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20:47:07

슬론 장성


''' 항성 은하천문학· 우주론'''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항성천문학
측광학 광도 · 별의 등급
항성
( )
<colbgcolor=RoyalBlue><colcolor=#fff>속성 변광성 · 색등급도 · 별의 종족
항성계 다중성계( 쌍성) · 성단( 산개성단의 분류 · 섀플리-소여 집중도 분류 · 청색 낙오성) · 성군
항성 진화 주계열 이전 단계
( 보크 구상체 · 진스 불안정성 · 하야시 경로 · 황소자리 T형 별 · 원시 행성계 원반)
주계열성 주계열성의 단계
주계열성의 종류 M형
K형 · G형
F형 · A형
B형 · O형
주계열 이후
항성 분류 준왜성( 차가운 준왜성 · O형 준왜성 · B형 준왜성) · 탄소별( C형( CR 별 · CN 별 · CH 별) · S형 별) · 특이별( Am 별 · Am/Fm 별 · Ap/Bp 별 · CEMP 별 · HgMn 별 · 헬륨선 별( 강한 헬륨선 별 · 약한 헬륨선 별) · 바륨 별 · 목동자리 람다 별 · 납 별 · 테크네튬 별) · Be 별( 껍질 별 · B[e]별) · 헬륨 별( 극헬륨 별) · 초대질량 항성( 쿼시 별) · 섬광성
밀집성 백색왜성( 신성 · 찬드라세카르 한계) · 중성자별( 뉴트로늄 · 기묘체) · 블랙홀( 에딩턴 광도)
갈색왜성 갈색왜성의 형성 과정
갈색왜성의 단계
갈색왜성의 종류 Y형 · T형 · L형
갈색왜성의 이후 진화
분류법 여키스 분류법 · 하버드 분류법
은하천문학
기본 개념 은하( 분류) · 활동은하핵( 퀘이사) · 위성은하 · 원시은하( 허블 딥 필드) · 툴리-피셔 관계 · 페이버-잭슨 관계 · 헤일로( 암흑 헤일로)
우주 거대 구조 은하군 · 은하단 · 머리털자리 은하단 · 페르세우스자리-물고기자리 초은하단( 페르세우스자리 은하단) · 섀플리 초은하단 · 슬론 장성 · 헤르쿨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
우리 은하 은하수 · 록맨홀 · 페르미 거품 · 국부 은하군( 안드로메다은하 · 삼각형자리 은하 · 마젤란은하( 대마젤란 은하 · 소마젤란 은하) · 밀코메다) · 국부 시트 · 처녀자리 초은하단( 처녀자리 은하단) · 라니아케아 초은하단( 화로자리 은하단 · 에리다누스자리 은하단 · 센타우루스자리 은하단 · 거대 인력체) · 물고기자리-고래자리 복합 초은하단
성간물질 성운( 전리수소영역 · 행성상성운 · 통합 플럭스 성운) · 패러데이 회전
우주론
기본 개념 허블-르메트르 법칙 · 프리드만 방정식 · 우주 상수 · 빅뱅 우주론 · 인플레이션 우주론 · 표준 우주 모형 · 우주원리 · 암흑 물질 · 암흑에너지 · 디지털 물리학( 시뮬레이션 우주 가설) · 평행우주 · 다중우주 · 오메가 포인트 이론 · 홀로그램 우주론
우주의 역사와 미래 우주 달력 · 플랑크 시대 · 우주배경복사( 악의 축) · 재이온화 · 빅 크런치 · 빅 립 · 빅 프리즈
틀:천문학 · 틀:태양계천문학·행성과학 · 천문학 관련 정보
}}}}}}}}} ||
슬론 장성
Sloan Great Wall
파일:Sloan-sky-map-color.jpg
[설명]
1. 개요2. 상세3. 여담4. 관련 문서

1. 개요

Sloan Great Wall(SGW)/슬론 장성

슬론 장성은 우리 은하 주변에 존재하는 우주 거대 구조 중 하나로, 3차원 은하 지도 제작 프로젝트인 슬론 디지털 전천탐사 (Sloan Digital Sky Survey, SDSS)에 의해 2003년에 발견되었다.

최초로 발견된 우주 장성이자 그 당시까지 우주 최대의 구조였던 CfA2 장성의 2배에 달하는 크기로 당시 주목받았다. 이후 인류의 관측 영역이 넓어지면서 퀘이사로 이루어진 거대 구조인 LQG 부터 시작해 더 큰 구조들이 발견되어 우주 최대 구조의 타이틀에서는 물러난 상태. 그래도 크기가 14억 광년이 조금 안되는 크기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것도 우주 기준에서 봤을 때 어마어마하게 큰 구조이다.[2] 하지만 현재 발견된 가장 큰 우주 구조인 헤라클레스자리-북쪽왕관자리 장성에 비해서는 1/7에 불과한 크기이기도 하다.

2. 상세

지구로 부터는 10억 광년 정도 떨어져 있으며, SGW 초은하단(SCI 126), SCl 019, SCI 017, SCI 111 초은하단등의 여러 초은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총 질량은 2.5 태양질량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는 중이다.

2011년 논문에 따르면, 슬론 장성을 구성하는 초은하단[3]들의 밀도, 형태학적 차이, BRG(밝은 적색 은하)의 분포와 활동성, 구성 은하중 BRG의 비율등의 특성이 전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면서, 슬론 장성을 구성하는 여러 초은하단들의 기원과 형성과정이 다르고, 슬론 장성이라고 이름 붙여진 구조는 별개의 초은하단들이 나열된 구조일 뿐이라고 한다.

3. 여담

우리 은하 근처에 존재하는 상당히 큰 은하 군집이지만 일반인들에게는 인지도가 별로 없는 우주 구조에 속한다. 전공책에서도 그림 하나 정도에서 등장하고 이후 언급이 없는 수준이다.

4. 관련 문서


[설명] 우리 은하 주변의 은하들의 분포를 표현한 지도. 가운데 연두색으로 은하들이 뭉쳐 있는 구역이 슬론 장성이다. [2] 관측 가능한 우주의 직경인 930억 광년의 1/65 정도가 된다. [3] 논문에서는 SCI 126과 SCI 111 초은하단의 값을 이용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