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9 14:07:09

쿠르드어

쿠르드어
Zimanê Kurdî / زمانی کوردی
Kurdish
파일:쿠르드어방언지도.png
<colcolor=#fff><colbgcolor=#65a7da> 유형 교착어
서자방향 좌횡서 ( 쿠르만지)
우횡서 ( 소라니, 페흘레와니)
문자 쿠르만지 문자
소라니 문자 (소라니, 페흘레와니)
주요 사용 지역 튀르키예, 시리아, 이란, 이라크
원어민 약 3,000만 명
계통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
서이란어군
북서이란어군
쿠르드어
언어
코드
<colcolor=#fff><colbgcolor=#75b5e7> ISO 639-1 ku
ISO 639-2 kur
ISO 639-3 kur
Namuwiki, Dara zanîna ku em bi hev re dibin. ( 쿠르만지어)
نامووک، دارا زانینا کو ئەم ب ھەڤ رە دبن.
نامووویکی، ئەو درەختەی زانین کە تۆ دەیچێنیت. ( 소라니어)
Namuwiki, Aeu direxiei zanin ke to deichênit.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구분3. 발음4. 문법
4.1. 소라니어
5. 어휘 비교6. 언어별 명칭

[clearfix]

1. 개요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이란어군에 속하는 쿠르드인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튀르키예 남동부( 북쿠르디스탄), 이라크 북부( 이라크 쿠르디스탄), 시리아 북부, 이란 남서부를 중심으로 화자가 분포되어 있다. 위 4개국 중 이라크[1]를 제외한 다른 나라들은 쿠르드어를 공용어로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 정확한 화자수는 파악하기 어렵고 비공식적인 통계로 쿠르만지 방언과 소라니 방언을 합친 쿠르드어 화자가 대략 2,000~3,000만 명 정도, 자자어 사용자가 250만 명 정도로 추산된다고 한다.

2. 구분

지역에 따라 언어 차이가 굉장히 크다. 흔히 쿠르드어로 뭉뚱 그려서 말하지만 위 지도에서 노란색으로 칠해진 자자어(Zazaki)가 일단 구분되고, 위 지도에서 붉은 색들로 칠해진 북부의 쿠르만지(Kurmancî), 중부의 소라니(Soranî), 남부의 페흘레와니(Pehlewanî)로 이루어져 있다. 이 중 자자어의 경우 다른 쿠르드어와 차이도 심해 언어적으로는 별개 언어로 구분하며 가장 많은 화자수를 가진 방언은 쿠르만지어이다. 표기하는 문자도 제각각이라 튀르키예와 아제르바이잔에서는 라틴 문자로, 이라크와 이란에서는 페르시아어와 같이 기존 아랍 문자에서 4글자를 더 추가한 글자로, 아르메니아를 비롯해 구소련 지역에 잔존하고 있는 쿠르드인들은 키릴 문자를 사용해서 표기하고 있다.

정치적으로, 문화적으로 쿠르드인은 부족단위로 갈라져 있으며 특히 북쿠르디스탄에 속한 튀르키예 남동부의 디야르바크르, 툰젤리, 빈괼 일대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자자인과 쿠르만지인은 서로를 동족으로 여기지 않기 때문에 별개 언어로 구분하는 게 보통이다. 심지어 같은 쿠르만지 방언 내에서도 지역별 차이가 매우 심해서 쿠르만지 방언을 쓰는 쿠르드인이 거주하는 지역중 최서단과 최동단인 아드야만(Adıyaman) 출신 쿠르드인과 반(Van) 출신의 쿠르드인이 자신의 방언으로 대화를 하려 하면 거의 통하지도 않는다. 통일된 언어체계 또한 존재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언론 매체에서는 디야르바크르[2] 지방의 쿠르드어를 표준어로 밀고 있으며 튀르키예 내의 쿠르드인들도 점차 디야르바크르식 쿠르드어를 배우는 추세이다. 이 문서는 주로 가장 많은 화자수를 가진 쿠르만지 쿠르드어의 특징을 서술한다.

일반적으로 쿠르드어는 페르시아어와 비슷하다고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문법적 구조나 기초어휘를 따져보면 페르시아어와는 꽤나 다르다.[3] 명사의 성이 소멸되고 명사의 굴절도 완전히 사라진 페르시아어와 달리 쿠르드어에는 문법적 성이 남아있고 명사의 굴절도 존재한다.

