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9 14:46:56

레오파르트 1

레오파드 1에서 넘어옴
파일:독일 국기.svg 현대 독일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7f7f7f> 독일 연방군 (1955~현재)
Bundeswehr
기타전차 라케텐야크트판처(1~4)R, 카노넨야크트판처R, VT 전차, M4A1 (76) WP/R
MBT <colbgcolor=#808080,#7f7f7f> 1세대 mKPz M 47R, mKPz M 48 A2(C · G · GA2)R, 인디엔 판처E, KPz T-55DDR/R
2세대 KPz 레오파르트 1(A1 ~ A5)R
3세대 KPz 70, MBT-80, KPz 레오파르트 2(A1/A2/A3/A4)R, KPz 레오파르트 2A5, T-72DDR/R
3.5세대 KPz 레오파르트 2(A6/A7/A7V), { KPz 레오파르트 2A8}
경전차 Ru 251, SP I.C., HS.30/90, leKPz M41R, 라트판처 90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LACBGS/R, SW M8BGS/M/R, M8 조벨BGS/M/R, 존더바겐 I/II/ III/ SR 4BGS/R, SPpz 룩스R,
TPz 푹스, LGS 페넥, GTK 복서, { 코르삭}
궤도장갑차 유니버설 캐리어R, SPz M 39R, SPz-11 쿠르츠R, SPz HS.30R, SPz BMP-1DDR/R,
비젤 1/2, GSD LuWaE, M113G3 GE, Bv 206 D/S, SPz 마르더(1A1 ~ A5), SPz 푸마, { BvS 10},
KF 링스E, PMMC G5E, HWK10 시리즈E, 베글라이트판처 57, SPz 마르더 2
차량 오토바이 KTM 400/640 LS-E 밀리터리
소형 존더바겐 IIIBGS/R, 볼프 · LAPV 에노크 · 서발, 이글 IV/V, ATF 딩고 I/II, GFF4 그리즐리 MRAP, { 카라칼}
트럭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1300L · 3000 · 4000 · 5000 Multi · 제트로스 · 악소르,
MAN KAT I, HX81, HX42M, HX45M, 모바크 DURO-III, ESK 뭉고
자주포 자주곡사포 PzH M109(G/A3GE A1 · 2)R, M110R, M107R, M53/M55R, M44R, lePzH M7 B2R, SP-70, PzH2000
자주박격포 PzMrs HS.30R, PzMrs 120mm M113GA2, LePzMrs 120mm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FlakPz M 16R, FlakPz M42R, FlakPz 게파트(A1/A2)R, { 스카이레인저 30}
단거리 대공미사일 FRP/ FRR 롤란드R, 오젤롯
다연장로켓 LARS-I/IIR, MARS II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M 74R, BPz 1R, BPz 2, BPz 3 뷔펠, 위센트 2 ARVE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 PiPz 3 코디악, 위센트 2 AEVE
교량차량 GFB 레구안, M3 자주부교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BGS: 준군사 조직이었던 독일 연방 국경순찰대(Bundesgrenzschutz, BGS)에서 사용한 차량
※ 윗첨자P: 타 국가로부터 기증받은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차DDR: 통일 이후 동독군에게서 편입된 차량
※ {중괄호}: 도입 계획 중 차량
}}}}}}}}}
파일:Leopard_I.jpg
KPz Leopard 1

1. 개요2. 제원3. 개발
3.1. 배경3.2. 유럽 표준전차 계획3.3. 레오파르트의 개발
4. 특징
4.1. 무장4.2. 장갑4.3. 동력계4.4. 관측장비
5. 형식6. 파생형
6.1. 게파트6.2. BPz 26.3. 비버 교량전차6.4. 운전 교습용 전차6.5. 투름 III6.6. PiPz 2 닥스6.7. 히포 BRV6.8. 불독 BRV6.9. OF-406.10. 페어골데터 레오파르트6.11. 에버, 카일러(Eber, Keiler)6.12. 미네브레이커 2000/26.13. T-72 포탑 장착형 레오파르트 1
7. 실전8. 운용국9. 기타10. 모형11. 미디어12. 둘러보기

1. 개요

레오파르트 1 소개 영상
독일 연방군이 운용했던 2세대 전차. 냉전 중 개발국의 군대인 서독 독일연방군과 북대서양 조약기구 국가들의 지상전력의 일익을 담당하였고 현재까지도 여러 국가에서 운용되는 나름 성공한 전차이다. 이름의 유래는 표범이다.

채용 초기에는 '레오파르트'라 불렸으나 나중에 레오파르트 2가 나오자 제식 명칭을 '레오파르트 1'으로 수정했다. 이런 사정 때문에 운용국인 독일에서는 레오파르트 1A4까지는 1을 뺀 Leopard A4 같은 형식으로 표기하는 경우도 있으며 1은 레오파르트 1A5부터 붙게 된다. 만약 독일어 포럼에서 1, 2인지 표기가 되어있지 않다면 레오파르트 1으로 보면 된다.

상업적으로도 성공해서 NATO 9개국에 주력전차로 채용되었다. 현재는 대부분 국가에서 퇴역하거나 치장물자로 보관 중이다. 캐나다군, 네덜란드군, 노르웨이군, 이탈리아군, 터키군, 호주군 등에서도 주력전차로서 운용했다. 독일은 아직도 상태 좋은 판매용 재고 차량들을 보유중이다.

2. 제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Leopard1_Bundeswehr_1983.jpg
전장 9.543m (포신 제외 시 8.29m)
전폭 3.37m
전고 2.764m
중량 Leopard A1/A2 : 40.0t
Leopard A3/A4 : 42.2t
주무장 52구경장 105mm L7A3 전차포
부무장 7.62mm MG3A1/ FN MAG 대공기관총
7.62mm MG3/FN MAG 공축기관총
탄약적재량 전차포탄 55발 적재 (포탑 수직가대 즉응탄 13발, 차체 전방 탄약고 예비탄 42발)
기관총탄 5,500발 적재
장갑 10~70mm, RHA (Leopard1 기준)
마력 / 엔진 830마력 MTU MB838M-500 수랭식 10기통 디젤 엔진
현가장치 토션 바
변속기 ZF 4HP250 자동변속기 (전진 4단, 후진 2단)
연료 탑재량 985리터 (470/490리터 탱크 및 25리터 저장소)
속도 65km/h
항속거리 562km (도로 기동시)
386km (야지 기동시)
246km (험지 기동시)
승무원 4명 (전차장, 조종수, 포수, 탄약수)
생산 대수 약 4,700대

3. 개발

3.1. 배경

파일:1z-2CK3T58Y.jpg
레오파르트 1 시제차
제2차 세계 대전 패전과 동시에 독일은 소련, 미국, 영국, 프랑스 4개국에 분할점령되었다. 이후 미국과 소련간의 냉전이 본격화되면서 미/영/프가 점령한 서부지역에는 독일연방공화국( 서독)이 수립되고, 소련이 점령한 동부 지역에는 독일민주공화국( 동독)이 수립되면서 독일은 순식간에 두동강이 나버렸다. 1950년대부터 소련을 수장으로 하는 공산주의 진영과 미국을 수장으로 하는 자본주의 진영이 점차 서로에게 싸늘해져 가는 상황이 되어가자 서독은 자본주의 진영의 최전선이 되어 버린 상황이라 재무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45년 패전 이후 서독의 군수사업은 기갑장비를 생산할 사정이 되지 못했다. 연방군은 영국과 미국제 장비를 수입해서 쓰고 있었고 서독 기업들은 자체적으로 기갑장비를 개발하기에는 자산이 후달렸던 것이다. 그래서 독일의 군수기업인 다임러-벤츠와 포르셰KG 등은 돈줄을 찾아 외국으로 눈을 돌렸다. 이 와중에 자국산 전차를 생산하고자 했던 인도와 눈이 맞았고, 인도의 기업 타타 그룹이 라이센스 생산할 것으로 인디엔 판처 설계안을 제시했다. 하지만 인디엔 판처 프로젝트는 실패로 끝나고 말았으며, 이후 인도는 영국의 빅커스 MBT Mk.1을 면허생산한 비자얀타 전차를 도입하였다.

인디엔 판처 프로젝트가 실패한 이유[1]는 명확하지 않지만 결국 설계도 단계에서 프로젝트가 취소되었다. 그러나 이 사업은 레오파르트의 등장에서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했으니, 바로 이 사업 덕분에 포르셰KG가 유럽표준전차 사업에 참가할 자격을 얻었다.

한편 1955년 11월 12일에는 독일 연방군이 창설되었고, 독일연방군은 급하게 미국으로부터 받은 M41 워커 불독 경전차를 기반으로 기갑부대를 건설하였다. 그러나 M41은 애초에 경전차였기 때문에 T-54 센추리온 전차처럼 본격적인 주력 전차라고 부르기에는 어려웠고, 독일연방군은 자체적인 전차를 생산하기 전까지 동구권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땜빵이 필요해졌다.

