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1-28 15:33:08

공룡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악동뮤지션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SUMMER EPISODE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인터넷 방송인에 대한 내용은 공룡(인터넷 방송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공룡
Dinosaur
용반목 조반목
용각아목 수각아목
조강
헤레라사우루스과 합치류
헤테로돈토사우루스과
생물 목록은 조반목 생물 목록, 용반목 생물 목록 문서 참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Various_dinosaurs2.png
미크로랍토르( 수각류) 아파토사우루스( 용각류)
가스토니아( 곡룡류) 스테고사우루스( 검룡류)
에드몬토사우루스( 조각류) 트리케라톱스( 각룡류)
'''공룡 恐龍ㆍDinosaur
Dinosauria''' Owen, 1842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85px-Dinosauria_montage_2.jpg
분류
<colbgcolor=#fc6><colcolor=black> 동물계 Animalia
척삭동물문 Chordata
계통군 석형류 Sauropsida
미분류 ✲공룡양류 Dinosauromorpha
미분류 공룡형류 Dinosauriformes
상목 공룡상목 Dinosauria
하위 계통
용반목 생물 목록/ 조반목 생물 목록

1. 개요2. 특징3. 분류4. 공룡의 발견5. 진화사6. 대멸종7. 공룡에 관한 혁신적 가설
7.1. 분류학에서7.2. 체온측정7.3. 체온 시스템 논쟁7.4. 깃털 공룡7.5. 동물이명7.6. 커진 이유7.7. 2017년 3월 가설
7.7.1. 기존 용반목의 재분류 가능성7.7.2. 공룡의 기원지
8. 기타
8.1. 공룡으로 오해되는 것8.2. 복원8.3. 치키노사우루스8.4. 공룡 화석이 발견된 국가 및 지역
9. 공룡의 종류
9.1. 분류 불명9.2. 유효하지 않는 분류군 및 속 & 의문명
10. 대중문화
10.1. 공룡을 소재로 한 작품들과 캐릭터들
10.1.1. 영화 및 드라마10.1.2. 만화, 애니메이션 및 특촬물, 공룡 캐릭터10.1.3. 게임10.1.4. 다큐멘터리10.1.5. 소설10.1.6. 교양과학 서적 및 기타 서적10.1.7. 기타
10.2. 공룡덕후
11. 참고 링크

[clearfix]

1. 개요

공룡(, Dinosaur)[1] 파충강(reptilia)[참고] 이궁아강(Diapsid) 가운데 조반목(ornithischia)과 용반목(saurischia)에 해당하는 동물군[3]을 총칭한다. 지금으로부터 2억 5천만 년 전인 중생대 트라이아스기 후기에 처음 등장했고 중생대의 주인공 격인 동물이다.

학술적인 엄밀한 용례와 언중의 실제 사용례의 괴리가 큰 동물군인데, 후자의 경우 위의 엄밀한 용례에서 를 제외하고 어룡, 수장룡, 익룡 등을 추가한다. "공룡은 6600만년 전 백악기 말기에 멸종했다" 같은 말이 그것. 엄밀하게 말하자면, 조류는 공룡 중 유일하게 멸종하지 않았고 여전히 포유류를 압도하는 종 다양성으로[4] 생태계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2. 특징

공룡은 육상을 거닐었던 동물 중 가장 거대한 동물들이 포함되었던 동물군으로서, 공룡보다 거대한 육상 동물은 이전에도 없었고, 지금도 존재하지 않는다. 즉 신체적으로 볼 때 공룡을 앞설 만큼의 육상동물은 지금껏 없었다.[5] 한 예시로 트리케라톱스가 현재 육상에서 제일 큰 포유류인 아프리카코끼리보다도 훨씬 거대하고 무거웠으나 정작 트리케라톱스는 당시에 평범한 조금 큰 초식공룡에 불과했다. 중생대 이전까지도 단궁류처럼 지구에서 존재한 생물은 있었으나, 공룡 수준의 무궁무진한 크기와 다양함을 지닌 생물은 흔하지 않았다.

모든 척추동물 가운데 공룡만이 가진 고유한 특징은 골반과 대퇴골의 독특한 형태이다. 이들은 모두 골반에 큰 구멍이 뚫려있고 허벅지 대퇴골의 상단 부분이 ㄱ자로 꺾여진 형태로 골반에 쏙 끼워져 들어가는 구조를 가졌다. 출처 이러한 뼈의 구조는 공룡의 화석을 다른 고생물과 구분하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이런 구조는 몸통 바깥 방향으로의 유연성은 떨어지는 대신 큰 무게를 버티는데 유리하다. 발목 또한 단순한 경첩구조로 튼튼하다.

창작물에서 공룡이 우렁찬 포효를 하는 장면이 많이 나오는데[6] 같은 공룡인 가 그런 것처럼 성대가 없어[7] 실제로 그런 포효는 못한다고 한다. 실제 울음소리는 악어와 비슷하거나 화식조처럼 매우 낮은 울음소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어린이용 창작물에서 공룡을 그릴 때 등부터 꼬리까지 돌기가 돋아난 모습으로 많이 그려지는데, 대부분의 공룡들에게서 실제로 이런 돌기가 존재했다는 화석상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런 돌기를 실제로 가지고 있었다고 확인된 공룡은 곡룡류 공룡들과[8] 아벨리사우루스과 공룡들과 케라토사우루스, 티타노사우루스류 등 소수이다.

주로 도마뱀이란 뜻의 사우루스가 공룡학명에 붙는데, 비공룡 파충류에도 사우루스가 붙는 경우도 존재하기에 많은 사람들이 이들 또한 공룡이라고 착각하기도 한다.[9] 물론 석형류가 아닌 단궁류는 말할 것도 없고 포유류에도 사우루스가 붙는 경우도 있고, 현생 어류인 바티사우루스도 학명에 사우루스가 붙기 때문에 이 명칭에 큰 의미는 없게 되었다. 사우루스가 붙지 않는 공룡도 많다.

3. 분류

보통 파충류로 분류하나, 이는 고생물학 분류가 완전하지 못했던 시절의 분류 체계이다. 과거 파충류는 지상에 완전히[10] 적응한 척추동물 중 무궁류와 이궁류의 일부, 즉 거북, 뱀, 도마뱀, 악어와 공룡 등을 모두 포함해서 이르는 말로서 쓰였다. 하지만 거듭된 연구 결과로 조류가 공룡의 하위 분류로 속해있음이 드러나면서 계통 분류가 완전히 꼬여버렸다.

즉, 파충강은 같은 조상에서 나온 조류를 포함하지 않는 측계통군이 되었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파충강 대신 파충류와 조류를 포함한 단계통군인 석형류(sauropsida)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다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이러한 계통학 분류에 대한 상식이 많지 않기 때문에, 보통 그냥 파충류로 분류하여 부르는 경우가 많다.[11]

4. 공룡의 발견

최초로 발견된 공룡은 수각류 공룡 중 하나인 메갈로사우루스이다. 1676년에 메갈로사우루스의 대퇴골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당시 사람들은 이를 거인의 뼈라고 생각했다. 이후 1800년대 초에 많은 메갈로사우루스의 화석들이 발견되었고, 과학자들은 이를 고대 파충류의 화석으로 여겨 1824년에 '거대한 도마뱀'이라는 뜻의 지금의 학명을 부여한다. 그리고 1822년에 멘텔 부부가 또다른 고대 파충류의 화석을 발견하고, ' 이구아나의 이빨'이라는 뜻에서 이 파충류의 이름을 이구아노돈이라 이름지었다.[12] 1841년 영국의 생물학자 리차드 오언은 이렇게 화석으로 발견되는 파충류들을 '공룡(Dinosauria)'이라는 부류로 정의한다.

공룡이 이렇게 정의되기 전까지 이들의 화석은 의 시체나 용의 뼈쯤으로 취급되어 약재 등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공룡'이라는 한자어를 누가 가장 먼저 번역하고 사용했는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지만 1894년 지질학자 요코야마 지로가 쓴 책에 이미 恐(쿄우류우)라는 어휘가 사용된 것을 보면 그 이전부터 존재한 단어임을 알 수 있다. 과학, 철학, 민족 등의 단어도 서양의 단어를 개화기 일본에서 가장 먼저 한자어화한 것이기 때문에 공룡이라는 단어도 일본에서 유래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참고로 리차드 오언(1804~1892, Richad Owen)은 고생물학 쪽으로 공로도 많으나, 진화론을 부정했고 찰스 다윈을 반대했던 인물이다[13]. 이 사람은 후배나 제자들의 공로를 가로채거나 남이 오랫동안 연구하고 캐내온 온갖 화석자료를 자신이 발굴했다며 거짓말을 하여 영국 왕립동물학회나 지리학회에서 비난대상이 된 끝에 회원 투표로 가서 거의 만장일치로 자격을 박탈당하고 쫓겨났으며 늘그막에 런던 자연사 박물관 건립에 기여하고도 관장 자리에 오르지 못했다. 박물관 건립 공로로 기사 작위에 훈장을 받았으나 정작 박물관장은 못 되었고 어디에서도 교수직이나 어떤 자리도 내어주려 하지 않을 정도로 성품이나 인맥은 그야말로 꽝이었다. 당시 영국 여왕 빅토리아조차도 뭐라고 옹호할 수 없어서 별장을 하사할 테니 거기서 살거라 라는 명령을 받고 어쩔 수 없이 리차드 오언은 시골로 내려와 시골 별장에서 살다가 쓸쓸하게 죽었다.
<colbgcolor=#f5f5f5,#191919> 언어별 명칭
한국어 공룡
갈리시아어 Dinosauro
그리스어 Δεινόσαυρος (Deinósavros)
네덜란드어 Dinosaurus
네팔어 डायनासोर (Ḍāyanāsōra)
노르웨이어 Dinosaur
덴마크어 Dinosaurus
독일어 Dinosaurier
라트비아어 Dinozaurs
라틴어 Dinosaurum
러시아어 Динозавр (Dinozavr)
루마니아어 Dinozaur
리투아니아어 Dinozauras
말레이어 Dinosaur
몰타어 Dinosawru
몽골어 Үлэг гүрвэл (Üleg gürvel)
베트남어 khủng long
벵골어 ডাইনোসর (Ḍā'inōsara)
불가리아어 Динозавър (Dinozavŭr)
세르보크로아트어 Диносаурус (Dinosaurus)[14]
스와힐리어 Dinosaur
스웨덴어 Dinosaurie
스코틀랜드 게일어 Dineasair
스페인어 Dinosaurio
슬로바키아어 Dinosaurus
슬로베니아어 Dinozaver
싱할라어 ඩයිනෝසෝරයා (ḍayinōsōrayā)
아랍어 ديناصور (dinasur)
아이슬란드어 Risaeðla
아일랜드어 Dineasár
아프리칸스어 Dinosourus
알바니아어 Dinozaur
암하라어 ዳይኖሰር (dayinoseri)
에스토니아어 Dinosaurus
에스페란토 Dinosaŭro
영어 Dinosaur
우르두어 ڈایناسور
우즈베크어 Dinozavr
우크라이나어 Динозавр (Dynozavr)
웨일스어 Deinosor
이탈리아어 Dinosauro
인도네시아어 Dinosaurus
일본어 恐竜 (Kyōryū)
조지아어 დინოზავრი (dinozavri)
중국어 [ruby(恐龙, ruby=Kǒnglóng)](간체) 恐龍(번체)
체코어 Dinosaurus
카자흐어 Динозавр (Dïnozavr)
크메르어 ដាយណូស័រ (da y nau sa r)
타밀어 டைனோசர் (Ṭaiṉōcar)
태국어 ไดโนเสาร์ (Dịnos̄eār̒)
터키어 Dinozor
페르시아어 دایناسور
포르투갈어 Dinossauro
폴란드어 Dinozaur
프랑스어 Dinosaure
프리지아어 Dinosaurus
핀란드어 Dinosaurus
헝가리어 Dinoszaurusz
히브리어 דינוזאור (Dinuzour)
힌디어 डायनासोर (daayanaasor)

