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01-17 08:04:53

제주시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55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시
서귀포시 [[제주특별자치도청|
도청
]] 제주시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555>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좌읍 애월읍 조천읍 한림읍
우도면 추자면 한경면
<colbgcolor=#eee>
#!wikistyle="margin: 0px -10px;"
'''[[건입동|{{{#000 건입동}}}]]'''
건입동
#!wikistyle="margin: 0px -10px;"
'''[[노형동|{{{#000 노형동}}}]]'''
노형동 해안동
#!wikistyle="margin: 0px -10px;"
'''[[도두동|{{{#000 도두동}}}]]'''
도두1동 도두2동
#!wikistyle="margin: 0px -10px;"
'''[[봉개동|{{{#000 봉개동}}}]]'''
봉개동 용강동 회천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삼도동(제주시)|{{{#000 삼도1동}}}]]'''
삼도1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삼도동(제주시)|{{{#000 삼도2동}}}]]'''
삼도2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삼양동(제주시)|{{{#000 삼양동}}}]]'''
도련1동 도련2동
삼양1동 삼양2동 삼양3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아라동(제주시)|{{{#000 아라동}}}]]'''
아라1동 아라2동
영평동 오등동 월평동
연동
도청
연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오라동|{{{#000 오라동}}}]]'''
오라1동 오라2동 오라3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외도동|{{{#000 외도동}}}]]'''
내도동 도평동 외도1동 외도2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용담동(제주시)|{{{#000 용담1동}}}]]'''
용담1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용담동(제주시)|{{{#000 용담2동}}}]]'''
용담2동 용담3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이도동(제주시)|{{{#000 이도1동}}}]]'''
이도1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이도동(제주시)|{{{#000 이도2동}}}]]'''
도남동
시청
이도2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이호동(제주시)|{{{#000 이호동}}}]]'''
이호1동 이호2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일도동|{{{#000 일도1동}}}]]'''
일도1동
#!wikistyle="margin: 0px -10px;"
'''[[일도동|{{{#000 일도2동}}}]]'''
일도2동
#!wikistyle="margin: 0px -10px;"
'''[[화북동|{{{#000 화북동}}}]]'''
화북1동 화북2동 }}}}}}}}}}}}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시
{{{#!wiki style="margin: -5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시
濟州市
Jeju-si
}}}
<colbgcolor=#555><colcolor=#ffffff> 시청 소재지 광양9길 10 ( 이도2동)
광역자치단체 제주특별자치도
하위 행정구역 19 4 3
면적 978.67㎢
인구 493,389명[1]
인구밀도 502.18명/㎢[2]
시장 강병삼
도의원
19석

3석
교육
의원
<colbgcolor=#555> 동부 강동우
중부 고의숙
서부 김창식
국회
의원

송재호 (초선)

김한규 (초선)
지역번호 064(7)
홈페이지 www.jejusi.go.kr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트위터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
2.1. 인구
3. 도시구조4. 교통5. 상권
5.1. 금융
6. 관광7. 생활문화
7.1. 교육7.2. 주거환경7.3. 의료기관7.4. 스포츠
8. 정치9. 하위 행정구역10. 자매/우호교류도시
10.1. 자매결연도시10.2. 우호교류도시
11. 기타12. 참고 문서1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제주시의 경관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7px -1px -11px"
파일:함덕1.jpg
파일:unnamed325124.png
함덕해수욕장 우도
파일:unnamed12414.jpg
파일:416580_314211_2552.jpg
용두암 국립제주박물관
파일:만장굴.png
파일:협재해수욕장10.jpg
만장굴 협재해수욕장 }}}}}}}}}
제주특별자치도 북부에 위치한 행정시. 제주특별자치도청이 위치한 제주도의 행정도시이며 제주특별자치도 최대도시이다. 한라산을 기준으로 제주도의 산북 지역을 관할하고, 산남 지역의 서귀포시와 접경하고 있다.

기초자치단체가 아니라 행정시다. 따라서 주소만 시일 뿐, 시장 대한민국 지방선거에 의한 민선직이 아니라 제주지사의 임명에 의한 관선직이다. 특별자치도로 승격하기 전에는 별도의 기초의회가 존재했지만, 현재는 특별자치도의회에서 안건을 해결한다. 또한 특정시 밑에 설치된 일반구와 마찬가지로 로고도 별도의 로고가 아닌 제주특별자치도의 로고를 그대로 따른다.

인구는 외국인 포함 50만명을 넘은 상태로[3] 제주도 전체 인구의 70% 이상이 몰려있는 도내 핵심도시이다. 과거에는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각각 존재했지만, 2006년 7월 1일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으로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행정시 제주시로 통합되었다. 인구는 항상 서귀포시보다 제주시가 더 많고 따라서 인프라도 제주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기에, 남북간 균형 발전을 이루는 것은 제주도 내 사회의 중요 화두 중 하나이다.

한라산의 북쪽에 있어 흔히 '산북(山北)'이라 불린다. 주로 서귀포지역 사람들이 그렇게 인식하며 막상 제주시 지역 출신은 산북, 산남이란 인식 자체가 아예 없거나 희박하다. 사람들이 흔히 알고 있는 제주도는 제주시 위주의 인식이기도 하다.

특별자치도 설치 이전에는 광역단체명과 기초단체명이 같은 유일한 지역이었다.[4]

1997년 중국 광시 좡족 자치구 구이린 시와 자매결연을 맺었다.

특이하게 법정동에 숫자가 들어간 대표적인 동네로도 유명하다. 일도일동, 일도이동이 법정동이다! 심지어 오라동은 행정동은 하난데 법정동이 오라일동 오라이동 오라삼동으로 나뉘어 있다.[5]

2. 역사

파일:제주시 휘장(?~1999).png 파일:제주시 CI(2000-2006)_국문.svg
19??년부터 1999년까지 사용한 제주시 휘장[6] 2000년부터 2006년 행정시 전환 이전까지 사용한 제주시 상징
파일:북제주군기(?~1995).png 파일:북제주군 심벌(1998-2006).svg
1995년까지 사용한 북제주군기 1998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한 북제주군 휘장
파일:북제주군 휘장(1996~2006).svg
1996년부터 2006년까지 사용한 북제주군기
파일:제주시 CI.svg
행정시 전환 이후의 제주시 휘장

조선 조 이전에는 탐라국의 중심지였으며 도성인 성주청이 있었다. 그러다 조선 초기 탐라국이 해체되고 흡수되면서 전라도 제주목이 되었다.

