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3 02:26:44

불가리아어

슬라브어파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 벨라루스어 · 우크라이나어 · 루신어 · 루테니아어† · 고대 동슬라브어
서슬라브어군 폴란드어 · 체코어 · 슬로바키아어 · 소르브어 · 카슈브어 · 실레시아어 · 폴라브어† · 포메라니아어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마케도니아어 · 불가리아어 · 교회 슬라브어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르비아어 · 크로아티아어 · 몬테네그로어 · 보스니아어) · 슬로베니아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01C1F> 상징 국가
역사 역사 전반 · 슬라브족의 이동 · 불가리아 제국( 불가리아 제1제국 · 불가리아 제2제국) · 불가리아 공국 · 불가리아 왕국 ·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문화 불가리아 요리 · 불가리아어 · 불가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키릴 문자 · 불가리아 정교회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부통령 · 총리 · 국민의회( 선거) · 내각 · 행정구역()
경제 경제 전반 · 불가리아 레프
외교 외교 전반 · 유럽연합
군사 모병제 · 불가리아군 · 불가리아 육군 · 불가리아 해군 · 불가리아 공군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북대서양 조약 기구
사회 불가리아 마피아
민족 슬라브 · 불가리아인( 불가리아계 우크라이나인 · 불가리아계 러시아인 · 불가리아계 미국인)
}}}}}}}}} ||
불가리아어
Български език
Bulgarian language
파일:Idioma_búlgaro1.png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유형 굴절어
어순 주어-동사-목적어 (SVO)
서자방향 좌횡서
문자 키릴 문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불가리아|]][[틀:국기|]][[틀:국기|]]

[[알바니아|]][[틀:국기|]][[틀:국기|]]

[[그리스|]][[틀:국기|]][[틀:국기|]]

[[루마니아|]][[틀:국기|]][[틀:국기|]]

[[북마케도니아|]][[틀:국기|]][[틀:국기|]]

[[몰도바|]][[틀:국기|]][[틀:국기|]]

[[세르비아|]][[틀:국기|]][[틀:국기|]]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우크라이나|]][[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900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동부 남슬라브어군
불가리아어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BG
ISO 639-2 BUL
ISO 639-3 BUL
글로톨로그 bulg1262
Намууики: Дърво на знанието, което заедно развиваме.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특징3. 문자4. 문법
4.1. 명사4.2. 형용사4.3. 동사
5. 한국에서의 학습6. 기본 회화7. 들어보기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불가리아의 공용어이자 불가리아인들이 사용하는 언어.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에 속한다. 화자 수는 900만여 명 이상이며 마케도니아어를 불가리아어 방언으로 분류할 경우 1250만여 명에 달한다.[1] 북마케도니아의 공용어인 마케도니아어를 이 언어의 방언 정도로 취급해 넣기도 하고 빼기도 한다. 물론 불가리아의 입장이고 북마케도니아에선 이런 주장을 거부하고 마케도니아어가 독자적 언어라고 본다.

2. 특징

불가리아어는 슬라브어에 속하지만 다른 슬라브어에 비해서 어렵지 않다. 러시아어와 달리 구개음화라든가 강세에 따른 모음 변화의 비중이 적으며, 격도 호격을 제외하면 존재하지 않는다. 다만 명사의 성 같은 건 남아 있으며 동사 변화는 매우 복잡하다.

알파벳은 키릴 문자로 1945년 야트(ѣ)나 유스(ѫ) 같은 문자를 없애고[2] 러시아어와 거의 비슷한 체계로 고쳤다. 다만 е, щ, ъ를 읽는 법이 약간 다르다. 어휘면에서는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다음으로 러시아어와 가까운 경우가 많이 있다.