상당수 언어가 Dinosaurus 나 파생된 어형을 쓴다. 한자문화권 외에 자국어식으로 번역하는 언어는 몽골어 아이슬란드어가 있다.

5. 진화사

트라이아스기 말 오늘날의 남아메리카 지역에서 초기 공룡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밝혀진 초기 공룡들은 모두 이족보행을 하는 최대 4m 정도의 작은 육식성 용반목이다. 트라이아스기 공룡의 생태계는 카르니아절까지는 육식/잡식성의 하위 포식자인 원시 용각류와 육식성의 상위 포식자인 헤레라사우루스과로 양분되었다.[15] 노리아절에 헤레라사우루스과가 멸종하고 포식자에 더욱 적합한 신체구조를 가진 수각류가 그 빈자리를 대신하게 되었으며, 용각류는 수각류와 경쟁하다가 점차 초식성으로 변해갔다.[16]

기후변화로 트라이아스기-쥐라기 대멸종이 일어나면서 다른 많은 지배파충류들이 멸종하는 가운데, 공룡은 작은 체구에 날렵하게 움직일 수 있었기에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리고 경쟁자들의 빈자리를 차지하면서 다양한 종으로 분화해갔으며, 쥐라기 백악기에는 우리가 아는 거대한 공룡들도 나타나게 되었다.[17] 쥐라기 초기의 맨 앞자락인 에탕주절 때는 최초의 조반목 공룡인 에오쿠르소르(Eocursor)가 출현한다. 수각류의 한 분류인 는 쥐라기 후기에 원시적인 종류들이 등장했으며, K-Pg 멸종 이후로 공룡은 새만이 살아남게 된다.

종류가 다양했던 만큼 크기도 제각각이었다. 사람보다 덩치가 작은 공룡들도 상당히 많았으며, 대부분의 공룡들은 코끼리보다 가벼웠다.[18] 대중의 이목을 끄는 초대형 종들은 수많은 공룡들 중 일부에 불과하지만 초대형 종이 워낙 강렬하여 공룡이란 말 또한 거대한 것을 비유하는 형용사처럼 쓰기도한다. 이는 마치 매머드급 XX와 같은 용법이다. 작은 공룡으로는 대표적으로 1m 가량의 콤프소그나투스가 있으며 에피덱시프테릭스는 25cm밖에 되지 않았다. 조류까지 합치면 벌새의 종류 중 하나인 콩벌새(5cm)가 가장 작다. 더욱 자세한 것은 이것을 참고.

용반목 공룡들의 폐는 포유류보다 월등히 효율성이 높다. 그 이유는 폐의 양 옆에 관이 하나가 더 있어서 숨을 들이킬 때 폐의 본체로 들어간 뒤에 다시 한번 이 관을 통과한 뒤 밖으로 빠져나오기 때문이다. 그 결과 한 번 들이킬 때의 흡수하는 산소의 양은 조류가 포유류보다 훨씬 높으며, 따라서 고도의 비행이 가능한 것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6. 대멸종

공룡 멸종의 날[19]

중생대 백악기 후기에 용반목 수각류 공룡 중 하나인 를 제외하곤 대부분의 공룡이 지구상에서 절멸했다. 과거에는 대중적으로 모든 공룡들이 멸종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연구를 통해 가 살아남은 공룡이라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파일:공룡 운석 충돌.jpg

공룡 대부분이 멸절한 사건은 보통 5차 대멸종 혹은 K-Pg 멸종[20]이라 부르는 사건으로, 오랫동안 학계와 일반인들의 관심대상이 되어 왔다. 그리고 이것을 계기로 신생대로 넘어가게 된다. K-Pg 멸종의 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나, 일단 현재 가장 유력한 정설은 거대 운석 충돌설이다.

비조류 공룡이 멸종한 시점의 지층에는 평소 지구에 소량으로 존재하는 이리듐이 하나의 층으로서 발견된다. 이 이리듐 층으로 인해 운석 충돌설이 제기된 것이다. 후에 리차드 노리스 박사와 과학자들이 약 30년 동안 증거를 연구한 결과 직경 10km 정도의 소행성이 시속 수만 km(초속 수십 km가량)의 속도로 멕시코 유카탄 반도의 치크술루브에 충돌해 깊이 약 39km[21], 폭 약 200km의 화구를 생성시켰고 그 결과 공룡은 약 6,600만 년 전쯤에 멸종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이에 학자들이 동의하여 정통 이론으로 정립되었다고 CNN에서 보도했다. 해당 연구결과는 학술지인 사이언스 2010년 3월 5일자 기사에 실렸다.

운석의 충돌이 어째서 비조류 공룡의 멸종에까지 이르게 하였냐면, 그 정도 크기의 운석이 바다에 충돌하면 충격파와 열도 클 뿐 아니라 엄청나게 높은 수증기가 하늘을 덮는데 이 수증기는 두꺼운 구름층을 형성하며 운석충돌 시의 뜨거운 열이 지구 밖으로 나가는 것을 차단한다. 또한 수증기 자체가 상당히 뜨거운 상태로 공중에 머무는 것이므로 지구의 평균 온도는 어마어마하게 높아진다.

이 상태가 몇 십 년 동안 지속된 뒤 구름이 어느 정도 식으면 산성비가 되어 지면에 쏟아지고 아직 공중에 머물고 있던 먼지들은 햇빛을 차단하는데 그 결과 혹한이 시작되고 이것이 몇 십 년에 걸쳐 지속된다.

여기다 충돌의 충격으로 인해 화산활동도 활성화하기 때문에, 지구는 글자 그대로 지옥 같은 행성이 되었다. 공룡 같이 덩치가 큰 동물들은 가장 이것에 영향을 크게 받았는데, 그 이유는 이런 큰 덩치를 유지하기 위해선 엄청난 식량을 필요로 하며 따라서 환경파괴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이다. 또한 기온의 변화 역시 노출 면적이 큰 그들에게 가장 높은 영향을 끼쳤다.

하지만 어째서 공룡과 어룡, 익룡, 장경룡, 모사사우루스과를 포함한 대형 파충류나 암모나이트 종류들만 멸종했는가에 대해선 아직도 완전히 정립된 학설이 나온 것이 없다. 여기에 대해서는 '그냥 우연히 적절히 살아남았다'는 말이 가장 올바른 답이라 할 수 있다.[22]

운석 충돌설이 정설로 취급받기 전에는 아래와 같은 다양한 이론들이 존재했다.
그 동안 이런 다양한 추측들이 있었으나, 現 시점에서는 대부분 운석 충돌로 대기층이 가려져 식물 → 초식공룡 → 육식공룡 순서로 타격을 받아 멸종한 것을 정설로 보고 있으며, 그 외의 많은 학설에서 나온 이런저런 원인들도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리고 운석에 의한 직접적인 타격은 멸종에 결정타를 준 것일 뿐 그 이전에 이미 멸종 단계에 와 있었다고 주장하는 설도 대두되었다. 사실 한 집단의 멸종이 일어나면 모든 일이 복합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단순히 하나만 가지고 멸망의 원인이라 단정하기는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자세한 건 여기를 참조. 그러나 어쨌든 현재 학계에서는 처음에 언급한 대로, 2010년 3월에 발표된 운석 충돌설이 정통 이론으로 취급받고 있다.

그러다가 2011년 7월 31일, K-T 경계층에서 12cm 아래에 있는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다. 연구진의 주장에 따르면 최소한 몇몇 공룡들은 운석 충돌 직전까지 번영하고 있었고, 운석 충돌이 공룡 멸종의 원인이라는 기존 이론을 뒷받침하는 발견이라고 한다.

