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
국가( |
역사 |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 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 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 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 사회 · 경제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 지역 구분( 틀)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하위지역) · 니더작센( 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 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 하위지역) · 바이에른( 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하위지역) · 브레멘( 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하위지역) · 자를란트( 하위지역) · 작센( 하위지역) · 작센안할트( 하위지역) · 튀링겐( 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 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 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국제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국제공항 · 뒤셀도르프 국제공항 · 함부르크 국제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 정치 · 군사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 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 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 바르샤바 조약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 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 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 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 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 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 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 기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독일계 || 독일계 미국인 · 독일계 러시아인 · 독일계 폴란드인 · 독일계 아르헨티나인 · 독일계 캐나다인 · 독일계 브라질인 · 독일계 루마니아인 · 독일계 호주인 · 독일계 멕시코인 · 독일계 나미비아인 · 독일계 영국인 · 독일계 우크라이나인 · 독일계 벨라루스인 · 독일계 리투아니아인 ||
기타 막스 플랑크 협회 · 저마늄 · 과학기술정책/독일 · 공휴일/독일 · 서독-동독 관계 · 베를린 장벽 · 동서독 국경 · 그뤼네스반트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707070, #7a7979 20%, #7a7979 80%, #707070);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7f7f7>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테오도어 호이스 | 하인리히 뤼프케 | 구스타프 하이네만 | 발터 셸 | |
<rowcolor=#f7f7f7>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카를 카르스텐스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 로만 헤어초크 | 요하네스 라우 | |
<rowcolor=#ffffff>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호르스트 쾰러 | 크리스티안 불프 | 요아힘 가우크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 |
}}}}}}}}} |
독일연방공화국 연방대통령 Bundespräsident der Bundesrepublik Deutschland Federal President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
|
|
|
<colbgcolor=#707070,#8f8f8f> 현직 | <colbgcolor=#ffffff,#1f2023>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 제12대 |
취임일 | 2017년 3월 19일 |
정당 |
|
관저 | 벨뷔 궁전 |
1. 개요
Ich schwöre, dass ich meine Kraft dem Wohle des deutschen Volkes widmen, seinen Nutzen mehren, Schaden von ihm wenden, das Grundgesetz und die Gesetze des Bundes wahren und verteidigen, meine Pflichten gewissenhaft erfüllen und Gerechtigkeit gegen jedermann üben werde. So wahr mir Gott helfe.
"나는 독일국민의 복지를 위하여 전력을 다하고, 그 이익을 증진시키며, 독일국민에 대한 손해를 방지하고, 기본법과 연방의 법률을 지키고 수호하며, 양심적으로 내 의무를 완수하고, 만인에 대하여 정의를 행할 것을 선서합니다. 신이여, 저를 도우소서!"
독일연방공화국 대통령의 취임 선서문[1]
독일연방공화국의
상징적 국가원수. 정치를 주도하지 않으나 국가원수로서 다음의 권한을 가진다."나는 독일국민의 복지를 위하여 전력을 다하고, 그 이익을 증진시키며, 독일국민에 대한 손해를 방지하고, 기본법과 연방의 법률을 지키고 수호하며, 양심적으로 내 의무를 완수하고, 만인에 대하여 정의를 행할 것을 선서합니다. 신이여, 저를 도우소서!"
독일연방공화국 대통령의 취임 선서문[1]
- 외국과의 조약 체결권
- 외교관의 파견 및 접수권
- 국무회의 배석권
- 연방하원에 대한 독일 연방총리후보 추천권
- 연방하원에 의해 총리로 선출된 자에 대한 임명권
- 연방총리의 제청에 따른 각료 임면권
- 사면권
- 연방총리의 제청에 따른 의회 해산권
현행 기본법[2]에 따르면 임기는 5년으로 1회에 한하여 연임할 수 있으며 국민의 직접 선거가 아닌 연방하원의원과 연방상원의원 및 각 주 의원들이 선거인단을 구성하여 선출한다. 대부분의 독일 대통령은 정치인이지만 선출 즉시 관습적으로 당원 자격을 정지하고 취임하며 취임과 동시에 독일 공로훈장의 특급대십자장을 수여받는다.