러시아어와 어휘가 상당히 유사하다. 러시아어 기준으로 바로 옆동네인 우크라이나어도 다른 어휘를 쓰는데 바다 건너 멀리 있는 불가리아어와는 겹치는 경우가 더러 있다. 동슬라브 남슬라브라는 거리 차이를 감안하면 꽤 특이한 사례인데, 불가리아어 어휘가 러시아어 어휘와 유사한 근본적인 이유는 정교회의 전례 언어였던 교회 슬라브어가 고대 불가리아어와 매우 유사한 언어였기 때문이다. 동방 정교가 불가리아를 거쳐 키예프 루스로 전파되면서 교회 슬라브어가 키예프 루스의 공용어 겸 종교 언어가 되었기 때문이다. 당시 키예프 루스 지배층은 교회 슬라브어로 글을 쓰고, 평민들은 고대 동슬라브어로 말했다. 양층 언어 현상이 존재했던 것이다.

키예프 루스가 붕괴한 뒤에도, 지금의 러시아, 우크라이나, 벨라루스 사람들은 정교회를 믿었기 때문에, 교회 슬라브어가 높은 위상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 뒤, 러시아가 러시아어 어휘를 표준화하면서 교회 슬라브어 고급 어휘를 많이 받아들였다. 이 때문에 불가리아어와 러시아어의 어휘가 오늘날까지 비슷한 것이다. 반면 우크라이나어, 벨라루스어 어휘는 교회 슬라브어 어휘를 받아들이는 대신, 당대 민중들이 많이 쓰던 단어나 두 나라를 한때 지배했던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영향으로 폴란드어 단어를 받아들인 사례도 많았기 때문에 이런 부분에서 러시아어만 유독 불가리아어가 비슷한 부분이 많이 남은 것이다.

근대부터는 러시아가 불가리아보다 강대국이 되었고 불가리아에 많은 영향을 끼쳤다보니 거꾸로 러시아어가 불가리아어 어휘에 영향을 준 경우도 많다.[3] 어휘가 유사한 점이 많다보니 러시아어와 불가리아어 화자끼리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이 둘은 사투리 관계가 아닌 다른 언어인 만큼 국소적으로만 가능한 정도지 자유로운 의사소통은 하기 힘들지만, 매우 비슷해 서로의 언어를 배우기 매우 수월하다. 말이 아니라 글로 써 있는 건 더 이해하기 쉽다. 실제로 불가리아에선 제2외국어로 러시아어와 영어 둘 중 하나를 골라 배울 수 있는데 십중팔구는 러시아어를 택한다고 한다. 당연히 두 언어 모두 키릴 문자라는 같은 문자를 쓰고, 어휘가 공통되는 것이 많기 때문에 영어보다 배우기 훨씬 쉬울 테니.

3. 문자

키릴 문자의 원조가 불가리아인 만큼[4] 정말 키릴 문자의 정석을 따르다시피 하고 있다. 모든 자음의 이름은 'бъ, въ, гъ' 이런 식으로 되어 있고 모든 모음의 이름은 그냥 그 모음을 그대로 쓴다. б, в, г, д, з, к, л, м, н, п, р, с, т, ф, х, ц는 경구개음화되지 않는다. 동부 방언에서는 경구개음화되는 경우가 있으나 표준어에선 그러지 않으며 문자 원형 그대로 사용한다.
<rowcolor=#000> 키릴 문자
(대문자/소문자)
명칭 발음
А а 아 (а) /a/
Б б 버 (бъ) /b/
В в 버 (въ) /v/
Г г 거 (гъ) /ɡ/
Д д 더 (дъ) /d/
Е е 에 (е) /ɛ/[5], /e/
Ж ж 저 (жъ) /ʒ/[6]
З з 저 (зъ) /z/
И и 이 (и) /i/, /e/
Й й 이 크라트코 (и кратко)[7] /j/
К к 커 (къ) /k/
Л л 러 (лъ) /l/, /ɫ/[8]
М м 머 (мъ) /m/
Н н 너 (нъ) /n/
О о 오 (о) /ɔ/[9], /o/
П п 퍼 (пъ) /p/
Р р 러 (ръ) /r/[10]
С с 서 (съ) /s/
Т т 터 (тъ) /t/
У у 우 (у) /u/, /o/
Ф ф 퍼 (фъ) /f/
Х х 허 (хъ) /x/[11]
Ц ц 처 (цъ) /ts/
Ч ч 처 (чъ) /tʃ/
Ш ш 셔 (шъ) /ʃ/[12]
Щ щ 시터 (щъ) /ʃt/[13]
Ъ ъ 에르 골럄 (ер голям)/어 (ъ)[14] /ɤ/[15], /ɐ/[16]
Ь ь 에르 말러크 (ер малък)[17] /j/[18]
Ю ю 유 (ю) /ju/
Я я 야 (я) /ja/