이에 서독은 1956년에 미국으로부터 M47 패튼을 대당 50만 마르크 가격으로 1120대를 도입했다. 그러나 M47 패튼은 본고장인 미국에서도 평이 별로였고, 당연히 독일연방군 내에서도 '승무원에 대한 배려도가 떨어지고 포탑의 설계가 불만스럽다.'는 말을 들었다.[2] 거기에 결정타로 T-54보다 성능이 떨어진다는 평가가 나오면서 신형전차 개발구상은 탄력을 받았다.

그리하여 가용 전차 수 3천 대를 목표로 한 독일연방군은 자국산 신형 전차가 나올 때까지 손 놓고 있을 수는 없었기 때문에 M48 센추리온 Mk.7 중에서 M48을 채택하여 도입하게 되었다. M48은 90mm 주포의 1,500m 명중률과 승무원 거주성은 뛰어나다는 평가를 듣긴 했으나, 전반적인 느낌은 M47이랑 대동소이라는 평가를 들었다[3]. 또 서독은 패튼의 평가와는 별개로 장기적으로 자국의 군수산업을 정상 궤도에 올려놓고자 했고, 다른 국가로부터 전차를 구입하기란 시간과 비용 면에서 수지타산이 안 맞는다고 셈해 두었다.

3.2. 유럽 표준전차 계획

그런 와중 서독은 프랑스와 군사 협력의 일환으로 1957년 6월부터 유럽 전차(Europa-Panzer) 사업을 통해 프랑스와 전차 공동개발을 시작하게 된다. 그리고 대망의 유럽표준전차 사업이 시작 된 후인 1957년 7월 25일, 서독 국방부는 레오파르트의 요구 성능을 공개했다[4].

이 사업은 1958년에 이탈리아가 끼기도 하는 등 꿈과 희망의 서유럽 전차 사업이었으나, 개발 과정에서 여러가지 갈등과 난관이 생겼다. 유럽 전차 프로그램이 시작한지 1년 후에는 독일은 전차의 폭 제한을 3.25m까지 완화하기를 원했으나 프랑스는 오히려 3.1m로 폭을 줄이길 원하는등 유럽표준전차 계획이 삐걱이기 시작했다. 이후에도 서독과 프랑스는 공동개발을 협의만 했을 뿐 1960년까지 포부터 포탑링 직경까지 합의된게 하나도 없었다. 거기에 더해 공동 시험 및 평가에 대한 합의도 1963년까지 이뤄지지 못했다. 결국 1962~1963년에는 각자 만든 프로토타입으로 시험을 설계하고 테스트를 진행하기는 했지만, 이때도 무장을 비롯하여 합의되지 못한 부분들이 생기면서 갈등이 커지다가 결국 유럽 전차 사업은 1963년 하반기에 파토나면서 끝났다. 이후 각자의 프로토타입을 기반으로 프랑스는 AMX-30을, 독일은 레오파르트 1을 개발하게 된다.

3.3. 레오파르트의 개발

유럽 표준전차 개발이 파토나기 이전부터 독일측 전차 개발은 상당히 독자적인 방향으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고, 서독 전차 개발팀은 A그룹과 B그룹, C그룹으로 나뉘어 경쟁하는 구도로 개발이 진행되었다. 각 그룹은 아래와 같았다.

그러나 C그룹인 보르그바르트社의 설계는 리스크가 크다는 이유로 반려되었다. 그리하여 1959년 국방부는 그룹 A,B의 실험형 전차의 허가하게 된다. 다만 포탑은 라인메탈과 베그만이 담당했다. 또한 A그룹과 B그룹의 1차 시제차량이 완성되기도 전에 이미 2차 시제차량 계획까지 잡혔다.

1963년에 A그룹안의 2차 시제차량(포르셰넘버 814)이 최종적으로 채택되었다[5]. 서독군이 제식 명칭인 '레오파르트'로 명명하고, 크라우스 마파이사가 주계약자로 선정되면서 서독군에게 1965년 9월부터 1966년 7월까지 1차 생산분이 500대 납품되었다. 이후 1976년 3월에 생산이 종료될때까지 총 2,437대가 납품되었다.

4. 특징

4.1. 무장

개발 초기에는 라인메탈제 90mm KwK54 전차포로 무장하는 것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당시 독일( 서독)이 NATO 회원국이었고 당시 서방 표준 전차포가 105mm L7 강선포였다는 점에서 무장과 탄약체계를 105mm L7 기준으로 통일하면 미국과 NATO의 군수지원을 받기 용이하다는 이점이 생겨서 최종적으로 로열 오드넌스 L7A1을 라인메탈이 라이센스 생산하여 장착하기로 하였다[6]. 그러나 L7A1을 그대로 장착할 경우 최대부각인 -9도로 주포를 내릴 경우 포탑 천장에 폐쇄기가 충돌하는 문제가 있어서 폐쇄기의 크기를 줄인 L7A3가 장착되었다.

운용 초기에는 탄약으로 APDS[7] HESH가 주력이었으나 1980년대에 들어오면서 APDS는 APFSDS-T로 교체되고,[8] HESH는 공간장갑 복합장갑에 취약한 특성 탓에 HEAT로 교체되었다. 기관총은 기본적으로 MG3가 적용되긴 했지만 각 국가별로 개량을 거치면서 FN MAG 등으로 교체하기도 하였다.

4.2. 장갑

파일:leo1armor.png
레오파르트 1은 개발 과정에서 만족할만한 기동성과 화력의 조화를 확보하기 위해 장갑을 거의 완전히 희생한 전차였다. 비슷한 시기에 개발된 다른 2세대 전차들과 비교해서도 레오파르트 1의 장갑은 상당히 얇은 축이라 방호력은 열세에 해당했다.[9]

독일연방군은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훈과 M47 패튼의 운용 경험으로 전차는 가볍고 기동성이 좋아야 하며 구동계의 신뢰성이 좋아야 한다는 입장[10]이었다. 그리고 전술 핵무기가 난무할 것으로 당연히 예상되는 냉전시대의 지상전역에서, 전차대대가 전술핵 한 방에 통째로 날아가지 않으려면 끊임없이 작전술 차원의 기동을 지속해야 했고, 당시 기술로 이를 보장할 만한 수준의 동력계 신뢰성을 위해서는 차량의 중량을 억제할 필요가 있었다.

거기에 1950년대의 기술력으론 당시의 발전하는 성형작약탄( 대전차고폭탄)을 방어한다는 것 자체가 어림없는 소리였고[11] '그럴 거면 그냥 장갑을 포기하지?' 라는 결론을 내려버렸다. 결국 장갑이 20mm 기관포를 방어할 정도로 제한되었고, 전면장갑은 처음부터 동시기의 전차포를 상대로 유의미한 방어력을 제공하는 것을 포기하였다.[12]
파일:external/i1083.photobucket.com/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CE_zpskpiji00e.jpg
레오파르트1A3 이후 형식[13]에 장착된 증가장갑.[14]

그러나 시간이 흐르면서 복합장갑 기술이 발전하고 반응장갑이 등장하는 등 성형작약탄을 안정적으로 방어할 수 있는 기술이 튀어나왔고, 냉전 동안 전술핵은 단 한번도 쓰이지 않게 되면서 전차의 기동성을 극단적으로 추구할 필요성은 사라지게 되었다. 따라서 기동성을 무시 못해도 방호력의 중요성 또한 증가하였다. 하지만 레오파르트 1은 기동성을 확보하려고 장갑을 얇게 설계한 탓에 다른 전차포는 물론이고 보병전투차(IFV) 기관포에도 털릴 수 있는 치명적으로 취약한 방어력을 가진 터라 시간이 지나면서 장갑이 계속 개량되었다.

레오파르트 1의 초기 생산분 모델들(~A2)은 주조식 포탑을 가지고 있었지만[15], A3 이후의 후기형 생산분에 가서는 포탑을 아예 새로운 SHS 용접포탑으로 재설계하는 등의 끊임없는 개량을 거듭했다. 주조식 포탑을 달고있는 대부분의 기존 차량들에 대해서도 위 사진의 볼트 고정식 추가장갑을 붙였다[16]. 하지만 기본 장갑이 얇다보니 이런 개량을 거쳐도 구형 철갑탄류나 기관포탄을 제외하면 유의미한 방호력 증대는 거의 없었고, 대부분의 장갑 개량은 포탑 위주로 이루어지면서 차체 장갑의 강화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기에 레오파르트 1은 끊임없는 방어력 부족에 시달렸다.

파일:1702837078.jpg
실제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지근거리에 피탄된 야포탄에 무력화되는 등 부실한 장갑으로 인해 2선 급에서 전차보단 화력 지원용 차량으로 사용되고 있다.

4.3. 동력계

동력계통의 경우 엔진 변속기가 조합된 파워팩을 도입하여 엔진이 고장나도 20분만에 교체가 가능하여 야전 정비소요를 단축시켰다. 또한 하천이 많은 곳의 작전행동도 염두에 둔 설계 덕에 자력으로는 수심 2.25m, 슈노켈을 장비하면 수심 4m를 단독으로 심수도하할 수 있다.

기동성을 위해 830마력을 내는 중량대비 출력이 큰 10기통 MTU MB838M-500 디젤 엔진을 도입한 결과 톤당 마력 비율이 약 20hp/t에 달했기 때문에 민첩하고 좋은 주행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다.

