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01 15:32:28

몰타어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colbgcolor=#8e912a> 셈어파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아카드어 · 에블라어
북서셈어군 아람어( 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 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남서셈어군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남부셈어군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이집트어파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베르베르어파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차드어파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쿠시어파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오모어파 월라이타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f 50%, #cf142b 5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f 50%,#5eb6e4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cc><colbgcolor=#cf142b>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입법부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안보협력기구 · 몰타 여권 · 커피 클럽 · 유럽연합 · 영연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경제 경제 전반 · 몰타 리라(폐지) · 유로
문화 문화 전반 · 몰타 축구 국가대표팀 · 몰타어 · 영어
인물 조르조 보그 올리비에
지리 발레타
기타 몰타인 · 구호기사단
}}}}}}}}} ||
몰타어
Lingwa Maltija | Malti
Maltese language
파일:Idioma_maltés.png
<colcolor=#fff><colbgcolor=#8e912a> 유형 굴절어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로마자
점자 몰타어 점자
주요 사용 지역
[[몰타|]][[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52만 명 (2012년)
계통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남서셈어
아랍어
구어체 아랍어
마그레브 아랍어
시칠리아 아랍어
몰타어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8e912a> ISO 639-1 MT
ISO 639-2 MLT
ISO 639-3 MLT
글로톨로그 malt1254
Namuwiki, is-siġra tal-għarfien li tikkultiva.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문자와 발음3. 한국인이 배우려면

[clearfix]

1. 개요


▲ 몰타어를 사용하는 주민들의 모습.

몰타어는 영어와 함께 몰타에서 사용되는 공용어로, 몰타인 약 50만 명이 모국어로 사용한다. 몰타가 유럽연합 정회원국이라서 몰타어도 유럽연합(EU)의 공용어 중 하나인지라 종종 EU 언어 정책의 비효율성, 특히 통역 문제에서 종종 예로 드는 언어이기도 하다.

아랍어( MSA)와는 같은 셈어파[1]로 매우 가까운 친척 관계고 튀니지 마그레브 아랍어와는 방언연속체 관계라 상호소통이 되며 언어학적으로는 아랍어 방언으로 분류된다. 870년 아글라브 왕조에게 점령당해 시칠리아 토후국 시대까지 불과 220년 동안 통치를 받았을 뿐인데 이전에 쓰던 언어의 흔적은 거의 없어져 버리고 완전히 아랍어를 사용하는 지역이 되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일단 몰타 거주민 숫자가 적었던 데다 아랍화 이전에 몰타인들이 사용했던 언어가 아랍어와 가까운 언어인 페니키아어, 아람어였기 때문이었다.[2]

셈어파 언어 중 유일하게 라틴 문자만 사용하는 언어다.[3] 현존하는 유럽의 주요 언어 중 유일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언어이기도 하다.[4]

몰타어 알파벳에서 għ, h는 묵음이며 q는 아랍어 q 발음이 아니라 성문 파열음이다.

어휘에는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차용어가 매우 많다. 몰타어 단어 중 아랍계는 32%에 영어계는 6%에 불과하며[5] 이탈리아어 차용어는 무려 52%나 차지한다. 몰타어 형용사는 본래 남성, 여성, 복수 변화를 하지만 이탈리아어, 영어, 프랑스어 차용어는 변화하지 않는다.

워낙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차용 어휘가 많고 영어 또한 로망스어계 같은 차용어가 많아서[6] 영어나 이탈리아어에 익숙한 사람은 얼핏 보면 알 것도 같은데 그렇지 않다. 아랍어를 공부한 사람도 아주 약간 유추할 수 있는 정도다. 더욱이 묵음 때문에 아랍어에서 온 단어라도 듣기만 해서는 알 수 없다. 어찌 보면 아랍어 방언의 진정한 끝판왕이자 숨겨진 보스다. 문법은 표준 아랍어가 아닌 아랍어 방언이고 어휘는 아랍어 방언, 이탈리아어, 프랑스어가 뒤섞인 것이라고 보면 대충 맞는다.

아랍어를 아는 사람을 위해 덧붙이면 għ는 대체로 아랍어의 ع으로 보면 되며 x는 아랍어의 خ가 아니라 ش으로 보면 된다. 영어의 sh 발음이다. ta'는 '~의'라는 의미의 전치사이며 위에서 말한 대로 아랍어 방언처럼 전치사 관사와 결합하는 형태를 그대로 쓴다. 예를 들어 fal은 fi:(전치사) al(정관사) - 아랍어로는 في ال이다.

다음은 몰타어로 된 세계인권선언 일부분으로, 아랍어에 자신이 있다면 위의 설명을 참고하며 읽어 보자.
L-Artiklu 1.
Il-bnedmin kollha jitwieldu ħielsa u ugwali fid-dinjità u d-drittijiet. Huma mogħnija bir-raġuni u bil-kuxjenza u għandhom iġibu ruħhom ma' xulxin bi spirtu ta' aħwa.
L-Artiklu 2.
Kulħadd hu intitolat għal dawn il-jeddijiet u l-libertajiet imxandra f'din l-Istqarrija, bla ebda għażla, bħal ta' razza, lewn, sess, ilsien, reliġjon, opinjoni politika jew kull opinjoni oħra, oriġini nazzjonali jew soċjali, proprjetà, twelid jew kull qagħda oħra.
Mhux biss, iżda l-ebda għażla m'għandha ssir fuq bażi tal-qagħda politika, ġuridika jew internazzjonali tal-pajjiż jew territorju li minnu tiġi l-persuna kemm jekk ikun indipendenti, kemm jekk ikun fdat lil xi pajjiż ieħor, m'għandux gvem tiegħu jew għandu xi limiti oħra fis-sovranitŕ tiegħu.
몰타 그리스도교인들은 하느님 Alla라고 부른다. 사실 페니키아어, 아람어 아랍어에서 파생된 몰타어의 ' 알라'는 일반명사로 ''이라는 뜻이므로 이상할 게 전혀 없다.