고대부터 수메르어 'guti' 라든가 쿠르드족 혹은 그 조상들이 그 지역에 뿌리내렸다는 기록이 발견된 데다가, 심지어 일부 어휘들이 쿠르드어와 수메르어가 겹치기 때문에 쿠르드족은 자신들이 수메르의 직계 후손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쿠르드족의 조상인 인도유럽어계 이주민들이 선주민의 영향을 받았을 수도 있다.

2.1. 방언

2.1.1. 쿠르만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쿠르만지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북부 쿠르드어

2.1.2. 소라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라니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중앙 쿠르드어

2.1.3. 페흘레와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페흘레와니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남부 쿠르드어

3. 발음

소라니 쿠르드어를 기반으로 한 영상 'ڕوخۆشبە'으로, 원본 영상은 아랍어로 되어 있어 등장인물의 입 모양이 아랍어에 맞춰 있다.
쿠르드어 로마자 표기법은 튀르키예어 정서법과 비슷하면서도 다른 글자가 여럿이 있다. 다만 튀르키예어와 쿠르드어의 음운 차이가 있다 보니 몇 가지 차이가 있다.

일단 튀르키예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글자로 Q, W, X의 세 글자가 사용되는데, q의 경우 무성 구개수 파열음으로, k와 비슷하나 좀 더 깊은 위치에서 발음된다. w의 경우 영어 w와 똑같고, x의 경우 독일어 ch, 러시아어 х와 같은 무성 연구개 마찰음이다.

모음의 경우 장단이 있고 모음조화가 없는 등 튀르키예어와 차이가 있다. 쿠르만지어는 a, e, ê, i, î, o, u, û[4]의 8개 모음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위에 삿갓 모양이 붙은 것들은 길게 읽는다. 모음 i /ɪ/는 튀르키예어 i보다는 러시아어 ы 비슷하게 'ㅣ'와 'ㅡ' 중간쯤 되는 발음이고, ê /e/ 역시 'ㅔ'와 'ㅣ' 중간쯤 되는 발음이다.

쿠르드어에서는 xwe-[5]로 시작되는 단어가 굉장히 많이 나오는데 이때는 전부 다 발음해서 "흐웨"라고 발음한다.

알파벳에는 반영되지 않으나, 몇몇 북부 방언에는 한국어와 비슷한 거센소리 된소리의 구별이 존재한다.

4. 문법

페르시아어와 마찬가지로 주어+목적어+동사로 수식하며, 동사는 인칭, 수에 따라 굴절한다. 페르시아어와 달리 인도유럽어족의 특징인 명사의 문법적 성을 보존하고 있으며, 소라니어를 제외한 쿠르드어군 언어에는 여전히 3개의 문법적 성이 남아 있다.

쿠르드어는 명사의 성을 추측할 수 있는 지표가 딱히 없어 어미만으로는 명사의 성을 추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1차적으로는 자연성을 따르며, 남성이나 여성에 관련된 것이면 해당 성을 따르고, 외래어일 경우 대체로 여성 명사로 차용하며, 지명은 대부분 여성 명사로 취급한다.

쿠르드어와 페르시아어와 유사하다고 받아들여지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현대 페르시아어의 가장 큰 문법적, 음운적 특징인 에저페(اضافه)를 쿠르드어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쿠르드어의 에저페는 페르시아어의 에저페보다 더 많은 기능을 가지고 있고,[6] 한정 명사인지 비한정 명사인지, 여성 명사인지 남성 명사인지, 단수인지 복수인지에 따라 에저페의 모양이 다 다르다. 정확히 말하면 쿠르드어의 에저페는 인도유럽어족에서 흔히 나타나는 명사 굴절의 일종이다.

또한 쿠르드어는 영어처럼 복수 인칭 대명사의 동사 형태를 하나로 통일해버렸다. 영어의 be 동사는 모든 복수 인칭 대명사들이 are로 변화하는데, 쿠르드어도 이와 유사하게 복수 대명사인 우리(Em), 너희/당신(Hûn), 그들(Ew)이 모두 똑같이 in으로 변화한다.[7] 모든 인칭이 서로 다른 형태로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페르시아어와는 다른 부분이다.

쿠르드어에서는 분열 능격성(split ergativity)이 나타난다. 분열 능격성은 인도유럽어족 인도이란어파 언어가 흔히[8] 띠는 성질로, 대체로 타동사가 현재 시제일 때는 주격-대격 유형, 과거 시제일 때는 능격-절대격 유형으로 일치하는 현상이다. 쿠르드어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쉽게 말하면, 현재 시제일 때 쿠르드어 동사는 주어(주격)의 인칭과 수에 일치하고, 과거 시제일 때 쿠르드어 동사는 목적어(절대격)의 인칭과 수에 일치해야 한다.