의원내각제 국가라 대통령에게 큰 권한은 없지만, 연방하원에 연방총리 후보를 추천하고 임명하며, 연방총리의 제청에 의해 연방장관을 임명하고, 연방총리의 필살기인 하원해산 요청에 응해 하원 해산(및 조기 총선 실시)을 명령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까지는 실제로는 거의 총리의 요청을 그대로 승인하기 때문에 큰 힘을 발휘하지 못한다. 그나마 연방대통령의 재가를 받아야 법률을 시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실상 가장 강력한 권한은 거부권 행사라고 할 수 있을 텐데, 이것도 함부로 실행하지 않고 대부분은 의회를 통과한 그대로 승인해주고 있다. 어쩌다 거부권 행사를 하면 그게 대통령으로서 적절한 결정이었는지를 놓고 논란이 벌어질 정도니 말 다했다. 결국 실권은 거의 없고 외국 귀빈과 상호 방문하고 국민들에게 덕담해주거나 행정부( 내각)의 독주를 제한적으로 견제하는 정도의 역할만 한다고 보면 된다. 말 그대로 영국 국왕이 맡고 있는 역할과 동일하다.
2. 역사
독일의 대통령직은 어원적 유사성으로 따지면 북독일 연방 의장(Bundespräsidium)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지만 극히 짧은 기간동안만 존속했던 데다가 북독일 연방을 하나의 국가로 보기 어렵기 때문에 실제로는 바이마르 공화국의 대통령직을 처음으로 본다. 이때의 독일의 국호는 Deutsches Reich였기 때문에 대통령도 Reichpräsident라 했다.바이마르 공화국 시절 국가대통령의 임기는 7년이었으며, 국민 직선( 결선투표제)으로 선출되었고 재선까지 가능했다. 이때는 오늘날 결선투표제가 있는 국가에서 보통 최다득표자 2인을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하는 것과 달리 독특하게 최다득표자 3인을 대상으로 결선투표를 하는 형태였고, 최다득표자 3인 중 결선 진출을 포기하는 사람이 나올 경우 득표율이 4위 이하인 후보에게 결선 진출 기회가 돌아갔다. 귀화시민인 아돌프 히틀러가 1932년 대선에 출마한 예에서 알 수 있듯,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과 비슷하게 태생적 시민 여부는 따지지 않았다. 바이마르 공화국은 의원내각제를 채택했기 때문에 실권은 독일 총리가 행사했고, 대통령은 의례적인 총리 임명권만 행사하고 상징적 국가원수로써 바지 사장 역할만 해주면 그만이었다.
하지만 정치가 불안정해질수록 대통령은 바지사장이 아니라 선거로 뽑는 카이저로 기능했다. 바로 비상대권 때문. 의회에서 여러 이유로 내각이 구성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비상대권을 발동해 자신이 원하는 자를 총리로 임명할 수 있었다. 이렇게 의회의 신임으로 선출된 총리가 구성한 내각이 아닌 오로지 대통령의 권한으로만 구성된 내각을 '대통령 내각'이라 했다.[3]
이런 권한은 비상시를 대비하기 위한 것이지 자주 써먹으라고 있는 게 아니었는데, 바이마르 공화국은 나치당의 대두 이전까지 의회에 극우부터 극좌까지 온갖 스펙트럼을 가진 정당들이 완전 비례대표제로 의석을 차지하고, 내각이 과반 미달로 붕괴하도록 서로 정치질을 일삼으며 유럽 외교사의 축소판을 보여주던 때라 내각이 쉽게 구성되지 않아 후기로 갈수록 대통령이 비상대권으로 총리를 임명하는 일이 잦았다. 그래서 바이마르 공화국의 대통령은 의원내각제답지 않게 권한이 굉장히 강대했다.
대공황이 찾아오고 당시 헤르만 뮐러 총리가 의회의 신임을 잃게 되자 그는 당시 대통령인 파울 폰 힌덴부르크에게 자신을 대통령 내각의 총리로 임명해줄 것을 요청했지만, 힌덴부르크는 비상대권만 발동한 뒤 그를 해임하고 하인리히 브뤼닝을 총리로 임명했다. 그러나 곧 브뤼닝 총리는 정작 자신에게 권한을 실어준 힌덴부르크와 갈등을 벌여 쫓겨났고, 총선을 치러도 치러도 온갖 정당들이 고만고만한 의석을 차지하고 의회에서 깽판을 치니 내각 구성은 여전히 안 되었다. 결국 또 대통령이 누군가를 찾아 총리로 임명해서 대통령 내각을 구성하고... 이런 비상체제로 나라가 돌아갔다. 나이가 80이 넘은 힌덴부르크는 정치에 직접 관여하고 싶지 않아서 누군가가 총리를 맡아서 정국을 안정화했으면 하는데 브뤼닝은 마음에 안 들고, 파펜과 슐라이허는 능력이 없었다. 그래서 정국을 안정화할 수 있는 기똥찬 인물을 찾아 대통령 내각의 총리로 임명했는데 그게 하필 아돌프 히틀러... 이로써 바이마르 공화국은 끝장났다. 그리고 힌덴부르크가 죽자 히틀러는 의례적인 국민투표를 통해 대통령의 권한을 자신에게 귀속시킨 퓌러가 되었다.
