주장이다.
[9]
가끔 둥실둥실 떠다니는 개복치가 지나가는 배나 큰 암초에 부딪히는 상황도 발생한다.
[10]
이 정도면 웬만한 해양 동물들의 순향속도와 맞먹는다.
[11]
해파리는 독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양 생물들은 해파리를 피한다. 하지만 개복치는 두꺼운 외피를 가지고 있어서 해파리의 독침이 관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쥐치,
바다거북과 함께
해파리를 먹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생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과거에 생각했던 것과는 달리 주식은 아니다.
[12]
몸에서 가시가 자란 다음 그 가시를 따라 점점 커지며 자란다.
[13]
오염도가 낮은 원양에 서식하는 해양생물들은 인간이 보유한 세균이나 곰팡이에 면역이 없다. 때문에 사육 상태의 개복치는 상태가 좋더라도 피부에
염증이나 작은 상처가 있는 경우가 많으며,
오슬롭의 고래상어들은 상당수가 염증과 상처를 가지고 있다.
[14]
SBS
자기야 - 백년손님 2015년 6월 4일 방영분에서
이만기의 장모가 개복치를 손수 해체하는 모습이 나왔다.(
해당 클립) 한편 이만기는 조리된 개복치를 먹어본 적은 있어도 해체 전의 실물은 처음 보는 상황이었는데, 커다란 고무 대야를 가득 채운 개복치를 본 이만기 曰, "이거 뭐 거북이같이 생겼노?"
[15]
그러나 개복치가 마구 남획당할 가능성은 거의 없는데, 결정적으로 생선이라면 환장하는 대한민국, 일본에서도 거의 안 먹는다는 것을 생각하면 애초에 수요 자체부터가 거의 없는 생선이다. 이런 거대한 생선이 잡힐 경우 그물 주인은 십중팔구 그물을 폐기해야 하기 때문에 고래나 상어처럼 노리고 잡는 어부도 없다. 만약 수요가 많고 맛있는 생선으로 소문 났으면
바다거북처럼 과거부터 남획됐을 것이다. 이미 포항 등지에서는 수십 년 전만 하더라도 개복치가 잡히거나 갯벌에 스트랜딩한 걸 발견하면 돈 값이 되지 않는다 생각해 도로 버리기도 했다 한다.
[16]
개복치는 공급도 잘 안 되고 수요도 적으며 심지어 손질법도 어려운 편이다. 즉 식당에서 다루기에도 난이도가 높다. 개인이 개복치를 구해서 먹어보려고 해도 값을 무시할 수가 없다.
[17]
내장의 냄새가 좋지 않다면 식용으로는 적절하지 않다. 일단 개복치 내장이 냄새가 심하게 나는 상태라면 냄새를 잡기 위해 하루쯤 재워도 냄새가 제대로 잡히지 않아 먹기가 무리일 정도.
[18]
개복치 뿐만이 아니라 복어목의 다른 물고기들도 닭고기 비슷한 맛이 난다.
[19]
팔도밥상-이 겨울 따뜻한 찜 밥상 방영분.
[20]
이 사진이 나왔던 기사에서 또 다른 사진이 있었는데, 저 사진에서는 깨끗한 모습이지만 반대쪽 얼굴은 심하게 훼손되어 있다.
[21]
SBS,
JTBC
[22]
지느러미가 보이는 물고기 중
빨판상어와 함께 유일하게 상어종이 아니고,
놀러오세요 동물의 숲에서는 유일하게 2D 그래픽으로 되어있었다.
[23]
역대 물고기 중 가장 크다고 해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다. 플레이어가 모자를 쓰지 않고 개복치를 자랑하면 아예 플레이어의 모습이 개복치에게 가려진다.
[24]
아군 전함은 고래, 적 기체는 상어와 가오리다.
[25]
예를 들어 개복치 출연시 예전에 본 거 같다며 살려달라고 하는거나 해체할때 점장이 살아남지 못한다! 개복치라 한다거나, 도감에서도 유일하게 죽은 상태로 나오고 터치 반응이 있는데 터치를 계속하면 살아남아라! 개복치 풍의 돌연사 씬이 등장한다거나 하는 등.
[26]
무게가 3t에 육박하는 개복치 사체가 발견된 적도 있다.
관련 기사
[27]
발리 근처에 있는 누사페니다 섬 근처에서 9월과 10월에 자주 출몰하는 곳이 있기는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