4.4. 관측장비

미국의 M47 패튼 M48 패튼의 영향을 받아서 양산형 모델부터 포탑 양 측면에 영상 합치식 거리 측정기를 장착하였다. 이러한 거리 측정기는 1A4까지 유지되었다[17].

또한 경우에 따라 포방패 윗부분 중앙에 네모난 서치라이트를 장착했다. 사용하지 않을때는 포탑 후방의 바스켓에 적재하다가 야간 작전 등에서 사용할때 장착했다. 서치라이트는 백열등과 적외선등 기능 모두 있다.

1980년대 중반부터 개수된 레오파르트 1A5에 EMES-18 신형 사격통제장치와 같이 도입된 신형 포수 조준경에는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내장되었고, 레이저 거리 측정기의 도입으로 기존 아날로그 방식의 영상 합치식 거리 측정기는 제거되었다.

5. 형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오파르트 1/형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파생형

레오파르트 1은 NATO 표준전차급의 지위를 누리고 독일연방군 내에서도 꽤 오랫동안 운용된 전차로 꽤 많은 파생형들이 존재한다.

6.1. 게파트

파일:BEHT-07-1 (1).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게파트 자주대공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레오파르트 1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자주대공포이다.

6.2. BPz 2

파일:2022052001093_20.gif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BPz 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레오파르트 1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장애물 제거 및 전차 구난 임무를 수행하는 구난전차이다.

6.3. 비버 교량전차

파일:2022052001093_19.jpg

레오파르트 1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교량전차이다.

6.4. 운전 교습용 전차

6.5. 투름 III

파일:EP_T_III_F_img1.jpg

3축 스테빌라이저를 장착한 실험용 전차이며, 시제차량만 제작되었다.[18]

6.6. PiPz 2 닥스

파일:Pionierpanzer_Dachs_(2008).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PiPz 2 닥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레오파르트 1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전투공병전차이다.

6.7. 히포 BRV

파일:hippo.jpg

레오파르트 1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영국 해병대가 운용한 해변 구난 전차[19]이다.

6.8. 불독 BRV

파일:bulldog.jpg

레오파르트 1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네덜란드 해병대가 운용한 해변 구난 전차.

6.9. OF-40

파일:OF40.pn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OF-40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독일한테 라이센스 허가를 받고 720대 면허 생산을 하고, 이탈리아가 자국에서 레오파르트 1을 기반으로 개발한 해외 수출형 전차이다.

6.10. 페어골데터 레오파르트

MBT-70 개발 당시 MBT-70 프로젝트에서 연구된 기술과 장비들을 적용한 레오파르트 1의 업그레이드형. 그러나 1967년에 시제차까지 만들어진 상태에서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 이유는 MBT-70/Kpz-70 프로젝트가 실패할 것이 예측되었기 때문이다.

6.11. 에버, 카일러(Eber, Keiler)

에버(Eber)는 독일어로 멧돼지(Boar)를 뜻하며, 카일러(Keiler)는 멧돼지의 복수형, 즉 수멧돼지를 말한다. MBT-70 프로젝트가 끝날 무렵에 다시 새로운 전차 개발 프로그램이 제시되었다. 이 프로그램은 152mm 건 런처를 제외한 MBT-70의 기술 일부를 적용한 전차를 개발할 것을 목표로 하여 MBT-70의 장비들을 담은 신형 포탑과 라인메탈 120mm 활강포, MBT-70의 보기륜들이 적용되었다. 초기 설계안이 에버이며 나중에 나온 또 다른 설계안이 카일러인데, 1971년에 독일 국방부가 카일러를 선택하면서 에버 설계안은 폐기되었다. 카일러 프로젝트는 레오파르트 2의 전신이 되었다고 한다.

6.12. 미네브레이커 2000/2

파일:Minebreaker 2000/2.webp
Minebreaker 2000/2
레오파르트 1 차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지뢰제거차량이다.

6.13. T-72 포탑 장착형 레오파르트 1

파일:Leopard_1_T-72.png
Leopard 1/T-72
서독과 동독의 통일 이후 말레이시아로 수출이 고려된 일종의 땜빵전차 컨셉이다. 물론 남은 부품을 이렇게 소비할 이유가 딱히 없었기 때문에 수출 계획은 엎어졌다.

7. 실전

7.1. 보스니아 전쟁

파일:d8ff0a6b52a8aa6ef5bc480617328989.jpg

1990년대에 발생한 보스니아 전쟁 당시 평화유지군으로 덴마크군 소속의 레오파르트 1A5가 파견되었다.

파일:7da677ebe624665c5357152807432386.jpg

1994년 4월에는 보스니아-세르비아 여단에게 매복 공격을 당한 스웨덴 소속 관측소를 돕기 위해 전차 7대가 보내졌는데(Bøllebank 작전), 보스니아-세르비아군이 전차들을 향해 대전차 로켓과 박격포 공격을 퍼붓자 UN 평화유지군 레오파르트도 반격을 하였다. 당시 레오파르트 1대가 파손당한걸 제외하면 덴마크군과 스웨덴군측에는 사상자가 없었지만, 보스니아-세르비아군 측에서는 UN 평화유지군 소속 덴마크군 레오파르트 1A5의 반격으로 150여명이 사망했다.

7.2.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캐나다군 소속의 레오파르트C2 개량형이 2006년부터 아프가니스탄에 투입되었다. 다만 실제 전투에 참여하는 일은 없었다고 한다.

7.3.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독일, 덴마크 등이 레오파르트 1을 우크라이나군에 공여하였다.

2023년 11월 29일 쿠판스크 지역에서 레오파르트 1이 러시아군이 쏜 야포탄이 지근거리에 피격되고 무력화하여 버려지면서 첫 전투손실을 기록했다. # #

우크라이나군 전차병들의 레오파르트 1A5에 대한 평가

레오파르트 1A5를 운용중이며 우크라이나군 전차병들의 평에 따르면 최대 5km의 목표물까지 정확하게 맞출 수 있는 높은 명중률을 장점으로 꼽았으며, 단점은 AMX-10RC 처럼 약한 장갑이 문제라고 지적하였다.

사실상 우크라이나군에서 2선급 장비로서 운용되고 있으며, 챌린저 2와 마찬가지로 대전차 자주포 혹은 구축전차 마냥 쓰이고 있다.[20]

8. 운용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오파르트 1/운용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기타

10. 모형

1/35 사이즈로는 , 이탈레리, 타미야 등에서 출시하였다. 이중 이탈레리 a5 버전은 2023년 재판되었다.

1/72 사이즈로는 에이스모형에서 출시했다.

11. 미디어

11.1. 게임

11.1.1. 강철의 왈츠

1성 중형전차 판저 프로토타입 카라 바이얼(2017년 6월 27일까지는 칼라파일)이 2017년 6월 28일 업데이트로 이름변경과 함께 3성 6도면 중형전차로 무장업한 형태로 등장했다.

11.1.2. 도미네이션즈

냉전 시대의 그리스 고유 유닛으로 레오파드 전차와 디지털 시대의 전차로 레오파르트 1A3가 명예 레오파드 전차로 등장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장갑 기병(그리스)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레오파드 1(도미네이션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1.3. 스틸비스트

레오파르트 1A2, 레오파르트 AS1, 레오파르트 1A5/A5DK, 레오파르트1T가 등장한다. 이중 AS1과 1A5를 플레이어가 조작할수 있는데, 1A5의 경우 실내 인테리어까지 구현되었다.

11.1.4. 아머드 워페어

초기형이 3티어, A5가 5티어 주력전차로 등장한다. 특유의 물장갑 때문에 운용 난이도가 높아서 적에게 발각되지 않는 저격을 강요하는 플레이가 요구되었지만 0.37 패치로 고증에 상관없이 모든 MBT들이 중장갑이 되었기 때문에 평범한 MBT 타듯 타면 된다.

11.1.5. 워게임 시리즈

11.1.6. 워썬더

파일:germ_leopard_i.png 파일:germ_leopard_a1a1_120.png 파일:germ_leopard_i_a1.png
레오파르트 I 레오파르트 A1A1 (44구경장) 레오파르트 A1A1
파일:germ_leopard_1a5.png 파일:it_leopard_1a5.png 파일:germ_leopard_c2_mexas.png
레오파르트 1A5 ◎레오파르트 1A5
(이탈리아 테크트리)
레오파르트 C2A1 MEXAS
워썬더에서 레오파르트 1이 독일 5랭크 정규트리로, 레오파르트 1A1A1, 레오파르트 1A5가 독일 6랭크 정규트리 전차로, 44구경장 120mm 활강포와 레이저 거리측정기를 장착했던 시제형 레오파르트 1A1A1이 독일 6랭크 프리미엄 전차로, 캐나다군에서 주력전차로 운용한 개량형인 C2A1이 독일 6랭크 이벤트 보상 전차로, 스웨덴 6랭크 프리미엄 전차로 노르웨이 육군 사항의 레오파르트 1A5NO가 등장한다. 기본 레오파르트1은 일본의 STB-1, 프랑스의 AMX-30에 밀려 빛이 바래지만, 1A1A1은 본격적인 날탄과 강화된 포탑 방호력을 갖췄고, 1A5는 더욱 강력한 날탄과 포수용 열영상 조준기를 받았다. 120mm 주포 장착형은 포수용 열영상 조준기, 레이저 거리측정기, 강력한 120mm 날탄을 갖췄다. 이밖에 1A5가 이탈리아 트리에도 등장하며, 전체적인 성능은 독일 트리와 동일하지만 원본에는 없는 레이저 경보기가 있다. C2A1은 레오파르트 1A5에 MEXAS 복합장갑을 증설하여 더욱 뛰어난 화학탄 방호력을 자랑한다. 다만 영연방 회원국인 캐나다에서 주력전차로 운용한 차량이기 때문에 영국 트리가 아닌 독일 트리에 등장한 점 때문에 논란이 일기도 했다.

