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20:51:14

스타워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새로운 희망'이라고도 불리는 시리즈 첫 작품에 대한 내용은 스타워즈(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해당 영화에서 이름을 딴 미사일 방어체계에 대한 내용은 SDI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SPOTV의 디지털 연예 채널 STAR K에서 제작한 K-POP 관련 웹예능에 대한 내용은 STAR WARS(웹예능)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파일:스타워즈 로고.svg
회색 배경 : 일정 미공개
기울임체 : 예정된 작품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 color: #ffe81f; min-width: 33%"
{{{#!folding [ 영화 ]
<tablebgcolor=#000><tablewidth=100%> 스카이워커
사가
오리지널 파일:제다이의 귀환 디즈니+ 로고.png
프리퀄 파일:클론의 습격 로고.png
시퀄 파일:라스트 제다이 로고.png
스핀오프 앤솔로지 파일:로그 원 로고.png 파일:한 솔로.png
애니메이션 파일:스타워즈 클론전쟁 극장판 로고.png
신규 시리즈
데이브 필로니의 영화
제임스 맨골드의 영화
만달로리안과 그로구 랜도
}}}}}}
[ TV 시리즈 ]
||<tablebgcolor=#000><|4><tablewidth=100%><width=15%> 실사
드라마
||<-6><width=1000> 파일:만달로리안 디즈니+ 로고.png
시즌 1 · 2 · 3 · 4 ||
파일:스타워즈 아소카 로고.webp
파일:안도르 로고.png
시즌 1 · 2
파일:스타워즈 스켈레톤 크루 로고.webp
캐넌
애니메이션
<rowcolor=#c7c7c7>
파일:스타워즈 클론전쟁 로고.png
시즌 1 · 2 · 3 · 4 · 5 · 6 · 7 (파이널 시즌)
파일:반란군 로고2.png
시즌 1 · 2 · 3 · 4
파일:운명의 포스 로고.png
시즌 1 · 2
<rowcolor=#c7c7c7> 파일:저항군 로고.png
시즌 1 · 2
파일:배드 배치 로고.png
시즌 1 · 2 · 3
파일:스타워즈 제다이 이야기 로고.png
<rowcolor=#c7c7c7>
레전드 및 논캐넌
애니메이션
파일:스타워즈드로이드.webp <rowcolor=#c7c7c7>
ㅤㅤ 파일:스타워즈이웍.webp
파일:비전스 로고.png 파일:젠 - 그로구와 더스트 버니 로고.png
레고
애니메이션
<rowcolor=#c7c7c7>
파일:홀로크론을 찾아라.png
파일:제다이 사원 탈출.png 파일:코루스칸트 습격.png
<rowcolor=#c7c7c7> 파일:베이더와 스카이워커의 결투.png
파일:베이더와 스카이워커의 정면승부.png
파일:드로이드의 전설.png
<rowcolor=#c7c7c7> 파일:일어난 저항군.png
파일:스타워즈 올스타즈.png
파일:레고 스타워즈 홀리데이 스페셜.png
<rowcolor=#c7c7c7> 파일:레고 스타워즈 무시무시한 이야기.png
파일:레고 스타워즈 여름 휴가.png
콜라보레이션
[ 기타 ]
||<tablebgcolor=#000><|3><tablewidth=100%><width=1000> 도서 ||<width=11%> 소설 ||<-3><width=40%>
Novels (Adult / Young Adult / Junior) · Short Stories · Graphic Novels · Young Readers · Roleplaying Sourcebooks
||<|2><-3>
스타워즈: 하이 리퍼블릭
[ Phase I: The Light of Jedi ]
[ Phase II: Quest of the Jedi ]
[ Phase III: Trials of the Jedi ]
||
코믹스
Marvel Comics · IDW Publishing · Disney–Lucasfilm Press · StarWars.com Webcomics
기타
Art Books · Making-of Books · Reference Books
기타 애니메이션
Blips · · 갤럭시 어드벤처 · Roll Out ·
게임 배틀프론트 시리즈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 배틀프론트 배틀프론트 2
제다이 시리즈 스타워즈 제다이: 오더의 몰락 스타워즈 제다이: 서바이버
구공화국 시리즈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리메이크)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 2 - 시스 로드 스타워즈: 구 공화국
다크 포스 사가 스타워즈: 다크 포스 스타워즈: 제다이 나이트: 다크포스 II 스타워즈: 제다이 나이트: 미스테리 오브 시스 스타워즈: 제다이 나이트: 제다이 아웃캐스트
스타워즈: 제다이 나이트: 제다이 아카데미
모바일 스타워즈: 갤럭시 오브 히어로즈
영화 기반 게임 슈퍼 스타워즈 스타워즈 에피소드 Ⅰ: 레이서 스타워즈 에피소드 3: 시스의 복수 비디오 게임
기타 게임 타이 파이터 스타워즈: 리퍼블릭 코만도 스타워즈: 스쿼드론 스타워즈: 아웃로
보드 게임 X-wing 스타워즈: 리벨리온 스타워즈: 아르마다 스타워즈: 언리미티드
테마파크
※ 기타 매체는 캐넌 항목 참조.
}}} ||
<rowcolor=#fff> 시애틀 대중문화박물관(MoPOP) 선정
SF & 판타지 명예의 전당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 1996년 A. E. 밴보트 · 잭 윌리엄슨 · 존 W. 캠벨 · 휴고 건즈백
1997년 안드레 노튼 · 아서 C. 클라크 · 아이작 아시모프 · 허버트 조지 웰스
1998년 프레데릭 폴 · 할 클레멘트 · 로버트 A. 하인라인 · C. L. 무어
1999년 레이 브래드버리 · 로버트 실버버그 · A. 메리트 · 쥘 베른
2000년 고든 R. 딕슨 · 폴 앤더슨 · 시어도어 스터전 · 에릭 프랭크 러셀
2001년 잭 밴스 · 어슐러 K. 르 귄 · 프리츠 라이버 · 알프리드 베스터
2002년 마이클 무어콕 · 새뮤얼 딜레이니 · 도널드 월하임 · 제임스 블리시
2003년 케이트 윌헬름 · 윌슨 터커 · 에드거 라이스 버로스 · 데이먼 나이트
2004년 해리 해리슨 · 브라이언 W. 올디스 · 에드워드 E. 스미스 · 메리 셸리
2005년 스티븐 스필버그 · 레이 해리하우젠 · 필립 K. 딕 · 체슬리 본스텔
2006년 조지 루카스 · 앤 맥카프리 · 프랭크 켈리 프리스 · 프랭크 허버트
2007년 진 울프 · 리들리 스콧 · 진 로덴베리 · 에드 엠슈윌러
2008년 윌리엄 깁슨 · 이안 밸런타인 & 베티 밸런타인 · 리처드 파워스 · 로드 설링
2009년 프랭크 R. 폴 · 에드워드 L. 퍼먼 · 마이클 웰란 · 코니 윌리스
2010년 더글라스 트럼불 · 옥타비아 E. 버틀러 · 리처드 매드슨 · 로저 젤라즈니
2011년 할란 엘리슨 · 가드너 도조와 · 빈센트 디 페이트 · 장 앙리 가스통 지로
2012년 조 홀드먼 · 버질 핀레이 ·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 · 제임스 카메론
2013년 H. R. 기거 · J. R. R. 톨킨 · 주디스 메릴 · 조애나 러스 · 데이비드 보위
2014년 프랭크 프라제타 · 올라프 스태플든 · 미야자키 하야오 · 리 브래킷 · 스탠리 큐브릭
2015년 커트 보니것 · 조르주 멜리에스 · 잭 고한 · 제임스 E. 건 · 존 쇤헤르
2016년 테리 프래쳇 · 더글러스 애덤스 · 스타트렉 · 블레이드 러너
20주년 기념 마거릿 애트우드 · 키스 데이비드 · 기예르모 델 토로 · 테리 길리엄 · 짐 헨슨 · 잭 커비 · 매들렌 렝글 · C. S. 루이스 ·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 · 레너드 니모이 · 조지 오웰 · 타카하시 루미코 · 존 윌리엄스 · 2001 스페이스 오디세이 · 던전 앤 드래곤 · 매트릭스 · 미스트 · 프린세스 브라이드 · 원더우먼 · 엑스파일
2017년 J. K. 롤링 · 스탠 리 · 젤다의 전설 · 버피 더 뱀파이어 슬레이어
2018년 닐 게이먼 · 본다 N. 매킨타이어 · 닥터후 · 매직 더 개더링
2019년 테드 창 · D. C. 폰타나 · 스타워즈 · 왓치맨
2021년 니셸 니콜스 · 시고니 위버 · 고지라 · 달 세계 여행
2023년 존 카펜터 · N. K. 제미신 · · 록키 호러 픽쳐 쇼
2024년 은네디 오코라포르 · 니컬라 그리피스 · 블랙 팬서 · 드래곤볼 }}} }}} }}}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프랜차이즈
스타워즈

Star Wars
파일:스타워즈 로고.svg
<colbgcolor=#000,#010101><colcolor=#ffe81f> 장르 스페이스 오페라, 사이언스 픽션
원작자 조지 루카스
제작사 루카스필름
기타 협업 제작사
판권 소유 월트 디즈니 컴퍼니
음악 사운드트랙 목록
원작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 ([age(1977-05-25)]주년, [dday(1977-05-25)]일)
최근 작품 스타워즈: 스켈레톤 크루 (2024년 12월 2일)
예정 작품 안도르: 스타워즈 스토리 시즌 2 (2025년 4월 22일)
스트리밍 서비스
[[디즈니+|
Disney+
]]
링크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틱톡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레딧 아이콘.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TV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TV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톡채널 아이콘.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10101><colcolor=#ffe81f> 작품 목록
영화 15편
스카이워커 사가 9편
앤솔로지 2편
애니메이션 1편
• TV 3편
TV 시리즈 19편
• 드라마 4편
• 애니메이션 15편
기타 매체 • 출판물 (설정집, 소설, 만화)
• 게임 (관련: 루카스아츠)
}}} }}} }}}
1. 개요2. 특징
2.1. 캐넌과 레전드2.2. 디자인2.3. 시리즈의 전통2.4. 삭제된 장면
3. 등장인물4. 세계관 및 설정
4.1. 생물체4.2. 역사4.3. 기술
5. 사운드트랙6. 흥행7. 인기와 영향력
7.1. 전세계적인 인기7.2. 위상7.3. 현대 미국의 신화7.4. 오마주와 패러디
8. 관련 인물, 조직 및 커뮤니티
8.1. 관련 인물
8.1.1. 제작 관련8.1.2. 배우 및 성우8.1.3. 기타
9. 작품 목록10. 상품화11. 역사
11.1. 홈미디어11.2. 디즈니의 인수
12. 한국에서
12.1. 인기가 없는 원인12.2. 일본과의 비교12.3. 다른 작품들과의 비교
13. 명대사14. 기타15. 관련 및 하위 문서16. 외부 링크

[clearfix]

1. 개요

파일:A long time ago in a galaxy far far away.jpg
오래 전 멀고 먼 은하계에. . . .
메인 테마

스타워즈는 루카스필름이 제작한 미국의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의 영화 시리즈이다. 조지 루카스가 감독, 각본을 맡은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2]이 첫 번째 작품으로 이후 다양한 영화, 애니메이션, 드라마, 소설 등 여러 매체로 뻗어나갔다. 스페이스 오페라를 대표하는 매체이며 대중문화 역사상 가장 큰 성공을 거둔 매체 중 하나이다. 그 명성만큼 전 세계적인 유명세를 자랑한다. 특히 미국에서는 단순한 영화 차원을 넘어 미국 문화를 대표하는 요소 중 하나임과 동시에 가장 큰 팬덤이 형성된 시리즈 중 하나이다.

'원 소스 멀티유즈'를 활용해 콘텐츠를 확장하는 미디어 산업군이 매번 등장하지만, 언제나 그 중심엔 스타워즈가 있다.가장 중심인 작품으로는 오리지널 3부작 프리퀄 3부작이 있으며 이 두 시리즈와 이전에 핵심 작품으로 분류되었던 시퀄 3부작을 통틀어 스카이워커 사가라고 부른다.

