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0:24:33

한국전력공사


파일:정부상징.svg 파일:산업통상자원부_국문_흰색글자.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전력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한전KDN 한전KPS
한전MCS 한국전력거래소 한국가스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대한석탄공사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세라믹기술원 무역안보관리원 한국제품안전관리원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무역보험공사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석유공사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지역난방공사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탄소산업진흥원 강원랜드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한국전력공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0px -12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folding [ 공기업 ]
<colbgcolor=#003764> 시장형 공기업 (14개)
산업통상
자원부
강원랜드, 한국가스공사, 한국남동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석유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전력공사, 한국중부발전, 한국지역난방공사
국토교통부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준시장형 공기업 (18개)
기획재정부 한국조폐공사
문화체육
관광부
그랜드코리아레저
농림축산
식품부
한국마사회
산업통상
자원부
대한석탄공사, 한국가스기술공사,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전력기술, 한전KDN, 한전KPS
환경부 한국수자원공사
국토교통부 에스알,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 주택도시보증공사, 한국부동산원, 한국철도공사, 한국토지주택공사
해양수산부 해양환경공단
방송통신
위원회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
[ 준정부기관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12개) ||
문화체육
관광부
국민체육진흥공단
산업통상
자원부
한국무역보험공사
보건복지부 국민연금공단
고용노동부 근로복지공단
중소벤처
기업부
기술보증기금,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금융위원회 신용보증기금, 예금보험공사, 한국자산관리공사, 한국주택금융공사
인사혁신처 공무원연금공단
위탁집행형 준정부기관 (43개)
교육부 한국장학재단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우체국금융개발원, 우체국물류지원단,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한국연구재단, 한국인터넷진흥원,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외교부 한국국제협력단
행정안전부 한국승강기안전공단
국가보훈부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문화체육
관광부
한국관광공사
농림축산
식품부
축산물품질평가원,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한국농어촌공사
산업통상
자원부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한국가스안전공사,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한국산업단지공단, 한국석유관리원, 한국에너지공단, 한국원자력환경공단, 한국전기안전공사, 한국전력거래소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사회보장정보원
환경부 국립공원공단, 국립생태원, 한국환경공단,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고용노동부 한국고용정보원,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산업인력공단,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국토교통부 국가철도공단, 국토안전관리원, 한국국토정보공사, 한국교통안전공단
해양수산부 한국해양교통안전공단
공정거래
위원회
한국소비자원
경찰청 한국도로교통공단
산림청 한국산림복지진흥원