참고로 이 멸종이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대멸종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 가장 거대한 멸종은 고생대 말 페름기 대멸종이다. 이때는 바다 생물 98%, 육상 생물 80% 정도가 멸종했다고 하며, 백악기 대멸종과 달리 여기서는 곤충들 중에서도 멸종한 종들이 많았다. 이 멸종은 지금까지 알려진 중에서 최대 규모의 멸종이라 모든 멸종의 어머니라는 별명[25]이 붙어 있다. 반면 중생대 말 멸종은 50% 정도의 생물이 멸종한 것으로 보고 있다. 이렇게 공룡 등은 대규모로 멸종했지만 어류 양서류, 나머지 파충류 포유류 등의 척추동물은 대부분 살아남았다.

7. 공룡에 관한 혁신적 가설

7.1. 분류학에서

과거 학설에서 공룡은 현생 파충류의 일종으로 분류되었으며, 생태도 현생 파충류와 매우 비슷할 것이라고 가정했다. 하지만 이후의 발견으로 조류와의 연관성이 매우 강하다는 견해가 학계의 주류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공룡의 생태도 과거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발전된 형태일 것이라는 주장이 이어지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공룡의 새끼 양육설이 제시되었는데 현생 파충류처럼 알을 거의 방치하고 알에서 부화한 새끼들이 자발적으로 무리를 지어서 성장하면서 생활했다는 쪽이 정설이었으나 공룡이 새에 더 가깝다는것과 먼 친척인 악어도 모성애가 강하다는 점에서 공룡이 새끼를 양육한다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 단, 대중매체에서의 묘사와는 반대인데 중국에서 발견된 프시타코사우루스 화석에서 새끼가 대량으로 매립된 화석이 있는데 위에 놓여진 어미의 두개골은 조작이지만 새끼의 화석은 조작이 아니기에 새끼들이 무리를 지어 생활할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육식공룡인 네오베나토르 다스플레토사우루스의 입술 부근에 감각수용기의 흔적이 발견됨에 따라 육식공룡이 새끼 양육에 더 적극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사실 육식공룡들을 포함하는 수각류 내부에 새끼를 돌보는 조류들이 포함되니 이상한 건 아니다.

7.2. 체온측정

2015년에 미 UCLA 로버트 이글 교수 연구팀은 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에 발표한 연구 결과에서 처음으로 공룡의 체온을 측정했다. 이 연구팀은 고대 공룡 알 화석에 포함된 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당시 알을 낳은 공룡의 체온을 측정했다. 모델링이 아닌 화학적 분석을 통해 특정 공룡의 체온을 측정한 건 처음이다. 연구팀은 새 13종과 파충류 9종의 알을 화학적으로 분석해 체온 측정이 가능함을 이미 증명했었다. 연구팀은 아르헨티나와 몽골에서 가져온 공룡 화석을 분석한 결과 8000만 년 전 용각류 티타노사우루스의 체온이 37.8℃이고, 7500만 년 전 티라노사우루스의 체온이 32.2℃라는 걸 확인했다. 워싱턴포스트의 보도에서 공룡 체온에 대한 150년간의 논란이 종지부에 가까워졌다라고 평가했다.[26]

7.3. 체온 시스템 논쟁

공룡의 체온은 현대 고생물학의 뜨거운 감자 중 하나다. 대부분의 공룡들이 재가 되어 버리고 일부만 뼈만 남은 화석이 되어버린 현대에 와서는 직접적 증거를 찾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보니 온갖 이론과 가설들이 우후죽순으로 솟아나는 중이다. 공룡이 단순 파충류라고 생각되었던 시절에는 당연히 변온동물일 것이라 생각해서 크게 논란이 되지 않았지만, 조류가 수각류 공룡임이 명백해지자 정온동물일 가능성이 제기되기 시작했다.

항온 동물로 보는 근거로는 # 공룡이 다른 파충류들과는 다르게 관절이 몸통 아래에 위치하여 활동성이 높고 골밀도가 현생 항온동물인 조류와 흡사하기 때문이다. 골격을 슈퍼컴퓨터로 시뮬레이션했을 때도 변온동물이라고는 상상하기 어려운 움직임을 보이며 실제 발자국 화석으로 그러한 활동을 보인 것이 증명되었기에 한동안 공룡은 항온동물이라는 설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대해 당시 중생대에는 매우 온난한 날씨였고 공룡의 몸집이 매우 커서 변온동물임에도 체온이 잘 내려가지 않을 것이란 반론이 제기되었으며, 실제 중생대와 비슷한 기후에 노출시킨 도마뱀의 경우 항온동물과 같은 골밀도를 보이고, 결정적으로 항온동물에게 공통적으로 발견되는 비갑개가 발견되지 않으면서 공룡은 변온동물이란 주장도 다시 대두되었다. 비갑개란 항온동물의 코에서 발견되는, 내쉬는 공기에서 체온과 습기를 회수하기 위한 기관인데, 공룡 화석에서 비갑개가 발견되지 않으므로 공룡은 변온동물일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특히 대형 용각류는 두개골 위치가 매우 높아 항온동물일 경우 뇌에서 소비되는 산소의 양이 많아 유지할 수 없기에 대형 공룡의 경우 변온동물이 확실시된다고 했다.

그러나 이러한 변온동물설은 다음의 이유로 다시 반박되었다. 첫째, 비갑개는 화석으로 보존되기가 어렵기 때문에 화석에서 비갑개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비갑개가 없었다고 단정하기는 어렵다. 실제로 조류 화석에서도 비갑개가 발견된 예가 없다. 둘째, 공룡이 애초에 모든 항온동물에서 비갑개가 발견되는 것도 아니다. 현존하는 포유류나 조류들에서도 비갑개가 없거나 거의 발달하지 않은 예가 드물지 않다. 셋째, 공룡의 비강은 충분히 길고 넓기 때문에 비갑개라는 특별한 구조 없이도 유사한 기능을 할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의 기온이 높아서 공룡이 항온동물일 필요가 없다는 추측도 다소 무리가 있는 것이, 당시 전반적으로 온난한 기후였다고 해도 극지방은 변온동물이 살 수 있을 만큼 따뜻하지 않았다. 극지방에 빙하가 발달하지 않았을 뿐 추운 겨울이 존재했기에 역시 변온동물이 활동하기에는 무리가 있는 낮은 기온이었고 실제로 남극과 가까운 지역에서 다른 파충류가 발견되지 않는 것도 낮은 기온 때문인데, 이러한 지역에서도 공룡이 번성하고 있었다는 화석 증거가 발견되고 있다.

특히 수각류 공룡에 대해서는 대체로 거의 확실하게 항온동물이었을 것이라는 추측을 하고 있다. 데이노니쿠스와 같은 공룡들은 그 골격에서 보건데 매우 민첩한 행동을 했을 거라 생각되고, 민첩한 활동에는 높은 대사율과 일정하게 유지되는 체온이 필요하다. 또한 잡아먹히는 쪽과 잡아먹는 쪽의 비율을 볼 때 이는 파충류나 양서류보다는 포유류에 가까운 것을 알게 되었다. 하지만 작은 수각류 공룡들이 항온동물이라 하더라도, 30톤급의 거대 용각류는 항온동물이 아니었을 가능성이 높다. 체구가 큰 동물들은 체중/표면적의 관계에서 작은 동물들보다 열을 훨씬 많이 흡수하고 천천히 발산하기 때문에 동물이 크면 클수록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신체구조 없이도 체온을 유지하게 되며(외온성 항온동물)[27], 이런 덩치에 항온동물이면 체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공룡이 항온동물이 되려면 심장을 나누는 판막이 있어야 한다. 이는 목 길이만 수미터에서 수십 미터가 되는 공룡들의 경우 머리에 피를 올려 보내려면 동맥의 혈압이 높아야 하는데, 판막이 없으면 허파에 가해지는 압력이 너무나도 높아져 허파의 모세혈관이 파열될 것이기 때문이다. 보통 학자들은 공룡들이 판막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대체로 인정하는 편이다. 또 그 덩치에 항온동물이면 훨씬 많은 양의 식물을 먹어야 했기 때문에 중생대 숲이 초토화 되었을 것이다. 또한 용각류는 위도가 낮은 열대 지역에서만 분포했다는 것도 용각류가 변온동물이라는 증거가 될 수 있다.

그러다가 2022년 캘리포니아 공과대학의 연구원 Jasmina Wiemann의 새로운 연구에 따르면 기존의 미네랄 분석과 성장률 분석과 달리 동물의 신진대사의 핵심인 산소 사용에 초점을 두어서 연구했다고 한다. 공룡도 생물이니 당연히 산소로 호흡했는데, 이때 신체의 당과 지질, 단백질과 반응해 생긴 분자 폐기물을 분석하면 확인할 수 있다고 한다.[28] 그 방법으로 멸종, 현존 동물 모두를 포함한 55종의 동물의 대퇴골을 분광기로 관찰했는데, 그 결과 용반목 공룡들의 대사율이 높게 나왔고,[29] 조반목 공룡들의 대사율은 낮게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30]

관련된 문제로는 악어 익룡을 포함한 모든 지배파충류가 항온동물이 아니었을까 하는 점이다. 악어는 현재는 변온동물이지만 골격이나 순환계의 구조 등으로 미루어 항온동물에서 다시 변온동물로 돌아간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익룡 또한 몸이 솜털로 덮여 있었던 점 등으로 미루어 항온동물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만약 공룡과 익룡과 악어가 모두 항온동물이었다면 사실은 지배파충류의 공통조상부터가 항온동물이었다는 쪽이, 변온동물에서 항온동물로의 진화가 매우 짧은 시기에 지배파충류의 모든 분기에서 독립적으로 나타났다는 것보다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공룡은 중온성 동물이라는 의견이 지지받고 있다. 공룡은 변온동물과 항온동물의 중간 단계의 체온 체계를 가져 체온 유지에 드는 에너지는 현대 항온동물보다는 낮게, 반대로 성장과 생산 활동에 더 많은 에너지를 썼으며, 그 덕에 남는 에너지가 많아 골판이나 뼈로 된 볏같은 특이한 구조물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는 주장이다. 그 중 일부 수각류 종은 체온 유지에 더 많은 에너지를 쓰는 내온성 항온동물로 진화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더 자세한 내용은 중온성 문서 참조.