2. 특징

스카이워커 사가로 통틀어 불리는 오리지널 3부작, 프리퀄 3부작, 시퀄 3부작은 스카이워커 가문을 바탕으로 하는 시리즈이며,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의 가장 핵심적인 시리즈였다. 오리지널 3부작은 1977년부터 1983년까지 3년 간격으로 개봉했으며, 이후 조지 루카스는 오리지널 3부작으로부터 대략 20에서 30년 전을 다루는 프리퀄 3부작을 1999년부터 2005년까지 똑같이 3년 간격으로 제작하게 되었다. 이후 조지 루카스가 만든영화 제작사인 루카스필름이 디즈니에게 2012년 인수된 후 오리지널 3부작으로부터 약 20년 후를 다루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제작된 시리즈가 시퀄 3부작인 것이다. 시퀄 트릴로지의 완결 이후로는 만달로리안이 핵심 시리즈의 역할을 이어받았다.

오리지널 3부작은 시골 행성인 타투인에서 평범한 농부의 조카로 자란 주인공 루크 스카이워커가 모종의 사건에 휘말리게 되어, 전 우주를 지배하고 있는 은하 제국에 대항하여 반란 연합군에 가담하게 되고, 제다이가 되어 은하 제국에 대항한다는 내용이 주 내용이다. 여기서 루크의 동료로 한 솔로 츄바카, 레아 오르가나 공주, C-3PO R2-D2 등이 등장한다.

프리퀄 3부작은 과거로 돌아가 루크의 아버지 아나킨 스카이워커를 주인공으로 하는 은하 공화국 시절의 과거 이야기를 다룬다. 이중 에피소드 1은 어린 아나킨이 어떻게 제다이가 되었는지, 에피소드 2는 전 은하계를 관통하는 클론전쟁이 어떻게 벌어지는지, 에피소드 3은 클론전쟁의 종말과 제다이의 몰락, 그리고 제다이의 적인 시스의 부상을 다룬다.

시퀄 삼부작은 새로운 주인공 레이를 중심으로, 은하 제국이 무너진 후 그 후예들 제국 잔당이 세운 악의 세력 퍼스트 오더와 그에 맞서는 저항군 간의 대결을 모험담과 전쟁극으로 그리고 있다. 오리지널 3부작의 주인공들 루크, 한, 레아, 츄바카, R2-D2, C-3PO이 모두 출연하며, 레이의 동료로는 퍼스트 오더 출신인 , 저항군의 조종사 포 대머론이 등장한다.

만달로리안은 영화가 아닌 디즈니+ 오리지날 드라마다. 제다이나 시스가 아닌 만달로어인 현상금 사냥꾼 딘 자린 정체불명의 아기에 대한 이야기를 다룬다. 시즌1에는 딘 자린과 주변인물들의 서사만 다뤘지만 시즌 2부터는 보다 스케일이 커지면서 스카이워커 사가와 마찬가지로 시리즈 전체를 아우르는 매우 중요한 작품이 되었다. 스핀오프로는 시즌2와 시즌3 사이의 이야기를 다루는 북 오브 보바 펫이 있다.

이게 핵심적인 시리즈라면 기타 매체로 이들 간의 내용을 다루는 시리즈도 많다. 프리퀄 3부작 중 에피소드 2와 에피소드 3 사이 클론전쟁기를 다루는 애니메이션 시리즈로 스타워즈: 클론 전쟁이 있다. 3편과 4편 사이 반란군들의 이야기를 다루는 작품으로 애니메이션 시리즈 스타워즈 반란군, 영화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영화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와 프리퀄 드라마 안도르, 4편으로부터 약 10년 전 살아남은 제다이 오비완 케노비를 다루는 드라마 오비완 케노비 등이 제작되고 있다.

2.1. 캐넌과 레전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 캐넌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 레전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기존에는 조지 루카스가 참여해 가장 대표적인 스타워즈 작품들, 즉 에피소드 1에서 6까지의 영화, 그리고 소설, 게임 등 2차 매체로 이루어진 확장 세계관(Expanded Universe, 줄여서 EU)가 존재했다. 하지만 조지 루카스가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게 루카스필름을 팔자 2014년 4월 25일 기존의 세계관을 모두 리부트하여 공식 설정과 비공식 설정을 나누어졌다. 그리고 공식 설정은 캐넌 (canon), 비공식 설정은 레전드 (legend)로 부르기 시적했다.

이때 에피소드 1에서 6, 조지 루카스가 제작을 하던 스타워즈: 클론 전쟁 애니메이션 시리즈와 몇 개의 작품들은 캐넌으로 넘어와 래전드 세계관과 캐넌 세계관에 모두 속하게 되었다. 그럼으로 에피소드 1에서 6에서 등장했던 캐릭터들은 레전드와 캐넌 설정 2개가 존재하지만 이후 캐넌 설정이 추가되며 서로 다른 역사를 가지게 된 것이다. 기존의 확장 세계관은 레전드 확장 세계관 (레전드 EU)가 되었고, 이후 다양한 확장 세계관 작품들이 나오면서 이는 캐넌 EU로 부르는 것이다.

레전드에서는 현재 디즈니의 캐넌에서 아직 다루어지지 않은 다양한 요소들이 게임, 소설 등의 매체로 다루어졌다. 레전드가 캐넌과 가장 큰 차이점을 가지는 부분으로는 구 공화국과 신 공화국 시대가 있다. 구 공화국 시대는 게임 스타워즈: 구 공화국의 기사단과 그 시리즈로 다루어졌다. 신 공화국 시대는 티모시 잰의 소설 시리즈 쓰론 트릴로지을 기점으로 뉴 제다이 오더 시리즈 등으로 다루어졌다.

2.2. 디자인

디자이너로는 다양한 콘셉트 아트들과 디자인을 남긴 랄프 맥쿼리가 있다. 그는 오리지널 삼부작에 참여하며 프로토콜 드로이드 (C-3PO), 아스트로맥 드로이드 (R2-D2)의 원형이 되는 디자인들을 남겼다. 그의 디자인들은 2016년 책 Star Wars Art: Ralph McQuarrie로도 출간되었다. 2012년 사망했다.

NASA에서도 일한 적 있던 디자니어 콜린 캔트웰 (Colin Cantwell)은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 제작 당시 가장 먼저 고용된 사람들 중 한 명이었으며 X-wing, Y-wing, 타이 파이터, 스타 디스트로이어, 죽음의 별, 랜드스피더, 샌드크롤러, 블록케이드 러너 ( 밀레니엄 팔콘이 될 예정이었다), T-16 스카이호퍼 등을 디자인했다.[3] 2022년 90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2.3. 시리즈의 전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전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타워즈는 영화들에서 거의 모두 지켜지는 공통적인 요소들이 존재한다. 이에는 영화 시작부터 나오는 오프닝 스크롤부터 영화 내용까지 포함되지만 주로 드라마에서는 지켜지지 않는다.

2.4. 삭제된 장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삭제된 장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영화들마다 편집 단계에서 삭제된 장면들은 DVD와 같은 2차 매체를 통해서 부가영상에 수록되어 공개되어 왔다. 그러나 모든 삭제장면들이 2차 매체 출시 때 전부 공개되는 건 아닌데, 가령 제다이의 귀환에서 루크가 자바의 성에 가기 전 R2에게 광선검을 넣는 장면은 2004년에 발매된 DVD엔 실리지 않았고 2010년 블루레이 출시 때에 와서야 공개됐다. 게다가 시스의 복수는 편집 이전 촬영본은 4시간 이상이었지만 편집을 거치면서 2시간 20분(140분)으로 짧아졌고, 엄청난 분량의 삭제 장면들은 일부 장면을 빼곤 2020년대에 와서도 공개되지 않았다.[4]

3.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세계관 및 설정

4.1. 생물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종족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생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역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연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역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스타워즈에서는 다양한 역법들이 존재하나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은 야빈 전투력이다.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에서 벌어진 야빈 전투를 기점으로 이전 BBY, 이후를 ABY로 나누는 역법으로 2022년 드라마 안도르 시즌 1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스타워즈는 캐넌과 레전드를 통합해서 구 공화국 (레전드), 고 공화국, 공화국, 제국, 신 공화국 시대로 크게 나뉘어질 수 있다. 구 공화국에서는 제다이와 시스가 전쟁을 벌이던 시기, 고 공화국은 시스-제다이 전쟁에서 시스 제국/기사단이 몰락하고 제다이 기사단의 전성기를 맞아 은하계에 평화가 찾아왔던 황금기, 공화국은 스타워즈 프리퀄 시리즈를 배경으로 한 클론 전쟁을 비롯한 다양한 사건들이 벌어졌을 때, 제국은 억압과 어둠이 자리한 시대, 신 공화국은 은하 제국이 몰락하고 반란군의 새로운 정부가 자리잡은 시대다.

공화국 시대에서 제국 시대까지가 스타워즈의 중심을 이루는 프리퀄 삼부작과 오리지널 삼부작의 배경이며 조지 루카스가 가장 많은 개입을 한 시대다.

4.3. 기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과학기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의 슈퍼무기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사운드트랙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사운드트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미국의 거장 영화음악가 존 윌리엄스가 대부분의 스타워즈 영화에서 오리지널 스코어를 작곡했으며 이로 아카데미 상을 수상했다. 개별 문서가 있는 음악은 다음과 같다.

스타워즈: 클론 전쟁, 스타워즈 반란군, 스타워즈: 배드 배치를 비롯한 주요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는 작곡가 케빈 키너가 사운드트랙을 작곡했다.

6. 흥행

<rowcolor=#ff4500,#ff4400> 전 세계 영화 프랜차이즈 박스오피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순위 프랜차이즈 최고 수입 영화 영화 수 기간 수치
1위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어벤져스: 엔드게임
(27억 9750만 달러)
33편 2008년 ~ 진행 중 310억 5644만 달러
2위 스타워즈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0억 6822만 달러)
11편 1977년 ~ 진행 중 103억 2545만 달러
3위 해리 포터 실사영화 시리즈 해리 포터와 죽음의 성물 - 2부
(13억 4151만 달러)
11편 2001년 ~ 진행 중 95억 5706만 달러
4위 스파이더맨 실사영화 시리즈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19억 2054만 달러)
11편 2002년 ~ 진행 중 89억 7486만 달러
5위 007 시리즈 007 스카이폴
(11억 856만 달러)
25편 1962년 ~ 진행 중 78억 7806만 달러
6위 어벤져스 실사영화 시리즈 어벤져스: 엔드게임
(27억 9750만 달러)
4편 2012년 ~ 진행 중 77억 701만 달러
7위 엑스맨 유니버스 데드풀과 울버린
(13억 3752만 달러)
14편 2000년 ~ 2020년 74억 1381만 달러
8위 분노의 질주 시리즈 분노의 질주: 더 세븐
(15억 1604만 달러)
10편 2001년 ~ 진행 중 73억 2146만 달러
9위 DC 확장 유니버스 아쿠아맨
(11억 4848만 달러)
16편 2013년 ~ 2023년 71억 4155만 달러
10위 배트맨 실사화 시리즈 조커
(10억 6673만 달러)
13편 1989년 ~ 진행 중 70억 1027만 달러
<rowcolor=#e5e5e5> 같이 보기: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 전 세계 영화 박스오피스(물가상승률 적용)
<rowcolor=#fff> 출처 }}}}}}}}}

7. 인기와 영향력

7.1. 전세계적인 인기

서양, 특히 미국을 비롯한 북미권에서는 속편이 개봉할 때마다 결근, 결석이 속출할 정도로 팬들의 기대와 관심이 그야말로 압도적이다[5]. 심지어 결근자가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해 아예 필름을 사들여 상영회를 개최한 회사들도 있을 정도였다. 그 정도로 영화사, 극장, 관람객들 모두가 기대하는 콘텐츠이니만큼 미국 최고 성수기인 5월 말 메모리얼 데이 연휴[6]에만 개봉한 시리즈이기도 하다. 프리퀄이 개봉한 2000년대 이후에는 아예 한 주 전으로 앞당기기도 했다. 다만 디즈니 인수 후부터는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를 제외한 모든 영화가 이러한 룰을 깨고 크리스마스를 한 주 앞둔 시점에 개봉한다. 미국의 경우 2018년 기준으로 개봉했던 본편 8편 중 2002년 개봉한 《 클론의 습격》을 제외[7]한 7편이 그해 흥행 1위를 차지했다. 최고 수입을 올린 에피소드는 2015년 개봉한 《 깨어난 포스》로 미국 영화사상 가장 빠른 흥행속도를 기록한 바 있다.[8] 전세계적으로 봤을 때도 《 깨어난 포스》가 가장 많은 수입을 기록했다.[9]

북미권 다음으로 스타워즈에 열광하는 국가는 일본이다. SF 코드가 일본과 상당히 잘 맞아서인지 스타워즈 시리즈는 애니메이션이 범람하던 시기였던 1970~80년대에 일본에서도 대성공을 거뒀다. 영미권 주요 개봉 시기가 대체로 5월이라면 일본은 무조건 여름방학 전인 7월 초순이다. 일본 자체가 영화 개봉이 늦은 것도 있지만, 무엇보다 두 국가의 방학, 휴가철 시기가 상이하기 때문인 것이 제일 크다. 그래서 대부분의 나라에서 5~6월에 개봉한 후 일본에서만 7월에 개봉하여 전편 마라톤 시사회 등 각종 이벤트를 진행하기도 했으며, 실제로 루카스가 프로모션을 위해 공식적으로 수 차례 방문하기도 했다. 세계 최상위권 영화 시장이기도 하니 그에 대한 대응이기도 했지만.