1896년 23부제 실시와 함께 제주목, 정의군, 대정군은 제주부(府)로 묶였으나, 곧 제주부를 해체하고 전라남도로 귀속시켰다. 1906년 제주목을 제주군으로 개칭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때 대정군과 정의군을 병합하여 제주도 전체가 제주군으로 통합되었다. 1915년 제주군을 제주도(島)[7]로 개칭하였다. 1931년 제주면이 제주읍으로 승격하였다.

1946년 제주도 전역이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어 광역행정구역으로서의 제주도(道)로 독립함과 동시에 남제주군, 북제주군의 2개 군이 설치되었으며, 그 중 북제주군 제주읍이 1955년 제주시로 승격되었다. 1956년 한림면이 한림읍으로 승격되고 남부지방은 한경면으로 분리되었다. 1968년 제주국제공항이 개설되었다. 1980년 애월면이 애월읍으로, 구좌면이 구좌읍으로 승격되었다. 1985년 조천면이 조천읍으로 승격되었다.

2006년 7월 1일, 북제주군을 통합하였지만 제주특별자치도지사의 지휘를 받는 제주시로 격이 낮아졌다.

2.1. 인구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05,210명 (제주시 87,369명 + 북제주군 117,841명)
1970년 221,423명 (제주시 106,266명 + 북제주군 115,157명)
1975년 251,582명 (제주시 134,921명 + 북제주군 116,661명)
1980년 289,835명 (제주시 167,474명 + 북제주군 122,361명)
1985년 316,825명 (제주시 202,707명 + 북제주군 114,118명)
1990년 341,354명 (제주시 232,553명 + 북제주군 108,801명)
1995년 353,575명 (제주시 255,257명 + 북제주군 93,328명)
2000년 378,762명 (제주시 278,535명 + 북제주군 100,227명)
2005년 400,701명 (제주시 303,499명 + 북제주군 97,202명)
2006년 제주도 →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제주시 + 북제주군 → 제주시로 통합
2010년 417,539명
2015년 459,876명
2020년 492,466명
2022년 11월 493,38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3. 도시구조

메인 시가지가 둘로 나뉘어 형성되어 있다. 제주국제공항을 기준으로 봤을 때 동쪽에는 일도동과 이도동을 아우르는 구제주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주시청이 있다. 구시가지는 삼화지구, 화북공업단지 등을 통해 동쪽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한편 공항의 남쪽에는 노형동과 연동을 아우르는 신제주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곳에 제주도청이 있다. 신제주 시가지는 박정희 정권 당시 제주도의 관광도시 육성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시가지라 구시가지보다 훨씬 도시 구획이 잘 되어 있는 편이다.

탐라국 시절부터 자연스럽게 형성된 구시가지와는 달리 신시가지는 별개의 위치에서 독자적으로 개발된 곳이라 같은 제주시임에도 불구하고 분위기가 다소 이질적이며, 특히 외도동과 오라동 지역을 사이에 두고 시가지가 분리되어 있다. 두 지역의 경계에 있는 외도동, 오라동 지역은 상대적으로 층수가 낮은 아파트 단지와 주택 등이 건설되어 있는데 유사시 공항으로 가는 비행기의 착륙 항로가 될 수 있는 데다가 무분별한 시가지의 확장을 막기 위한 목적으로 보인다. 물론 이 점 때문에 "건물을 높게 짓질 못하는 건 너무하지 않냐"는 볼멘소리가 가끔 나온다.

2001년 6월까지 제주시에 그린벨트가 설정되어 있었는데 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인다.

4.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55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555> }}}
{{{#!wiki style="color: #555;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555> 1~5 <colbgcolor=#ffffff,#191919> 1100로 · 516로
남조로
대한로
번영로 · 비자림로
산록남로 · 산록북로 · 산록서로 · 서해안로
일주동로 · 일주서로
제성로 · 중산간동로 · 중산간서로
추자로
평화로
서귀포시의 로 틀 }}}}}}}}}



제주국제공항을 통해 한국 본토, 일본, 중국, 타이완, 홍콩, 태국, 말레이시아와 연결된다. 제주도에는 고속도로가 없고 철도도 없기에 공항철도도 없으며[8] 지방도 서귀포시 성산읍, 대정읍을 비롯하여 각 , 을 연결한다.

철도가 없는 지역 특성상 대중교통은 전적으로 버스에 의존한다. 공항버스, 급행버스, 간선버스, 지선버스가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제주특별자치도 시내버스 문서 참조.

4.1. 제주 렌터카


지역이면서 관광지 특성상 단기 렌터카 산업이 매우 발달해있는 것이 특징이다. 제주국제공항 인근에 수많은 렌터카 업체들이 난립하고 있다[9]. 카 페리를 이용해서 본토에서 이용하던 자가용으로 여행을 할수도 있으나 를 타야하는데다 당연히 비행기에 비해 운항시간이 오래걸린다. 또한 저녁에 출발하여 익일 아침에 도착한다는 가정하에 배에서 1박을 하기때문에 은근히 비용이 많이 들기도 한다.

한때는 공항 주차장 내에 렌트카 배차공간이 있었으나 2016년 9월부로 완전히 금지되어 모든 렌터카 이용객들은 직접 걸어가거나 셔틀버스를 이용해 렌터가 업체로 찾아가서 렌트를 해야 한다. 렌터카 고객들은 불편해졌으나 원래대로라면 공항에 진입해서 빠져나오는데 10분도 채 안걸리던 시간이 교통혼잡으로 인해 1시간이 넘게 걸리던 과거를 감안한다면 당연한 조치. 공항 입구를 주변으로 많은 렌터카 업체가 있으며, 특히 공항 담장을 따라서 용문로와 용해로 주변에 많은 업체들이 있다. 물론 이러한 렌터카들을 불편하게 여기는 도민도 매우 많다.[10]

내륙에 비해 과열된 경쟁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 조례가 제정되어 비수기 할인이 금지되던 때가 있었고, 내륙 업체의 영업을 금지하던 때 #도 있었으나 지금은 모두 폐지되었다.