7.4. 깃털 공룡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깃털 공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자세한 내용은 깃털 공룡 문서 참조.

7.5. 동물이명

새로운 작업으로는 뼈밀도를 이용해 성장관계를 유추하여 기존에 발견된 공룡들이 실제로는 다른 공룡들의 동물이명이 아닌가 하는 학설이 제기되고 있다. 토로사우루스에 대한 새로운 학설이 그 예. 하지만 많은 학자들이 전부 동의하는 것은 아니다.

7.6. 커진 이유

위에서 설명했듯 공룡의 평균 체격은 현대의 동물들과 비교를 불허할 정도로 컸다. 이 특출난 거대함은 수많은 공룡덕후를 만들어내거나, 어린 아이들이 공룡을 좋아하는 이유 중 하나가 되어 와는데, 막상 ‘도대체 왜 이렇게 커졌는가?’라고 생각했을 때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어렵다.

흔히 떠도는 설이나 창작물에서는 당시의 산소 농도로 설명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오래전에 반쯤 부정된 가설로, 피부로 호흡하는 절지동물들이 산소농도에 영향을 받아 성장하는 크기가 변화하는 것과 혼동한 경우로 보인다. 오히려 공룡이 만드는 방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현재의 수백 배에 달하기 때문에 산소 농도가 현재보다 월등히 낮았을 경우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 다른 낭설로는 공룡들이 어떻게 커졌는지 설명하기 위해서 SF 소설이나 일부 창작물들에서는 지구가 과거에는 중력이 더 약했다는 식으로 환경에 급격한 변화가 있었다는 식으로 설명하는 경우도 이지만, 당연히 사실이 아니다.

현재 가장 설명을 잘하는 가설은 이렇다. 페름기 대멸종의 여파로 태양빛이 심할 정도로 내리쬐는 환경이 조성되었는데, 식물들은 이것을 기회로 삼아 광합성을 미친듯이 하는 방식으로 진화하게 된다. 문제는 키는 엄청나게 커졌으나, 질소고정량[31][32]이 형편없어서 영양소는 거의 없는 괴상한 모습이 된 것이다.[33][34] 낮은 곳에 있던 잎들이 사라진 상황에서 초식 공룡들도 이에 적응하기 위해 높은 키에 도달할 수 있는 긴 목을 가지게 된 것이다.

길다란 목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해서는 그 이상의 체중을 아래에 둬서 무게 중심을 맞춰야만 했다.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영양소를 흡수해야 했고, 이를 위해서는 더 많은 양의 잎을 먹어야 했다. 그리고 그 많은 양의 잎을 소화하기 위해 더 튼튼하고 기다란 내장이 필요했을 것이다.[35] 그러니까 무게 중심이든 에너지 저장이든 어쨌거나 덩치 그 자체를 키울 필요성이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그 유명한 쥬라기 공원처럼 공룡을 복제하게 된다면 초식공룡 먹잇값은 생각보다 적게 들거라는 희망적인[36] 계산이 나오게 된다.

초식공룡들이 비대해지자, 이에 맞춰서 육식공룡들의 덩치 역시 덩달아 커지게 됐다. 현재에도 거대 초식 동물인 기린이나 코끼리처럼 비대한 초식 동물들은 육식 동물들의 사냥감에서 제외된다. 자신보다 덩치가 일정량 이상 큰 동물들에게는 그 동물이 온순하든 뭐하든 애매하게 덤볐다가는 역으로 골로 가버린다.[37] 이는 공룡들이 살던 시대라고 차이가 없었을 자연의 법칙이다. 따라서 비대해진 초식공룡들로 인해 먹잇감이 줄어든 육식공룡들은 진화 압력을 받았고, 마찬가지로 비대해졌을 것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또 하나의 가설로는 다른 파충류들과 이동방식의 차별화 때문으로 보고있는데, 현생 파충류 대부분들이 배를 땅에 내려놓고 다리를 ㄱ자로 굽힌 채 기어다니는 이동방식을 쓰지만 이런 방식으로 도주해야할 경우 몸을 움직일 때마다 몸이 좌우로 구부려져서 이 과정에서 폐가 압축되기에 적절한 호흡을 할 수가 없고[38] 매번 뛸 때마다 무산소운동을 하거나 몸이 펴지는 찰나에 호흡을 빠르게 하는 비효율적인 이동을 하게된다. 하지만 공룡은 다리를 직립한 채 이동하기에 몸이 좌우로 거의 구부러지지 않기에 캐리어의 제약에 자유로워진 채 오랫동안 도주하면서도 깊은 호흡을 항상 함으로써 획기적으로 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페름기 이전에는 이 이동방식이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았지만 페름기 대멸종에서 산소가 급격히 낮아짐에 따라 공룡들만 살아남거나 최소한 덩치를 키울 수 있는 여유가 있었다. 공룡들의 이 발달된 호흡 방법은 거의 혁신 수준이었는데 당시의 파충류들과 단궁류들은 호흡기관이 불완전하고 비효율적이었기에 공룡들처럼 직립으로 선 다리로 뛰는 대신 무식하게 폐의 공간을 키우는 진화를 택했다. 코틸로린쿠스가 이 진화의 극단적인 예시였고 어느 정도는 통했지만 산소농도 자체가 줄어든 페름기 대멸종 앞에서는 소용없었다.

7.7. 2017년 3월 가설

7.7.1. 기존 용반목의 재분류 가능성

2017년 3월에는 지난 100년 넘게 지속된 기존의 공룡 분류체계를 뒤엎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내용인 즉슨 수각류 공룡은 용반목에 속하지 않고, 오히려 조반목 공룡과 가까워 오르니토스켈리다(Ornithoscelida)라는 분류군으로 엮인다는 이야기. 관련 논문 더욱 놀라운 점은 공룡이라는 분류체계를 정립한 리처드 오언과 같은 시기에 활동했던 토머스 헨리 헉슬리가 이 가설을 1867년에 일찌감치 추론하기도 했다는 점이다.

이 가설이 증명된다면, 기존의 용반목(용각류, 수각류)과 조반목(기타 초식공룡들)으로 구분되던 것이, 용반목(수각류 제외)과 수각류 + 조반목(오르니토스켈리다)으로 묶이게 된다.

7.7.2. 공룡의 기원지

또한 이 연구와 동시에, 기존의 연구에서 공룡이 남반구의 곤드와나에서 기원했다고 추정한 것과는 다르게 공룡이 북반구의 로라시아에서 기원했다는 가설 또한 수립되기도 했다. 다만 이러한 새로운 가설들은 학계의 공인을 받을 수 있을지 아직은 기다려 보아야 한다.

8. 기타

8.1. 공룡으로 오해되는 것

익룡, 어룡, 장경룡(수장룡) 같은 다른 석형류 동물군은 공룡에 포함되지 않는 뱀, 도마뱀, 거북, 악어 등처럼 비공룡 파충류이다. 당연히 모사사우루스과 디메트로돈같은 단궁류도 공룡이 아니며, 특히나 단궁류들은 공룡을 제외한 비공룡 파충류와도 다른 종이며, 오히려 포유류와 더 가깝다.

유명한 공룡들의 이름이 대부분 '-사우루스' 로 끝나다보니 고생물에 무지한 일반인들은 이름에 '사우루스(Saurus)' 라는 단어를 공룡이라는 의미로 생각하거나, 이름에 들어가면 무조건 공룡으로 보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사우루스가 들어간다고 전부 공룡은 아닌데, 애시당초 사우루스라는 단어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어 도마뱀을 의미하는 '사우로스(σαῦρος, saûros)' 에서 온 것이다. 공룡이 도마뱀이 아님에도 이름에 도마뱀이 붙은 이유는 공룡이 처음 발견되었을 때 공룡이 가지고 있던 파충류와의 유사점을 보고 그런 이름이 붙은 것이다.

그렇다보니 공룡이 아닌 비공룡 파충류, 혹은 그뿐만 아니라 아예 파충류가 아닌 고생물에게도 사우루스를 붙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단궁류 에다포사우루스 리스트로사우루스, 안테오사우루스는 물론, 양서류 메토포사우루스, 마스토돈사우루스, 아르케고사우루스, 심지어 포유류 바실로사우루스도 있다.[44] 현대에도 "레히오사우루스"라고 하는 이구아나 쪽 파충류가 있다.

8.2. 복원

쥬라기 공원 때문에 나오게 된 이야기인데, 단도직입적으로 말하면 영화에 나온 방법으로 공룡을 복원하는 것은 이론상으로나 현실적으로나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 이유는 DNA가 6500만 년이라는 시간동안 점점 손상되어 가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현재 발견된 DNA중에 가장 오래된 것은 1만 2천년 전의 것이다. 종 복원의 목적이 현재 환경에 적응시키는 것이 아닌 '복원' 그 자체로의 의미를 가지고 있더라도 그 복원 자체가 어렵다는 거다.

또 설사 DNA를 추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해서 끝나는 것도 절대로 아니다. 워낙에 먼 과거 지구 환경에서 살았던 생물이라 수천만년간 너무나 변해 버린 지구에 적응하지 못할 가능성이 대단히 높다. 비슷하게 복원 떡밥이 있는 매머드와는 경우가 완전히 다른 게, 매머드는 기원전 5천 년, 일부 지역에서는 기원전 1700-1500년경까지 살아있었다. 이집트에서 쿠푸의 대피라미드가 만들어지고 천년 뒤에도 매머드는 남아 있었다. 역사학적으론 이것도 아득하기 짝이 없는 고대이긴 하지만 지질학/고생물학적으론 극히 얼마 안 된 순간의 시점이다. 반면 공룡은 아래와 같은 문제점들이 산적해 있다.