쿠르만지 방언 예시>
Em Kurd in.
우리는 쿠르드인이다.
Tu Kurdî zanî?
쿠르드어 아니? [9]
Na, Ez Kurd im, lê kurdî ne zanim.
아니, 쿠르드인이지만 쿠르드어는 몰라.
Navê[10] te çi ye?
이름이 뭐니?
Navê min Azad e[11].
이름은 아자드야.
Navê te Rojda ye?[12]
이름은 로주다지?
Erê, Navê min Rojdaye û xwendekar im.
응, 내 이름은 로주다고, 학생이야.

4.1. 소라니어

중부의 소라니어에서는 문법적 성이 사실상 소멸 단계에 있다. 대상을 지니할 때 접미사인 -m, -i 등을 쓰며, 대표적인 예로 1인칭 min 뒤에 붙는 명사에 -m을 붙이거나, 3인칭 명사 뒤에 붙은 다른 명사에 -i를 붙은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이 때 접미사 -m는 -m가 붙는 명사가 자음으로 끝나도 종성으로 취급된다.

5. 어휘 비교

쿠르만지어 소라니어 자자어 페르시아어 영어 러시아어 튀르키예어 한국어
Gir/Mezin Gewre/Mezin Gird / pil Gonde great Великий büyük 위대한/큰
Erd Herd Hard Zamin Earth Земля Zemin 땅,지구
Hêk Hêlke[13] Heq Tokhm-e-Morgh Egg Яйцо Yumurta 달걀
Bilind Bilind/Berz Berz Boland High Высокий Yüksek 높은
Masî Masî Mase Mâhi Fish Рыба Balık 물고기
Roj/Hetav Roj/Hetaw/Xor Rej Xor-shid/Âftâb Sun Солнце Güneş 태양
Av Aw Awe Âb Water Вода Su
Bîhar Behar Wisar Bahâr Spring Весна Bahar
Tarî Tarîk Tarî Tarik Dark Темнота Karanlık 어둠
Dev Dem Fek Dahân Moon Луна Ay
Şev Şew Şewe Shab Night Ночь Gece
Ziman Ziman/Ziwan Zun/Zonê Zabân Language Язык Dil 언어

6. 언어별 명칭

<colbgcolor=#65a7da,#65a7da> 언어별 명칭
쿠르드어 Zimanê Kurdî(쿠르만지 방언)
زمانی کوردی (Zimanî Kurdî)(소라니 방언)
한국어 쿠르드어
러시아어 Курдский язык
아랍어 اللغة الكردية
자자어 Kurdki
중국어 库尔德语
페르시아어 زبان کردی


[1] 사담 후세인은 쿠르드족을 강하게 탄압했으나, 이라크 전쟁으로 후세인이 쫓겨난 이후 쿠르드어가 아랍어와 함께 공용어 지위를 얻게 되었다. [2] 흔히 쿠르디스탄의 수도로 불리는 지역이다. 쿠르드어로는 디야르베키르 혹은 아메드라고 부른다. [3] 같은 어군에 속하기는 한다. [4] 다만 몇몇 방언들에서는 튀르키예어 특유의 ı,ö,ü모음도 잘만 쓰인다. [5] 페르시아어에서 종종 등장하는 음소인 خوا(khâ)와 같은 발음이었던 것으로 보이나 페르시아어에서는 이 발음이 표기상으로만 남고 خا(khâ)로 읽히고 있다. [6] 쿠르드어의 에저페는 대명사처럼 단독으로 쓰일 수도 있다. [7] 앞선 단어가 모음으로 끝나는 경우에 한해 ne로 변한다. [8] 현대 페르시아어 벵골어 등은 예외다. [9] 이 동사변화는 지방마다 또 다르다. 위 예시는 표준 쿠르만지 쿠르드어이며, 학캬리에서는 2인칭을 -a로 변화시킨다. 즉 Tu Kurdî zana? 가 된다. [10] 원형태는 Nav로, 남성 명사이기 때문에 남성형 에저페인 ê가 붙었다. 여성 명사라면 a가 붙어야 한다. [11] 쿠르드어의 e는 프랑스어의 est, 이탈리아어의 è, 구어체 페르시아어의 است와 같다. [12] 골때리는게 튀르키예의 쿠르드어는 튀르키예어의 영향을 받아 튀르키예어처럼 모음조화를 하기도 한다. 이때는 Rojda의 a와 조화해 Navê te Rojda ya?가 된다. [13] ھێلکە.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3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