2019년에는 렌터카 총량제로 감차하기로 했으나, 롯데렌터카를 비롯한 제주에 영업소가 있는 대기업 렌터카들이 사유재산 침해로 반대하고 있다. #

때문에 보다 못한 제주특별자치도에서 렌터카 총량제를 시행하였는데, 렌터카 총량제 시행 이후 제주지역의 렌터카 이용료가 전반적으로 급등했다. 수요는 그대로인데 공급이 크게 줄어들어 사실상 비수기가 사라진 것. 예전에는 거의 보험료만 내면 빌릴 수 있던 한겨울에조차 한 달 전에 미리 예약하지 않으면 차 구하기가 힘들고 로컬 영세업체에서라도 급하게 구하려면 상당히 비싼 렌트비를 부담해야 한다. 결국 교통체증을 완화한다는 명분, 제주도 특유의 강성 환경단체들의 영향으로 일부 대기업들이 폭리를 누리게 된 것이다. 때문에 일부 여행객들은 이러한 폭리를 당하느니 차라리 를 타고가는 것을 감수하고 본인 자가용을 싣고 카 페리를 이용하기도 한다

5. 상권

할인마트 이마트 탑동 노형에 2곳, 롯데마트가 노형 이마트 남쪽에 한 곳 있고 워낙 농협이 강세인 지역이다 보니 농협 하나로마트는 진짜 여기저기 있다. 단 백화점은 없다. 과거 연동지역에 롯데참피온백화점이 있었으나 장사가 안 돼서 문을 닫았다. 현재 그 자리는 찜질방 운영 중이다. 쇼핑몰 씨티오브드림즈, 피어아울렛등이 있으며 나인몰이 2022년 11월에 오픈 예정이다.

커피 1등 기업 스타벅스 12곳, 패스트푸드점으로는 맥도날드 5곳[11], 롯데리아 9곳[12], 버거킹[13] KFC,[14] 피자전문점으로는 피자헛 2곳, 미스터피자 2곳, 도미노피자 3곳이 있다. 파파이스는 1곳[15]있었지만 삼화점은 파파이스가 한국에서의 사업을 철수하면서 자연스레 사라졌다. 송당리에 블루보틀 제주 카페가 생겼다.

제주시의 주요 번화가는 대개 중앙로, 시청 앞, 제원아파트 앞 사거리 이 세 곳을 꼽는다. 그중 중앙로는 구도심으로서 요즘은 많이 침체된 상태. 다만 지하상가의 면세구역화와 제주항의 크루즈선박유치로 코로나 이전에는 중국인 관광객이 많이 찾았다. 평일 낮에 중앙로 지하상가에 가면 진짜 중국인 관광객 밖에 없다. 젊은 사람들이 약속을 잡으면 열의 아홉은 시청 혹은 제원에서 만나서 논다. 대개 구제주 사람들은 시청을, 신제주 사람들은 제원을 선호한다.

오락실의 경우 불모지로 불리는데 일반인들에게 알맞은 기기들은 다 있으나 매니아 게임은 거의 없다. 대표적으로 타 지역에 널려있는 BEMANI 게임이 제주엔 없으며 무조건 원정을 가야 한다. 2010년대 초 유비트 코피어스가 있었지만 e-amusement participation 도입 이후 업주들이 차기작으로 업그레이드를 거부하며 사라졌으며 현재는 신 태고의 달인만 2대 보유하고 있다. 네트워크 대응 게임이 아예 없는 서귀포시보다는 사정이 낫지만 해당 게임의 인기를 고려하면 리듬 게임 유저들에게 제주도는 무덤이나 다름없다.

5.1. 금융

제주시에 위치한 금융기관 [괄호]
국가기관
제주우체국 (22)
제1금융권 [괄호]
중앙은행
한국은행 (1)
국책은행
한국산업은행 (1) 중소기업은행 (2)
특수은행
수협은행 (2) 농협은행 (19)
시중은행
신한은행 (4) 우리은행 (2)
SC제일은행 (2) 하나은행 (3)
국민은행 (4) 한국씨티은행 (1)
지방은행
제주은행 (10)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제주시농협 (11) 제주감귤농협 (10) 제주축협 (7) 제주양돈농협 (5)
구좌농협 (4) 함덕농협 (3) 애월농협 (3) 하귀농협 (3)
한경농협 (3) 한림농협 (2) 고산농협 (1) 조천농협 (2)
김녕농협 (1)
수산업협동조합
제주시수협 (7) 한림수협 (2) 제주어류수협 (2) 추자수협 (2)
새마을금고
호남새마을금고 북제주새마을금고 참조은새마을금고 곽지새마을금고
납읍새마을금고 서제주새마을금고 우리새마을금고 한마음새마을금고
제주서부새마을금고 노형새마을금고 신제주새마을금고 제주개인택시새마을금고
하나새마을금고 아라새마을금고 한솔새마을금고 한빛새마을금고
중앙새마을금고 한라새마을금고 항운노조새마을금고 열린새마을금고
동문새마을금고 용담새마을금고 동제주새마을금고 우정새마을금고
신용협동조합
제주서부신용협동조합 애월신용협동조합 한경신용협동조합 금빛신용협동조합
제주Y신용협동조합 제민신용협동조합 사라신용협동조합 제주신용협동조합
한라신용협동조합 제상신용협동조합 삼다신용협동조합 동광신용협동조합
성안신용협동조합 제주치과의사신용협동조합 제주중앙신용협동조합 동제주신용협동조합
늘푸른신용협동조합 함덕신용협동조합 구좌신용협동조합
상호저축은행(상호금고)
삼호저축은행 (1) 스마트저축은행 (1) 으뜸저축은행 (1) 한국투자저축은행 (1)
JT친애저축은행 (1)

6. 관광

관광 특화 도시인 서귀포시에 묻히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제주도라는 섬 자체가 한국 전체에서 가장 대표적인 관광지인 만큼 제주시에도 수많은 관광명소들이 있다. 어지간한 타 지역의 기초자치단체와는 비교를 불허한다.