[ 기타공공기관 ]
||<-2><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3764><colbgcolor=#003764> 기타공공기관 (240개) ||
국무조정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 과학기술정책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국토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기획재정부 한국수출입은행, 한국재정정보원, 한국투자공사
교육부 강릉원주대학교치과병원, 강원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병원, 경북대학교치과병원, 경상국립대학교병원, 국가평생교육진흥원, 동북아역사재단, 부산대학교병원, 부산대학교치과병원, 사립학교교직원연금공단, 서울대학교병원,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병원, 전북대학교병원, 제주대학교병원, 충남대학교병원, 충북대학교병원, 한국고전번역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사학진흥재단, 한국학중앙연구원
과학기술
정보통신부
우체국시설관리단, 한국우편사업진흥원, 과학기술사업화진흥원, 국립광주과학관, 국립대구과학관, 국립부산과학관, 기초과학연구원,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한국과학창의재단, 한국나노기술원, 한국데이터산업진흥원, 한국여성과학기술인육성재단, 한국원자력의학원
외교부 한국국제교류재단
통일부 남북교류협력지원협회,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법무부 대한법률구조공단, 정부법무공단, 한국법무보호복지공단
국방부 국방전직교육원, 전쟁기념사업회, 한국국방연구원
행정안전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
국가보훈부 88관광개발, 독립기념관
문화체육
관광부
게임물관리위원회, 국립박물관문화재단, 국악방송, 국제방송교류재단, 대한장애인체육회, 대한체육회, 세종학당재단, 영상물등급위원회, 영화진흥위원회, 예술경영지원센터, 예술의전당, 태권도진흥재단,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도박문제예방치유원, 한국문학번역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문화정보원, 한국문화진흥, 한국언론진흥재단,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예술인복지재단, 한국저작권보호원, 한국저작권위원회, 한국체육산업개발,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한국콘텐츠진흥원
농림축산
식품부
가축위생방역지원본부, 국제식물검역인증원,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농림식품기술기획평가원,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축산환경관리원,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한식진흥원
산업통상
자원부
전략물자관리원, 한국디자인진흥원, 한국로봇산업진흥원, 한국산업기술시험원, 한국세라믹기술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한국에너지재단,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 한국전력국제원자력대학원대학교, 한국제품안전관리원, 한국탄소산업진흥원, 한국LPG사업관리원, 한전원자력연료, 한전MCS
보건복지부 국가생명윤리정책원, 국립암센터, 국립중앙의료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대한적십자사, 아동권리보장원,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의료기관평가인증원, 한국건강증진개발원, 한국공공조직은행, 한국국제보건의료재단, 한국노인인력개발원, 한국보건복지인재원, 한국보건산업진흥원, 한국보건의료연구원,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 한국보건의료정보원, 한국보육진흥원, 한국사회복지협의회, 한국의료분쟁조정중재원, 한국자활복지개발원, 한국장기조직기증원, 한국장애인개발원, 한국한의약진흥원
환경부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한국상하수도협회,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한국환경보전원
고용노동부 건설근로자공제회, 노사발전재단, 한국고용노동교육원,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한국잡월드, 한국폴리텍대학
여성가족부 한국건강가정진흥원, 한국양성평등교육진흥원, 한국여성인권진흥원,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한국청소년활동진흥원
국토교통부 건설기술교육원, 공간정보품질관리원, 국립항공박물관,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대한건설기계안전관리원, 새만금개발공사, 주택관리공단, 코레일관광개발, 코레일네트웍스, 코레일로지스, 코레일유통, 코레일테크, 한국도로공사서비스, 한국해외인프라도시개발지원공사, 항공안전기술원
해양수산부 국립해양과학관, 국립해양박물관, 국립해양생물자원관, 부산항만공사, 인천항만공사, 여수광양항만공사, 울산항만공사, 한국수산자원공단, 한국어촌어항공단, 한국항로표지기술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한국해양수산연수원, 한국해양조사협회, 한국해양진흥공사,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
중소벤처
기업부
공영홈쇼핑, 신용보증재단중앙회,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중소기업유통센터, 중소벤처기업연구원, 창업진흥원, 한국벤처투자
금융위원회 서민금융진흥원, IBK기업은행, KDB산업은행
방송통신
위원회
시청자미디어재단
공정거래
위원회
한국공정거래조정원
원자력안전
위원회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한국원자력안전재단,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식품의약품
안전처
식품안전정보원,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한국의료기기안전정보원, 한국의약품안전관리원
관세청 한국원산지정보원
재외동포청 재외동포협력센터
방위사업청 국방과학연구소, 국방기술품질원
소방청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농림진흥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산림청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한국임업진흥원, 한국치산기술협회
통계청 한국통계정보원
특허청 한국발명진흥회, 한국지식재산보호원, 한국지식재산연구원, 한국특허정보원, 한국특허전략개발원, 한국특허기술진흥원
기상청 APEC기후센터, 차세대수치예보모델개발사업단, 한국기상산업기술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0px -10px;"
순위
기업명
26 파일:KT&G 로고.svg
KT&G
27 파일:한국전력공사 CI_좌우.svg
한국전력공사
28 파일:LG전자 로고.svg
LG전자
29 파일:두산에너빌리티 CI.png
두산에너빌리티
30 파일:크래프톤 로고.svg
크래프톤
31 파일:HD한국조선해양 로고.svg
HD한국조선해양
32 파일:HD현대일렉트릭 로고.svg
HD현대일렉트릭
33 파일:포스코퓨처엠 로고.svg
포스코퓨처엠
34 파일:SK텔레콤 로고.svg
SK텔레콤
35 파일:한화오션 CI.svg
한화오션
36 파일:우리금융지주 로고.svg
우리금융지주
37 파일:중소기업은행 로고.svg
IBK기업은행
38 파일:LG 로고.svg
LG
39 파일:삼성SDS 신 로고.svg
삼성SDS
40 파일:삼성중공업 로고.svg
삼성중공업
41 파일:KT 로고.svg
KT
42 파일:SK스퀘어 로고.svg
SK스퀘어
43 파일:SK 로고.svg
SK
44 파일:유한양행 CI.svg
유한양행
45 파일:카카오뱅크 로고.svg
카카오뱅크
46 파일:SK이노베이션 로고.svg
SK이노베이션
47 파일:대한항공 로고.svg
대한항공
48 파일:HYBE 로고.svg
하이브
49 파일:현대글로비스 로고.svg
현대글로비스
50 파일:삼성전기 신 로고.svg
삼성전기
◀ 코스피 상위 25위
▶ 코스피 상위 51위~75위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4098><tablebgcolor=#004098> 파일:한국전력공사 심볼마크.svg 한국전력공사
그룹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발전사
파일:한국남동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중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서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남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동서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수력원자력 로고.svg
그룹사
파일:한국전력기술 로고.svg 파일:한전KPS 로고.svg 파일:한전원자력연료 로고.svg 파일:한전MCS 로고.svg 파일:한전CSC 로고.svg 파일:한전KDN 로고.svg
파일:한전FMS 로고.svg 파일:한전산업개발 CI.svg [1] 파일:한일병원_로고_.png [2]
기타
스포츠단
,[1] 민영화했지만 그룹사로 분류한다.
[2] 한일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로 분류한다.
,
}}}}}}}}}
<colcolor=#fff> 한국전력공사
韓國電力公社 |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파일:한국전력공사 CI_좌우.svg 파일:한국전력공사 CI_좌우 (흰색 글자).svg
<colbgcolor=#004098> 국가 <colcolor=#000,#fff>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설립일 1982년 1월 1일 ([age(1982-01-01)]주년)
전신 한성전기회사
( 1898년 1월 26일~ 1909년 8월 9일)
한국전력주식회사[3사통합]
( 1961년 7월 1일~ 1981년 12월 31일)
설립 목적 전원개발을 촉진하고 전기사업의 합리적인 운영을 기함으로써 전력수급의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
한국전력공사법
업종명 송전 및 배전업
대표자 김동철
주무 기관 산업통상자원부
기업 유형 시장형 공기업[2]
상장 거래소 코스피[3] ( 1989년~ / 015760)
뉴욕증권거래소 ( 1994년~ / KEP)
시가 총액 11조 4,700억 원(2023년 11월)
부채 201조 3500억 원(2023년 6월)
자본 42조 3억 원(2022년 연결)
매출 71조 2,579억 원[4](2022년 연결)
영업 손실 -32조 6,552억 원(2022년 연결)
순손실 -24조 4,291억 원(2022년 연결)
고용 인원 23,694명(2022년 연결)
자회사 발전 자회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기타 자회사 [ 펼치기 · 접기 ]
한국전력기술
한전원자력연료
한전KPS
한전KDN
한전MCS
한전FMS
한전CSC
한국해상풍력
희망빛발전
켑코솔라
제주한림해상풍력
켑코이에스
카페스
에너지신산업전문투자 사모투자신탁
한국전력 모펀드
(2021년 12월 31일 기준)
해외 자회사 [ 펼치기 · 접기 ]
KEPCO Mangilao America LLC
KEPCO International HongKong Ltd.
KEPCO International Philippines Inc.
KEPCO Gansu International Ltd.
KEPCO Philippines Holdings Inc.
KEPCO Lebanon SARL
KEPCO Neimenggu International Ltd.
KEPCO Shanxi International Ltd.
KEPCO Netherlands B.V.
KEPCO Australia Pty., Ltd.
KEPCO Middle East Holding Company
KEPCO Holdings de Mexico
KST Electric Power Company, S.A.P.I. de C.V.
KEPCO Netherlands S3 B.V.
KEPCO Netherlands J3 B.V.
Fujeij Wind Power Company
Chitose Solar Power Plant LLC
KEPCO US Inc.
KEPCO Mangilao Holdings LLC
KEPCO California, LLC
Global One Pioneer B.V.
Global Energy Pioneer B.V.
Guam Ukudu Power LLC
Pulau Indah O&M SDN. BHD.
미션 전력수급 안정으로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
비전 KEPCO - A Smart Energy Creator
소재지 본사 -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 빛가람동)
인재개발원 - 서울특별시 노원구 노원로 130 ( 공릉동)
수안보연수원 - 충청북도 충주시 수안보면 조산공원길 64 (온천리)
속초연수원 -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온천로 87 ( 노학동)
전력연구원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05 ( 문지동)
설비진단처 - 대전광역시 유성구 문지로 105 ( 문지동)
자재검사처 - 경기도 의왕시 학의로 486 ( 내손동)
전력기금사업단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회대로62길 25 ( 여의도동)
데이터사이언스연구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67길 66 ( 역삼동)
지역 본부 소재지 [ 펼치기 · 접기 ]
서울본부 -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 92 ( 을지로2가)
남서울본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로7길 5 ( 여의도동)
인천본부 - 인천광역시 부평구 주부토로 246 ( 갈산동)
경기북부본부 - 경기도 의정부시 용민로19번길 80 ( 용현동)
경기본부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중부대로 120 ( 인계동)
강원본부 - 강원도 춘천시 수풍골길 7 ( 후평동)
충북본부 -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구룡산로 51 ( 성화동)
대전세종충남본부 - 대전광역시 동구 송촌남로11번길 170 ( 용전동)
전북본부 -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덕진구 백제대로 741 ( 인후동2가)
광주전남본부 - 광주광역시 북구 우치로 222 ( 오치동)
대구본부 - 대구광역시 북구 원대로 110 ( 침산동)
경북본부 - 경상북도 안동시 강남1길 9 ( 정하동)
부산울산본부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666번길 43 ( 부전동)
경남본부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210번길 13 ( 신월동)
제주본부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연로 36 (연동)
해외 지사 소재지 [ 펼치기 · 접기 ]
중국지사 - 515, Tower A, Tianyuangang Center No.C2, Dongsanhuanbeilu, Chaoyang District, Beijing, 100027, China
북미지사 - 400 Kelby Street, Parker Plaza 7th Floor, Fort Lee, NJ 07024, U.S.A
중동지사 - 12333, KEPCO Riyadh Office, Office No.15, Leaders Tower, 8000, King Fahad Road, Riyadh, Kingdom of Saudi Arabia
일본지사 - Room 551, Yurakucho-Denki Building, 1-7-1, Yurakucho, 1-chome, Chiyoda-ku, Tokyo, Japan
동남아지사 - (인니) Sequis Center 10th Floor Jl. Jend. Sudirman No. 71 Jakarta 12190, Indonesia
(베트남) 1112, Charm Vit Tower, 117 Tran Duy Hung, Cau Giay, Hanoi, Vietnam
아프리카지사 - Green Park Corner 2nd Floor, Office 2 Cnr West Rd South & Lower Rd Morningside Santon City 2196, South Africa
유럽지사 - TOPAZ Burocenter 2nd floor Mergenthalerallee 79-81, Eschborn, Germany
관련 웹 사이트
한국전력공사 공식 홈페이지 (PC)
한국전력공사 공식 홈페이지 (모바일)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 공식 홈페이지
한국전력공사 인재개발원 공식 홈페이지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 공식 홈페이지
전국전력노동조합 공식 홈페이지
공식 소셜 미디어
파일:티스토리 아이콘.svg 한국전력공사 공식 블로그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한국전력공사 공식 유튜브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한국전력공사 공식 인스타그램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한국전력공사 공식 카카오스토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한국전력공사 공식 트위터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한국전력공사 공식 페이스북
공식 마스코트
파일:한국전력공사 마스코트 에너지보이.svg
마스코트 '에너지보이'[5]
관련 전화번호
고객 센터: 123
대표 전화: 061-345-3114
당직 상황실: 061-345-3203[6]
인재개발원: 02-970-3211
전력연구원: 042-865-5021