11.1.7. 월드 오브 탱크

파일:external/wiki.gcdn.co/Leopard_1_scr_2.jpg
파일:leopta-2.jpg 파일:leo1-3.jpg 파일:Standard-B-blitz-01.jpg

11.2. 기타

11.2.1. 람슈타인

2019년에 발표한 곡인 Deutschland의 뮤직비디오에서 나치 독일 전차의 대역으로 레오파르트 1이 등장한다.

11.3. 영화

11.3.1. 머나먼 다리 / Soldier of Orange

독일군 전차로 외관을 조금 꾸민 네덜란드 육군의 레오파르트 1이 등장한다.

11.3.2. 불가사리 시리즈

12.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국가( 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 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 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 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하위지역) · 니더작센( 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 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 하위지역) · 바이에른( 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하위지역) · 브레멘( 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하위지역) · 자를란트( 하위지역) · 작센( 하위지역) · 작센안할트( 하위지역) · 튀링겐( 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 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 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암마인 국제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함부르크 국제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 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 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 바르샤바 조약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 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 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 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 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 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 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fff,#090909><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090909>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449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004499> 장갑차 페넥 · 복서 · 딩고 · 뭉고 · 푸마 -
전차 레오파르트 2 레오파르트 1
자주대공포 게파트
자주곡사포 PzH2000 · RCH 155
교량 차량 레구안
}}}}}}}}}}}} ||