제주시가 관광 산업에서 묻히는 경향이 있어보이는 이유는 제주시내권역에는 관광지가 그렇게 많지 않기 때문이다. 아래 나와 있는 제주시내 권역 관광지 중 나름 예전부터 알려진 관광지라고는 용두암, 삼성혈, 관덕정, 신비의 도로 정도이며, 이것들이 전부라 해도 무방할 정도이다. 1990년대까지만 해도 이호해수욕장은 제주시 중에서도 신제주쪽 사람들만 놀러가는 해수욕장에 가까웠고, 제주목 관아는 복원이 안 되어서 존재하지도 않았고, 한라수목원은 그쪽 동네 주민들 산책하러 가는 곳 정도였다. 삼양해수욕장 또한 제주시 사람들에게 '검은 모래 해변'이 있는 곳 정도였으며, 인지도와 선호도에서는 함덕해수욕장에 크게 밀렸다.

즉, '제주시만 빼고 볼 것이 넘치는 제주도'였는데, 북제주군과 제주시가 합쳐져 '제주시'가 되자 과거 '볼 것이 없는 제주시' 이미지 때문에 제주시가 관광에서 서귀포시에 묻히는 경향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주요 관광지는 다음과 같다.

이 외에도 언급하지 못한 수많은 관광지들이 있다.

7. 생활문화

7.1. 교육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11px"
고산초등학교 곽금초등학교 광령초등학교 광양초등학교 구엄초등학교
구좌중앙초등학교 귀덕초등학교 금악초등학교 김녕초등학교 김녕초등학교 동복분교장
남광초등학교 납읍초등학교 노형초등학교 대흘초등학교 더럭초등학교
도남초등학교 도련초등학교 도리초등학교 도평초등학교 동광초등학교
동화초등학교 물메초등학교 백록초등학교 봉개초등학교 북촌초등학교
삼성초등학교 삼양초등학교 삼화초등학교 세화초등학교 송당초등학교
수원초등학교 신광초등학교 신제주초등학교 신창초등학교 신촌초등학교
아라초등학교 애월초등학교 어도초등학교 영평초등학교 오라초등학교
외도초등학교 우도초등학교 월랑초등학교 이도초등학교 인화초등학교
일도초등학교 장전초등학교 재릉초등학교 저청초등학교 제주남초등학교
제주대학교 교육대학 부설초등학교 제주동초등학교 제주북초등학교 제주서초등학교 제주중앙초등학교
조천초등학교 조천초등학교 교래분교장 종달초등학교 추자초등학교 추자초등학교 신양분교장
평대초등학교 하귀일초등학교 하귀초등학교 하도초등학교 한동초등학교
한라초등학교 한림초등학교 한림초등학교 비양분교장 한천초등학교 함덕초등학교
함덕초등학교 선인분교장 함덕초등학교 선흘분교장 해안초등학교 화북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고산중학교 귀일중학교 김녕중학교 노형중학교 세화중학교
신성여자중학교 신엄중학교 신창중학교 아라중학교 애월중학교
오름중학교 오현중학교 우도중학교 저청중학교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부설중학교
제주동여자중학교 제주동중학교 제주서중학교 제주여자중학교 제주제일중학교
제주중앙여자중학교 제주중앙중학교 제주중학교 조천중학교 추자중학교
탐라중학교 한라중학교 한림여자중학교 한림중학교 함덕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svg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의 고등학교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남녕고등학교 대기고등학교 세화고등학교 신성여자고등학교 애월고등학교
영주고등학교 오현고등학교 제주고등학교 제주과학고등학교 제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고등학교
제주여자고등학교 제주여자상업고등학교 제주외국어고등학교 제주제일고등학교 제주중앙고등학교
제주중앙여자고등학교 한국뷰티고등학교 한림고등학교 한림공업고등학교 함덕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제주특별자치도에 2개밖에 없는 4년제 대학교 제주대학교(국립)와 제주국제대학교(사립)가 모두 제주시에 위치해 있다.[20] 제주교육대학교도 있었으나 제주대학교에 통합되어 지금은 제주대학교 산하의 단과대가 된 상태.[21] 제주한라대학교는 현재 국내 유일의 학사학위/전문학사학위 동시 운영 대학으로서 2/3/4년제 과정이 모두 존재하는 특이한 학교이다. 이외에도 2/3년제 대학인 제주관광대학교가 있다.

고교평준화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다. 참고로 타 지역과는 달리 합격선이 높으며, 내신 상위 50%, 심지어 30%도 장담할 수 없다.(실제로 상위 30%가 고입선발고사에서 패망해서 탈락하는 현상이 극소수지만 있었다.) 이 때문에 학교간 수준 차이는 별로 없을 것 같지만 은근 차이가 난다. 우수한 중3학생을 데려가기 위한 스카웃 경쟁이 치열하며 특히 사립학교들이 이러한 경향이 매우 강하다. 남자고등학교•공학고등학교의 경우엔 과거에는 제주제일고(공립)와 오현고(사립)가 제주도의 양대 명문고로써 군림해 왔다. 현재 4~50대 중 제주도 사회에서 잘 나가는 사람들은 거의 다 이 두 학교 출신이라고 봐도 거진 무방하다. 허나 90년대부터 대기고가 신흥 명문으로서 급부상하여[22] 현재는 제주도 모든 고등학교 중 가장 우수한 성적을 내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여자고등학교•공학고등학교에서는 신성여자고등학교와 제주여자고등학교가 전통있는 강자들로 2018년 현재까지 군림해오고 있다. 다만 2018년 현재 일반계(인문계) 고등학교들 모두 평준화가 정착되면서 최상위권 학생들을 제외한 나머지 학생들의 성적은 큰 차이가 없어졌다.

