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1 00:35:39

IS-2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56b2f>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 ·NKVD 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세미데샤트카», T-70B «세미데샤트카» , T-80X,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SU-85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 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 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SU-85M,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 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AT-P, GAZ-67
모터사이클 M-72
렌드리스 및 개조 차량 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엠차», M4A2 (76)W «엠차», M4A2E8 «엠차»,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SU-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ZSU M15A1 CGMC, ZSU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 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 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 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 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

파일:소련 국방부 휘장.svg
파일:투명.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75px"
{{{#!wiki style="word-break: keep-all"
파일:누끼IS-1.png 파일:누끼IS-2.png 파일:누끼IS-3.png 파일:누끼IS-4.png
IS-I IS-2 IS-3 IS-4
파일:누끼IS-5.png 파일:누끼IS-6.png 파일:누끼IS-7.png 파일:누끼IS-8.png
IS-5 IS-6 IS-7 T-10 (IS-8) }}}}}}}}}}}}
파일:IS-2_Moving.jpg
ИС-2 (Объект 240)
1. 개요2. 제원3. 내부4. 개발사5. 형식
5.1. 초기형5.2. 후기형5.3. IS-2M
6. 파생형
6.1. 소련
6.1.1. 자주포 개수형6.1.2. 무장 교체 파생형
6.1.2.1. IS-2M (D-10T)6.1.2.2. IS-2M (D-81)
6.2. 폴란드
6.2.1. 비무장 개조 파생형
6.2.1.1. IS-2 구난전차6.2.1.2. IS-2 제독차량
7. 평가
7.1. 장점7.2. 단점7.3. 총평
8. 실전
8.1. 제2차 세계 대전
8.1.1. 독소전쟁
8.1.1.1. 바그라티온 작전8.1.1.2. 타르투 공세8.1.1.3. 하부 슐레지엔 공세8.1.1.4. 동프로이센 공세8.1.1.5.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8.1.1.6. 부다페스트 공방전8.1.1.7. 봄의 새싹 작전8.1.1.8. 베를린 공방전8.1.1.9. 프라하 공세
8.1.2. 계속전쟁
8.2. 냉전기
8.2.1. 6.25 전쟁8.2.2. 1953년 동독 봉기
9. 운용국
9.1. 유럽
9.1.1. 동유럽
9.1.1.1. 소련9.1.1.2. 러시아
9.1.2. 중부유럽
9.1.2.1. 독일
9.1.2.1.1. 나치 독일9.1.2.1.2. 동독
9.1.2.2. 폴란드
9.1.3. 체코슬로바키아
9.2. 아시아
9.2.1. 동아시아
9.2.1.1. 중국
9.2.2. 중앙아시아
9.2.2.1. 우즈베키스탄9.2.2.2. 타지키스탄
9.3. 북아메리카
9.3.1. 쿠바
10. 미디어11. 모형
11.1. 프라모델11.2. 페이퍼 크래프트
12. 참고 문헌13. 둘러보기

1. 개요

브로니 기갑 무기 박물관 소장 폴란드 인민군 소속 IS-2 1944년형 기동 영상
"IS-2" 독소전쟁 당시 방어선 돌파를 목적으로 소련에서 개발된 중전차로,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냉전 및 현대까지 후속 기종인 IS-3와 사용됐다.
ИС-2는 "Иосиф Сталин-2 (이오시프 스탈린 2형)"의 약자로 이오시프 스탈린 서기장의 이름을 따와서 명명된 것으로[1], 이 때문에 키릴 문자 사용권을 제외한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JS-2"라고 칭하였는데, 이는 서구 표기법에 의거해 붙여진 명칭으로, 2차 대전 이후로도 IS-2가 여전히 헌역이었던 상태라 그 시절 서방권에서 발매된 군사서적에서는 JS-2라고 표기가 되어 있었다.

현재는 생산국의 표기법을 존중하자는 의견에 의해 IS-2라 부르는 경우가 많이 늘었지만 여전히 서구식 발음표기에 의거한 JS-2라는 명칭도 통용되는데, 이는 러시아 정교회나 기독교나 가톨릭 모두 성경을 기반으로 한 종교이기 때문에 이오시프든 조셉이든 모두 성 요셉을 가리키고, 오직 발음상의 차이일 뿐이기에 IS-2, JS-2 모두 틀린 표기가 아니다.

발음법은 키릴문자 "ИС-2"를 기준으로 "이스-드바(IИС-Два)"나, 약자를 풀어서 "이오시프 스탈린-드바(Ио́сиф Ста́лин-Два)"라고 칭한다.

2. 제원

IS-2 중전차
Object 240
개발 및 생산
개발기관 SKB-2
개발연도 1943년
생산기관 ChTZ, 키로프 공장
생산연도 1943~45년
생산량 3,395대
운용연도 1944~95년
운용국가 소련, 폴란드, 체코슬로바키아, 중국, 쿠바
제원
전장 6.77m (포신 포함 시 9.83m)
전폭 3.07m
전고 2.63m
중량 46t
탑승인원 4명 (전차장, 포수, 조종수, 탄약수)
공격력
주무장 48구경장 122mm D-25T 전차포 1문 (28발)
조준장치 TSh-17
부앙각 −3[2]// +20°
회전각 360°
부무장 12.7mm DShK 대공기관총 1정 (250발)
7.62mm DT 차재 기관총 3정 (2,520발)[3]
기동력
엔진 하리코프 V-2-IS(V-2-10) 액랭식 디젤엔진
최고출력 520hp
출력비 11.3hp/t
현수장치 개별 토션 바
무한궤도 폭 // 매수 650mm // 좌우 각 86매
최고속력 37km/h (야지 주행 시 15km/h)
항속거리 240km (야지 주행 시 160km)
접지압력 0.8kg/cm²
초호능력 2.5m
초월능력 1m
등판능력 36°
도하능력 1.3m
방어력
장갑형식 주조 및 균질 압연 장갑
차체 전면 상부: 120mm / 60°[4]
하부: 100mm / 30°
측면 90mm
후면 상부: 60mm / 49°
하부: 60mm / 49°
바닥면 상부:30mm
하부: 20mm
포탑 전면 100mm
측면 90mm / 20°
후면 90mm / 30°
상면 30mm

3. 내부

파일:IS-2M_cutaway.jpg
IS-2M 내부 상세도
"IS-2 시리즈"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4. 개발사

파일:Objeckt_240_Prototype_IS_122.png
시제 중전차 IS-122[5]
IS-2의 시초는 화력이 부족하다 판단된 IS-1에[6] 첼라빈스크 키로프 설계국이 시험적으로 T자형 머즐 브레이크를 장착한 A-19 평사포를 장착해서 만들어진 "IS-122"였다. 그러나 프로토타입형 IS-122는 클리멘트 보로실로프가 직관하던 사격 시험에서 머즐 브레이크가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이는 T자형 머즐브레이크가 상대적으로 소구경 포에는 적합하지만, 122mm같은 거대한 구경에 포에는 발포 시 구조 상 가스가 제대로 빠져나가기 힘들었기 때문에 폭발을 일으킨 것이다. 이 탓에 개발진들은 높으신 분들이 보는 자리에서 망신살을 구겼으며, 만장일치로 포에 대한 개량을 진행하기로 한다.
파일:German_muzzle_brake_IS-122.jpg
IS-2 극초기형[7]
당시 T자형 머즐브레이크가 클리멘트 보로실로프가 보는 앞에서 보기 좋게 박살이 나자, 전차 설계자들은 어찌할까 고민하다 대구경 장포신을 주로 사용하던 적국인 독일의 머즐브레이크에 착안하여, 이중 구조로 가스압이 빠져나가는 설계를 가져와 A-19포와 결합하는 끝에 탄생한 신형 D-25T 강선포로 테스트를 거쳤으며, 이번에는 반동 제어 및 머즐브레이크가 제대로 작동하여 시연에서 매우 흡족한 결과를 얻었고, 양산이 결정되어 IS-122는 본격적으로 전장에 투입되기 시작하였다.
파일:IS-2_Early_model.jpg
IS-2
1943년 말, 기존의 IS-122라는 명칭에서 "IS-2"라는 명칭을 부여받은 IS-2는 독일풍 머즐브레이크에서 개선된 이중 배출형 구조의 대형 머즐브레이크로 교체되었으며, 본격적으로 KV-1을 대신해 전장에 등장하기에 이른다.

5. 형식

파일:IS-2_scheme_of_armour.jpg
IS-2 초기형과 후기형의 장갑 레이아웃

5.1. 초기형

파일:external/www.klasm.com/Overloon_Museum_25.jpg
1943년형
파일:attachment/IS-2/IS-2.jpg
1944년형 포탑을 단 1943년형[8]
흔히 IS-2 1943년형이나 초기형 IS-2로 알려져 있다. 밀려드는 적 기갑세력의 공세에 밀려 후퇴하는 아군의 뒤에 남아 최후의 최후까지 방어전을 펼치는 후퇴 지연전에 투입되어 소모 되어가야 했던 독일군의 중전차와는 달리, 일관적으로 공격자의 입장에 설 수 있었던 스탈린 시리즈는 비교적 취약한 측면에서 날아드는 7,5cm PaK 40 대전차포 마저 조건이 좋다면 견뎌낼 수도 있을 정도의 중장갑과 비록 관통력이 구경에 비해 부족했지만 48구경장 122mm D-25T 강선포에서 나오는 무식한 고폭탄과 철갑탄의 화력을 살려 적의 방어선을 돌파해 우군의 진격로를 개척한다는 중전차 본연의 임무에 충실할수 있었다.

대기갑전에서도 독일군의 중전차들마저 일격에 침묵시킬 수 있는 공격력과 경우에 따라 71구경장 8,8cm KwK 43 전차포는 무리여도 56구경장 8,8cm KwK 36 전차포나 8,8cm FlaK 대공포의 철갑탄을 방어하는 방어력은 확실히 이점으로 작용했다. 대기갑전은 T-34-85 말고도 SU-85, SU-100 등의 자주포들이 주로 활약했고 스탈린 전차의 1차 임무는 뛰어난 중장갑과 대구경 강선포를 내세운 대건물, 대보병용이고 기갑전은 2차적 임무였다. 그렇다고 해서 IS-2의 대전차 능력이 T-34나 SU-85에 비해 밀렸다는건 아니고 IS-2의 대구경 강선포는 강력한 화력으로 전선돌파중에 마주치는 적 중전차를 상대할 수 있는 성능은 가지고 있었다.

다만 85mm M1939 52-K[9] 대공포나 100mm 강선포 같이 대전차전에 훨신 더 써먹기 좋은 포가 있었음[10]에도 고폭탄 화력이 뛰어나 전선돌파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122mm이 선택된건 맞으며 100mm포가 대전차전에서 더 유연하게 쓸만하다는게 입증된 이후이자 100mm 강선포의 포탄도 충분히 생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122mm 전차포를 주포로 탑재하였다. 전선돌파중 이전에 비해 방어력이 상승한 서방전차( M47 패튼, M48 패튼)와 마주치는 경우 이 서방전차들을 손쉽게 상대하기 위해 주포가 변경되었다.

2차대전 시기 나치독일과 냉전시기 서방은 KV-1과 IS-2, IS-3를 잡기위해 자국 중전차의 대전차전 성능을 매우 중시했으나 소련 중전차는 2차대전 시기든 냉전시기든 자체교리에 맞게 전선돌파 목적을 먼저 충족하도록 설계되었다.

5.2. 후기형

파일:IS-2_front_in_Museum_of_technique_2016-08-16.jpg
IS-2 1944년형
흔히 IS-2 1944년형이나 후기형 IS-2로 알려져 있고 일부 매체에서 IS-2M으로 쓰여있기도 하지만 실제 소련/러시아에서 형식명이 그랬는지는 알 수 없다. 초기 IS-2의 실적은 소련군 그들의 기대보다 좋다고 말하기 힘든 상황이었고, IS-2의 참상을 본 소련군은 대폭 개량을 해서 실전에 투입했다. 이것이 바로 IS-2 1944년형이다.

초기형 IS-2들은 전투에서 제 역할을 잘 맡곤 했지만, KV-1부터 존재했던 차체 전면의 조종수 관측용 해치와 해치를 넣기 위한 각진 전면 장갑 설계라는 치명적인 문제가 여전히 있었다.[11] 1943년형 IS-2의 조종수 관측창은 전면장갑의 한 가운데에 위치했기 때문에 지붕에 조종수 탑승구가 없는 전차에서 조종수의 시야 확보에는 도움이 됐지만 동시에 전면부 방어력이 크게 저하되는 원인이자 큰 약점이 되었다.[12]

소련에서도 이 문제가 제기되어 1944년 봄부터 IS-2의 부분변경 설계가 시작되어, 차체 전면을 비롯한 일부 설계가 바뀐 1944년형 IS-2가 등장했다. IS-2 1944년형의 개량점으로선 기존의 120mm 계단형 정면장갑을 폐지하고 60도 경사의 120mm 경사판으로 전면 상단 설계를 교체하면서 가장 큰 약점으로 지적되었던 개폐식 조종수 관측창을 제거하였다는 점이 있다.[13] 이것으로도 전면부의 방어력의 강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 차체 하단의 경우 처음에는 1943년형처럼 주조장갑으로 제작되었지만 1944년 말부터는 용접장갑 형식으로도 생산되기 시작했다.[14] 참고

차체 전면 설계 이외에도 포탑 설계또한 부분적으로 수정되면서 포방패가 확장되고 포수 조준경 위치가 주포에서 떨어지게 변경되었다. 그리고 차체 후면에는 수송시 사용하기 위한 주포 고정장치가 추가되고 포탑 상부에 대공용 DShK 기관총도 추가되었다. 물론 후기형 차체에다가 초기형 포탑을 달아놓은 경우도 있다.

그러나 44년형에서 약점으로 지목되었던 장갑부를 개량하긴 했지만 어디까지나 정면장갑에 불과했기에, 시가전이나 참호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는 이 시기즈음부터 독일군이 대량으로 운용하기 시작한 성형작약탄두 대전차 화기, 즉 판처파우스트를 상대로는 취약한 약점부위들이 관통되면서 적지 않은 수가 보병과의 근접전에서 파괴되게 된다.[15] 덤으로 전면 장갑의 변경과 개폐식 관측창의 삭제로 조종수 시야는 희생될 수 밖에 없었고, 아직 차체 전면에 노면에서 튀는 물과 흙먼지 등을 막아주는 스플래시 보드도 없어서 조종수의 시야는 영 좋지 않았다. 그리고 이전에 생산된 초기형 차량들도 많았던 만큼 후기형 차량들이 초기형 차량을 전부 대체하지는 못했다.

하지만 D-25T 주포의 성능과 소련군 물량은 독일군 장병들을 충격과 공포에 몰아넣기에 충분하고 소련군 입장에서 IS와 같은 중전차의 주 임무는 적 보병진지를 돌파할때 확실하게 선두 대열을 맡아줄 존재의 필요였기에 임무는 충분히 수행했다고 볼수있다. 단지 또 다른 임무로서 전선에서 어쩔 수 없이 부여된[16] 독일 중전차와의 교전에서 확고한 우위를 점하지 못했다. 이건 결국 활용방법이 달랐던 전차들의 맞붙음에서 벌어졌던 손실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소련 군부도 이미 IS-1과 초기형 IS-2의 방호력이 부족해지고 있다고 판단하고 있었고, 1943년 말부터 방어력 증대를 위해 전면 장갑 설계를 부분변경하는 작업과 별개로 IS-2의 대규모 개량 프로젝트도 시작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많은 공장의 설계팀들이 각자의 설계안을 내놓았고, 그 중 후술할 100번 공장이 만든 IS-2U와 ChKZ 공장의 SKB-2 설계국이 만든 키로베츠-1이 주목을 받아 IS-3의 개발 기반이 되었다.