1. 개요2. 역사3. 사업
3.1. 전력그룹사3.2. 교육
4. 지배 구조5. 역대 임원
5.1. 합병 전
5.1.1. 경성전기5.1.2. 남선전기5.1.3. 조선전업 대표이사
5.2. 합병 후
6. 본사7. 역대 로고8. 채용과 직장생활9. 논란 및 사건 사고10. 사가11. 스포츠단12. 노동조합13. 관련 문헌14. 여담

[clearfix]

1. 개요

한국전력공사의 경관, 홍보 영상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 한국전력공사 공식 홍보영상 (2019)

▲ 한국전력공사 공식 홍보영상 (2016)

파일:한전본사.jpg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 빛가람동)에 위치한 한국전력공사 본사 사옥[7]
}}}}}}}}} ||
한국전력공사법
제1조(목적) 이 법은 한국전력공사를 설립하여 전원개발(電源開發)을 촉진하고 전기사업의 합리적인 운영을 기함으로써 전력수급(電力需給)의 안정을 도모하고 국민경제 발전에 이바지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법인격) 한국전력공사(이하 "공사"라 한다)는 법인으로 한다.

제8조(유사명칭의 사용 금지) 이 법에 따른 공사가 아닌 자는 한국전력공사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하지 못한다.[8]

제19조(다른 법령과의 관계)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공사의 주식과 「한국산업은행법」에 따른 한국산업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을 합한 수가 공사의 발행주식 총수(總數)의 50퍼센트 이상인 경우에는 다른 법령의 적용에 있어서 정부가 보유하고 있는 공사의 주식이 50퍼센트 이상인 것으로 본다.
② 공사에 관하여 이 법과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규정된 것을 제외하고는 「 상법」 중 주식회사에 관한 규정을 적용한다.
대한민국 산업통상자원부 산하의 전력 공급 사업자. 약칭은 " 한전"또는 켑코( KEPCO)[9]. 2001년 원자력발전과 화력발전 주요 여섯 곳을 종속자회사[10]로 분리한 이래로 송변전+배전+판매 사업에 집중하고 있다. 즉,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력거래소[11]를 통해 발전 자회사 및 민간 발전사로부터 전기를 구입한 뒤 송배전망을 거쳐 전기를 소매로 판매하는 회사이다.

2000년대 초반부터 한국전력공사는 본질적으로 송변전+배전+판매사업자이다. 즉,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 아니라 전기를 소매로 파는 회사이다. 이는 한국전력공사를 민영화시키기 위한 정부 각계의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인데,[12]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사업자는 아래에 나와있는 자회사들과 민간회사들이 있으며[13] 한국전력공사는 이들이 생산한 전기를 배달만 해준다.

전기 및 전자 산업이 급속도로 팽창함에 따라 송배전망은 최소한의 국민 생활 보장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되었고 국가 안보와도 밀접해졌기 때문에 공기업인 한전에서 전국에 독점적인 인프라를 제공하고 있다.

2. 역사

파일:경성전기 주식회사 사옥.png
서울 남대문로 한국전력공사 사옥
대한제국 시절인 1898년 한성전기회사를 설립했다. 얼마 안 가 1904년 소유권이 미국으로 넘어가고 일제강점기 직전인 1909년 일한가스회사(日韓瓦斯會社)로 넘어가서 일제강점기를 보낸다.

1950년대, 해방 이후 한국정부와 미군정 간의 귀속재산 처리 과정에서 국가 관리 기업이 된 전력 3사(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에 대한 처리 문제가 대두되었다. 여러 차례 3사에 대한 통합과 분리 민영화에 대한 논의가 있었으나 흐지부지 되면서 6.25 전쟁에 의한 한국의 전력망 손실과 더불어 가뜩이나 부족했던 전력 상황이 점점 더 악화되었고 전력3사의 방만한 운영을 비판하는 여론이 커지고 있었다.

1959년 12월, 부흥부 내의 산업개발위원회가 경제개발 3개년 계획을 발표하며 제조업의 성장을 위해 전력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이후, 산업개발위원회는 전력3사의 통합안을 제시했으며 궁극적으로 더 많은 발전소를 증설하겠다는 목표를 가졌다.[14][15]

1960년 2월, 상공부는 전력3사의 통합에 대해 3 가지 방안[16]을 제시했으며 바로 협상에 돌입했다.[17][18] 곧이어 일어난 4.19 혁명에 의해 이승만 정부는 퇴진했지만 우려와 다르게 전력3사의 통합안건은 계속해서 논의되었으며 허정 과도정부에 들어 조선 전업에 두 배전회사[19]를 흡수한다는 안건이 의결되었다.

1960년 11월, 2공화국 '장면 정부' 당시 국무회의에서 전기 3사 통합 국영화안이 의결되었다. 이후 해당 안건은 한국전력주식회사법안(전문 35조)로 성안되어 법제처에 회부되었으며, 민의회 상공위원회에 회부되어 고려되지 못한 문제들[20]의 처리에 대해 의논하기 시작했다. 다만, 빠르게 진행되는 논의에 불만을 표출하는 사람들[21]도 있었으며 전력 3사의 통합조치가 자유주의 체제에 역행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있었다.[22] 특히 1961년 3월 28일 열린 민의원 상공위원회 의결장에서 반대의 목소리가 격렬히 표출되었다. 당시 민주당이 전력 3사 통합을 강력하게 주장한 반면[23], 야당인 신민당이 전력3사 통합 저지를 당론으로 정하게 되면서 이른바 한전법의 성공이 불투명해졌으나...

1961년,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게 되며 국회에 계류중이던 한전법은 새로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군사정부는 전력3사의 사장을 모두 군인으로 교체했으며 전력3사통합에 대한 논의가 더욱 빨라지게 되었다.[24][25] 6월 23일 국가재건최고회의에서 수정된 한전법이 의결되었고, 3일 뒤 전력3사의 주주총회에서 기존 회사의 해산이 승인되었다.

마침내 1961년, 7월 1일 한전이 정식 발족함으로써 기존에 남한 지역에 남아있던 3개의 전력 회사(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가 한국전력주식회사로 통합되는 과정이 일사천리로 완결되었다. [26] 초대 사장에 광복군 출신이자 5.16에 협조한 박영준 소장이 임명되어 68년까지 7년간 재임했고 후임으로는 역시 정변의 주역이자 전직 국방장관이던 정래혁이 임명되었다. 주식회사의 성격을 띠고 있었고 주주총회를 통해 사장을 임명하기는 했지만 중간에 국무회의의 의결을 거쳐서 사장을 임명했다는 점에서 완벽한 사기업으로 보기에는 어려웠다. 또한 군사정부가 입안했던 통합한전 설립안은 기존 민주당이 마련한 법안[27]과 달리 사장과 부사장 및 10여명 내외의 이사들과 2인의 감사를 둔 수직적 단일집행기구를 채택했다. 이 때문에 출발은 명목상 사기업이었지만 사실상 반 공기업이나 마찬가지였다.