히틀러 사후 대통령직은 카를 되니츠에게 승계되지만 얼마 안 가 연합군에 항복하였고, 연합군이 나치 독일 체제 자체를 날려버리기로 결정함에 따라 대통령직(Reichpräsident)은 폐지되었다. 히틀러는 역대 대통령으로 인정되지 않으나 되니츠는 대통령으로 인정되었다.
1949년에 독일연방공화국이 세워짐에 따라 연방대통령(Bundespräsident)이라는 직책으로 부활했지만 비상대권,[4] 군 통수권 같은 권한은 모조리 폐지되고 독일의 상징적 국가원수로서의 역할만을 한다.
3. 역대 대통령
3.1. 바이마르 공화국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000, #000000 20%, #000000 80%, #000000); color: #ffcd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cd00> 초대 | 제2대 |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 | 비고 |
1대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1871 ~ 1925) |
1919. 2. 11 | 1925. 2. 28 |
|
임기 중 사망 |
권한대행 |
한스 루터 (1879 ~ 1962) |
1925. 2. 28 | 1925. 3. 12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총리 |
권한대행 |
발터 지몬스 (1861 ~ 1937) |
1925. 3. 12 | 1925. 5. 12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대법원장 |
2대 |
파울 폰 힌덴부르크[5] (1847 ~ 1934) |
1925. 5. 12 | 1934. 8. 2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임기 중 사망 |
3.2. 나치 독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70101, #cc0000 20%, #cc0000 80%, #b70101);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초대 | 제2대 | 제3대 | |
파울 폰 힌덴부르크 | 아돌프 히틀러 | 카를 되니츠 | ||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 | 비고 |
1대 |
아돌프 히틀러 (1889 ~ 1945) |
1934. 8. 2 | 1945. 4. 30 |
|
총리 겸임( 퓌러) |
2대 |
카를 되니츠 (1891 ~ 1980) |
1945. 4. 30 | 1945. 5. 23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해군 원수 |
3.3. 독일민주공화국(동독)
독일민주공화국 국가평의회 의장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efd88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통령 | 권한대행 | 초대 |
빌헬름 피크 | 요하네스 디크만 | 발터 울브리히트 | |
권한대행 | 제2대 | 제3대 |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유니오어 | 빌리 슈토프 | 에리히 호네커 | |
제4대 | 제5대 | 인민의회 의장 | |
에곤 크렌츠 | 만프레트 게를라흐 | 자비네 베르크만폴 | |
독일민주공화국 각료평의회 의장 | |||
프랑크 ·
동프랑크 ·
신성 로마 ·
라인 동맹 ·
독일 연방 북독일 연방 · 독일 제국 · 바이마르 · 나치 독일 · 동독 · 독일 |
}}}}}}}}} |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정당 | 비고 |
1대 |
빌헬름 피크 (1876 ~ 1960) |
1949. 10. 11 | 1960. 9. 7 |
|
대통령 (Präsident) |
1대 |
발터 울브리히트 (1893 ~ 1973) |
1960. 9. 12 | 1973. 8. 1 |
|
국가평의회 의장 (Vorsitzender des Staatsrates) |
권한대행 |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2세[6] (1894 ~ 1979) |
1973. 8. 1 | 1973. 10. 3 |
|
|
2대 |
빌리 슈토프 (1914 ~ 1999) |
1973. 10. 3 | 1976. 10. 29 |
|
|
3대 |
에리히 호네커 (1912 ~ 1994) |
1976. 10. 29 | 1989. 10. 18 |
|
|
4대 |
에곤 크렌츠 (1937 ~ ) |
1989. 10. 18 | 1989. 12. 6 |
|
|
5대 |
만프레트 게를라흐 (1928 ~ 2011) |
1989. 12. 6 | 1990. 4. 5 |
[[독일 자유민주당(동독)| 동독 자유민주당 ]]
|
|
1대 |
자비네 베르크만-폴 (1946 ~ ) |
1990. 4. 5 | 1990. 10. 2 |
[[독일 기독교민주연합(동독)| 동독 기독교민주연합 ]]
|
인민의회 의장 (Präsidentin der Volkskammer)[7] |