5.3. IS-2M

파일:IS-2M_Early_version.jpg
ИС-2М (1943)
파일:Тяжелый_танк_ИС-2.jpg
ИС-2М (1944)
"IS-2M"은 소련에서 전후 잔존한 IS-2를 냉전 시기 변화하는 전술에 따라 현대화 개량을 진행한 형식이다.

1950년대 중반에 소련군은 실전 경험과 IS-3의 개발에서 얻은 노하우들을 토대로 IS-2에 대한 현대화 개량 작업을 진행했다. 1954년부터 처음 계획되었고, 1956~1957년 무렵부터 창정비를 통해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했으며, 이후 이 개량을 거친 전후 개량형 차량들을 IS-2M으로 명명했다. 참조

현대화 개량은 대부분 1944년형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는데, 43년형 IS-2 객체 일부도 수혜를 받아 IS-2M 사양으로 개수되었다. 43년형 역시 다른 부분은 모두 개량되었지만 차체 전면의 계단형 장갑과 개폐식 조종수 관측 해치는 개수할 수 없었기에 IS-2M 원형이 언제 만들어졌는지는 이를 보고 구분이 가능하다.

개량점들은 다음과 같고, 이러한 특징들은 IS-2과 IS-2M의 주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우선 사격통제장치와 관측장비에 대해서는 조종수 관측창의 프리즘 슬릿이 신형 부품으로 교체되었고 차체 전면부에 신형 헤드라이트 1쌍이 추가되었다. 이에 따라 헤드라이트가 아예 없었거나 우측에만 1개 붙는 기존과 달리 증가장갑 압쪽 양 옆에 대칭적으로 라이트가 생긴 형태로 변했다. 전조등 부품 보호를 위한 철망형 가드레일 구조물도 생겼다. 또한 야간작전 시 등화관제를 위해 적외선 필터를 부착한 헤드램프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TVN-2 또는 NRZ 야간 관측장비가 장착되었고 이 덕에 주포의 유효사거리가 증가하였다고 한다.

장갑 및 차체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은데, 우선 차체 전면에는 흙탕물이 조종수의 관측창으로 튀는 것을 막기 위해 차체 전면에 스플래시 보드가 추가됐고, 전시 중 끊임없이 지적된 포방패 틈 사이의 누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방수포 걸이가 용접으로 신설되었다.

또한 차체 측면에 기존의 궤도 보호 커버를 T-54와 동일한 형태로 교체하였고, T-10처럼 궤도 상단을 가리는 알루미늄제 사이드 스커트를 추가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전시 중 판터파우스트 및 성형작약탄에 당한 전훈으로 IS-3와 동일한 형태의 공간장갑이 신설되어 공간장갑 안의 빈 공간은 공구함 등으로 사용되었고, 기존의 연료탱크가 설치된 부분은 추가적인 연료탱크를 달아둘 수 있게 엔진룸 덮개에 외부연료탱크를 적재할 수 있도록 하여 기존의 항속거리인 240km에서 400km로 2배 가까이 늘어났다. 차체 전면에도 T-62와 동일한 연료탱크가 추가되었다.

추가적으로도 차체 후방에 BDSH 원통형 연막 생성장치 2개를 추가해 전투 중 후퇴할 시 생존성을 높였다.

포탑 개선 사항으로는 양쪽 측면에 존재하는 권총 총구가 화학무기 및 유탄 문제로 폐지되었으며, 후방의 포탑 기총구는 기관총이 들어갈 곳만 용접하고 그대로 환풍구로 변환시켰고, 이 덕에 차체의 환기 성능이 좋아졌다.

내부 구조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다. 포탄 적재량이 기존의 28발에서 35발로 늘어났으며 동시에 개선된 D-25 포를 사용해 주퇴복좌기가 개선되면서 반동 제어가 향상되었고, 반동 메커니즘의 일부 부품은 T-54와 공유하게 되었다.

구동계 개선 사항으로는 엔진을 T-54에 적용된 V-54 기반의 신형 V-54K-IS로 교체하였다. 전자식 시동장치, 연료 분사기, MOHP-2, VTI-2 전기 펌프, 에어 필터도 장착되었으며, 후면 베어링에 직접 고정식 부착 장치가 있는 오일 펌프와 오일 냉각 시스템을 갖춘 새로운 기어박스가 사용되었다. 유성 회전 메커니즘은 반강체 연결을 통해 종감속장치에 연결되었다.

기타 개선 사항으로는 보기륜의 캡이 5개 볼트 조임에서 10개 볼트 조임 형태로 교체되고, 리턴롤러 및 서스펜션 베어링도 신형 부품으로 변경되었으며, 통신장비가 R-113으로 교체되었다.

6. 파생형

IS-2는 소련에서 생산된 중전차들 중, 가장 성공적이며 타국에 공여도 많이 된 모델이기에 소련 군부에서나 타국에서나 여러 개량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중, IS-2를 베이스로 한 페이퍼플랜들 또한 존재하는데, 각각 "IS-2U"와, "IS-M"이 존재한다.

이 중 IS-2U는 1944년에 IS-2 대규모 성능 개선 프로젝트가 진행되던 당시 등장한 IS-2의 개량중 하나로 비슷한 시기에 먼저 등장한 IS-6 중전차를 개발한 조제프 코틴의 개발팀이 설계했다. 설계도면만 남았고 실차는 제작되지 않았다.

1944년형 IS-2를 기반으로 전면장갑을 IS-6 개선형 설계안(오비옉트 252U)에 먼저 적용되었던 쐐기형 형상으로 바꾸고, 포탑도 오비옉트 701 초기 시제차와 비슷하게 포수 조준경이 전면 좌측으로 옮겨진 돌출된 형태로 부분적으로 재설계했다. 포탑 전면장갑에는 측면 방향 경사가 추가되고 포방패 또한 좁아졌으며 주포도 개선되었다. 쐐기형 전면 장갑은 V.I. Tarotko가 설계했고, 전면 방어력을 증가시키면서도 조종수 출입 해치를 제대로 설치할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었다.

동시기에 개발중이던 키로베츠-1(Object 703)과의 경쟁에서 패배하였으나, 소련 군부는 IS-2U의 독특한 쐐기형 전면 장갑에 관심을 가져서 양산될 키로베츠-1에는 IS-2U와 동일한 쐐기형 전면장갑 설계를 적용하도록 했다. 이렇게 IS-2U에서 선보여진 쐐기형 전면 경사 장갑 설계가 키로베츠-1에 적용되면서 현재의 IS-3가 완성되었다.

IS-M은 IS-2 대규모 개선 프로젝트에 제안된 N. F. 샤슈무린의 설계안. 엔진룸과 포탑 구획의 위치를 바꿔 차량 레이아웃을 후방 포탑형으로 뜯어고치고 지지롤러 없는 대형 보기륜 6쌍이 들어간 신형 토션바 현가장치를 적용했다. 참조 신형 현가장치뿐만 아니라 기존 IS-2와 동일한 형식의 현가장치를 단 설계안도 있다.

비록 채택되지 못하면서 페이퍼 플랜으로 그쳤으나 신형 현가장치 설계와 같은 일부 요소가 IS-6의 개발에 사용되었다. 현가장치는 오비옉트 244 시제차를 거쳐서 IS-6으로 넘어갔다.

이 설계안을 기반으로 1944년 초부터 개발된 152mm BL-8 중포로 무장한 후방 전투실 자주포도 계획되었지만 역시나 페이퍼플랜으로 그쳤다. 대신 BL-8 포는 ISU-152에 시험적으로 장착되었다.

6.1. 소련

6.1.1. 자주포 개수형

6.1.1.1. ISU-152
파일:kubinka_ISU-152.jpg
ИСУ-152 «Зверобой»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SU-152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1.2. 무장 교체 파생형

6.1.2.1. IS-2M (D-10T)
파일:IS-2_100mm.jpg
ИС-2М (Д-10Т)
"IS-2M (D-10T)"는 전후 등장한 무장 교체형으로 일부 개체가 IS-2M으로의 현대화 개량을 거치는 과정에서 122mm D-25T를 쓸때보다 철갑탄 관통력을 높이고, 신형 포탄을 사용하여 대전차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주포를 T-54/ T-55 전차에 사용된 계통의 100mm 구경 D-10T로 교체한 것이다.

본래 IS-1이 개발될 당시, 85mm 주포가 화력이 부족하다는 의견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100mm D-10 주포를 단 파생형 오비옉트 245나, 이를 개량한 오비옉트 248이 개발되었는데 당시 소련 군부에서는 대보병 화력의 부족이라는 문제점에 채택 및 양산을 거부하였다. 그러나 전후 냉전 시기에 들어서며 전술 및 패러다임이 바뀌게 되자 일부 차량에 이러한 개조를 행한 것이다.
6.1.2.2. IS-2M (D-81)
파일:1967_IS-2_125mm.jpg
ИС-2М (Д-81)
"IS-2M (D-81)"는 1967년에 제작된 테스트 차량으로 T-64에 사용된 125mm 구경의 2A26의 프로토타입형인 D-81포를 장착한 파생형이다.

본디 해당 차량은 T-64를 개발할 당시, 125mm의 포를 견딜 수 있을 만한 플랫폼을 찾다 때 마침 구식 중전차인 IS-2M을 이용하자는 의견이 통과되며 시제 전차포인 D-81를 얹은 것이다.

반동을 버틸만한 무거운 중량에, 360도 회전 가능한 포탑, 그리고 다른 구식 전차들보다 조금이나마 넓은 포탑 용적 덕분에 테스트를 순조롭게 마쳤으며, T-64가 개발되는데 공을 세웠다.

6.2. 폴란드

6.2.1. 비무장 개조 파생형

6.2.1.1. IS-2 구난전차
파일:IS-2_Armored_Tractor.jpg
IS-2 Wóz zabezpieczenia technicznego
"IS-2 구난전차"는 1950년대 폴란드 인민군에서 일부 IS-2의 무장과 포방패를 탈거하여 제작한 파생형으로, 포모르스키예 군관구에서 최소 1량 이상이 제작되어 사용되었다고 한다.
6.2.1.2. IS-2 제독차량
파일:Polish T-55 is on an overturned IS-2 chassis used to dry clean the tracks of tanks,.webp
IS-2 dekontaminacyjny Tank
"IS-2 제독차량"은 1960년대 초에 폴란드 자간에서 화생방 제독부대를 위해 치장창고에 있던 IS-2를 꺼내 포탑과 무장, 엔진 등 필수 부품을 모두 제거한 파생형으로, 사실 움직일 수 없기에 전차라고 볼 수 없다. T-54/55, T-62가 뒤집힌 IS-2 제독 차량 위에 IS-2의 궤도를 밟고 올라서면, 화생방 부대원들이 제독 호스를 들고 화생방 물질이 뭍은 전차 차체 하부와 궤도를 씻어주기 위한 용도이다.

7. 평가

7.1. 장점

파일:Panther_hit_by_IS-2's_122mm_shell.jpg }}} ||
IS-2의 122mm 포탄에 포탑 측면을 직격당한 5호 전차 판터
122mm OF-471 고폭파편탄은 적 보병이나 대전차포 진지 내지는 건물 등을 상대로는 사신 수준의 위력을 발휘했다. 당대 운용하던 T-34-85의 포탄 무게가 10kg 정도인데, IS-2는 20kg 이상으로 이를 2배 이상 웃돌았다. 포탄의 무게만 40kg 이상인 152mm 전차포를 장착한 자주포보다는 위력이 상대적으로 낮았지만 그럼에도 122㎜ 고폭탄의 위력은 충분했다. 오죽하면 파편이 20m까지 퍼질 정도이다. 일례로 IS-2가 활약하는 동안 BR-471 계열 철갑고폭탄 보다는 차라리 고폭탄으로 판터를 명중시키는게 더 효율적이라고 여겨지기도 했다. 물론 그렇다고 철갑탄의 관통력이 낮거나 그러진 않고 탄종에 따라 관통력이 대체로 130~200mm 수준에 머물렀다.

실전은 게임이 아니기 때문에 티거에 적어도 70발을 철갑탄으로 채운다는 것은 사실이 아니며 경심철갑탄 같은 탄은[17] 게임안에서나 관통이 되니 안되니 싸우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런 특수탄은 연합군 / 추축군 공통으로 게임처럼 그냥 막 쏘는 탄이 아닌 한 차량에 몇 발 없는 필살 탄종으로, 아껴뒀다가 중전차 상대로나 쓰는 탄이다. 텅스텐이 워낙 귀하다 보니[18] 경심철갑탄이 가장 보급이 잘 된 소련군조차도 전차당 몇발 수준으로밖에 지급할 수 없었다.[19] IS-2의 경우 보통 HE 18발 AP 10발, 또는 HE 20발 AP 8발을 적재했으며 철갑탄은 특화점을 격파할 때나 사용하고 대전차전에서도 대부분의 경우 고폭탄을 그대로 썼기 때문에 탄약의 비율 자체보다는 애초에 탄약 자체가 그렇게 많지 않은 것이 단점이라면 단점이 되었지만, 대신 화력의 경우엔 그 이상이었기에 이런 점은 좋은 평가를 받았다.

오토 카리우스도 전투에서 마주쳤을 때 처음 본 주포 덕분에 위협을 느끼고 즉시 제거 시도를 했다. 기밀해제된 소련군의 문서를 확인하면 D-25T 강선포의 탄착군이 의외로 괜찮은 것을 알 수 있다.

7.2. 단점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30px-D25T_shells.svg.png }}} ||
IS-2의 122mm D-25T 전차포탄[22]
철갑탄용 탄피의 경우는 탄두와 결합되는 것이 아닌, 신관과 맞붙이는 형식이고, 고폭탄용 탄피의 경우는 탄두와 결합되는 형식이다. 사진을 보면 탄피가 탄두보다 훨씬 긴 것을 볼 수 있는데, 안 그래도 독일제 전차보다 좁은 포탑 안에서 저걸 장전해야 했다.

포탄을 일체형으로 변경하려는 시도도 있었으나, 그렇게 되면 철갑탄은 길이 약 1.2m에 무게는 25kg이 넘어가게 되어 티거 2에 탑재된 KwK 43 71구경장 8,8cm 강선포 1.1m짜리 철갑탄보다도 길어지게 되어 사실상 분리장약식만도 못하기에 계획은 취소되었다. 그나마 티거 2는 포탑이 넓어서 여유 공간이 많아 1.1m짜리 포탄이라도 비교적 수월하게 장전했겠지만 원래 53구경장 85mm D-5T 강선포를 탑재할 목적으로 설계되었던 포탑에 무리하게 122mm를 구겨넣어 안그래도 좁은 포탑에서 1.2m짜리 포탄을 장전하려면 얼마나 힘들겠는가. 일단 탄약수의 피로를 덜기 위해 포탄 받침대가 설치되었다곤 하지만 공간 자체가 좁다. 이는 초탄사격 후 수정사격이라는 전차포술의 기본기를 지키기 어렵게 만든다는 소리였다. 하지만 당시 대다수의 대구경 전차포들도 이런 문제점을 안고 있었는데. 야크트티거의 주포인 12.8cm PaK 44도 개발을 할때 같은 문제로 인해 일체장약을 포기하고 전통적인 분리장약으로 선회했으며, 전후에 개발된 M103 전차 FV214 컨커러의 주포인 120mm M58도 분리장약을 채용했다. 이 문제가 해결된 건 비교적 가벼워진 분리철갑탄과 소진탄피의 대대적인 사용 이후부터였다.