파일:캐나다 국기.svg 현대 캐나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캐나다군 (1968~현재)
Canadian Armed Forces
Forces armées canadienne
<colbgcolor=#da291c> 기타전차 그리즐리 IR, M4A2 (76) W HVSSR, M4A3(76) W HVSSR, T-34-85MP/R
MBT <colbgcolor=#da291c> 1세대 센추리온 Mk.(3, 5, 11)R
2세대 레오파르트 C(1 · 2 · 2MEXAS)R, T-72M1P/R
3세대 레오파르트2A4M CAN
3.5세대 레오파르트2A6M CAN
경전차 M24 채피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코요테 ARV · AVGP(쿠거/그리즐리/허스키) · 바이슨, LAV III, { 텍스트론 TAPVM} , RG-31 Mk.3 니알라, 맘바R
궤도장갑차 M113(A1R/A3) · MTVL · 링스M/R, Bv 206, 그리즐리 캥거루 APC, { BvS 10}, TH-495 IFV
차량 소형 페랫R, 폭스바겐 ILTISR, 밀콧츠 실버라도, LUVW G 바겐
트럭 M35R, HLVW, AHSVS, XF95 트로프코 트랙터,
웨스턴 스타 4900 시리즈, LSVW, MSVS,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A2/A4+)R
자주박격포 바이슨 81mmR
대전차 자주포 M10 GMCR, M10 아킬레스R, 키메라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센추리온 막스맨
단거리 대공미사일 울버린, MMEV, M113 ADATSR
지원 차량 구난차량 ARV 타우러스R, 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 뱃저R, 위센트 2 AE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P: 타 국가로부터 선물로 받은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현대 네덜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네덜란드 왕국군 (1945~현재)
Nederlandse krijgsmacht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 전차 <colbgcolor=#ffffff,#191919> 89식 중전차 이고/치로C/R, 97식 경장갑차 테케C/R, M4A1E9R, 램 Mk.II, 셔먼 VR, 셔먼 V 크랩R, M4A3 (105) HVSS
MBT 1세대 센추리온 Mk.7R
2세대 레오파르트 1 NL · 1-VR
3세대 레오파르트 2(A1/A4/A5) NLR
3.5세대 { 레오파르트 2A8} | 레오파르트 2(A6S/A7) NL
경전차 M3A1 스튜어트R, M3A3 스튜어트R, M24 채피R, AMX-13 FL-(12/15)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XA-188R, PWV 복서, LGV 페넥, 부쉬마스터
LSV, 훅스 1 CBRN, YP-408R, YP-104R
궤도장갑차 CV9035 NL, YPR-765KMar/R, Bv 206, BvS 10,
M113A1KMar/R, AMX-PRIR, LVT-4R
차량 오토바이 BMW R650 GSR, 트라이엄프 3TAR, KTM 400LS-E, 야마하 FJR1300AKMar
소형 벤츠 볼프 · G바겐KMar · 비토KMar · 스프린터KMar, 폭스바겐 아마록KMar, 벡터, { 카라칼},
랜드로버 디펜더 109KMar/R, NEKAF M38R, 오펠 록스-e
트럭 DAF YA 328 · 2300KMar · 4440 · 4442,
스카니아 그리푸스 · 4 시리즈, 이베코 스트라리스, 벤츠 유니목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7R, M109(A3/A5) NLR, M110A2R, AMX-105 Mk.61R, PzH2000
자주박격포 YP-408 PWMTR, M106A1R, 페넥 MR, { 묠니르}
대전차 자주포 M10 IIC 아킬레스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치타 PRTL(A1), M19 더스터
단거리 대공미사일 페넥 SWP, NASAMS, { NOMADS}
다연장로켓 M270R, PULS
무인 차량 UGV 테미스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 AEV 3 코디악
교량차량 비버, 레구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KMar: 왕립 네덜란드 국가헌병대 (Koninklijke Marechaussee)에서도 같이 사용하는 차량들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벨기에 국기.svg 현대 벨기에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00000> 벨기에군 (1945~현재)
Belgisch leger
Armée belge
기타전차 <colbgcolor=#000000> 경전차 M3 스튜어트R, M22 로커스트R, M24 채피R, M41 워커 불독R, FV101 스콜피온R, ACEC 코브라 90
중형전차 셔먼 파이어플라이R, M4A1E8R, M4A3 (105)R, M26 퍼싱R
MBT 1세대 M46 패튼R, M47 패튼R
2세대 레오파르트 1(A1/A5) BER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 VBMR 그리폰}, { EBRC 재규어}, 판두르 I, 피라냐 IIIC, FN 4RMR, M6 스태그하운드R, M3A1 스카웃 카R, BDX 4×4
궤도장갑차 AMX-13 mod.56(VTT/PC/Cargo)R, CVR(T)R,
M113A1-BR, AIFV-B-(.50/C25)R, M75 APCR, M3 하프트랙R, ACEC 코브라 25
차량 소형 { L-ATV}, ATF 딩고 2 MPPV, 장켈 폭스, 이베코 LMV, 폭스바겐 ILTIS, 랜드로버 디펜더R
트럭 메르세데스-벤츠 악트로스 · 우니모크 1.9T · 1350L , 이베코 M250 · ALC 8X4,
스카니아 T144, 그라운드 호그, M-게이터, 르노 케락스, 볼보 N10R, 마지루스-도이츠 주피터R
자주포 자주곡사포 M7 프리스트R, M41 HMCR, M108R, M109(A2/A4 BE)R, M55 SPHR, { CAESAR NG}
자주박격포 AMX-13 mod.56 MorR, M113A1-B MorR, { 그리폰 MEPA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게파트R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R
기타 카노넨야크트판처R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현대 이탈리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98019> 이탈리아군 (1946~현재)
Forze Armate Italiane
기타전차 L6/40R, 까로 레체로 M24R, 까로 레체로 M3A3R, 까로 레체로 M5R, 까로 레체로 M5A1R, 까로 메디오 M4A1R, 까로 메디오 M4A1 76/52R, M4 티포 IC 콤포지토R, 까로 메디오 M4A4R, 까로 메디오 셔먼 VCR, 까로 메디오 M4 하이브리드R, 까로 아르마토 M26A1R
MBT <colbgcolor=#198019> 1세대 M47 패튼R
2세대 M60A1R, 레오파르트 1(A2/A5)R, OF-40E
3세대 C1 아리에테
3.5세대 { 아리에테 AM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피아트 CM6614/6616R, VBR NBC, 아우토블린도 푸마, B1 첸타우로, VBM 프레치아, VTMM Orso MRAP, {VBA}
궤도장갑차 VCC80 다르도, AAV-7A1, M113 VCCI
차량 소형 VM-90, AR-90, VTLM 린체
트럭 이베코 ACM 80/90 4X4 · ACL 90 4X4 · ACTL 6x6 · HD6
자주포 자주곡사포 M7B1 HMCR, 섹스턴R, M44R, SP-70, 팔마리아E, 오토멜라라 M109L, PzH2000
자주박격포 M106A1, VBM 프레치아 포르타 모르타이오
대전차 자주포 세모벤테 da 76/50 M10R, 세모벤테 콘트로카리 M18 da 76/52R, 세모벤테 da 90/50 M36R, 세모벤테 da 90/50 M36B2R, 세모벤테 da 90/50 M36B1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113 SIDAM-25*, 오토마틱E, 드라코
다연장로켓 M270 MLRS
지원 차량 구난차량 M74 TRVR, M32B1 TRVR, BPz 2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
교량차량 밸런타인 가교전차R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M113 위에 4연장 25mm 기관포탑을 단 자주대공포.
{}: 예정 및 계획중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그리스 국기.svg 현대 그리스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그리스군
Eλληνικές Ένοπλες Δυνάμεις
<colbgcolor=#ffffff,#191919> 기타전차 센토어 A27L Mk VIIIR
MBT <colbgcolor=#ffffff,#191919> 1세대 M47R, M48A5 MOLF
2세대 AMX-30R, M60A3 TTSR, 레오파르트 1(A5/V/GR)
3세대 레오파르트 2A4
3.5세대 레오파르트 2A6 HEL
경전차 M24 채피R
장갑차 차륜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R, M8 그레이하운드R, UR-416R, M1117
궤도장갑차 M2 하프트랙R, M3 하프트랙R, M59R, 유니버설 캐리어R, AMX-10PR, M113(A1/A2),
BMP-1P Ost, 레오니다스 I/II, BMP-3, 마르더 1A3, { AAV-7A1}
차량 소형 VBL, 험비(M1114GR), G바겐
트럭 MAN KAT 1 · HX81, KrAZ-255, M35, M939,
메르세데스-벤츠 우니모크, 타트라 T-810, 오시코시 M977 HEMTT · FMTV, 슈타이어 12M18
자주포 자주곡사포 M110A2, PzH2000, M109(A1B/A2/A3GEA1/A3GEA2/A5)
자주평사포 M107R
자주박격포 M106(A1/A2), M125A1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 더스터R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3M3 오사, 9K331 TOR-M1
다연장로켓 M270 MLRS, RM-70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BPz 3 뷔펠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현대 노르웨이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노르웨이군 (1945~현재)
Forsvaret
<colbgcolor=#BA0C2F> 기타전차 <colbgcolor=#BA0C2F> '''[[경전차|
경전차
]]'''
스트리스보인 M24R | 1호 전차G/R
중형전차 스트리스보인 KW-IIIG/R
'''[[주력 전차|
MBT
]]'''
'''[[1세대 전차|
1세대
]]'''
M48(A1/A5) 패튼R
'''[[2세대 전차|
2세대
]]'''
레오파르트 1(A1NO/A5NO · NO2)R
'''[[3세대 전차|
3세대
]]'''
레오파르트 2A4NO