특목고로는 제주과학고 제주외국어고가 있다. 제주과학고는 말 그대로 한라산 중턱에 있는걸로도 유명하며 눈이 많이 오면 도로 통제가 돼서 학교 못 간다.

7.2. 주거환경

제주도의 중심지이자 도청 소재지이며, 인구 49만 규모의 중견 도시답게 있을 만한 건 다 있다.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제주시청 부근과 노형오거리에 CGV 두 곳, 제주여고 뒤편과 삼양초 맞은편에 롯데시네마 곳이 있다. 대신 마땅한 예술영화관이 없어서 이에 대해 말이 많은 편. 한림읍에 작은영화관이 생겨서 지역주민에겐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늘어게 된다.

제주공항이 신제주와 구제주 사이에 끼어있다 보니 시내 어디든 비행기 이착륙 소리가 들린다. 비행기가 시내버스 수준[23]으로 자주 다녀 스트레스도 받을 만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러려니 하고 산다.

7.3. 의료기관

상급종합병원은 없다. 종합병원으로는 제주대학교병원(658병상)이 가장 크고, 그 뒤를 제주한라병원(531병상)과 중앙병원(295병상), 한마음병원(228병상), 한국병원(217병상)이 잇고 있다. 상급종병이 없다 뿐이지 제주대병원도 대학병원이기 때문에 어지간히 희귀질환이 아닌 이상 제주대병원 선에서 다 커버된다.

7.4. 스포츠

구제주 쪽인 오라동 제주종합운동장이 있으며 이 경기장에서 웬만한 도내 체육행사가 다 열리는데, 그 중 제주도 최고의 대회는 아마축구 최강전인 백호기다.

프로스포츠 구단은 없다. 프로축구팀인 제주 유나이티드가 있는 서귀포시와는 달리, 제주시에는 그 어떠한 프로스포츠팀도 존재하지 않는다. 예전에는 제주 유나이티드가 제주종합운동장에서 한두번 홈경기를 치르긴 했지만, 그 이후 잘 오지 않았다가, 2018시즌 및 2019시즌 즈음부터 다시 몇 경기씩 배정되었다. 야구 역시 제주 야구장에서 우리 히어로즈가 임시 홈경기를 치른 적도 있고 올스타전이나 시범경기가 가끔 열리기도 하지만, 자주 있는 일은 아니다. 간혹 제주시 프로축구팀이나 제주도 프로야구팀이 생기길 희망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게 힘든 점이 본질적으로 섬 지역인데다가 가볍게 왕래하기엔 어마무시하게 나가는 교통수단 비용의 문제도 있어서 어렵다.[24]

제주시 최고의 스포츠 행사는 따로 있다. 바로 매년 봄 제주종합운동장에서 열리는 백호기 축구대회. 제주도내 전 초·중·고 축구팀이 모여 자웅을 겨루는 이 대회는 단순한 축구대회를 넘어 제주특별자치도 최고의 축제이기도 하다. 이 대회의 백미는 다름아닌 응원전. 셔츠를 이용한 화려한 문자 응원이 장관이다. 자세한 건 해당 문서 참조. 경기 보러 오는 관중보다, 응원 보러 오는 관중이 더 많은 대회다. 전국 방송까지 타고 이젠 상당히 유명해진 대회이고, 주관사인 제주일보사가 부도가 난 뒤인 2013년에도 개최됐다.

8. 정치

8회 지선 제주시 개표 결과
제주도지사 선거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후보 오영훈 허향진
득표수
(득표율)
118,762
(55.60%)
83,539
(39.11%)
+35,223
(▲16.49)
옛 제주시
득표율 55.30% 39.60% ▲15.73
일도1동
44.50% 52.15% ▼7.65
일도2동
54.05% 40.52% ▲13.53
이도1동
51.55% 43.41% ▲8.14
이도2동
54.95% 39.22% ▲15.73
삼도1동
49.54% 45.63% ▲3.91
삼도2동
48.67% 45.61% ▲3.06
용담1동
51.42% 43.59% ▲7.83
용담2동
51.09% 44.33% ▲6.66
건입동
52.91% 42.25% ▲10.66
화북동
57.96% 37.39% ▲20.57
삼양동
60.14% 35.38% ▲24.76
봉개동
56.58% 38.33% ▲18.25
아라동
60.50% 33.39% ▲27.11
오라동
[25]
55.63% 39.77% ▲15.86
연동
51.37% 43.90% ▲7.47
노형동
55.77% 39.45% ▲16.32
외도동
61.32% 33.93% ▲27.39
이호동
53.92% 42.38% ▲11.54
도두동
53.52% 42.40% ▲11.12
옛 북제주군
득표율 51.94% 42.63% ▲9.31
한림읍
53.22% 42.04% ▲11.18
애월읍
54.59% 40.13% ▲14.46
구좌읍
46.42% 47.39% ▼1.48
조천읍
53.17% 40.74% ▲12.43
한경면
54.93% 40.04% ▲14.89
추자면
50.13% 47.22% ▲2.91
우도면
47.90% 48.62% ▼0.72
후보 오영훈 허향진
거소·선상투표
57.49% 32.01% ▲25.48
관외사전투표
60.29% 33.86% ▲26.43
국회의원
선거구별
오영훈 허향진 격차
제주시 갑[26][A][28] 54.27% 41.38% ▲12.89
제주시 을[29][A][31] 54.44% 39.07% ▲15.37
제20대 대통령선거 제주 제주시 개표 결과
정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격차
후보 이재명 윤석열
득표수
(득표율)
157,695
(53.70%)
122,084
(41.57%)
▲12.13
옛 제주시
득표율 54.59% 40.78% ▲13.81
일도1동
51.88% 43.95% ▲7.93
일도2동
52.19% 43.29% ▲8.90
이도1동
50.91% 44.98% ▲5.93
이도2동
53.01% 41.91% ▲11.10
삼도1동
51.18% 44.79% ▲6.39
삼도2동
51.16% 44.17% ▲6.99
용담1동
51.84% 43.29% ▲8.55
용담2동
51.35% 43.99% ▲7.36
건입동
54.08% 41.70% ▲12.38
화북동
56.32% 38.50% ▲17.82
삼양동
59.95% 35.63% ▲24.32
봉개동
55.69% 39.44% ▲16.25
아라동
57.38% 37.73% ▲19.65
오라동
55.92% 39.58% ▲16.34
연동
51.76% 43.81% ▲7.95
노형동
53.87% 41.69% ▲12.18
외도동
61.51% 33.67% ▲27.84
이호동
56.47% 39.31% ▲17.16
도두동
57.58% 38.03% ▲19.55
옛 북제주군
득표율 51.99% 43.43% ▲8.56
한림읍
51.57% 44.18% ▲7.39
애월읍
53.78% 41.20% ▲12.58
구좌읍
48.65% 47.17% ▲1.48
조천읍
52.03% 43.08% ▲8.95
한경면
52.59% 43.54% ▲9.05
추자면
52.50% 43.32% ▲9.18
우도면
48.55% 47.91% ▲0.64
후보 이재명 윤석열
거소·선상투표
49.17% 41.60% ▲7.57
관외사전투표
50.00% 44.19% ▲5.81
국외부재자투표
54.29% 41.24% ▲13.05
국회의원
선거구별
이재명 윤석열 격차
제주시 갑[32][A][34] 53.83% 41.65% ▲12.18
제주시 을[35][A][37] 54.24% 41.03% ▲13.21
21대 총선 제주시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갑)
정당