3.4. 독일연방공화국(옛 서독 시절 포함)
대수 | 이름 | 임기시작 | 임기종료 | 출신 정당[8] | 비고 |
1대 |
테오도어 호이스 (1884 ~ 1963) |
1949. 9. 7 | 1959. 9. 12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2대 |
하인리히 뤼프케 (1894 ~ 1972) |
1959. 9. 13 | 1969. 6. 30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3대 |
구스타프 하이네만 (1899 ~ 1976) |
1969. 7. 1 | 1974. 6. 30 |
|
|
4대 |
발터 셸 (1919 ~ 2016) |
1974. 7. 1 | 1979. 6. 30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5대 |
카를 카르스텐스 (1914 ~ 1992) |
1979. 7. 1 | 1984. 6. 30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6대 |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1920 ~ 2015) |
1984. 7. 1 | 1994. 6. 30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동서독 통일 |
7대 |
로만 헤어초크 (1934 ~ 2017) |
1994. 7. 1 | 1999. 6. 30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8대 |
요하네스 라우 (1931 ~ 2006) |
1999. 7. 1 | 2004. 6. 30 |
|
|
9대 |
호르스트 쾰러 (1943 ~ ) |
2004. 7. 1 | 2010. 5. 31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중도사임 (파병 발언 문제) |
권한대행 |
옌스 뵈른젠 (1949 ~ ) |
2010. 5. 31 | 2010. 6. 30 |
|
상원의장 |
10대 |
크리스티안 불프 (1959 ~ ) |
2010. 6. 30 | 2012. 2. 17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중도사임 (부정수수 혐의) |
권한대행 |
호르스트 제호퍼 (1959 ~ ) |
2012. 2. 17 | 2012. 3. 18 |
|
상원의장 |
11대 |
요아힘 가우크 (1940 ~ ) |
2012. 3. 18 | 2017. 3. 18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
12대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1956 ~ ) |
2017. 3. 19 | 현직 |
|
사민당 당수 외교장관 |
4. 관련 문서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em;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시아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아랍에미리트의 대통령은 아부다비의 아미르가 겸직하여 사실상 군주에 가깝다. *** 이란의 국가원수는 라흐바르이며, 대통령은 정부수반이다. **** 현직 장성급 장교들이 국회의원을 겸직하는 정당이라 사실상 미얀마군 소속에 가깝다. |
|||||
네팔* | 대만 | 대한민국 | ||||
[[무소속| 무소속 ]]
|
[[민주진보당| 민주진보당 ]]
|
[[국민의힘| 국민의힘 ]]
|
||||
람 찬드라 파우델 (초선) | 라이칭더 (초선) | 윤석열 | ||||
동티모르 | 레바논* | 몰디브 | ||||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티모르 재건국민회의 ]]
|
[[무소속| 무소속 ]]
|
[[인민민족회의| 인민민족회의 ]]
|
||||
조제 하무스오르타 (재선) | 나지브 미카티 (권한대행) | 모하메드 무이주 (초선) | ||||
몽골 | 미얀마*, **** | 방글라데시* | ||||
[[몽골 인민당| 몽골 인민당 ]]
|
[[무소속| 무소속 ]]
|
[[아와미 연맹| 아와미 연맹 ]]
|
||||
오흐나깅 후렐수흐 | 민 아웅 흘라잉 (권한대행) | 모하메드 샤하부딘 (초선) | ||||
스리랑카 | 시리아 | 싱가포르* | ||||
[[인민해방전선| 인민해방전선 ]]
|
[[바트당| 바트당 ]]
|
[[무소속| 무소속 ]]
|
||||
아누라 쿠마라 디사나야케 (초선) | 바샤르 알아사드 (4선) |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초선) | ||||
아랍에미리트** | 예멘 | 우즈베키스탄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전체회의| 국민전체회의 ]]
|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우즈베키스탄 자유민주당 ]]
|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라샤드 알알리미 (대통령 지도 위원회 의장) |