3.5세대 { 레오파르트 2A8NO}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XA-180 · 185 MLU · 186NO | XA-203N | ATF 딩고 | 푹스 1A8 NBC | M8 LAC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ACSV G5} | { K-10} | CV9030(N/NF1) | Bv 206S | M113(F1 ~ F4) | NM-209 | NM-199 | 로케트판세르예거 NM-142(F1) | NM-135R | M3 하프트랙R
차량 '''
초소형
'''
이륜차
야마하 450 WR
ATV
봄바디어 링스 시리즈 | 폴라리스 MRZR-4 · 빅보스
소형
IMV
이베코 LMV | 수파캇 HMT | 겔란데바겐 | 랜드로버 울프
민수용
토요타 랜드 크루저 | 닛산 테라노 II
트럭
군용
RMMV HX 시리즈 | 알비스 택티카 | M35R | M621R
상용
MAN TGS | 스카니아 P93 · P113 · P143
'''[[자주포|
자주포
]]'''
'''
자주곡사포
'''
K-9 VIDAR | M109(G/A3GN · GNM) | 셀브레베트 105mm FH M7R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 CV90 멀티 BK} | NM-204 | NM-125R
'''[[대전차 자주포|
대전차 자주포
]]'''
NM-116 판세르예거R | 스토름카논 KW-IIIG/R
다연장로켓 M270 MLRSR
대공 차량 '''[[대공미사일|
단거리 SAM
]]'''
참고: 틀:현대전/노르웨이 유도무기
무인 차량 '''[[UGV|
UGV
]]'''
미션 마스터 XT
지원 차량 구난차량 NM217 베르게판세르 2 | 위센트 2 ARV | NM-130 베르게판세르R
공병차량 CV90RWS STING, 위센트 2 AEV
교량차량 AVLB 레구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G: 나치 독일 항복 이후 독일군이 남기고 간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덴마크 국기.svg 현대 덴마크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a40000> 덴마크 방위군 (1945~현재)
Forsvaret
기타전차 M4A3E4R, 3호 전차 N형R, mKPz T-34/85MP/R
MBT <colbgcolor=#a40000> 1세대 센추리온 Mk.(3, 5/2)DKR
2세대 레오파르트 1(A3/A5)-DKR
3세대 레오파르트 2A5-DKR
3.5세대 레오파르트 2A7-DK
경전차 M24 채피R, M41 DK-1M/R
장갑차 차륜장갑차 M6 모세가이스R, 피라냐 III(C/H)/V, XA-185L, ISS 쿠거 6×6L
궤도장갑차 M3A1 하프트랙R, M5 하프트랙R, IKK CV9035-DK, PMV M113(A1/G3) · PMNK M/92 M113A2M, 아르마딜로*, Sd.Kfz. 251/1 D형R
차량 오토바이 BMW F650GS · R850RT, 가와사키 KLR650, KTM 450 EXC
소형 M151R, 디펜더R, Spejdervogn M/95 (이글 I/IV),
겔란데바겐 G240 U/270 · 280 CDI/300 EOD, 험비L, 수파캇 HMT400
트럭 Magirus Deutz 주피터R, 벤츠 유니목 404 · 416 · L1550,
RMMV HX77 · SX45 · 8.135 · 13.192 · 18.225 · 27.314 · 26.372 ·
25.322 · 27.314 · 40.400 · 35.460 · 41.372 · 41.480
모바크 DURO-III
자주포 자주곡사포 SKH M109(G/A3-DK)R, CAESAR 8×8, ATMOS 2000
자주박격포 M106A1R, M125A1R, 카돔 10
대전차 자주포 Panserjæger M10 "Achilles"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GMC M45, 오토마틱, { 스카이레인저 30}
다연장로켓 M270A1 MLRSR, PULS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L: 리스한 차량
※ 윗첨자P: 기증받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 테스트용으로 운용 중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현대 리투아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colbgcolor=#FDB913> 리투아니아군 (1990~현재)
Lietuvos ginkluotosios pajėgos
'''[[주력 전차|
MBT
]]'''
<colbgcolor=#FDB913> '''[[2세대 전차|
2세대
]]'''
T-72R
3.5세대 { 레오파르트 2A8}
'''[[장갑차|
장갑차
]]'''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IFV 빌카스 | BRDM-2R | BTR-60PB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 CV90} | M113(A1/A2) | M577V2 | Bv 206 | MT-LBR
차량 '''
초소형
'''
이륜차
KTM 530 EXC-R
ATV
캔암 아웃랜더 MAX 1000 XT-P
소형
IMV
L-ATV | 험비 | 와일드캣 1000 | 랜드로버 디펜더 (88/90/110) | 토요타 랜드 크루저 200 AT42M | 벤츠 G바겐 | 볼보 C303/304
민수용
M1008 CUCV I | 미쓰비시 L200 | 푸조 엑스퍼트
트럭
군용
시수 E13TP | 벤츠 제트로스 · 유니목 | 볼보 C306 | 마지루스-도이츠 유피터R
상용
벤츠 아록스 · NG | DAF F218 시리즈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PzH2000 | { CAESAR Mk.II}
'''[[자주박격포|
자주박격포
]]'''
PzMrs M113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M113A1 ARV
공병차량 MV-10 무인 지뢰제거차
교량차량 KrAZ-255 PMP 부교운반차
기타 PTS-M 수륙양용 운반차 | 코마츠 D61PX 불도저 | JCB 4CX 백호로더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현대 에스토니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0072CE> 에스토니아 방위군 (1991~현재)
Eesti Kaitsevägi
'''[[장갑차|
장갑차
]]'''
<colbgcolor=#0072CE> '''[[차륜형 장갑차|
차륜형
]]'''
{ 아르마} | XA-180EST · XA-188 "파시" | M1224 맥스프로 | 맘바 Mk.2 EE | Tgb m/42 KPR | BTR-80R | BRDM-2 ESTR | BTR-60R | BTR-152R
'''[[궤도형 장갑차|
궤도형
]]'''
CV9035EE Mk.III · { CV90 Mk.II ISV} | Bv 206A MT | GT-TR
차량 '''
초소형
'''
허스크바나 258A MT
소형
IMV
{NMS 4×4} | 벤츠 G바겐 | VW 일티스 | 볼보 C303/304
민수용
벤츠 스프린터 | VW 트랜스포터 | M1008 · M1009 · M1010 CUCV
트럭
군용
시수 E13TP |  벤츠 유니목 | MAN KAT1 | DAF YA 4440 | 볼보 C306 | 자우허 2DM/2DVR | IFA W50R · L60R | 로부르 LO/LDR | KrAZ-255R
상용
벤츠 아록스 ·  NG | DAF F218 시리즈 | MAN TGA | 볼보 FMX
'''[[자주포|
자주포
]]'''
'''[[자주곡사포|
자주곡사포
]]'''
K-9EST 코우 | { CAESAR 6×6 Mk.I}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무인 차량
UGV
테미스
지원차량 구난차량 BPz 2 | 벤츠 악트로스 타이탄 견인차 | 립헬 FKL 4×4 크레인
공병차량 닥스 AEV
교량차량 비버 AVLB | KrAZ-63221 TMM-3M 교량트럭
기타 코마츠 WA250 로더 | JCB 4CXt 백호로더 | JCB JS 굴착기 | 코마츠 PC240 · PW148-8 굴착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현대 우크라이나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우크라이나군 (1991~현재)
Збройні сили України
기타전차 T-34-85R, T-34-85MR, T-40/75R, IS-3C/R
MBT 1세대 T-55MR, M-55S
2세대 오비옉트 169C, T-62MC, T-64(AS/AV/RR/BS/BV), T-72(uralC/AMC/AV/M1/BC/B1C), 레오파르트 1A5(DK/BE)
3세대 T-64(BM/BM2 "불라트/크라브")M, T-72(B3C/B3MC/UA1/AMTM/M(R)M/M1(R)M/어벤져M), T-80(BS/BV/BVD/BVMC/M/BVKC/UE1C/UC/UKC/UD), T-84(U/BM) 오플롯 · T-84-120 야타간, T-90(A/AK/S)C, PT-91 트바르디, { M-84}, 레오파르트 2(A4/A4M CAN/{A4NO/A5}), Strv 122, M1A1(AIM/SA)
3.5세대 T-84M/T/{M2} · T-90MC · FV4034 챌린저 2, 레오파르트 2A6
장갑차 차륜장갑차 BRDM-1RC, BRDM-2DI 하자르, R-156BTR · R-145BMRC, BTR-60(DM)RC, TAB-71M, 호룬지, BTR-70RC, BTR-80 · R-149(MA1,MA3)C, BTR-3(E/DA), BTR-4(E/KSh), BTR-7, LAV-2, 피라냐 III, 부시마스터 PMV, AT105C 색슨, KrAZ-슈렉 1, 맘바 APC, Varta IMV, VAB, FV701 페렛, XA-180/185, BTR-82AC, BPM-97C, OT-64, ACSV, BATT UMG, 판테라 T6, ACMAT 바스티온, 로셸 세네터 ARV, INKAS 타이탄-S, 페넥, AMX-10RC, M1126 스트라이커, LKOV 발루크, BMR VRAC, KTO 로소막, { 파트리아 XA-300}, Gurkha, M1117, 푸마 6×6, BOV, { 푹스 에볼루션}, { 음봄베 6}, {그리즐리}
궤도장갑차 PT-76R, M113(G3DK/G4DK/AS4), NM199, M577, VCC-2, LPG WDszD, GT-MUS , BMP-1S(KSh/U/TS/PC) · BRM-1K, BWP-1, BVP-1, Pbv 501, BMP-2(K), BMP-2C(MC), BMP-3, DT-30C/R, BPzV, BVP M-80A, BMPT-62 M, BMO-TC, BMD-1, BMD-2, BMD-3C, BMD-4MC, BTR-D*, MT-LB(u), MT-LB-12M, MT-LB(ZU-23-2)M, 9P149 슈투름-S(SM), BMP-1LBM, BTR-50, PTS-2, PTS-3C, AB-13, BMP 케블라-E, CVR(T)( FV101 스콜피온, FV103 스파르탄, FV104 사마르탄, FV105 술탄, FV107 시미터), YPR-765, BMP M2, M7 BFIST, SPz 마르더, Bv 202, Bv 206(S), BvS 10, 브롱코 ATTC, FV432, FV4333 스토머 HVM, FV430 Mk3 불독, CV90, M992A2, TZM-TC, Pbv 302, 모로오카 자재운반차, { KF41 링스}
