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a495,#eee {{{+1 나무위키의 규정}}}
|
#fff,#ddd [[나무위키:기본방침|{{{#fff,#ddd 기본방침}}}]] ([[나무위키:기본방침/문서 관리 방침|{{{#fff,#ddd 문서 관리 방침}}}]] · [[나무위키:기본방침/토론 관리 방침|{{{#fff,#ddd 토론 관리 방침}}}]] ·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fff,#ddd 이용자 관리 방침}}}]]) · [[나무위키:편집지침|{{{#fff,#ddd 편집지침}}}]]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fff,#ddd 일반 문서}}}]]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수 문서|{{{#fff,#ddd 특수 문서}}}]] · [[나무위키:편집지침/특정 분야|{{{#fff,#ddd 특정 분야}}}]] · [[나무위키:편집지침/등재 기준|{{{#fff,#ddd 등재 기준}}}]] · [[나무위키:편집지침/표제어|{{{#fff,#ddd 표제어}}}]])
|
#00a495,#eee {{{+1 나무위키의 도움말}}}
|
#fff,#ddd [[나무위키:도움말|{{{#fff,#ddd 도움말}}}]] · [[나무위키:FAQ|{{{#fff,#ddd FAQ}}}]] · [[나무위키:기능 도움말|{{{#fff,#ddd 기능 도움말}}}]] · [[나무위키:편집 도움말|{{{#fff,#ddd 편집 도움말}}}]] · [[나무위키:문법 도움말|{{{#fff,#ddd 문법 도움말}}}]] · [[나무위키:토론 도움말|{{{#fff,#ddd 토론 도움말}}}]] · [[나무위키:스킨 도움말|{{{#fff,#ddd 스킨 도움말}}}]] · [[나무위키:소명 도움말|{{{#fff,#ddd 소명 도움말}}}]] · [[나무위키:권리침해 도움말|{{{#fff,#ddd 권리침해 도움말}}}]] · [[나무위키:게시판 도움말|{{{#fff,#ddd 게시판 도움말}}}]] · [[나무위키:문서 삭제식 이동|{{{#fff,#ddd 문서 삭제식 이동}}}]] · [[나무위키:다른 위키와의 차이점|{{{#fff,#ddd 다른 위키와의 차이점}}}]]
|
#00a495,#eee {{{+1 나무위키의 운영}}}
|
#fff,#ddd [[나무위키:관리자|{{{#fff,#ddd 관리자}}}]] · [[나무위키:중재자|{{{#fff,#ddd 중재자}}}]] · [[나무위키:운영진 지원|{{{#fff,#ddd 운영진 지원}}}]] · [[나무위키:관리 도움말|{{{#fff,#ddd 관리 도움말}}}]] · [[나무위키:중재 도움말|{{{#fff,#ddd 중재 도움말}}}]] · [[나무위키:운영진 권한 도움말|{{{#fff,#ddd 운영진 권한 도움말}}}]] · [[나무위키:접근 제한|{{{#fff,#ddd 접근 제한}}}]] ([[나무위키:접근 제한/문서 목록|{{{#fff,#ddd 문서 목록}}}]]) · [[나무위키:운영회의|{{{#fff,#ddd 운영회의}}}]] ([[나무위키:운영회의/안건 건의|{{{#fff,#ddd 안건 건의}}}]]) · [[나무위키:운영진 임명 회의|{{{#fff,#ddd 운영진 임명 회의}}}]]ㆍ[[나무위키:투명성 보고서|{{{#fff,#ddd 투명성 보고서}}}]]
|
#00a495,#eee {{{+1 나무위키의 기능}}}
|