골수 팬층 또한 일본에도 꽤나 두텁고 미국 다음으로 스타워즈 각국 흥행 순위 2위 자리를 일본이 싸그리 차지하고 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대 일본 박스오피스 순위 전체로 따져보면 의외로 오리지널 시리즈나 20세기 말과 21세기에 개봉한 프리퀄, 시퀄 시리즈 등의 매출 순위는 이름값에 비해 썩 높지는 않다. 역대 10위는 커녕 20위 안에도 들어간 작품이 하나도 없다. 미국에서 대흥행한 깨어난 포스도 마찬가지. 다만 이건 스타워즈의 전성기이던 1970~80년대와 현재의 물가와 통계 방식의 차이도 고려해야한다.

일본산 창작물 중에도 스타워즈의 영향을 받은 게 꽤 있는데다가[10], 2021년엔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사들이 옴니버스 시리즈인 스타워즈: 비전스를 제작했을 정도이다. 스타워즈가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하는 대한민국과는 다르게 일본에서는 성수기에 최고 기대작 대우를 받는다. 반대로 일본에서는 한국에서 크게 인기있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영화들이 그야말로 고전을 면치 못하며 마블 영화의 무덤이라 불리는 걸 생각하면 꽤 아이러니하다. 이 탓에 디즈니에서도 일본에선 마블영화보다 스타워즈의 홍보에 집중, 한국에선 반대로 마블 영화의 홍보에 집중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7.2. 위상

20세기 영화계의 상징이라는 수식어까지 있으며, 그에 알맞게 역대 모든 미디어 프랜차이즈 누계매출[11] 4위라는 거대한 체급을 지닌 시리즈이다. 요약하면 영화 역사에 있어 의미와 상징성이 큰 프랜차이즈다. 블록버스터 영화의 시초 격에 해당하며 이후에 제작된 모든 SF, 스페이스 오페라, 블록버스터 영화에 있어 큰 영향을 끼쳤고 수많은 미디어에서 인용, 패러디 되었다. 일개 미디어 문화를 넘어서 북미권, 서양권 대중문화에 빠질 수 없는 요소로 자리잡았다. 스타워즈가 출시된지 40년이 지난 시점에서 스타워즈와 비슷한 규모의 프렌차이즈로 나온 영화 시리즈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말곤 없을 정도이다.[12]

미국에서는 20세기 중반부터 인류의 우주진출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우주와 다른 행성들을 탐사하는 프로젝트가 활발했는데, 이 탓에 일반인들도 지구 밖의 세상에 대해서 많이 궁금해했다. 그리고 이러한 우주 진출에 대한 동경이라는 사회적 분위기와 더불어서, 먼 미래를 상징하는 극도의 상상력이 가미된 영화가 바로 스타워즈 시리즈다. 또한 지금도 우주진출에 대한 동경을 가진 많은 사람들이 스타워즈에 나온 우주선들을 모티브로 본인의 우주선을 창작하기도 하는 등 우주 매니아들에게 스타트렉 시리즈와 함께 정신적인 지주 역할을 하고 있다.

선과 악의 대립이라는 소재를 신화적인 주제에 잘 접목시켰으며, 고전적인 영웅서사를 현대적인 관점에서 성공적으로 재해석했다. 또한 다수의 상징적이면서도 매력적인 캐릭터들, 거대한 우주전과 액션의 스케일, 그리고 독특한 설정과 화려한 검술, 수많은 명대사 등으로 주목을 받아 개봉되는 작품마다 사회 현상에 준하는 화제성과 함께 대성공을 거뒀다. 특히 스타워즈 오리지널 트릴로지 중 새로운 희망 제국의 역습은 최고의 영화를 논할 때 반드시 언급되는 작품이며, 제국의 역습은 터미네이터 2: 심판의 날, 다크 나이트 등과 함께 영화 역사상 가장 훌륭한 속편으로 꼽히기도 한다.

7.3. 현대 미국의 신화

새로운 희망에 가장 큰 영향을 준 인물 중 하나는 바로 신화학자인 조지프 캠벨이다. 캠벨은 베오울프, 아서 왕 전설, 그리스 로마 신화 등과 같은 전세계의 신화를 분석하여 그 신화들 간의 공통점을 찾고자 노력했다. 그리고 이러한 캠벨의 연구에 심취해 있던 루카스는 이를 스타워즈에 적용시켜 문학적, 신화적인 영웅상을 루크 스카이워커라는 캐릭터로 현대 매체를 통해 재창조하는데 성공한다.

실제로 스타워즈를 분석해 보면, 신화적인 요소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다. 다스 베이더의 경우 막강한 힘을 가졌으나 더 큰 힘을 갖고자 한 욕구에 잠식되어 타락한 캐릭터이고 루크 스카이워커의 경우 자신의 잠재력을 모른 채 평범한 농부로 살아가다가 현명한 노인의 조언으로 각성해서 절대적인 악을 응징한다. 이처럼 매우 고전적이고 신화적인 설정과 이야기는 스타워즈를 선과 악의 대립을 다룬 장엄한 우주 대서사시로 만들어 줘서 오늘날 현대의 신화의 지위에 오르게 해줬다. 또한 미국의 건국 신화라는 해석 하에 은하 제국 vs 반란 연합의 대립구도는 대영제국에 맞서는 미국 미닛맨들의 독립 전쟁으로도 해석될 여지가 있다.[13] 여기에 스타워즈 곳곳에서는 서부극의 영향이 짙게 베어있는데, 서부극 또한 미국의 신화로도 해석된다.

사실 미국이라는 국가는 그 자체가 근현대에 이르러 아메리카 대륙으로 밀려들어온 이주민들에 의하여 탄생한 나라이며, 역사가 다른 나라들에 비해 짧은 편이다. 이처럼 그 탄생부터가 역사적으로 정확히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고대 문명 발상지나 다른 국가에 비해 창세 신화라고 부를만한 이야기가 없다보니 미국인들은, 우스갯소리로 스타워즈 시리즈를 건국신화로 여긴다는 분석이 있고 실제로 대접도 별반 다르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물론, 유럽인이 도래하기 전 앵글로아메리카 원주민들은 자체적인 신화를 가지고 있었지만 대부분은 유럽인에 동화되거나 공세를 당해 소멸했고, 살아남은 소수의 인원은 원주민 보호구역으로 추방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결국 유럽인이 오늘날 미국인의 주류 조상이 되었으므로 비주류인 원주민의 신화가 미국인의 대체 신화에 끼어들 수는 없었다.

7.4. 오마주와 패러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오마쥬와 패러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관련 인물, 조직 및 커뮤니티

8.1. 관련 인물

8.1.1. 제작 관련

8.1.2. 배우 및 성우

배우와 성우를 둘 다 맡은 배우와 그 캐릭터는 굵게 표시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4.2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684
, 3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4.2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68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8.1.3. 기타

9. 작품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작품 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1. 영상물 공개 순 정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작품 목록/영상물 공개순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상품화

10.1. 레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고 스타워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역사

1971년 THX1138가 개봉해서 흥행에서 실패한 후 조지 루카스는 영화 제작사의 간섭 없이 자유롭게 영화를 만들기 위해 같은 해에 루카스필름이라는 영화사를 설립했다.

그리고 1973년, 조지 루카스는 60년대 미국 청춘들의 이야기를 다룬 영화 아메리칸 그래피티로 큰 성공을 거뒀고, 이를 계기로 겨우 영화 배급사들의 신뢰를 회복했다. 이에 조지 루카스는 평소 깊은 관심을 두던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의 영화를 찍기로 결심했고, 30년대 인기 스페이스 오페라 만화 시리즈이자 루카스 본인도 유년기부터 좋아하던 작품인 플래시 고든의 영화화 판권을 사서 리메이크하기로 마음 먹었다. 하지만 루카스는 플래시 고든의 판권을 사는데 실패하자 독자적인 스토리의 새로운 영화를 기획하기로 결심했다. 그렇게 조지 루카스는 신작 작업에 돌입했다.

루카스는 고전적인 스페이스 오페라 세계관의 동화적인 모험 이야기를 만들고자 했다. 이를 위해 버크 로저스나 플래시 고든, 화성의 공주 같은 고전 작품부터 같은 동시기 인기 시리즈물까지 소설, 만화 가리지 않고 닥치는대로 읽으며 장르에 대해 연구했고, 조지프 캠벨의 신화 연구 책과 황금가지 같은 고전, 톨킨의 작품 등 판타지와 신화, 동화와 관련된 책들도 여러 권을 읽으며 꾸준히 공부해 시나리오를 써나갔다.

그렇게 약 3년간 수없이 고쳐 겨우 완성한 시나리오가 바로 스타워즈로, 이것은 조지 루카스가 좋아했던 구로사와 아키라 등의 일본 영화와 동양 문화, 서부극과 해적 이야기 등의 고전적인 헐리우드 영화, 동화, 신화 등 여러가지 요소가 섞인 고전적인 스페이스 오페라 작품이었다.

이렇게 절치부심하며 스타워즈를 기획한 조지 루카스는 제작비를 지원받기 위해 영화사들을 찾아갔다. SF 장르물에 회의적인 제작사들에게 지원을 거절당하다가[28][29] 20세기 폭스에서 당시 폭스 사장이던 앨런 래드 주니어[30]가 관심을 보여서 지원을 받아 마침내 제작에 들어갔다.[31]

1977년 당시 폭스사가 처음 제공하기로 한 제작비가 800만 달러였다. 당시 물가상으로 치자면 헐값은 아니지만, 제작 과정에서 예산이 초과되자 결국 제작비 부족을 하소연하여 300만 달러를 추가로 들였는데 엄청난 잔소리를 들어야 했다. 폭스 영화사의 주차장 한칸에서 미니어처 세트장을 만들어 찍다보니 출퇴근하는 폭스 직원들이 신기하게 쳐다보기 일쑤였다. 참고로 《 스타트렉》의 첫 극장판이 스타워즈가 개봉한 지 2년 뒤인 1979년에 3,500만 달러라는 거액을 들여 만들던 거와 대조적이었다. 그러나 1977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4는 북미에서만 무려 3억 700만 달러[32]를 벌어서 제작비 28배가 넘는 대박을 거뒀다. 반대로 기대를 모으며 스타워즈의 기록를 깰 것으로 예상되던 《스타트렉》은 북미에서 8,200만 달러로 흥행은 성공했지만 기대에 너무나도 못 미쳤다.