지금껏 지지부진했던 전력3사의 통합안이 매우 신속하게 일어날 수 있던 까닭은 군대의 상명하복 관습도 영향을 끼쳤을 것이지만 해방 이후 1950년대부터 계속해서 의논되어왔던 전력3사 처리 문제에 대해 통합의 방향으로 사회적인 합의가 형성되어 있었다는 점 또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군사정부 역시 쿠데타의 대의명분으로 내건 "자주경제재건"을 위한 첫 단추로 전력체계 확충을 위한 통합한전 출범은 매우 중요한 과제였다. 특히 당시 한국의 발전을 위해서는 외국 차관을 유치하는 일이 매우 중요했었고 이를 위해서 통합한전을 설립하는 편이 유리한 지점에 위치했다.[28][29][30]

대한민국 제5공화국 시기, 전두환 대통령은 전기가 인간이 생활하는데 기본적으로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하여 '한국전력공사법'을 제정하였고 기존의 한국전력주식회사를 해산하고 완전한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로 전환했다.[31]

1989년 8월 10일 코스피에 상장되었다.

1997년 연합뉴스로부터 YTN을 인수하였다.[32][33]

1997년 외환위기 이전까지는 대한민국의 전력 생산/공급/판매 전부를 맡아 왔으나, 이후 구조조정이 시작되어 2001년부터 발전 부문이 각 발전사와 한국전력거래소로 분할되었다. 이로서 한전은 송배전망 인프라를 통한 전력 공급과 판매에 집중하게 되었으며 지주사로서 발전 사업 등을 전개하는 자회사들을 관리한다. # 이는 한국전력공사를 민영화시키기 위한 정부 각계의 움직임에서 비롯된 것인데,[34]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사업자는 한전 자회사 외에도 민간회사들도 존재한다.

2000년 인터넷 회선설비/서비스 업체인 파워콤을 출범했다.

2003년에 파워콤을 LG그룹에 매각했다.[35][36]

2007년부터 2012년까지 민간사업자의 비중은 5.8%에서 12.3%로 빠르게 증가했다.[37] 예전엔 화력발전소나 댐을 지어 수력발전소를 짓는등 국가단위가 아니면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의 규모가 핵심이었다면, 최근에는 유휴부지 하다못해 원룸건물에도 태양광 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고 저렴해졌다. 그래서 대규모 발전단지를 개발하는 민간업자들이 매우 많아졌고 일반인들 설치 비중도 꽤나 늘어나거 있는 추세다. 이들 사업자들은 발전 단가가 낮은 유연탄을 주로 사용하지 않으며 LNG, 신재생 발전 비중이 높기 때문에 전기 단가가 한전 발전 자회사들의 2.5배 정도다.[38] 여기에 더해 원자재 가격도 급등하면서 좋지 못한 실적을 내고 있다.

2012년 8월 29일, 계속되는 적자에 못 이긴 한전이 적자의 원인이 전력거래소의 기형적인 전기 판매 구조에 있다고 주장하며 4.4조의 소송을 내겠다고 발표했다. 사실 지나치게 기형적이다. 투자도 저런 투자가 없을 정도다. 민간기업에서 발전한 전력을 비싸게 사서 그들에게 싸게 공급하는 시점에서 뭔가 잘못되었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한 것이 더 이상하다. 심지어 산업용 전기 요금으로 전력을 생산해서 한전에 가져다 팔면 돈이 남는 수준이니 전기요금 문서 참고.

2013년부터는 순이익과 영업이익이 흑자로 전환하였고, 2015년 12월 기준으로는 영업이익이 11조를 돌파했을 정도로 상승세를 맞는다. 셰일 가스로 인해 위기 의식을 느낀 사우디아라비아 등의 산유국이 장기간 증산에 들어가 전반적인 에너지 가격이 폭락한 덕분이다.

2016년 여름 기록적인 폭염이 기승을 부리며 에어컨 사용량이 늘어나자 한전의 전기료 정책에 대한 비판이 수면 위로 올라왔다. 가정용 전기는 다단계 누진제로 운영하면서 산업용 등은 평률제로 한다는 점에 대한 비판이다. 게다가 한국전력공사 막대한 흑자를 내면서도 100조가 넘는 부채를 청산하는 일에는 소홀했다는 지적도 있다. 즉, 기업 경영을 방만하게 한다는 비판이다.

2018년 여름에도 과거의 기록을 넘는 폭염이 발생하여 에어컨을 쓰지 않으면 안될 정도의 재난 상황이 되자 누진제가 또 도마 위에 올랐고, 한국전력공사 측은 누진세 1.2단계 상한을 100kW씩 7.8월 한시적 완화하기로 했다.

국제 연료가격 상승, 천연가스•신재생 발전 비중의 증가와 탈원전 정책으로 인한 원전 비중 및 가동 일수 감소 영향으로 인해 2019년 1분기에 1조 적자를 내었다고 함에도[39] 2020년 다시 흑자로 전환되었다. 해당 연도 네 개 분기 모두 흑자 달성에 성공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코로나 버블, 공급망 병목 등의 악재로 인해 천연가스, 원유가격 등을 비롯한 원자재 가격이 폭등하면서 2021년과 2022년 적자를 기록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 KWh 당 전력도매가가 평균 90원 내외였으나, 2022년 상반기에 무려 200원 수준으로 폭등했다. 전기를 판매할 때는 정부의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정부입장에서 전기료를 올리면 물가상승, 및 서민경제 부담 때문에 가격을 올리기도 쉽지 않은 사정으로 적자를 보았다. 이후 물가상승률이 상승해감에 따라 전기료 또한 인상하고 원자재 가격도 진정되면서 2023년 3분기에는 흑자로 전환되었다.

3. 사업

사업분야 부문간 매출
(KRW)
외부고객 매출
(KRW)
비고
전기판매 1조 9,224억 67조 292억
원자력발전 10조 2,543억 1,318억 [40]
화력발전 39조 2,529억 2조 6,915억 [41]
기타 4조 3,199억 1조 4,054억 [42]
<rowcolor=#fff> 2022년 연결 #
한국전력은 대한민국에서 송전망 인프라를 독점으로 보유하고 있으며 전력거래소에서 구매한 전력을 소비자에게 전달해주고 있다. 또한 보편적 공급의 의무를 지고있어 3가구 이상이 모인 마을, 그리고 10가구 이상이 사는 섬에는 적자가 나더라도 무조건 인프라를 구축해서 전기를 공급하는 공익적 역할도 같이 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도권 전력사용 집중 및 신재생에너지 도입에 따른 계통 불안정 등을 해소하기 위해 수십조원의 예산을 투입해 송전망을 보강할 예정이다.
발전회사들이 분리되어 자회사화된 이후 한국전력공사는 발전회사가 생산한 전기를 별도의 독립기관인 전력거래소를 거쳐 구매하여 소비자에게 판매·공급하는 중간상인의 입장인데, 발전자회사만으로 전기 수급이 제한적이자 현재는 민간사업자[LNG] 또한 발전에 참여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있다.
한전이 전기를 매입할 때의 도매가격은 계통한계가격(SMP)이라는 것이 기준이 되는데, 이는 각 원자재의 에너지 가격을 고려하여 결정되며, 가장 비싼 LNG[44] 가격의 영향이 크다. # 그리고 이러면 원가가 저렴한 유연탄 원자력은 과도한 초과이익이 발생하기에 '정산조정계수'라는 것이 적용되어 환수되며, LNG에는 이러한 제한이 없다.