#fff,#ddd [[나무위키:게시판|{{{#fff,#ddd 게시판}}}]] · [[the seed|{{{#fff,#ddd 엔진}}}]] [[the seed/업데이트|{{{#fff,#ddd (업데이트)}}}]] · [[나무위키:통계|{{{#fff,#ddd 통계}}}]] · [[나무위키:데이터베이스 덤프|{{{#fff,#ddd 데이터베이스 덤프}}}]] · [[나무위키:연습장|{{{#fff,#ddd 연습장}}}]] · [[나무위키:내 문서함|{{{#fff,#ddd 내 문서함}}}]] · [[나무위키:문서 작성 요청|{{{#fff,#ddd 문서 작성 요청}}}]]
|
#00a495,#eee {{{+1 나무위키의 분류}}}
|
#fff,#ddd [[나무위키:프로젝트|{{{#fff,#ddd 프로젝트}}}]] · [[나무위키:주요 페이지 링크|{{{#fff,#ddd 주요 페이지 링크}}}]] · [[나무위키:보존문서|{{{#fff,#ddd 보존문서}}}]] · [[:분류:파일|{{{#fff,#ddd 파일}}}]] · [[나무위키:틀|{{{#fff,#ddd 틀}}}]] · [[:분류:템플릿|{{{#fff,#ddd 템플릿}}}]]
|
1. 개요
나무위키에 2018년 9월 20일에 새롭게 추가된 일종의 문서 즐겨찾기 기능이다. 자신이 기여하고 싶거나 주로 기여하는, 또는 관심 있는 문서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이라고 할 수 있으며 로그인한 사용자만 이용할 수 있다.2. 사용법
|
→ |
|
전 | 후 |
비로그인 상태에서 별표를 클릭하면 로그인 화면으로 이동하며, 이때 로그인한 계정의 문서함에 이미 해당 문서가 있으면 'already_starred_document'라는 오류가 발생한다.
문서 목록은 최근에 편집된 순서대로 정리되며, 최근 편집 일자가 함께 표시된다.
https://namu.wiki/member/star/(문서명)
, https://namu.wiki/member/unstar/(문서명)
을 주소창에 입력하여 내 문서함에 문서를 추가/해제할 수도 있다.3. 다른 위키에서
미디어위키 기반 위키에서는 '주시 문서' 기능이 존재하며, 기본적으로는 문서 편집시 자동으로 지정된다. 주시 문서들의 수정 내역을 모아서 볼 수 있고, 문서가 수정될 경우 이메일로 알려주는 기능도 있다.4. 주요 문서들의 별 개수
대한민국 대통령이나 인기 연예인, 나무위키 관련 문서 등 사람들의 관심이 많은 것들에 관한 문서는 ' 별'을 받은 개수가 확실히 많은 편이다.2018년 10월 25일, 나무위키:대문 문서가 1500개를 돌파했다. 문서함 기능 추가 후 35일 만에 돌파한 셈이다.
2018년 마지막날 12월 31일엔 2222개(...)를 기록했다.
2019년 3월 11일 3000개를 기록했다. 2019년 7월 5일 4000개를 기록했다. 2019년 10월 13일 5000개를 기록했다.
2019년 6월 30일 대한민국 문서가 일반 문서 최초로 내 문서함 100개를 달성했다. 2019년 11월 26일 기준 대한민국[1], 나무위키[2][3] , IZ*ONE, 나무위키:문법 도움말 문서가 각각 140개, 120개, 116개, 103개를 기록하여 대문을 제외한 문서 전체에서 1, 2, 3, 4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이외에 신태용호/2018 FIFA 월드컵 러시아/독일전[4] 문서가 72개를 기록하고 있고, 모양이 ☆이라서 그런지 별 문서에도 75개나 되는 '별'이 있다.[5]
분야별로 '별'이 많은 문서들은 나열하면 대략 다음과 같다. 다만, '별' 개수가 많은 순서대로 문서를 정렬하는 기능은 없고 일일이 문서에 들어가서 확인해 봐야 얻을 수 있으므로, 이러한 정보는 전수 조사를 하지 않은 이상 틀렸을 가능성도 있다. 만약 잘못된 정보가 있다면 수정 바람.