차량 소형 퀴벨바겐, 험비, SCTV, ZAZ-11055 타우리아 픽업, LuAZ-967, 이베코 LMV, 토요타 랜드 크루저(LC79 APC-SH 파이터 2), 타르판 혼커, KrAZ 스파르탄, 코자크-2, 도조르-B, UAZ-469R, UAZ-452(A)R, UAZ 헌터, GAZ-2975 티그르C, 티그르-MC, GAZ-3937 보드닉C, 허스키 TSV, 스내치 랜드로버, 산타나 아니발, MLS SHIELD, BMC 키르피, M1224 MaxxPro, 쿠거(마스티프, 울프하운드), RG-31 Nyala, GAIA amir, ATF 딩고, Novator(-2), 기아 스포티지, 폭스바겐 아마록, 닛산 나바라, 닛산 엑스트레일, 보흐단-2251, Bars-6, Bars-8, K-53949 타이푼-KC, KamAZ-53949 린자C, AMN-590951C, Z-STSC, MOWAG 이글, 도요타 하이럭스, M-ATV,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M클래스,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푸조 P4), 카라칼, { KM420}, 메르세데스-벤츠 비토, BMW X3, 미쓰비시 트라이톤, 스즈키 짐니, 오토카르 코브라 II, 지프 랭글러, URO VAMTAC, 폭스바겐 트랜스포터, 폭스바겐 크래프터, 미쓰비시 파제로, 현대 갤로퍼, 현대 산타페, 현대 테라칸, 랜드로버 프리랜더, 지프 그랜드 체로키, 쉐보레 서버번, 73식 1/2t 트럭, HMV 하야테, 메르세데스-벤츠 스프린터, 코요테 Extendar Mk2, 폴라리스 RZR, 페트라, 시트로엥 베를링고
트럭 ZIS-164R, AT-T, MT-T, ATS-59G, STZ PR-14SC, KrAZ-7140, KrAZ-6446, KrAZ-6316, KrAZ-6322, KrAZ-6333RE, KrAZ-5233BE, KrAZ-260, KrAZ-255,
MAZ-537, MAZ-5337, MAZ-6317, KamAZ-6350, KamAZ-5350, KamAZ-4310, KamAZ-4350,
GAZ-3307, GAZ-3308, GAZ-51R, GAZ-66, GAZ-53, GAZ GAZelleC, 우랄-4320 · 우랄-375D, ZiL-130, ZiL-131, Star-266
메르세데스-벤츠 유니목 435(U1300L) · 437, 메르세데스-벤츠 제트로스, 메르세데스-벤츠 악소르, 메르세데스-벤츠 아록스, 이베코 VM90 · ACL90 · 트래커 · 스트라리스 · 아스트라 SM 66.40 · M320, RMMV HX40M · HX77 · HX81, 핀츠가우어, 사우어 M8, 르노 D, 르노 TRM-2000 · 10000, 르노 GBC-180, M939, FMTV, MTVR, HEMTT, MAN KAT1 · TGS, 볼보 N10, 볼보 FM, M1070 HET, KamAZ 타이푼C, KamAZ 무스탕C, DAF YAZ-2300 · YA-4442 · YA-328, 타트라 T-185, 타트라 813, 타트라 피닉스, Jelcz P882 D53, AT42, 스카니아 P92, 스카니아 P113, 스카니아 P124, 울프람, KM450, 포드 F250, 램 픽업, 피아트 풀백, 대우 노부스, 타타 텔코라인, 슈타이어 91, JAC J8, 이베코-마기루스 120-23, 푸조 랜드트렉, 지프 코만치
<colbgcolor=#ffd500> 자주포 <colbgcolor=#ffd500> 자주곡사포 2S1RC, 2S3C, 2S19, 2S33C, 2S22 보흐다나, PzH2000, CAESAR, M109(A3GN/A4BE/A5Ö/L), M109A6 팔라딘, AHS 크라프, ShKH vz.77 Dana, 155mm ShKH Zuzana, { RCH 155}, AS90, 아처, 호크아이, { T-155 프르트나}
자주평사포 2S5RC, 2S7
자주박격포 2S9(2S17-2C, 2S23C)RC/ M, Bars-8MMK, 알라크란, Panzermörser 120, M1064, 2S34C, KTO Rak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z.53/59 PLDvK, ZSU-23-4 쉴카RC/C, 2K22M1 퉁구스카, ZSU 게파트, 스카이넥스, 빅토르 방공시스템, 히브네리트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스트렐라-1, 9K33M2 오사, 9K35 스트렐라-10M, 9K330 토르RC, 판치르(S1, S2)C, 스토머 HVM, NASAMS, 크로탈, AN/TWQ-1 어벤저, RIM-7 시스패로우, IRIS-T SLS, ASRAAM
중장거리 대공미사일 S-125M, S-300(V1/PT/PS/PMU), 9K37 BUK-M1, 2K12 KUB, IRIS-T SLM, 스파다, 아스파이드 2000, MIM-23 호크, MIM-104 패트리어트, SAMP/T
지대함 미사일 R-360MC, HCDS
레이더 기기, 차량 P-14, P-18, P-19, P-35, P-37, 베라 레이더, 79K6, ST-68, 80K6M, MR-18, AN/TPQ-36, AN/TPQ-48, AN/TPQ-49, AN/MPQ-61/62/64 센티넬, Zoopark-1C, TRML-4D, COBRA, MAMBA ARTHUR, Thales SQUIRE, PRV-11·13·16, Ground Master 200, PS-70, 1S91, 36D6, ieMHR, GO12, Arabel, 112L4, NEVA-BC, SurveilSPIRE, {Amber 1800}
RWS, CUAS, EW 슬링어, 뱀파이어, CROWS, {CORTEX Typhoon}, {Terrahawk Paladin}, EDM4S, 부코벨-AD, NOTA, Moruś, DroneDefender, KVS G-6, R-330
다연장로켓 BM-21(V/U/K/A/B/MT) 그라드, 바스티온-2M, APR-40D, BM-27 우라간RC, 부레비, 빌하, BM-30 스메르치, TOS-1 부라티노C, RM-70, M270 MLRS, LRU, MARS II, M142 HIMARS, TRG-230, RAK-12, VM-5M, VM-8M
무인 차량 UGV 테미스, {Bozena-4}, Bozena-5, GCS 200, DOK-ING MV-4, D-250, Revival P, 류트
공병 차량 구난차량 BREM-4K, BREM-2S, BREM-1, VT-72B, BTS-5, REM-KLC, FV106 삼손, BPz 2, BPz 3, M984A4 HEMTT, CRARRV, 오시코시 Mk36, FV434, NM217, M88(A2), Bärgningsbandvagn 90, 위센트 1
AEV BAT-2RC, IMR-2S, IMR, IRM, 닥스, WZT, NM189, MiRPz Keiler, 레오파르트 2R, Hydrema 910, BTM-3, FV180, M1150 ABV, BM307-V16, ScanJack 3500, { K-600}, {SDZ}
교량 차량 MTU-72S/C, MTU-20, MT-55, MTU-12, PMP, TMM-3, 비버, M60 AVLB, { M3 자주도하장비}, {EFA}
기타 UR-77, M58, ZB-WLWD, MDK-2M, MDK-3, GMZ-3, HEP-70, PMZ-4, 쉴더, KhTZ T-150K, EOV-4421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RC: 재취역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BMD-1 차체를 이용한 APC. BTR 시리즈가 아님.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현대 인도네시아 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인도네시아 국군 (1945~현재)
Tentara Nasional Indonesia
기타전차 치하IJA/R, M4 셔먼C/R, M3A3 스튜어트C/R, M5A1 스튜어트C/R, 하고IJA/R, 97식 경장갑차 테케IJA/R, 89식 중전차 이고/치로 을형IJA/R
MBT 3세대 레오파르트2(A4+/RI)
경전차 AMX-13-(90/105)R, PT-76R, FV101 스콜피온, 하리마우
장갑차 차륜장갑차 파나르 EBR, { 판두르 II}, 두산 타란튤라, 핀덱 데덱 · APS-3 아노아,
V-150, 맘바, 부시마스터, 카스피르, FV601 살라딘, FV701 페렛,
VAB, 르노 셰르파 II, BTR-152R, BTR-40, BTR-82A, BTR-4M, 바라쿠다POLISI, 블루샤크POLISI, LAWPOLISI
궤도장갑차 M113(A1/A2), 마르더 1A3, FV4333 스토머, AMX-10P,
AMX-VCI, BTR-50PKR, BMP-2, BMP-3F, KAAVP7A1O
<colbgcolor=#ffffff,#191919> 차량 <colbgcolor=#ffffff,#191919> 소형 코모도, M151, 디펜더, VBL, K-131, P6 ATAV
트럭 KM500, KM450, M35, M939, 유니목 U1300L, 볼보 FMX, 카이저 M715R
자주포 자주곡사포 CAESAR, M109A4BE, AMX Mk.61R
자주박격포 아노아-MC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R
단거리 대공미사일 셰르파 TNI AD*, 코모도 AD*, URO VAMTAC ST5 AD, 디펜더 AD, NASAMS
다연장로켓 RM-70 그라드/밤피르 R-Han 122, NDL-40, ASTROS II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3 뷔펠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
교량차량 M3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 {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차량의 지붕에 미스트랄 발사기를 올린 대공용 파생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호주 국기.svg 현대 호주 국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012169> 호주 국방군 (1945~현재)
Australian Defense Force
기타전차 <colbgcolor=#012169> 경전차 M24 채피R
중형전차 그랜트 IXR
보병전차 마틸다 Mk. IVR, 마틸다 Mk. VR, 마틸다 Mk. IV CSR, 마틸다 Mk. V CSR, 마틸다 헤지호그R, 마틸다 도저R, 마틸다 프로그R, A22 처칠R, 밸런타인 전차R
MBT 1세대 센추리온 Mk.5/1R, 59식 전차C/R
2세대 레오파르트 AS1R
3세대 M1A1 AIM 에이브람스
3.5세대 { M1A2 SEP v3 에이브람스}
장갑차 차륜장갑차 복서 CRV, ASLAV-(25/PC), 부시마스터 PMV, LARC-V, FV601 살라딘R
궤도장갑차 { AS-21 레드백}, M113 76mm FSV/MRVR · M577A1 · M113AS4
차량 소형 나리 HMT, G 바겐 300 · 6x6, 랜드 크루저 6x6, 랜드로버 페런티, 랜드로버 FFR/GS, 호카이 PMV
트럭 Mack MC3, MAN KAT I, RMMV HX40M · HX77, 유니목 U 1700 L, 인터내셔널 하베스터 SF2670, HMT 익스텐다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8R, 25Pdr 예람바R, { AS-9 헌츠맨}
자주박격포 M125R
다연장로켓 { M142 HIMARS}
대공차량 단거리 대공미사일 { 호카이 NASAMS 2}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R, M88A2 허큘리스, M113 피터 ARV
전투공병차량 HMEE, 허스키 VMMD Mk.3, MWL, { M1150 ABV}
교량차량 FSB, IRB, { M1074 JAB}
기타 캐터필러 D3 불도저, DJ 850J 불도저, 히타치 LX120 로더, 코마츠 PC50MR-2 굴착기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현대 튀르키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colbgcolor=#e30a17> 튀르키예군 (1920~현재)
Türk Silahlı Kuvvetleri
기타전차 T-26R, T4R, 5호 전차R, M4 셔먼R, M24 채피R, M3 스튜어트R, 밸런타인R T-34-85CZC/R
MBT <colbgcolor=#e30a17> 1세대 M48A5T2