이는 국제에너지가격 상승 시 민간발전사 비중 급증과 맞물려 한전의 적자가 심화되는 요인이 되기도 한다. 한전과 그 발전자회사들은 원가가 한국가스공사의 LNG 수입가격에 맞춰지는 반면 민간사업자들은 가스공사를 거치지 않고 저렴한 가격으로 직도입하여, 그 사이에서 결정된 전력도매가는 한전의 손실이 가중되고 민간사업자는 타 원자재와 달리 차액 환수도 없기에 대량의 초과이익을 얻는 문제가 있다. #[45] 전기가 어디 저장되어 쌓아 두었다가 한꺼번에 푸는 물건도 아니고 그날 생산된 양을 그날 소비하는 물건이기 때문에 민간사업자의 비중이 높아질수록 한국전력공사는 울며 겨자 먹기로 비싼 전기를 구입해야 한다.

3.1. 전력그룹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4098><tablebgcolor=#004098> 파일:한국전력공사 심볼마크.svg 한국전력공사
그룹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발전사
파일:한국남동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중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서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남부발전 로고.svg 파일:한국동서발전 로고.svg 파일:한국수력원자력 로고.svg
그룹사
파일:한국전력기술 로고.svg 파일:한전KPS 로고.svg 파일:한전원자력연료 로고.svg 파일:한전MCS 로고.svg 파일:한전CSC 로고.svg 파일:한전KDN 로고.svg
파일:한전FMS 로고.svg 파일:한전산업개발 CI.svg [1] 파일:한일병원_로고_.png [2]
기타
스포츠단
,[1] 민영화했지만 그룹사로 분류한다.
[2] 한일병원을 운영하고 있다. 그룹사로 분류한다.
,
}}}}}}}}}

한국전력공사와 그 자회사들을 통틀어서 전력그룹사라고 칭하며, 내부에서는 원 캡코(One Kepco)로 부르기도 한다. # 이러한 자회사들을 대기업에서의 계열사와 비슷하게 보는 시각도 있다. 아래는 그 중 개별 문서가 있는 자회사들의 목록 및 설명.
발전
IMF의 요구로 2001년 분리된 위 여섯 곳의 발전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다. 과거에는 사실상 대한민국 전기의 대부분을 생산하고 있었으나, 2010년 발전량 기준 94.4%, 설비용량 기준 85.8%에서 2020년에는 각각 71.5%, 64.9%로 급감하며 민간 발전사의 비중이 크게 늘었다. #

6개의 발전자회사 및 민간발전회사에서 생산한 전기는 전력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다. 전력거래소는 전력시장 운영 및 전력계통을 운영하는 준정부기관으로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가 아니다.[46]

2001년 분리 당시 수력원자력을 제외한 화력 5개사의 경우, 공정한 경쟁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서 시장점유율, 전원구성, 지역설비 배분이 균등하도록 했다. 특히 수도권에 특정 회사가 집중되지 않도록 나눴다.[47] 연료나 지역적으로 구분이 되지 않기 때문에 사명을 못 정해서 젠코(GenCo) A, B, C, D, E로 불리다가, 주력 사업장의 위치를 중심으로 작명하게 되었는데. 젠코A는 주력 사업장 삼천포화력발전소가 남동쪽에 있어서 한국남동발전이라고 작명되었다. 젠코B는 주력 사업장 보령화력발전소가 중부에 있다고 한국중부발전으로 작명되었고, 젠코C는 태안, 서인천 등 사업장이 서쪽에 있다고 한국서부발전으로, 젠코D는 하동화력이 남쪽에 있다고 한국남부발전으로, 젠코E는 동해화력(동해안)과 당진화력(서해안)이 주력 사업장이라서 한국동서발전으로 작명되었다. 주력 사업장의 위치와 별개로 사업장은 전국 곳곳에 있어서[48] 일부 발전사는 사명 변경을 검토하기도 했다.

이후 2020년대에 들어서도 다섯 곳의 화력발전 자회사들은 매우 균등한 매출을 올리고 있다.
그 외 전력 관련
기타 그룹사
한전의료재단은 서울시 도봉구 소재 한일병원(2012년 9월 1일 한전병원으로 변경했다가 2016년 3월 1일 환원)을 운영하고 있다. 한전산업개발은 지분 절반을 한국자유총연맹이 소유 중이다.
출자회사

이외에도 한국산업은행처럼 단골 출자기업으로 손꼽힌지라 여러 기업(특히 공기업들)들 중에 한전 지분이 들어간 곳이 의외로 많다. 대한민국 정부 지분 뿐만 아니라, 한전 지분으로도 간접적으로 정부가 지배하는 것이다. 그 예로는 한국가스공사[49] 등이 있다.

3.2. 교육

4. 지배 구조

주주명 지분율 비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산업은행 32.90% [51]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정부 18.2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국민연금공단 6.82%
2024년 9월 30일 기준. #

5. 역대 임원

5.1. 합병 전

5.1.1. 경성전기

5.1.2. 남선전기

5.1.3. 조선전업 대표이사

5.2. 합병 후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004098><tablebgcolor=#004098> 파일:한국전력공사 심볼마크.svg 한국전력공사
역대 사장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nopad> 군정 내각 <nopad> 박정희 정부
초대
박영준
2대
정래혁
3대
김일환
4대
김상복
5대
민충식
<nopad> 박정희 정부 <nopad> 전두환 정부 <nopad> 노태우 정부
6대
김영준
7대
성낙정
8대
박정기
9대
한봉수
10대
안병화
<nopad> 문민정부 <nopad> 국민의 정부 <nopad> 참여정부
11대
이종훈
12대
장영식
13대
최수병
14대
강동석
15대
한준호
<nopad> 참여정부 <nopad> 이명박 정부 <nopad> 박근혜 정부
16대
이원걸
17대
김쌍수
18대
김중겸
19대(연임)
조환익
<nopad> 문재인 정부 <nopad> 윤석열 정부
20대
김종갑
21대
정승일
22대
김동철
}}}}}}}}}

6. 본사

파일:external/www.ekn.kr/art_1405577084.jpg
삼성동 구 사옥[54]
본사 위치는 1986년부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영동대로 512( 삼성동 167)에 있었으나, 2014년 12월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빛가람동 120) 광주전남혁신도시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구 본사 자리에는 현대자동차그룹 글로벌비즈니스센터가 들어선다.[55]
파일:한국전력공사_HQ.jpg
전라남도 나주시 광주전남혁신도시에 있는 현 한국전력공사 본사 사옥
참고로 수서역 방면 고속철도를 GTX를 이용해 삼성역까지 일부 연장운행하는 방안이 검토 중인데[56], 이 계획이 실현되면 현재 한전 본사 부지 일부를 이용해 개발을 할 예정이다. 이 땅들은 공시지가 1조 이상에 현 거래가는 3조 이상인데, 이 정도 땅을 컨소시엄 없이 사서 개발할 능력이 되는 집단은 민간기업 중에서는 삼성그룹 현대자동차그룹밖에 없으며, 둘 다 이곳에 엄청나게 눈독들이고 있다고 한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이 더욱 그렇다.[57] 결국 현대자동차그룹이 가져갔다. 10조 5,500억[58][59]을 써냈다고 한다.

나주로 본사를 이전하면서 건물 외관은 매우 현대적이나 내부 시설은 이전 삼성동 사옥에서 쓰던 가구들을 그대로 가져와 쓴다고 한다. 가구 이전비용이 새로 사는 것보다 비쌌다고 하는데, 그렇게 한 이유는 새로 사면 국정감사때 국회의원들이 뭐라할까봐 그랬다고 한다. 겉모습을 보고 초현대적 시설을 기대한 신입직원들이 많이 실망한다고 한다.