샤브카트 미르지요예프 (3선) |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
[[개혁파| 개혁파 ]]
|
[[민주당(이스라엘)| 민주당 ]]
|
||||
압둘 라티프 라시드 (초선) | 마수드 페제시키안 (초선) | 이츠하크 헤르초그 | ||||
인도* | 인도네시아 | 카자흐스탄 | ||||
[[인도 인민당| 인도 인민당 ]]
|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위대한 인도네시아 운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드라우파디 무르무 (초선) | 프라보워 수비안토 (초선) | 카심조마르트 토카예프 (재선) |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 ||||
[[메켄칠| 메켄칠 ]]
|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타지키스탄 인민민주당 ]]
|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투르크메니스탄 민주당 ]]
|
||||
사디르 자파로프 (초선) | 에모말리 라흐몬 (5선) | 세르다르 베르디무하메도프 (초선) | ||||
파키스탄* | 팔레스타인 | 필리핀 | ||||
[[파키스탄 무슬림 동맹| 파키스탄 인민당 ]]
|
[[파타| 파타 ]]
|
[[필리핀 연방당| 필리핀 연방당 ]]
|
||||
아시프 알리 자르다리 (재선) | 마흐무드 압바스 (초선)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주니어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유럽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산마리노의 국가원수는 대통령이 아닌 두 명의 집정관이다. *** 오스트리아와 포르투갈은 헌법상 이원집정부제이나 사실상 의원내각제 국가이다. |
||
그리스* | 남오세티야 | 독일* | ||||
[[무소속| 무소속 ]]
|
[[느하스| 느하스 ]]
|
[[독일 사회민주당| 독일 사회민주당 ]]
|
||||
카테리나 사켈라로풀루 (초선) | 알란 가글로예프 (초선) | 프랑크발터 슈타인마이어 (재선) | ||||
라트비아* | 러시아 | 루마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에드가르스 린케비치 (초선) | 블라디미르 푸틴 (5선) | 클라우스 요하니스 (재선) | ||||
리투아니아 | 몬테네그로* | 몰도바* | ||||
[[무소속| 무소속 ]]
|
[[지금 유럽!| 지금 유럽! ]]
|
[[무소속| 무소속 ]]
|
||||
기타나스 나우세다 (재선) | 야코브 밀라토비치 (초선) | 마이아 산두 (초선) | ||||
몰타* | 벨라루스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 ||||
[[노동당(몰타)| 노동당 ]]
|
[[무소속| 무소속 ]]
|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회민주당| 사회민주당 ]][[독립사회민주연대| 독립사회민주연대 ]][[민주전선(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민주전선 ]]
|
||||
미리암 스피테리 데보노 | 알렉산드르 루카셴코 (6선) |
데니스 베치로비치 (초선) 젤카 츠비야노비치 (초선) 젤코 콤시치 (4선) |
||||
북마케도니아* | 북키프로스 | 불가리아* | ||||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 기구-마케도니아 국민통합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고르다나 실랴노프스카다프코바 (초선) | 에르신 타타르 (초선) | 루멘 라데프 (재선) | ||||
산마리노* ** | 세르비아* | 스위스* | ||||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산마리노 기독교민주당 ]][[자유 산마리노| 자유 산마리노 ]]
|
[[세르비아 진보당| 세르비아 진보당 ]]
|
[[중도당| 중도당 ]]
|
||||
프란체스카 치베르키아 (초선) 달리보르 리카르디 (초선) |
알렉산다르 부치치 (재선) | 비올라 암헤르트 (초선) | ||||
슬로바키아* | 슬로베니아* | 아르메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페테르 펠레그리니 (초선) | 나타샤 피르츠 무사르 (초선) | 바하근 하차투랸 | ||||
아이슬란드* | 아일랜드* | 아제르바이잔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신아제르바이잔당 ]]
|
||||
할라 토마스도티르 (초선) | 마이클 D. 히긴스 (재선) | 일함 알리예프 (5선) | ||||
알바니아* | 압하지야 | 에스토니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바이람 베가이 (초선) | 아슬란 브자니야 (초선) | 알라르 카리스 (초선) | ||||
