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1 01:38:45

M39 수류탄


1. 상세2. 제원3. 개발4. 운용5. 장점6. 단점7. 매체에서8. 둘러보기

1. 상세

파일:grenade_model_39_eihandgranaten-1.jpg
M39 수류탄의 구조도

M39 Eihandgranate. 라 불리는 독일 국방군의 제식 수류탄이다. Eihandgranate(아이한트그라나테)는 달갈 수류탄의 독일어로 Eierhandgranate로 표기하기도 한다.

2. 제원

구분 상세
형식 수류탄
개발 1939년
양산 1940년
중량 230g
전장 76mm
지름 60mm
내부작약 Donarit(도나리트) 112g
지연신관 즉발 및 1초, 4.5초, 7.5초, 10초 지연
운용기간 1940년 ~ 1945년
사용국가 나치 독일
생산량 8420만개

3. 개발

원래 독일군은 MP40과 함께 자신들의 상징이나 다름없는 막대형 수류탄을 사용했으나, 이게 실전에서는 워낙 길고 무거워 휴대가 불편하다는 심각한 문제를 가지고 있었다. 매체에선 워낙 잘 날라가서 생긴 오해인데, 수류탄이란 물건은 기본적으로 통짜 금속으로 만들어진 거라 생각보다 묵직하다. 게다가 막대형 수류탄은 손잡이까지 기본으로 달려있어 가벼운 무기를 선호하는 일반 징집병들에겐 더욱 무게감이 느껴졌을 것이다.

그래서 타국처럼 계란형 슈류탄을 보급했는데 특이하게 지연신관식이 아닌 기존에 막대형 수류탄처럼 발화끈으로 작동되게 만들어졌다. 이는 이게 막대형 수류탄을 아예 대체하려고 만든 게 아닌 병용하기 위해서 만들어진 물건이었기 때문에 제조 공정에서 확일화를 위한 선택이었다. 독일군은 막대형 수류탄의 문제점을 이미 인식하고 있었지만, 계란형 수류탄보다 던지기 편하고 멀리 날아간다는 장점 탓에 포기할 생각이 없었다.

또한 유사시 부비트랩으로 쉽게 만들려는 목적도 있었다고 한다. 신관이 여러 종류로 설정된 것이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기도 히다.

이런 이유로 인해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 제국이 운용했던 M17 계란형 수류탄등을 참고하여 1939년에 개발한 후 1940년부터 대량양산에 들어가게 된다.

4. 운용

막대형 수류탄을 보조하는 역할 겸 대량으로 수류탄이 필요할 때 쉽게 휴대하려고 만들었기 때문에 제조에 프레스 공정이 들어갔으며 중량도 가볍고 크기도 작게 만들어서 생산량이 8420만개에 도달했다. 이는 막대형 수류탄의 7550만개를 능가하는 생산량 숫자다.

수류탄 상단에는 막대형 수류탄과 공용화된 신관이 장착되는데 투척 직전에 상부에 있는 마개를 돌려서 열고 끈을 잡아당기는 형식으로 마찰식 발화를 후에 목표에 던지는 식으로 운용했다.

그리고 BZ39 신관으로 불리지만 세부 항목으로 다양한 종류의 신관을 운용해서 여러 용도에 사용하였다. 구분법은 신관 캡에 색칠된 페인트 색상으로 구분한다.
신관 색상 지연시간 용도
적색 1.0초 연막 수류탄 및 부비트랩용
청색 4.5초 일반 수류탄용
황색 7.5초 Hafthohlladung 3 이라고 부르는 자기폭탄용
회색 즉시폭발 폭파해체용 및 부비트랩용

그 외에 휴대성 향상을 위해 위의 사진에 나오는 초기형과 다르게 후기형은 마개가 전투나 행진 중 우연히 돌려져서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 작은 날개 같은 것이 달려 있었으며, 군복 고리에 걸기 위해 수류탄 하부에 금속 링도 달려 있었다.

전쟁 말기에는 구식포탄의 불필요한 구식 내부작약을 수거해서 PET TNT을 혼합해서 굳힌 니포리트형이라는 전체가 폭약덩어리인 M39 수류탄도 프로토타입으로 만들어지기도 했다. 해당 형식의 중량은 250g으로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데다가 기존 재고품의 재활용이고 개발시기가 너무 늦어서 실제 사용은 하지 못하고 끝났다.

5. 장점

전반적으로 양호한 평가를 받으면서 전쟁이 끝날 때까지 사용되었다.

6. 단점

전쟁 중에는 유용하게 사용되었으나 결국 전쟁이 끝난 후에 퇴출된 이유가 존재했다.

그 외에도 워낙 매끈하게 만들어져서 손에서 미끄러지지 말라고 금속제 링 구조물을 수류탄 동체에 부착해놓았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종 투척시 손아귀에서 빠져나가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했고 집속수류탄 제조시에 추가되는 탄두로 쓰려고 해도 형상 자체가 끈으로 묶기가 너무 어려워서 사용이 어려웠다는 식의 사소한 결점도 존재하였다.