7.3. 총평

오전 9시에 적이 신형 초중전차를 앞세워 공격해오자 티거가 소방수로 나섰다. ...(중략)... 티거는 스탈린 전차를 향해 먼저 선공을 가해 차체 전면에 정확하게 명중시켰으나 포탄은 튕겨나갔다. 우린 이전까지 8,8cm 포탄을 튕겨내는 차량을 본 적이 없었고 다들 당황했다. 적도 공격을 가해 왔으나 사격은 부정확했고 포탄은 멀리 다른 곳에 떨어졌다. 티거는 적 전차의 궤도를 향해 2탄을 날렸고 스탈린 전차의 궤도와 보기륜을 부쉈다. 움직임을 멈춘 전차의 전차병들이 해치를 열고 달아났다.
바그라티온 작전 1944(Operation Bagration 1944) 서적에서 발췌.
전차의 포수가 전방 1500m 거리에서 다가오는 적 전차 2대를 발견했다. 숲에 매복한 아군 4호 전차가 약 1200m 거리에서 초탄을 날렸다. 그 차량 2대는 152mm 돌격포[26]와 스탈린 초중전차였다. 돌격포는 금세 화염을 내뿜으며 주저앉았지만[27] 적의 초중전차를 격파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다행히 놈이 후진하는 것을 본 전차병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4호 전차 1939~1945 (Panzer IV 1939~1945) 서적에서 발췌.
이러한 수기를 보면, 독일군은 IS-2를 중전차가 아닌, KV-1 중전차와 구분하기 위해 초중전차라고 호칭했던 모양이다.

IS-2는 1944년부터 본격적으로 투입되기 시작했다. 전선돌파라는 측면에서 IS-2는 독일군에게 상당한 효과를 발휘했다. 중갑으로 무장하고 달려드는 IS-2는 독일 보병사단 예하 대전차포 대대의 주력 대전차포였던 7,5cm PaK 40으로도 저지하기 쉽지 않았고, 저지에 실패할 경우 122mm 고폭탄의 위력은 독일군의 웬만한 야전 방어 구조물에도 구멍을 내기에 충분했으니 소련 특유의 물량으로 전선 각지에서 T-34-85 떼거지에 섞여서 몰려들어오는 IS-2 무리를 상대하는 독일군 보병 입장에선 신선한 충격이었을 것이다. 물론 초기형 IS-2는 성과가 영 좋지 못했는데 이는 적의 강력한 저항이 예상되는 곳을 돌파한다는 중전차였으면서도 초기형 IS-2는 차체 전면에 약점이 있었다. 바로 조종수의 시야 확보를 위해 조종석 전면을 경사가 심하지 않게 하고 이 부분에 직시형 조종수 관측창을 설치한 것인데 이는 KV의 그것을 답습한 것이었다.

그 부위의 장갑이 얇은 것은 아니었지만 당장 독일군은 그 두께도 관통할 수 있고 명중률 역시 뛰어난 강력한 대전차포인 7,5cm PaK 40를 다수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를 이용해서 그 부분을 정확하게 노릴 수 있는 경험 있는 대전차화기 운용병들도 상당히 많았다. 이러다 보니 IS-2는 2km 밖에서 56구경장 8,8cm FlaK 대공포나 티거의 56구경장 8,8cm KwK 36 전차포에 상술한 약점을 맞아서 격파되는 사례도 많았다. 물론 그 당시의 부족한 광학 장비와 주포 수준에서 2km 이상에서 약점을 맞춘 것은 매우 운이 좋은 사례이며 가장 숙련된 전차병들 역시 2km에서 약점을 맞추는 것은 운이 좋은 사례라고 볼 수 있다.

대전차전에서는 두드러지는 성과가 별로 없었다. 이는 대부분의 독일 전차보다 화력과 방어력이 우세함에도 연사력이 너무 낮았기 때문에 독일의 판터 티거에게 우위를 점하지 못했던 것으로, 독일 측은 방어자로서 은엄폐하고 유리한 타이밍에 공격하는 이점이 있었던 데다가, IS-2에게 대전차전은 어디까지나 부가적인 임무로 개발되었기 때문이다.[28] 다만 122mm 포의 강력한 화력은 적전차 타격시 거의 100%에 가까운 확률로 완파할 수 있었기에 독일군 또한 IS-2를 절대 만만히 보지 않았고, 셔먼 VC의 경우와 같이 최우선 격파 목표로 삼았기에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볼 수 있다.

추가로, 소련군의 중전차의 손실율은 50%로 소련군의 중형전차나 경전차 손실률인 80% 비해 매우 낮았다.[29] IS-2는 나름대로 개량도 했던 만큼 상황에 따라서는 활약을 벌이기도 했다. IS-2의 활약이 유명한 전투 중 하나가 1944년 8월 산도미에쉬 인근 비스와 강의 교두보 확보 전투다. 여기서 IS-2는 티거 2와 전투를 벌였는데 8월 13일 제71근위독립중전차연대의 IS-2M 11량이 제105중전차연대 소속 티거 2 14량의 공격을 저지하였다. 4량의 티거 2가 격파되는 동안 소련군은 3량의 IS-2M을 잃었다. 이 밖에도 극소수의 몇몇 사례가 존재하긴 하지만 단점들이 그렇게 큰 문제로 떠오르지 않았던 방어전에서는 소련군이 IS-2M을 가지고 그럭저럭 괜찮은 교환비를 보여주기도 했다.

대전 후기의 주력 중전차로 꽤 많은 물량이 나타나 독일군 측에 위력적인 인상을 준 것은 사실이지만 나름 상당한 희생을 치르기도 했다. 초기형의 경우 차체 앞의 수직 형태의 관측창이 가장 약점으로 작용하여 스탈린 전차보다 체급이 아래인 4호 전차한테도 이 부분을 맞고 격파당한 일도 있었다.[30] 상대인 판터나 티거도 초창기 쿠르스크 전투 등에 투입될때는 체급이 낮은 T-34나 심지어 경전차에게 격파당한 사례가 많았던 것은 역시 마찬가지였다.

하지만 스펙이나 단점을 제치고서라도 이것을 직접적으로 상대하는 독일군 입장에서는 점점 버거운 상대가 되어 가고 있었던 것은 확실했다. 전술했듯이 IS-2의 역할 자체가 전선을 돌파하는 것이라서 방어력을 최대한 증강하는 방향으로 개량에 박차를 가하고 있었고, 마침내 IS-2 후기형에 이르러서는 독일군의 주력 대전차포였던 48구경장 7,5cm PaK 40 대전차포나 4호 전차 7,5cm KwK 40 전차포로는 IS-2 후기형의 전면 장갑을 아예 뚫지도 못하고, 8,8cm FlaK 대공포나 36 티거 1의 56구경장 8,8cm KwK 36 전차포는 물론 판터에 주로 실린 70구경장 7,5cm KwK 42 전차포 계통으로도 IS-2 후기형의 포탑이나 차체 하단을 맞춰야만 정면에서 격파가 가능했으며, 티거 2의 71구경장 8,8cm KwK 43 전차포 계통 같은 초고성능 대전차포들을 데려와야만 IS-2를 정면에서 쉽게 관통할 수 있었는데 당시 독일군에는 IS-2 후기형을 뚫을 만한 포를 탑재한 차량들의 생산량도 부족한데다 적지 않은 숫자의 해당 차량들이 서방 연합군들을 상대하기 위해서 서부전선으로 끌려가는 판이라[31] 동부전선의 지휘관들 입장에선 그냥 막을 방법이라는 게 없어지게 되었다. 후기형에 이르러서는 동부전선의 전황에 상당한 영향을 줄 수 있었던 셈이다.

총평으로는 소련 육군의 새로운 지상전 교리에 맞춰 잘 설계된 전차였으며 2차 세계대전 중반부터 냉전기까지 소련 중전차 설계의 방향성을 확립한 전차라고 볼 수가 있다.[32]

전후 냉전 시기 1950년대 말에 중소국경지역에 도태된 IS-2 전차를 고정포로 배치하면서부터 퇴역이 논의되었으나 후계자인 IS-3 초기형의 용접 접합 결함과 낮은 신뢰성, 대보병 화력지원 차량의 부재 등으로[33] 퇴역하지 못하고 최전방에서 무려 1970년대까지 마르고 닳도록 굴렀다.(...)

IS-2M으로 개수된 이후로는 동독이나 쿠바에도 지원되어 사용되었으며, 122mm 야포의 특성상 최전선보다는 후방 보병지원에 안성맞춤이라는 점이 부각되어 쿠릴 열도나, 사할린 등의 극동 부대에 다수가 이관되어 소련이 멸망하고 러시아로 바뀌었던 1995년까지 사용되었다고 한다.

워낙 개체수가 많다보니 최근에는 Ka-50 헬기의 고정식 기관포 사격 표적으로 이용되거나, 혹은 전승절 퍼레이드나 박물관 페스티벌 등에 동원되는 의장용 개체들도 다수 있다. 따라서 IS-2는 엄밀히 말하자면 현재까지도 러시아군 내에서 사용 중인 셈.

8. 실전

8.1. 제2차 세계 대전

8.1.1. 독소전쟁

파일:야 신난다 IS-2다.jpg
IS-2를 지급받고 환호하는 소련 전차병들[34]
독소전쟁은 IS-2가 최초로 투입된 전장으로, 1943년 12월 경 본격적으로 양산화되어 "IS-122"라는 명칭으로 시범 투입된 1944년 6월부터 시작된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 우크라이나 전역에서 실전을 치루게 된다.

엄청난 화력과 뛰어난 기동성, 그리고 여러 성능은 일선의 소련군들을 만족시켰으나, 상술한 전면 장갑 결함으로 여러 고전을 겪기도 하였다. 이에 키로프 공장에서는 개량형인 44년형을 선보이면서 대전차전에서는 좀 밀리긴 했지만 대보병 작전 및 여러 공세에서 뛰어난 성능을 여과없이 보여주었으며, 독소전이 승리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8.1.1.1. 바그라티온 작전
파일:external/warthunder.com/IS2.png
바그라티온 작전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IS-2 네임드 차량 "영웅 형제를 위한 복수 (Месть за брата героя)"[35]
IS-2가 본격적으로 투입된 것은 바그라티온 작전부터였으며, 이 시기 투입된 IS-2들은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는 물론이고 티거까지도 무자비하게 격파하는 활약을 벌이며 종횡무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1944년 6월 초, 우크라이나 방면을 탈환하는 작전에서 데뷔전을 치른 IS-2는 근위중전차연대로 참전하였는데, 약 8량의 IS-2가 손실되었지만, 엘레판트 대전차자주포 및 6호 전차 티거 40량을 완파하는 쾌거를 보여주었다. 이는 더 이상 독일군은 전차 전력에서 소련에게 우위를 점하기 힘들어졌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추가로, 바그라티온 작전 중 벌어졌던 오글레두프 전투 중에서도 IS-2는 대활약하였는데, 킬리멘코프 산하의 IS-2는 중전차대대 산하 티거 2 14호차, 15호차 총 2량을 완파하였으며, 우다로프 산하의 IS-2는 2호, 6호, 7호차를, 벨랴코프 산하의 IS-2는 16호차을 완파하는 대활약을 하였다.[36]
8.1.1.2. 타르투 공세
파일:IS-2_during_Tartu_offensive.jpg
타르투 공세 당시의 독일 국방군 노획 IS-2[37]
발트 3국 중 에스토니아를 점령하는 타르투 공세 당시 공세 및 중점타격용으로 다수의 IS-2가 동원되어 전투를 치렀으나 당시 독일군은 완강히 저항하여 소련군을 막아내는 것에 성공하였다.

이 시기 IS-2 1량이 독일군에 의해 노획되어 에스토니아에서 선전 및 견인용으로 이용되었다고 한다. 다만 해당 전차에 대한 기록은 여기서 끝나고 알 수 없는데, 1944년 9월 경, 어두워지는 전세에 독일군이 라트비아로 철군하면서 해당 전차는 버려지거나, 혹은 격파되었다고 단편적으로나마 추측되는 중에 있다.
8.1.1.3. 하부 슐레지엔 공세
파일:IS-2_breslau.jpg
브레슬라우 공방전 당시 격파된 소련 육군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산하 제87근위중전차여단 소속 IS-2 "537번차"
하부 슐레지엔 공세 당시, 요새화된 브레슬라우의 방어를 뚫기 위해 SU-122와 같은 돌격포들과 함께 시가지로 투입되어 격전을 치뤘다.

이 시기, 독일군은 쏟아지듯 몰려오는 소련군을 상대로 시가전에서 대응하기 위해 판처파우스트와, 대전차포를 시내 곳곳에 배치해두어 소련군의 IS-2와 돌격포들은 손실을 크게 입었음에도 크게 분전하여 종국에는 브레슬라우를 포위하는데 성공하여 독일군의 군세를 크게 약화시켰다.

브레슬라우 공방전의 성공으로 소련은 적의 심장인 베를린으로 향하는 교두보를 확보하는데 성공함과 동시에, 이제 앞으로 브레슬라우에서 베를린까지 약 350km을 앞두고 있었다.
8.1.1.4. 동프로이센 공세
파일:IS-2_east_prussia.png
동프로이센 공세 당시의 소련 육군 소속 IS-2와 승무원들
동프로이센 공세 당시 소련군 소속으로 ISU-152, ISU-122 등의 중자주포들과 함께 쾨니히스베르크 공방전 등 시가전에서 직사 화력 및 종점 돌파를 위해 투입되었다.

당시 소규모 거점은 SU-76M이, 중장갑 차량 및 토치카나 건물 파괴 임무는 ISU-152/122가 진행하였음에도 시가지 곳곳에 숨어있는 전차들과 독일군을 상대로 강력한 화력을 통해 침묵시켰으며, 종국에 동프로이센을 점령하는데 성공하며 독일은 자국의 발흥과 역사적인 가치가 있던 쾨니히스베르크를 상실하기에 이르렀다.
8.1.1.5.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파일:ostlava_IS-2.jpg
오스트라바 거리의 소련 육군 산하 제4우크라이나전선군 소속 IS-2와 승무원들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당시 소련 제4우크라이나전선군 소속으로 다수의 IS-2가 투입되어 전투를 치렀다.

이 시기, 소련군은 상/하부 슐레지엔 공세로 얻지 못한 독일군의 측면 지역과 모라바의 공업지대를 점령해 독일의 중부집단군을 확실하게 약화시키기 위해 최후의 공세를 기획하였고, 이것이 바로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였다.

수많은 IS-2와 중자주포들이 동원되어 독일군을 지속적으로 강하게 압박하였으나, 독일군은 모라바를 지키기 위해 완강히 저항하여 2달간의 격전 끝에 소련은 모라바와 오스트라바를 점령하는 것에는 성공했지만 1차적인 목표였던 독일군의 측면을 확보하는 것에는 실패하였다.