시사회 당시 음악을 넣지 않았고, 편집도 하지 않은 상태여서 시사회를 했는데 소수를 제외하고 아무도 박수를 쳐주지 않았다. 스티븐 스필버그와 《 갱스 오브 뉴욕》의 각본가 제이 콕스가 박수를 쳐준 사람들이었고 스필버그는 이 영화에 흥미를 느꼈는지 작곡가로 존 윌리엄스를 소개해주기까지 했다. 그런데 스필버그는 스타워즈의 음악을 듣는 순간 후회를 했다고 한다. 윌리엄스가 자신의 작품인 《 미지와의 조우》도 맡았는데 《스타워즈》보다 질이 낮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더불어 슈퍼맨 1의 감독인 리처드 도너는 윌리엄스에게 스타워즈 음악과 비슷하게 슈퍼맨 음악을 만들어달라고 부탁하여 슈퍼맨 음악을 듣고 스타워즈 음악의 표절이라고 생각하는 이들까지 속출했었다.

루카스 본인은 극장이 썰렁할까 두려워 에피소드 4 개봉 당일에 스튜디오에 틀어박혀 있을 정도였지만 스타워즈는 개봉 전 걱정과는 달리 초대박을 거뒀고 대중문화의 아이콘이자 미국을 상징하는 할리우드 영화의 대표주자가 되었다. 게다가 생산지인 미국을 넘어 세계적 문화코드가 되었으며, 아직까지도 전세계에서 사랑받는 엔터테인먼트 상품의 상징 그 자체(중 하나)로 됐다. 다시 말해 영화 중 하나가 아니라 영화와 스타워즈라고 불러도 될 수준이다. 그리고 고집불통 루카스는 이 영화 수익과 더불어 멀티미디어 판권으로도 돈방석에 앉았다. 영화 자체는 물론이고 지금도 계속되어 출간되는 소설과 만화(외전판)의 판권, 장난감과 비디오 게임[33]에서 얻어들이는 라이센스비, 자신이 설립한 특수효과 회사의 외주 하청비(그가 설립한 Industrial Light and Magic) 등[34] 그에게 오는 돈이 어마어마하다.

스타워즈 영화들은 상기한대로 루카스 본인이 설립한 루카스필름이 제작했다. 폭스사의 제작비 지원을 받은 새로운 희망을 제외하고 나머지 영화들은 모두 루카스가 제작비를 댔고 폭스사는 배급만 했다. 즉, 디즈니 인수 전의 스타워즈 시리즈는 제작사인 루카스필름이 다른 중소 규모의 영화사들과는 비교가 안 될정도로 규모가 커지긴 했으나 독립영화이다. 어떻게 보면 스타워즈는 독립영화 중에서는 가장 흥행에 성공한 영화라고 할 수 있다. 물론 2010년대에 월트 디즈니 컴퍼니 루카스필름을 인수하면서 지금은 거대 기업에 속하게 되었지만.[35]

11.1. 홈미디어

분량상 스타워즈 오리지널 트릴로지 위주로 설명한다. 스타워즈 프리퀄 트릴로지 이후 작품들은 개봉 이후 얼마 시간이 지나지 않아 각 시기에 맞는 포맷으로 홈미디어를 출시했다.[36]
<rowcolor=#ffe81f> 연도 제목 발매사 형식 비고
1979 The Making of Star Wars 20세기 폭스 VHS, 베타맥스
1982 스타워즈: 새로운 희망 20세기 폭스 비디오 VHS, 베타맥스, 레이저디스크, CED 비디오디스크, V2000 카세트 테이프
1984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
1986 스타워즈: 제다이의 귀환
1997 스타워즈 스페셜 에디션판 재개봉[37] 20세기 폭스 극장 개봉용
2004 스타워즈 오리지널 삼부작 DVD판 발매 20세기 폭스 홈 엔터테인먼트 DVD
2011 스타워즈 블루레이 발매 블루레이
2019 디즈니+ 스트리밍 개시 월트 디즈니 컴퍼니 디즈니+
2020 스타워즈 블루레이 4K 블루레이 발매 월트 디즈니 스튜디오 홈 엔터테인먼트 4K 블루레이

1993년에 클래식 트릴로지는 복원작업을 거쳐서 9장짜리 LD박스세트가 나왔다. 그러다 DVD의 시대가 오자 조지 루카스는 DVD의 성능에 만족하지 못해 스타워즈는 DVD 다음 세대의 매체로 낼 것이라고 공언하고 보이지 않는 위험도 DVD로는 발매 하지 않겠다고 발언했다. 팬들이 이 소식에 난리를 피우자 루카스는 슬그머니 2001년에 2디스크 구성으로 보이지 않는 위험의 DVD를 발매했다. 이 DVD는 그당시 DVD들 중 가장 높은 화질을 자랑했고, 서플먼트도 많이 들어있어 호평을 얻었지만 국내 정발본은 서플먼트와 코멘터리에 전혀 한글 자막이 수록이 안되어 국내 팬들의 불만을 샀다.[38] 클론의 습격도 개봉 이후 DVD가 발매되었다. 전작처럼 2 디스크 구성으로 방대한 서플먼트와 화질로 호평을 얻었다.[39] 스타워즈 6부작의 마지막인 시스의 복수도 2 디스크짜리로 발매되었는데, 국내 정발본에 코멘터리와 서플먼트 둘 다 한국어 자막이 수록되었다.

2004년엔 CG 보정 작업과 필름 복원, 리마스터링 작업을 거쳐 클래식 트릴로지가 4 디스크 박스 세트로 발매했다. 이 클래식 트릴로지는 전세계적으로 엄청난 판매고를 올렸다. 디스크 1편당 각각 1편씩 수록되었고, 나머지 1개의 디스크엔 방대한 양의 서플먼트를 수록했으며 국내 정발 버전에서 코멘터리와 이 서플먼트들엔 모두 한글 자막이 수록되어있다. 많은 장면들에 수정이 가해졌고, 대부분은 호평을 받았지만 몇몇 장면은 상당한 야유를 받았다. 자세한 건 제다이의 귀환 Han Shot First 참고. 클래식 트릴로지 DVD 세트는 2006년에 재출시됐는데, 수정을 가하지 않은 각 편의 원본 버전도 보너스 디스크로 추가됐다.

2011년에는 스타워즈 전 6편의 블루레이 박스셋이 나왔다. 예상대로 화질은 최상급이었고 기존 2004년판 DVD 타이틀에는 없었던 삭제장면들도 보너스 디스크에 수록되었다. 루크가 라이트세이버를 만들어 R2에게 집어넣는 장면 등 30년 넘게 감쪽같이 숨겨왔던 삭제 장면들을 집어넣었다. 이외에도 약간의 수정사항이 있는데, 자세한 내용은 여기를 참고. 블루레이 세트 정발에 맞춰 DVD도 클래식 트릴로지를 묶은 박스세트와 프리퀄 트릴로지를 묶은 박스 세트로 다시 정발 되었지만 아쉽게도 이 DVD박스세트들은 영화 본편만 수록하고 서플먼트는 전혀 없다. 대략적인 스타워즈 에디션의 차이점은 스타워즈 스페셜 에디션(1997) 및 스타워즈 블루레이(2011) 문서 참조.

2019년에는 추가적인 복원작업을 거쳐 4K UHD로 리마스터했으며, 해당 복원 소스를 디즈니+에 우선적으로 공개했다. 이후 동일 복원 소스로 2020년 4K 블루레이가 발매. 발매사는 21세기 폭스 월트 디즈니 컴퍼니에 인수당한 이후인지라 월트 디즈니 홈 엔터테인먼트로 변경되었다.[40] 필름 스캐닝을 새로 한것도 아니고, 기존 블루레이 발매때처럼 영화에 추가적인 작업을 거친것은 아니었으나 2011년 리마스터 당시 훼손되었던 색감을 복원하고[41] HDR10 그레이딩을 거쳤다. 다만, 이런 개선점들을 제외하면 4K판의 평가는 그닥 좋지만도 않은데, 자세한 사항은 스타워즈 블루레이 문서를 참고하자.

===# 3D 재개봉(취소) #===
파일:RYD4T3QDJI4R7MDZY6XA2NW6K4.jpg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3D 재개봉 당시 국내 포스터
<rowcolor=#ffffff> 년도 제목 비고
2012년[42] 스타워즈: 에피소드 1 - 보이지 않는 위험 3D
2013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2 - 클론의 습격 3D 개봉 취소
2014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3 - 시스의 복수 3D 개봉 취소
2015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4 - 새로운 희망 3D 제작 취소
2016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5 - 제국의 역습 3D 제작 취소
2017년 스타워즈: 에피소드 6 - 제다이의 귀환 3D 제작 취소
2010년에 스타워즈 공식 홈페이지에서 3D로 6부작이 재개봉된다고 발표했다. 에피소드 1부터 6까지 추가 장면 없이 기존 판본 그대로 1년 간격으로 재개봉하는 계획으로, 3D 변환은 ILM이 맡았고 ILM 소속인 존 놀(John Knoll)이 3D 변환 작업의 총 책임을 맡았다. 2012년 에피소드1이 재개봉되었다. 바로 다음 해인 2013년 에피소드2가 재개봉할 예정이었으나 디즈니에서 루카스필름을 인수하고 새로운 3부작을 제작하면서 2편부터 6편까지의 재개봉은 취소되었다. 그냥 에피소드7에 집중 한다고. # 대신 스타워즈 팬들이 모이는 연례 행사인 스타워즈 셀레브레이션에서 에피소드 3까지 상영해줬다고 한다. 이미 제작은 완료되었던 모양.

추후 기사를 통해 공개된 내용은 에피소드 3까지는 3D 변환이 완료됐었고, 에피소드 1~6까지 1년에 하나씩 개봉할 계획이였다고 한다.

11.2. 디즈니의 인수

2012년 디즈니 루카스필름을 40억 5000만 달러, 한화 약 4조원 이상에 인수했다. 이후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시퀄 시리즈가 만들어졌으며, 시퀄 시리즈에는 오리지널 시리즈의 주인공들인 루크 스카이워커 역의 마크 해밀, 레아 오르가나 역의 캐리 피셔, 한 솔로 역의 해리슨 포드는 물론이고, C-3PO 역의 앤서니 대니얼스, 츄바카역의 피터 메이휴 등의 오리지널 주역들 또한 등장했다. 음악은 당연히 존 윌리엄스. 원작자인 조지 루카스는 감독 자리에서 물러나 창작 컨설턴트를 맡았다. 디즈니가 인수한만큼, 월트 디즈니 월드를 위시한 월트 디즈니 파크 앤 리조트에도 스타워즈 관련 어트랙션이 하나둘씩 생겨나기 시작했다.

시퀄 시리즈의 내용이 기존의 확장 세계관이었던 EU와 관계없는 완전히 새로운 스토리로 나아간다고 밝혀 스타워즈 마니아들 다수의 분노를 일으켰다. 하지만 현재는 시퀄 시리즈의 긍정적/부정적인 평가를 떠나서, EU의 폐기는 새로운 시리즈의 제작을 위해 필수였다는 반응이다.[43] 루카스가 직접 시리즈의 큰 흐름을 짜던 오리지널 및 프리퀄 시리즈와 달리, 시퀄 시리즈는 각편의 감독에게 각본 집필까지 맡기는 등 상당한 재량권을 부여했는데, 이 때문에 팬들로부터는 ‘큰 줄기의 기획 없는 릴레이 웹툰이 되지 않았냐’는 비판을 받는다.

그러다 2017년 11월, 스타워즈의 새로운 삼부작과 실사화 TV 시리즈를 준비하고 있다는 발표가 나왔다. 이 삼부작 영화는 라이언 존슨이 필두로 제작할 것[44]이라고 한다. 한편 실사화 드라마 시리즈는 존슨 감독의 새 트릴로지와 별개로, 디즈니가 넷플릭스와 계약을 종료한 후 준비 중인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에 방영하기 위해 기획한 자체 제작 콘텐츠들이 될 것이라고 발표됐다. 기존의 스카이워커 사가가 총 9부작으로 막을 내리면서, 새로운 장소와 새로운 인물들의 이야기로 스타워즈 세계관을 확장시킬 계획이라고 한다.