우선 공룡이 살았던 중생대의 기후는 지금보다 연평균기온이 더 높고 쾌적하고 깨끗했던 때였다. 지금같이 상대적으로 기온이 낮고 오염된 환경에서는 설령 공룡이 부활하였다 해도 부적응 탓에 살아남기가 어렵다. 그러니 공룡을 복원하려면 더운 지역에서 하거나 인위적이고 깨끗한 장소와 환경부터 만들어 주어야 한다. 그뿐 아니라 공기의 질도 중생대 때와 현재는 많이 다르다. 중생대 시절엔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비중이 현대보다 더 높았다. 그러므로 그 시절의 공기도 제공해야 한다.[45]

또 초식 공룡의 경우 그들이 먹었던 식물도 지금과 달랐다. 초식동물이니 아무 식물이나 먹으면 되지 않겠느냐 생각할 수도 있으나 천만의 말씀이다. 식물도 엄연히 생물이니만큼 번식을 해야 하는데,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의 번식 방법은 대부분의 경우 상위 포식자에게 먹히면서 자신의 씨를 삼키도록 유도한 다음에 나중에 자신을 섭취한 상위 포식자가 이 씨를 다른 지역에서 배설해 냄으로써 다른 지역에서 새로이 씨를 뿌려 번식하는 방식을 취한다. 그러나 이를 수행하지 못하는 벌레나 생쥐 따위가 갉아먹기만 하면 번식도 못 하고 말라죽는다.

때문에 이런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식물은 번식에 도움이 되지 않는 포식자를 몰아낼 수 있으면서 번식에 도움이 되는 포식자들에게는 해가 되지 않는 독을 품는 방향으로 진화했다.[46] 당장 고추의 캡사이신도 포유류와는 달리 조류에게는 통하지 않는 덕분에 조류에 의해 번성할 수 있었다.

현재 인류가 식용하는 채소들 중에서 처음부터 인류에게 알맞게 진화한 채소류는 거의 없고 대부분은 원래 인류에게 적대적인 독소를 품고 있었는데, 품종 개량을 통해 없애 버렸거나[47], 조리를 하면서 파괴시키거나[48] 혹은 인류에게 미미한 효과만 유발하는 정도[49]라 무시하고 먹을 수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즉, 현용 식물들은 를 제외한 공룡이 멸종한 뒤로 세상에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공룡을 위한 방향으로 진화할 필요성이 사라진데다가, 그 대신 생겨난 다른 포식자들을 위한 방향으로 진화해왔기 때문에 공룡이 섭취할 수 없는 방향으로 진화했을 가능성이 있다. 당장 현 세대 초식동물들인 도 절대 아무 풀이나 먹어선 안 되기에 아예 풀어 놓거나 전용 건초를 따로 준비해 줘야 하며, 부정된 가설이지만 초식공룡이 알칼로이드와 같은 새롭게 나타난 식물들의 성분을 소화하지 못해서 멸종했다는 가설까지 제기되었던 판국에, 이미 수천만 년간 유전자가 중생대 시절과 다르게 변질된 현 세대 식물을 공룡에게 먹이려는 건 리스크가 크고, 설령 먹어서 운 좋게 탈이 안 났다고 해도, 공룡에게는 많이 필요한데 그 식물에는 함유되어 있지 않은 특정 영양소 때문에 영양의 불균형으로 영양 결핍에 걸리면 그것도 문제가 매우 크다. 그러므로 공룡을 복원하려면 먹이가 될 중생대 시절 식물도 복원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오는데, 당연하지만 공룡 하나도 복원이 힘든 판에 식물군까지 복원하려면 갈 길이 너무 요원하다.[50]

현대엔 유일하게 은행나무만이 중생대의 특성을 유지하고 있긴 하지만, 초식 공룡이 먹어대는 양만큼의 은행나무를 조달하는 것도 매우 무모하고 힘든 일이다.[51] 게다가 현대의 은행나무가 중생대의 은행나무를 접해온 공룡들에게 어떤 거부반응을 일으킬지도 불확실하다.

마지막으로 초식공룡이든 육식공룡이든 먹었으면 소화를 해야 한다. 모든 동물의 내장 안에는 소화를 돕기 위한 균들이 있다. 즉, 공룡의 소화를 돕는 균 문제도 해결해야 한다. 현존하는 공룡인 조류의 몸속에 있는 균과 중생대 수각류의 균도 세월이 너무 흘렀던지라 결과를 장담할 수는 없을 것이다.

공룡에게 먹일 수 있는 사료를 개발하면 되지만 고양이처럼 널리고 널린 동물이 아닌 극소수만 존재하는 공룡만을 위해 사료를 개발하는 것에도 큰 비용과 기술, 그리고 시간이 요구될 것이다. 공룡이 대중화되어서 사료도 대량 생산한다면 몰라도 새들에게 흔히 주는 새모이같은 건 당연히 안될 것이다.

여기까지 나열한 모든 것을 한마디로 정리한다면 결과적으로 복원이 불가능 할 뿐만 아니라 만약 복원한다고 해도 중생대 시절의 환경을 제공해야 가능한 것이다.[52]

다만, 현재 미국에서는 지금까지 남아있는 공룡인 의 유전자를 이용해서 공룡을 복원하는 실험을 진행 중이라고는 한다. 수각류 공룡에서 조류로 진화하였다고 하더라도, 조류의 유전자 속에는 수각류 공룡의 유전 정보가 남아 있다. 다만 공룡의 유전 정보가 활성화되지 않고 현생 조류로서만 발생할 수 있도록 유전자가 활성화되어 있을 뿐이다. 만약 조류를 공룡으로 되돌리고 싶다면, 현생 조류 유전자를 비활성화시키고 잠들어 있는 수각류 공룡의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면 된다. 이런 발상으로 새를 통한 공룡 복원을 연구 중이지만, 성공한다고 하더라도 새는 결국 수각류 공룡의 분파이므로 잘해봐야 수각류 공룡들만 복원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이자면 공룡 복원의 아이디어를 제시한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공룡들도 빠진 DNA는 개구리를 비롯한 양서류의 것으로 대체한 것이다. 즉, 이 공룡들은 진짜 공룡이 아닌 키메라라는 말이며, 결국 이 이야기가 나오게 된 원인인 쥬라기 공원부터가 완벽한 공룡 복원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얘기하고 있는 것이다.[53]

물론 고대동물 복원이 가능해진 사례가 있는 만큼 어느 정도 복원 기술이 나올 가능성은 매우 높으나, 이마저도 이론상으로도 제일 먼저 가능한 게 혼혈종이라고 한다.[54] 결론적으로 설사 가능하다 해도 혼혈종이 나올 가능성이 높으며, 쥬라기 월드를 현실화한다 한들 완벽하게는 불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이게 당연하다면 당연한 게 혼혈종이 중생대 시절 환경을 모두 복원하는 수고를 들이는 것보다도 훨씬 낫기 때문이다. 혼혈종을 만들려면 현세에 사는 동물의 유전자와 중생대 시절의 유전자가 둘 다 활용해야 하며, 현세동물의 유전자가 있으면 당연히 현세동물의 특징도 어느 정도는 보유할 수밖에 없기에 오리지날 종보다는 현세의 환경에 적응하기가 수월하기 때문이다.

8.3. 치키노사우루스

공룡의 DNA를 구하기 쉽지 않아서 닭의 유전자를 원시적인 형태로 복구시켜 '치키노사우루스(혹은 다이노치킨)'를 만들려는 작업도 있다. 프로젝트의 선구자는 존 호너 쥬라기 공원 시리즈의 기술적인 지도 교수 역할을 맡았던 인물로 고생물학에선 제법 유명인사인 인물이다. 치키노사우루스는 공룡이 현생 조류로 형태가 진화하면서 사라진 긴 꼬리나 앞발, 치아 등을 다시 재현하는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공룡이 조류로 진화하면서 추가된 DNA를 제거하는 데 있다. 때문에 불가능하진 않으나 현재 기술로는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에 언제 가능하게 될지는 미지수다. TED 강좌에서 존 호너가 밝힌 바로는 닭은 개체수가 굉장히 많고 세대가 짧기 때문에 굳이 유전자 조작을 할 필요는 없고 그냥 이빨 돋는 돌연변이, 꼬리 긴 돌연변이, 날개에 발톱 나는 돌연변이 등을 모아 교배를 거듭하다보면 만들 수 있을 거라고 한다.

치키노사우루스 프로젝트에 대해 여러가지 비판이 있다. 가장 주된 비판은 치키노사우루스가 공룡을 복원하는 원래 의도에서 멀어졌다는 것이다. 본래 치키노사우루스는 비활성화된 유전자를 활성화시키는 과정을 통해 공룡을 복원할 계획이였지만, 연구 과정에서 이빨과 긴 꼬리를 만들어내는 유전자가 새에게서 사라졌다는 것[55]이 밝혀졌고 연구진들은 악어나 쥐와 같은 다른 동물에게서 유전자를 가져와 이러한 신체 기관들을 복원하려 시도하고 있다. 때문에 치키노사우루스에 대해 공룡이 아니라 여러 동물의 유전자가 섞인 키메라에 불과하다는 지적이 있다. 실제로 하버드 의대 매튜 해리스 교수[56]는 치키노사우루스에 대해 공룡이 아닌 괴물 닭일 뿐이라는 비판을 한 바 있다.

과거 존 호너는 인터뷰에서 치키노사우루스를 만들어내려는 목적 중 하나로 진화론을 가르치는 좋은 도구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는데, 현재의 치키노사우루스는 이러한 목적과도 멀어진 것이다.

게다가 상술됐듯 닭 자체가 이미 공룡이기에 현대 관점에서 보면 공룡으로 공룡을 복원시키는 다소 웃긴 상황이 되기도 한다.

이후 존 호너는 치키노사우루스 연구가 의학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57]하며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8.4. 공룡 화석이 발견된 국가 및 지역

9. 공룡의 종류

파일:attachment/공룡/공룡.png

9.1. 분류 불명[72]

9.2. 유효하지 않는 분류군 및 속 & 의문명

이 외에도 수많은 공룡의 학명이 의문명 처리되거나 다른 속으로 통합되었다.