그러나 공업지대의 손실로 독일은 가뜩이나 전투 장비 생산에 차질을 빚고 있었던 상황에서 더욱 압박을 당하였고, 이는 궁극적으로 독일군 전체에게 악영향을 불러오게 되었다.
8.1.1.6.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BUDAPEST_IS-2.jpg
부다페스트 공방전 당시 전선으로 이동 중인 소련 육군 소속 IS-2
부다페스트 공방전 당시에도 시가전 내에서 저항 중인 헝가리군과 독일군을 상대로 대항키 위해 IS-2 다수가 편제되어 투입되었다.

이 시기 헝가리 왕국군은 소련에 저항하며 38M 톨디, 40M 투란, 43M 즈리니 등등의 자국산 전투차량들을 투입하였으나 이는 강력한 소련의 공세에 무용지물이었으며, 소련과 헝가리/독일 양 측 모두 어마어마한 손실을 입은 끝에 부다페스트가 함락되며 헝가리는 저항 능력을 상실하게 되었다.

그러나 히틀러는 이 전투에서 소련군이 피해를 입은 것을 보고 전세를 오판해 하단의 봄의 새싹 작전을 기획하게 된다.
8.1.1.7. 봄의 새싹 작전
파일:Hungary_IS-2.jpg
봄의 새싹 작전 당시 벌러톤 호로 진격 중인 소련 육군 소속 IS-2
독일 최후의 지상 공세였던 봄의 새싹 작전 당시 소련군 소속으로 IS-2 다수가 동원되었다.

이 시기 독일은 패색이 짙어지는 와중, 헝가리의 너지커너저 유전을 지키기 위해 최후의 수단으로 무장친위대와 중전차여단을 다수 투입하였으나, 당시 중전차여단들은 말이 중전차여단이지 전차들을 망실한데다 무기도 변변찮아 보병부대나 다를 게 없던 최악의 상황이었던데다, 독일군들 또한 겁에 질려 전장을 이탈하는 등 총체적으로 난국인 상태였다.

결국 독일군은 IS-2, SU-100등의 강력한 기갑차량을 내세워 돌격해오는 소련군을 막아내지 못하고 너지커너저 유전을 내주게 되었으며 그 마저 가용가능했던 전투차량들 조차 운용하기 어렵게 된 나치 독일은 더 이상의 공세는 물론이고 전투 능력마저 상실하게 되었다.
8.1.1.8. 베를린 공방전
파일:external/img09.deviantart.net/red_army_in_berlin_by_shitalloverhumanity-d5hxtbg.jpg
베를린 공방전 당시의 소련 육군 제7독립근위중전차여단 소속 IS-2 "414번차"
독소전 최후의 전투인 베를린 공방전 당시, 중전차여단 소속으로 다수의 IS-2들이 참전해 최전선에서 고군분투한 기록이 남아있다.

이 당시, 소련 군부 측에서는 독일군이 완강할 저항을 할 것으로 예상하여 대부분의 IS-2를 최전선 시가지 이곳 저곳에 배치하였는데, 적전차에 맞서 활약하였으나 판처파우스트에 의해 약 60여량이 손실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종국에는 결국 브란덴부르크 개선문을 넘어 베를린을 점거함으로서 기나긴 전쟁이 막을 내리게 하는데 공을 세웠다.
8.1.1.9. 프라하 공세
파일:Prague_IS-2_czech.jpg
프라하 공세 당시의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산하 제1독립전차여단 소속 IS-2
프라하 공세 당시 체코슬로바키아 제1독립전차여단 소속으로 IS-2들이 파견되었으며, 일전에 오스트라바 해방에도 참여했던 소련군 제42근위중전차여단 또한 IS-2를 동원하였다.

이후 프라하 공세가 성공적으로 끝남과 동시에 8량의 IS-2들이 1945년 5월 17일 프라하에서 열린 제1독립전차여단의 기념식에 동원되면서 전후 체코슬로바키아군의 기갑전력이 되었다고 한다.

8.1.2. 계속전쟁

파일:soviet_IS-2_during_Continuation_War.webp
계속전쟁 당시 카렐리야 지협의 소련 육군 소속 IS-2[38]
계속전쟁 시기 도태된 KV-1을 대체하여 제21중전차여단과 제26중전차여단 소속으로 소량의 IS-2들이 투입된 기록이 남아있다.

계속전쟁 당시 투입된 IS-2들은 핀란드 방위군에게 어마어마한 공포로 다가왔다고 한다. 그러나 이미 숱하게 소련군을 상대해 온 핀란드군은 침착하게 자신들에게 유리한 숲으로 IS-2를 유인해 독일제 PaK40 대전차포를 이용해 격파하거나 육탄공격을 통해 격파하였고, 이에 당황한 소련군은 후퇴하려다 늪지대에 돈좌하여 전차를 버리고 도망치기도 하였다.[39]

특기할 사항은 당시 투입된 소련군은 노련한 숙련병이 아니라, 급하게 차출되어 카렐리야로 보내진 신병들이었던데다 그들이 상대한 핀란드 방위군은 몇 년 전부터 소련군을 쓰러뜨려온 산전수전 다 겪은 숙련병들이 많았다는 점이다. 비록 핀란드 방위군은 무기도 빈약하고, 기껏해야 판처파우스트나 대전차포 몇 문에 의지해야 했던 암울한 상황이었지만 꼭 강력한 무기가 없더라도 전술을 통해 무찌를 수 있다는 전훈을 남겼다.

하지만 전투에서는 승리했지만 전황은 핀란드에게 안좋게 흘러가고 있었다. 소련군은 일련의 손실로 핀란드군을 더 이상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불태우고 있었고, 중과부적으로 핀란드는 풍전등화와 같은 상황에 놓이게 된다.

결국 1944년 중엽, 소련군은 수많은 전차를 이끌고 이전 겨울전쟁 당시 굴욕을 당했던 비보르크로 수많은 IS-2와 더불어 T-34들을 동원하기에 이른다.

BT-42 및 여러 핀란드의 전투 차량들이 동원되어 어떻게든 소련군을 막아보려 완강히 저항했으나 이는 결국 언 발의 오줌 누기 정도밖에 되지 않는 결과를 초래했고, 핀란드 정부에서 패배를 인정하고 소련과 동맹을 맺으며 계속전쟁은 이렇게 끝이 났다.

8.2. 냉전기

8.2.1. 6.25 전쟁

파일:중공군IS-2.jpg
마량산 전투 당시의 중화 인민지원군 제1사단 소속 IS-2 "402호차"
6.25 전쟁 당시 중공군이 1951년부터 1사단 산하의 1개의 전차 중대로 투입시킨 기록이 남아있으며, 당시 사진들을 보면 IS-2를 중공군이 땅에 반쯤 묻어서 거의 고정식 포대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다만 중공군은 IS-2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지 않았는데, 이는 중공군에게 IS-2는 단순한 중전차 역할로 투입된 것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중공군이 IS-2를 동원한 이유는 다음과 같았는데, 122mm의 화력을 안전하고 멀리 날려보낼 수 있는 몇 안되는 귀중한 전략자원이었기 때문이었다.

당시 중국은 1950년 7월 경 만주 다싱안링에서 철군하던 소련군으로부터 전차 수리 공장과 ISU-152, ISU-122, 치하, T-34-85 등등 다양한 장비를 얻었으나 본격적인 자주포였던 ISU 시리즈들은 사정거리가 짧다는 점과 여러 제약이 겹친다는 문제점으로 이를 함부로 투입시키기에는 어려움이 따랐기에 ISU-122과 동일한 포를 지닌 IS-2를 대신 투입시킨 것이었다.

이 때문에 중공군은 최전선에서 이를 사용하지 않고, 후방에서 안전하게 자주포로 이용하였고, 휴전협정 이후로는 다른 중공군 장비들과 같이 중국으로 돌아갔다고 알려져 있다.

6.25 전쟁 중 중공군의 IS-2의 활약으로는 상단의 "402호차"가 유명한데, 연천 왕징리 근처 마량산에서 벌어진 영국군 제1사단과의 포격전 중, 지형의 문제로 포격이 어렵자 전선으로 돌격하여 고폭탄으로 6개의 UN군 벙커를 파괴시키고 제19보병사단을 지원했고, 이후 승무원들은 이에 대한 공로로 2등 공로훈장을 수여받았다고 한다.

6.25 전쟁 중 파괴되거나, 격파된 IS-2의 수는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많은 수가 동원되어 전선에서 격파된 T-34-85 SU-76M과 달리 철저히 손실을 방지했기 때문이다.

8.2.2. 1953년 동독 봉기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Bundesarchiv_Bild_175-14676%2C_Leipzig%2C_Reichsgericht%2C_russischer_Panzer.jpg
라이프치히에서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투입된 주독 소련군 소속 IS-2 "780호차"[40]
1953년 동독 봉기 당시 소련군이 시위 진압에 개입하면서 주독 소련군 소속의 IS-2들이 T-34-85와 함께 투입된 기록이 남아있다.

이는 베를린 외곽에 주둔하던 소련군을 자극했기 때문에 주독 소련군 측에서는 자신들이 지닌 전투차량들과 동독 경찰 8천여명을 동원해 무자비하게 진압한 것으로, 당시 동독에서 일어났던 봉기는 계획된 것이 아니라 즉흥적인 시위였기 때문에 시위 지도부가 조직화되지 못했고 결국 진압당하는 것으로 막을 내렸다.

9. 운용국

9.1. 유럽

9.1.1. 동유럽

9.1.1.1. 소련
파일:0450_-_Moskau_2015_-_Panzermuseum_Kubinka_(26373875296).jpg
쿠빙카 전차 박물관 소장 소련 육군 제7독립근위중전차여단 소속 IS-2M
원조 사용국이자 개발국으로서, 1943년 IS-122라는 명칭으로 초도 생산분 도입 이후 IS-2M으로 개량을 거쳐 무려 1991년 소련 멸망 시기까지 사용하였다.

구식 중전차인 IS-2를 소련에서 오래 사용한 이유는 다음과 같은데, 우선 후계자인 IS-3나 IS-4가 초기 품질이 좋지 않았던데다, 이후 생산되는 중전차들 또한 냉전 시기에 들어서면서 주력 전차인 T-54, T-55 등에 비해 우선순위가 밀렸기 때문에 생산 수량이 급감하였다.

소련 군부에서는 어찌 됐던 구식 전력이지만 초기 주력 전차와도 무리없이 전투 가능하고, 대구경 포를 얹어 보병지원에도 좋은 중전차에 대한 수요를 포기할 수 없었으며, T-10M이 개발된 직후인 1958년 경 T-10M의 부품을 이용해 IS-2를 현대화하여 IS-2M으로 대다수의 개체를 개량하였다.

이렇게 개수된 IS-2M과 IS-2들은 1970년대까지 최전선인 동독, 폴란드, 체코 등지에 배치되어 서방 세력의 위협을 막아내는 소방수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후 중전차들의 수요가 급감하고, 후계 중전차들의 품질이 안정화 된 이후로는 일선에서 물러나 쿠릴 열도, 사할린, 부랴트 공화국, 혹은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의 중앙아시아나 극동 군구로 보내져 해안포, 자주포 역할을 수행하였다.
9.1.1.2. 러시아
파일:IS-2_Parade_No_432.jpg
승리의 날 열병식 참가 러시아 육군 소속 IS-2M[41]
소련 멸망 이후로도 한동안 헌역이었던 IS-2M은 1995년이 되어서야 구식 전투차량을 배제한다는 조례에 따라 퇴역하게 되었다.

이후로는 Ka-50 헬리콥터의 사격 표적으로 소모되는가 하면 생산 댓수 및 헌역으로 운용되었던 수가 많았기에 기동 가능한 차량이 현재도 많아 의장용으로 다수의 IS-2M이 운용 중에 있다고 한다.

9.1.2. 중부유럽

9.1.2.1. 독일
나치 독일과 동독을 구분지어 설명하도록 한다.
9.1.2.1.1. 나치 독일
파일:1509556471_OtrqYZ1.jpg
독일 국방군 노획 IS-2 네임드 차량 "Bestimmt für OKW (국방군최고사령부를 위하여)"[42]
나치 독일 측에서도 소수의 차량을 바그라티온 작전 시기부터 꾸준히 노획해 사용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다.

이 전차들의 운명이 어떠했는지에 대한 자료는 많지 않다. 독일군이 노획한 T-34-76은 운용 기록이나 편제 면에서 기록이 많이 남아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부분으로[43], 그나마 남아있는 자료로는 상단의 타르투 공세와, 베를린 공방전 직전 소수의 43년식 IS-2들이 대기 중인 사진이 남아있다.

베를린 공방전에 투입되었던 IS-2는 타 소련제 차량들과 같이, 격파되거나 혹은 회수되는 결말을 맞았을 것이라 추측된다.
9.1.2.1.2. 동독
파일:DDR_IS-2M.jpg
독일-러시아 박물관 소장 국가인민군 소속 IS-2M
독일민주공화국 수립 이후 동독을 재무장 하기 위한 일환으로 병영화 인민 경찰 시기였던 1956년 소련으로부터 IS-2를 60여량 공여받아 사용했던 기록이 남아있다.

동독에서 운용된 IS-2M은 1943년형과 44년형을 가리지 않고 모두 운용되었는데, 1950년대 말엽에 들어서면서 잔존한 IS-2를 IS-2M으로 개수하였고 이렇게 개수된 IS-2M은 1960년대에서 1970년대까지 일선에서 운용되었다고 한다.

해당 IS-2들은 퇴역 이후에도 치장물자로 관리되었다가, 현재는 구 동독 지역 기념관이나 박물관에 구 국가인민군이 사용했던 IS-2M들이 다수 전시 중에 있다.
9.1.2.2. 폴란드
파일:a6b8e2owdmd81.jpg
브로니 기갑 무기 박물관 소장 폴란드 육군 소속 IS-2 "4244호차"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폴란드 인민군이 도합 71량의 IS-2를 받아 사용하였으며, 전후 폴란드 인민 공화국에 공여된 것까지 포함하여 총 180여대의 IS-2가 1960년대까지 일선에서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의장용으로 몇몇 개체가 행사에서 동원 중에 있다.

9.1.3. 체코슬로바키아

파일:IS-2_Thumbnail_image.jpg
레사니 기술 박물관 소장 체코슬로바키아 육군 산하 제1독립전차여단 소속 IS-2
총 8량의 IS-2를 공여받아 1960년대까지 사용하였으며, 현재는 레사니 기술 박물관에 소장된 1량이 동태보존 중에 있다.

본디 해당 단차는 제1독립전차여단 소속으로 편제되어 프라하 해방에 참전한 이후, 1950년 5월에 현 마살리크 광장에 기념비로 정태보존 되었다가, 1990년에 기념비를 철거하며 해당 단차도 회수되어 복원 끝에 기동이 가능해졌다고 한다.

9.2. 아시아

9.2.1. 동아시아

9.2.1.1. 중국
파일:IS-2_in_the_CPLA_Tank_Museum_20131004.jpg
베이징 전차 박물관 소장 중국 인민해방군 소속 IS-2 105호차와 608호차
1950년 소련으로부터 60대의 IS-2 전차들이 중국 인민지원군 기갑사단에 공여되었으며, 이 중 3분의 1 가량인 20량 정도가 6.25 전쟁에 사용되었다.

중국이 운용한 차량들은 대부분이 43년형이었고, 소수의 개체가 44년형이었다고 하며 6.25 전쟁 휴전 이후인 1954년에는 22대가 추가적으로 중국에 보내져 50년대 말까지 현역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현재 43년식은 베이징 전차 박물관에 2량, 베이징이공대학에 1량, 그리고 군 기지에 1량이 전시되어 있으며 44년식은 1량이 중-러 국경지대에 전차호로 사용되었다가 방치 중에 있다.