그리고 2019년 11월, 디즈니의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인 디즈니+의 런치와 함께 공개된 첫 실사화 드라마가 다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면서 후속 스타워즈 프로젝트에도 청신호가 켜졌다. 2020년 2월 월트 디즈니 컴퍼니의 회장 밥 아이거가 향후 프랜차이즈의 주력으로 드라마 시리즈를 손꼽으며 스타워즈 세계관의 확장 의지를 밝혔다. 현재 시즌 3 방영까지 마친 만달로리안 시리즈 외에도 제작 중이거나 제작된 실사화 드라마 시리즈가 총 8개이며 새로운 삼부작 영화의 개봉일은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여파로 연기된 상황이다.

2023년 7월에는 디즈니의 영화 스튜디오, 디즈니+, 테마파크가 모두 전체적인 부진에 빠져들면서 CEO인 밥 아이거가 스타워즈 시리즈의 제작 편수와 예산을 줄일것이라고 직접 밝힌 상태다[45]. 이로 인해 제작 예정인 영화 스타워즈: 로그 스쿼드론, 드라마 랜도 스켈레톤 크루는 제작 취소 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12. 한국에서

‘스타워즈의 무덤’에서 스타워즈를 묻다(시사in)
한국이 스타워즈의 무덤이란 증거[46]

단순한 영화를 넘어 문화현상 그 자체가 되었다고 평가 받는 스타워즈 시리즈지만, 한국에서의 인기는 매우 적은 편이다. 그 문화 갈라파고스라고 불리는 일본조차 스타워즈는 상당한 인기를 보여주는데도 말이다.[47][48]

한국에서의 스타워즈 흥행은 깨어난 포스가 달성한 300만이 최고 흥행이고, 그 이후로 맥시멈을 100만 정도로 잡는다. 로그 원이 겨우 100만 관객 턱걸이, 라스트 제다이는 96만에 그쳤다. 이 관객수는 수억 달러를 들인 블록버스터 영화로서는 저조한 성적이다. 한국에서 최고 흥행을 기록한 깨어난 포스도 시리즈의 전세계적 인기[49]를 고려하면 그저 그런 흥행이었고, 외전인 한 솔로는 고작 21만명이라는 저조한 흥행성적을 거뒀다.

한국에서는 처음부터 이렇게 소수 매니아들만 열광하는 시리즈가 아니었다. 새로운 희망이 개봉한 1978년 서울관객 34만 7천 명을 기록했는데 1970년대에 그 정도면 상당히 엄청난 흥행이었다.[50] 그러나 제국의 역습은 국내에서 개봉하지 못 했는데, 수입가가 비싸서 수입사들이 외면했기 때문이었다. 당시 20세기 폭스 측이 요구한 수입가는 100만 달러에 달했는데 수입사들이 미쳤냐라며 즉각 포기할 정도로 엄청난 거액이었다. 참고로 1978년에 개봉하여 흥행한 영화 《 죠스》를 40만 달러(또는 38만 달러)를 주고 사온 게 당시 최고가 수입액이었는데, 이를 두고 죠스 수입사 우진필름이 달러낭비를 한다고 지적이 나와 1976년 개봉 광고를 때리고 언론에 알리고도 2년이나 상영이 미뤄졌던 걸 생각하면 100만달러를 낼 수입사는 없었거니와 무리해서 사온다고 해도 언론을 통하여 달러낭비한다고 비난받을 것이 뻔할 일이었다.

덧붙여, 1984년 수입사들이 서로 사려다가 값이 펑펑 올랐다는 《 ET》조차도 수입가가 50만 달러가 되지 않았다! ET도 《죠스》처럼 2년이나 수입이 보류되어 개봉했던 것도 45만 달러 수입가가 달러낭비라고 하는 지적이 컸기 때문이다. 1985년 대 히트를 친 람보 2의 경우 35만 달러 수준에서 사왔으며 1989년 서울 75만 관객을 기록해 국내 극장영화 흥행 1위였던 《 마지막 황제》는 52만 달러, 1991년 국내 극장영화 흥행 1위였던 《 늑대와 춤을》은 수입가가 88만 달러(이상 출처는 개봉 당시 국내 신문 자료들.)였다. 91년 흥행 2위 《 터미네이터 2》조차도 묶음 판매권으로 같은 제작사인 캐롤코 픽처스의 《 야곱의 사다리》랑 같이 묶여서 200만 달러에 사가야 했으니[51] 1980년 초반에 100만 달러라는 수입가가 얼마나 비쌌는지 알 수 있다.[52]

에피소드 6 제다이의 귀환 또한 4년이나 한국 수입사들이 비싸다고 사가지 않아 결국 폭스 측이 값을 정상적인 수준으로 낮춰서야[53] 팔려서 1987년에서야 개봉한 거다. 이런 논란 속에서도 에피소드 6는 서울관객 18만을 기록하며 흥행했지만 대박이라고 하기에는 좀 부족한데, 이것은 해적판 비디오나 필름북 등 다른 미디어 매체로 작품 자체가 이미 널리 알려진 다음이었기 때문이다.

프리퀄 시리즈는 폭스가 한국지사를 통해 직배했다. 에피소드 1은 1999년 당시 서울관객 64만(배급사인 폭스는 74만이라고 주장)을 기록하며 그해 박스오피스 6위를 기록해 흥행은 성공했다. 에피소드 2는 서울 54만 관객, 에피소드 3는 전국 172만 관객(박스오피스 18위)을 기록하며 적어도 망하지 않았지만 동시에 성공하지도 못 했다. 애니메이터이자 애니 평론가인 송락현은 스타워즈가 한국에서 죽쑤었다고 주장하면서 근거로 한국 개봉시 박스오피스 1위를 한 번도 차지한 적이 없다고 하며 통계를 낸 바 있는데 박스오피스 1위를 차지한 적 없다면 《늑대와 춤을》에게 밀려서 91년 개봉작 흥행 2위가 된 《터미네이터 2》도 죽쑨 것일까? 국내에서 스타워즈 시리즈가 "망했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으며, 동시에 "대박이다"고 할 수도 없다.

루카스필름이 디즈니에 인수된 직후 스타워즈 번역 서적이 정발되는 숫자가 꽤 늘어나 인지도가 많이 늘어났고 반란군 애니의 호응이 괜찮았으며 디즈니 공식 작품인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그 이전의 이야기를 한국에서 제작하고 외국으로 역수출하는 긍정적 전조가 일부 있었다. 그래서 많은 팬들 및 관계자들이 상황이 호전된 편이라 여겼다. 이 때문인지 2015년에 개봉한 깨어난 포스는 개봉 전 배급사가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고, 많은 스크린 상영과 개봉전부터 예매율이 50%를 돌파하는등 ‘이번에는 진짜 제대로 흥행을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기대를 모았으나 결과는 역시나 애매했다.

깨어난 포스가 전작들보다 관객수가 높아 한국에서도 분명 성공한 거라며 로그 원 결과에 따라서 이후에 누가 틀리고 옳았는지 판단해보자는 의견도 많았었다. 사실 이 말에도 당시 설득력이 있었던게 한국에선 수치상으로 200만을 넘긴 스타워즈 영화가 없었으니 깨어난 포스의 300만 관객은 기존 팬덤은 물론 라이트 팬덤까지 창출될 만큼 한국에서 스타워즈 시리즈가 전보다 대중적이 되어 차후 시리즈 역시 관객 수가 더 많아질 것만 같았던 분위기였다. 그러나 로그 원은 개봉 후 101만 관객이라는 시리즈 최저 흥행을 기록하였다. 또한 깨어난 포스에서 늘어난 관객 수는 지난 10년 간 멀티플렉스 상영관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 것에 비하면 오히려 매우 아쉬운 수치라는 비관적 전망 역시 함께 제기되었다.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의 경우 2017년 12월 11일 기준으로 전체 영화 예매율 1위를 석권하며 오랜만에 흥행 청신호가 켜지나 싶었으나… 영화 자체의 문제로 관객들에게 박한 평가를 받고 강철비에 더블스코어로 밀려 2위를 차지하였고, 신과함께 등의 한국 영화들이 개봉하자 처참하게 순위권 밖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12.27일 기준으로 93만명 관객으로, 최종스코어는 로그 원보다 약간 떨어지는 96만명 대에 그쳤다.

또한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의 흥행 참패로 인해 '스타워즈는 한국에서 흥행이 힘들다'라는 인식이 더욱 강해진 것이 앞으로의 전망도 어둡게 만든다. 심지어 배급사마저 한국시장을 포기하는 듯한 움직임을 보여주는 바람에 당장 라제 이후 개봉한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는 어떤 홍보도 없이 첫 주부터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 교차상영을 하였고, 결국 한 솔로는 21만여 명 남짓한 관객 스코어로 마감했다. 그리고 시퀄 3부작의 완결편인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는 전 세계에서 가장 늦게 개봉했다.[54]

이정재 애콜라이트에 캐스팅이 되었다는 소식이 들리며 한국 스타워즈 팬덤은 애콜라이트를 통해 한국 스타워즈 팬이 늘기를 기대하고 있다. 다만 이정재의 캐스팅은 한국시장을 고려한 캐스팅이 아닌 그저 이정재가 오징어 게임으로 전세계적인 인기를 누렸기 때문이라는 비관적인 시선도 존재한다.

12.1. 인기가 없는 원인

<colbgcolor=#000><colcolor=#fff>
[영상요약]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동진의 견해[56]

국내에서의 위상을 요약하자면 모르는 사람이 드물 정도로 유명하지만, 좋아하는 사람도 드물다에 가깝다. 워낙 범세계적인 프랜차이즈다보니 다스 베이더, 요다, 광선검, 아이 앰 유어 파더, 임페리얼 마치 등은 많이 알려졌지만, 굳이 극장까지 가서 영화를 관람하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고 더 깊게 파고드는 매니아는 영화 애호가나 소수의 시리즈 코어 팬들 뿐이다.

이렇게 된 데는 보통 4편 개봉 후 5편이 아닌 6편이 먼저 개봉했기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4편에서 서로 원수처럼 싸웠던 이들이 뒤이어 개봉한 6편에서 갑자기 아버지 아들지간이 되어있는데다, 조그만한 곰인형들이 활로 중무장한 병사들을 때려눕히는 걸 보며 관객들이 황당함을 느끼지 않았겠냐는 것.[57] 오리지널 시리즈 3부작을 통틀어, 또는 프리퀄 3부작 포함 시리즈 전체를 통틀어 가장 중요한 터닝 포인트인 출생의 비밀이 밝혀지는 5편이 제때 개봉을 못 한 점이 큰 약점요인으로 작용하여 이후 개봉된 프리퀄 3부작에까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겠냐는 주장이다. 마블로 치면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가 개봉하지 않고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먼저 나와 영웅들의 불운한 패배와 비장한 역전이라는 서사가 그려지지 않은 상황과 비교할 만 하다. 그러다보니 3부작 영화로서 스토리의 서사를 느낄 수 없어 그저 특수효과 잘 만든 할리우드 액션물로만 느끼고 말았다는 것. 한마디로 중간에 단추를 잘못 꿰었다는 의미다.

또한 스타워즈 오리지널 시리즈가 개봉된 연도가 한국에서 ‘ 영화’라는 형태의 대중문화 소비가 제대로 정착되기 이전이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첫 작품인 4편은 무려 제4공화국 시기의 작품이며, 문화나 여가를 국민들이 신경쓰기 불가능에 가까웠던 시기다.[58] 첫 단추부터 영 상황이 좋지 못했는데 심지어 5편은 극장 개봉을 스킵했고 6편으로 뜬금없이 넘어가 버렸다. 5편이 나올 당시, 국내에는 가정용 VCR은 커녕 컬러 TV도 보급되기 전이었기 때문에 극장에서 6편을 보기 전에 개봉도 안한 5편을 비디오로 미리 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까웠다. 이러다보니 시리즈가 붕 떠버릴 수 밖에 없었다.

'스타워즈'가 미국은 물론 구미 각국에서 워낙 인기를 끌었다보니 이름 정도는 들어본 한국인들이 많았지만 영화를 볼 방법도 마땅치 않았고 인기 자체가 시들해 2차 저작물도 거의 존재하지 않았다. 결국 국내에서는 스타워즈 하면 광선검과 레이저총으로 뿅뿅 거리며 싸우는 권선징악 액션영화 내지는 ' 내가 니 아빠다하는 가면 쓴 남자가 나오는 SF 영화' 정도로만 기억되고 팬층은 거의 생기지 않았던 것이다.