[[무소속|
무소속
]]
격차 투표율
후보 송재호 장성철 고병수 박희수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1,626
(48.70%)
46,909
(37.07%)
9,260
(7.31%)
6,901
(5.45%)
+ 14,717
(△11.63)
128,031
(61.35%)
삼도1동 44.90% 39.08% 6.63% 7.80% △5.82 61.14
삼도2동[E] 44.59% 39.50% 7.83% 6.63% △5.10 55.82
용담1동 44.37% 38.33% 8.01% 7.64% △6.04 56.32
용담2동[F] 44.92% 37.69% 7.50% 8.21% △7.22 57.80
오라동[K] 49.91% 32.06% 6.93% 9.96% △17.85 62.70
연동[L] 47.89% 38.49% 6.79% 5.42% △9.40 55.51
노형동[M] 49.92% 35.53% 7.92% 5.48% △14.39 61.01
외도동 56.99% 29.27% 7.90% 4.60% △27.72 62.11
이호동 50.87% 36.00% 6.43% 5.78% △14.87 64.02
도두동 50.43% 35.80% 5.92% 5.86% △14.64 65.11
한림읍 43.75% 45.63% 6.04% 3.03% ▼1.88 55.93
애월읍 46.06% 42.54% 6.58% 3.54% △3.52 59.15
한경면 47.73% 39.34% 8.10% 2.98% △8.39 59.22
추자면 44.85%[43] 44.85%[44] 2.27% 5.62% =동률 59.63
후보 송재호 장성철 고병수 박희수 격차
거소·선상투표 43.44% 28.27% 11.95% 5.74% △15.17
관외사전투표 53.77% 30.28% 8.91% 4.82% △23.50
재외투표 76.69% 14.56% 5.82% 1.94% △62.14
국회의원 선거 (제주시 을)
정당

격차 투표율
후보 오영훈 부상일 (1위/2위) (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7,206
(55.35%)
49,862
(41.06%)
+ 17,344
(△14.29)
122,883
(64.04%)
일도1동[A] 48.81% 48.18% △0.63 57.60
일도2동[B] 52.70% 43.96% △8.74 63.90
이도1동[C] 51.20% 45.52% △5.68 60.28
이도2동[D] 55.22% 41.34% △13.88 60.79
건입동[G] 53.98% 42.53% △11.45 59.68
화북동[H] 56.45% 40.37% △16.09 62.07
삼양동[I] 59.12% 37.49% △21.63 62.80
봉개동 57.29% 39.30% △17.99 66.62
아라동[J] 60.68% 35.69% △24.98 61.77
구좌읍 42.86% 53.79% ▼10.92 60.40
조천읍 51.23% 44.86% △6.38 60.38
우도면 49.66% 48.31% △1.35 61.93
후보 오영훈 부상일 격차
거소·선상투표 50.34% 38.60% △11.73
관외사전투표 62.33% 33.05% △29.29
재외투표 64.04% 34.83% △29.21
비례대표 선거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66,893
(27.70%)
87,261
(36.13%)
32,049
(13.27%)
14,412
(5.96%)
15,394
(6.37%)
- 20,368
(▼8.43)
251,339
(62.55%)
옛 제주시
득표율 27.45% 36.85% 13.43% 6.19% 6.34% ▼9.40 60.74
일도1동[A] 34.89% 33.86% 8.48% 5.19% 5.26% △1.02 57.60
일도2동[B] 30.59% 35.98% 12.19% 5.87% 5.45% ▼5.39 63.91
이도1동[C] 31.73% 34.26% 10.81% 6.20% 6.49% ▼2.53 60.31
이도2동[D] 27.47% 36.54% 12.93% 6.80% 6.05% ▼9.07 60.79
삼도1동 32.67% 34.49% 12.92% 5.15% 5.42% ▼1.81 61.15
삼도2동[E] 32.77% 33.18% 13.45% 4.87% 4.53% ▼0.40 55.81
용담1동 31.69% 33.67% 13.57% 4.90% 5.03% ▼1.98 56.30
용담2동[F] 31.59% 35.04% 12.97% 5.27% 5.25% ▼3.46 57.77
건입동[G] 31.06% 37.11% 9.89% 5.26% 5.54% ▼6.04 59.69
화북동[H] 25.91% 38.85% 12.39% 5.92% 6.06% ▼12.94 62.08
삼양동[I] 23.00% 40.20% 12.97% 6.15% 7.14% ▼17.20 62.80
봉개동 25.57% 39.55% 12.39% 5.98% 6.51% ▼13.98 66.60
아라동[J] 22.60% 38.77% 14.08% 7.35% 7.58% ▼16.17 61.77
오라동[K] 25.46% 37.13% 15.60% 6.16% 7.03% ▼11.67 62.71
연동[L] 30.40% 34.54% 13.55% 6.37% 6.52% ▼4.14 55.51
노형동[M] 26.56% 36.10% 15.13% 6.92% 6.59% ▼9.54 61.01
외도동 21.78% 41.53% 15.30% 5.15% 7.10% ▼19.75 62.11
이호동 28.15% 36.40% 14.36% 4.77% 6.61% ▼8.25 64.02
도두동 26.70% 35.75% 13.43% 5.73% 6.68% ▼9.05 65.11
옛 북제주군
득표율 31.03% 33.85% 12.03% 4.87% 5.90% ▼2.82 59.02
한림읍 33.03% 32.50% 12.69% 4.66% 5.48% △0.53 55.93
애월읍 29.19% 34.79% 13.58% 5.08% 6.21% ▼5.60 59.15
구좌읍 34.09% 31.85% 10.47% 4.31% 5.28% △2.25 60.40
조천읍 30.07% 34.07% 11.10% 5.63% 6.61% ▼4.00 60.37
한경면 30.02% 35.07% 12.40% 3.91% 5.06% ▼5.04 59.22
추자면 32.63% 34.85% 6.11% 3.51% 5.59% ▼2.21 59.63
우도면 32.69% 38.56% 6.10% 3.71% 5.14% ▼5.87 61.93
정당 미래한국당 더불어시민당 정의당 국민의당 열린민주당 격차
거소·선상투표 24.22% 29.31% 12.86% 6.87% 5.28% △5.09
관외사전투표 22.22% 36.06% 14.87% 6.63% 7.66% △13.83
재외투표 36.93% 30.48% 7.66% 3.13% 7.31% △6.45
제주시 국회의원
제주시 북제주군
13대