오스트리아*** | 우크라이나 | 이탈리아*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재선)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초선) | 세르조 마타렐라 (재선) | ||||
조지아* | 체코* | 코소보*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살로메 주라비슈빌리 (초선) | 페트르 파벨 (초선) | 비오사 오스마니 (초선) | ||||
크로아티아* | 키프로스 | 튀르키예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정의개발당| 정의개발당 ]]
|
||||
조란 밀라노비치 (초선) | 니코스 흐리스토둘리디스 (초선) |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3선) | ||||
트란스니스트리아 | 포르투갈*** | 폴란드 | ||||
[[무소속| 무소속 ]]
|
[[사회민주당(포르투갈)| 사회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바딤 크라스노셀스키 (재선) | 마르셀루 헤벨루 드 소자 (재선) | 안제이 두다 (재선) |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
[[르네상스(정당)| 르네상스 ]]
|
[[국민연합당| 국민연합당 ]]
|
[[청년민주동맹| 청년민주동맹 ]]
|
||||
에마뉘엘 마크롱 (재선) | 알렉산데르 스투브 (초선) | 슈요크 터마시 (초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메리카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
가이아나 | 과테말라 | 니카라과 | ||||
[[인민진보당| 인민진보당 ]]
|
[[풀뿌리운동| 풀뿌리운동 ]]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
|
||||
이르판 알리 (초선) | 베르나르도 아레발로 | 다니엘 오르테가 (5선) | ||||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멕시코 | ||||
[[현대혁명당| 현대혁명당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재건운동| 국가재건운동 ]]
|
||||
루이스 아비나데르 (재선) | 실바니 버튼 (초선) |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파르도 | ||||
미국 | 바베이도스* | 베네수엘라 | ||||
[[민주당(미국)| 민주당 ]]
|
[[무소속| 무소속 ]]
|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베네수엘라 연합사회당 ]]
|
||||
조 바이든 (초선) | 샌드라 메이슨 (초선) | 니콜라스 마두로 (재선) |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
[[사회주의 운동| 사회주의 운동 ]]
|
[[노동자당| 노동자당 ]]
|
[[진보개혁당| 진보개혁당 ]]
|
||||
루이스 아르세 (초선) |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3선) | 찬 산토키 (초선) | ||||
아르헨티나 | 아이티 | 에콰도르 | ||||
[[자유당(아르헨티나)| 자유당 ]]
|
[[무소속| 무소속 ]]
|
[[국민민주행동| 국민민주행동 ]]
|
||||
하비에르 밀레이 (초선) | 에드가르 르블랑 피스 (과도위원회 의장) | 다니엘 노보아 (초선) | ||||
엘살바도르 | 온두라스 | 우루과이 | ||||
[[새로운 생각| 새로운 생각 ]]
|
[[자유재건당| 자유재건당 ]]
|
[[국민당(우루과이)| 국민당 ]]
|
||||
나이브 부켈레 (재선) | 시오마라 카스트로 (초선) | 루이스 라카예 포우 (초선) | ||||
칠레 | 코스타리카 | 콜롬비아 | ||||
[[사회융합당| 사회융합당 ]]
|
[[사회민주진보당| 사회민주진보당 ]]
|
[[인간적인 콜롬비아| 인간적인 콜롬비아 ]]
|
||||
가브리엘 보리치 (초선) | 로드리고 차베스 로블레스 (초선) | 구스타보 페트로 | ||||
트리니다드 토바고* | 파나마 | 파라과이 | ||||
[[무소속| 무소속 ]]
|
[[목표 실현| 목표 실현 ]]
|
[[콜로라도당| 콜로라도당 ]]
|
||||
크리스틴 캉갈루 (초선) | 호세 라울 물리노 (초선) | 산티아고 페냐 | ||||
페루 | ||||||
[[무소속| 무소속 ]]
|
||||||
디나 볼루아르테 (초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아프리카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현재 군사정권이거나 혹은 사실상 해당 국가의 군 소속 |
||||
가나 | 가봉** | 감비아 | ||||
[[신애국당| 신애국당 ]]
|
[[가봉군| 가봉군 ]]
|
[[국가인민당(감비아)| 국가인민당 ]]
|
||||