10. 대중문화

파일:external/yalealumnimagazine.com/dinos_fullpeabody.jpg
화가 루돌프 잘링어가 1947년에 완성한 벽화 <The Age of Reptiles>(파충류의 시대). 가로 34m 세로 4.9m에 달하는 큰 그림이다. 공룡을 포함한 파충류의 역사[74][75]를 한 폭에 담아내었고 공룡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역시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이 그림은 현재 미국 예일대학교 피바디 자연사박물관에 전시/소장되고 있다.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석탄기 - 페름기 -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 순. 등장하는 생물들은 이곳 참조.

현생 동물들과 차별화되는 공룡의 특이함과 다양성으로 인해서 대중들에게 가장 잘 알려진 고생물로, 현대에도 많은 인기를 누리며 각종 매체와 창작물에서 자주 등장하곤 한다. 티라노사우루스 트리케라톱스같은 경우 공룡에 큰 관심이 없는 일반 대중들도 알고 있을 정도다. 공룡을 다루는 매체는 이전에도 굉장히 많았지만, 이러한 공룡의 대중화에는 1993년에 개봉한 영화 쥬라기 공원이 큰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화석 발굴의 이미지가 대부분 공룡으로 연결되는 등, 일반인에게도 인식이 깊게 박혀 있다. 그도 그럴 만한 것이 판게아가 갈라지는 시기부터 존재했으므로 베게너의 대륙 이동설을 뒷받침하는 근거가 되기도 했고 공룡 같이 지구 역사상 이렇게 다양한 형태의 동물들이 번성했던 시기도 드물기 때문이다. 수많은 괴물/ 괴수 영화나 기타 매체에서 직접 공룡이 혹은 영향을 받은 것이 등장한다. 특히 여러 문화권에 존재하는 , 드래곤의 전설과 닮았다는 점도 한몫 했다. 아무튼 선사시대 동물들 중에서도 인간에게 가장 사랑받는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중에서 특히 1920년대에 잃어버린 세계 킹콩같이 공룡을 소재로 다루는 공포영화나 스릴러물이 나오는데 이유는 공룡들이 사람이 가지는 심리적인 불안을 상징하는 원시, 미개척된 대지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당시는 아직 제국주의 오리엔탈리즘이 유행하던 때, 아프리카나 아마존 밀림이나 남아메리카 정글에 어떠한 정보도 없었으면서도 돌아오면은 전혀 처음 들어보는 물건들이 나와있으며 그중에는 문명의 기술이 발전되지 않은 사람마저 발견됨에 따라 분명히 신대륙은 원시의 환경이 보존되어있을거라는 기대와 관심이 쏟아졌을것이다. 그동시에 공룡들이 그 험한 정글에서 사람들을 급습할거라는 상상이 나오면서도 파충류 특유의 마음을 읽을수없는 표정, 차가운 신체와 감정이 없는 것처럼 보이면서도 먹잇감만을 탐색하는 야비한 이미지와 성경을 비롯한 수많은 고전에서 나오는 뱀에 대한 반감이 교육되어 삼박자를 이루면서 현재 우리의 매체에 나오는 무서운 파충류인 공룡의 이미지가 탄생했다. 이렇듯 공룡을 사악하게 묘사하는 풍조는 오리엔탈리즘에 대한 비판이 대두되고, 과학기술의 발전과 세계대전을 거치며 동물이 더이상 인류를 위협할수 없게 된것과 인간이 가진 어두운 면이 대신 자리잡자 덩달아 사그라들었다. 이는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서 원시의 공룡이 아닌 인간의 이기와 욕심에 의해 복제된 공룡들이 결국 풀려나면서 공포감을 조성하는 한편 도로 무기력하게 포획당해 사고팔리는 신세가 되는 부분에서 잘 드러난다. 이는 비단 공룡만이 아닌 대다수의 맹수를 다루는 작품이 공통으로 겪은 변화이지만 공룡은 유난히 괴수 일변도로 묘사하는 작품이 많았다는 점에서 그 변화가 더욱 가시적이다.

현재는 더 이상 미개척된 대륙도 없으면서도 공룡에 대한 인식 역시 발전됨에 따라 공룡들은 더이상 괴물로 여겨지지 않는다. 공룡 역시 현대의 생물과 본질적으로 다를 바 없는 그저 '특이한 동물'에 지나지 않으며 현대 공포영화의 주역을 거대화한 무척추동물, 좀비, 그리고 오랫동안 미개척지로 남을 외계생물 심해생물들에게 물려준 것이 이를 방증한다.

미취학에서 초등학교 저학년 연령대까지의 아이들이 열광하는 대상이기도 하다. 비록 지금은 과거에 비해 덩치가 매우 작아졌지만 한때 지구를 주름잡았던, '강력하고 거대한 존재'[76]라는 점이 크게 어필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서점에 진열된 공룡 관련 서적을 찾아보면 어린이 중심의 서적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만 봐도 알 수 있다. 특히 공룡을 소재로 한 장난감들이라면 거의 백이면 백 불티나게 잘 팔리기 때문에 사실상 완구계에서 공룡은 흥행 보증수표 취급을 받고 있다. 이 때문인지 공룡이라는 동물이 한국을 비롯해서[77] 공룡 화석 산지로 유명한 미국이나 캐나다, 몽골, 중국, 독일, 영국, 스페인, 프랑스, 튀니지, 모로코, 이집트, 인도, 아르헨티나 같은 나라들에서도 그저 유소년층의 어린이와 고생물학자들의 전유물 정도로 치부되고 있는 측면이 없지는 않다. 물론 성인 중에서도 공룡을 좋아하는 사람은 꽤 있다. 애초에 성인이 전부 공룡에 관심이 없었다면 고생물학이 이렇게까지 발전할 수 없었을 것이다.

인식이 이렇다 보니 교과서나 어린이용 공룡책에서조차 고생물 파충류나 단궁류 화석만 나와도 공룡이라 잘못 설명하는 경우까지 있다. 익룡, 어룡, 수장룡, 모사사우루스, 디메트로돈, 에다포사우루스, 매머드 등이 대표적인 사례.[78]

여러 창작물에서 중대형 수각류에 두가지 오류를 범하는 경향이 있는데, 바로 우렁찬 포효를 하는 것과[79] 괴수스러운 박력을 살리기 위해 대형 수각류에게 곡룡류나 악어의 골편을 달아주거나[80] 치열 및 얼굴을 악어스럽게 복원하는 경우이다. 전자는 같은 수각류 공룡인 가 그런 것처럼 성대가 없어서 실제로 그런 소리는 낼 수 없었다.[81] 후자는 2005년 영화 킹콩의 대성공으로 바스타토사우루스 렉스가 큰 영향을 끼쳤다.

한편 깃털 달린 모습은 외면받는 경향이 크다. 단순히 익숙하지 않다는 점도 있고, 종래의 비늘로 뒤덮힌 '무서운' 모습에 초점을 맞추다보니 깃털 달린 모습이 멋이 없다거나, 혹은 중에서 만만한 이미지를 가진 이나 비둘기를 연상시키는 인식이 많은 탓이다.[82] 다행히도 이러한 인식은 현재 사라진 상태이며, 오히려 멋있게 깃털을 단 창작물들이 늘어가고 있다.

공룡 시대를 배경으로 한 매체들에서는 트라이아스기 - 쥐라기 - 백악기의 구분은 있어도 정확한 연대나 장소는 따지지 않는 경우가 많다. 백악기라 해도 후기 북아메리카에 살던 티라노사우루스와 전기 북아프리카에 살던 스피노사우루스와 전기 남아메리카에 살던 기가노토사우루스가 싸우는 연출이 나오는 식. Why? 공룡이나 공룡 세계에서 살아남기 등이 해당 사례. 다만 지니키즈 기이한 공룡탐험은 장소까지 신경쓴 케이스다. 그 외에 특별한 에피소드나 등장인물 이름도 없이 설명 위주인 1990년대 이전 옛날 학습만화에서는 오히려 지역별로 보여주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다가 2000년대 이후 학습만화의 트렌드가 재미를 추구하게 되면서 중생대의 세 시기는 나누어도 연대나 장소는 신경쓰지 않게 되었다. 한편 백악기 에피소드는 극적인 상황을 연출하기 위해 K-Pg 멸종으로 마무리지으며 이에 따라 멸종 당시에 살지 않았던 백악기 공룡도 멸종 직전의 백악기에 등장한다.

유명한 영화 시리즈로는 1993년부터 제작된 쥬라기 공원 시리즈 시퀄 쥬라기 월드 시리즈가 있다.

이후, 1999년 영국의 BBC에서는 Walking with Dinosaurs라는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큰 관심을 받았다.

2008년 말, EBS에서 한반도의 공룡이라는 다큐멘터리를 만들어 대중에게 호평을 받았으나, 학술적으로는 상당히 빈약하다는 평을 들었다.

2022년에는 Apple Tv+에서 선사시대: 공룡이 지배하던 지구라는 다큐멘터리를 만들었다.

10.1. 공룡을 소재로 한 작품들과 캐릭터들

되도록이면 '공룡'이라는 이름이 갖는 대중적인 이미지에 가까운 비조류 공룡들로 작성한다. 새에 관한 창작물은 문서를 참고.