[[무소속|
무소속
]] 고세진 (초선)


[[무소속|
무소속
]] 이기빈 (초선)
14대

[[무소속|
무소속
]] 현경대 (3선)


[[무소속|
무소속
]] 양정규 (4선)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현경대 (4선)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양정규 (5선)
16대
현경대 (5선)
장정언 (초선)[66]

양정규 (6선)[67]
제주시·북제주군 갑 제주시·북제주군 을
17대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강창일 (초선)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김우남 (초선)
제주시 갑 제주시 을
18대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강창일 (재선)


[[통합민주당(2008년)|
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 김우남 (재선)
19대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강창일 (3선)


[[민주통합당|
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 김우남 (3선)
20대

강창일 (4선)


오영훈 (초선)
21대

송재호 (초선)


오영훈 (재선)[68]


김한규 (초선)[69]
제주도 제주시장/북제주군수(1~3기)[70]
제주시장 북제주군수
1기(95~98)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고민수 (초선)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신철주 (초선)
2기(98~02)

[[새정치국민회의|
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 김태환 (초선)

신철주 (재선)
3기(02~06)

[[무소속|
무소속
]] 김태환 (재선)[71]

신철주 (3선)[72]


김영훈 (초선)[73][74]
-[75] -[76]

서귀포시에 비해 젊은 층이 많은데다 외지에서 제주도로 유입되는 인구들 중 제주시로 오는 비율이 높아서 민주당계 정당 지지세가 강하다.

9.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주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제주시_행정구역_전역.jpg
파일:제주시_행정구역_행정동.jpg
제주시 전역 제주시내 동지역

10. 자매/우호교류도시

10.1. 자매결연도시

10.2. 우호교류도시

11. 기타

아래는 제주시민의 노래이다. 작사는 양중해, 작곡은 김승택이 맡았다.
(1절)장엄한 한라영봉 북녘기슭에 / 탐라가 열린 날의 꿈에 안기어
고난을 이겨내고 빛을 찾으며 / 아득한 역사 속에 자라온 고장

(2절)전설과 옛 노래가 고인 옛 터에 / 새 문화 향기로운 꽃을 가꾸어
높은 산 넓은 들판 푸른 바다에 / 슬기와 땀을 부어 커 가는 고장

(3절)자연은 아름답고 자원도 많다 / 옛부터 풍속 좋아 인심 좋은 곳
북돋아 가꾸어서 행복을 심어 / 앞으로 억만년을 살아갈 고장

(후렴)제주시 제주시 아름다운 제주시 / 우리의 제주시를 더욱 빛내자

12. 참고 문서

13.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장.svg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청사 소재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파일:경기도 휘장_White.svg
수원시
도청

의정부시
북부
전라북도
파일:전라북도 휘장_White.svg
전주시
강원도
파일:강원도 휘장_White.svg
춘천시 전라남도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무안군
도청

( 남악신도시)
순천시
동부
충청북도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청주시
도청

제천시
북부

옥천군
남부
경상북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안동시
( 경상북도청신도시)
충청남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홍성군
( 내포신도시)
경상남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창원시
도청

진주시
서부
제주특별자치도
파일:제주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제주시 이북 5도
파일:정부상징 단색형.svg
서울특별시
}}}}}}}}} ||