나나 아쿠포아도 (재선) | 브리스 클로테르 올리기 응게마(권한대행) | 아다마 배로 (재선) |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미비아 | ||||
[[기니군| 기니군 ]]
|
[[마뎀 G15| 마뎀 G15 ]]
|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남서아프리카 인민기구 ]]
|
||||
마마디 둠부야 (권한대행) | 우마로 시소코 엠발로 (초선) | 난골로 음붐바 (초선) | ||||
나이지리아 | 남수단 | 남아프리카 공화국 | ||||
[[전진보회의| 전진보회의 ]]
|
[[수단 인민해방군| 수단 인민해방운동 ]]
|
[[아프리카 국민회의| 아프리카 국민회의 ]]
|
||||
볼라 티누부 (초선) | 살바 키르 마야르디트 (초선) | 시릴 라마포사 (3선) |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르완다 | ||||
[[니제르군| 니제르군 ]]
|
[[통일당(라이베리아)| 통일당 ]]
|
[[르완다 애국전선| 르완다 애국전선 ]]
|
||||
압두라하마네 치아니 (권한대행) | 조셉 보아카이 (초선) | 폴 카가메 (4선) | ||||
리비아 | 마다가스카르 | 말라위 | ||||
[[무소속| 무소속 ]]
|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단호한 말라가시 청년들 ]]
|
[[말라위 의회당| 말라위 의회당 ]]
|
||||
모하메드 알 멘피 (대통령위원회 의장) | 안드리 라조엘리나 (재선) | 라자루스 차퀘라 (초선) | ||||
말리** | 모리셔스* | 모리타니 | ||||
[[말리군| 말리군 ]]
|
[[투쟁 사회주의운동| 투쟁 사회주의운동 ]]
|
[[공정당| 공정당 ]]
|
||||
아시미 고이타 (권한대행) | 프리트비라즈싱 루푼 (초선) | 모하메드 울드 가주아니 (초선) | ||||
모잠비크 | 베냉 | 보츠와나 | ||||
[[모잠비크 해방전선| 모잠비크 해방전선 ]]
|
[[무소속| 무소속 ]]
|
[[보츠와나 국민전선| 보츠와나 국민전선 ]]
|
||||
필리프 뉴시 (재선) | 파트리스 탈롱 (재선) | 두마 보코 (초선) | ||||
부룬디 | 부르키나파소**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 ||||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민주방위국민회의 - 민주방위세력 ]]
|
[[부르키나파소군| 부르키나파소군 ]]
|
[[폴리사리오 전선| 폴리사리오 전선 ]]
|
||||
에바리스트 은다이시미예 (초선) | 이브라힘 트라오레 (권한대행) | 브라힘 갈리 | ||||
상투메 프린시페 | 세네갈 | 세이셸 | ||||
[[독립민주행동당| 독립민주행동당 ]]
|
파스테프당
|
[[세이셸민주동맹| 세이셸민주동맹 ]]
|
||||
카를루스 빌라 노바 (초선) | 바시루 디오마이 파이 (초선) | 와벨 람칼라완 (초선) |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수단** | ||||
[[평화개발연합당| 평화개발연합당 ]]
|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쿨미예 평화통일개발당 ]]
|
[[수단군| 수단군 ]]
|
||||
하산 셰흐 마하무드 (재선) | 무세 비히 압디 (초선) |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주권위원회 의장) | ||||
시에라리온 | 알제리 | 앙골라 | ||||
[[시에라리온 인민당| 시에라리온 인민당 ]]
|
[[민족해방전선(알제리)| 민족해방전선 ]]
|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앙골라 인민해방운동 ]]
|
||||
줄리어스 마다 바이오 (3선) | 압델마지드 테분 (재선) | 주앙 로렌수 (재선) |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
[[민주정의인민전선| 민주정의인민전선 ]]
|
[[무소속| 무소속 ]]
|
[[민족저항운동| 민족저항운동 ]]
|
||||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초선) | 테이 아스케슬라시 (초선) | 요웨리 무세베니 (6선) | ||||
이집트** | 잠비아 | 적도 기니 | ||||
[[무소속| 무소속 ]]
|
[[국가개발통일당| 국가개발통일당 ]]
|
[[민주당(적도 기니)| 민주당 ]]
|
||||
압델 파타 엘 시시 (3선) | 해케인드 히칠리마 (초선) | 테오도로 오비앙 응게마 음바소고 (7선) |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지부티 | 짐바브웨 | ||||
[[연합마음운동| 연합마음운동 ]]
|
[[진보인민연합| 진보인민연합 ]]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
|
||||
포스탱아르샹주 투아데라 (재선) | 이스마일 오마르 겔레 (5선) | 에머슨 음낭가과 (재선) | ||||
차드** | 카메룬 | 카보베르데 | ||||