시퀄 또한 이러한 영향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 깨어난 포스, 로그원 개봉 당시 영화 관람 후기 중 " 광선검 액션 보러 갔는데 광선검 액션이 없다" 혹은 "투박하고 짧아서 기대에 못미쳤다"는 반응이 많았다.[59]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처럼 영화 평이 낮아도 이름있고 볼거리라도 많으면 보러가는 게 우리나라의 영화관 문화인데 라스트제다이 한 솔로가 흥행에 실패한 건 스타워즈 = 광선검이라는 단순한 공식만을 가지고 스타워즈를 기대했던 스타워즈 팬덤 밖의 가볍게 영화를 보는 관객들의 기대불일치가 컸을 가능성이 높다.[60]

사실 위 이유도 이유지만 가장 큰 문제로 여겨지는 것은 대한민국이 SF/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의 무덤 소리를 들을 정도로 우주 배경의 영화의 흥행 성적이 저조하다는 특성이다. 국내에서 스타트렉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61] 등의 영화들도 똑같이 실망스러운 흥행을 기록했듯이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 자체가 한국에서 잘 안 먹히는 것은 이미 유명하다. [62]

시리즈 장르 자체도 잘 안 먹히는데다 오리지널 시리즈는 순수 아날로그 특수효과라 현 시점을 기준으로는 비주얼적인 혁명을 느끼기 힘든 고전작이라는 점, 현 시점에서 시리즈를 정주행하기엔 양이 상당하다는 점 등, 여러모로 입문하기에 경쟁력이 떨어져서 인기와 유명세에 비해 국내에선 흥행이 안되고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이후 디즈니 코리아에선 라스트 제다이 극장 개봉판에 캐릭터 소개자막을 넣는 등의 신규 팬 유입을 시도했으나 큰 성과는 없었다.

결정적으로 디즈니 코리아 측에서도 한국 흥행에 큰 욕심이 없다.[63] 스타워즈 시리즈가 다른 지역에서 벌어들이는 수익과 2차 수익이 워낙 막대하기 때문으로, 디즈니는 어차피 막대한 인구를 지닌 최고의 시장 중국[64]을 논외로 한다면 나머지 동아시아에선 한국의 MCU가 있어서 스타워즈에 굳이 욕심낼 이유는 없다. 특히 일본에선 스타워즈가 엄청나게 인기가 많고 일본의 문화시장 규모가 천문학적이라 한국에게 무리하게 스타워즈를 추진할 필요가 없긴 하다. 디즈니가 일본에 마블 수출을 포기할 수 없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안 그래도 한국에서의 인기가 저조했는데, 시퀄 시리즈라는 절호의 찬스를 놓치는 바람에 미래가 더 어두워졌다. 그래도 그 외의 외전 시리즈들이 사람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데엔 성공했고, 이 덕에 조금씩 늘어나고는 있다. 대표적으로 클론 전쟁, 로그 원, 만달로리안 등의 애니메이션과 드라마가 나름 주목받은것이 희소식.[65][66] 거기에 배틀프론트 시리즈 등 스타워즈 프랜차이즈의 게임들이 자막 번역을 거치며 꾸준히 정식 발매되고 있다. 검열을 통과하지 못해 게임 발매가 안 되는 중국에 비하면 사정이 나은 수준이다.

12.2. 일본과의 비교

파일:이동진 스타워즈1.jpg
파일:이동진 스타워즈12.jpg

상술했듯 한국을 포함한 70년대의 아시아가 전반적으로 경제적으로 넉넉하지 못했던 것과 다르게, 아시아의 유일한 경제대국이었던 일본에서는 실제로 스타워즈의 인기가 매우 많았다.

1970~80년대 아시아에서 영화· 애니· 서적· 프라모델 등 취미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여건과 시장이 잘 발달되고 충분한 규모를 갖춘 국가는 일본 뿐이었다. 한국은 일본의 뒤를 따라가던 개발도상국으로 일본에 비해 경제력은 많이 약했다. 한국은 1980년대 초나 중반이 되어서야 TV수상기가 각 가구에 100% 가깝게 보급되었고 1980년대말이 되어서야 3저호황을 누리며 본격적인 소비문화가 도래했기에, 그전까지는 스타워즈 시리즈의 파생상품들과 미디어믹스를 소비할 수 있는 시장은 상상도 못했었다.

한편 당시 중국 문화대혁명이 막 끝났던 시기로 경제, 문화, 인프라 등이 시궁창에 쳐박혀있던 시기다. 그러니 스타워즈가 한국과 중국에서 코어팬이 생길래야 생길 수가 없었던 것. 먹고살기 바쁜데 무슨 덕질 다른 아시아 국가들 역시 상황은 좋지 않았다.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베트남전과 각국의 내전과 정정불안이 이어지며 고난의 시기를 겪고 있었고, 경제력이 강하던 대만 리덩후이 이전엔 극우 독재 국가였으며, 홍콩은 인구가 적은 도시여서 스타워즈를 소비할 시장규모가 작았다.

즉, 그 당시 일본을 뺀 아시아 국가들에서 스타워즈 덕질문화가 일어나기 어려웠다는 것이다. 일본은 1960년대에 선진국에 진입해 1980년대 후반엔 버블경제를 향해 달려가며 미국 다음가는 경제대국이었고, 당연히 문화적 수요와 소비문화가 폭발했다. 당시 일본에선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출판 등 미디어산업이 호황을 누렸고 SF붐이 일어났다. 또한 조지 루카스가 구로사와 아키라의 영화 숨은 요새의 세 악인을 보고 감동해 스타워즈의 스토리 라인을 만드는 데 이용했던데다, 일본 고전 사무라이 검술 영화들의 영향을 받아 제다이[67]를 창조해낸 것도 일본인들의 감성을 사로잡았다. 그리고 스타워즈의 영향을 받은 건담 시리즈 마크로스 시리즈 같은 우주활극 SF장르도 1980년대에 정점을 찍었다는 걸 보면 그 시대 분위기를 알 수 있다.

한편 21세기에 와서는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한국과 중국에서 대박을 쳤는데 이는 일본에 비해 뒤늦은 한국과 중국의 경제적 호황기와 맞물린다고 볼 수 있다. 한국과 중국의 덕질문화는 2010년대에 와서야 크게 발전했는데 이때 최고의 전성기를 누린 영화 시리즈가 마블이었다.

12.3. 다른 작품들과의 비교

유사장르의 다른 작품들과 비교해도 유독 스타워즈가 한국에서 뒤떨어진 편이다. 물론 스타워즈와 함께 세계 3대 SF명작으로 뽑히는 스타트렉 닥터후도 한국에선 매니아들만 좋아하는 시리즈인 것을 고려하면[68], 스페이스 오페라 자체의 한계라는 의견이 많은 편이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인구대비 인기는 전세계에서 최고수준인 것과 비교가 유독 많은데, 그중에서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가 한국에서 흥행기록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는 점을 보면 더욱 그러하다. 마블 외에도 월트 디즈니 컴퍼니가 배급하는 애니메이션들이나 실사영화들이 대체로 한국에서 인기가 엄청 높은 것은 맞는데, 겨울왕국이나 알라딘의 흥행기록과 비교하면 스타워즈만 유독 낙동강 오리알 신세다.

진중한 우주 SF 이야기인 인터스텔라[69], 다채로운 로봇이 등장하는 트랜스포머 시네마틱 유니버스 등이 한국에서 크게 흥행한 기록 등을 생각하면 우주를 배경으로 하는 SF 장르 자체는 사실 문제가 안된다는 의견도 있고, 아바타처럼 국내에서 엄청난 인기를 끈 스페이스 오페라 영화들도 존재하기 때문에 스타워즈가 단순히 스페이스 오페라라서 망한 것은 아닐 수도 있다는 이야기도 있다.

실제로 영화 쪽이 아니라 드라마, 게임, 소설, 애니메이션 분야까지 따져보면 은하철도 999처럼 폭발적인 인기를 끌어 40년 동안 수차례 재방영을 거듭한 사례도 있었고, 스타워즈가 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끈 1980년대엔 국내에서 제작된 대부분의 극장용 특촬물이나 로봇 애니메이션들도 그 트랜드를 따라 스페이스 오페라 세계관을 차용하기도 했었다.[70] 은하영웅전설 시리즈 같은 경우는 20년전만 해도 서울대학교 도서관에서 대출 순위 3위를 기록해 신문 기사로 나오기도 했고, 한국에서 가장 크게 성공한 게임 중 하나인 스타크래프트 역시 스페이스 오페라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런 사례들이 한국 대중이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를 좋아하는 것이란 주장의 근거가 될 수는 없다. 스타워즈의 제작 과정을 다룬 다큐에 따르면 1977년 첫 작품이 개봉하기 전부터 제작진은 이미 SF 팬덤의 중요성을 생각해 그들을 적극 공략하는 마케팅을 펼쳤다고 하며, 일본 같은 경우 1970년대 후반에 이미 오타쿠 문화가 자리 잡아 스타워즈가 빠르게 자리 잡을 수 있었다. 즉 스타워즈는 1970년대 당시부터 이미 소수의 열렬한 팬들의 지지가 흥행에 엄청난 영향을 끼쳤던 사례인 것이다.

반면 한국 같은 경우 1977년 당시부터 현재까지 SF 팬덤의 규모와 파워가 약한 편이고, 그렇기에 SF 소설의 정발 상태 역시 상당히 좋지 못한 상황이다. 그렇기에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 자체에 큰 투자를 하는 열혈 팬들의 존재 역시 상당히 미미할 수 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스페이스 오페라 장르의 영화는 한국 시장의 흥행에 있어서 상당히 불리한 편이다.

시리즈물로서의 부담감 때문이라는 의견은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 해리 포터 시리즈가 흥행에 크게 성공한 것을 생각하면 큰 페널티는 아니라는 의견도 있으나, 시리즈 첫 작품의 개봉년도가 무려 1970년대이고, 영화가 9편이나 존재하는데 작중 시간대와 개봉 순서가 일치하지 않는 복잡한 역사이며[71], 영화 뿐만 아니라 애니메이션 등 연계되는 작품들이 상당히 많다는 점, 복잡한 정치적 분쟁을 크게 다루고 있다는 점, 슈퍼히어로 영화처럼 한국 관객들이 친숙하게 느낄 캐릭터 요소나 한국에서도 큰 팬덤을 가진 핫한 배우가 없다는 점 때문에 일반적인 시리즈물과 비교해서 진입장벽이 있다고 볼 여지는 충분히 있다.

스타워즈만큼 오래된 닥터후 시리즈나 007 시리즈 같은 경우는 주기적으로 배우가 바뀌고 세계관도 느슨하게 연결된 편이기 때문에 굳이 모든 작품을 다 보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팬의 유입이 상대적으로 쉬운 편이다.[72]

스타워즈에 직접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받은 SF 애니메이션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가 한국에서 인기있는 것을 생각하면 아이러니한 부분이다. 인구대비 본국인 일본 다음으로 건담의 인기가 높은 나라가 한국이다. 건담 베이스라고 하는 전문 모형샵이 전국 각지에 있을 정도며, 심지어 건담의 인기를 바탕으로 프라모델을 커스텀하는 공방도 운영될 만큼 팬덤의 높은 인기를 자랑한다. 참고로 스타워즈 초반 작품들의 개봉 순서가 뒤죽박죽이었는데 이건 건담도 마찬가지다.[73][74] 단 스타워즈와 같은 극장용 작품으로 한정하면 얘기가 달라지는데 일본에서 역대 건담 시리즈 극장판 사상 가장 흥행한 기동전사 건담 SEED FREEDOM은 한국에서 고작 5만명 관객밖에 보지 않았다.

비슷한 장르의 마크로스 시리즈는 1990년대 당시엔 삼부바디오에서 발매된 비디오나 출격 로보텍이란 이름으로 방영된 SBS판, 용산 등에서 거래된 해적판 비디오를 통해 괜찮은 인기를 누렸으나 지금에 와선 고정 팬덤이 상당히 미미해진 편이다.