9.2.2. 중앙아시아

9.2.2.1. 우즈베키스탄
파일:Uzbekistan_IS-2M.jpg
타슈켄트 승리 공원 소장 우즈베키스탄 육군 소속 IS-2M
우즈베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당시 소련으로부터 공여된 차량들을 운용하였으며, 소련 붕괴 이후로도 한동안 전차 학교에서 예비역으로 운용되다 퇴역하였다.

현재는 타슈켄트 승리 공원에 운전 강습용으로 사용되던 IS-2M이 전시 중에 있다.
9.2.2.2. 타지키스탄
파일:Tajikistan_IS-2M_dushanbe.jpg
두샨베 야외 전시 타지키스탄 육군 소속 IS-2M "201번차"
우즈베키스탄과 동일하게, 타지크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시절 소수의 IS-2M을 받아 사용하였다.

현재는 두샨베 시에 1량이 야외 전시 중에 있다.

9.3. 북아메리카

9.3.1. 쿠바

쿠바에도 전력 증강의 일환으로 20량의 IS-2M이 공여되었으며, 피그만 침공 당시에도 20량의 IS-2M이 T-34-85CZ와 같이 투입될 예정이었으나 예비부속 문제 및 122mm 포의 탄약 부족 등으로 실제 투입되진 못하고 사탕수수 농장 주변의 경계임무만 수행했다고 한다.

이후 1970년대 소련이 T-55를 공여하자, 이를 퇴역하고 대부분의 개체를 스크랩하거나, 수중 어초로 쓰기 위해 바닷속에 투하하였다.

현재도 아바나 앞바다에 스킨스쿠버 잠수를 하면 어초로 사용중인 IS-2M을 볼 수 있다고 한다.

10. 미디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IS-2/미디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모형

대전말 소련군을 상징하는 중전차이면서도 발매 바리에이션이 그리 많지는 않다.

11.1. 프라모델

파일:external/www.trumpeter-china.com/56fe2c54e8589.jpg }}} ||
Soviet JS-2M Heavy Tank - Early 05589
1:35 스케일의 초기형 IS-2와 IS-2M[45]을 출시하였다. IS-2M(후기형)가 아닌, IS-2(초기형)이 개수된 형태로 조종수 관측창이 폐지되지 않은 채 개수된 것이 특징이다. 실차 역시 존재하는 형태다. 2016년 4월 달에 발매했다. 자사의 트위터에 IS-1와 함께 조립샷을 공개한지 거의 1년이 넘어가는 시점에 말이다.

IS-2M에 85mm D-5T 대전차포와 여분의 포방패와 별매 122mm D-25T 대전차포를 이용하면 초기형 IS-2의 재현도 가능하나, 이렇게 재현하게 되면 IS-2m의 포탑(포를 기준으로 포방패 양쪽 넓이가 비대칭)에 IS-2 차대(IS-1의 차대)인 하이브리드 형태가 되어 버린다. 흔히 볼 수 있는 IS-2(주포를 기준으로 포방패 양쪽 넓이가 대칭)를 재현하려면 동사의 KV-122의 포탑 전면부 및 포방패 부품을 유용해야 한다. 실차중에 전시된 차량을 보면 IS-2m 포탑에 IS-1 차대인 형태[46]와 도 있으므로 이는 제작자의 취사 선택에 달려있기는 하다. 또한 포탑의 측후면의 손잡이도 IS-1과 IS-2와는 달라 이부분도 별도 재현해야 한다. 여하간 초기형 IS-2를 완벽하게 구현하려면 생각보다 이래저래 손이 많이 가므로 참조하시길 바란다.

11.2. 페이퍼 크래프트

워게이밍 러시아 서버에서 1944형 도면 2개를 배부하고 있다.
모델 / 박스

12. 참고 문헌

13.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bordercolor=#ffffff,#ff55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fff,#ff55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colbgcolor=#FF3300> 전차 - T-28 · KV-1 · IS-2 · IS-3 · T-10 · PT-76 · T-80 · 오비옉트 279
자주포 - ISU-152 · ISU-122 · 2A3 콘덴사토르-2P · 2B1 오카
}}}}}}}}}}}} ||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바르샤바 조약 기구 합동군 표준형 장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cd0000> 육군 AKM, AK-63, AMD-65, AK-74, RPK, Vz.61, PKM, AGS-17, SVD, RPD, RPG-7, SPG-9, B-10, B-11, 9K11 말륫카, M-160 박격포, 2B9 바실료크, 240mm M240 박격포, PM-36/37/41/43, SPG-9, PT-76, IS-2, T-34, T-54/55, T-62, T-72, ASU-57, ASU-85, BMP-1, BMP-2, BTR, BRDM-1, BRDM-2, MT-LB, OT-64 SKOT,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ShKH vz.77 Dana, 2S4 튤판, 2S7 피온, 100mm BS-3 야포, T-12 대전차포, MT-12, 152mm D-1 곡사포, D-20, D-44, 122mm D-74 야포, 122mm M-30 곡사포, 130mm M-46 평사포, S-23, 2A18, BM-14, BM-21, BM-24, RM-70, ATS-59, UAZ-469, UAZ-452
방공군
대공포 ZPU-4, ZU-23, AZP S-60, KS-19, ZSU-57-2, ZSU-23-4
대공 미사일 9K32 스트렐라, 9K38 이글라, 9K33 오사, 2K11 크루그, 2K12 쿠프, S-75, S-125, S-200, S-300
공군
헬리콥터 Mi-1, Mi-2, Mi-4, Mi-6, Mi-8/17, Mi-9, Mi-14, Mi-24, Ka-25, Ka-27, PZL SM-1
전투기 MiG-15, MiG-17, MiG-19, MiG-21, MiG-23, MiG-29
요격기 MiG-25
공격기 Su-7, Su-17/20/22, Su-25
수송기 L-29, L-39, L-410, Yak-17, Yak-23, Yak-40, Il-12, Il-18, Il-28, Il-62, Tu-2, Tu-134, Tu-154, An-2, An-12, An-14, An-24/26/30
해군 폭스트로트급 잠수함, 위스키급 잠수함, 로미오급 잠수함, 킬로급 잠수함, 스코리급 구축함, 코틀린급 구축함, 카신급 구축함, 리가급 호위함, 코니급 호위함, 포티급 초계함, 파우크급 초계함, 파르킴급 초계함, 타란툴급 초계함, 크론슈타트급 구잠정, 오사급 고속정, P-6급 어뢰정, P-4급 어뢰정, 셰르셴급 어뢰정, T43급 소해함, 바냐급 소해함, 소냐급 소해함, 폴노크니급 상륙함
탄도 미사일 스커드 미사일, 토치카 미사일, 오카 미사일, 2K6 루나, 9K52 루나-M
소련군만 운용한 장비(예: T-64)는 제외한다. }}}}}}}}}