7. 역대 로고

파일:남선전기 로고.jpg 파일:한국전력공사 로고(1961~1986).png 파일:한국전력공사 심볼마크.svg
남선전기 한국전력공사 (1961~1986) 한국전력공사 (1986~ )[60]

8. 채용과 직장생활

규모가 크고 전국 구석구석에 퍼져있는데다 5~60년대 출생 현직자들의 대거 정년퇴직을 대비하기 위해 한국토지주택공사, 국민건강보험공단, 한국철도공사 등과 함께 채용을 많이 하는 공기업 중 하나이다. 하지만 취업준비생들에게 인기가 많은 공기업 중 한 곳이기 때문에 경쟁률이 굉장히 높다. 사무직 경쟁률은 2013년에 120:1 정도였으며, 2014년 상반기 공채는 350:1이라는 역대 최고 경쟁률을 기록했다고 한다. 그나마 같은 공공기관인 국민건강보험공단[61]쪽이 훨씬 더 승산있을 정도다.

학점은 보지 않지만 2021년 기준 700점 이상의 토익 점수 또는 그에 따른 환산점수의 타 공인영어 점수와 자격증[62]이 있어야 지원이 가능하며, 이후 NCS, 면접 단계를 간다. 특이하게 서류접수를 할 때 전국권, 지역전문사원[63] 으로 권역을 나눠서 채용한다. 공공기관 중 가장 많은 인원수를 채용한다. 2017년 하반기에만 600명 공채를 실시했으며, 2021년에는 상, 하반기 도합 1,100명이나 선발한다. 지역전문사원 권역별 채용은 최종 출신학교 소재지에 따른 제한이 없다. 예를 들어 서울 소재 대학을 졸업한 A씨는 경북권이나 전북권에 지원할 수 있다.

단, 본사가 소재한 광주전남권은 광주,전남지역 소재지의 최종학교 출신자들만 응시가 가능하다(제한경쟁). 지역전문사원 채용 확대로 인해[64] 본사이전지역인재 의무채용의 수가 좀 줄었다.

채용단계는 NCS를 기반으로 한 서류, 필기[65], 면접[66]전형으로 구성된다. 서류는 어학과 자격점수의 합산으로 합불이 결정된다. 어학 점수는 토익 기준 850점이 만점이며, 다른 어학 성적도 자체 기준표에 의거 토익으로 환산 후 적용한다. 자격점수는 사무직과 기술직이 다른데 대부분 한국사능력검정시험 3급 이상은 기본으로 갖고 있고 기술직 기준 기사 1개 이상[67]은 소지하는 편이다. 이외에도 토익 스피킹 레벨 7 또는 오픽 IH 등급을 취득해도 5점의 가산점을 주며, KBS 한국어능력시험 3+ 이상 등급도 가산점이 있다. 하지만 사무직 같은 경우 최종 선발인원의 100배수를 서류에서 뽑기 때문에 웬만해서는 서류에서 떨어지는 경우는 없는 편이다. 서류단계에서는 자기소개서 내용을 적/부로 판단하므로 자소서의 비중은 다른 공공기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68] 만약 서류 점수가 작년 합격선과 비교할 때 현저히 떨어진다고 생각하면 애초에 지원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이다. 그리고 특히 중요한 것은 서류전형 발표 후 2~3일 이내에 본인의 생년월일과 증명사진, 면접용 유니폼[69] 사이즈를 입력하는 창이 뜨는데, 이 기간 내에 입력하지 않으면 서류에 합격했어도 필기시험을 보지 못하게 되므로 유의하자.

필기시험은 2017년 하반기부터 100% NCS로만 반영하고 있다. 문제 수는 해마다 다른데, 2017년 하반기는 50문제를 65분 안에 풀어야 했고, 문제 형식도 다른 공기업의 NCS와도 판이하다. 필기시험에서는 2.5배수를 합격시킨다. 2018년 하반기부터 사무직을 제외한 기술직군에 전공시험이 도입되었다. 기존의 NCS 영역 중 기술영역을 전공시험 15문제로 대체하여 총 55문제(NCS40+전공15)로 바뀌었다. 시험시간은 동일하게 60분이고 전공시험에서 9문제이상 맞히지 못하면 과락[70]처리된다.

필기시험에 합격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1차 역량면접을 통해 1.5배수를 합격시키고 그 다음 2차 종합면접을 실시하여 높은 점수를 받은 순서대로 최종합격자를 선발한다. 2019년 하반기 기준, 수도권으로도 신입들이 다수 배치되었다고 전해진다. 수도권 배치라는 건 전국권에 응시했었다는 건데, 해당 권역 10년 의무근무인 지역전문사원 도입으로 인한 것이라 추측할 수 있다. 2020년부터 경기북부( 고양시, 의정부시, 파주시, 포천시, 양주시, 동두천시, 가평군, 양평군, 남양주시) 권역을 따로 모집하기 시작했다. 경기북부 모집단위 분할로 인해, 고양시, 의정부시, 남양주시 위주의 경기북부 거주민들 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2020년 하반기 부터 사무직군 서류배수가 70배수로 변경되었다.[71] 2021년 상반기에도 역시 70배수를 선발하였고, 토목직군에서 지역권에 중부권을 추가하여 선발하였다. 중부권역은 강원, 충북, 대전세종충남, 전북, 광주전남권이다. 2021년부터 대졸공채 기준 채용인원이 많이 감소하여, 전기직의 경우 스펙의 인플레이션화 현상이 벌어졌고, 그 영향으로 경쟁률이 엄청나서 서류 통과부터 상당히 힘들어졌으나 서류배수가 늘어나면서 필기 경쟁률이 높아지는 대가와 서류 통과를 교환하였다.

2024년 상반기에서는 총 채용인원이 127명으로 급격히 감소했으며, 사무직 서류배수는 기존대로 70배수이나, 기술직인 배전, 송변전직은 30배수로 늘어났다. 또한 자기소개서는 필기전형 합격자에 한하여 제출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외국어 성적 및 자격증, 가점 등에 대한 증빙서류도 1차면접(역량면접) 합격자에 한하여 제출하는 것으로 바뀌었다.

승진제도가 다른 공공기관보다 유연해서 대졸자는 빠르면 5년 8개월 만에 차장을 달 수 있고, 보통은 9년 정도면 차장을 달 수 있다. 위와 비슷하게 빠르게 승진할 수 있는 공공기관 중 하나는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있다.[72][73]

한국전력공사는 고졸과 대졸의 차이가 딱 4호봉 차이며 그 외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평등한 직장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9. 논란 및 사건 사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전력공사/논란 및 사건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사가

백두산 줄기따라 한라산까지
연연이 이어가는 귀한 동맥을
한마음 한 뜻으로 가꾸어 가는
우리는 횃불이다 겨레의 등불
나가자 한국전력 전통을 이어
어둠을 이겨내자 광명의 역군

안호심 작사, 김동준 작곡

11. 스포츠단

파일:한국전력공사 심볼마크.svg 한국전력 스포츠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한국전력공사 마스코트 에너지보이(야구).png 파일:한국전력공사 마스코트 에너지보이(축구1).png 파일:한국전력공사 마스코트 에너지보이(축구2).png
한국전력공사 야구단 경주 한국수력원자력(남) 경주 한국수력원자력(여)
파일:한국전력공사 마스코트 에너지보이_배구.svg 파일:한국전력공사 마스코트 에너지보이_럭비.svg 파일:한국전력공사 마스코트 에너지보이_육상.svg
수원 한국전력 빅스톰 한국전력 럭비단 한국전력 육상단
}}}}}}}}} ||