또한 한국에서는 무협이 텃세를 잡았지만 스타워즈는 미국 시장을 노린 미국식 무협이기에 되려 인기가 없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외의 다른 나라의 감성을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무협같긴한데 보통 생각하는 무협이 아니라는 위화감을 받는다는 것이다[75]. 더 파고들자면 이미 스타워즈의 주된 소재인 제다이부터가 동양적 사상을 차용한 무림인이나 다름없으나 제다이는 아무래도 라이트 세이버에 의존해서 싸운다는 인상이라 무기를 쓰는 인물들도 많이 등장하나 결국에는 본인의 무력과 무공이 중요한 한국식 무협에 익숙할 관객들에게 뭔가 안맞는다는 느낌이며, 무공 능력이라 할만한 포스 능력이나 라이트세이버 검식의 설정이 있지만 영화 연출상으로 큰 인상을 받지 못하게 연출되있으며 반면 온갖 기기묘묘하고 다양한 무공이 화려하게 연출되며 단계별 경지가 다양하게 존재하는 무협지 무공에 비해서는 눈에 보이는게 부족해서인지 뭔가 심심한 느낌을 받고, 제다이 시스의 대결 구도 역시 정파와 마교or사파의 대결 구도라고 할 수 있지만 무협에서 이미 많이본 구도라서 식상함을 느끼고 정수불범하수처럼 관과 무림이 분리되있다는 인식이 확고하게 자리잡은 무협 팬들에게는 제다이와 시스만이 대립하는게 아니라 공화제 vs 제국주의 정치 사상 대결구도도 같이 영화속에서 봐야하기 때문에 어색한 위화감이 넘치는 인상을 받는다는 것이다. 또한 스타워즈는 신화적이고 운명론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이런 서사에서 뭔가 붕뜬 인상을 받는다는 것이다.

이렇게 보면 기동전사 건담 시리즈가 스타워즈보다 팬덤이 두터운 이유가 나타나는데 이쪽은 딱히 무협이 아니라서 이입을 해치지 않기 때문이다[76]. 반면 다른 미국식 무협 영화라고 할 수 있는 쿵푸팬더는 시작부터 미국만이 아니라 중화권을 비롯한 해외 시장부터 생각해서인지 친근감이 드는 팬더 캐릭터를 내세워 부담감을 낮췄으며 무협에서 중요시하는 깨달음[77]에 대해 꽤나 그럴싸한 연출과 묘사를 보여주어 한국 무협팬들에게서도 많은 호응을 이끌어냈고, 슈퍼히어로 영화도 일종의 미국식 무협이라고 할 수 있지만 이쪽은 애당초 스타워즈처럼 위화감을 받을만한 동양적인 색채[78]가 없고, 정부 국가와 히어로들간의 관계 또한 자신들을 컨트롤하려는 정부와 대립하는 묘사가 나오는 것이 무협의 협의 사상과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스타워즈보다 오히려 호응을 이끌어 낼 수 있었다는 분석이 있다.

13. 명대사

안 좋은 예감이 드는군
I have a bad feeling about this.
스타워즈의 거의 모든 에피소드[79]
하거나, 하지 않거나다. 해 본다는 건 없어
Do or do not. There is no try.
요다, 데고바에서 루크를 훈련시키며 -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
케이넌 제러스, 고스트 위에서 에즈라 브리저를 훈련시키며 - 스타워즈 반란군
포스가 함께하기를
May the Force be with you.
- 스타워즈의 거의 모든 작품에서
나는 포스다, 포스는 나와 함께 한다.
I'm one with The Force and The Force is with me.
치루트 임웨 베이즈 맬버스가 -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아소카 타노, 렉스의 생체칩을 찾으며 - 스타워즈: 클론 전쟁 파이널 시즌
힘이여!! 무한한 힘이여!!!
POWER! UNLIMITED POWER!!!
팰퍼틴 황제, 메이스 윈두에게 포스 라이트닝을 날리며 - 스타워즈: 시스의 복수
66호 명령을 실행하라.
Execute Order 66.
다스 시디어스 - 스타워즈: 시스의 복수, 스타워즈: 클론 전쟁 파이널 시즌, 스타워즈: 배드 배치, 스타워즈 제다이: 오더의 몰락에서
내가 고지를 선점했다.
I Have The High Ground.
스타워즈: 시스의 복수에서 고지대를 점령하며
우리의 길이다.
This is the way.
와치의 아이들의 신조 - 만달로리안

14. 기타

15. 관련 및 하위 문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타워즈/관련 문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6. 외부 링크