10.1.1. 영화 및 드라마

10.1.2. 만화, 애니메이션 및 특촬물, 공룡 캐릭터

10.1.3. 게임

10.1.4. 다큐멘터리

10.1.4.1. 영국
10.1.4.2. 디스커버리 채널
10.1.4.3. 히스토리 채널
10.1.4.4. CBS
10.1.4.5. NHK
10.1.4.6. 한국

10.1.5. 소설

10.1.6. 교양과학 서적 및 기타 서적

10.1.7. 기타

10.2. 공룡덕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공룡덕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참고 링크



[1] 영국식 발음은 끝에 붙은 r발음을 내지 않기 때문에 '다이너소'로 부른다. 참고로, 국립국어연구원 외래어 표기법은 '디노사우르'이다. 어원이 라틴어 dinosauria에서 왔기 때문. # [참고] 파충강은 같은 조상에서 나온 조류를 포함하지 않는 측계통군이기 때문에, 학계에서는 파충류와 조류를 포함한 단계통군인 석형류(sauropsida)를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3] 공룡상목(dinosauria)으로 묶어 지배파충류(archosauria)에 두기도 한다. [4] 포유류 5400여종 vs 조류 10000여종 거의 2배나 더 많다. [5] 바다는 중력의 영향이 약해서 공룡보다 큰 동물들이 있는데, 공룡 포함 지구 역사상 모든 동물 중 가장 큰 현생 대왕고래가 가장 유명하고, 대왕고래 다음으로 큰 참고래(Fin Whale)도 대왕고래의 유명세에 묻혀져 그렇지 이 종도 무려 평균 체중이 70~80t으로 가장 큰 공룡과 비슷하거나 조금 더 무거운 수치며 최대 개체는 114t에 달한다. 또한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했던 어류인 메갈로돈도 최대 추정 체중이 103t으로 그 어떤 공룡보다도 무거웠다. [6] 보통 코끼리의 포효소리에 다양한 효과를 섞어서 만든다. 그래서인지 코끼리의 포효소리와 매우 비슷하다. [7] 새들은 백악기 대멸종 이후에야 명관이라는 기관을 따로 진화시켜 현재 특유의 지저귀는 높은 소리를 낼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베가비스는 백악기 후기에 살던 조류임에도 명관의 흔적이 있기에 명관이 대멸종 이후의 산물이라고 섣불리 판단하는건 다소 무리다. [8] 이들은 돌기가 더 크게 발달한 편이다. [9] 다만 사우루스라는 표현도 틀린 부분이 존재하는데 수각류 공룡은 도마뱀보단 와 가까우며 조류 그 자체도 공룡이기 때문이다. 그래도 새를 비롯한 공룡이 속한 지배파충류나 도마뱀이 속한 인룡류 둘 다 석형류의 이궁류 파충류로 묶인다. [10] 폐어 양서류는 지상에 완전히 적응하지 못했으므로 제외. [11] 기존의 린네식 분류법에 의하면 겉모습으로 판단을 할 수 있는 기준과 특징들 (예: 변온동물인지, 항온동물인지, 알을 낳는지, 새끼를 낳는지, 폐호흡을 하는지, 아가미 호흡을 하는지 등)을 바탕으로 생물을 분류하였을 때 파충류 조류는 제각각 분류되나 거듭된 연구결과 진화의 가게도를 좇아서 생물을 분류하는 분기도식 분류법에 따르면 조류와 파충류는 하나의 그룹으로 정의내릴 수 있다고 한다. 이들은 모두 뒤통수에 한 쌍의 구멍이 나있고 피부에 분비샘을 지니고 있지 않은 척추동물들이다. 출처 [12] 이 화석은 현재 영국 자연사 박물관의 보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13] 그럼 이 사람이 기독교 근본주의자인가 싶겠지만, 그조차도 아니었다. 오히려 이 사람은 무신론자였고, 따라서 그의 견해는 신의 개입없이 생물들이 저절로 나타나 진화했다는 주장이었다. 때문에 과학계건 종교계건 할 것없이 오언을 4차원 취급한 건 당연지사다. 이 인간과 똑같은 주장을 하는 사람이 바로 물리학자 프레드 호일이다. [14] 키릴 문자는 세르비아어. [15] 다만 2021년 연구에 의하면 헤레라사우루스과는 용각류보다 더 이전에 분화되었다고 한다. [16] Pacheco, C., Müller, R. T., Langer, M., Pretto, F. A., Kerber, L., & Dias da Silva, S. (2019). Gnathovorax cabreirai: a new early dinosaur and the origin and initial radiation of predatory dinosaurs. PeerJ, 7, e7963. https://doi.org/10.7717/peerj.7963 [17] 거대한 공룡이 등장한 이유가 지구온난화 때문이라는 설이 있다. # [18] 아프리카코끼리의 평균 체중은 5t, 크면 7t 이상도 드물게 있다. 그 이상으로 큰 육식공룡은 티라노사우루스 등 극소수에 불과하며 가장 큰 공룡 집단인 용각류를 제외한 모든 공룡 집단들도 극소수를 제외하면 코끼리보다 작았다. [19] 쿠르츠게작트의 영상. [20] 원래 K-T 멸종이라고 불렀으나, ICS(International Commission on Stratigraphy 지질학 국제위원회)에서 Tertiary(제3기)라는 용어를 권장하지 않으면서 Paleogene으로 대체되었다. [21] 깊이가 39km나 되기 때문에 보통 그보다 얇은 멘틀까지 드러날 정도의 큰 충돌이라고 오해할 수 있지만 운석충돌은 충돌시 공기, 물, 암석을 압축시켜 플라즈마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멘틀이 직접적으로 드러나진 않는다. [22] 페름기 대멸종의 가장 큰 수혜를 받아 대멸종 이후 전세계에서 존재하게 된 리스트로사우루스도 그냥 우연히 잘 살아남았기 때문에 번성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를 잘 나타내주는 말이 '진화와 멸종에는 의도나 방향성이 없다는 것'. [23] 과정을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기후 변화 시작 이후 더위로 풀이 다 메마르자 먹을 것이 없어진 초식공룡들은 전부 아사하였고, 그렇게 되자 초식공룡들을 먹고 사는 육식공룡들은 결국 자기들끼리 잡아먹을 수밖에 없게 되었고, 그나마 남은 애들도 겨울에 다 얼어죽음과 더불어서 그 시기부터 새로히 등장한 포유류들이 남아 있던 공룡알을 다 먹어치우면서 지구상에서 공룡은 다 사라졌다는 과정이다. [24] 지금은 당시에도 추웠던 알래스카 같은 지역에서도 공룡이 번성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25] "mother of all ~ "이라는 표현은 우리말 어감으로 옮기자면 " ~류 끝판왕" 정도의 의미로 쓰이는 속어이다. [26] 출처:(중앙일보 2015년 10월 14일 보도) (국제) 공룡 체온 논란 종지부…"냉혈 파충류 아닌 온혈 동물" [27] 오늘날의 바다악어 장수거북 같은 대형 파충류가 이에 포함된다. 이들은 변온동물임에도 덩치가 커서 체온이 잘 빠져나가지 않고 어느정도 유지된다. [28] 이 분자 폐기물들은 안정된 구조라 화석화 과정 속에서 보존될 수 있었다. [29] 일부는 현생 포유류보다도 대사율이 높게 나왔다고 한다.연구에 사용된 용반목 공룡 중 가장 대사율이 낮은 종이 티라노사우루스라는 사실도 밝혀냈다. 또한 용각류가 대사율이 제일 높게 나왔다고 한다. [30] Jasmina Wiemann, Iris Menéndez, Jason M. Crawford, Matteo Fabbri, Jacques A. Gauthier, Pincelli M. Hull, Mark A. Norell, Derek E. G. Briggs. Fossil biomolecules reveal an avian metabolism in the ancestral dinosaur. Nature, 2022; DOI:10.1038/s41586-022-04770-6 [31] 식물이 잘 생장하기 위해서는 질소의 공급, 흔히 말하는 지력이 필수적인데, 이 지력이 부족한 상태로 키만 우직하게 컸으니... [32] 왜 질소가 부족했냐면, 기본적으로 땅은 지력을 동물에게서 얻었다. 뿌리혹박테리아와 같은 세균이 없는 것은 아니나, 기본적으로 동물의 똥,오줌이나 사체에서 유기화합물(질소)를 얻어서 지력이 보충되는 구조였다. 그러나 대멸종으로 그 동물들이 싹 다 사라졌다. [33] 질소가 부족해서 생장에는 제약이 생기는데, 광합성은 미칠듯이 하는 전략으로 진화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빛을 받는데 제약이 있는 낮은 곳에 잎을 만들어 둘 여력이 부족했다고 추측할 수 있다. [34] 또한 높은 곳에 많은 양의 잎을 전개할 경우에는 키가 낮은 경쟁 식물의 광합성을 방해해서 땅의 질소를 최대한 독차지할 수 있기에 생존에도 유리했다. [35] 왜냐면 풀은 육식에 비해서 질기고 소화하기 어렵다. 이 때문에 초식동물들은 되새김질을 하는 경우가 여럿 있고, 섬유질 분해를 위해서 대장 등이 길어져서 육식동물들보다 내장이 훨씬 길다. [36] 물론, 초식공룡들이 현대 식물들을 섭취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37] 당장 위의 코끼리는 사람의 경우 그냥 발로 밟혀도 신원불상의 시신이 되기 쉬우며, 기린의 경우 자기 새끼를 사냥한 사자를 맹추격을 해서 잡은 뒤 다리로 다굴시켜 패죽인 사례가 존재한다. [38] 이를 전문적인 용어로 캐리어의 제약(carrier's restraint)이라고 한다. [39] 굴껍질, 전복껍질 등 주성분이 탄산칼슘인 다른 약재들도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을 공통적으로 갖고 있다. 