한편, 이중자음 дж와 дз도 불가리아어에서 쓰인다. 또한 유성음화와 무성음화도 러시아어와 비슷하게 존재한다.

к, ж, ю의 세로선은 인쇄체에서 로마자 k처럼 위로 길게 그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키릴 문자 폰트가 러시아어 키릴 문자에 맞춰져 있기에 무시되는 경우가 대부분. 그 외에도 러시아어 인쇄체와 다른 부분이 존재한다. 러시아어 인쇄체와 다른 부분은 필기체를 인쇄체화한 것이다. 예로 소피아 지하철 홈페이지를 들어가보면 글자가 인쇄체한 필기체로 적혀 있다.
파일:불가리아 문자.png

4. 문법

4.1. 명사

슬라브어치고는 문법이 간단하다. 물론 성, 수, 격[19]에 따라 명사가 변화하긴 하지만 그래도 간단한 편이다. 대신 다른 슬라브어와 달리 a와 the를 구분하는 영어처럼 관사 비슷한 시스템이 있다.

기본적으로 명사는 다음과 같이 변한다.
단수 복수
남성명사 - -и / -ове[20]
중성명사 -о, -е -а, +та[21]
여성명사 -а, -я

또한 정관사를 쓸 땐 다음 후치사가 추가로 붙는다.
단수 복수
남성명사 -ът, -ят(주어일 때)
-а, -я(목적어일 때)
-те
중성명사 -то -та
여성명사 -та -те

그래서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a table - tables - the table - the tables
маса - маси - масата - масите

한편 불가리아어에는 두 가지 격이 있는데 하나는 주격이고 또 하나는 호격이다. 중성명사는 격변화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남성명사엔 기본적으로 -е를 붙이고 여성명사엔 -о를 붙이는데, 사실 세세한 규칙이 있다. 물론 예외도 있다.
주격 호격
일반적 남성명사 иван иване
к, ч, ц로 끝나는 남성명사 тъпак тъпако
тел, ар, й로 끝나는 남성명사 цар царю
기타 господ господи
일반적 여성명사 кристина кристино
모음 뒤의 -я로 끝나는 여성명사 България Българийо
자음 뒤의 -я로 끝나는 여성명사 земя земьо
-ца 및 -ка로 끝나는 여성명사 тъпачка тъпачке

4.2. 형용사

형용사 변화는 러시아어와 다른 슬라브어파에 속한 언어와 마찬가지로 성, 수에 따라 변화된다. 단, 여성형은 -а, 중성형은 -о로 바뀌고 남성형은 원형 그대로 쓰인다. 불가리아어는 격변화가 주격, 호격을 제외하고는 사라졌기 때문에 형용사는 성, 수에 맞춰 변화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격변화가 아예 없다.