7. 매체에서

그 간단한 형태 때문에 전쟁 후반에 가면 막대형보다 많이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멀리서 보면 타국의 수류탄과 구분이 힘들다는 점 탓에 매체에서 등장은 드문 편이다.

8.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나치 독일군의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Gew71V, Gew88/05V, Gew98, Kar98b, Kar98k, VG1V, VG2V, VG3V, VG4V, VG5V
반자동소총 G41, G43, MP507V
자동소총 FG42, MKb42, MP43, StG44
컴비네이션 건 M30
기관단총 MP18, MP28, M712, MP35, EMP35, MP38, MP40, MP41, EMP44V, MP3008V
권총 M1883, C96, M1907V, P08, M1915, PPK, M1934, 38H, P38, HSc, 국민권총V,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600/43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MG08/15, MG15nAV, MG13, VMG27, MG30, MG35/36
중기관총 MG08, MG15, MG34, MG42, MG81
대전차화기 대전차 소총 M1918V, PzB 38/39, PzB M.SS.41, S-18
대전차 로켓 파우스트파트로네 30, 판처파우스트 30/60/100/150, 라케텐판처뷕세 43, 54, 54/1
기타 대전차 권총, H3, H3.5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35, 플라멘베르퍼 41/42
박격포 8cm 그라나트베르퍼 34/42, 5cm 그라나트베르퍼 36, 12cm 그라나트베프퍼 42, 10cm 네벨베르퍼 35/40
맨패즈 플리거파우스트
유탄 M24, N39, M43, M39, GrB 39, 게베어그라나텐게레트
지뢰 S미네
노획무기 오스트리아 P12(ö), G29/40(ö), Gew95(ö), MP34(ö), MG07/12(ö), 8.14cm GrW33(ö)
헝가리 Gew98/40(u), P37(u)
체코슬로바키아 Gew95(t) Gew24(t), Gew33(t), Gew33/40(t),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ZH-29, ZK-383, P24(t), P27(t), P39(t), MG26(t) ,MG30(t), MG37(t), 8cm GrW36(t), 8.14cm GrW278(t)
폴란드 Gew29(p), Gew298(p), Gew98(p), Gew299(p), Kar493(p), Kar497(p), Wz.38M, R612(p), P35(p), P645(p), MG28(p), MG154/1(p), MG154/2(p), MG30(p), MG249(p), MG238(p), MG257(p), MG248(p), PzB770(p), 4.6cm GrW36(p), 8.14cm GrW31(p)
노르웨이 Gew211(n), Gew213(n), Kar411(n), Kar412(n), Kar413(n), Kar414(n), R610(n), P657(n), MG102(n), MG103(n), MG201(n), MG240(n), MG245/1(n), MG245/2(n)
덴마크 Gew311(d), Kar506(d),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6(d), P644(d), MP741(d), MP746(d), MG158(d), MG159(d), MG258(d), 8.14cm GrW275(d)
벨기에 Gew220(b), Kar420(b), Gew261(b), Gew263(b), Kar451(b), Kar453(b), P620(b), P621(b), P622(b), P626(b), P641(b), P640(b), MP740(b), MG125(b), MG126(b), MG127(b), MG220(b), MG221(b), MG222(b), 5cm GrW201(b)
네덜란드 Gew211(h), Gew212(h), Kar411(h), Kar412(h), Kar413(h), Kar414(h), P626(h), P641(h), MG100(h), MG241(h), MG242(h), MG243(h), MG244(h), MG231(h), PzB785(h), 8.14cm GrW278(h), 8.14cm GrW279(h), 8.14cm GrW286(h)
프랑스 Gew361(f), Kar561(f), Gew301(f), Gew303(f), Gew241(f), Gew302(f), Gew304(f), Gew305(f), Kar551(f), Kar552(f), Kar553(f), Gew242(f), Gew310(f), P623(f), P624(f), P625(f), MAB D, P647(f), P642(f), R654(f), R637(f), R634(f), R635(f), MP722(f), MP740(f), MP761(f), MG105(f), MG106(f), MG115(f), MG116(f), MG331(f), MG331(f), MG156(f), MG157(f), MG256(f), MG257(f), MG271(f), 5cm GrW203(f), 6cm GrW225(f), 8.14cm GrW278(f)
영국 Gew248(e), Gew280(e), Gew281(e), Gew281/2(e), Gew283(e), Gew283/2(e), Gew282(e), Gew282/3(e), R646(e), R655(e), MP748(e), MP749(e), MP750(e), MP751(e), MP752(e), MP760(e), MP760/2(e), MP761(e), MG135(e), MG136(e), MG137(e), MG138(e), MG230(e), MG341(e), PzB782(e), PzB789(e), 5cm GrW202(e)