[[애국구원운동| 애국구원운동 ]]
|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카메룬 인민민주운동 ]]
|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카보베르데 독립아프리카당 ]]
|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초선) | 폴 비야 (7선) | 조제 마리아 네베스 (초선) | ||||
케냐 | 코모로 | 코트디부아르 | ||||
[[통합민주연대| 통합민주연대 ]]
|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코모로의 부흥을 위한 대회 ]]
|
[[공화주의자의 집회| 공화주의자의 집회 ]]
|
||||
윌리엄 루토 (초선) | 아잘리 아소우마니 (5선) | 알라산 와타라 (3선) |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 탄자니아 | ||||
[[콩고 노동당| 콩고 노동당 ]]
|
[[민주사회진보연합| 민주사회진보연합 ]]
|
[[탄자니아 혁명당| 탄자니아 혁명당 ]]
|
||||
드니 사수 응게소 (7선) | 펠릭스 치세케디 (재선) | 사미아 술루후 하산 (초선) | ||||
토고 | 튀니지 | |||||
[[공화국을 위한 연합| 공화국을 위한 연합 ]]
|
[[무소속| 무소속 ]]
|
|||||
포르 냐싱베 (4선) | 카이스 사이에드 (재선)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6%"" {{{#!folding [ 오세아니아 ] |
* 의원내각제 하의 대통령 ** 2027년 독립 예정 *** 대통령이 아닌 군주로 보는 의견도 있다 |
|||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무소속| 무소속 ]]
|
||||
데이비드 아데앙 (초선) | 힐다 하이네 (재선) | 웨슬리 시미나 (초선) | ||||
바누아투* | 부건빌** | 사모아*** | ||||
[[무소속| 무소속 ]]
|
[[부건빌 인민동맹당| 부건빌 인민동맹당 ]]
|
[[무소속| 무소속 ]]
|
||||
니케니케 부로바라부 (초선) | 이스마엘 토로아마 (초선) | 바알레토아 수알루비 2세 (재선) | ||||
키리바시 | 팔라우 | 피지* | ||||
[[키리바시 포용당| 키리바시 포용당 ]]
|
[[무소속| 무소속 ]]
|
[[피지퍼스트| 피지퍼스트 ]]
|
||||
타네티 마마우 (재선) | 수량겔 휩스 주니어 (초선) | 윌리암 카토니베레 (초선) | }}}}}}}}} | |||
재위 중인 군주 ·
집권 중인 공산국가 지도부 재임 중인 총리 및 수상 |
[1]
독일 기본법 제56조에 근거하며, 하원의장이 기본법 제56조를 펼쳐주면 그대로 읽어서 선서한다.
기본법 제64조 제(2)항에 따라 총리 및 그 휘하 장관의 취임선서문도 이것과 같으나, 장관들의 경우 하원의장이 미리 선서문 전체를 읊어주면 Ich schwöre es. (So wahr mir Gott helfe.) (= 그렇게 선서합니다.)라고 말하는 것으로 퉁치는 경우도 많다. 마지막 문장 "So wahr mir Gott helfe."(그러니
하느님, 저를 도우소서.)도 헌법 조문에는 들어있지만, 56조의 단서규정에 의해 선서자 개인의 종교적 신념에 따라 생략 가능.
게르하르트 슈뢰더 및
올라프 숄츠
총리가 이 문구를 빼고 선서했다.
[2]
독일은
1949년 설립한 독일연방공화국 기본법에서,
동서독 통일 때에
제헌의회를 새로 구성하여 새 헌법을 제정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1990년
독일 재통일이 성사됐음에도
헬무트 콜 총리는 헌법을 제정하지 않고 기본법을 그대로 유지하는
꼼수를 썼기에 독일은
헌법이 없고 기본법만 있다.
바이마르 공화국 시절에는
바이마르 헌법이라고 헌법이 있었다.
[3]
물론 대통령 내각에서도 국정 주도권은 총리에게 있었고, 대통령이 국정 운영 전반을 총괄하는 형태는 아니었으며 의회가 대통령 내각에 대해 불신임안을 제출할 수도 있었다. 또한 이 시기에도 대통령이 장관을 자의적으로 임명할 권한은 없었고, 총리가 지명한 인사에 대한 거부권만 행사할 수 있었다.
[4]
대통령이 총리 후보를 추천할 수는 있으나, 대통령이 추천한 후보가 총리가 되기 위해서는 의회의 무기명투표가 필요하다.
[5]
독일 역사상 유일한
직선제 대통령이다.
[6]
초대 대통령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의 아들이다. 아버지와
동명이인.
[7]
1990년 4월 5일 신설된
독일민주공화국 헌법 제75조에 의하면 "대통령의 지위와 권한, 그리고 선거에 대한 법률이 의결될 때까지 인민의회 의장단이 국가평의회를, 인민의회 의장이 국가평의회 의장을 대신한다." 원래 Präsident라고 쓰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국가원수로서 이 직책을 지낸 사람은 여성 한 사람뿐이므로 여성형 명사인 Präsidentin이라고 쓴다.
[8]
대통령 임기 중에는 관습적으로 당원 자격을 정지하고 직무를 수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