칼슘이 부족하면 초조하고 화를 내기 쉬운 것과 연관이 있다. [40] 물론 악어 개구리, , 거북, 도마뱀도 식감이 닭과 비슷하긴 하다. 다만 이 비슷하다는 뜻은 굳이 비교하자면 그렇다는 것이지 맛과 식감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악어의 경우 부위에 따라 맛은 닭고기와 비슷하지만 식감은 새우, 향은 참치 등의 생선과 비슷해 천차만별이다. 크기가 작은 닭도 부위마다 맛의 차이가 있는데, 대형동물인 악어는 오죽하랴. [41] 동영상에서는 '번개와 세포분열로 인해~'라고 나온다 [42] 실제로 쥬라기원시전1의 윈도우 버전인 쥬라기원시전 플러스의 쥬얼 패키지에는 '...미국의 스필버그 사단에 맞서는...' 하는 구절이 있다. [43] 다만 스테고사우루스는 홈페이지에서는 공격적인 공룡으로 분류하면서 정작 게임상에서는 비공격적이었다. 사실 쥬라기 원시전 2항목에 나오듯이 제작 과정에서 잘려나간 게 많았다. [44] 다만 바실로사우루스는 발견 당시 해양 파충류로 생각했기 때문에 사우루스가 붙었던 것이며, 양서류와 비포유류 단궁류의 경우에도 파충류와 비슷하게 생긴 것도 있다. [45] 물론 환경 조성 자체는 육식 공룡의 경우엔 그리 어렵지 않다. 기온과 습도 등만 중생대에 맞게 적절하게 조성만 해 놓으면 실내에서 육류를 먹이며 사육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아무래도 돈이 많이 들 수밖에 없는 대형돔을 구성해 그 시절 기후를 형성하지 않는 이상 야생에 가까운 생을 살도록 하게 한다는 것은 너무 어렵다. [46] 당연하지만, 그 번식에 도움이 안 되는 포식자들 중에 이 독에 내성을 갖춘 개체가 나타나서 번성하면, 식물 중에서 또 다른 방식 혹은 더 강한 독을 갖춘 식물이 살아남아 번성하는 식으로 진화해 왔다. [47] 대표적인 예시는 가지. 원래는 감자 줄기보다 더한 솔라닌 덩어리였지만, 오랜 품종 개량을 통해 솔라닌의 양이 먹어도 해가 안 될 정도로 줄어들었다. [48] 대표적인 예시는 카사바. 원래는 인간에게 치명적인 독소가 있지만, 물에 장시간 담가두면 독소가 빠져서 식용이 가능하다. [49] 대표적인 예시는 고추. 캡사이신은 엄연한 독성이지만, 인류는 그걸 무시하고 먹을 수 있고 오히려 풍미로 즐기기도 한다. [50] 사실 식물군을 복원하기보다는 현존하는 식물들의 품종 개량과 실험을 통해 초식공룡들에게 최적화된 대체 식물을 개발하는 방법도 있다. 물론 이것도 쉬운 일은 아니지만, 중생대 시절 식물군을 일일이 복원하는 것보단 쉽다. 물론 어디까지나 가설인지라 만약 품종개량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을 경우엔 의미가 없다. [51] 은행나무는 길거리에서 보이는 가로수만큼 자라려면 15~20년가량이나 걸린다. [52] 아기공룡 둘리 대망의 첫화에서 고길동 둘리가 크면 거대 공룡이 되어 자기를 잡아먹을 거라는 두려움에 떠는데, 다행히 고길동 입장에서는 그럴 일은 아예 없으며, 둘리가 커봐야 겨우 인간 성인 남성의 평균 크기밖에 크지 못한다. 패러렐 월드이긴 하나, 얼음별 대모험에서도 지구와 동일한 기후인 얼음별에 사는 둘리 엄마는 인간 성인에 가까운 크기를 가지고 있다. [53] 실제로 이것은 쥬라기 공원 3편에서 이야기를 한 부분이 있다. 그랜트 박사가 강연을 하고 나서 질문을 받는 장면에서 "존 해먼드와 인젠 사가 만든 쥬라기 공원은 유전적으로 강회된 괴수들로 이루어진 테마 파크일 뿐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라는 부분에서 이 영화에서조차 사실 쥬라기 공원의 공룡들이 진짜 공룡이 될수 없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보여준 장면이기도 하다. [54] 아이러니하게도 이런 혼혈종 가설에 가장 가까운 공룡이 매체에 나온 사례가 있는데, 바로 (현생 생물의 유전자를 제한적으로 활용한) 이전 시리즈와는 달리 별별 유전자를 짬뽕해서 만든 쥬라기 월드 시리즈 인도미누스 렉스 인도랩터이다. 이 쥬라기 월드도 쥬라기 공원과 같은 세계관. [55] 이빨을 만들어내는 유전자는 복원시킬 수 있으나, 이빨의 법랑질을 생성시키지는 못했다. [56] 실험을 통해 닭의 배아에서 이빨을 복원시킨 경험이 있다. [57] 닭의 배아에서 꼬리를 성장시키는 기술을 응용해 인간의 척추 질환을 치료하는 등 [58] 영남 지역에서 발자국 화석 등 생흔화석의 비율이 높다. 대한민국은 국토가 좁고 인구밀도가 높아 상당수가 개발된 지역인 데다 지형 상당수도 중생대에 관입한 화강암 구조이며 이렇게 생긴 화강암에는 화석이 남을 수가 없다. [A] 생흔화석만 발견됨. [A] [61] 중생대 당시에는 바다였지만, 물에 빠져 익사한 걸로 추정되는 공룡의 뼈가 발견되긴 했다. [62] 발굴 지역은 지리적으로 유럽이 아니라 북아시아에 해당하는 지역들이다. [63] 다만 발굴 지역인 크림 반도가 2014년 러시아에게 불법적으로 침탈당한 상태다. [A] [A] [A] [67] 여러 차례 공룡 화석이 발견되었지만, 학명이 있는 공룡은 없다. [68]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없는 분류로 수각류와 용각류를 따로 분리시켰다. [B]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목을 뜻하는 order가 아니라 미분류인 clade로 분류한다. [70] 더 이상 수각류의 일부가 아니다. [B] [72] 용반목, 조반목 분류조차 불명인 속들만 표기. [73] 아직 별개의 속이라는 의견은 있다. [74] 당시에는 단궁류 역시 파충류의 일종으로 보아 '포유류형 파충류'로 불렀었다. 꼬리를 끌고 다니는 공룡의 복원 모습 역시 1930, 40년대 버전이라는 점을 알아두자. [75] 공룡이 신체 밸런스상 꼬리를 들고 걸어다녔을 것이라는 학설은 1970년대에 제기되었고, 1985년 CBS에서 방송된 다큐멘터리 《Dinosaur!》에서는 처음으로 그 학설이 반영되어 꼬리를 들고 다니는 육식공룡과 새끼를 돌보는 공룡이 등장한다. 영화로는 쥬라기 공원이 첫 번째다. [76] 물론 소형이나 중형 크기의 공룡도 분명히 존재한다. 그러나 아이들에게 인기있는 공룡은 티라노사우루스를 위시한 거대한 공룡들인 것이 사실이다. [77] 사실 땅이 작아서 유효한 학명이 있는 공룡은 뿐이며 대부분은 발자국 화석이다. [78] 익룡, 장경룡, 어룡, 모사사우루스류 등은 뱀, 도마뱀, 거북, 악어, 투아타라 등과 함께 비공룡 파충류이고 디메트로돈이나 에다포사우루스, 매머드 등의 포유류를 비롯한 단궁류들은 비공룡 파충류조차도 아니다. [79] 주로 새끼 낙타 코끼리의 포효소리에 여러가지 포유류의 음성을 더해서 만든다. 간혹 사람의 목소리에 기반하는 경우도 있는데 Dinosaur Revolution에서 토르보사우루스가 내는 퓨마 표범같은 중대형 고양이과 동물이 낼법한 소리는 성우 프랭크 웰커 디즈니 애니메이션 타잔에서 육성으로 낸 사보의 울음소리를 기반으로 한 것이다. [80] 아벨리사우루스과처럼 있는 종도 있었지만 그마저도 현재는 악어처럼 줄지어 나열되어있는 형태보단 일정한 규칙 없이 다양한 크기로 나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81] 다만 악어와 같이 목근육을 진동시켜 소리를 냈을 것으로 추정할 뿐이다. 아니면 에뮤처럼 웅얼거리는 식. [82] 물론 깃털 달린 새 중에서 검독수리 같은 맹금류들은 강력한 국가의 상징으로 쓰이고, 현대에 와서도 맹금류 하면 그렇게 부정적이거나 만만한 인식은 아니지만 아쉽게도 깃털 공룡에는 그러한 인식이 적용이 되지 않는다. [83] 얘는 인형이라 조금 미묘... [84] 용과+깃털공룡 형태의 디지몬. [85] 그레이몬 계열들은 많이 애매한 상태인데 본래 아구몬, 그레이몬은 확실히 공룡이 베이스이나 현재 인기가 높은 워그레이몬 계열들은 인간형이거나 늑대의 이미지를 차용하기 때문이다. [86] ex) 고대괴수 고모라, 캡슐괴수 아기라, 전차괴수 공룡전차. 고대괴수 킹 사우르스 3세, 화석괴수 스테곤 등등. [87] 멤버들은 항목 참조 [88] 단, 스밀로 쿵과 모스 쿵은 제외. [89] 단, 공룡만을 주제로 한 게임은 아니기에 고생대와 신생대 동물도 있고, 확장팩이 출시되면서 신화의 환상종들과 창작 생명체, 괴수들도 등장한다. [90] 난폭하고 영리한 립토, 차분하고 멍청한 크러시와 걸프, '스파이로 2: 립토의 분노!(Spyro 2: Ripto's Rage!)'와 '스파이로: 잠자리를 타고(Spyro: Enter the Dragonfly)'에서 등장하는 공룡의 모습을 한 몬스터들. [91] 지역 컨셉이 원시시대라 공룡이 등장하며, 이 지역을 기원으로 한 다양한 공룡 몬스터가 세계 곳곳에 퍼져 있다. 대표적인 게 워3에도 나오는 천둥도마뱀. 놀라운 점은 갓 출시한 2004년 당시에 이미 깃털공룡 컨셉을 채용하고 있다는 사실. 공룡에 깃털이 달린 건 아니고 랩터류가 깃털장식 문화를 지니고 있다는 설정이지만, 당시에는 무척 생소했을 깃털공룡을 이미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는 건 블리저드의 높은 덕력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다. [92] 워크래프트 세계관 내에서 제일 공룡을 잘 다루는 세력이다. [93] 애플 TV+에서 독점 공개. [94] NHK스페셜의 일환으로 제작되었으며, 디스커버리 채널, KBS, 텔레이마쥬/ITI( 프랑스)와 합작. [95] 사진을 잘못 넣은건지 화석이 흔히 아는 알로사우루스의 화석이 아닌, 모놀로포사우루스화석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