[1] 스타워즈 키즈 [2] 새로운 희망은 나중에 붙은 부제고 개봉 당시에는 영화 제목이 그냥 스타워즈였다. [3] "Colin Cantwell, Designer of the X-Wing and More, Passes Away", StarWars.com, 2022년 5월 23일, https://www.starwars.com/news/colin-cantwell [4] Ben Hardwick, "Why Star Wars: Revenge of the Sith's Original Cut Was Four Hours Long", CBR, 2022년 8월 31일, https://www.cbr.com/revenge-of-the-sith-george-lucas-original-cut-length-explained-star-wars/ [5] 북미뿐 아니라 유럽, 심지어 러시아와 같은 나라들에서도 엄청난 인기를 끈다. 특히 제다이와 시스의 세계관과 대립 구도가 정립된 이후 팬메이드 필름이나 모형 라이트세이버들이 널리 퍼지고 있다. [6] 이때를 전후해 미국 할리우드 프랜차이즈 시리즈나 오락영화들이 주로 개봉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7] 2002년 북미 흥행 1위는 《 스파이더맨》, 전세계 흥행 1위는 《 반지의 제왕: 두 개의 탑》이었다. [8] 다만 물가보정 시에는 가장 먼저 개봉한 《 새로운 희망》이 압도적이다. [9] 깨어난 포스》 개봉 전에는 2012년 재개봉하여 수입을 추가한 《 보이지 않는 위험》이 가장 먼저 10억 달러를 넘은 에피소드다. [10] 대표적으로 다나카 요시키의 대하 SF 밀리터리 소설 은하영웅전설이 있다. 후카사쿠 킨지 감독의 《우주로부터의 메시지》는 대놓고 스타워즈에 도전한다는 식으로 만들어진 영화. 그 이외에 《 기동전사 건담》이라던가 이 당시 나왔던 다른 로봇 애니메이션들 및 특촬물도 알게 모르게 스타워즈의 영향을 받은 흔적이 보인다. [11] 전세계 미디어 프랜차이즈 순위. # [12] 물론 이쪽도 누계매출로 따진다면 스타워즈에 비해 많이 밀린다. [13] 더 나아가 은하 제국의 유래는 민주주의를 민주적으로 살해한 바이마르 공화국 말기 내지 공화정 말기의 로마를 연상케하며, 경영 방식은 국가판무관부들을 설립해 극한까지 빨아먹던 나치 독일을 연상토록 한다. 회색의 시대였던 냉전기와 달리 선과 악이 명백하게 구분되었던 2차 세계 대전이 스타워즈에서 펼쳐지는 선과 악의 대립을 더 드라마틱하게 보여줄 수 있기 때문이다. [14]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15] 영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TV: 스타워즈 저항군 (목소리)
게임: 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
[16] 스타워즈: 보이지 않는 위험, 스타워즈: 클론의 습격, 스타워즈: 시스의 복수 [17] 스타워즈: 클론의 습격 [18] 스타워즈: 제국의 역습, 스타워즈: 제다이의 귀환 [19] 영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TV: 스타워즈 운명의 포스 (목소리), 스타워즈 반란군 (아카이브 목소리)
게임: 디즈니 인피니티 3.0 (목소리), 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목소리), 스타워즈 배틀프론트 2 (목소리)
기타: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더 레지스턴스
[20] 영화: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TV: 스타워즈 반란군 (아카이브 목소리, 두 에피소드)
게임: 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기타: 스타투어즈: 더 어드벤처즈 컨티뉴,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더 레지스턴스
[21] 한 솔로: 스타워즈 스토리 [22] 영화: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TV: 안도르
[23] TV: 스타워즈 반란군 (목소리), 아소카 [24] 영화 (모션 캡처):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스타워즈: 라스트 제다이, 스타워즈: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
TV (목소리): 스타워즈 운명의 포스, 스타워즈 반란군 (아카이브 목소리)
게임 (목소리): 레고 스타워즈: 깨어난 포스
[25] 영화: 스타워즈: 보이지 않는 위험
TV: 스타워즈: 클론의 습격 (목소리), 스타워즈: 클론 전쟁 (목소리), 스타워즈: 제다이 이야기 (목소리), 오비완 케노비
[26] 영화: 로그 원: 스타워즈 스토리
TV: 스타워즈: 배드 배치 (목소리)
[27] 목소리 연기. [28] 그 당시에는 TV 매체의 성장으로 극장에 위기가 찾아와 영화계는 젊은 팬들을 어떻게든 확보하고자 했고, 그런 분위기로 인해 젊은 감독들이 주축이 된 아메리칸 뉴웨이브 시네마 영화들이 인기를 얻고 있었으며, SF도 소일렌트 그린 등의 암울한 스토리의 영화들이 인기를 얻던 시대였다. 하지만 스타워즈는 1930년대 스타일의 스페이스 오페라와 이미 유행이 끝난 서부극, 고전 동화 등의 요소로 가득한 영화였기 때문에 당시 트랜드에서 한참 벗어난 작품이었다. [29] 거기다가 이후 밝혀진 관계자의 인터뷰 등에서 나오길 이때의 각본이 너무 유치해서 다른 배급사들이 거절했다고 한다. 이후 본격적인 제작에 돌입하면서 대대적인 수정이 가해져 지금이 되었다고 한다. [30] 셰인으로 유명한 배우 앨런 래드(1913~1964)의 아들 [31] 이러한 이유로 20세기 폭스사의 트레이드 마크인 팡파르가 스타워즈 6부작의 시작에 반드시 들어가며는데, 묘하게도 스타워즈 주제가와 연결이 기가 막히게 잘 연결된다. 아예 팡파르 자체가 주제가의 일부로 오인될 정도였다. 그래서 폭스 팡파레가 스타워즈 음악 연주회가 열릴 때마다 첫 시작을 장식하곤 했다. [32] 20년 뒤 화질 재보정 및 추가판 개봉으로 1억 5,000만 달러를 덧붙인다. [33] 특히 게임 시리즈의 스케일이 장난이 아닌데 1991년부터 매년마다 스타워즈 게임이 최소 한 편씩 나왔다 [34] 아울러 음향 효과 제작실인 Skywalker Sound가 있다. [35] MCU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아이언맨 마블 스튜디오의 수장인 케빈 파이기 존 패브로에 의해 제작된 독립영화다. 참고로 이쪽은 파라마운트 픽처스가 배급을 맡았다. 다만 마블 엔터테인먼트의 자회사로서 설립된 마블 스튜디오의 작품인만큼 디즈니 인수 전에도 기업 규모는 작지 않았던 마블 스튜디오와, 청춘낙서를 빼면 특별한 흥행작이 없던 젊은 시절의 루카스가 설립한 초창기 시절 루카스 필름을 같은 선상에서 보긴 무리다. 또한, 마블 스튜디오의 설립자들은 직접 스튜디오를 설립하기 전에도 마블 원작의 작품들 제작에 마블엔터테인먼트의 명의로 참여해본 경험이 있어서 당시 루카스하곤 입지가 다르다. [36] 프리퀄의 경우 DVD → BD → 4K, 시퀄의 경우 로그 원까지는 BD → 4K, 라스트 제다이 이후로는 BD/4K 동시 발매. [37] 에피소드 4, 5, 6을 CG 등을 이용, 화질보정 및 장면 수정을 거쳐서 개봉한 영화. [38] 국내 소비자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20세기 폭스 한국지사에서 홈페이지에 서플 번역 문서 파일을 공개한 적이 있었다. [39] 전작이 서플에 한국어 자막을 넣지 않아 까인 것에 대한 반성인지 국내 정발본에선 서플먼트에 한국어 자막을 수록했으나, 코멘터리엔 한국어 자막을 넣지 않았다! [40] 안타깝게도 2019년을 마지막으로 디즈니는 대한민국 내 4K 블루레이 출시를 중지하였고, 2022년 한국 물리매체 시장에서 완벽하게 철수한지라 정식발매는 무산되었다. [41] 기존 리마스터판은 전반적으로 적색이 과다 노출되는 경향이 있어, 불꽃이 보라색 내지는 핑크색으로 보이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색감을 완전히 새로 갈아엎어 원래의 색감을 되찾았다. [42] 국내 2012년 2월 9일, 북미 2012년 2월 10일 개봉. [43] 또 이후 다양한 캐넌 매체에서 EU를 필요한 부분만 조금씩 공식으로 인정해 차용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기존 EU 팬들의 비판을 조금씩 수용했다. [44] 루카스필름에서 시퀄 삼부작의 전체적인 방향에조차 제한을 두지 않고 에피소드 8을 완전히 자유롭게 맡겼다는 존슨 감독의 인터뷰에서 알 수 있듯, 단독으로 각본을 작업하는 존슨 감독을 루카스필름에서 꽤나 신뢰했나 보다는 짐작은 팬들 사이에서 이미 짙게 퍼져 있었다. 그런데 존슨 감독과 루카스필름이 이러한 기획력으로 말이 맞았는지, 아예 새로운 스타워즈 트릴로지라는 중대한 작품의 기획과 첫 작품의 감독까지 존슨 감독에게 맡긴 것. [45] 스타워즈 프랜차이즈 뿐만 아니라 페이즈4부터 부진에 접어든 마블 스튜디오도 예산 삭감 대상에 포함되었다 [46] 해달 짤은 2021년 쯤 유행하기 시작한 아나킨 스카이워커/4컷 짤방이다. [47] 이를 빗대어 일본에서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가 인기가 없는 것처럼, 한국에서는 스타워즈가 인기가 없다고 비유된다. 두 시리즈 모두 전세계를 열광시켰지만 유독 한국과 일본에선 인기가 없다보니 각 나라의 배급사도 포기할 정도다. [48] 그래도 어벤져스 엔드게임같은 경우 일본 내에서 6,000만 달러에 육박하는 흥행 성적을 거둬 세계 영화 시장 기준으로 볼 때 적지 않게 벌어들였다. 100만 관객을 넘는 것도 쉽지 않은 한국의 스타워즈 흥행에 비하면 약간 나은 편이다. [49] 전세계에서 20억달러를 벌어들였고, 역대 흥행 4위를 기록중이다. [50] 같은 1978년에 국내개봉한 외화 중 닥터 지바고, 캐리(1976), 사망유희, 대부(영화) 2 등 현재까지 회자되는 유명작보다 높은 수치다. 참고로 그 해 가장 높은 흥행을 보인 외화는 007 나를 사랑한 스파이(545,000명). [51] 미국 측에서 같이 안 사가면 《터미네이터 2》를 안 팔겠다고 하여 수입사이던 세경영화사는 울며 겨자먹기로 둘 다 같이 사야했다. 야곱의 사다리는 당시에 한국에서 인지도가 없던 팀 로빈스가 주인공이었고 내용도 암울해서 결국 한국에선 소리소문없이 잠깐 개봉하고 사라졌다.미국에서도 흥행은 실패했지만 그래도 평가는 좋았던 이 영화는 2019년에 흑인으로 주인공 인종을 바꿔 리메이크했으나 원작 모독 수준이란 악평 속에 처절하게 흥행과 비평 모두 망했다. [52] 다른 이야기지만 1989년에 개봉한 《 람보 3》가 200만 달러라는 거액을 주고 사왔는데 오죽하면 이걸 국내 개봉 포스터 홍보문구에 보란듯이 200만 달러 수입가라고 적을 정도로 화제였다. 그러나 수입사 삼영필름은 서울관객 21만에 그치며 기대 이하 흥행을 거둬야 했는데 그뒤로 10년 가까이 회사를 유지하다가 IMF 이후 망했다. 웃기게도 IMF 이전에 한국 수입사들이 영화 수입가를 터무니없이 비싸게 사오는 일이 벌어졌는데 그냥 그런 범작 《 하드 레인》은 무려 400만 달러나 주고 사왔다가 겨우 서울관객 10만에 그치면서 수입사 동아수출공사는 재정난에 빠져 서울에 소유하던 극장이던 동아극장까지 팔아야 했다. 그나마 성룡 영화 전문 수입사로서 제법 입지가 큰 영화사였기에 지금도 남긴 했지만 2011년 이후 영화 수입도 제작도 모조리 중단된 상태다. 여담인데 동아수출공사는 1995년에 《 다이 하드 3》도 273만 달러라는 당시 거액으로 사왔고 이걸 빌미로 극장관람비를 1,000원 올려달라고 하여 이뤄지게 한 바 있다. 그나마 이건 흥행에 성공했지만. 그 밖에 1991년 《 황비홍 2》를 200만 달러 가까운 거액에 사온 대종필름은 서울관객 18만에 그치며 몇 년 안 가 영화사가 망했듯이 그만큼 폭스 측의 당시 요구 금액은 너무 지나쳤다. [53] 이것도 100만 달러 이상 불렀으나 세월이 지나 도무지 팔릴 분위기가 없고 상품가치가 떨어지니 1/5 가까이 떨이로 팔았다. [54] 미국 개봉일보다 3주정도 늦게 개봉했다. 2010년대 후반부터 시작된 선행개봉까지 하는 대한민국 현실과는 동떨어져있다. 그리고 겨우 개봉한 이 작품마저 50만 관객으로 흥행이 저조하다. 그나마 시리즈 역대 최저였던 한 솔로의 성적은 넘겼다. [영상요약] 영상을 요약하자면 안 그래도 진입장벽이 높은 시리즈물이 개봉순서마저 뒤죽박죽이어서 관객들의 이해도가 떨어졌다는 내용. 개봉순서가 망가진 원인으론 군부독재를 들고 있고 실제로 영향이 없는 건 아니지만, 그것보다는 판권료가 비싸서 그랬다는 게 더 맞는 이유로 여겨진다. [56] 요약하자면 장르의 문제는 없지만 시기적인 문제가 있었다라는 견해를 갖고 있다. [57] 쉽게 말해 '사실상 다스 베이더의 상징적인 대사인 I Am Your Father가 국내에 공개된 적이 없었다는 소리다! [58] 한국인들이 문화, 여가생활을 신경쓰기 시작한 건 아무리 빨라봐야 1990년대부터이다. [59] 일반 대중들에겐 '스타워즈=광선검'정도로 인식하기 때문에 이거 보려고 극장에 갔는데, 정작 광선검은 러닝타임 전부에서 5분도 안 나왔다. [60] 이런 설명은 가장 멋진 라이트세이버 액션과 현란한 함대전으로 무장했던 프리퀄 시리즈가 깨어난 포스만큼 홍보에 노력을 들이지 않았는데도 대박은 절대 아니더라도 그럭저럭 흥행했던 사실을 설명해준다. [61] 가오갤 2는 평범하게 흥행했지만 MCU의 이름값을 했냐면 고개를 젓게 된다. 가오갤 1편은 명량의 스크린 독점 때문에 보고 싶어도 볼수가 없던 상황. MCU 타이틀을 달고도 스크린 독점에서 밀려버리는것에서 한국에서 스페이스 오페라의 위치가 보여진다. [62] 다만 이동진 평론가는 “SF/스페이스 오페라”가 한국에서 안 먹혀서 스타트랙, 스타워즈가 실패한 것이 아니고 시기적인 문제, 당시 한국의 경제 등 영화 외적인 문제가 주 원인이며,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도 특유의 코미디가 한국에서 안먹힌 것이지 SF/스페이스 오페라여서 실패한 것이 아니라고 주장했다. 역사상 최고 영향력 끼친 <스타워즈>가 한국에서는 인기 없었던 이유 반례로 인터스텔라, 그래비티의 성공을 들기도 했다. [63] 사실 이것도 약간의 오류가 있는 것이 새로운 시퀄로 냈던 깨어난 포스때 많은 홍보를 투자하였고, 라스트 제다이때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깨어난 포스때도 홍보한 것치고는 애매한 흥행성적을 거두었고, 라스트 제다이는 영화 내용의 문제와 겹쳐서 멸망해버렸다. 그래서 그 이후는 한국 흥행에 큰 욕심이 없어진 상태가 되었다. 한 솔로는 20만 명에 그치고 상술한대로 라이즈 오브 스카이워커는 요즘 한국 선행개봉도 많이 하는 시대에서 3주 뒤늦게 개봉할 정도다. [64] 중국도 한국 시장과 비슷하게 MCU는 흥행 행진을 이어가고 스타워즈는 낮은 흥행을 기록하고 있다. [65] 스브스뉴스 채널에 드라마 오비완 케노비 드라마 관련 영상이 올라오면서 잠깐 나무위키의 검색어 상위권을 달리기도했다. [66] 또한 이정재 애콜라이트의 주연으로 캐스팅된 소식이 알려지면서 어느 정도 인지도가 올라올 가능성이 희미하게나마 생겼다. [67] 애초 어원이 시대극의 일본어 발음인 지다이게키다. [68] 하지만 닥터후 시리즈는 뉴 시즌 대부분의 에피소드가 KBS를 통해 방영되었고, 12대 닥터 시리즈가 출범하자 국내 행사까지 개최하는등 2000년대 후반부터 2010년대 초반까지는 꽤 건실한 인기를 누린 편이었다. [69] 이 작품의 경우는 과학 교육적인 면에서 괜찮다는 입소문이 어느정도 퍼진 감도 있다. 실제로 미국 본고장에선 너무 어렵다는 이유로 호불호가 관객들에게 갈리기도 했다. [70] 대표적으로 우뢰매 시리즈 [71] 일반적으로 특정 시리즈에 입문할때 대부분의 사람들은 1편부터 작품을 접하지만 스타워즈는 에피소드 1이 아니라 에피소드 4부터 봐야 하는 독특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72] 실제로 007 시리즈는 영화 편수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오랫동안 큰 사랑을 받았으며, 그렇기에 세대마다 선호하는 제임스 본드 캐릭터도 다양한 편이다. [73] 다만 건담 애니메이션은 우주세기에 속하는 일부 작품을 제외하면 등장인물도 다르고, 줄거리 상 연결점이 없다. 때문에 스타워즈와 달리 시리즈 순서가 달라진다고 해도 줄거리를 이해하는데 무리가 없다. [74] 사실 이쪽은 건담이라는 거대로봇을 소재로한 거대로봇물/배틀물이라는 인식이 더 크기 때문이기도 하다. [75] 아이러니하게도 한국의 무협팬들이 무협의 본고장이라 할 수 있는 중화권 무협 작품을 접했을때에도 위화감을 받는다고 한다. [76] 기동무투전 G건담이 있지만 오히려 이쪽은 제대로 무협 감성을 파고들었기에 반응이 좋다. [77] 1편에서 용의 전사 스크롤의 정체, 2편에서 포탄을 물방울로 여기며 튕겨내는 장면 [78] 샹치와 텐 링즈의 전설이 있지만 양조위 웬우로 캐스팅한것부터 동양 시장을 신경쓴것이 보이며 동양식 감성을 고려했는지 겉보기와 다르게 1천살이 넘는 웬우가 광보에게 일갈하는 장면이 들어가기도 했다. [79] 라스트 제다이의 경우에는 대사 등장에 대한 논란이 있다. 정식 에피소드들 뿐만 아니라 로그 원에도 나오는데, K-2SO라는 드로이드가 대사를 다 끝맺히지 못하고 진 어소에게 입막음을 당한다. [80] Emi Kolawole, "We the people want a Death Star", The Washington Post, 2013. 01. 12, URL [81] 송민섭, "약해지는 '포스'의 힘?... 영국도 "제다이교는 종교 아냐"", 세계일보, 2016. 12. 20, URL [82] Transportation Security Administration, 2023. 02. 21 발췌, URL [83] 제트 주카사나 제키 론은 죽는 장면이 적나라하게 나왔고 세 번째 자매 또한 어린 시절 배를 꿰뚫리던 모습이 묘사되었다. 또한 타락한 아나킨에 의해 영링들이 학살당했다는 묘사가 간접적으로 나왔으며 실사 매체가 아닌 클론전쟁 애니메이션 등을 모두 고려하면 그 수는 더욱 많아진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