제2차 세계 대전의 독일 국방군 기갑 장비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letter-spacing: -0.75px"
<colbgcolor=#484848> 제2차 세계 대전
독일 국방군 무장친위대 기갑차량
장갑차 Sd.Kfz. 3 | Sd.Kfz. 4 | Sd.Kfz. 6 | Sd.Kfz. 7 | Sd.Kfz. 8 | Sd.Kfz. 9 | Sd.Kfz. 10 | Sd.Kfz. 11 | Sd.Kfz. 250 | Sd.Kfz. 251 | sWS
Kfz. 13 | Sd.Kfz.221 | Sd.Kfz.222 | Sd.Kfz.223 | Sd.Kfz.231 | Sd.Kfz.232 | Sd.Kfz.233 | Sd.Kfz. 234/1 | Sd.Kfz. 234/2 푸마 | Sd.Kfz. 234/3 슈툼멜 | Sd.Kfz. 234/4 | Sd.Kfz. 247 | Sd.Kfz. 263
전차 Pz.Kpfw. I (Ausf.A/B/C/D/F) | Pz.Kpfw. II (Ausf.a/b/c/A/B/C/D/E/F/G/H/J/L/M)
Pz.Kpfw. III (Ausf.A/B/C/D/E/F/G/H/J/L/M/N) | Pz.Kpfw. IV (Ausf.A/B/C/D/E/F1/F2/G/H/J) | Pz.Kpfw. V 판터 (Ausf.D/A/G/F)
Pz.Kpfw. VI (Ausf.H/H1/E) | Pz.Kpfw. 티거 Ausf.B
구축전차 헤처 | 야크트판처 IV | 야크트판터 | 야크트티거
대전차 자주포 Sd.kfz. 6/3Diana | 판처예거 I | 마르더 I | 마르더 II | 마르더 III | 마르더 III (Ausf.H/M) | 판처예거 나스호른/호르니세 | 판처예거 티거 (P) 페르디난트/엘레판트 | 5cm PaK 38 auf 브루큰리거 IVc
구난전차 베르게판처 III | 베르게판처 IV | 베르게판터 (Ausf.D/A/G) | 베르게티거 | 베르게티거 (P) | 베르게헤처 38
돌격포 StuG III (Ausf.A/B/C/D/E/F/G) | StuG IV | 슈투름판처 IV | 38cm 슈투름뫼르저 | StuH 42 | StuIG 33B
자주포 슈투름판처 I | 슈투름판처 II | 슈투름판처 III | 베스페 | 그릴레 (Ausf.H/K) | 훔멜 | 뫼르저 칼 | 105mm leFH18(Sf) LrS | 150mm sFH13/1(Sf) LrS | Sd.Kfz. 4/1 | 15cm 판처베르퍼 42 auf sWS | Sd.Kfz 251/1-II
자주대공포 Sd.Kfz. 6/2 | Sd.kfz. 7/1 | Sd.kfz. 7/2 | Sd.kfz 10/4 | Sd.Kfz. 10/5 | 플락판처 IV (뫼벨바겐/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오스트빈트 II/쿠겔블리츠) | 플락판처 38(t) 게파트 | 플락판처 III (비르벨빈트/오스트빈트) | 플락판처 I
노획차량 및 개조품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파일:체코 국기.svg Pz.Kpfw. 35(t) | 아틸러리 슐레퍼 35(t) | Pz.Kpfw. 38(t) | 판처예거 스코다 SIDt32(t)
파일:유고슬라비아 왕국 국기.svg Pz.Kpfw. 32 (j) | 르노 FT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M35 미틀레레 판처바겐 | Sd.Kfz. 254 | ADMK Mulus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le.Pz.Kpfw. TK(p) | le.Pz.Kpfw. TKS(p) | Pz.Kpfw. 7TP 731(p) | 아틸러리 슐레퍼 C7P(p) | 아틸러리 슐레퍼 C2P(p) | 르노 FT
파일:덴마크 국기.svg Pz.Sp.Wg. L202(d) | Pz.Sp.Wg. Pansarbil m/39(d)
파일:벨기에 국기.svg 아틸러리 슐레퍼 VA 601 (b) | Pz.Sp.Wg. VCL 701(b) | Pz.Kpfw. AMC 738(b) | 판처예거 Sfl. CL 801(b) | 판처예거 VA 802(b) | 르노 FT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Pz.Sp.Wg. DAF 201(h) | Pz.Sp.Wg.L202(h) | Pz.kpfw. FT 731(h)
파일:프랑스 국기.svg Pz.Sp.Wg. Wh 201(f) | Pz.Sp.Wg. Laf 202(f) | Pz.Sp.Wg. 203(f) | Pz.Sp.Wg. P204(f) | 5cm KwK38 L/42 아우프 Pz.Sp.Wg. P204(f) | Pz.Sp.Wg. 178 P204(f) 쉬넨판처 | 라이히터 슈츤판처바겐 U304(f) | 2 cm Flak 38 leSPW U304(f) | 3,7 cm PaK 36 아우프 leSPW U304 (f) | Le.Zgkw. S307(f) | 미틀레러 게판처터 주크카프트바겐 S307/303(f) | 미틀레러 슈츤판처바겐 S307/303(f) | SPW S307/303(f) mit 라이헨베르퍼 | 7.5 cm Pak 40 아우프 m SPW S307/303(f) | 8 cm R-비파흐베르퍼 아우프 m.gep.Zgkw. S307/303(f) | 판처예거 mit 7,5 cm Pak40 아우프 파크슈텔 S307(f) | 15 cm 판처베르버 42 아우프 m.gep Zgkw. S307/303(f) 네벨베르퍼 41 | 로렌 슐레퍼(f) | 판처예거 로렌 슐레퍼 mit 47 mm Pak 181(f) | 베오바흐퉁스바겐 아우프 로렌 슐레퍼 | 판처 I turm 아우프 로렌 슐레퍼(f) | 12.2 cm FK (r) 아우프 게슈츠바겐 로렌 슐레퍼(f) | 19.4 cm 카노네 485 (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19,4 cm 카노네 485/585 (f) | 28 cm 뫼르저 602(f) 아우프 젤브스트파라페트 |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3.7 cm Pak 36(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28/32 cm 부르프라멘(Sf)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무니티온-슐레퍼 아우프 인판터리 슐레퍼 UE 630(f) | 지히훙스파초이크 UE(f) | Pz.Sp.Wg. VM 701(f) | Pz.Sp.Wg. ZT 702(f) | 8cm 슈위허 그라나트베르퍼 34 아우프 Pz.Sp.Wg. AMR35(f) | Pz.kpfw. 17R 730c(f) | Pz.Kpfw.17R 730m(f) | Pz.Kpfw. 18R 730(f) | Pz.Kpfw. 35R 731(f) | Pz.Kpfw 35R 731(f) mit MG34 | Pz.Kpfw. 35R 731(f) mit T-26 Turm | 4.7 cm PaK(t) (Sfl.) 아우프 Fgst.Pz.Kpfw. 35R 731(f) | Pz.Kpfw 40R 736(f) | Pz.Kpfw. D-1 732(f) | Pz.Kpfw. D-2 733(f) | Pz.Kpfw. 35H 734(f) | Pz.Kpfw.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8H 735(f) | 아틸러리-판처-베오바흐퉁 38H 735(f) | 운 그호서 풍크 운트 베페츠바겐 38H 735(f) | 무니티온-슐레퍼 39H 735(f) | 10.5cm leFH18(Sf) 아우프 게슈츠바겐 38H(f) | 부르프라멘 35H (f) | Pz.Kpfw. FCM 737(f) | 7.5 cm Pak 40 아우프 게슈츠바겐 FCM 36(f) | 7.5 cm Pak 40/1 아우프 Lorraine 슐레퍼(f) | Pz.Kpfw. 35-S 739(f) | Pz.Kpfw. B-2 740(f) | 105mm leFH 18/3 아우프 Gw B-1/B-2 740(f) | Pz.Kpfw B-1 Flamm | Pz.Kpfw. 770(f) | Pz.Kpfw. 612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Pz.Sp.Wg. BA 202(r) | Pz.Sp.Wg. BA 203(r) | 게판처트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3,7 cm PaK 35-36 아우프 게판처터 아틸러리 슐레퍼 630(r) | 슈윔 Pz.Kpfw. T-37 731(r) | 슈윔 Pz.Kpfw. T-38 732(r) | 슈윔 Pz.Kpfw. T-40 733(r) | Pz.Kpfw. T-26A 737(r) | Pz.Kpfw T-26A 737(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B 738(r) | Pz.Kpfw. T-26B 738(r) mit 75 mm Pak 97/38(f) | Pz.Kpfw. T-26C 740(r) | 7,5 cm Pak 97/38(f) 아우프 740(r)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S 739(r) | Brücke Pz.Kpfw. T-26 741(r) | T-26T | 플라멘베르퍼 Pz.Kpfw. T-26B 739(r) | Pz.Kpfw.BT 742(r) | Pz.Kpfw. T-60 743(r) | Pz.Kpfw. T-70 743(r) | Pz.Kpfw. T-34/85 747(r) | Pz.Kpfw. T-28 746(r) | Pz.Kpfw. T-34/76 Ausf.A 747(r) | Pz.Kpfw. T-34/76 Ausf.B 747(r) | Pz.Kpfw. T-34/76 Ausf.C 747(r) | Pz.Kpfw. T-34/76 Ausf.D 747(r) | 플락판처 T-34 747(r) | 베르게판처 T-34 | Pz.Kpfw. T-28V(T-28B) 748(r) | Pz.Kpfw. T-35A 751(r) | Pz.Kpfw. T-35C 752(r) | Pz.Kpfw. KV-IA 753(r) | Pz.Kpfw. KV-IB 755(r) | Pz.Kpfw. KV-IB 755(r) mit 7.5cm KwK 40 L/43 | Pz.Kpfw. KV-IC 756(r) | 베르게판처 KV-I | (슈투름)Pz.Kpfw. KV-II 754(r) | 야크트판처 SU-76(r) | 야크트판처 SU-76M(r) | 야크트판처 SU-85(r) | 야크트판처 SU-100(r) | 슈투름게쉬츠 SU-122(r) | 슈투름 Pz.Kpfw. SU-152(r) | 슈투름 Pz.Kpfw. ISU-152(r) «도젠외프너» | 야크트판처 SU-76I(r) | Mk.V | Pz.Kpfw. 처칠 | Pz.Kpfw. M3 747(a) | Pz.Kpfw. M4A2 748(a) | Pz.Kpfw. IS-2(r)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Panzerspähwagen Marmon-Herrington(e) gep.M.Trsp.Wg Bedford(e) | "Mammuth" | Pz.Sp.Wg. Mk l 202(e) | Pz.Sp.Wg. Mk.I bis III 202(e) | gep.M.Trsp.Wg Bedford(e) | Gepanzerter Maschinengewehrträger Bren 731(e) | 판처예거 Bren 731(e) | Gep. MG-Träger Br 731(e) mit 3,7cm Pak35/36 | 4.7cm PaK 188(h) auf Sfl. Bren 731(e) | 25mm Pak 112/113 auf Sfl. Bren 731(e) | 2.8cm sPzB.41 auf Sfl. Bren 731(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3(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4(e), 라이히터 Pz.Kpfw Mk.II 735(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6(e) | 라이히터 Pz.Kpfw Mk.II 737(e) | 크로이처 Pz.Kpfw Mk.I 741(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2(e) | 크로이처 Pz.Kpfw Mk.II 743(e) | 크로이처 Pz.Kpfw. Mk IV 744 (e) | Kruizer Pz.Kpfw Mk.V 745(e) | 크로이처 Pz.Kpfw Mk.VI 746(e) | 인판터리 Pz.Kpfw Mk.I 747(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 인판터리 Pz.Kpfw. Mk.II 748(e) mit 5cm KwK 38 L/42 Oswald | Pz.Kpfw. Mk.III 749(e) | 인판터리 Pz.Kpfw. Mk.IV(e) Churchill | 셔먼 VC | 판처예거 M10 (e) Achilles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Pz.Sp.Wg. Ford M8/M20 (a),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M3 401(a), Gep.M.Trsp.Wg. M3 401(a) mit 부르프라멘40, Pz.kpfw. M3 740(a), Pz.Kpfw. M5A1 (a), Pz.Kpfw. M3 747(a), Pz.Kpfw. M4 748(a), BPz 748(a), Pz.Kpfw. M4 748(a), BPz 748(a), 판처예거 M10 (a)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8M 톨디I(u), 42M 톨디II(u), 40/43M 즈리니 II (u), 40M 님로드 (u), 40M 투란I (u), 40M 투란II(u), 39M 차바 (u)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Pz.Sp.Wg. AB41 202(i), Pz.Sp.Wg. AB43 203(i), Pz.Sp.Wg. 란치아 1ZM (i), Pz.Sp.Wg. Lince 202(i), 게판처터 만샤프트트란스포트바겐 S 37 250(i), Pz.Kpfw L3/33(Flamm), Pz.Kpfw CV 35 731(i)/ Pz.Kpfw L3/35 731(i), Pz.Kpfw L3/33(Flamm) / L3/35 (Flamm) 732(i), Pz.kpfw. L6/40 733(i), Pz.kpfw. M11/39 734(i), Pz.kpfw. M13/40 735(i), Pz.kpfw M14/41 736(i), Pz.Kpfw. P40 737(i), Pz.Kpfw. M15/42 738(i), 슈투름게쉬츠 L6 mit 47/32 770(i), 판처베펠츠바겐 M41 771(i), 게판처트 젤브스트파라페트 90/53 831(i), 슈투름게쉬츠 M40 mit 75/18(i), 슈투름게쉬츠 M42 mit 75/18 (i)/Pz.bef.Wg M42 850(i), 슈투름게쉬츠 M42M mit 75/34 852(i), 슈투름게쉬츠 M42L mit 105/25 853(i), 슈투름게쉬츠 M42T mit 75/46 (i),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34 851(i) , 슈투름게쉬츠 M43 mit 75/46 852(i), 슈투름게쉬츠 M43 mit 105/25 853(i), Gepanzerte 젤브스트파라페트 M43 149/40 854(i) }}}}}}}}}
프로토타입 T-25, 경 트랙터, 대형 트랙터, Pz.Kpfw. Nb.Fz, 호이슈레케 10, D.W.1/2, 5/4호 전차, VK 시리즈, 기갑 자주포, VK 30.01 / 02, VK 36.01, VK 45.01(P), VK 45.02(P), VK 65.01,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게쉬츠바겐 티거, 로이머 S, Kätzchen 병력수송장갑차, 8,8cm 바펜트레거
페이퍼 플랜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 / 10호 전차, E 시리즈, 1인용 경전차 시안 "마우스", 슈투름판처 Bär, 슈투름판터, P.1000 라테, P.1500 몬스터, 마레샬 구축전차
차량 독일 국방군/차량, 퀴벨바겐, 슈빔바겐, 슈타이어 1500A, Büssing-NAG T500, Büssing-NAG G31, Büssing-NAG L4500, 오펠 블리츠, 포드 B3000S, V3000S, V3000A, 보르크바르트 B3000, 메르세데스-벤츠 G5, 메르세데스-벤츠 L1500, 메르세데스-벤츠 L3000, 메르세데스-벤츠 LG3000, 메르세데스-벤츠 L4500, 메르세데스-벤츠 L6500, 크루프 프로체, 타트라 T111
모터사이클 DB / DBK, KS 750, 케텐크라프트라트, R-75
그 외 동부용 궤도형 트랙터, 동부용 차륜형 트랙터, 수륙양용 트랙터, 골리아트 지뢰, 보르크바르트 4호, 스프링거 무인자폭차량, VsKfz 617, 쿠겔판처
기타 독일 기갑 병기의 역사와 루머
※ 당시 독일은 고질적인 무기부족, 점령국가의 치안을 이유로 기존의 노획 전차 및 차량(Beutepanzer)에 새로운 제식명을 붙여 사용했다.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기갑장비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fefefe,#c0392b>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 기갑차량
전간기 차량 피우수트스키 장갑차, 포드 Tf-c, 오스틴-푸틸로프O, 제프리-포플라프코O, 가포드-푸틸로프O, 에르하르트 E-V/4O, 피어리스O, 피아트-이조르스키O, 푸조O, 카든 로이드 Mk.VIO, 르노 FTO, 르노 M26/27O, 르노 NC-27O, 피아트 3000O
전차 <colbgcolor=#fefefe,#c0392b> 탱켓 TK-3, TKF, TKS
경전차 7TP, 빅커스 Mk. EO, 르노 FTO, 르노 R35O, 호치키스 H35O
프로토타입 TK-1, TK-2, TKW, TKS-B, PZInż.160, 4TP, 9TP, 10TP, PZInż.130
페이퍼플랜 13TP, 14TP, 53TP
장갑차 경장갑차 푸조 장갑차O, Wz.28, Wz.34
중장갑차 Wz.29 우르수스
대전차 자주포 TKS-D
자주포 TKD
군용차량 모터사이클 MOJ 130, 소쿠우 200, 소쿠우 600, 소쿠우 1000, 포드코바 98
차량 CWS T1, PF-508 와지크, PF-518 마주르, PF-508/518, 라플리 V15RO, 르노 AGKO, PF-618 그롬, Wz.34 하프트랙, 라틸 FB6O
군용트럭 PF-621L, PF-621R, 우르수스 A, 프라가 RVO, 베를리에 CBAO, 쉐보레 157
견인차 PZInż.302, C2P, C4P, C7P, 시트로엥-케그레스 B2 10CVO, 시트로엥-케그레스 C6 P14/17/19O
자유 폴란드군 장비 르노 FT, 르노 R35, 르노 R40, A13 Mk.III, 마틸다 I, 크롬웰, 크루세이더, 처칠, M3A3 스튜어트, 셔먼 I, 셔먼 IIA, 셔먼 IB, 셔먼 III, 셔먼 V, 셔먼 VC, 셔먼 IC, Mk.I 아처, 유니버설 캐리어, M3 하프트랙, 험버 장갑차, M6 스태그하운드, 모리스-커머셜 LRC, AEC 도체스터 ACV, M10 GMC, 3호 전차G형O, 4호 전차O
폴란드 인민군 장비 T-34-76O / T-34-85O, T-70O, IS-2O, BA-20O, 윌리스 MBO, BA-64O, M4A2 (76)O, BA-64, SU-57O, SU-76MO, SU-85O, ISU-122O, ISU-152O, 유니버설 캐리어O, M17 MGMCO
폴란드 국내군 장비 쿠부시, Sd.Kfz. 251 D형O, BA-20MO, BA-202(r)O, M14/41O, 헤처O, 4호 전차H형O, 5호 전차 판터O, 6호 전차 티거O
※ 윗첨자O: 타국에서 구매, 공여 및 노획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 공신호 전차CN, M5A1CN/?
중형전차 T-34-76X, T-34-85, M4A2 (76) WX
중전차 IS-2CN
화염방사전차 OT-34CN
장갑차 BA-64, BTR-40
자주포 SU-76M, LVT(A)-4 (ZiS-2)CN
다연장로켓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모터사이클 M-72
노획 차량 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


냉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소련식 분류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냉전기
소련군 기갑차량
전차 <colcolor=#fff> 시대별 세대 구분 <colcolor=#fff> 1세대 전차 <colcolor=#fff> 중형전차 <colbgcolor=#fefefe,#393b42> T-2597 «치하»L/R, T-2597 «신호토 치하»L/R, M4A2E8L/R, M4A4L/R, T-34-76R, T-34-85 (D-5T)R, T-34-85MLT, T-44MR, M-50L/R, M-51L/R
중전차 MK-IIL/R, T-VL/R, IS-2M, IS-3M
2세대 전차 중형전차 K-91, T-54, T-55, T-62(A/M), T-64
중전차 IS-4M, IS-7, T-10(M), 오비옉트 257, 오비옉트 277, 오비옉트 278, 오비옉트 279, 오비옉트 752, 오비옉트 777
경(부항)전차 PT-76 «플라분», PT-76B «플라분», PT-85, T-100
미사일 전차 IT-1, 오비옉트 287, 오비옉트 775, 오비옉트 780, 오비옉트 906B
3세대 전차 1세대 주력전차 T-64A
2세대 주력전차 T-72
3세대 주력전차 T-80
MBT 기준 세대 구분 1세대 MBT T-62B, T-64(A/R), T-72A
2세대 MBT T-64B/B1/BV, T-72(B/B1), T-80(B/BV/A/U)
장갑차 장륜장갑차 BRDM-1, BRDM-2, BTR-60, BTR-70, BTR-80
궤도장갑차 BTR-50, MT-LB, GT-T, GT-L, GT-MU, DT-30, BMD-1, BMD-2, BMD-3, BMD-4, BTR-D, BMP-1, BMP-2, BMP-3
차량 소형 UAZ-469, GAZ-64, GAZ-67, GAZ-69, UAZ-452, UAZ-469
트럭 MAZ-7310, ATS-59, GAZ-51, GAZ-63, ZIS-150, ZIL-150, ZIL-164 «자하르», GAZ-66, ZiS-151, ZiS-157, ZiL-131, 우랄-4320, KrAZ-214, KrAZ-255
자주포 자주곡사포 SU-122R, 2A3 콘덴사토르-2P, 2S1 그보즈디카, 2S2 피알카, 2S3 아카치야,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2S19 무스타-S
자주박격포 2B1 오카, 2S4 튤판, 2S9 노나-S
자주평사포 SU-57L/R, SU-M10L/R, SU-76IL/R, SU-76M, SU-85R, SU-85MR, SU-100, ISU-122, ISU-152, SU-122-54, ASU-57, ASU-85, SU-100P, SU-152 타란, SU-100M, 2S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57-2, ZSU-37-2 예니세이, ZSU-23-4 쉴카, 2S6 퉁구스카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 퉁구스카, 9K31 스트렐라-1, 9K33 오사, 9K35 스트렐라-10, 9K330 토르
다연장로켓 BM-13, BM-21, BM-24, BM-27, BM-30, TOS-1 부라티노
경전차 T-26R, T-70 «세미데샤트카»R, M24 채피L/R, T-2595 «하고»L/R, MK-IIIL
구난전차 IMR-2, BTS-4, IMR
기타 GRAU 코드명, GABTU 코드명
※ T-64A(오비옉트 434)부터 주력전차로 분류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윗첨자 L: 렌드리스/전시 노획/노획 차량 인수로 치장장비/연구용으로만 사용했다.
※ 윗첨자 LT: 체급이 경전차로 재편성되었다.
※ 윗첨자 R: 냉전 중 퇴역한 차량.
}}}