12. 노동조합

홈페이지

13. 관련 문헌

14. 여담


[3사통합] 조선전업(주) + 경성전기(주) + 남선전기(주) [2] 공기업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서 일괄 제외되었고, 한국전력공사는 금융 회사나 중소기업이 아니므로 단순히 법적으로 해석하면 중견기업에 속한다고 해석할 여지가 없지는 않지만 기본적으로 규모와 관계없이 공기업들에 대한 예외로 인한 것이라 일반 기업집단의 기준으로 규모를 중견기업으로 보기는 어렵다. 아예 금융업처럼 분류에서 제외된 것이기 때문에 대-중견-중소 분류와 별개로 봐야 할 것이다. 실제 삼성전자 현대자동차를 제외하면 대기업 중에서도 상대되기가 어려울 정도로 자산 규모가 큰 한국전력공사를 중견기업으로 분류하는 자료나 기사는 없다. [3] 공기업이지만 코스피에 상장되어 있기 때문에 인천공항공사 한국철도공사랑 다르게 공기업인데도 불구하고 한국전력공사는 재판에서 사(私)법인의 지위를 가진다. [4] 연결 기준. 개별 매출은 127조원이다. [5] 메인 마스코트와는 별개로 서비스 쪽 캐릭터인 케피, 우피, 해피도 있다. [6] 야간 및 주말, 공휴일 전용 번호. [7] 2014년 11월부터 차례차례 이전을 시작하여 12월 1일부터 전라남도 나주시 빛가람동 본사 업무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한전 신사옥은 최고 154m로 완공 당시 호남 지방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었다. 현재는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호반써밋 광주에 이어 두번째로 높은 건물이다. [8] 이를 위반하여 한국전력공사 또는 이와 유사한 명칭을 사용한 자는 과태료의 제재를 받는다(한국전력공사법 제21조 제1항). [9] 일본 간사이전력와 약자가 같다. [10] 한국전력공사와 그 자회사들을 통틀어서 전력그룹사라고 칭하며, 내부에서는 원 캡코(One Kepco)로 부르기도 한다. [11] 전력거래소는 전력시장 운영 및 전력계통을 운영하는 준정부기관으로 한국전력공사의 자회사가 아니다. # [12] 원래는 발전부문을 포함한 한전을 민영화시키려다 캘리포니아 정전사태 이후 한국전력공사 민영화에 대한 여론이 극도로 악화되면서 발전부문만 한국전력공사에서 분리시키고 이 들을 따로 민영화시키는 꼼수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일단 발전부문을 여러 개로 쪼개놓으면 민영화시키기 쉬우니까 그렇다. 덤으로 발전과 송배전을 분리시키면 민간부문에서 비싸게 전기를 사들일 수도 있다. [13] 특히 최근에 민간발전회사들이 매우 많이 늘어나고 있는데 예전엔 화력발전소나 댐을 지어 수력발전소를 짓는등 국가단위가 아니면 사실상 불가능할정도의 발전소 건설규모였다면 최근에는 유휴부지 하다못해 원룸건물에도 태양광발전기를 설치할 수 있을 정도로 소형화되고 저렴해졌다. 그래서 대규모 발전단지를 개발하는 민간업자들이 매우 많아졌고 일반인들도 많이들 설치한다. [14] 발전, 송전, 배전 업무를 통합하여 업무 효율성이 높아지면 경영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고 이를 통해 자본을 축적하여 발전소를 증설할 수 있을 것이라는 논리였다. [15] 부흥부 산업개발위원회, 『경제개발삼개년계획안』, 66쪽, 466쪽 [16] 1. 조선 전업에 경성전기, 남선전기를 통합 2. 전력3사 해산 및 신규 회사 설립 3. 전력3사 재산을 정부가 매상한 뒤 신규 회사에 인계 [17] 당시 여론은 전력3사의 통합이 빨리 이루어져야 한다는 의견이 대다수였지만, 지금까지 했던 헛짓거리만 봐도 통합이 될리 없다는 상반된 의견 또한 만만치 않았다. [18] 『동아일보』, 1960. 2. 5; 『조선일보』, 1960. 7. 3; 윤병욱, 「경영합리화를 전제로 한 전기3사 통합문제」, 사상계94호, 1961. 5. [19] 경성전기, 남선전기 [20] 누락된 재산 문제, 통합 후 인건비 및 인사 처리 문제, 주주에 대한 보상 및 배당 문제 등 [21] 경성전기, 남선전기의 반대가 있었으며 두 회사의 사장들은 직접 나서서 정부의 통합에 반대했다. 두 회사의 노동조합들도 대량 해고가 발생할 것이 뻔했기에 해당 통합안에 반대하는 목소리를 냈다. [22] 조선일보, 1960. 6. 28; 1960. 7. 3; 1960. 10. 27; 1960. 10. 29. 통합 반대 흐름과 그 주장에 대해서는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100년사』, 1989, 483~486쪽 [23] 조선일보, 1961. 3. 22; 1961. 3. 27; 1961. 3. 28. 민주당의 5개년 경제개발계획의 내용은 건설부, 『제1차 5개년경제개발계획(시안)』 , 1961.5. [24] 당시 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전력체계의 확충이 필수불가결했다고 보았으며 전력3사를 통합해야 한다는 사회적인 인식 또한 공유했기 때문에 통합에 대한 논의를 멈추지 않았다. [25] 상공부 차관으로 부임했던 박충훈이 실무진에게 "7월 1일까지 한국전력주식회사의 간판을 내걸 수 있도록 준비하라"고 지시하기도 했다. [26] 한국전력공사, 『한국전기100년사』, 483-490쪽; 동력자원부, 『動力資源行政10년사』 (動力資源行政, 1988), 294-295쪽; 대한전기협회, 『한국전기사업변천사: 초창기∼통합한전』 (대한전기협회, 2000), 214-219쪽. [27] 한전 내부의 운영위원회에서 전력사업 경영 원칙을 결정하도록 하여 민주적인 운영을 할 수 있도록 한 법안 [28] 당시 미국의 기술용역회사인 스미스 힌치맨 엔 그릴스에서 작성된 기술용역보고서 [29] Smith Hinchman & Grylls co., Electric Power Supply Study Part 1, 1960.12.29; Part 2, 1961.8.15. [30] 오선실. (2018). 국가주도 전원개발계획의 출현 -통합한전의 설립과 제1차 전원개발계획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 35, 227-260. [31] 물론 당대 사회적으로 봤을 때 전기, 수도 등의 공공재는 국가에서 직접 운영하는 것이 공공복리를 위해 중요했으므로 국가에서 직접 운영하거나 사기업이라도 어느 정도 국가가 개입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32] 한때 한전KDN이 YTN의 최대주주였다. 공정거래위원회에서도 한국전력공사그룹의 계열사로 편입시켜놓고 있었다. 그래서 한국전력공사의 대규모기업집단 현황보고서에는 YTN이 당당히 나왔다. [33] 전력 사업을 담당하지 않아서 대중들에게 널리 알려지지 않았지만 한국전력공사를 통해 사실상 정부가 지배를 하고 있어 YTN이 정부의 입김을 많이 받고 있었다. [34] 원래는 발전부문을 포함한 한전 전체를 민영화시키려다 캘리포니아 정전사태 이후 한국전력공사 민영화에 대한 여론이 극도로 악화되면서 발전부문을 한국전력공사에서 분리시키고 발전부문에 대해 민영화를 시도했기 때문이다. 일단 발전부문을 여러 개로 쪼개놓으면 민영화시키기 쉬우니까 그렇다. 