[1] 2022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통계 [2] 2020년 9월 기준 [3] 2021년 11월 기준 제주시 인구는 내국인 493,220명, 외국인 13,901명을 더해 총 507,121명이다. [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경우 '부산'이 들어가긴 하지만 '부산구'가 아니라 '부산구'이므로 광역단체명과 기초단체명이 같은 지역이라 보기엔 애매하다. 또한 부산 사람들은 진구로 줄여부른다. [5] 경기도 안산시에도 법정동으로 팔곡일동과 팔곡이동이 존재한다. [6] 현재에도 제주시내 시영아파트 외벽에 당시의 로고가 남아있다. [7] 여기서의 도(島)는 일제강점기 때 제주도와 울릉도에만 적용한 행정구역 단위 명칭이다. 부, 군과 동급의 행정 구역이며, 그 수장을 도사(島司)라고 하였다. [8] 일제강점기에 제주도순환궤도라는 철도가 있었던 적은 있다. 당시 운행구간은 협재역~ 제주역~김녕역 구간이었다. 여담으로 구좌읍 에코랜드라는 자연테마파크에 관광용의 미니 철도는 존재한다. 그리고 노면전차 경전철 관련 이야기가 종종 나온다. [9] 2020년 기준 무려 114개 업체가 등록되어 있다. [10] 이유는 렌터카가 많아지면서 차량 대수가 늘어나 촌구석에서도 차가 막히게 되었고, 시내 역시 교통 체증으로 인해 몸살을 앓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50만 정도인 인구에 비해 교통 체증이 부산광역시급으로 심각하다. 또한 본인이 원래 타던 자가용이 아니다 보니 운전 역시 미숙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점, 길을 잘 몰라 급차로변경(예를 들면 차들이 달리는 대로변에서 1차선에서 4차선까지 한번에 차선변경)을 자주 하며 도민 차량에게 불편을 주는 점, 렌터카 차종이 다양해지면서 본인이 타는 차보다 좋은 차(ex.제네시스 G70, 전기차, 벤츠-AMG 쿠페 등)를 빌려 흥분한 나머지 만만한 도민 차량에게 시비를 걸고, 보복운전& 위협운전 추월 칼치기, 꼬리물기같은 민폐짓을 자주 시전한다. 이러니 제주도민 운전자들 입장에서 렌터카에 대한 인식은 매우 나쁘기 때문에 렌트카를 탈 때 주의하도록 하자. [11] 인제사거리, 탑동, 시청, 신광사거리, 노형오거리. 자가용 중심의 지역답게 무려 4개가 드라이브스루(Drive-thru) 점포다. [12] 시청, 아라, 삼화주공, 외도, 롯데마트 맞은편, 공항에 2개(2층 탑승게이트, 3층), 제주항, 한림 [13] 제주노형점(제주도내 유일) [14] 제주시 고산동산 사거리 [15] 제주삼화점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9] 모든 경마장이 다 그렇지만 경마가 있는 날이면 평소에는 한산한 경마장 앞 도로가 인산인해를 이룬다. 여기서 패가망신하는 사람들이 꽤 많고 이는 제주도 내에서는 꽤 심각한 사회문제이다. [20] 서귀포시에 탐라대학교가 있었으나 제주국제대의 전신인 제주산업정보대와 통합되었다. 구 탐라대 캠퍼스는 현재 사용되고 있지 않다. [21] 제주대학교 본 캠퍼스(아라캠퍼스)로 이전할 예정이다. [22] 역대급 불수능이었던 97학년도 수능에서 전국수석을 배출하며 순식간에 유명세를 탔다. [23] 평균 3분, 막차시간대 8분 , 최소 1분 20초 간격으로 이착륙한다. [24] 야구팀의 경우는 오라야구장 등의 시설요건이 KBO에 맞춰야 해서 지자체 예산이 추가로 들 수도 있다. [25] 허향진 후보 고향 [26]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A] 관외투표 제외 [28] 지역구 국회의원 : 송재호 (더불어민주당, 초선) [29] 일도1동, 일도2동, 이도1동, 이도2동, 건입동, 화북동, 삼양동, 봉개동, 아라동, 구좌읍, 조천읍, 우도면 [A] 관외투표 제외 [31] 지역구 국회의원 : 공석 (오영훈 후보 도지사 출마로 인한 사직) [32] 삼도1동, 삼도2동, 용담1동, 용담2동, 연동, 오라동, 노형동, 외도동, 이호동, 도두동, 한림읍, 애월읍, 한경면, 추자면 [A] 관외투표 제외 [34] 지역구 국회의원 : 송재호 (더불어민주당, 초선) [35] 일도1동, 일도2동, 이도1동, 이도2동, 건입동, 화북동, 삼양동, 봉개동, 아라동, 구좌읍, 조천읍, 우도면 [A] 관외투표 제외 [37] 지역구 국회의원 : 오영훈 (더불어민주당, 재선) [E] 제주목관아가 있었던 제주도의 전통적 중심지 [F] 용두암 제주국제공항이 있는 동네 [K] 버스터미널 및 종합경기장이 있는 동네 [L] 제주도청 및 번화가가 있는 신제주의 중심지이자 한라수목원, 제9해병여단이 있는 동네 [M] 신시가지(신제주)가 있는 동네 [43] 375표로 미래통합당 장성철 후보와 동률을 기록했다. [44] 375표로 더불어민주당 송재호 후보와 동률을 기록했다. [A] 과거 제주읍성 관할구역으로 동문시장이 있는 제주도의 전통적 중심지 [B]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이 있는 동네 [C] 삼성혈이 있는 동네 [D] 제주시청이 있는 동네 [G] 제주항 및 제주국립박물관이 있는 동네 [H] 공업단지 및 신시가지(삼화지구)가 있는 동네 [I] 신시가지(삼화지구)가 있는 동네 [J] 신시가지(아라지구) 및 제주대학교,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가 있는 동네 [A] [B] [C] [D] [E] [F] [G] [H] [I] [J] [K] [L] [M] [66] 02.7.2 의원직 상실(선거법 위반) [67] 02.08.08. 재보궐선거 [68] 22.04.29 의원직 사퇴(제주특별자치도지사 선거 출마) [69] 22.06.01 재보궐선거 [70] 이후에는 제주도가 특별자치도로 전환되면서 제주시와 북제주군이 제주시로 통합됨과 동시에 행정시로, 제주시장은 임명직으로 전환되었다. [71] 04.05.06 시장직 사퇴(제주도지사 보궐선거 출마) [72] 05.06.22 심장마비로 별세 [73] 04.06.05 재보궐선거 [74] 06.05.15 시장직 사퇴 [75]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76] 잔여임기 1년 미만으로 재보궐선거 미실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