2. 문자와 발음

글자 IPA 비고
A a a 'pomade'의 'a'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한국어의 '아'보다는 입을 크게 혀를 끝까지 내민다.
B b b 'bar'의 'b'와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단어의 끝에서는 [p]로 발음된다.
Ċ ċ 'church'의 'ch'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글자 위에 점이 없는 C는 K로 대체되었다.
D d d 'day'의 'd'와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단어의 끝에서는 [t]로 발음된다.
E e ɛ 한국어 표준의 '애'. 'end'의 'e'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F f f 'far'의 'f'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Ġ ġ 'jump의 'j'와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단어의 끝에서는 [tʃ]로 발음된다.
G g ɡ 'game'의 'g'와 비슷하게 발음되지만 단어의 끝에서는 [k]로 발음된다.
GĦ għ ˤ:/ ħ: 모음에 대해 장음화하고 인두음화하는 효과를 갖고있다. 문장의 마지막에 오거나 'h'의 바로 뒤에 올 경우 double 'ħ'의 음을 갖는다. ('ħ'를 참고)
H h 단어의 끝에서는 'ħ'로 발음하고 그 외에는 발음되지 않는다.
Ħ ħ ħ 영어에는 없다. 혀를 가능한 한 뒤로 밀어넣고 속삭이는 듯한 "ah"처럼 들린다.
I i i '이'. 'seat'의 'ea'와 비슷하게 발음된다.
IE ie iɛ/ iː '이애'. 'yet'의 'ye'나, 'feet'의 'ee'로 발음된다.
J j j 'yard'의 'y'와 같은 역할을 한다.
K k k 'scave'의 'c'와 같은 역할을 한다.
L l l 'line'의 'l'과 같은 역할을 한다.
M m m 'march'의 'm'과 같은 역할을 한다.
N n n 'next'의 'n'과 같은 역할을 한다.
O o o 'law'의 'aw'와 같이 발음되지만 더 짧게 발음한다.
P p p 'spart'의 'p'와 같은 역할을 한다.
Q q ʔ 옛한글 /ㆆ/ 혹은 동남 방언의 'E', 'U'. 성문파열음, "bottle"의 영국식 영어 발음 혹은 감탄문인 "(ʔ)uh-(ʔ)oh"에서 찾아볼 수 있다.
R r r 'road'의 'r'와 같은 역할을 한다.
S s s 'sand'의 's'와 같은 역할을 한다.
T t t 'stired'의 't'와 같은 역할을 한다.
U u u 'food'의 'oo'와 같이 발음된다.
V v v 'vast'의 'v'과 같은 역할을 하지만 문장 끝에선 [f]로 발음된다.
W w w 'west'의 'w'와 같은 역할을 한다.
X x ʃ / ʒ 'shade'의 'sh'와 같이 발음되고 가끔은 'measure'의 's'처럼 발음되기도 한다.
Ż ż z 'maze'의 'z'와 같이 발음되지만 문장 끝에선 [s]로 발음된다.
Z z ts / dz 'pizza'의 'zz'와 같이 발음된다. 복자음이 될 경우 'goods'의 'ds'처럼 발음 되기도 한다

3. 한국인이 배우려면

한국어로 된 몰타어 자료는 여기를 참고할 것. 한국어로 된 몰타어에 대한 은 시중에 한 권도 없다. 영어로 배우려면 여기.

[1] 아랍어, 히브리어, 암하라어( 에티오피아 공용어) 등이 속한 어파. [2] 똑같이 아랍 무슬림 왕조의 통치를 받았던 시칠리아 인도유럽어족 로망스어군 계열 언어인 시칠리아어가 사용되던 곳이라서 토착언어가 사멸하지 않고 현대까지 살아남았다. [3] 세네갈은 일부 지방에서 쓰이는 하사니야 아랍어 방언에 로마자 표기를 도입해서 몰타어가 유일하게 라틴 문자를 사용하는 셈어파 언어는 아니다. 키프로스 마론파 신자가 사용하는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 방언은 그리스 문자와 로마자를 사용한다. [4] 유럽의 범위를 넓히면 키프로스 마론파 아랍어도 포함된다. [5] 그마저도 대부분 노르만어에서 유래된 차용어로 순수 영단어가 아니다. [6] 영어는 게르만어 계열이지만 게르만 어휘는 40% 남짓, 그마저도 순수 앵글로색슨 계통은 25%밖에 안 된다. 나머지 15%는 북게르만어나 고트어 혹은 프랑크어나 노르만 계통 게르만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라틴어 계통인 고대 프랑스어나 갈로-로망어와 교회 라틴어를 통해 역수입한 어휘가 대부분이고 이탈리아어파(로망스어가 대부분) 계통 외래어는 무려 51%나 된다. 즉, 영어는 게르만어면서도 게르만계 어휘보다 로망스계 어휘가 더 많다(...). 이 51% 중 절반이 넘는 27%가 프랑스어 계통, 나머지 24%는 라틴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등 다른 로망스어 계통이다. 남은 9%는 그리스어나 켈트어, 아랍어, 중국어, 한국어, 일본어, 힌디어, 아랍어, 러시아어 등등 전세계에서 수입한 어휘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