4.3. 동사

동사 변화는 복잡한 편이다. 게다가 불완료상, 완료상에 따라 동사도 변화되는 경우가 많이 있다. 매우 간단한 명사 곡용에도 불구하고 불가리아어가 다른 슬라브어보다 쉽다는 얘기는 잘 나오지 않는 이유가 바로 이 복잡한 동사 활용 때문이다. 불가리아어의 동사 변화는 다른 슬라브어에 비해서도 특히 어려운 듯하다. #

5. 한국에서의 학습

한국에서는 한국외국어대학교 그리스·불가리아학과에서 불가리아어를 가르치고 있다. 그러나 불가리아어가 희귀한 언어라서 책으로 출시된 경우는 아주 적은 편이다. 불가리아어는 한국에서 특수외국어에 속해 있다. 제2외국어 교육 업체인 ECK교육에서 불가리아어 강좌, 교재를 보유하고 있다. #

6. 기본 회화

안녕! (가까운 친지나 친구 사이) <colbgcolor=#ffffff,#1f2023>Привет! 쁘리벳![22]
안녕하세요! Здравейте! 즈드라베이떼![23]
좋은 아침입니다. (아침인사) Добро утро! 도브로 우뜨로!
좋은 점심입니다. (점심인사) Добър ден! 도버르 덴!
좋은 저녁입니다. (저녁인사) Добър вечер! 도버르 베체르!
안녕히 가세요! (작별 인사) Довиждане! 도비주다네!
잘 가! (작별 인사) Чао! 차오!
잘 자요! Лека нощ! 레까 노슈트!
환영합니다! Добре дошли! 도브레 도슐리!
당신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Как се казвате? 깍 쎄 까즈바떼?
제 이름은 __입니다. Казвам се __. 까즈밤 쎄 __.
어디에서 오셨어요?/어디 출신이세요? Откъде сте? 옷꺼데 스떼?
나는 (한국/불가리아)에서 왔어요. Аз съм от (Корея/България). 아즈 썸 옷 (꼬레야/벌가리야).
요즘 어떻게 지내시나요? (안부 인사) Как сте? 깍 스떼?
요즘 어때? Как си? 깍 씨?
괜찮아요/보통입니다. Нормален. 노르말렌.
좋습니다. Добре. 도브레.
아주 좋습니다. много добре 므노고 도브레.
나쁘지 않아요. Не е зле. 네 에 즐레.
예. Да. 다.
아니요. Не. 네.
잠시만요. Момент. 모멘트.
감사합니다. Благодаря. 블라고다랴.
천만에요. Няма защо . 냐마 자쉬또.
실례합니다. Извинете. 이즈비네떼.
이것은 무엇입니까? Какво е това? 깍보 에 또바?
모르겠어요. Не знам. 네 즈남.
얼마인가요? Колко струва? 꼴꼬 스뜨루바?
부탁입니다. Моля. 몰랴.[24]
죄송합니다. Съжалявам! 써좔랴밤!
영어를 할 줄 아세요? Говорите ли английски? 고보리떼 리 앙글리스끼?
러시아어를 할 줄 아세요? Говорите ли руски? 고보리떼 리 루스끼?
천천히 말해주세요. Моля, говорете по-бавно. 몰랴, 고보레떼 뽀바브노.
화장실은 어디 있나요? къде е тоалетна? 꺼데 에 또알레나?
사랑합니다. Обичам Ви. 오비참 비.
사랑해. Обичам те. 오비참 떼.
당신의 종교는 무엇입니까? Каква е вашата религия? 깍바 에 바샤따 렐리기야?
저는 정교회 신자입니다. Аз съм православен. 아즈 썸 쁘라보슬라벤.
저는 가톨릭 신자입니다. Аз съм католически християнин. 아즈 썸 까똘리체스끼 흐리스띠야닌.
새해 축하합니다! Щастлива Нова Година! 슈따스뜰리바 노바 고디나!
생일 축하합니다! Честит рожден ден! 체스띳 로쥬덴 덴!
메리 크리스마스! Честита Коледа! 체스띠따 꼴레다!