2세대 M60(A1/A3 TTS), 레오파르트 1A3 · 1T
3세대 M60T 사브라, 레오파르트 2(A4TR/A4T1)
3.5세대 알타이 T1
중형전차 카플란E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80, UR-416, BMC 키르피 I/II MRAP
궤도장갑차 케말 투랄 APCR, M113A3T1/T2, ACV-15, FAARV, ZAHA
차량 소형 오토카르 코브라/ Engerek, ZPT, 디펜더, M151, 지프 랭글러
트럭 벤츠 악트로스 · 악소르 · 유니목 · NG, M977 HEMTT,
BMC 185-09 · 235-16 · 380-26 · Fatih 280 · M35, M939
자주포 자주곡사포 M44TR, M52T, M55 SPHR, M107R, M108TR, M109*, M110A2R, T-155 (프르트나/프르트나 2)
자주박격포 M106A1, M125A1, ACV-AMV-81
대전차 자주포 M36B2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M42A1 더스터R, ACV-30 코르쿠트
단거리 대공미사일 아틸간 PMADS, Zıpkın PMADS, HISAR-A
다연장로켓 M270A1 MLRS, T-122 사카리아, T-300 카쓸가
구난전차 M74, BPz 2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브라질 국기.svg 현대 브라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브라질군 (1822~현재)
Forças Armadas Brasileiras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L3/35R, Carros de assaltoR, M3/M5 스튜어트R, M3 리R, M4R, M4 하이브리드R, M4A1R, M4A1E9R
MBT 2세대 레오파르트 1(A1/A5 · A5GR), M60A3 TTS
3세대 EE-T1 오소리오
경전차 M41B/CR, SK-105 퀴라시어R, X1AM/R, X1A1M/R, X1A2M/R, MB-3 타모요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R, EE-9 카스카베우, EE-11 우루투, VBTP-MR 과라니, 첸타우로 II
궤도장갑차 Sd.Kfz. 6/7/8R, M3 하프트랙R, M59R, M113A2/BR, AAV-7A1
차량 오토바이 혼다 CBR1000 헌병 오토바이 · XRE300 정찰용 오토바이,
야마하 R1 헌병 오토바이 · XT660R 정찰용 오토바이
소형 닷지 WCR, 윌리스 MBR, EE-43R, M151, VBM,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F 시리즈, 토요타 하이럭스 · 랜드 크루저, 미쓰비시 파제로,
JPX 몬테즈, 아그랄 마후아, GAZ 티그르, {AV-(VB4 · VBL)}, { JLTV}
트럭 M37R, CCKWR, M35, EE-50, UAI-테렉스 M1,
메르세데스-벤츠 2028A · 아테고 · 악소르 · 우니모크 U 100L · U 1700L,
이베코 트래커, 포드 카고 2629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8APM/R, M109(A3/A5+), { ATMOS 2000}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게파트 A2,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 마르더 롤란드R
다연장로켓 ASTROS II, AV-SS 12/36R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전투공병차량 PiPz 2 닥스
교량차량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파일:칠레 국기.svg 현대 칠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칠레군 (1810~현재)
Fuerzas Armadas de Chile
기타 전차 M4A1E9, M-50, M-51, M-60, M3 스튜어트, M24 (HVMS) "슈퍼 채피"
MBT 2세대 T-54R, T-55R, 레오파르트 1V
3세대 레오파르트 2A4CHL
장갑차 <colbgcolor=#ffffff,#191919> 차륜장갑차 MOWAG 피라냐
궤도장갑차 마르더 1A3, AIFV, M113A1, M113A2
반궤도장갑차 M3 하프트랙
차량 소형 샌드캣, K-151
트럭 K-311
자주포 자주곡사포 M109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게파트L/R
자주식 SAM NASAMS
다연장로켓 LAR-160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L: 임대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일각에서는 당시 인도의 공업능력으로는 주조 부품이 많은 인디엔 판처를 생산할 능력이 모자른 게 원인이라고 본다. 인디엔 판처가 90mm를 쓰는 데 비해 빅커스 MBT mk.1은 당대 서구권 최신예 주포인 105mm L7A1을 달아서 인디엔 판처가 화력에서 밀림이 원인이라고 보는 의견도 있지만, 빅커스 MBT가 1960년대 초에 출시되었고 로열 오드넌스 L7이 1950년대 후반에 등장했으므로 이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2] 승무원 5명 중 탄약수가 제일 힘들었다. 포탑을 설계하면서 포탑회전으로 승무원이 부상 입을 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을 줄였지만, 이 때문에 탄약수의 자리가 비좁아졌다. [3] 특히 초기형 M48까지 사용된 가솔린 엔진 파워팩의 나쁜 연비도 문제였다. [4] 주 내용으론 30톤 이하의 중량을 가지고 3.15미터 이하의 전면폭을 가질 것, 주/야간에 관계없이 전투 가능할 것, 2,500m 에서 30도의 150mm 장갑을 관통 가능할 것, 근거리에서 20mm 기관포를 방어할 수 있을 것, 24시간동안 방사능 오염지대에서 작전이 가능한 NBC 방호장치를 갖출 것, 톤 당 30마력의 추중비를 가질 것 등 이었다. [5] 61~62년에 A와 B팀의 2차 시제차량으로 테스트를 종료한 뒤였고, 이미 61년에 A팀의 2차 시제차 기반의 선행양산분 50대가 양산 준비중이었다. [6] Michael Jerchel과 Peter Sarson의 Leopard 1 Main Battle Tank 1965–95 서적에 따르면 90mm가 취소된 이후 처음에는 라인메탈에서 프랑스제 대전차고폭탄을 발사하는 독자적인 105mm 전차포를 개발하려고 했지만, L7이 성능적으로 더 우수하고 탄종도 다양한데다가 전술했듯이 NATO 탄약 규격을 준수하기 위해서 독일제 신형 105mm 포의 개발 대신에 L7을 라이센스 생산하는게 결정되었다. [7] 미군과 동일한 M392와 M728을 사용하였다. [8] 이스라엘의 M111과 M413을 각각 DM23과 DM33이라는 제식명으로 라이센스 생산하였다. [9] 레오파르트 1과 비슷한 기동성 중시 설계 사상을 바탕으로 개발된 AMX-30도 장갑이 얇은 편이였지만 차체와 포탑 전면부 장갑의 두께는 레오파르트 1보다 소폭 두꺼웠고 경사가 더 잘 진 형상이라서 전면부의 실 방호력은 레오파르트 1보다 좋았다. [10] 즉 2차 대전기 독일의 기갑 설계사상과 기술적인 전차 계보는 전후 완전히 끊겼다는 소리다. 가볍고 기동성이 좋고 구동계의 신뢰성이 좋지만 장갑이 얇다는 조건은 2차 대전기 독일에서 개발된 티거 1, 티거 2, 야크트티거, 마우스 등과 같이 무겁고, 기동성이 나쁘고, 구동계가 안정적으로 버티질 못했지만 장갑이 두꺼웠던 전차들과는 완벽히 반대되는 설계사상이다. [11] 물론 당시에도 성형작약탄 방어를 시도하는 연구가 없던 것은 아니었다. 동시기에 미국은 성형작약탄 방호를 위해 SCA(Siliceous Cored Armor), 소련은 유리섬유와 코런덤볼(Corundumball)을 삽입한 복합장갑을 연구중이었고 이들은 같은 두께의 강철만 있을때보다 상당한 방호력의 증대를 보였다. 전자는 테스트에만 쓰이고 실제로 도입되지는 못했으나 후자는 T-64부터(코런덤볼은 T-64A부터) 적용되었다. 물론 아직은 불완전한 기술이었기에 성형작약탄에 대한 안정적인 방어력 증가는 끌어내지 못했다. [12] 차체에서 가장 두꺼운 차체 전면 상단은 70mm에 60도 경사를 가져서 LOS 두께는 140mm 수준으로, 표준 교전 거리 내에서 L7 주포에 대한 대응방어는 불가능한 수준이다. 포탑 장갑도 전면과 측면이 50~60mm 수준이고, 포방패 두께가 그나마 100mm 이다. [13] 정확히는 1A3 사양 이전의 주조포탑 장착한 구형 차량들을 개량할때 쓰였다. [14] Maj.Gen. Paul F. Gorman, U.S. INTELLIGENCE AND SOVIET ARMOR, 1982 [15] 다만 A2 생산분은 주조식 포탑이지만 포탑 내부의 추가된 장비들을 보호하기 위해 기존 양식보다 포탑 장갑의 두께가 늘어났다. [16] A2사양은 이미 포탑장갑이 강화되었기에 이후 실시된 개량사업에서도 볼트고정식 추가장갑을 붙이지 않았다. [17] 각진 새로운 포탑 형상에 맞게 거리 측정기가 포탑 벽 내에 매립되었고, 평소에는 오염을 막기 위해 커버로 덮혔다가 사용할때는 포탑 측면의 작은 커버를 여닫는 식으로 구조가 변경되었다. [18] 구형 포탑으로 인해 x, y, z축 모두 안정적이다. [19] BARV, Beach Armoured Recovery Vehicle [20] 레오파르트 1은 장갑이 얇고 러시아 주력 전차들의 125mm 활강포나 코넷, RPG-29등의 고관통 대전차미사일, 로켓 등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1선에 세우기엔 무리수고 챌린저 2는 적 공격은 잘 막아내나 너무 무거운 전투중량 때문에 기동력이 딸리고 진창에 쉽게 빠져 작전수행능력이 타 전차보다 떨어진다. [21] 실제로 레오파르트 1의 차체 전면장갑은 기본 두께 70mm에 60도 정도의 경사를 가진 경사장갑으로 티거 1과 비교해서는 우위였지만 티거 2라면 확실히 밀리는 방어력을 가졌다. 물론 공격력과 기동력은 티거와 티거 2와 비교할 수 없게 압도적이지만. 여기에는 개발된 시기 때문에 티거와 레오파르트 1의 설계사상이 극명히 갈린다는 점이 오토 카리우스의 판단에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다. 그리고 애초에 등장 시기가 많이 차이나는(티거는 전간기부터 개발되어 최종적으로 42년에 완성되었고 레오파르트는 전후 1950년대 중후반부터 개발된 차량이다.) 두 전차를 전차 에이스씩이나 되는 사람이 단순 성능으로 비교하고 저런 말을 했을까? 각 전차가 등장했을 때 기준으로 타 전차에 대해서 얼마나 우위를 가지는가를 가지고 말하는 것이다. 이런 면에서 티거가 T-34 초기형에 대한 압도적인 우위를 점하듯 레오파르트가 T-54와 T-55에 대한 우위를 가져가지 않는다고 까는 것이다. 당연히 거기다 사람은 늙으면 다루기 힘들고 이해하기도 어려운 신형보다 자기 손에 익숙하고 친숙한 구형을 더 호평하는 법이라... [22] 여담으로 고증 오류가 있다. 독일군은 M48을 도입했으며, 1980년대까지 개량(M48A2GA2)까지 해가면서 잘써먹었다. [23] 1티어로서 유럽 트리의 서막을 여는 핀란드 빅커스 경전차에서 시작하여, 폴란드, 이탈리아, 스웨덴 전차가 연구 계통도에 들어가 있는 짬뽕 트리이다. [24] 2019년 여름에 국제 토너먼트 대회가 끝난 이후 대회 주최자인 워게이밍 측에서 유럽 트리 개발 계획을 발표했고 이에 따라 9월에 유럽 트리가 이탈리아식 자동장전장치 중형전차 계통도(2~5티어까지는 각각 폴란드 경전차와 스웨덴 중형전차이므로 제외.)로 선행 출시되었다. 7.0 업뎃 이후 공개한 영상과 유출된 정보에 따라 폴란드 60TP 중전차 트리가 아니라 스웨덴 크란방 중전차 트리로 나올 가능성이 높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