- 대한민국 대통령 문서들 중에선 노무현 문서가 67개로 1위, 현직 대통령 문재인 문서가 61개로 2위를 기록하여, 3위( 박정희, 37개) 이하의 다른 대통령 문서들에 비해 개수가 두드러지게 많다.
- 아이돌 그룹 문서 중에선 상술한 IZ*ONE 문서의 별이 가장 많으며, TWICE(57개), 방탄소년단(49개), 레드벨벳(36개) 순으로 차순위를 보이고 있다.
- 가수, 배우, 그룹 멤버 등을 포함한 개별 연예인 문서 중에선 아이유[6]가 58개로 1위, 미야와키 사쿠라와 설리(배우)[7]가 각각 46개, 41개로 2,3위의 별을 보유하고 있다.
-
대한민국 지역 문서 중에선
예상되다시피서울특별시가 46개로 1위이다. - 대한민국 이외의 국가 문서 중에선 미국이 66개로 1위, 일본이 60개로 2위, 중국이 33개로 3위다.
- 개별 사건사고 문서 중에서는 한일 무역 분쟁이 59개로 가장 많은 별을 받았다. 그 다음으론 트위치 스트리머 성추행 의혹 및 FEVER 퇴출 논란 문서가 희한하게도 56개이다. 그외 2019년 인터넷 검열 논란(46개), 2019년 일본 상품 불매운동(38개), 버닝썬 게이트(31개), 2019년 고성-속초 산불(29개) 문서도 상당히 많은 편에 속한다. 내 문서함 기능이 지원 시작된 시점이 2018년 9월이다보니 아무래도 그 이후에 벌어진 사건사고 문서들에 별이 몰려 있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이슈 발생 직후에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이후에는 정체되는 경향이 강하다.
- 개별 인물의 하위 문서로서 존재하는 비판과 논란 문서 중에는 황교익/비판과 논란 문서가 28개로 압도적인 별을 받았다. 의외로 대통령이나 거물급 정치인의 비판과 논란 문서 중에는 10개를 넘긴 것도 찾기 어렵다. 비인물의 하위 문서로서 존재하는 비판과 논란 문서 중에서는 나무위키/비판 문서가 23개의 별을 받았다.
- 동물 문서 중에선 무슨 이유에서인지 고양이가 63개로 압도적이고, 개(20개), 범고래(19개)가 다음으로 많다.
- 영화 문서 중에는 어벤져스: 엔드게임이 74개라는 압도적인 별을 받았고, 조커(2019), 기생충(영화) 문서도 35개, 33개의 별을 받았다.
-
나무위키 네임스페이스에 속한 문서 중에는
당연히나무위키:대문이 초월적인 1위, 상술한 나무위키:문법 도움말(103개)이 3위와 큰 차이로 2위이고, 공동 3위는 나무위키:편집지침/일반 문서와 나무위키:기본방침/이용자 관리 방침(각 31개) 문서이다.
[1]
증가 속도가 많이 가파르다. 2019년 7,8월 두 달 동안에만 20개의 별을 추가로 받았다!
[2]
2019년 9월말에 100개를 돌파했다.
[3]
IZ*ONE 문서에 한때 밀려 3위였다가 2019년 10월 20일경에 역전했다.
[4]
과거의 문서명은
카잔의 기적이었으나 사측 관리자에 의해 변경되었다.
[5]
'별'을 많이 받은 다른 문서들은 편집 내역 수(리비전 수)가 몇천 개 이상인 데 비해 이 문서는 400개밖에 안 됨에도 불구하고 유난히 내 문서함 지정이 많다.
[6]
2019년 7월말~11월말 4개월 사이에 34개에서 58개까지 상승하여 증가 속도가 매우 빠른 편.
[7]
안타까운 사건이 발생한 후 별 개수가 급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