7. 들어보기


불가리아의 국가 <Мила Родино>. 뜻은 "사랑하는 조국"


불가리아 민요 <Бре, Петрунко>. 뜻은 "얘, 페트룬카야".[25] 가사는 페트루나라는 처녀가 마을 사람들과 어울러 춤추다가[26] 한 옆마을 청년이 슬며시 섞여들어 같이 춤추며 구애한다는 지극히 사랑스러운 내용인데... 슬라브 특유의 단조에 모든 가사를 두 번씩 부르는 것이 묘하게 사이비 교회나 아포칼립스스러운 분위기를 자아내서 유튜브의 여러 영상에서 BGM이나 리믹스 소재로 쓰이고 있다.


영화 300 사운드트랙의 수록곡 중 하나가 이 곡을 표절해서 이야기가 많았던 불가리아 노래 <Zaidi, Zaidi Iasno Slantce>, 매우 장엄한 느낌이 일품이다.

8. 관련 문서



[1] 불가리아를 포함해 우크라이나, 몰도바, 러시아, 튀르키예, 기타 다른 지역에도 소수의 사용자가 존재 중이다. [2] 당시 불가리아의 정권을 잡은 공산당이 폐지했는데, "부르주아적" 문자라는 좀 어처구니없는 이유로 폐지되었다. [3] 러시아어 위키백과의 Влияние русского языка на болгарский язык 문서. [4] 키릴 문자를 만든 키릴로스(Κύριλλος, Кирил)와 메토디오스(Μεθόδιος, Методий)가 불가리아의 위인으로 취급되고 있다. 그리스에서는 그리스인이라고 주장하는데, 양쪽의 혈통이 반반이었다. [5] ye가 아니다! ye는 йе나 ье를 쓴다. 한국어의 ㅐ와 같은 발음. [6] ㅅ에서 혀끝을 경구개에 대고 성대를 떨어야 나오는 발음. [7] 짧은 и [8] smile, file 등에서 l의 발음. [9] ㅓ에서 입술만 둥글게 좁혀서 나오는 발음. [10] 러시아어와 동일한 발음인 치경 전동음이다. 혀를 ㄹㄹㄹㄹ 하고 떠는 발음인데 익히기 어려운 발음이다. 치경음 항목 참조. [11] 일반적으로 h라 표기하나 실제 발음은 일반적으로 kh라 표기되는 연구개음에 속하는 연구개 마찰음이다. [12] ㅅ에서 혀끝을 경구개에 대고 성대를 떨지 않아야 나오는 발음. [13] 러시아어의 Щ(/ɕː/)나 우크라이나어의 Щ(/ʂʈ͡ʂ/)와는 다른 발음이다. 독일어의 st-의 발음이다. [14] 큰 ер. 참고로 옛 키릴 문자에서 ъ, ы, ь는 각각 еръ, еры, ерь라 읽었다. [15] 서울말 ㅓ와 ㅡ의 중간에 위치하며, 영남방언의 ㅓ에 해당한다. 보통 로마자로 표기할 땐 a라고 써서 '카잔러크'나 '터르노보'를 '카잔라크'나 '타르노보'로 잘못 쓰는 예가 많다. [16] 한국어의 ㅏ. [17] 작은 ер. [18] й와 같은 발음으로 보통 ье, ьо 이런 식으로 쓰인다. [19] 호격 [20] 음절 하나짜리 단어에선 이렇게 변한다. [21] -о는 -а, -е는 -ета가 된다. [22] 불가리아어 할때 주의해야 할 점은 러시아어와 달리 е가 항상 e, ㅔ에 대응한다는 점이다. 예로 발음하면 안된다. [23] 단, Здравей만 쓰이면 '안녕!'이란 뜻이 되어 버린다. [24] 영어의 Please에 해당. [25] '페트룬카(Петрунка)'는 슬라브 여성 이름 '페트루나(Петруна)'를 귀엽게 부르는 말이다. [26] '호로(Хоро)'라고 하는 불가리아 민속춤이다. 원을 그리며 돌면서 추는데, 이때 남자는 좋아하는 여자 옆에 서서 춤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