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19 14:09:18

에너지경제연구원

파일:국무조정실 흰색 로고.svg 산하 공공기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개발연구원 한국조세재정연구원 대외경제정책연구원 통일연구원
한국형사·
법무정책연구원
한국행정연구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산업연구원 에너지경제연구원
정보통신정책연구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한국노동연구원 한국직업능력연구원 한국해양수산개발원
한국법제연구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한국환경연구원
한국교육개발원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국토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과학기술정책연구원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공공기관 목록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관 정부출연연구기관 (24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1px -16px -11px;"
개발
국제정책대학원*
조세재정 대외경제정책 통일
형사·법무정책 행정 교육과정평가 산업
에너지경제 정보통신정책 보건사회
육아정책*
노동
직업능력 해양수산개발 법제 여성정책
청소년정책 교통 환경 교육개발
농촌경제 국토 과학기술정책 건축공간
* 부설기관
}}}}}}}}} ||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經濟硏究院
Korea Energy Economics Institute (KEEI)
파일:에너지경제연구원 로고.svg
<colcolor=#ffffff> 설립일 <colbgcolor=#fff> 1986년 9월 1일
원장 김현제
주소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11 ( 성안동)
주무기관 국무총리( 국무조정실)
형태 기타공공기관(정부출연연구기관)
파일:에너지경제연구원 로고.svg

1. 개요2. 역사3. 주요 조직 및 연구 현황4. 기타

[clearfix]

1. 개요

국가 에너지· 기후변화 정책연구를 수행, 에너지경제 연구, 국제기구 및 연구기관들과 활동을 공동으로 수행하는 기관.

2. 역사

1981년 1월, 특정연구기관육성법에 의거해서 자원개발연구소와 한국종합에너지연구소를 합쳐서 한국동력자원연구소를 개소했다. (이는 후일 1991년에 다시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으로 나뉜다.) 여기에 한국개발연구원 출신 이회성 박사가 합류해 에너지정책연구부장을 맡는다.

1982년 6월, 서상철 동력자원부장관은 한국동력자원연구소 에너지정책연구부장 이회성[1] 박사를 동력자원부 장관 자문관으로 임명하고, 정책입안 자문과 에너지정책 결정에 있어 전문가의 견해를 반드시 반영하도록 하는 체계를 구축하여 에너지정책의 합리성을 추구함으로서 에너지정책 전문연구기관 태동의 계기가 되었다.

1986년 5월, '에너지경제연구원법'(법률 제3838호)이 제정되어 법적 근거를 갖췄다.

1986년 8월, '에너지경제연구원법 시행령'(대통령령 제11952호)이 공포되었고, 초대 원장으로 이회성이 임명되었다.

1986년 9월,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장안동에서 개원했다. 이렇게 출범한 에너지경제연구원은 설립 후 우리나라 최초로 에너지 중장기 전망과 에너지 안정수급을 위한 정책대안을 제시했다. 에너지와 기후변화 문제의 동질성을 직시하여 기후변화 관련 정책의 필요성을 제기하면서 국내 최초로 에너지·기후변화 정책연구의 서막을 열었다.

1991년 1월, '경기도 의왕시 내손동으로 연구원 청사'로 신축 이전했다. 한국 에너지산업 및 시장의 경쟁 도입, 규제개혁 필요성을 제시하는 한편,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에너지총조사도 최초로 수행하였다.

1999년 1월, '에너지경제연구원법'을 폐지하고, 정부출연연구기관법으로 통합되었다.

2014년 12월,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라 울산 청사로 이전했다.

3. 주요 조직 및 연구 현황

원장실, 부원장실(직속부서 미래전략팀) 산하에 연구조직과 지원조직이 편성되어 있다. 연구조직에는 본부(에너지탄소중립연구본부, 에너지산업연구본부)와 센터(에너지정보통계센터, 에너지국제협력센터)가 각각 2개씩 존재하며, 지원조직은 연구기획조정실과 경영지원실이 있다.

본부는 재생에너지, 기후변화 등을 연구하는 에너지탄소중립연구본부와 석유· 가스 등 전통에너지 중심의 정책을 연구하는 에너지산업본부가 있고 센터는 에너지총조사, 에너지수요 분석·전망 등을 수행하는 에너지정보통계센터와 국제 에너지협력 및 세계 에너지시장 동향을 분석·연구하는 에너지국제협력센터가 있다.

연구조직은 에너지전환, 그린뉴딜, 탄소중립과 관련된 국내·외 정책환경 분석에 중점을 두고 매년 160개 이상의 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매년 상반기에 연구성과 발표회를 개최해 정책고객과 연구성과를 공유하고 전문가 토론을 병행하여 과제에 대한 심도 깊은 의견과 피드백을 주고 받는다. 개원 이래 총 460회가 넘는 세미나, 워크숍, 컨퍼런스, 심포지움 등을 진행하여, 연구 역량 강화에 힘쓰고 궁극적으로 국가 지속성장, 미래 창조, 국민 복리 증진을 위한 정책 개발 활동에 주력한다.

4. 기타

1999년부터 대한민국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매년 실시하는 '연구기관 평가'에서 2005년 '최우수연구기관상', 2009년 '최우수연구기관상', 2013년 '우수연구기관상', 2020년 '우수연구기관상'을 수상했다.

2008년부터 대한민국 한경비즈니스가 매년 실시하는 국내 '100대 싱크탱크 조사'에서 '경제·산업 부문'에서 2020년 19위를 차지했다.

2008년부터 미국 펜실베이니아 대학교의 '싱크탱크와 시민사회 프로그램(TTCSP)'가 격년으로 발표하는 '글로벌 싱크탱크 순위(Global Go To Think Tank Index Report)'에서 세계 에너지·자원 정책부문 싱크탱크에서 2015년 10위, 2017년 6위, 2019년 3위, 2021년 4위를 차지했다.


[1] 이회창의 남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