유고슬라비아 Gew223(j), Gew361(j), Gew293(j), Gew291/3(j), Kar492(j), Gew214(j), Kar416(j), Gew252(j), Gew309(j), Gew288(j), Gew295(j), Gew307(j), Gew298(j), Gew290(j), Gew291(j), Gew291/2(j), Kar491(j), Kar491/2(j), Kar491/3(j), Kar491/4(j), Gew308(j), Kar561(j), Gew301(j), Gew292(j), Gew294(j), Gew306(j), Kar505(j), Gew302(j), Gew304(j), Kar502(j), Kar503(j), Gew301(j), P641(j), MP760(j), MG145(j), MG147(j) MG156(j), MG146/1(j), MG148(j), MG246(j), MG200(j), MG247(j), MG248(j), MG256(j), MG257(j), 7.58cm GrW229(j), 8.14cm GrW270(j)
그리스 Gew307(g), Kar561(g), Gew215(g), Kar417(g), Kar417/2(g), Gew301(g), Gew305(g), Gew502(g), Gew306(g), Kar505(g), Gew302(g), Gew285(g), R612(g), R613(g), MG136(g), MG104(g), MG152(g), MG202(g), MG156(g), MG256(g)
소련 Gew252(r), Gew253(r), Gew254(r), Gew256(r), Kar453(r), Kar454(r), Gew255(r), Gew257(r), Gew258(r), Gew259(r), Gew259/2(r), Gew260(r), R612(r), P615(r), MP715(r), MP716(r), MP717(r), MP41(r), MP718(r), MP719(r), MG120(r), MG121(r), MG320(r), MG216(r), MG218(r), MG268(r), PzB783(r), PzB784(r), HG336(r), 3,7cm SpGrW161(r), 5cm GrW200(r), 5cm GrW205(r), 8.2cm GrW274(r), 12cm GrW378(r), 12cm GrW379(r)
미국 Gew249(a), Gew250(a), Gew251(a), Gew455(a), P660(a), R661(a), R662(a), MP760(a), MP760/2(a), MP761(a), MP762(a), MP763(a), MG123(a), MG124(a), MG219(a), MG321(a), MG269(a), PzB788(a), 6cm MW219(a) NbW263(a)
이탈리아 Gew208(i), Gew209(i), Gew210(i), Gew214(i), Gew231(i), Gew240(i), Kar408(i), Kar409(i), Kar410(i), Kar416(i), Kar430(i), Gew306(i), Kar505(i), P670(i), P671(i), R680(i), MP738(i), MP739(i), MG099(i), MG200(i), MG255(i), MG259(i), MG261(i), MG350(i), PzB785(i), PzB770(i), 4.5cm GrW176(i), 8.1cm GrW276(i)
※ 윗첨자V : 국민돌격대가 사용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무기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 유고슬라비아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유고슬라비아 왕국군 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보병장비
개인화기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71, M78/80, M24, Gew98, Wz.29, Vz.24, Kar98kC, M1895, 카르카노C
자동소총 StG44C
기관단총 PPSh-41L, PPS-43L, EMP35, MP40C, KP/-31C, MAB 38C, 39M 기관단총C, 톰슨 기관단총L, 스텐 기관단총L
권총 나강 M1895, 라스트&가서 M1898, TT-33L, 마우저 C96, 루거 P08C, 발터 P38C, 루비 권총, M1910/22
지원화기 기관총 경기관총 CSRG M1915, 브레다 M30C, Vz.26, 브렌 경기관총L, 마드센 경기관총
중기관총 피아트-레벨리 M1914, 브레다 M37C, MG34C, MG42C
대전차화기 보이스 대전차 소총L, PIATL, M1 바주카L
화염방사기 플라멘베르퍼 42C
유탄 M24C, M39C
※윗첨자L: 연합군으로부터 공여받음
※ 윗첨자C: 추축군으로부터 노획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개인화기 소총 볼트액션 소총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Vz.24, Kar98k, Kbk wz.91, Kbk wz.98
자동소총 StG44
기관단총 MP28, 스텐 기관단총, 브위스카비차, 베호비에츠, 톰슨 기관단총, M42, 호로즈마노프, PPSh-41, PPS-43, MP40
권총 Wz.30, Wz.32, Wz.35 Vis, M1911A1, TT-33, C96, P08, 마우저 HSc, P38
지원화기 경기관총 Rkm wz.28, 브렌 경기관총, DP-28
중기관총 MG08/15, Ckm wz.30, MG34, MG42
대전차화기 PIAT, 판처파우스트
화연방사기 K식 화염방사기
박격포 50mm RM-38/40
유탄 wz.33, 시도로프카, M24, N39, M43, M39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파일:gun_icon__.png 대전기 보병장비 }}}
}}}}}}


보병장비 둘러보기
근대 (~1914) 대전기 (1914~1945) 냉전기 (1945~1991) 현대전 (1992~)



[1] 머신 게임즈가 제작을 맡은 이후에 한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