}}}}}}


냉전기 동독 국가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5px -0px -11px;"
<colbgcolor=#006633> 국가인민군 (1956~1990)
National Volksarmee
기타전차 <colbgcolor=#006633> 경전차 SchwPz PT-76B, PT-76 Md.2
중형전차 mKPz T-34/76 mod.1941, mKPz T-34/76 mod.1942, mKPz T-34/76 mod.1943, mKPz T-34/85, mKPz T-34/85M
중전차 sKPz IS-II
MBT 1세대 KPz T-54(Z/AZ/AMZ), KPz T-55(A/AM1B · 2B · 2PB)
2세대 KPz T-72(M/M Übergangsversion/M1)
장갑차 차륜장갑차 SK-1, SPW-152K, SPW-40, SPW-40PA, SPW-40P2,
SPW-60PB, SPW-70, PSzH-IVGT
궤도장갑차 SPW-50(P/PK), MT-LB, SPz BMP-1, SPz BMP-2
차량 소형 GAZ-69, UAZ-469, UAZ-452, IFA P2MGT, IFA P3GT, 트라반트 퀴벨GT
트럭 GAZ-51, GAZ-63, FSC 루블린-51, GAZ-66, 로부르 LO 1800 · 2002, ZiL-131GT · 135 · 157 · 167, Ural-375DGT · 4320,
타트라 T-813/815, KrAZ-214 · 255B, IFA H3A · G5 · H6 · W50L/A · L60 · S4000
자주포 자주곡사포 Sfl ISU-152M, Sfl-Hb 2S1, Sfl-Hb 2S3
대전차 자주포 ASU-57, Sfl SU-76M, Sfl SU-85, Sfl SU-100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Fla-Sfl 57-2, Fla-Sfl 23-4(W1/M) Schilka
대공미사일 2K11 크루그, Fla-Kom Strela-10, Fla-Kom Osa
다연장로켓 BM-14, BM-21, BM-24, RM-70
※ 윗첨자GT: 독일민주공화국 국경부대(Grenztruppen der DDR)에서도 같이 사용했던 차량들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bgcolor=#11457e> 냉전기
체코슬로바키아 인민군(1954~1990) 기갑차량
기타 전차 T-36, LT-38/37, T-40/75, IS-2, T-40
MBT <colcolor=#373a3c><colbgcolor=#11457e> 1세대 T-54(A/AM/AR Reika), TVP,
T-55(A/AM1 · M1B/AM2 Dyna-1 · M2B/AMB)
2세대 T-50/51, T-72(M1/M1CZ · M2CZ)
장갑차 차륜장갑차 OT-64 SKOT (A/C), OT-65, BRDM-2
궤도장갑차 OT-810, BPzV, OT-62(A/B/Vydra), BVP-1 · OT-90, BVP-2
차량 소형 스코다 1101 VO, UAZ-469
트럭 타트라 148 · T-813 · T-815, 스코다 6L · RSO · 706, 프라가 V3S
자주포 자주곡사포 ST-II, ShKH vz.77 Dana, 2S1 Karafiát, 2S7 Pivonka
자주박격포 2S4 튤판
대전차 자주포 ST-I, ST-III, SD 75/40N, SD-100, TSD-152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z.53/59 PLDvK, STROP-(1/2)
단거리 대공미사일 PLRK S-1M2, PLRK S-10M, 9K33(M2/M3) 오사
다연장로켓 BM-24, RM vz. 70
이텔릭체: 외산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장비 }}}}}}}}}