덤으로 발전과 송배전을 분리시키면 민간부문에서 비싸게 전기를 사들일 수도 있다. [35] 당시 하나로통신, KT 등의 로비로 인해 공기업이 통신사업한다는 것이 어긋난다는 지적을 들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중론. 이후 비슷하게 YTN도 후술하듯 유진그룹 에 훗날 매각되었다. [36] 해당 사업은 2006년에 LG파워콤을 거쳐 2010년에 LG텔레콤, LG데이콤과 함께 LG유플러스로 통합되었다. [37] 2020년대 기준으로는 30% 수준까지 증가했다. [38] 2012년 발전자회사 유연탄 발전 단가 64.48원/kWh, 민간발전사 157.94원/kWh [39] 반문 등은 3조를 찍던 영업이익이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자 거짓말 같이 하락하더니 6,000억 적자로 내리앉았다고 주장했다. [40] 한전원자력연료로부터 핵연료를 수급받고 있다. [41] 한국남동발전, 한국중부발전, 한국서부발전, 한국남부발전, 한국동서발전. 이들은 주로 유연탄의 경우 무역회사인 글렌코어로부터, LNG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수급하고 있다. [42] 한국전력기술, 한전KPS, 한전원자력원료, 한전KDN, 한전홍콩 등. [LNG] 유연탄, 원자력, LNG 등 다양한 발전이 이루어지는 발전자회사들과 달리, 민간발전사는 수요 변동에 따른 빠른 생산량 조정이 가능한 LNG 발전만을 한다. [44] 약 2.5배. 2012년 발전자회사 유연탄 발전 단가 64.48원/kWh, 민간발전사 157.94원/kWh [45] 다만 이는 민간발전사의 원가절감 노력으로 볼 여지가 있다. 그러나 공기업의 제약에 묶인 한전 및 그 발전자회사와 불공정한 조건이 된다는 것. [46] 관련기사: 한전은 유통사...전력거래소가 전기운영 총괄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001&oid=032&aid=0002163808 [47] 때문에 동일한 부지의 서인천복합과 신인천복합은 서부발전과 남부발전이 각각 분리운영했다. [48] 예컨대 남부발전은 인천에 신인천, 영월 등에 발전본부가 있고, 남동발전은 분당에도 발전소가 있다. [49] 정부 지분과 별개로 한국전력공사 지분만 20% 정도 된다. [50] 졸업자들이 한전 내부에 카르텔을 형성하고 있다고 한다. 애초에 수도공고 자체가 한전에서 일할 전기 인재를 만들기 위한 학교이니 이상한 것도 아니다. [51] 한국산업은행의 지분 100%가 대한민국 정부다.(정확히는 기재부가 91%이고 나머지 9%를 국토교통부, 산업자원부, 해양수산부 등이 나눠가진다.) 원래 29%정도 산업은행지분이였다가 산업은행 민영화를 위해서 한국정책금융공사로 분리돼서 넘어갔다 2015년 다시 산업은행과 통합하며 다시 돌아갔다. 여기에 정부가 BIS건전성을 위해서 한국전력주식 일부를 더 현물출자하면서 지분이 33%정도까지 늘었다. [52] 장택상 전 국무총리의 둘째 형. [53] 1945년 8.15 해방 뒤 일본으로 돌아가 이듬해에 '일본공영'을 세웠다. [54] 현재 현대자동차그룹 사옥 건설을 위해 철거된 상태이다. [55] 참고로 드라마 펜트하우스의 주 무대인 헤라팰리스의 실제 부지이다. [56] 삼성역은 GTX의 환승역으로, 한국전력공사와 COEX 사이의 영동대로 지하에 지어진다. [57] 당초 성동구 성수동에 계획된 건물이지만 이 안은 무산되고 현재 삼성동에 건립이 추진 중인 건물이다. 자세한 내용은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참고. [58] 3.3㎡당 4억 3,879만 원, 참고로 이 가격이면 미국 뉴욕시 맨해튼구의 웬만한 곳보다 비싸다! [59] 초기 감정가는 3조 5,000억-4조 정도였다. [60] 현재의 로고는 홍익대학교 권명광 교수가 만들었다. [61] 건보공단의 행정직 6급가 기준 경쟁률은 57.33:1로 한전에 비해 낮으나, 신입사원 초봉(2023년 기준)의 경우 한국전력공사(4,103만원)와 국민건강보험공단(4,064만원)은 비슷하다. [62] 문제는 토익 점수와 자격증 개수가 상대평가다. 특히 자격증 개수는 무조건 다다익선이다. 2015년 사무직은 서류 만점인 자격증 4개(한국사, 국어, IT, 외국어) 소지와 토익 850점 이상을 찍고 말았다. 참고로 고졸 채용 사무직의 경우 자격증과 토익 점수를 요구하지 않는다. [63] 충북권, 강원권, 전북권, 대구권, 광주전남권, 제주권, 경남권, 경북권 등 [64] 지역전문사원 등 지역본부 채용은 본사이전지역인재 의무채용 TO에 산입하지 않아도 된다. [65] NCS직업기초능력평가+인성검사 [66] 1차 역량면접(실무진면접), 2차 종합면접(임원면접) [67] 기술직 기사 2개가 만점이다. [68] 단, 서류단계에서만 비중이 적을 뿐이지 지원자가 면접전형까지 갈 경우 1,2차 모두 자기소개서 기반으로 면접을 보게 되므로 면접을 위해 자기소개서는 잘 써야 한다. [69] 정장을 요구하면 수험자 입장에서 부담되므로 지원자들에게 흰색 긴팔 티를 지급하여 의상을 통일한다. 옷은 회수하지 않으므로 면접 이후 가져가면 되고, 2차 면접에 붙은 지원자는 다시 이 옷을 입고 오면 된다. [70] 전기(강원, 제주), ICT, 토목, 건축분야에서 과락자가 다수 발생해 인원을 채우지 못하여 NCS로만 나머지 인원을 채웠다. 사실상 전공과락만 면하면 NCS는 다틀려도 합격이 가능했다. [71] 기술직은 15배수 [72] 몇몇 승진이 느린 공공기관의 경우 차장을 다는 데 평균 20년 정도가 걸리며, 빨라봤자 17년 정도 걸린다는 점에서 전력공사는 대단히 빠른 것이다. 그러나 입사해보면 왜 빠른 승진이 가능한지 알게 된다. 차장 승진을 하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공기업 생활과는 아주 다른 삶을 살게 된다. 5급 공무원 마냥 저녁, 주말 없는 삶이 만년 지속된다. 만년 과장 희망자들이 많아 발생하는 현상 [73] 차장부터는 노조원 신분에서 제외되므로 이전 직급인 과장까지와는 많은 차이가 발생한다. 과장까지는 권역내 순환이 적용되어 기존 근무지와 크게 멀지 않은 근무지로 인사이동이 이뤄지지만, 차장부터는 전국단위 순환근무로 바뀌므로 인사이동시 굉장히 먼곳으로 배치받는 경우가 잦다. 또한 성과연봉제 적용대상이므로, 호봉제 적용대상으로 감봉 징계를 받을만한 큰 사고만 안치면 매년 소폭의 연봉상승이 이뤄지는 과장까지와는 달리 고과에 따라 매년 연봉의 편차가 심하여 업무처리에 만전을 기하는 것은 물론이고 사내정치와 본인PR까지도 많은 신경을 써야한다. 공기업을 선호하는 구직자들은 대개 민간기업보다는 고과나 사내정치 같은 스트레스 요소가 적다는 것을 장점으로 꼽는데, 한전에서 상위직급 승진을 꿈꾸는 차장 이상급의 간부라면 그런점을 기대하기가 힘들다. [74] 원래 민주노총 소속이었으나 2023년 5월 16일부로 민주노총 탈퇴를 선언했다. 탈퇴를 선언한 이유로는 민주노총이 전 정부인 문재인 정부 시절의 탈원전 정책을 지지하고 이를 유지할 것을 요구하였는데 한전이 원전으로 먹고사는데 탈원전을 지지하라는 것은 노동조합으로써도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다. [75] 드라마 야인시대 같은 곳에서 곧잘 나오는, 도로에서 자동차와 섞여서 같이 달리는 노면전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