파일:러시아 국기.svg 현대 러시아 연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colbgcolor=#ffffff,#191919>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기타전차 <colbgcolor=#ffffff,#191919> 경전차 PT-76(B)R, AMX-10RCC
중형전차 T-34-85MC
중전차 IS-2R, IS-2MR, IS-3MR, T-10MR
퍼레이드용 차량 T-2597 «신호토 치하»C/R, T-34 (1941)R, T-34 (1942)R, T-70 «세미데샤트카»R, T-34-85R, T-34-85MR, T-34-85CZR, MK-IIIR, SU-76MR, SU-85R, SU-85AR, SU-100R, ISU-152R, ISU-122R, 윌리스 MBR, BA-64R, BA-6R, TIZ-AM-600R, T-20R, T-26RTR, KhT-26R, T-38R, T-60R, T-28R, T-35R, MS-1R, BM-13R
MBT
서방식 분류
1세대 T-54(AM/M)RC, T-55(AD · AM · AMV)RC
2세대 T-62(M · MV)RC, T-64(A/B · B1 · BV · BMC), T-72(우랄/ARC · M1C · B · BA), T-80(BRC · BV · BVM)
3세대 T-80(U · UDRC · UK · UM2D · BVM) , T-72(B3(M)), T-90(A · S), M1A1 SAC
3.5세대 T-90M, T-14, 레오파르트 2A6C
장갑차 차륜장갑차 BDRM-2/2RkhbRC, BTR-60RC, BTR-70RC, BTR-82AM/82A/82A1, BTR-90S,
BTR-4C, BPM-97, AMN-590951, { K-16 부메랑 BTR}, { K-17 부메랑 BMP}, Z-STS, 05식 장갑차, M2010 APC?
궤도장갑차 MT-LB, BMD-2, BMD-3, BMD-4, BMP-1S(M · AMㆍUC), BRM-1(K)/Obr. 2021, BMP-2(M), BMP-3, BMPT, BMO-T, { T-15},
{ 쿠르가네츠-25(BMP · BTR)}, { BMMP}, PTS-2, PTS-3, DT-30, BTR-50RC, YPR-765C, M113C, CV90C, M2A2 ODS-SAC, 마르더 1A3C
차량 소형 UAZ-469, GAZ-2975 티그르, GAZ-2330 티그르, 이베코 LMV, VBL, UAZ-3132, UAZ-3163, 타루스2x2, A-1, TTM-1901-40, K-4386 타이푼-VDV, M1224 MaxxProC, M-ATVC, HMV 하야테, 플라스툰-SN
트럭 GAZ-51, GAZ-63, GAZ-66, GAZ-33097, MAZ-7310, MAZ-6317C/R, 우랄-4320, 우랄-5323, ZiL-131, KamAZ-4326, KamAZ-4350/5350/6350, KamAZ-65225, KamAZ 타이푼, BAZ-6906
자주포 자주곡사포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A-222 베레크, 2S19 무스타-S, 2S35 칼리챠-SV, 2S43 말바, M-1989 주체포?
자주평사포 2S5 기아친트-S, 2S7 피온
자주박격포 2S4 튤판, 2S9 노나-S, 2S23 노나-SVK, 2S31 베나, 2S34 호스타, 2S39 매그놀리아, 2S40 플록스, 2S41 드로크, 2S42 로토스
대전차 자주포 2S25(M)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4 · M5) 쉴카, 2S6(M1) 퉁구스카, 판치르-S1, 소스나-R , { 2S38 데리바치야-PVO}
단거리 대공미사일 2K22(M1) 퉁구스카, 판치르-S1, 9K331 토르-M1, 9K33(M3 · AKM) 오사, 9K35(M3 · MN) 스트렐라-10
다연장로켓 BM-21 그라드, BM-27(M1) 우라간, BM-30 스메르치, 9A52-4 토네이도, TOS-1A 손체푝, TOS-2 토소치카, 체부라시카, M-1991 방사포?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S: 비축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RC: 재취역 차량
※ 윗첨자D: 전량 손실
취소선: 개발 및 도입 중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윗첨자?: 도입 의혹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러시아·소련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파일:폴란드 국기.svg 현대 폴란드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ff> 폴란드군 (1990~현재)
Wojsko Polskie
기타전차 셔먼 VCR, T-34-85M1/M2R, IS-2R, IS-3R
MBT <colbgcolor=#fff> 1세대 T-55(A/L/AM1 · M2) MéridaM/R
2세대 T-72A
3세대 T-72(M/M1 · 1D) Jaguar, PT-91(MA/MA1) 트바르데M,
레오파르트 2(A4/A5), M1A1SA
3.5세대 레오파르트 2PL, M1A2 SEP v3, K2GP, { K2PL}
경전차 PT-76BR, PL-01, WPB 안데르스
장갑차 차륜장갑차 쿠부시R, KTO 로소막, BRDM-2, SKOT-(1A/2A · 2AP), BTR-40R
궤도장갑차 TOPASR, BWP-1(C/D), BWP-2(D)R, MT-LB, { BWP 보르숙}, {CBWP 사업 K-9 차대기반}, BWP-2000, WPB 안데르스
차량 소형 { K-151 레그완}, 타르판 혼커 2000 · 스콜피온 · 스콜피온-3, 투막, 온실라, 디펜더, 벤츠 GD 290/250, WD-43, 샌드캣
트럭 벤츠1017A · 유니목 1300L, ZiL-131, ZiL-157,
이베코 스트라리스 · 트래커 · 유로카고 · MP720 시리즈 · M40.12WM,
Star 200 · 244 · 266(M) · 660(M) · 944K ·1466ML · 1444,
Jelcz P/S662D · P662D · P642D · C642D · C662D · P/S862D · P/S842D
타트라 T-815, KrAZ-255, 우랄-375D, 우랄-4320, GAZ-66,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2S7 PiwoniaR, 2S1(M/T) Goździk, wz. 1977 DANA-T, AHS 크라프, AHS 크릴, K-9A1, { K9PL}
자주박격포 TOPAS-2APR, { 로소막-Rak}
대전차 자주포 SU-57R, M10 아킬레스R, ASU-57R, ASU-85MR, SU-100R, ISU-152R, M36B1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ZSU-23-4MP BiałaM, LSPZRA Sopel, PZA 루아르-(A/NG)
단거리 대공미사일 9K31 Strzała-1R 9K35 Strzała-10MR, ZRK-SD RombR · 9K33BM3 ŻądłoM, Mała NAREW
다연장로켓 BM-24R, BM-21R, WR-40 랑구스타M, RM-70/85, M142 HIMARS, { 호마르-K}, { 호마르-A}
지원 차량 구난차량 BPz 2, { M88A2 허큘리스}
교량차량 { M1110 JAB}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중국 국기.svg 현대 중국 인민해방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1c25> 중국 인민해방군 (1948~현재)
中国人民解放军 / 中國人民解放軍
기타 치하IJA/NRA/L/R, M4A2NRA/M/R, M4A3 (76) W HVSSC/R, IS-2L/R, OT-34 1943년형L/R, T-34-85L/M/R, 58식 전차M/R, WZ-111, 122 중형전차, L3/35NRA/R, M46 패튼C/R
MBT <colbgcolor=#ee1c25> 1세대 59식 전차
2세대 69식R · 79식 전차, 80식R · 85식R · 88식 전차, 90식 전차, 96식 · 96A식 전차, T-72 우랄-1, T-72M1
3세대 96B식 전차, 99식 전차
3.5세대 99A식 전차
경전차 아식 구돈반전차NRA/R, M3A3NRA/C/R, M5A1 스튜어트NRA/R, 97식 "공신호" 경전차IJA/NRA/C/M/L/R, QT-95형IJA/NRA/C/L/R, M24 채피C/R, 59-16 경전차, 62식 전차R, 63식 전차, WZ-132, 05식 양서돌격차, 15식 경전차, VT-5E
장갑차 차륜장갑차 56식 장갑차R, 90식 장갑차, 92식 장갑차, 93식 장갑차, 05식 장갑차, 08식 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NRA/R
궤도장갑차 옥스포드 캐리어C/R, 와스프 IICC/R, SU-85 구난전차L/M/R, M113C/R, 63식 장갑차, 77식 수륙양륙장갑차, 86식 보병전투차R, 85식 장갑차, 89식 장갑차,
03식 공수 보병전투차, 04식 · 04A식 보병전투차, 05식 양서장갑차
차량 소형 둥펑 멩시 시리즈, 둥펑 EQ-2050, 노린코 VP11, 노린코 VP22, 노린코 VN21, 노린코 CS/VN11, 노린코 CS/VN14, CS/VP11 ATV, CS/VP6/VP16 ATV, 얀징 YJ2080
트럭 우랄-4320, GAZ-51R, GAZ-63R, 난징 유에진 NJ130R, 난징 유에진 NJ230R, 지에팡 CA10R, 둥펑 EQ240/EQ2081 6x6, 둥펑 EQ2102, FAW MV3 4x4, 샨시 SX2190
자주포 자주곡사포 70식 122mm 자주포R, 83식 152mm 자주포, 88식 155mm 자주포, 89식 122mm 자주포,
05식 155mm 자주포, 07식 122mm 자주포, 08식 차륜형 자주포, 09식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71 122mm 차륜형 자주포, PCL-181 155mm 차륜형 자주포
자주박격포 85식 자주박격포, 05식 자주박격포, 08식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LVT(A)-4 (ZiS-2)NRA/M/R, LVT-4 (ZiS-3)NRA/M/R, SU-76ML/R, SU-85L/R, SU-100L/R, ISU-152R, 89식 자행대전차포, ISU-122L/R, M36 잭슨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88식 자주대공포, 95/04식 자주대공포, 07식 자주대공포, 09식 자주대공포, M19 더스터C/R
단거리 대공미사일 HQ-6, HQ-7, HQ-17, HQ-17A
다연장로켓 BM-13NL/R, WS-1/2, 83식 다연장로켓R, 63식 다연장로켓R, 81/89/90/식 다연장로켓R, 03식 다연장로켓, 11식 다연장로켓, 16식 다연장로켓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NRA: 국공내전 당시 국부군으로부터 노획한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윗첨자L: 공여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쿠바 국기.svg 현대 쿠바 혁명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쿠바 혁명군 (1959~현재)
Fuerzas Armadas Revolucionarias
<colbgcolor=#cf142b> 기타 전차 M4A3 (76) W HVSSC/R, A34 코멧C/R, T-34-85CZR, IS-2MR
MBT <colbgcolor=#cf142b> 1세대 T-54, T-55(A/AM)
2세대 T-62 1967년형, T-62 1972년형, T-62M
경전차 M3C/R, PT-76
장갑차 차륜장갑차 M3 스카웃 카C/R, BTS-4, BTR-60PB/PU-12, BTR-70M, CBAF-100, CBAF-115, CBE-14.5
궤도장갑차 BMP-1(P), BTR-50, BMD-1
차량 소형 둥펑 EQ-2050, UAZ-469
트럭 우랄-4320
자주포 자주곡사포 AAPMP-T-100M/R, AAP-T-122M/R, AAMP-T-130M/R, 2S1 그보즈디카, 2S3 아카치야
자주박격포
대공 체계 자주대공포 ZSU-57-2, ZSU-23-4 쉴카, Yatare-23M, BTR-23M, BTR-60-30-2M, Duplex-BTR-37M, Duplex-T-57M
대공미사일 2K12 쿠프, 9K33 오사, T-55A (S-75), T-55(S-125)
다연장로켓 BM-21, BM-21M, BM-24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동일한 사례로 스탈린 전차의 직계 조상격인 보로실로프 전차 역시 클리멘트 보로실로프의 이니셜 "КВ (Климент Ворошилов)"를 따서 명명되었다. [2] 포탑을 작게 만들어서 -3밖에 나오지 않고, 사실상 부각이 없는거나 마찬가지이다. [3] DShK는 1944년부터 추가됐으며, DT는 각각 포탑 전방(공축 기관총)과 후방, 차체 전방에 1정씩 달려있다. [4] IS-2 초기형의 경우 수직구간에 조종수 관측창이 존재하여 당시 독일 보병사단 예하 대전차포 대대의 주력 대전차포로 운용되었던 7,5cm PaK 40 대전차포에게도 자칫하면 약점사격으로 격파당할 수 있었다. 1944년형(개량형)에 와서는 120mm 60도 경사장갑으로 대체되어 없어진다. [5] D-25T를 장착한 양산형과 달리, T자형 머즐 브레이크와 A-19 평사포를 탑재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6] IS-1이 개발되고도 거의 생산되지 않은 이유는 화력이 동등한 SU-85와 T-34-85의 양산 계획이 잡힌 것과 소련군이 재대로 된 교리도 없이 대충 튼튼한 KV-1을 보병들이나 T-34와 함께 투입하던 시절은 지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1943년 말에는 이미 소련군 내에서 종심 전투 교리 하의 충격 집단 운용 교리가 자리잡았기 때문에 122mm의 IS-2를 양산하기로 했으며, 미국의 랜드리스로 받은 압도적인 물량의 트럭과 열차 및 철도 설비들로 확실한 기동력까지 갖춘데다 무전기까지 대량으로 받아 부대의 협동의 미비 및 지휘체계의 미비까지 해결되어 독소전쟁에도 이미 충분히 유리해져 소련이 전략적으로 확고한 공격자 입장에 서게 되었기에 붉은 군대 내에서 중전차의 역할은 적 전차를 막기 위해 중전차를 사용한 독일과는 달리, 마치 냉병기 시대의 중기병처럼 예비대로 빠져있다가 한순간 적의 취약점에 압도적인 충격을 줘서 방어선을 깨부수는 역할을 맡게 되었다. 85mm포는 기존의 KV-1의 역할이었던 '더 튼튼해지고 느려진 T-34' 정도의 포지션으로는 큰 문제가 없었으나, 변경된 교리 하에서 새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좀 더 큰 포가 필요했다. 이에 새 주포 선정을 위해 KV-85를 이용하여 이런저런 포를 달아보고 앞서 설명한 IS-85를 유용한 여러 파생형 차량들이 개발되었으며, 이 중 대전차 능력은 가장 떨어지지만 막강한 고폭탄의 화력 덕분에 순간적인 전선돌파 목적에는 가장 적합한 54구경장 A-19 야전 평사포가 선택되었다. [7] 1944년 리가 고속도로에서 촬영되었다. [8] 1944형 포탑은 1943년형과 달리 포수 조준경이 주포와 멀리 떨어져있다. [9] KS-12로도 불리는 소련의 대공포 T-34-85 1943년형에 탑재된 52구경장 D-5T 강선포의 근본이 된다. [10] IS-85M/IS-3/Object 243의 85mmBM포는 당장 쓰기에는 오래놔두면 포신이 휘는 문제가 있었고 IS-100/IS-4,5/Object 245,248의 100mm는 구축함포를 유용한 물건이라 철갑탄은 개발중인 단계였으며 탄약이 긴데다 일체형 포탄이라 좁은 포탑 내에서 장전하기가 굉장히 어려웠다. 게다가 고폭탄 화력도 122mm에 비해 떨어졌다. [11] 당시 소련의 수석 전차 개발자였던 조제프 코틴은 조종수의 시야 확보 때문에 이 설계를 지지했다. [12] 차체 전면의 관측용 해치를 없애지도 못하는건 T-34 전차와 마찬가지로 당시 소련 전차 설계 방식 때문이다. T-34와 IS-2 모두 엔진과 변속기가 세로로 배치된 구조였고, 두 차량에 사용된 소련의 V-2 엔진은 V형 12기통 엔진이기 때문에 엔진룸이 차지하는 길이가 상당해졌고, 이로 인해 포탑과 승무원 거주 공간은 차체 앞으로 밀려났다. 포탑이 차체 전면에 바짝 붙는 바람에 차체 앞부분에는 공간이 없어서 제대로 된 관측기기나 조종수 탑승구를 지붕에 설치하지 못했다. 이런 문제 때문에 T-34는 전면 장갑에 탑승구 해치를 뚫고 IS-2는 전면에 개폐식 관측창을 달게 되어 전면부에 방어력이 떨어지는 약점 부위가 생기게 되었다. [13] 물론 조종수의 시야를 아예 고려하지 않을 수는 없었기 때문에 전면부를 완전히 막아버린건 아니고 가느다란 슬릿형 관측창을 뚫어놓기는 했다. 슬릿형 관측창의 존재로 조종수가 그래도 앞을 볼 수는 있지만 관측창이 아예 열리던 1943년형 보다는 시야가 좁아지는건 어쩔 수 없었다. [14] 주조장갑 버전의 경우 장갑 형상이 더 둥근 편이고, 전면 하단도 주조식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전면 하단부는 1943년형 버전과 비슷하게 생겼다. 반면 용접장갑 버전은 차체 전면이 더 각지고, 하단부도 용접식으로 변경되면서 형상이 더 각지게 바뀌었다. [15] 이건 시가전이라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해야한다. IS-2의 정면장갑은 판처파우스트를 충분히 막아낼 수 있는 방호력을 갖췄지만 측면이나 후면은 근거리에서 헷처로도 관통이 가능한 수준이었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소수지만 이런식으로 헷처가 측면에서 공격해서 IS-2를 격파한 사례도 있다. 그리고 참호전에서는 발생하기 힘든 일이지만 시가지에서는 적 전차의 상부장갑을 노려서 발사하는 일도 가능하다. [16] 이 즈음에 소련군의 대전차전 교리는 T-34가 벌떼같이 몰려가서 독일군을 박살낸다였다. 그래서 IS-2에 100mm대신 122mm를 탑재한 것이다. [17] 영국같은 경우는 분리철갑탄. [18] 귀한 것도 있고, 무엇보다도 녹는점이 섭씨 3천 도를 넘어 가공도 상당히 힘들어서 생산하기도 어려웠다. [19] 소련은 전차마다 3-4발은 싣었다곤 하지만, 소련 전차에 비해 포탄을 훨씬 많이 싣을 수 있는 미국이나 독일의 경우 HVAP/APCR의 부족으로 한 발도 싣을까 말까 했다. [20] 하지만 차체 전면 상단의 조종수용 관측창은 면적은 훨씬 작아졌지만, 맞출 수만 있다면 장거리에서도 독일군의 대전차포에 관통될 수 있는 약점으로 남았다. [21] 다만 PaK 40은 입사각이 좋다면 근거리에서 IS-2의 측면을 충분히 관통할 수 있었다. 방어력 확보에도 한계는 있어서 모든 적 대전차화기로부터의 생존을 보장할 수는 없었다. 소련의 IS-2는 독일제 7,5cm KwK 40 전차포에 대해 영거리를 제외한 전 거리에서의 측면 주요 부위 방호 확보가 목표였고 독일의 티거와 티거 2는 소련제 76mm ZiS-3 사단포에 대해 확고한 측면 방호를 요구받았다. [22] 왼쪽부터 철갑탄 장약통(탄피), 고폭탄 장약통, OF-471 고폭탄, BR-471 철갑유탄, BR-471B 저저항피모철갑탄이다. [23] 여기서 드러나는 거지만 독일군과 달리 소련군은 중전차를 만들 때 적의 강력한 저항이 예상되는 장소에서 맞아가면서 적의 저항을 분쇄하거나 돌파해서 적의 전선을 격파하는 용도를 염두에 두고 만들었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지만 IS-2의 대전차능력은 독일군의 중전차들과는 달리 그리 뛰어나지는 않았다. 많은 문제점이 개선된 1944년형에서도 좋게 쳐줘봐야 티거 E형에 겨우 비슷한 수준에 불과했다는 평이 나올 정도니 말이다. 혹자는 고폭탄이 없었기에 대전차전에서 뛰어난 100mm 대신 당장 쓸 수 있는 122mm를 선택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으나 100mm의 고폭탄이 충분히 양산된 뒤에도 IS-2는 계속 122mm 포를 장착하고 생산되었으며 IS-2의 후계자들인 전후 소련 중전차들은 100mm의 대전차전 성능이 확실히 입증된 이후에도 그냥 기존의 122mm를 개량만 해서 달아놓고 신규 개발 및 생산되었다. 스탈린 전차의 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100mm포의 고폭탄이 없었다는게 마이너스는 맞으나 애초에 전선돌파를 위한 122mm의 화력이 가장 뛰어나서 선택된 것이지 대전차전에 좋은 100mm를 쓰려다가 당장 고폭탄이 없으니 122mm를 쓴 게 아니다. KV-1 전차의 존재와 함께 엄청난 물량을 뿜어대는 소련 전차를 상대하기 위해 개발된 독일의 중전차 개발사를 소련에 대입해서 여기도 똑같겠지 하면서 생각하는 초보적인 실수를 하지 말자. [24] 방어전에서는 아래에도 예시가 하나 나와있기는 하지만 122mm의 문제점이었던 장전시간 및 준비탄 숫자의 문제들이 그렇게 큰 문제로 떠오르지는 않았고 방어자였기에 관측에서 그리 큰 패널티를 받지 않았기에 D-25T 주포의 명중률을 그대로 살려서 2km 이상의 거리에서부터 교전에 들어가서 성공적으로 방어한 사례가 많다. 이것도 그나마 대전차전을 염두에 두고 122mm을 한 번 더 개량한 D-25T 주포였기에 가능했던 일로 장전시간이나 준비탄의 문제가 더 심각했고 주포 정확도의 문제도 있었던 A-19를 그대로 달고 다니던 초기 IS-2 전차들은 문제가 더 심했다. [25] 전장에서 바로바로 꺼내쓸수 있는 포탄들. 게임과는 달리 포탄은 준비탄과 예비탄으로 나뉘어져있다. 준비탄은 앞서 설명한대로 곧바로 꺼내서 사용할 수 있는 포탄을 이야기하고 예비탄은 나중을 위해 저장해놓은 포탄을 뜻한다. 모든 포탄을 다 포탑 주변에 적재할 수 있으면 좋겠지만 공교롭게도 포탑 공간의 한계와 여러가지 위험요소들(유폭이라든가) 때문에 그러지 못했고 이렇게 준비탄과 예비탄으로 나뉘어서 적재했다. 준비탄을 다 쓰면 예비탄을 차체에서 꺼내와서 한발씩 매우 느리게 장전해야 한다. [26] SU-152 또는 ISU-152로 추정된다. [27] 경사각이 매우 얕은 75mm(SU-152)~90mm(ISU-152)의 전면 장갑을 가진 중돌격포라 4호 전차의 통상 사격에도 충분히 근거리에서 전면 격파를 당할 수 있었다. [28] 할베 포위망에서 탈출에 성공해 살아남은 독일군 판터 전차의 승무원은 운 좋게 아군 전차와, 판처파우스트를 가진 아군 보병들을 만나 피해 없이 IS-2 전차 3대를 격파한 기록이 있다. [29] 1944년 소련군의 전차 및 자주포 완전손실 총계는 23,700~24,400대 정도로 추산되는데 같은 시기 독일군이 동서남북 전 전선에서 상실한 전차 및 자주포 완전손실 총계는 11,979~12,079대 정도로 추산된다. [30] 심지어 장갑차들에게 측면 공격을 허용해 격파당한 기록도 있었다. [31] 히틀러는 주력들을 서부로 보내 서방 연합군의 진격을 저지한 다음 전력을 다시 동부로 보내서 막는 사이에 서방과 강화할 시간이라도 벌려고 했고 그 결과 벌지 전투가 일어나게 되는데, 너무나 터무니없는 작전이라 벌지 전투는 독일군의 목표 달성 실패로 끝났고 독일군 전력을 더 빠르게 소모시켜 소련군의 베를린 진격 속도만 더 빨라지는 결과를 낳았다. [32] 특히 이후 소련군 최후의 제식 중전차인 T-10M까지 주포 구경은 122mm 미만으로 내려가지 않았다. [33] 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ISU-152가 있었으나 최대 사정거리가 4km가 한계였고, 같은 포를 얹은 ISU-122가 있었으나 지원포격보다는 대전차 임무를 도맡고 있었다. 이 탓에 그나마 대구경 포를 멀리 제약없이 날려보내는 IS-2가 계속해서 사용되었던 것이며, 결국 냉전에서는 "중전차"로서의 아이덴티티는 사라지고 대신 보병 지원 특화 차량이나 간이 자주포 개념으로 변경되었다 볼 수 있다. 현 대한민국 육군 M48A3K / A5K와 같은 케이스. [34] 포탑 가운데에 서있는 트렌치 코트를 입은 여군은 알렉산드라 사무센코 대위. 쿠르스크 전투에서 T-34-76 전차를 지휘해 티거 전차 3대를 격파한 에이스로 제1근위전차군의 유일한 여군이자 부상당한 대대장을 대신해 전차 대대를 성공적으로 대리 지휘한 경험도 있으며 애국전쟁 훈장과 붉은별 훈장까지 서훈받은 우수한 장교였다. 유일하게 소련군으로 싸운 미군 조셉 배얼 하사를 받아준 인물이자 그가 있었던 수용소로 그와 함께 달려가 수용소를 해방하는 임무를 하였고, 그로부터 자신의 남편이 독일놈들 손에 전사했다는 충격적인 보고를 받고 분노했던 드라마틱한 삶을 살다간 인물. 조셉 배얼 하사가 부상당해 후송된지 한달이 조금 안되는 시점이자 조국의 승전 직전인 1945년 3월 3일 야밤, 아군 전차가 시야 불량 문제로 그녀를 보지 못하고 밟아버리면서 극심한 부상을 입었고 얼마 못가 사망했다고 한다. 그러나 다른 자료에서는 독일군의 자주포에 깔렸다는 말도 있다. 이러나 저러나 깔려죽었다는 건 사실인 걸로 보이지만 그녀의 업적과 파란만장한 삶에 비하면 너무나 충격적이고 허무한 죽음이다. 일설에 따르면 사무센코 대위는 여군으로서 스페인 내전까지 참전했다는 설까지 있는데, 당시 소련의 재스페인 참전병들은 당장 내전 당시 소련의 대스페인 작업을 총지휘했던 안토노프 오브셴코부터 대숙청 당했고, 비교적 적은 수만 노하우와 경험을 전수할 수 있는 멀쩡한 상태였다. 정말로 사무센코가 스페인 내전 참전 경험까지 있었다면 20세기 여성과 전차의 역사 양쪽에서 전무후무한 경력을 쌓은 인물이었겠지만, 스페인 내전 참전설은 당시 증인들의 착각이었다는게 중론이다. [35] 소비에트 연방 영웅 수훈자였던 니콜라이 크라시코프 (Николай Красиков)가 1943년 11월 11일 우크라이나 빈니치야에서 전사하자 그의 형이자 당시 이 전차의 승무원이었던 미하일 크라시코프 (Михаил Красиков)가 포탑에 이 글귀를 그려넣었다. 미하일은 이 전차를 타고 독일 포메른으로 진격하던 1945년 3월 전사했는데, 이 때 전차도 격파당한 것으로 추정된다. [36] 오글레두프 전투 중 티거 2 1량이 소련군에게 노획당하기도 하였다. [37] 1944년 8월 에스토니아 신문 "에스토니아의 단어 (Eesti Sõna)"에 올라온 사진이다. 타르투 공세에 대한 설명과 함께 게재되었다고 한다. [38] 1944년 6월 9일 촬영된 사진으로, 소속 여단을 알 수 없다. [39] 다만 핀란드 방위군은 이렇게 유기된 IS-2를 노획해서 사용하지는 않았다. 이 탓에 계속전쟁이 종전되고 나서도 이 전차들은 계속 방치되다 소련군이 다시 회수하거나 고철로 폐기했다고 알려져 있다. [40] 1953년 7월 17일 촬영되었다. [41] 평시에는 피스마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42] 위 사진은 1944년 찍힌 것이며, 해당 IS-2는 1944년 5월 9일 우크라이나 북부 Tlumaczk에서 독일군에게 노획되었지만 실전에 투입되지는 않고 관통실험용으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43] T-34는 1943년부터 실전에 투입된 IS-2와는 달리 1941년 독소전쟁 개전 시점에서부터 꾸준히 사용된 만큼 독일군이 더 많이 노획해서 사용했고, 그 때는 아직 독일이 승승장구할 때라 사진 기록도 제법 많이 남겼다. [44] 위쪽 부분 궤도가 한 덩어리가 아니라 각각의 궤도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고 물결 모양의 틀을 제공하기 때문에, 궤도가 처진 형태를 구현할 수 있다. [45] 1950년대 개수된 현대화 개수형으로 1944년 개수형인 IS-2M과는 다르다. [46] 기존의 IS-1을 IS-2와 동일한 성능으로 개조하면서 IS-2m의 포탑으로 교체하거나 파손된 IS-2를 수리하면서 생긴 형태 등으로 추정할 수 있다.